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334A -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334A
KR20140023334A KR1020137028799A KR20137028799A KR20140023334A KR 20140023334 A KR20140023334 A KR 20140023334A KR 1020137028799 A KR1020137028799 A KR 1020137028799A KR 20137028799 A KR20137028799 A KR 20137028799A KR 20140023334 A KR20140023334 A KR 201400233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heet
stretchable
disposable diaper
di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1038B1 (ko
Inventor
카츠히코 스기야먀
Original Assignee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73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9388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337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811615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23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후 피포부 등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80)가 형성되는 신축성 부직포는,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부직포 시트 및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며, 신축부(80)는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 등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신축부(80)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82)가 배치되고, 셀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를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84)가 형성되고, 접합부(84)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의 층간에,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86)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1A).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Disposable diaper}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를 피포하도록 장착되는 흡수성 물품이며, 배설물을 흡수·유지시키기 위한 흡수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허리 주위를 피포(encapsulated))하는 부분의 웨스트 단 테두리를 따라서, 또는 가랑이를 피포하는 부분의 측 테두리를 따라서(예를 들면 레그 개구부의 주위 테두리를 따라서), 신장 상태의 신축재를 고정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이 신축재는, 착용감이나 피트감을 향상시키고, 웨스트 개구부나 레그 개구부로부터의 배설물의 새어 나감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단지 신장 상태의 신축재를 고정하는 것만으로는, 신축재 고정부에 신축성을 부여할 수 있더라도, 유연성, 쿠션성 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1) 신축재에 의한 고정이 너무 강해서 착용자의 피부에 고무 흔적(타이마크)이 생기고, 2) 신축재 고정부는 접착제의 도공이나 신축재의 열융착 등에 의해서 딱딱해지기 쉽기 때문에, 기저귀의 유연성이나 촉감이 손상되며, 3) 특히 웨스트 개구부나 레그 개구부 주위 테두리가 딱딱해지면, 착용자 자신의 피부는 물론, 교환 작업을 하는 사람의 손가락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신축재 고정부에 신축성을 부여하면서, 유연성, 쿠션성 등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외층 시트, 내층 시트 및 복수 라인의 탄성 부재에 의해 흡수성 물품의 외포재가 형성되고,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가, 허리 주위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한 접합부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는 한편,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접합부를 통하지 않도록, 허리 주위 방향으로 배치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이 제안되고 있다(특허 문헌 1∼5 참조).
이 팬츠형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가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에 고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가 서로 이간하도록 휘어져서, 웨스트부의 전 둘레에 웨스트부의 외단부에서 내단부에 걸쳐서 늘어나는 복수 라인의 벽(요철)이 형성되는 것이다.
JP2008-136793A JP2008-136794A JP2008-142316A JP2008-142341A JP2008-142342A
특허 문헌 1∼5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은, 상기 벽의 볼록부에 의해서 외층 시트와 내층 시트의 적층 방향으로 볼륨을 주고, 신축재 배치부의 유연성, 쿠션성 등을 개선하는 것을 도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특허 문헌 1∼5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가 허리 주위 방향 및 그 직교 방향의 쌍방에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의 움직임이 제약되어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더라도, 상기 외층 시트 및 상기 내층 시트가 휘어지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높은 볼록부가 형성되기 어렵고, 유연성, 쿠션성의 개선 효과는 부족하였다.
또, 상기 구조에서는, 벽의 오목부 부분을 지나 기저귀 내부의 공기나 습기가 기저귀 외부에 배출되어 환기성이나 제습성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벽의 오목부 표면에서 상기 습기가 결로하여, 착용자의 피부에 수분이 부착하는 점이 문제이다. 수분에 불은 피부에 신축부를 문지르면,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기저귀 내부의 공기나 습기의 일부가 벽의 오목부의 부분을 지나지 않고 상기 내층 시트를 투과하여, 상기 외층 시트의 볼록부와 내층 시트의 볼록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유입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이 공간은 개구가 없는 폐색 공간이기 때문에, 상기 폐색 공간 내에 공기나 습기가 체류하기 쉽다. 따라서, 환기나 제습은 진행되기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 상기 구조는 외층 시트와 내층 시트의 간헐적인 접합부를 통하지 않도록 탄성 부재가 배치된 특수한 구조이다. 이 구조에서는 탄성 부재는 외층 시트 및 내층 시트의 어느 쪽에도 구속되지 않아 자유롭게 신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조시에 300%의 신장률로 탄성 부재를 배치해도, 사용시에 국소적으로는 그 300%의 신장률을 넘어 탄성 부재가 신장하는 경우가 일어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가 이상적인 신장률을 넘어 과도하게 신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딱딱하게 긴장된 탄성 부재가 내층 시트를 통해 피부에 접하여, 아픔이나 불쾌감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의 특수한 구조를 얻기 위해서, 제조시에 정밀한 접합 기술이 필요하여 제조가 곤란하다는 과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기술이 갖는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허리 주위 피포부의 웨스트 단부나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부(예를 들면 레그 개구부의 주연부) 등의 신축재 배치부의 유연성, 쿠션성, 환기성, 제습성이 뛰어나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신축재 배치부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새어나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앞에서 본 같은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열심히 검토한 결과, 1) 신축부를,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 구성하는 것, 2) 신축부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를 배치하는 것, 3) 셀 형성 시트와 신축부를,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를 형성하고, 그 접합부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와 신축부의 층간에,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을 구획 형성함으로써, 상기 과제가 해결되는 것에 상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해, 이하의 일회용 기저귀가 제공된다.
[1]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와, 흡수체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를 가지며, 상기 전 피포부, 상기 후 피포부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부직포는,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신축부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상기 셀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인 상기[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3]상기 셀로서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쪽의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의해 폐색된 외향 셀과,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쪽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의해 폐색된 내향 셀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2]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4]복수의 셀은 상기 수축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며, 상기 셀 열은, 상기 외향 셀과 상기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된 것인 상기[3]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5]상기 접합부는 상기 수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파선형태의 접합부이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외향 셀과 상기 내향 셀이 교대로 구획 형성되어 있는 상기[4]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6]복수 개의 셀은 상기 수축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고, 상기 셀 열은 상기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 배치되어 하나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과,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1]∼[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7]하나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의 연장선은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상기[6]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8]적어도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며,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라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와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상기[1]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9]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몸통 주위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고 있는 상기[8]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0]상기 전 피포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어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몸통 주위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상기[9]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1]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전 피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를 둘러싸는 레그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레그 신축부를, 상기 레그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레그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레그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상기[10]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2]상기 신축부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축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재가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인 상기[8]∼[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3]상기 신축부는, 신축성 필름이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고,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성 필름이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인 상기[8]∼[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4]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한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8]∼[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15]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상기[8]∼[11]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허리 주위 피포부의 웨스트 단부나 가랑이 피포부 측의 테두리부(예를 들면 레그 개구부의 주연부) 등의 신축재 배치부의 유연성, 쿠션성, 환기성, 제습성이 뛰어나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신축재 배치부에 있어서의 배설물의 새어나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하나의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 톱 시트(top sheet)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d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e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서 아우터(outer)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f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신축부 근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g는 도 1f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4c는 도 4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Y-Y'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여,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0a는 도 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a의 X-X'절단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b 도 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8a의 X-X'절단 단면에 상당하는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공정도이며, 이너 시트 방향에서 본 각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각 공정에서, 도 11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 방향 중앙에서 절단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서,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일부 컷아웃(cot out)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2e는 도 12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서 아우터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f는 도 12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이면도이다.
도 14a는 도 13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구성 부재인 신축성 부직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신축성 부직포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에 나타낸 신축성 부직포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개략 이면도이다.
도 15d는 도 1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신축부 근방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e는 도 15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X-X'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f는 도 1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셀 형성 시트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a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셀 형성 시트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b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셀 형성 시트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6c는 일회용 기저귀의 접합부의 또 다른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셀 형성 시트를 박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7c에 나타낸 절단 단면에 대응하는 절단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도 17c에 나타낸 절단 단면에 대응하는 절단 단면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9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전개해,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d는 도 19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9e는 도 19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서, 아우터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펼쳐서, 톱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A-A'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도 20c는 도 20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의 B-B'절단 단면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20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는 도 12a와 동일하게 표현된다. 또, 상기 일회용 기저귀(201B)를 펼치고, 아우터 시트 방향에서 본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는 도 12e와 동일하게 표현된다. 따라서, 상기 일회용 기저귀(201B)의 설명에 서는, 도 12a 및 도 12e도 함께 참조 될 수 있다.
[1]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기본적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a,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1a, 도 19a, 도 19b 및 도 19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와 같이,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전 피포부(2) 및 후 피포부(6)와 흡수체(22)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4)를 갖는 것이다.
[1-1]일회용 기저귀:
「일회용 기저귀」에는, 팬츠형, 테이프형 등의 각종 형태가 포함된다. 단, 본 발명은 그 특정 사항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넓게 포함하며, 이하에 나타낸 팬츠형, 테이프형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2]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
「전 피포부」및 「후 피포부」는, 일회용 기저귀 중,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부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흡수체가, 가랑이 피포부에서부터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서,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에서부터 웨스트 단 테두리측의 부분을 「웨스트 피포부」, 상기 흡수체의 단 테두리 및 상기 단 테두리의 연장선에서부터 가랑이 측 부분을 「더미 피포부」라고 칭한다.
「몸통 주위를 피포한다」는, 일회용 기저귀의 일부에 의해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 또는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의 기저귀로서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팬츠형」은, 도 1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1a, 도 19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와 같이, 미리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10)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 (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전 외장체(62)의 측 테두리(62a , 62b)와 후 외장체(65)의 측 테두리(65a, 65b)가 서로 접합되어,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외장체(16) 중, 좌우의 접합부 (7, 8)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2) 또는 후 피포부(6)로 칭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외장체(16)가 전 외장체(62)와 후 외장체(65)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단, 외장체가 전후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적으로 구성되고, 미리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 및 좌우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도 「팬츠형」의 한 형태이다.
예를 들면, 도 12a, 도 12b 및 도 12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 도 20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는, 일체적으로 구성된 외장체(216)의 측 테두리(202a, 202b)와 측 테두리(206a, 206b)가 서로 접합되어,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외장체(216) 중 좌우의 접합부(207, 208)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202) 또는 후 피포부(206)로 칭한다.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는 형태」의 기저귀로서는, 유사 팬츠형 또는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를 들 수 있다.
「유사 팬츠형」은,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 또는 도 12a, 도 12b 및 도 12 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 도 20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와 같은 형태에서 접합부(7, 8) 또는 접합부(207, 208)를 대신하여 착탈 가능한 패스너(메카니컬 패스너 등)를 부설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이러한 「유사 팬츠형」에서는, 패스너의 계합력에 의해서, 외장체 중 착용자의 앞측을 가리는 부분과 뒤쪽을 가리는 부분을 이러한 양측 테두리로 착탈 가능하게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유사 팬츠형」에 대해서는, 외장체 중, 좌우의 양측 테두리의 패스너의 사이의 영역에 의해서 상기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전 피포부 또는 후 피포부라고 칭한다.
「테이프형」은, 도 13a 및 도 13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a 및 도 15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착용자의 뒤측을 피포하는 부분의 좌우의 각 측 테두리(도시의 예에서는 후 사이드 플랩(374)의 측 테두리(374 a), (374b))로부터 연장하도록 지착 테이프(311)가 부설된 일회용 기저귀를 가리킨다.
「테이프형」은, 도 13a 및 도 13d, 도 15a 및 도 1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착 테이프(311)를 구성하는 기재(350)에 파스닝 부재(도시의 예에서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재(348))를 갖고 있다. 따라서, 착용자의 앞측을 피포하는 부분의 파스닝 부재(도시의 예에서는 프런트 패치(313)를 형성하는 메카니컬 패스너의 루프재(346))에 고정하는 것으로, 착용자의 몸통을 둘러싸는 통 형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테이프형」은 「팬츠형」과 같이 미리 통 형태 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테이프형」에 있어서의 「전 피포부」, 「후 피포부」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를 피복하는 시트재(톱 시트, 백 시트, 사이드 시트 등 )에 의해 구성되는 기저귀 본체의 형상에 따라 이하와 같이 정의하는 것으로 한다.
