KR20140024148A -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4148A
KR20140024148A KR1020120090729A KR20120090729A KR20140024148A KR 20140024148 A KR20140024148 A KR 20140024148A KR 1020120090729 A KR1020120090729 A KR 1020120090729A KR 20120090729 A KR20120090729 A KR 20120090729A KR 20140024148 A KR20140024148 A KR 2014002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es
vertical
truss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6969B1 (ko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유) 숲이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숲이온 filed Critical (유) 숲이온
Priority to KR102012009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69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1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wood, e.g. with reinforcements, with tensioning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관한 것으로,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의 제1,제2결합공에 체결부를 체결하여,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벽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제1,제2트러스로 손쉽게 조립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는, 체결부에 의해 제1,제2트러스가 밀착 고정되어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의 형성이 간편하고, 체결부에 의해 트러스가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체결구조가 간단하여 미숙련된 작업자도 손쉽게 트러스를 결합하여 골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제2트러스의 다방면으로 체결부가 체결되어 트러스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으며, 체결구조가 간단하여 체결 불량률이 없고, 작업현장으로 각개의 트러스를 운반하여 운반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Prefabricated wall frame using a timber}
본 발명은 조립식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를 체결부로 체결하여, 현장에서 조립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는 건물의 벽을 이루는 부분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밀폐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벽체는 수직으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무너지거나 혹은 파손되지 않도록 시공 과정에서 내측에 별도의 벽체 구조물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벽체 내부에 구비되는 벽체 구조물은 수직으로 세워져 고정되고, 벽체 구조물에 콘크리트 혹은 황토 등의 다양한 재료들을 부은 후 정해진 시간동안 굳히기 작업을 통해 벽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벽체 구조물이 벽체를 수직으로 지탱함으로써, 벽체가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무너지거나 혹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수직철근(11)과, 상기 수직철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수직철근에 밀착 고정되어 있는 수평철근(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평철근(12)은 상기 수직철근(11)에 용접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직철근(11)과 수평철근(12)은 직교되게 형성되어 격자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철근(11)과 수평철근(12)으로 이루어진 벽체 구조물(10)이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로 나열되어 지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지면에 고정된 벽체 구조물에 콘크리트 등을 부어 정해진 시간동안 굳히는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콘크리트가 굳어져 내부에 벽체구조물(10)이 구비된 벽체가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벽체 구조물(10)에 황토 등을 발라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벽체에 단열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방법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벽체를 형성하되, 벽체 사이에 단열재를 구비하여 벽의 시공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직철근(11)에 수평철근(12)이 직교되게 밀착 고정되어 격자형상을 갖는 벽체구조물(10)은, 수직철근(11)에 수평철근(12)을 밀착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숙련된 작업자가 용접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며, 용접 불량으로 인해 수직철근(11)에서 수평철근(12)이 이탈될 수 있고, 수직철근(11)에 수평철근(12)을 부착하는 용접 시간이 오래 걸리며, 작업현장으로 벽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철근을 운반하여 운반 작업이 불편하고, 고가의 철근으로 제작되어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의 제1,제2결합공에 체결부를 체결하여,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킴으로써, 시공 현장에서 벽체의 길이에 대응되는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제1,제2트러스로 손쉽게 조립 형성할 수 있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제2트러스의 형상을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갖는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할 수 있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의 제1,제2트러스 외면에 밀착되어 나사못으로 고정되는 트러스고정판을 구비함으로써,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의 고정력이 견고해지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골조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메워짐으로써, 단열 기능을 갖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제2트러스를 짜투리 나무로 제작되어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은, 다각형상의 제1트러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직골조;와 다각형상의 제2트러스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평골조;로 구성된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1트러스 외면에 복수개의 제1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공을 통해 체결부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트러스가 밀착 고정되며,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골조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2트러스 외면에 복수개의 제2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공을 통해 체결부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트러스가 밀착 고정되며, 상기 수직골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수직골조의 상기 공간부 사이를 구획하되, 상기 수직골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는 상기 제1,제2트러스의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는 