기저귀 본체가 모래시계형 (전후의 웨스트 단 테두리가 폭넓게, 가랑이 측으로 폭 좁게 잘록해진 형상. 도 12b, 도 20a에 나타낸 외장체(216)와 같은 형상)에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기저귀 앞쪽의 웨스트 단 테두리측의 상기 잘록해진 곳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기저귀 앞쪽의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전 피포부」, 기저귀 뒤쪽의 웨스트 단 테두리측의 상기 잘록해진 곳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기저귀 뒤쪽의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라고 칭한다.
도 13a 및 도 13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a 및 도 15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측에, 기저귀 본체(370)와는 별체의 후 사이드 플랩(374)이 부설됨과 동시에, 웨스트 단 테두리(370d)측에도, 기저귀 본체(370)와는 별체의 전 사이드 플랩(372)이 부설되고 있는 경우에는, 기저귀 가랑이 측에 있어서의 전 사이드 플랩(372)과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교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 (370d)와의 사이의 영역을 「전 피포부」, 기저귀 가랑이 측에 있어서의 후 사이드 플랩(374)과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교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370c)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라고 칭한다.
또한, 기저귀 본체에, 기저귀 본체와는 별체의 후 사이드 플랩만이 부설되어 전 사이드 플랩이 부설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기저귀 가랑이 측에 있어서의 후 사이드 플랩과 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와의 교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을 「후 피포부」, 기저귀 본체를 웨스트 단 테두리끼리가 겹치도록 접었을 때에 「후 피포부」과 중첩되는 영역을 「전 피포부」라고 칭한다.
[1-3]가랑이 피포부:
「가랑이 피포부」는, 일회용 기저귀 중,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부분을 가리킨다. 환언하면, 전 피포부와 후 피포부의 사이의 부분이다.
가랑이 피포부에는, 배설물을 흡수·유지시키기 위한 흡수체가 배치된다. 흡수체의 구성에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종래 공지의 흡수성 물품에 이용되는 흡수체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a, 도 1b,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 b, 도 19d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에서는, 전 외장체(62)와 후 외장체(65)와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흡수성 본체(14)가 배치되어 접합되고 있다(접합부 28). 이 형태에 대해서는, 전 외장체(62)에 의해서 전 피포부(2)가, 후 외장체 (65)의 일부에 의해서 후 피포부(6)가 후 외장체(65)의 일부와 흡수성 본체(14)의 일부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4)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22)는 흡수성 본체(14)의 구성 부재로서 배치되어 있다.
도 12a, 도 12b, 도 12d 및 도 12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 도 20 a 및 도 20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에서는, 흡수성 본체(14) 및 외장체(216)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체(216)의 측 테두리에 있어서의 웨스트 단 테두리(202c) 측의 잘록한 곳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웨스트 단 테두리(206c) 측의 잘록한 곳의 기점끼리를 묶는 직선과의 사이의 영역이 가랑이 피포부(204)이다.
도 13a 및 도 13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a 및 도 15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30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저귀 가랑이 측에 있어서의 전 사이드 플랩(372)과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교점끼리를 묶는 직선과 기저귀 가랑이 측에 있어서의 후 사이드 플랩(374)과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교점끼리를 묶는 직선과의 사이의 영역이 가랑이 피포부(304)이다.
[2]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특징적인 구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이하에 설명하는 제1 실시 형태와 제2의 실시 형태가 있다.
[2-1]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1 실시 형태는,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와 같이, 후 피포부(6) 등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80)가 형성되고, 신축부(80)가 몸통 주위에 따르는 방향 등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1) 신축부를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 구성하는 것, 2) 신축부(80)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82)가 배치되어 있는 것, 3) 셀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를 접합하는 접합부(84)가 형성되어 접합부(84)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의 층간에,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 (86)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것, 4) 셀(86)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도 1f 및 도 1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80)의 수축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의 접합부(84) 사이의 거리도 좁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가 휘어져 파형으로 변형되어 셀 형성 시트(82)와 신축부(80) 중 접합부(84) 이외의 부분(비접합부)이 이간되어, 환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셀(86)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서는, 셀(86)의 내부에,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 체류하는 습기를 수중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80)에 적층된 셀 형성 시트(82)의 표면(신축부(80) 바로 위쪽 피부 당접면)에 습기가 모여 결로하여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신축부(80) 바로 위쪽의 피부 당접면에 습기가 결로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피부 당접면의 건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쾌적한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 착용자가 동작(서있는 자세에서 앉는 자세를 취하는 동작, 보행하는 동작 등)할 때, 기저귀가 변형되어 그 변형에 따라 셀(86)도 변형한다. 셀(86)의 변형에 따라,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공기나 습기가 셀(86) 내에 들어가고, 배출되는 공정이 반복해진다. 특히, 상기 구조에 대해서는, 도 1f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86)의 일단이 개구되고, 상기 개구부에 있어서의 셀 형성 시트(82)의 단부가 자유단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에 대해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의 기능은 제약되지 않고,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다. 즉, 셀(86)을 크게 개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환기나 제습이 촉진되어 기저귀의 내부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셀은, 에어 쿠션과 같이 완충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럽고, 기저귀의 웨스트 주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상기 구조에서는,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셀 형성 시트(82) 및 신축부(80)에 의해서 높은 볼록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셀(86)이 부피가 큰 구조가 되어, 착용자의 피부와 신축부(80)의 틈새가 묻히는 효과가 높다. 즉, 유연성, 쿠션성, 새어 나감 방지 효과가 뛰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셀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이기 때문에, 셀을 통과하여 배설물이 새지 않는다. 또, 흘러 온 배설물을 셀 내에 포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배설물의 새어나감을 방지하면서, 신축부의 유연성·환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2]제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2 실시 형태는, 도 15a∼도 15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1) 신축부(380)를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부직포 시트 및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 구성하는 것, 2)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304)의 좌우측 테두리부에, 신축부(380)가 형성되고 있는 것, 3) 신축부(380)는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것, 4) 가랑이 피포부(304)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382)가 배치되어 있는 것, 5) 셀 형성 시트(382)와 신축부(380)를,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384)가 형성되어 있는 것, 6) 접합부(384)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 (382)와 신축부(380)의 층 사이에,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와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386)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도 15d 및 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380)의 수축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382)의 접합부(384) 간의 거리도 좁힐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셀 형성 시트(382)가 휘어져 파형으로 변형되고, 셀 형성 시트(382)와 신축부(380) 중 접합부(384) 이외의 부분(비접합부)이 이간되어, 환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셀(386)이 형성된다.
셀(386)은, 에어 쿠션과 같이 완충 기능을 발휘한다. 따라서, 피부에 닿는 촉감이 부드럽고, 기저귀의 웨스트 주위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착용자는 쾌적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착용자가 서 있는 자세에서 앉는 자세를 취했을 경우에는, 기저귀는 외측에서 압축되고,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습기가 셀(386)을 통과하여 외부 공간에 배출된다. 또한, 착용자가 보행을 하면, 다리의 움직임으로 기저귀의 가랑이 피포부가 변형되기 때문에, 그 변형에 의해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습기가 외부 공간에 배출되고, 이것과 교환으로 외부 공간의 공기가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 유입한다. 따라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을 쾌적한 환경으로 할 수 있다.
[2-3]신축부:
신축부는,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신축성 부직포」에는,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 이 외, 기재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고무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재)가 고착(접합 등)되어 신축성이 부여된 부직포도 포함된다.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의 엘라스틱 부직포, 엘라스토머 스판본드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하 모두 상품명으로, 스트라플렉스(이데미츠 유니테크사 제조), 에스판시오네(KB세이렌사 제조)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엘라스틱 부직포, 엘라스토머 스판본드 부직포는,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것이다.
부직포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고착되어 신축성이 부여된 부직포는, 부직포와 신축재를 적절하게 조합 접합 등에 의해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a 및 도 13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는, 신축부(381)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도 14a∼도 14c에 나타낸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399)가 배치됨과 동시에, 신축재(399)가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에 대해서 고착되어 복수의 부직포 시트(397, 398) 및 신축재(399)가 일체적으로 거동 하는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직포와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 하는 신축성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으로, 특허 문헌 1∼5의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는 달리, 신축재가 시트 폭 이상으로 신장하는 것이 없어진다. 또, 신축재가 이상적인 신장률을 넘어 과도하게 신장하지 않는다.
또, 신축성 부직포는, 신축성 필름이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부직포 시트 및 신축성 필름이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신축성 부직포도,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를 고정한 구조의 신축성 부직포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이 형태의 신축성 부직포는, 신축성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부직포 시트가 고정된다. 신축성 필름의 쌍방 면에 부직포 시트가 고정되고 있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는, 부직포의 층간에 선 형태의 신축재를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반드시 독립한 신축성 부직포를 배치하여 신축부를 구성할 필요는 없고,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의 구조의 일부를 신축성 부직포로서 이용하여 신축부를 구성해도 된다.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는, 전 외장체(62)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3)의 접힘부(88)와 누름 시트(68)와의 층간, 후 외장체(65)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6)의 접힘부(88)와 누름 시트(68)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웨스트 신축재(4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웨스트 신축재(42)는 접힘부(88) 및 누름 시트(68)에 대해서 고착되어 있다. 즉, 접힘부(88), 누름 시트(68) 및 웨스트 신축재(42)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80))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 도 20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는, 입체 개더(26; 3D gather)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2)의 기부(基部)와 접힘부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입체 개더 신축재(36)는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힘부에 대해서 고착되어 있다. 즉, 부직포 시트(32)의 기부, 접힌 부분 및 입체 개더 신축재(3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280))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C)는, 입체 개더(327)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33)와 부직포 시트(334)의 기부(379)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37)가 배치되어 있다. 입체 개더 신축재(337)는 부직포 시트(333), 기부(379)에 대해서 고착되어 부직포 시트(333), 기부(379) 및 입체 개더 신축재(337)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1))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입체 개더(26)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힘부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배치되어 있다. 입체 개더 신축재(36)는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힌 부분에 대해서 고착되어 부직포 시트(32)의 기부, 접힌 부분 및 입체 개더 신축재(36)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 81)가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3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는, 기저귀 본체(370)를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 시트(320)와의 층간 또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 시트(324)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340)가 배치되어 있다. 레그 신축재(340)는 사이드 시트(319), 커버 시트(320) 및 커버시트(324)에 대해서 고착되어 있다. 즉, 사이드 시트(319),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 및 레그 신축재(340)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0))가 구성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부는 전 피포부, 후 피포부 및 가랑이 피포부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에,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 및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는, 전 피포부(2)를 구성하기 전 외장체(62)의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 피포부(6)를 구성하는 후 외장체(65)에,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는, 가랑이 피포부를 구성하는 흡수성 본체(14)에, 그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는, 전 피포부(302) 및 후 피포부(306)를 구성하는 기저귀 본체(370)에, 그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즉,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381; 신축성 부직포(396))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부는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는, 가랑이 피포부를 구성하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38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가랑이 피포부를 구성하는 흡수성 본체(14)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신축부(8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0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B)나,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와 동일 구조의 신축부 (81)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은, 기저귀의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신축성 부직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는,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와 같이, 전 피포부(2)의 웨스트 단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전 외장체(62)의 웨스트 단 테두리 62c) 또는 후 피포부(6)의 웨스트 단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후 외장체(65)의 웨스트 단 테두리(65c))를 따라서 선 형태의 신축재(본 실시형태에서는 웨스트 신축재(42))를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신장·수축이 가능하도록, 신축성 부직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가장 간단한 구조로서는, 도 13b 및 도 13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b 및 도 15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라서 선 형태의 신축재(본 실시형태에서는 레그 신축재(340))를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단, 신축성 부직포가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 및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방향으로 수축하는 한, 상기 구성으로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기저귀의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서 위로 볼록 내지 아래로 볼록 커브를 그리도록 신축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에 대해서 왼쪽으로 볼록 내지 오른쪽으로 볼록한 커브를 그리도록 신축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 피포부, 후 피포부 및 가랑이 피포부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으면 된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것으로, 배설물의 새어나감을 방지하면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즉, 신축부의 형성 부위는 이미 설명한 웨스트 단 테두리 근방이나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 근방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는, 가랑이 피포부(204)를 구성하는 흡수성 본체(14)의 측 테두리를 따라서 부설된 입체 개더(26)의 상단에 선 형태의 신축재(본 실시형태에서는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배치되어 신축부(28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신축부(280)에 셀 형성 시트(282)가 접합되어 있다.
또,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피포부(2) 또는 후 피포부(6)에 더미(dummy) 신축재(44)가 배치되고 더미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 더미 신축부에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해도 된다.
또한,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와 같이, 전 피포부(2)의 가랑이 피포부(4)측의 단부에 대해 더미 신축재(44)에 의해서 형성된 신축부, 가랑이 피포부(4)의 측 테두리부에서 레그 신축재(38) 또는 입체 개더 신축재(36)에 의해서 형성된 신축부 및 가랑이 피포부(4)의 후 피포부(6)측의 단부에 대해 레그 신축재(40)에 의해서 형성된 신축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신축부에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착용자의 다리 주위를 둘러싸도록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레그 개구부로부터의 배설물의 새어 나감을 방지하면서, 레그 개구부 주위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으면 된다. 단, 그 외의 부분에 상기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그 신축부에 대해서 셀 형성 시트를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와 동일하게,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4)에 있어서의 적어도 후 피포부(6)측의 단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80)가 형성되고, 신축부(80)는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피포부(6)측의 단부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8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 형성 시트(83)가 신축부에 적층되어 셀 형성 시트(83)와 신축부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5)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가랑이 피포부(4)의 후 피포부(6)측의 단부에도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도 1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피포부(2)에 있어서의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4)측의 단부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80)가 형성되어 신축부(80)가 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4)측의 단부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83)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 형성 시트(83)가 신축부에 적층되어 셀 형성 시트(83)와 신축부가,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5)에 의해 접합됨으로써, 전 피포부(2)의 가랑이 피포부(4)측의 단부에도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9a∼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4)의 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신축부(81)와 전 피포부(2)에 있어서의 가랑이 피포부(4)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80) 및 가랑이 피포부(4)에 있어서의 후 피포부(6)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80)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를 둘러싸는 레그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 형성 시트(82, 83)가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부에 적층되어 셀 형성 시트(82, 83)와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부가, 레그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84, 85)에 의해 접합됨에 따라, 가랑이 피포부(4)의 셀 구조와 전 피포부(2) 및/또는 후 피포부(6)의 셀 구조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는 레그 신축부에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2-4]셀 형성 시트: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d 및 도 1f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와 같이 신축부(80)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82)가 배치된다. 이 셀 형성 시트(82)에 의해서, 환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셀 구조가 형성된다.
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는, 도 15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304)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382)가 배치된다. 이 셀 형성 시트(382)에 의해서, 기저귀의 레그 개구부 근방 등에 환기관, 쿠션으로서 기능하는 셀 구조가 형성된다.
「피부 당접면」은, 일회용 기저귀의 착용시에,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맞닿는 면, 즉 일회용 기저귀의 최내면을 의미한다. 「발수성 부직포」로서는, 후술하는 사이드 시트와 같은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발수성 부직포를 이용함으로써, 셀 형성 시트를 따라 배설물의 새어나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일부」는, 신축부가 형성되고 있는 부분의 피부 접합면의 전부에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지 않아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셀 형성 시트를 배치하는 부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 피포부(6)의 웨스트 단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후 외장체(65)의 웨스트 단 테두리(65c)) 근방에 셀 형성 시트(8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전 피포부(2)의 웨스트 단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전 외장체(62)의 웨스트 단 테두리(62c)) 근방에 셀 형성 시트(8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4)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 근방)에 셀 형성 시트(38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라도, 웨스트 단 테두리나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의 60% 이상을 커버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웨스트 단 테두리나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의 전부를 커버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304)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 1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본체(370)의 전체 길이(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사이의 길이)의 60% 이상을 커버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 형성 시트의 평량은 10∼50g/㎡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g/㎡ 미만으로 하면, 시트의 부피가 너무 작아서 신축재를 고정하는 접착제가 시트를 투과하여 스며드는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한편, 50g/㎡를 넘으면, 1) 시트의 강성이 너무 높아서 신축재의 수축에 연동하여 휘기 어려워지고, 셀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지며, 2) 시트의 부피가 너무 커서 신축부가 너무 높아서, 착용감이 저하하는 등의 우려가 있다.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셀 형성 시트(282),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셀 형성 시트(382), 도 18b에 나타낸 셀 형성 시트(382)는, 다른 부재로부터 독립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단, 셀 형성 시트가 독립한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80))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6)의 일부를 접힘부(88)를 형성하고, 접힘부(88)를 셀 형성 시트(82)로서 이용하고 있다. 동일하게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에서, 입체 개더(26)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2)의 일부를 접힌 부분을 형성하고, 그 접힌 부분을 셀 형성 시트로서 이용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C)에서는,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1))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34)의 일부를 접힌 부분을 형성하고, 접힌 부분을 셀 형성 시트(383)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 도 1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D)에서는, 입체 개더(327)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33)의 일부를 셀 형성 시트(383)로서 이용하고 있다. 도 18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e)에서도, 입체 개더(326, 327)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33)의 일부를 셀 형성 시트(383)로서 이용하고 있다.
도 18a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D) 및 도 18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301E)에서는, 부직포 시트(333, 333)에 접힘부(378, 379, 378, 379)를 형성하고, 접힘부(378, 379, 378, 37)9에 의해서 신축부(381, 381)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이용하고 있다.
또한, 도 12b 및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에서는, 셀 형성 시트(282)를 입체 개더(26)의 내측면에 배치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201A)의 사용시에서는, 도 12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 개더(26)는 외측으로 넘어진 형태로 착용자의 피부에 당한다. 따라서, 입체 개더(26)의 내측면에 배치된 셀 형성 시트(282)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서 접하여,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도 12f 중의 일점 긴 점선은 착용자의 좌석부를 나타낸다.
셀 형성 시트에는,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셀 형성 시트에 의해서 형성된 셀을 연통시키는 홀이 형성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는 것으로, 제1 실시 형태 및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서 홀을 경유하여 셀에 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에 습기가 결로하기 어려워진다. 또, 제2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저귀의 내부 공간에서 홀을 경유하여 셀에 습기가 유입하고, 셀을 경유하여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습기가 배출된다.
「홀」은,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셀을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의미하고,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원형, 타원형,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등) 등의 형상을 들 수 있다.
또한, 「홀(hole)」에는 상시 개구하고 있는 것뿐 아니라 개폐 가능한 구조의 것도 포함된다. 예를 들면 셀 형성 시트에 궤적이 볼록 형상의 슬릿 또는 교차하는 복수 라인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변으로서 기능하는 설편을 갖는 홀로 할 수 있다. 상기 설편에 의해, 셀에 뇨(尿)나 체액이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면서, 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슬릿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궤적이 볼록 형상의 슬릿」으로서는, a) 만곡부를 갖는 슬릿(역U자 모양 슬릿 등), b) 굴곡부를 갖는 슬릿(역V자 모양 슬릿 등) 등을 들 수 있다. 또, 「교차하는 복수 라인의 슬릿」으로서는, c) 2 개의 슬릿을 교차시켜 형성한 십자 형태의 슬릿, d) 3개의 슬릿을 교차시켜 형성한 별 형태의 슬릿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홀은, 셀 형성 시트 중 셀이 형성되는 부위(즉, 접합부 사이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가 접힘부(88)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경우, 또는 도 1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 301 C와 같이 셀 형성 시트(383)가 부직포 시트(334)의 접힘부에 의해 형성된 것인 경우에는, 접힌 부분의 선단부 근방에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보다 다시 접힌 부분의 선단 집합의 부분이 신축부에 대해서 접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신축부의 수축에 의해서 홀이 강제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는 강제적으로 개방된 홀이 셀의 단부 개구가 된다. 따라서, 기저귀 내부 공간의 습기는, 강제적으로 개방된 홀에서부터 셀의 내부에 유입하여 셀을 통과하고, 즉시 접힘선의 부분(도 1d의 예에서는 웨스트 단 테두리(62c, 65 c), 도 17c의 예에서는 입체 개더(327)의 상단 테두리)에서 셀 형성 시트를 투과하여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배출된다. 이러한 구성은 단지 셀 형성 시트에 홀을 형성한 구조와 비교하여 습기가 셀에 유입하기 쉽고, 습기를 기저귀 외부에 배출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셀 형성 시트에는 홀을 복수 형성해도 된다. 홀을 복수 형성함으로써, 환기성이 향상되어 습기를 기저귀 외부에 배출하기 쉬워진다.
「복수」의 구체적인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홀의 개구면적에 따라서 다르다. 개구면적이 0.5∼10 m㎡의 홀이라면 5∼200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100개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5개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환기성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200개 이하로 하는 것으로 뇨나 체액이 셀에 유입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셀 형성 시트에 약제를 부착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의 하나이다. 약제를 부착시키는 것으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셀 형성 시트에 상기 약품에 근거하는 약효를 부여할 수 있다.
약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보습제(알로에 엑기스, 프로필렌 글리콜 등 ); 보습 효과를 갖는 것에 더하여 우레아제 저해 활성을 갖는 피부 케어용 첨가물(유칼리 추출물 등); 외, 소독제, 항균제(에데트초산, 염화 벤잘코늄 등 ), 소취제(각종 폴리페놀 화합물 등) 등을 들 수 있다.
[2-5]셀: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도 1d 및 도 1f, 도 15d 및 도 1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 382)와 신축부(80, 380)를 접합하는 접합부(84, 384)가 형성되어 있다. 접합부(84, 384)는, 셀 형성 시트(82, 382)와 신축부(80, 380)를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고 있다. 또한, 접합부(84, 384)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82, 382)와 신축부(80, 380)의 층간에, 신축부(80, 380)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86, 38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에서는, 신축부(80, 380)의 수축에 추종하여 셀 형성 시트(82, 382) 및 신축부(80, 380)의 접합부(84, 384) 사이의 거리도 좁힐 수 있어 셀(86, 386)이 형성된다. 이 셀(86, 386)에 의해 기저귀의 환기성·유연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구조라면, 특허 문헌 1∼5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같이 신축재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트끼리를 접합하는 등의 정밀한 접합 기술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셀을 확실히 형성하기 위해서는, 자연 상태(신축부에 신장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상태)의 신축성 부직포에 대해, 셀 형성 시트가 느슨함을 갖는 상태로 접합된 구조가 바람직하다. 즉, 자연 상태에 있어서의 접합부 사이 거리가, 신축성 부직포보다 셀 형성 시트가 길어지고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셀 형성 시트에 의해서 신축부의 신장을 방해하기는 어렵다. 또, 자연 상태에 대해 셀이 확실히 형성된다.