제1,제2트러스의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의 제1,제2트러스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 외면에 나사못(N)에 의해 밀착 고정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키는 트러스고정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의 공간부에는 단열재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의 제1,제2트러스를 체결하는 체결부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은, 체결부에 의해 제1,제2트러스가 밀착 고정되어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의 형성이 간편하고, 체결부에 의해 트러스가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를 형성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체결구조가 간단하여 미숙련된 작업자도 손쉽게 트러스를 결합하여 골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제2트러스의 다방면으로 체결부가 체결되어 트러스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으며, 체결구조가 간단하여 체결 불량률이 없고, 작업현장으로 각개의 트러스를 운반하여 운반작업이 용이하여, 짜투리 나무의 결합으로 트러스를 형성하여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의 수직골조와 수평골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를 이루는 제1트러스가 분해된 상태를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평골조를 이루는 제2트러스가 분해된 상태를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이 콘크리트 또는 황토에 매설되어 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이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에 트러스고정판이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제1,제2트러스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을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와 수평골조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 구조물을 이용한 조립식 벽체의 수직골조를 이루는 제1트러스가 분해된 상태를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평골조를 이루는 제2트러스가 분해된 상태를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이 콘크리트 또는 황토에 매설되어 벽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의 공간부에 단열재가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이 건축물의 벽체에 매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수직골조 및 수평골조에 트러스고정판이 밀착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의 제1,제2트러스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는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다각형상의 제1트러스(1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1트러스(101) 외면에 복수개의 제1결합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공(102)을 통해 체결부(30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트러스(101)가 밀착 고정되며,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 사이에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트러스(1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정해진 면적을 갖는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상기 제1트러스(101)의 결합 갯수에 따라 면적이 달라지고, 사용자가 상기 제1트러스(101)의 결합 갯수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골조(10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상기 제1트러스(101)의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제1트러스(101)의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상기 제1트러스(101)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골조(100)의 제1트러스(101)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상기 제1트러스(101)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삼각형상의 제1트러스(101)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직골조(1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1트러스(101)의 외면에 ㄱ자 형상을 갖는 마감트러스(101a)가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골조(100)의 공간부(110)에는 단열재(50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단열재(500)는 상기 공간부(110)에 삽입된 상태로, 콘크리트 또는 황토에 의해 매립되어 벽체가 보온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목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짜투리 목재를 이어 붙임하여 상기 제1트러스(101)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건축물 종류에 따라 상기 제1트러스(101)의 재질을 목재,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수평골조(200)는 다각형상의 제2트러스(2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2트러스(201) 외면에 복수개의 제2결합공(2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공(202)을 통해 체결부(30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트러스(201)가 밀착 고정되며, 상기 수직골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수직골조(100)의 상기 공간부(110) 사이를 구획하되, 상기 수직골조(100)를 지지한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2트러스(2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정해진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상기 제2트러스(201)의 결합 갯수에 따라 면적이 달라지고, 사용자가 상기 제2트러스(201)의 결합 갯수를 조절하여 상기 수평골조(20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 사이의 상기 공간부(1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수직골조(100)가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수평골조(200)의 면적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 간의 폭 간격이 조절되어 벽체의 두께가 변화된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상기 제2트러스(201)의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제2트러스(201)의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상기 제2트러스(201)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골조(200)의 제2트러스(201)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골조(200)는 상기 제2트러스(201)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밀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트러스(201)가 삼각형상인 경우, 상기 수평골조(2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2트러스(201)의 외면에 ㄱ자 형상을 갖는 마감트러스(201a)가 밀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골조(200)의 제2트러스(201)는 목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짜투리 목재를 이어 붙임하여 상기 제2트러스(201)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 외면에 나사못(N)에 의해 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키는 트러스고정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러스고정판(400)은 원형, 반구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트러스고정판(400)은 서로 밀착 고정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밀착 부위에 위치되어 상기 나사못(N)으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한다.