상기 구조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엘라스틱 부직포 등의 부직포 자체가 신축성을 갖는 신축성 부직포는, 자연 상태(장력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원 크기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서 신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신축성 부직포를 원 치수보다 신장시킨 상태로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배치된 신축성 부직포는, 자연 상태에서 원 치수보다 수축된 상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서 신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신축성 부직포를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시킨 상태로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가 배치된 신축성 부직포에 의해서 신축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신축성 부직포의 구성 재료가 되는 부직포 시트와 셀 형성 시트를 적층하여, 접합하는 것에 의해서 미리 셀을 형성해 둔다. 그 후, 상기 셀 형성 시트가 접합된 부직포 시트와 다른 부직포 시트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신축재를 배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신축성 부직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에서는, 수축력이 작용하지 않는 부직포 시트에 대해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한다. 따라서, 신축성 부직포에 대해서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셀 형성 시트를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신축성 부직포에 대해서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는 경우, 신축성 부직포를 신장시킨 상태로 접합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셀 형성 시트를 소망한 상태에 접합하지 못하고, 셀 형성 시트에 주름이 생기거나 또는 접합을 위한 장치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신축부와 셀 형성 시트의 접합은, 신축부를 구성하는 신축성 부직포의 표면과 셀 형성 시트가 접합되는 것으로 실시된다. 즉, 부직포 시트의 층 사이에 배치되는 신축재나 신축성 필름과 셀 형성 시트가 직접 접합되지 않는다.
신축성 부직포와 셀 형성 시트와의 접합은,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한 용착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핫 멜트(hot melt) 접착제, 그 외의 유동성의 높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용착의 방법으로서는 히트 씰 등을 들 수 있다.
「간헐적」은, 접합부가 비연속적 내지 단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접합 상태에서는, 접합부에서는 신축부와 셀 형성 시트가 일체 불가분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비접합부에서는 신축부와 셀 형성 시트가 서로 구속되지 않고, 자유롭게 이간 가능한 상태가 되고 있다. 또한, 「간헐적」이란 신축부의 수축 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이면 된다.
[2-5A]제1 실시 형태의 셀 구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1d 및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86)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이다. 셀(86)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셀(86)의 내부 공간을 타 배설물이 새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고, 또한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을 형성가능한 한, 접합부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합부는 신축부의 수축 방향에 대해서 간헐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도 1f 및 도 2a에 나타낸 접합부(84), 도 7a에 나타낸 접합부(84D), 도 8a에 나타낸 접합부(84E), 도 9a에 나타낸 접합부(84 F)와 같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 도 4a에 나타낸 접합부(84A), 도 5a에 나타낸 접합부(84B), 도 6a에 나타낸 접합부(84C)와 같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파선 형태로 하는 형태라고 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셀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접합부끼리의 간격은 2∼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0㎜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도 1 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신축부(80;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누름 시트(68)에 대해, 셀 형성 시트(82)가 되는 아우터 시트(63, 66)의 접힘부(88)가 접합되어 있다(접합부(84)). 도 2a는 도 1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의 접합부(84)의 형태를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84)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접합부(84)는 신축부(80)의 수축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셀(86)은 모두 평면에서 본 형상이 삼각형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셀로서 도 2a 및 도 2c에 나타낸,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웨스트 단 테두리(65c)측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분의 단부가 폐색된 셀(86)(외향 셀)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분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폐색된 셀(86)(내향 셀)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a∼도 2c에 나타낸 예에서는, 복수의 셀(86)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습기 등이 기저귀의 전후방향으로 향해 흐르기 쉽고, 기저귀의 내부 공간으로부터의 습기 등의 배기를 촉진할 수 있다. 또, 착용자 웨스트 주위의 곡선적인 형상에 기저귀를 추종하기 쉽고, 피트성, 착용감에도 뛰어나다.
또, 이 셀 열은, 외향 셀과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외향 셀에 기저귀의 외부 공간의 공기가 들어감과 동시에, 내향 셀에 기저귀의 내부 공간의 습기가 들어간다. 따라서, 인접하는 외향 셀과 내향 셀의 사이에 상기 공기와 상기 습기가 교환되어 상기 습기의 배기가 촉진된다. 또한, 도 2a에 나타낸 예는, 지그재그 형태의 접합부(84)에 의해서, 외향 셀과 내향 셀을 교대로 구획 형성한 것이다.
도 2a에 나타낸 접합부(84)는 연속적인 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단, 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의 집합체로서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형태는, 촉감이 딱딱해지기 쉬운 접합부가 피부에 닿아도 통증을 느끼기 어렵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복수의 도트 형태 접합부가 「집합체」라고 파악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도트 형태 접합부와의 간격이 5㎜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도트 형태 접합부의 형상으로서는 원형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형태는, 1) 접합부(84)에 의해서, 복수의 셀(86)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고 있는 점, 2) 셀 열에 외향 셀과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또한,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의 웨스트 단 테두리(65c) 근방에 슬릿(89)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2a∼도 2 c에 나타낸 형태와는 다르다. 슬릿(89)을 형성하는 것으로 외향 셀의 개구부를 웨스트 단 테두리(65c)측에 노출할 수 있어 환기성, 제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a∼도 4c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A)로서 부직포 시트(69)를 이용하고, 1) 접합부(84A)에 의해서, 복수의 셀(86A)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고 있는 점, 2) 셀 열에는 외향 셀과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단, 도 4a∼도 4c에 나타낸 형태는, 접합부(84A)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하는 파선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A)로서 부직포 시트 69를 이용하고, 1) 접합부(84B)에 의해서, 복수의 셀(86B)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고 있는 점에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단,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는,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는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는 다르다. 또, 웨스트 단 테두리(65c)에 가까운 셀 열(도면 위쪽의 셀 열)은 외향 셀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웨스트 단 테두리(65c)로부터 먼 셀 열(도면 하부의 셀 열)은 내향 셀이 병렬적으로 배치된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비교하면, 셀 열이 다단으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셀이 착용자의 동작에 추종하여 변형하기 쉽다. 즉, 유연성이나 피트성이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는, 접합부(84 B)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U자형이 연속하도록 배치된 파선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도 6a∼도 6c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B)로서 아우터 시트(66)의 접힘부(88), 셀 형성 시트(82C)로서 부직포 시트(67)를 이용하고, 1)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는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점, 2) 접합부(84C)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U자형이 연속하도록 배치된 파선 형태로 형성되고 있는 점에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단, 도 6a∼도 6c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모든 셀 열에 대해 내향 셀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 6a∼도 6c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하나의 셀 열(도면 아래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C)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C) 중 신축부(80)의 수축 방향(도면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과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도면 위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C)를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C)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나의 셀 열(도면 아래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C)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C) 중 상기 교차 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의 연장선이,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C)을 통과하도록,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다.
신축부(80)의 수축에 의해서 셀(86C)이 융기 하면, 접합부(84C)의 부분은 골짜기부가 되어, 그 골짜기부를 타고 배설물이 샐 우려가 있다. 그러나 도 6a∼도 6c에 나타낸 형태는, 다단에 형성된 셀 열의 골짜기부가 연속하지 않도록, 접합부(84C)의 위치가 어긋나고 있다. 따라서, 골짜기부를 타고 배설물의 새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 또, 도면 위쪽의 셀 열에 대해 내향 셀이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도면 아래쪽의 셀 열의 접합부(84C)를 탄 배설물을 도면 위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내향 셀이 포착할 수 있어 새어나감 방지 효과가 뛰어난다.
도 7a∼도 7c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C)로서 부직포 시트(67)를 이용하여 1) 접합부(84D)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 2) 복수의 셀(86D)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어 있는 점, 3) 셀 열은, 외향 셀과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된 것인 점에서,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2a∼도 2c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또, 도 7a∼도 7c에 나타낸 형태는,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는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도 5 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또한, 도 7a∼도 7c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각각의 셀 열에 대응하는 독립한 셀 형성 시트(82C)를 2장 구비하고 있다. 즉, 아우터 시트(66)의 접힘부(88)를 셀 형성 시트로서 이용하고 있지 않다. 독립한 셀 형성 시트(82C)를 구비함으로써, 모든 셀(86D)이 기저귀의 내부 공간, 웨스트 단 테두리(65c)를 향해 노출된다.
도 8a∼도 8c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C)로서 부직포 시트(67)를 이용해 1) 접합부(84E)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점, 2) 복수의 셀(86E)이 신축부(80)의 수축 방향을 향해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어 있는 점, 3) 셀 열은, 외향 셀과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된 것인 점, 4) 신축부(80)의 수축 방향과는 교차하는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본 실시형태에서는 2단)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점, 5) 각각의 셀 열에 대응하는 셀 형성 시트(82A, 82B)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도 7a∼도 7c에 나타낸 형태와 공통된다. 따라서, 이 형태로부터 발생하는 효과는 도 7a∼도 7c에 나타낸 형태와 같다.
단, 도 8a∼도 8c에 나타낸 형태에서는, 하나의 셀 열(도면 아래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E)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E) 중 신축부(80)의 수축 방향(도면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과,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도면 위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E)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E)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하나의 셀 열(도면 아래쪽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E)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84E) 중 상기 교차 방향(도면 상하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의 연장선이,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86E)을 통과하도록,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a∼도 6c에 나타낸 형태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도 9에 나타낸 형태는, 도 8a∼도 8c에 나타낸 형태와 같은 형태로 셀 열을 2단에서 3단으로 증가시킨 것이다. 이 형태에서는 셀 형성 시트(82D)로서 각각의 셀 열에 대응하는 독립한 부직포 시트(71)를 3매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 접합부(84F)에 의해서 복수의 셀(86F)이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는 도 8a∼도 8c의 형태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셀 열을 3단으로 한 것에 의해서, 도 8a∼도 8c에 나타낸 형태와 비교하여 유연성이나 피트성이 더욱 향상한다.
도 10a 또는 도 10b에 나타낸 형태는 도 8a∼도 8c에 나타낸 형태와 같은 형태로 셀 형성 시트(82E, 82F)의 형태만이 다른 것이다. 도 10a 또는 도 10b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E, 82F)로서 부직포 시트(73, 75)를 이용하여 그 셀 개 구단 측 단부를 복층 구조로 한 것이다. 복층 구조로 하는 것으로 셀 형성 시트(82E, 82F)의 허리를 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체압으로 셀(86E)이 압축되어도 셀 개구부가 무너지기 어렵고, 셀(86E)을 개구 상태인 채로 유지하기 쉬워진다.
또, 도 10a 또는 도 10b에 나타낸 형태는, 셀 형성 시트(82E, 82F)의 셀 비개구 단측 단부도 복층 구조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라면 셀 형성 시트(82E, 82 F)가 셀 비개구 단측 단부측에서 일어서기 쉬워져, 셀(86E)을 개구 상태인 채 유지하는 것이 쉬워진다.
또한, 셀 개구 단측 단부를 복층 구조로 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E)의 단부를 아래쪽으로 접어서 복층 구조를 형성해도 좋고,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F)를 위쪽으로 접어 복층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또, 셀 형성 시트에 별체의 시트를 맞붙여 복층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2-5B]제2 실시 형태의 셀 구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 15d 및 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382)와 신축부(380)를,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384)가 형성되어 접합부(384)에 의해서, 셀 형성 시트(382)와 신축부(380)의 층간에,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와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386)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하는 것으로, 신축부(380)의 수축에 추종하여 셀 형성 시트(382)의 접합부(384)간 거리도 좁혀지고,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부에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셀(386)이 형성된다. 이 셀(386)에 의해 기저귀의 환기성·유연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구조라면, 특허 문헌 1∼5에 기재된 팬츠형 흡수성 물품과 같이 신축재의 위치를 고려하여 시트끼리를 접합하는 등의 정밀한 접합 기술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셀 형성 시트나 신축부에 있어서의 하나의 접합부와 다른 접합부와의 틈(간격)부가 수축하여 셀을 형성한다. 따라서, 접합부끼리의 간격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2∼5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0㎜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접합부가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을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접합부는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효과적인 셀을 형성할 수 있고 촉감에도 뛰어나다. 예를 들면,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신축부의 수축 방향에 대해서 규칙적인 간격으로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 등을 들 수 있다.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에서는 신축부(380)(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32(사이드 시트(319))에 대해, 셀 형성 시트(382)가 접합되어 있다(접합부(384)). 도 15f는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의 접합부(384)의 형태를 확대하고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며, 일회용 기저귀(301B)로부터 셀 형성 시트(382)를 박리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384)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39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 형태 접합부 (390)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룰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390)의 각각은, 복수의 도트 형상 접합부(392)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일렬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15f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 형태 접합부(390)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배향하고 있다. 따라서,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배향시켰을 경우와 비교하여 습기 등이 상기 전후방향을 향해 흐르기 쉽고,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 측에서의 습기 등의 배기를 촉진할 수 있다. 또, 착용자의 다리 주위의 곡선적인 형상으로 기저귀를 추종하기 쉽고, 피트성, 착용감에도 뛰어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선 형태」라고 할 때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늘어나는 형상을 넓게 포함하는 것으로 하며, 이른바 선 형태의 이외, 띠 모양, 직사각형 등의 형상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복수의 도트 형상 접합부가 「집합체」라고 파악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도트 형상 접합부와의 간격이 5㎜ 이하인 것을 필요로 한다.
또, 도 16a에 나타낸 형태는, 도 15f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접합부(384A)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 접합부(390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 형태 접합부(390A)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390A)가 원형 모양의 도트 형상 접합부(392A)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5f에 나타낸 형태의 효과에 더하여, 촉감이 딱딱해지기 쉬운 접합부(384A)가 피부에 닿아도 통증이 있기 어렵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 도 16b에 나타낸 형태도, 도 15f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접합부(384B)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선 형태상 접합부(390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선 형태 접합부 (390B)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 형태 접합부(390B)의 각각은, 복수의 도트 형상 접합부(392B)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n행,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를 따르는 방향으로 m열로, n<m를 만족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형태이다. 이 형태는 「n<m」로 하는 것으로, 각각의 선 형태 접합부(390B)에 대해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비교하여 몸통 주위 방향으로, 더욱 많은 도트 형상 접합부(392B)를 배치하고,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보다 몸통 주위 방향이 긴 선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도 16b에 나타낸 예에서는, 선 형태 접합부(390B)가 원형 모양의 도트 형상 접합부(392B)의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그 도트 형상 접합부(392B)가 2행 5열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집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태에서는, 폭 1∼4㎜×길이 2∼80㎜의 선 형태 접합부를, 길이 방향으로 1∼30개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선 형태 접합부는 1개당 면적이 1∼4 m㎡의 도트 형상 접합부를 폭 방향으로 0.5∼5㎜ 간격, 길이 방향으로 0.5∼3㎜ 간격으로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한 집합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a 및 도 16b에서는, 선 형태 접합부를 도트 형상 접합부의 집합체로서 형성한 예로 설명하였다. 단, 도 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한,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384C)인 것도 바람직하다(선 형태 접합부(390C)). 도 16c에 나타낸 형태도, 도 15f에 나타낸 형태와 신축부의 구성이 동일하고,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것이다.
그 중에서도, 접합부(384C)와 같이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370a))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셀이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나란한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서는 셀이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에서,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이어 통한다. 따라서, 충분한 환기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형태에서는, 접합부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늘어나는 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의 측 테두리 (370a)) 측에서의 습기 등의 배기가 촉진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동일한 사상으로부터,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복수의 접합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그 복수의 접합부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하는 일직선상에 타도록 일렬로 정렬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낸 형태). 이와 같이 접합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는 직선적인 셀을 형성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구조는, 형성되는 셀이 무너지기 어려워져, 환기성을 향상시켜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셀 형성 시트와 신축부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과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의 양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고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도트 형상 접합부가 물떼새 형태로 배치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에서도, 신축부의 수축에 추종하여 셀 형성 시트가 휘어져, 기저귀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셀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효과인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부의 환기성, 유연성을 얻을 수 있다.
[2-6]적용 개소: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셀 구조를 형성시키는 부위에 대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의 측 테두리부에 셀 구조를 형성시킨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부위에 적용할 수 있다.
[2-6A]웨스트 신축재 배치부:
웨스트 신축재의 배치부는,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웨스트 신축재가 고정되어 신축성 부직포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웨스트 신축재는 전 피포부 또는 후 피포부의 웨스트 단 테두리에 따라 배치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웨스트 신축재 배치부에 셀 형성 시트를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웨스트 신축재 배치부에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는, 아우터 시트(63, 66)의 접힘부(88)와 누름 시트(68)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웨스트 신축재(42)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80))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80)는 전 피 포부 (2) 또는 후 피포부(6)의 웨스트 단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전 외장체(62)의 웨스트 단 테두리(62c), 후 외장체(65)의 웨스트 단 테두리(65c)) 근방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80)에 셀 형성 시트(82)를 접합하고 있다(접합부(84)).
[2-6B]레그 신축재 배치부:
레그 신축재의 배치부는,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가 고정되어 신축성 부직포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레그 신축재는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레그 신축재 배치부에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함으로써, 레그 신축재 배치부에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시트(324)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340)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0))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380)는 입체 개더(326)의 고정단(하단)과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380)에 셀 형성 시트(382)를 접합하고 있다(접합부(384)).
또,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시트(324)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340)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0))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380)는 입체 개더(326)의 고정단(하단)과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와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380)에 셀 형성 시트(382)를 간헐적으로 접합한 예이다(접합부(384)). 도 17c에 나타낸 접합부(384), 도 18a에 나타낸 접합부(384), 도 18b에 나타낸 접합부(384)도 같은 형태이다.
또한,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부직포 시트(32)끼리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38)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80))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80)는 입체 개더(26)의 고정단(하단)과 가랑이 피포부(4)의 측 테두리(흡수성 본체(14)의 측 테두리)와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80)에 셀 형성 시트(82)를 간헐적으로 접합한 예이다(접합부(84)).
[2-6C]입체 개더 신축재 배치부:
입체 개더의 배치부는,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가 고정되어 신축성 부직포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입체 개더는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많다. 따라서, 입체 개더 신축재 배치부에 셀 형성 시트를 간헐적으로 접합함으로써 입체 개더 신축재 배치부에 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는, 부직포 시트(32)의 일부에 의해서 입체 개더(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힘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280))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280)는 입체 개더(26)의 고정단(하단)과 자유단(상단)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280)에 셀 형성 시트(282)를 접합하고 있다(접합부 284).
또,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부직포 시트(32)의 일부에 의해서 입체 개더(26)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힘부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 81)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81)는 입체 개더(26)의 고정단(하단)과 자유단(상단)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 81에 셀 형성 시트(82)를 간헐적으로 접합한 예이다(접합부(84)).
또한, 도 1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C)는, 부직포 시트(333)의 일부에 의해서 입체 개더(327)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부직포 시트(333)와 부직포 시트(334)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37)가 고정된 신축성 부직포(신축부(381))의 구조를 갖는다. 즉, 신축부(381)는, 입체 개더(327)의 고정단(하단)과 자유단(상단)과의 사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신축부(381)에 셀 형성 시트(383)를 간헐적으로 접합한 예이다(접합부 385). 도 18a에 나타낸 접합부 (385), 도 18b에 나타낸 접합부(385)도 같은 형태이다.
또한, 도 17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C)에서는, 입체 개더(327)에만 셀 형성 시트(383)를 접합하고, 입체 개더(326; 입체 개더 신축재(336)의 배치부)에는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하고 있지 않다. 단, 입체 개더(326; 입체 개더 신축재 (336)의 배치부)에 셀 형성 시트를 접합해도 된다.
[2-7]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제1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는, 예를 들면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도 11a는 도 1a∼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를 제조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이 도면은 작도상의 상황에 의해 하나의 팬츠형 기저귀의 후 피포부에 있어서의 웨스트 단 테두리 근방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각 공정을 도 11a에 나타낸 구조 단위의 폭 방향 중앙에서 절단한 절단 단면을 모식적 나타낸 개략 단면도이다.
우선, 도 11a 및 도 11b의 (a)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로 이루어진 아우터 시트(66)와 신축부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가 되는 누름 시트(68)를 준비한다. 아우터 시트(66)에는, 미리 그 일부(노출부(78))가 노출하도록 이너 시트(64; inner sheet)를 접합해 둔다. 이 접합은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실시한다.
이어서, 도 11a 및 도 11b의 (b)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접힘부(88)에 누름 시트(68)를 접합하고 접합부(84)를 형성한다. 이때, 아우터 시트(66)의 단 테두리로부터 누름 시트(68)가 초과하도록 접합을 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히트 씰(heat seal)에 의해 접합부(8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접합부(84)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한다.
또한, 도 11a 및 도 11b의 (c)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한다. 이것에 아울러 흡수성 본체(14)를 부설한다. 웨스트 신축재(42)를 사이에 두는 노출부(78)와 누름 시트(68)는 연속면에서 접착한다.
웨스트 신축재(42)의 접착은, 1) 신축부(80)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에 핫 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공하고, 그 도공 부분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하는 방법, 2) 웨스트 신축재(42)에 직접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 내지 스프레이 하고, 상기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접착하는 방법, 3)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의 상부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로 핫 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 하여,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와 웨스트 신축재(42)의 쌍방에 핫 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4)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의 표면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에서 핫 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 내지 연속적으로 도공하고, 노출부(78) 또는 누름 시트(68)와 웨스트 신축재(42)의 쌍방에 핫 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속적으로 도공」에는 접착제를 전면에 전부 바르고 또는 전면에 스프레이 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스파이럴 형태로 도공하는 형태 등도 포함한다. 즉,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형태라면 된다. 상기 1)∼4)의 어느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서도,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신축부(80)를 구성하는 노출부(78)와 누름 시트(68)와의 층간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전후방향으로 향하는 연속적인 공간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누름 시트(68)와 셀 형성 시트(82)(접힘부(88))와의 층간에는 상기 셀이 형성되어 이 셀에 의해서 환기성, 유연성이 향상한다.
마지막으로, 도 11a 및 도 11b의 (d)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우터 시트(66)의 접힘부(88) 및 아우터 시트(66)에 대해서 접합된 누름 시트(68)를 웨스트 단 테두리(65c)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접어 아우터 시트(66)의 노출부(78)에 대해서 중첩한다. 그 후, 누름 시트(68)의 일부에서 흡수성 본체(14)의 일부를 피복하도록, 누름 시트(68)를 핫 멜트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웨스트 신축재(42)를 사이에 둔 신축부(80)가 형성된다.
상기의 일련의 공정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길이가 긴 시트재를 롤러로부터 연속적으로 송출하는 등의 방법·장치를 채용하는 것으로, 다수의 일회용 기저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긴 시트재, 긴 신축재를 도면 좌우 방향으로 내보내도록 하여, 도시된 구조 단위가 도면 좌우 방향으로 복수 반복해지도록 연속시킨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8]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제2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는, 예를 들면 가랑이 피포부의 피부 당접면을 구성하는 부재에 대해서 셀 형성 시트를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도 15a∼도 15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를 제조하는 경우의 예에 의해 설명한다.
[2-8A]셀 형성 시트의 접합:
부직포 시트(332)의 하나의 측 테두리부(입체 개더(326)가 되는 측의 측 테두리부)를 접어서, 기부와 접힘부 사이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36)를 사이에 두고,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하고 입체 개더(326)를 형성한다. 또한, 부직포 시트(332)의 다른 측 테두리부(사이드 시트(319)가 되는 측의 측 테두리부)에 셀 형성 시트(382)를 접합하여 접합부(384)를 형성한다. 도시의 예에서는 히드 씰에 의해 접합부(384)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일회용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도면 좌우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기저귀의 전후방향(도면 상하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부(384)를 형성하고 있다.
[2-8B]톱 시트 복합체의 형성:
셀 형성 시트(382)가 간헐적으로 접합된 부직포 시트(332)의 상기 다른 측 테두리부에는,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전 사이드 플랩(372) 및 후 사이드 플랩 374를 붙여 맞춘다. 후 사이드 플랩(374)의 측 테두리부에는 히트 씰 등에 의해 지착 테이프(311)를 접합한다. 이 구조체를 「톱 시트 복합체」라고 칭한다.