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의 제1,제2트러스(101,201)를 체결하는 체결부(300)는 볼트(301)와 너트(302)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골조(100)는 상기 볼트(301)가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공을 통과하되, 상기 볼트(301) 말단이 상기 너트(302)에 조임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가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다각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1트러스(101)를 밀착시키되, 상기 제1트러스(101)의 제1결합공(102)을 통해 체결부(300)를 체결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1트러스(101)로 이루어진 수직골조(100)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골조(100)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한 쌍으로 형성하여 내측에 공간부(110)를 형성하며, 다각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제2트러스(201)를 밀착시키되, 상기 제2트러스(201)의 제2결합공(202)을 통해 체결부(300)를 체결하여 복수개의 상기 제2트러스(201)로 이루어진 수평골조(200)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골조(100)의 공간부(110)에 수직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의 수평골조(200)를 밀착 고정시켜,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의 내측부가 상기 수평골조(200)에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공간부(110)가 상기 수평골조(200)에 의해 복수개로 구획된다. 이때, 상기 수평골조(200)에 의해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기 수직골조(100) 외측으로 칸막이(미도시)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 수평골조(100,200)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로 형성된 벽체 내부에 수직,수평골조(100,200)가 매립되어 견고한 벽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골조(200)에 의해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 상기 수직골조(100)에 황토를 덧붙이게 되면, 수직,수평골조(100,200)가 황토에 의해 매설되어 황토로 형성된 벽체 내부에 수직, 수평골조(100,200)가 구비됨으로써, 견고한 황토벽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 수평골조(100,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어 정해진 면적을 갖고, 상기 제1, 제2트러스(101,201)의 결합 갯수에 따라 면적이 달라지며, 사용자가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 갯수를 조절하여 상기 수직, 수평골조(100,200)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골조(200)의 면적을 달리함에 따라,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수평골조(200)에 의해 상기 수직골조(100) 사이의 폭 간격이 조절되어 벽체의 두께가 변화된다.
또한, 상기 수평골조(20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수직골조(100)가 수직으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수평골조(100,200)는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게 함으로써, 관통 부위를 통해 상기 공간부(110)에 콘크리트 혹은 황토등을 용이하게 메울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수평골조(100,200)는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형성하여 비용을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수평골조(100,200)의 제1,제2트러스(101,201)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를 삼각형상으로 형성하여 밀착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직,수평골조(100,200)가 삼각형상의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수직,수평골조(100,200)의 양 끝단에 형성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외면에 ㄱ자 형상을 갖는 마감트러스(101a,201a)를 밀착 고정하여, 양 끝단을 수직 또는 수평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골조(100)의 공간부(110)에는 단열재(500)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상기 공간부(110)에 삽입된 상기 단열재(500)에 의해 콘크리트 또는 황토벽체의 보온성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수직,수평골조(100,200)는 목재로 형성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짜투리 목재를 이어 붙임하여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목재로 형성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에 황토를 발라 황토 벽체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 외면에 나사못(N)에 의해 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키는 트러스고정판(40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트러스고정판(400)은 원형, 반구형 또는 다각형상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결합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고정판(400)은 서로 밀착 고정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밀착 부위에 위치되어 나사못(N)으로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고정력을 견고하게 한다.
이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의 제1,제2트러스(101,201)를 체결하는 체결부(300)는 볼트(301)와 너트(302)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301)가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제1,제2결합공(102,202)을 통과하되, 상기 볼트(301) 말단이 상기 너트(302)에 조임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가 밀착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1,제2트러스(101,201)를 체결부(300)로 체결하여 벽체구조물을 형성하는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를 형성하는 구조는, 체결부(300)에 의해 제1,제2트러스(101,201)가 밀착 고정되어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의 형성이 간편하고, 체결부(300)에 의해 트러스가 수직골조(101) 및 수평골조(201)를 형성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체결구조가 간단하여 미숙련된 작업자도 손쉽게 트러스를 결합하여 골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제1,제2트러스(101,201)의 다방면으로 체결부(300)가 체결되어 트러스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는다.