[2-8C]백 시트 복합체의 형성: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커버 시트(324)의 폭 방향 중앙부에, 커버 시트(320)를 맞붙여서 다시 커버 시트(320)에 웨스트 신축재(342)를 맞붙인 구조체를 형성한다. 이 구조체를 「백 시트 복합체」라고 칭한다.
[2-8D]흡수체 복합체의 형성:
흡수체(322)가 도시되지 않는 상 티슈(upper tissue) 및 하(lower) 티슈에 의해 피포한다. 이 구조체를 「흡수체 복합체」라고 칭한다. 상 티슈 및 하 티슈의 배치는, 예를 들면 도 19c 및 도 19d에 나타낸 흡수체(22), 상 티슈(54) 및 하 티슈(56)와 동일 배치로 하면 좋다.
[2-8E]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상기 백 시트 복합체의 폭 방향 중앙부에, 상기 흡수체 복합체를 배치하고, 상기 백 시트 복합체의 폭 방향 측 테두리부에, 신장 상태의 레그 신축재(340)를 배치한다. 이때, 상기 흡수체 복합체 및 상기 흡수체 복합체를 고정하기 위한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도공 해 둔다.
레그 신축재(340)의 접착은, 1)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 또는 사이드 시트(319)에 핫 멜트 접착제를 연속적으로 도공하고, 그 도공 부분에 레그 신축재 (340)를 신장 상태로 배치하여 접착하는 방법, 2) 레그 신축재(340)에 직접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 내지 스프레이하고, 상기 레그 신축재(340)를 신장 상태로 접착하는 방법, 3)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의 상부에, 레그 신축재(340)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로 핫 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하고,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와 레그 신축재(340)의 쌍방으로 핫 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4)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의 표면에, 레그 신축재(340)를 신장 상태로 배치해 두고, 그 상태로 핫 멜트 접착제를 스프레이 내지 연속적으로 도공하여,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와 레그 신축재(340)의 쌍방으로 핫 멜트 접착제를 부착시켜서 접착하는 방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레그 신축재(340)를 사이에 두는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와 사이드 시트(319)는 연속면에서 접착된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의 「연속적으로 도공」에는 접착제를 부직포 시트의 전면에 전부 바르고 또는 전면에 스프레이 하는 형태뿐만 아니라, 스파이럴 형태로 도공하는 형태 등도 포함한다. 상기 1)∼4)의 어느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서도,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접합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신축부(380)를 구성하는 커버 시트(320), 커버시트(324)와 사이드 시트(319)와의 층간에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하는 연속적인 셀은 형성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이드 시트(319)와 셀 형성 시트(382)와의 층간에는 상기 셀이 형성된다.
상기 흡수체 복합체 및 레그 신축재(340)가 배치된 백 시트 복합체에 대해서 상기 톱 시트 복합체를 맞붙인다. 이것에 의해, 흡수체 복합체, 레그 신축재(340)가 톱 시트 복합체와 백 시트 복합체의 층간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일회용 기저귀(301B)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에서, 상기 1)의 접착 방법은, 슬릿 코터(심 코터), 커텐 스프레이, 스파이럴 스프레이, 오메가 코트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2)의 접착 방법은, 콤건(comb gun), 오메가 코트(Omega Coating), 슈어랩(sure wrap)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3) 및 4)의 접착 방법은, 오메가 코트, 서미트(Summit) 등의 방법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오메가 코트는, 예를 들면 오메가 노즐 헤드(ITW 다이나테크사 제조)를 이용하는 것으로, 서미트는, 서미트 노즐(노드손사 제조), 슈어랩은, 슈어랩노즐(노드손사 제조)을 이용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3]일회용 기저귀의 구성 부재: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와 같이, 적어도 흡수체(22, 322)를 구비한다. 그리고 통상은, 흡수체(22, 322) 외에, 톱 시트(18, 318), 백 시트(20, 320) 등을 구성 부재로서 구비한다. 또, 목적에 따라, 입체 개더, 각종 신축재 등의 다른 구성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3-1]흡수체:
「흡수체」는, 흡수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 구조체이다. 착용자의 뇨 등을 흡수해 보관 유지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상기 흡수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플f플록 펄프(flocked pulp) 고흡수성 폴리머(Super Absorbent Polymer;이하, 「SAP」라고 기재함), 친수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플록 펄프로서는 목재 펄프나 비목재 펄프를 면상에 해섬한 것 등을, 상기 SAP로서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등을, 상기 친수성 시트로서는 티슈, 흡수지, 친수화 처리를 한 부직포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로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흡수성 재료를 매트 형태로 성형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트는 단층이거나 복층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플록 펄프 100 질량부에 대해서, 10∼500 질량부의 SAP를 병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SAP는 플록 펄프 매트 중에 혼재시켜도 되고, 복수의 플록 펄프의 층간에 층상에 배치하여 이용해도 된다.
또한, SAP의 탈락을 방지하고 형상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흡수체 전체를 상기 친수성 시트에 의해서 피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22)는, 친수성 시트인 상 티슈(54) 및 하 티슈(56)에 의해서 흡수체(22) 전체가 피포되고 있다. 도 13b, 도 15b에 나타낸 흡수체(322)도 같은 구조이다. 즉, 도시되지 않는 상 티슈 및 하 티슈에 의해서 흡수체(322) 전체가 피포되고 있다.
「흡수체」는, 목적에 따라 구형 모양, 모래시계형 등의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이용하면 좋다. 예를 들면,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체(22), 도 15b 나타낸 흡수체(322)는 구형 모양의 흡수체를 이용한 예이다. 또한,「흡수체」는, 통상,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흡수체(22), 도 15b에 나타낸 흡수체(322)와 같이, 그 표면측을 톱 시트(18, 318)에 의해서 피복됨과 동시에, 그 이면측을 백 시트(20, 320)에 의해서 피복된다. 즉, 흡수체(22, 322)는 톱 시트(18, 318)와 백 시트(20, 3200의 층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2]톱 시트:
「톱 시트」는, 흡수체의 표면(기저귀의 장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시트이다. 착용자의 뇨 등을 투과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적어도 일부(전부 또는 일부)가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액투과성 재료로서는, 직포, 부직포, 다공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지방족 폴리아미드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친수화 처리를 가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로서는, 에어스루(카드 열풍), 카드 엠보스 등의 제법에 따라 제조된 부직포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친수화 처리는, 부직포의 원면에 대해서 계면활성제를 도포, 스프레이, 함침 등을 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톱 시트는 「적어도 일부」가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평면시 했을 경우에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배치 위치와 중첩하는 부분이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자의 피부와 대향하는 측의 면 모두가 톱 시트에 의해서 커버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는, 도 13a∼도 13c, 도 15a∼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부에만 액투과성 재료로 이루어진 톱 시트(318)를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측 테두리부에는 환기 발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사이드 시트(319)를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상기 환기 발수성 재료로서는, 카드 엠보스, 스판본드 등의 제법에 의해 얻어진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방수성이 높은 SMS, SMMS 등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3]백 시트:
백 시트는 흡수체의 이면(기저귀의 장착시에 착용자의 피부와 배향하는 측의 면)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는 시트이다. 백 시트는 착용자의 뇨가 기저귀 외부에 누설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액불투과성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백 시트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흡수체에 흡수된 뇨의 새어 나감을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적어도 흡수체의 배치 위치를 커버하도록 백 시트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불투과성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액불투과성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미다공성 폴리에틸렌 필름은 0.1∼수㎛의 미세한 홀이 다수 형성된 필름이며, 액불투과성이지만 투습성을 갖는다. 따라서, 방루성을 확보하면서, 기저귀 내부 공간의 뭉크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도 13b∼도 13d, 도 15b∼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 시트(320)의 외표면측에 커버시트(324)를 맞붙이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이 커버시트(324)는, 커버 시트(320)를 보강하여, 커버 시트(320)의 감촉(촉감)을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커버 시트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직포,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진 건식 부직포, 습식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4]입체 개더:
「입체 개더」는, 기저귀의 피부 접합면에 배치된, 입체적으로 기립하는 방루벽이다.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서 당접시켜서, 레그 신축재와 어울려서 배설물의 측면 누락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이용된다. 도 1c, 도 19c에 나타낸 입체 개더(26)와 같이, 부직포 시트(32)에 의해서 구성되어 부직포 시트(32)의 층간에 신장 상태의 입체 개더 신축재(36)가 끼워져 고정된 구조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이러한 구조로 하면, 입체 개더 신축재(36)의 수축력에 의해서 입체 개더(26)가 입체적으로 기립한다.
도 1b 및 도 1c, 도 19b 및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 개더(26)는 흡수체(22)의 양측에 좌우 한 쌍 배치하는 것이 많다. 단, 흡수체의 양측으로 좌우 2대 이상의 입체 개더를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주로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접하여 측면 새어나감을 막는 한 쌍의 입체 개더를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안쪽에 배치하고 주로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접하여 측면 새어나감을 막는 이미 한 쌍의 입체 개더( 「입체 레그 개더」라고 칭해지는 경우가 있음)를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사이드 시트와 동일하게, 환기 발수성 재료로 이루어진 부직포 시트를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부직포 시트는, 오로지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되고, 입체 개더와 기저귀의 다른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 C, 도 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로지 입체 개더를 형성하는 부직포 시트(32)를 이용하여 이것을 흡수성 본체(14)에서 부설하고, 흡수성 본체(14)와 일체적으로 입체 개더(26)를 구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한편,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3a 및 도 13b,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수성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부직포 시트(332)에 의해서 입체 개더(326)와 사이드 시트(319)를 구성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3-5]흡수성 본체:
「흡수성 본체」는, 흡수체가 내포된 흡수 패드이다. 흡수성 본체는 후술하는 외장체와 일체가 되어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구성한다. 「흡수 패드」란, 흡수체, 톱 시트 및 백 시트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패드 상의 부재를 가리킨다.
예를 들면 도 1d 및 도 1d, 도 19c 및 도 19d에 나타낸 흡수성 본체(14)와 같이, 흡수체(22)의 표면을 피복하는 톱 시트(18)와 흡수체(22)의 이면을 피복하는 백 시트(20)가 흡수체(22)의 주연부에 대해 맞붙여져 톱 시트(18)와 백 시트(20)와의 층간에 흡수체(22)가 내포된 구조의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2b∼도 12d, 도 20a 및 도 20b 나타내는 흡수성 본체(14)는, 도 1a∼도 1e에 나타낸 흡수성 본체(14)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3-6]외장체:
「외장체」는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구조체이다. 「외장체」는 단독으로 또는 흡수성 본체와 일체가 되어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도 1b, 도 19b에 나타낸 외장체(16)는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전 외장체(62) 및 후 외장체(6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14)와 일체가 되어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10)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또, 도 12a, 도 20a에 나타낸 외장체(216)는 전 피포부(202), 가랑이 피포부(204) 및 후 피포부(206)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외장체(216) 단독으로 하나의 웨스트 개구부(210) 및 한 쌍의 레그 개구부(212)가 형성된 팬츠형을 나타낸다.
외장체(16, 216)에 대해 접합부(7, 8; 접합부 207, 208)를 대신하여 계합 가능한 패스너 부재가 부설되고, 그 패스너 부재끼리를 서로 계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팬츠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형태, 또는 상기 패스너 부재끼리가 미리 계합되어 팬츠형을 나타내고 있는 형태의 것도 「외장체」에 포함된다. 상기 패스너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메카니컬 패스너 등을 들 수 있다.
외장체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기저귀 내부 공간이 뭉크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환기성이 뛰어난 소재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그 외의 합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외장체는 2매 이상의 부직포가 맞붙여져 구성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도 1d, 도 19d에 나타낸 외장체(16)는 2매 이상의 부직포(이너 시트(61, 64), 아우터 시트(63, 66), 누름 시트(68))를 맞붙인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도 12d, 도 20c에 나타낸 외장체(216)도 2매 이상의 부직포(이너 시트(215), 아우터 시트(217), 누름 시트(268))를 붙여 맞춘 적층체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통상, 상기 2매 이상의 부직포의 층간에는 신장 상태의 각종 신축재가 고정된다.
[3-7]기저귀 본체: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성 본체와 외장체의 2 피스 구성을 채용하지 않는 것이 많다.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에서, 흡수체와 흡수체를 피복하는 각종 시트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구조체는 「기저귀 본체」라고 칭해진다. 「기저귀 본체」는, 각종 시트의 층간에 흡수체가 내포되고 있고, 기저귀의 본질적 기능인 흡수·유지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이다. 또한, 흡수체를 내포하지 않고, 흡수·유지 기능이 발휘되지 않는 부재(사이드 시트와는 별체의 사이드 플랩(side flap), 지착 테이프 등)는 「기저귀 본체」의 구성 부재는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a 및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는, 흡수체(322)와 흡수체(322)를 피복하는 톱 시트(318), 사이드 시트(319), 커버 시트(320) 및 커버 시트(324)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기저귀 본체(370)를 구비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301A) 일회용 기저귀(301B)에서, 지착 테이프(311), 전 사이드 플랩(372) 및 후 사이드 플랩(374)은, 기저귀 본체(370)를 구성하지 않는다.
[3-8]각종 신축재: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는, 웨스트 신축재, 레그 신축재, 더미 신축재 등의 신축재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한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 등을 본 발명에 말하는 「신축부」,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신축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3-8a]웨스트 신축재:
웨스트 신축재는, 웨스트 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이다. 웨스트 신축재에 의해서 웨스트 피포부에 웨스트 개더가 형성된다.
웨스트 신축재는, 기저귀의 웨스트 단 테두리를 따라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란, 기준이 되는 부분에 대해서 대체로 평행인 것을 의미한다. 즉, 엄밀한 의미에서 평행일 필요는 없다. 단, 도 12a, 도 12d 및 도 12e, 및 도 20c에 나타낸 웨스트 신축재(242)는 전 피포부(202)의 웨스트 단 테두리(202c, 후 피포부(206)의 웨스트 단 테두리(206c)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2a, 도 12d 및 도 12e, 및 도 20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트 신축재(242)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웨스트 단 테두리(202c, 206c)를 따라서, 전 피포부(202)와 후 피포부(206)의 쌍방에서 웨스트 신축재(242)를 배치하는 것이 많다. 도 1a, 도 1d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d 및 도 19e의 웨스트 신축재(42)도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5a,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트 신축재(342)로서 1장의 면 형태 신축재(신축성 폼 등)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웨스트 신축재는, 도 15a,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를 따라서, 전 피포부(302) 및 후 피포부(306)의 쌍방으로 배치해도 되고, 후 피포부의 웨스트 단 테두리에 따라, 후 피포부에만 배치해도 된다.
[3-8b]레그 신축재:
레그 신축재는, 가랑이 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이다. 레그 신축재에 의해서 가랑이 피포부에 레그 개더가 형성된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2a, 도 12b 및 도 12e, 및 도 2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240)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외장체(216)의 레그 개구부(212)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 레그 신축재(240)를 곡선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이 형태에서는, 도 12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240)가 가랑이 피포부(204)에 있어서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을 횡단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가랑이 피포부(204)에 있어서의 몸통 주위 방향 중앙에 레그 신축재(240)의 수축력이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흡수체(22)의 주름이 방지되어 착용자의 가랑이에 대해 흡수체(22)가 피트하기 쉬워진다.
도 1a, 도 1b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후 외장체(65) 중 가랑이 피포부(4)에, 레그 신축재(40)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레그 신축재(40)는 후 외장체(65)의 웨스트 단 테두리(65c)와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후 외장체(65) 중 가랑이 피포부(4)에 위치하는 부분이 레그 신축재(40)의 수축에 추종하여 흡수성 본체(14)의 측 테두리를 향해 수축한다. 따라서, 상기 부분이 착용자의 다리 주위를 따른 형상으로 변형하고,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또,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흡수성 본체(14)에 있어서의 흡수체(22)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레그 신축재(38)를 직선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레그 신축재(38, 40) 및 전 외장체(62)의 더미 신축재(44)가 일체가 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대한 피트성을 향상시킨다.
또, 레그 신축재(38)를 배치하면, 기저귀의 착용시에서, 흡수성 본체(14)의 양측 테두리가 흡수체(22)에서 일어선 형태가 되기 쉽다. 이러한 형태는, 배뇨 후에 흡수성 본체(14)의 폭 방향 중앙부(즉 흡수체(22)가 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뇨가 모이기 쉬워진다. 따라서 뇨가 새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3b 및 도 13d, 및 도 15a, 도 15b 및 도 1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그 신축재(340)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적어도 가랑이 피포부(304)에, 흡수체(322)의 양측 테두리에 따르도록, 좌우 복수대의 선 형태 신축재를 직선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많다.
[3-8c]더미 신축재:
더미 신축재는, 더미피포부에 배치되는 신축재이다. 더미 신축재에 의해서 더미피포부에 더미 개더가 형성된다. 주로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에 배치되는 신축재이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도 12a, 도 12b 및 도 12e, 및 도 20a에 나타내도록, 더미 신축재(244)로서 복수 라인의 선 형태 신축재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웨스트 단 테두리(202c, 206c)를 따라서 직선적으로, 또, 전 피포부(202)와 후 피포부(206)의 쌍방에서 더미 신축재(244)를 배치하는 것이 많다. 레그 신축재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부터, 도 1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체(22)의 배치 부위를 횡단하지 않도록 더미 신축재(244)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 도 1b 및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a, 도 19b 및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의 더미 신축재(44)도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3-8d]신축재의 구성, 그 외:
신축재로서는,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평고무, 합성고무(우레탄고무 등)의 탄성사로 이루어진 실고무 등을 매우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신축성 네트, 신축성 필름, 신축성 폼(발포 합성고무 등)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신축재는, 120∼4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3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로 하는 것으로 착용자에 대해서 과도의 결합력을 작용시키지 않고, 충분한 신축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신축재는,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열이나 초음파 등에 의한 용착에 의해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로서는 핫 멜트 접착제, 그 외의 유동성의 높은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용착의 방법으로서는 히트 씰 등을 들 수 있다.
신축재의 고정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신축재 및 상기 신축재를 사이에 두는 부직포 시트의 적어도 하나에, 접착제를 도공 내지 분무하여 고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파이럴 도공 등을 들 수 있다.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웨스트 신축재, 레그 신축재, 더미 신축재와도, 외장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간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에서는,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3, 66)의 층간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42)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도 12d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는, 누름 시트(268)와 아우터 시트(217)의 층간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242)를 고정하고 있다.
또, 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에서는, 이너 시트(61, 64)와 아우터 시트(63, 66)의 층간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40) 및 더미 신축재(44)를 고정하고 있다. 한편, 도 12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에서는, 이너 시트(215)와 아우터 시트(217)의 층간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240) 및 더미 신축재(244)를 고정하고 있다.
단, 레그 신축재에 대해서는, 흡수성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간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 도 19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B)는, 입체 개더(26)를 형성하기 위해서 흡수성 본체(14)에 맞붙이는 부직포 시트(32)끼리의 층간 또는 부직포 시트(32)와 커버시트(24)와의 층간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38)를 고정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의 경우, 웨스트 신축재, 레그 신축재와도 기저귀 본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의 층간에 끼우도록 고정하는 등의 방법으로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백 시트와 커버 시트의 층간에 끼우도록, 웨스트 신축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 도 13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A) 도 15b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301B)는, 부직포 시트(332)에 의해서 구성되는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시트(324)와의 층간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340)를 고정하고 있다. 단, 톱 시트와 커버 시트의 층간에 끼우도록, 레그 신축재를 고정해도 된다.
[3-9]지착 테이프(restraining tape):
「지착 테이프」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의 어느 한쪽을 다른 쪽에 대해서 고정하기 위한 테이프이다. 통상은, 도 13a 및 도 13d, 및 도 15a 및 도 15c에 나타낸 지착 테이프(311)와 같이, 후 피포부(306)의 좌우의 측 테두리(후 사이드 플랩의 측 테두리(374a, 374b)로부터 허리 주위 방향 외측에 연장되도록 부설된다.
지착 테이프는 파스닝(fastening)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스닝 부재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메카니컬 패스너(면 형태 패스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카니컬 패스너(mechanical fastener)는 지착력이 높고, 여러 차례의 탈착을 해도 지착력이 저하하기 어려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3a 및 도 13d, 및 도 15a 및 도 1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착 테이프(311)를 구성하는 기재(350)의 선단 근방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후크재(348)를 부설한다. 또한, 도 13d, 도 15c에 나타낸 전 피포부(302)에, 메카니컬 패스너의 루프재(346)로 이루어진 프런트 패치(313; front patch)를 부설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많다.
지착 테이프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단, 착용자의 체형(구체적으로는, 웨스트 주위, 다리 주위 등)의 치수에 맞추고, 적당한 수의 지착 테이프를 부설하면 좋다. 일반적으로는, 유아용의 일회용 기저귀이면 한 쌍(좌우 1 개씩), 성인용의 일회용 기저귀이면 2대(좌우 2 개씩)가 부설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그 발명 특정 사항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시예 하나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1a∼도 1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1A)의 구조로 하였다. 이 일회용 기저귀(1A)는, 유아용 L사이즈의 것이며, 전후방향 길이가 485㎜, 전 피포부 (2) 및 후 피포부(6)의 폭(측 테두리 2a, 2b 사이, 측 테두리 6a, 6b 사이의 길이)이 325㎜의 것이다. 제조 방법은,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낸 공정에 의해 실시하였다.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도 1f 및 도 2a∼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가 신축부(80) 중피부 접합면의 측에 배치되어 셀 형성 시트(82)가 신축부(80)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직포인 누름 시트(68)에 대해서 접합되고, 그 접합부(84)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구조는 기저귀의 후 피포부(6)측 뿐만 아니라, 전 피포부(2)측에도 형성되어 있다.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도 1b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셀 형성 시트(82)는 전 외장체(62), 후 외장체(65)를 구성하는 아우터 시트(63, 66)의 접힘부(88)를 이용하고 있다. 셀 형성 시트(82)는 평량 19g/㎡의 스판본드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아우터 시트(63, 66)의 하나의 단부가 웨스트 단 테두리(62c, 65c)에 대해 톱 시트(18)측으로 접히는 것에 의해서, 접힘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접힘부(88)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80㎜이다.
누름 시트(68)로서는, 이너 시트(61, 64), 아우터 시트(63, 66)는 별체의 부직포 시트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 시트(68)로서는 셀 형성 시트(82)와 동종의 스판본드 부직포, 즉, 평량 19g/㎡의 발수성 부직포가 이용되고 있다.
도 1d 및 도 1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 시트(68)의 선단은 접힘부(88)의 선단에서는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비어져 나온 부분에 의해서 흡수성 본체(14)의 일부가 피복되고 있다. 이 비어져 나온 부분은 셀 형성 시트(82)의 단부로부터 40㎜만 비어져 나오도록 구성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14)의 단부로부터 25㎜의 부분을 피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누름 시트(68)는 길이 80㎜(기저귀의 전후방향의 치수)의 것을 이용하여 누름 시트(68)에 대해서 접힘부(88)가 접합되고 있다. 접합부(84)는 셀(86)의 개구 단부의 개구폭이 8.5㎜, 셀의 깊이가 38㎜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구조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외향 셀, 내향 셀이 합계 76개 형성되는 구조로 하였다.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80)는 누름 시트(68)와 아우터 시트(63, 66)와의 층간에, 웨스트 단 테두리(62c, 65c)를 따라서 웨스트 신축재(42)를 신장률 300%(원래 길이의 3배)의 신장 상태로 6개 배치한 것이다. 웨스트 신축재(42)로서는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평고무(두께 0.35㎜×폭 0.65 ㎜)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일회용 기저귀로서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구조는, 도 12a∼도 12e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의 구조로 하였다. 이 일회용 기저귀(201A)는, 전후방향 길이가 520㎜, 후 피포부(6)의 폭(측 테두리 6 a, 6b 사이의 길이)이 380㎜의 것이다.