100 : 수직골조 101 : 제1트러스
101a : 마감트러스 102 : 제1결합공
110 : 공간부 200 : 수평골조
201 : 제2트러스 201a : 마감트러스
202 : 제2결합공 300 : 체결부
301 : 볼트 302 : 너트
400 : 트러스고정판 500 : 단열재
N : 나사못

Claims (7)

  1. 다각형상의 제1트러스(1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직골조(100);와
    다각형상의 제2트러스(20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 수평골조(200);로 구성된 벽체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1트러스(101) 외면에 복수개의 제1결합공(1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결합공(102)을 통해 체결부(30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트러스(101)가 밀착 고정되며,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서로 대향되게 한 쌍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수직골조(100) 사이에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골조(200)는
    목재 재질의 상기 제2트러스(201) 외면에 복수개의 제2결합공(20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결합공(202)을 통해 체결부(300)가 결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2트러스(201)가 밀착 고정되며, 상기 수직골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어 상기 수직골조(100)의 상기 공간부(110) 사이를 구획하되, 상기 수직골조(10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의 중앙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제1,제2트러스(101,201)의 단면 형상이 원형, 반원형 또는 다각형상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의 제1,제2트러스(101,201)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는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101,201) 외면에 나사못(N)에 의해 밀착되어, 복수개의 상기 제1,제2트러스를 밀착 고정시키는 트러스고정판(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의 공간부(110)에는 단열재(500)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골조(100) 및 수평골조(200)의 제1,제2트러스(101,201)를 체결하는 체결부(300)는 볼트(301)와 너트(3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KR1020120090729A 2012-08-20 2012-08-20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KR10143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9A KR101436969B1 (ko) 2012-08-20 2012-08-20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0729A KR101436969B1 (ko) 2012-08-20 2012-08-20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4148A true KR20140024148A (ko) 2014-02-28
KR101436969B1 KR101436969B1 (ko) 2014-09-04

Family

ID=5026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0729A KR101436969B1 (ko) 2012-08-20 2012-08-20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6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542B1 (ko) * 2018-12-10 2019-09-10 김두한 육각형전통문양벽돌 단위구조
KR102020546B1 (ko) * 2018-12-10 2019-09-10 김두한 육각형전통문양벽돌쌓기 구조 및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7688A (en) 1988-01-19 1989-05-09 Yair Tene Truss structure
EA005355B1 (ru) * 2000-07-28 2005-02-24 Бригем Янг Юниверсити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и способ 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JP4889020B2 (ja) 2006-11-10 2012-02-29 鹿島建設株式会社 構造物のユニット式骨組構造及び骨組部材ユニット
KR100881063B1 (ko) 2007-08-20 2009-02-05 김철곤 목재 패널을 이용한 황토 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6969B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US9523201B2 (en) Construction components having embedded internal support structures to provide enhanced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and improved ease in construction of, walls comprising same
KR101505579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993879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KR101632615B1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KR101266737B1 (ko) 모듈러 유닛 구조체와 기초 콘크리트의 결합용 연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체의 기초 시공방법
KR101429480B1 (ko)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1962853B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KR101429482B1 (ko)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101436969B1 (ko) 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벽체 구조물
JP2008502822A (ja) 建築要素及び建築方法
KR20170142384A (ko) 기둥 및 보의 맞춤연결을 위한 독립기본구조물
KR101389485B1 (ko) 건축용 콘크리트 기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08356B1 (ko) 내진보강용 이중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CN107023078B (zh) 装配现浇组合式叠合箱网梁楼盖及施工方法
KR101150369B1 (ko) 건축물의 복합보 구조
JP7339865B2 (ja) 壁パネルの建て込み方法
JPH06173343A (ja) 集成材構造における柱・梁接合部構造
KR102120426B1 (ko) 조립식 더블 월 pc
KR101895803B1 (ko) 주택 시공방법
KR20180026286A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2029001B1 (ko) 벽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02296B1 (ko) 조립식 거푸집
KR102289243B1 (ko) 철근 선조립기둥, u형 강판보 및 골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건식화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