흡수성 본체는 실시예 하나의 일회용 기저귀와 동일 구조의 흡수성 본체(14)를 이용하였다. 흡수성 본체(14)의 전후방향 길이는 420㎜로 하였다. 입체 개더 신축재(36) 및 레그 신축재(38)는 가랑이 피포부(204) 중 전후방향 길이 260㎜의 부분에만 고정하였다. 외장체(216)는 실시예 하나의 일회용 기저귀와 같은 전후 분리형이 아니고, 전 피포부, 가랑이 피포부 및 후 피포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된 일체형의 것을 이용하였다. 가랑이 피포부의 최협부(A-A'단면의 위치)의 폭은 175㎜로 하였다. 외장체(216)에 배치되는 레그 신축재(240)는 외장체(216)의 레그 개구부(212)의 바깥 틀을 따라서 곡선적으로 배치하였다.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에서는, 셀 형성 시트(282)가 신축부(280) 중 피부 당접면의 측에 배치되어 셀 형성 시트(282)가 신축부(280)을 구성하는 하나의 부직포인 부직포 시트(32)에 대해서 접합되고, 그 접합부(284)가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 12c에 나타낸 일회용 기저귀(201A)에서는, 셀 형성 시트(282)로서 입체 개더(26)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2)와는 별체의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평량 15g/㎡의 발수성의 SMS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셀 형성 시트의 폭(기저귀 몸통 주위 방향의 치수)은 17㎜, 길이(기저귀 전후방향의 치수)는 420㎜로 하였다. 그리고 셀 형성 시트의 전후단이 흡수성 본체의 전 후단에 구비되도록 접합하였다.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부(284)는 셀의 개구 단부의 개구폭이 6.5 ㎜, 셀의 깊이가 15㎜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구조가 가랑이 피포부(204)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내향 셀, 외향 셀이 합계 80개 형성되는 구조로 하였다.
도 1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부(280)는 부직포 시트(32)의 기부와 접힘부와의 층간에, 입체 개더(26)의 상단을 따라서 입체 개더 신축재(36)를 신장률 300%(원래 길이의 3배)의 신장 상태로 3개 배치한 것이다. 입체 개더 신축재(36)로서는 천연 고무로 이루어진 평고무(두께 0.35㎜×폭 0.65 ㎜)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3으로서 도 13a∼도 13d에 나타낸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301A)를 제작하였다. 이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301A)는, 유아용 L사이즈의 것이며, 기저귀 본체(370)의 전후방향 길이를 485㎜, 폭을 230㎜의 구 형태로 구성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부에는 레그 신축재(340)로서 실고무를 배치하였다. 레그 신축재(340)는 7㎜ 피치로 좌우 3개씩 배치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에서 7㎜의 위치에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레그 신축재(340)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시트(324)의 층간에 300%의 신장 상태로 레그 신축재(340)를 고정하고 신축부(380)를 구성하였다.
사이드 시트(319)의 피부 접합면에는, 셀 형성 시트(382)를 접합하였다. 셀 형성 시트(382)의 폭은 26㎜로 하였다. 접합부(384)는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지그재그형태로 형성하였다. 접합부(384)의 폭은 0.4㎜로 하였다. 셀 형성 시트(382)는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평량 18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이 셀 형성 시트(382)를 초음파 씰에서 사이드 시트(319)의 피부 접합면에 접합하였다. 접합부(384)는 셀의 개구 단부의 개구폭이 6㎜, 셀의 깊이가 25㎜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구조가 가랑이 피포부(204)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80개(외향 셀 40개, 내향 셀 40개) 형성되는 구조로 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의 피부 접합면에는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신축성 부직포(396)를 접합하였다. 신축성 부직포를 구성하는 부직포 시트(397, 398)로서는, 평량 15g/㎡의 발수성의 SMS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부직포 시트(397, 398)의 층간에는, 신축재(399)로서 10개의 실고무를 5㎜ 피치로 배치하여 300%의 신장 상태로 고정하였다.
신축성 부직포(396)를 초음파 씰에서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 370c, 370d) 근방의 피부 당접면에 접합하였다(접합부 386). 즉, 기저귀 본체(370)의 웨스트 단 테두리(370c, 370d) 근방의 부분(웨스트 피포부)을 셀 형성 시트로서 이용하였다. 접합부(385)는, 셀의 개구 단부의 개구폭이 8.5㎜, 셀의 깊이가 30㎜가 되도록 형성하고, 이 구조가 기저귀의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36개(외향 셀 18개, 내향 셀 18개) 형성되는 구조로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4로서 도 17a∼도 17c에 나타낸 테이프형의 일회용 기저귀(301C)를 제작하였다. 이 일회용 기저귀(301C)는, 유아용 L사이즈의 것이며, 기저귀 본체(370)의 전후방향 길이를 485㎜, 폭을 230㎜의 구형 모양으로 구성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부에는 레그 신축재(340)로서 굵기 620 dtex의 실고무를 배치하였다. 레그 신축재(340)는 5㎜ 피치로 좌우 3개씩 배치하였다. 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에서 10㎜의 위치에 가장 외측에 배치되는 레그 신축재(340)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 시트(320)의 층간 및 사이드 시트(319)와 커버시트(324)의 층간에 250%의 신장 상태에서 레그 신축재(340)를 고정하여 신축부(380)를 구성하였다.
사이드 시트(319)의 피부 접합면에는 부직포 시트(333)(셀 형성 시트(382))을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였다. 셀 형성 시트(382)는 스판본드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평량 18g/㎡의 폴리프로필렌제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이 셀 형성 시트(382)를 초음파 씰에서 사이드 시트(319)의 피부 접합면에 접합하였다. 접합부(384)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폭 0.4 ㎜, 길이 10㎜의 구형 모양 접합부를 복수 집합적으로 형성한 것이며, 상기 구형 모양 접합부를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7㎜ 간격, 기저귀의 몸통 주위 방향으로 1㎜ 간격으로 배열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 부직포 시트(333)의 일부에 의해 입체 개더(327)를 형성하였다. 입체 개더(327)의 고정단(하단)으로부터 자유단(상단)까지의 길이는 30㎜로 하였다. 입체 개더(327)에는 입체 개더 신축재(337)로서 실고무를 배치하였다. 입체 개더 신축재(337)는 5㎜ 피치로 좌우 4개씩 배치하였다. 입체 개더(327)의 자유단으로부터 2㎜의 위치에 가장 자유단 측에 배치되는 입체 개더 신축재(337)가 위치하도록 배치하였다. 부직포 시트(334)의 기부(379)와 부직포 시트(333)와의 층간에 300%의 신장 상태로 입체 개더 신축재(337)를 고정하여 신축부(381)을 구성하였다.
입체 개더(327)의 자유단으로부터 20㎜의 부분의 피부 접합면에는 부직포 시트 334(셀 형성 시트(383))를 가랑이 피포부(304)의 측 테두리(기저귀 본체(370)의 측 테두리(370a, 370b))를 따르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였다. 셀 형성 시트(383)를 초음파 씰에서 부직포 시트(333)의 피부 당접면에 접합하였다. 접합부 (385)는, 접합부(384)로 동일 형상의 구형 모양 접합부를 동일한 형태에서 형성하였다. 부직포 시트(333, 334)로서는, 평량 15g/㎡의 발수성의 SMS 부직포 시트를 이용하였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는, 유아용 또는 개호를 필요로 하는 고령자나 장애인 등의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 보다 구체적으로는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나 테이프형 일회용 기저귀로서 이용할 수 있다.
1A, 1B:일회용 기저귀, 2:전 피포부, 4:가랑이 피포부,
6:후 피포부, 7, 8:접합부,
10:웨스트 개구부, 12:레그 개구부,
14:흡수성 본체, 16:외장체,
18:톱 시트, 20:백 시트, 22:흡수체,
24:커버시트, 26:입체 개더, 28:접합부,
32:부직포 시트, 36:입체 개더 신축재,
38, 40:레그 신축재, 42:웨스트 신축재, 44:더미 신축재,
54:상 티슈, 56:하 티슈, 64, 61:이너시트,
62:전 외장체, 62a, 62b:측 테두리,
62c:웨스트 단 테두리, 66, 63:아우터 시트, 65:후 외장체,
65a, 65b:측 테두리, 65c:웨스트 단 테두리,
67, 69, 71, 73, 75:부직포 시트, 68:누름 시트,
78:노출부, 80, 81:신축부,
82, 82A, 82B, 82C, 82D, 82E, 82F, 83:셀 형성 시트,
84, 84A, 84B, 84C, 84D, 84E, 84F, 85::접합부,
86, 86A, 86B, 86C, 86D, 86E, 86F:셀, 88:접힙부,
89:슬릿, 201:일회용 기저귀, 202:전 피포부,
202a, 202b:측 테두리, 202 c:웨스트 단 테두리,
204:가랑이 피포부, 206:후 피포부,
206a, 206b:측 테두리, 206 c:웨스트 단 테두리,
207, 208:접합부, 210:웨스트 개구부, 212:레그 개구부,
215:이너 시트, 216:외장체, 217:아우터 시트,
240:레그 신축재, 242:웨스트 신축재, 244:더미 신축재,
268:누름 시트, 280:신축부,
282:셀 형성 시트, 284:접합부,
301A, 301B, 301C, 301D, 301e:일회용 기저귀, 302:전 피포부,
304:가랑이 피포부, 306:후 피포부, 311:지착 테이프,
313:프런트 패치, 318:톱 시트, 319:사이드 시트,
320:백 시트, 322:흡수체, 324:커버시트,
326, 327:입체 개더, 332, 333, 334:부직포 시트,
336, 337:입체 개더 신축재, 340:레그 신축재,
342:웨스트 신축재, 346:루프재, 348:후크재,
350:기재, 370:기저귀 본체,
370a, 370b:측 테두리, 370c, 370d:웨스트 단 테두리,
372:전 사이드 플랩, 374:후 사이드 플랩,
374a, 374b:측 테두리, 378, 379:접힙부, 379:기부,
380, 381:신축부, 382, 383:셀 형성 시트,
384, 384A, 384B, 384C, 385:접합부, 386:셀,
390, 390A, 390B, 390C:선 형태 접합부,
392, 392A, 392B:도트 형상 접합부,
396:신축성 부직포, 397, 398:부직포 시트, 399:신축재.

Claims (15)

  1. 착용자의 몸통 주위를 피포하는 전 피포부 및 후 피포부와, 흡수체가 배치되어 착용자의 가랑이를 피포하는 가랑이 피포부를 가지며,
    상기 전 피포부, 상기 후 피포부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 중 적어도 1개의 부분에,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성 부직포는, 신축재가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이며,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를 따르는 방향 중 적어도 1개의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신축부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은 일단이 개구되고, 타단이 폐색된 비관통의 셀인 일회용 기저귀.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셀로서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쪽의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의해 폐색된 외향 셀과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서 먼 쪽의 단부가 개구되고, 기저귀의 외부 공간에 가까운 쪽의 단부가 상기 접합부에 의해 폐색된 내향 셀이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4. 청구항 3에 있어서,
    복수의 셀은 상기 수축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며,
    상기 셀 열은, 상기 외향 셀과 상기 내향 셀이 교대로 배치된 것인 일회용 기저귀.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는 상기 수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지그재그 형태 또는 파선형태의 접합부이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외향 셀과 상기 내향 셀이 교대로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셀은 상기 수축 방향으로 병렬적으로 배치된 셀 열이 형성되고,
    상기 셀 열은 상기 교차 방향을 향해 복수단 배치되고,
    하나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과,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지 않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7. 청구항 6에 있어서,
    하나의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구획 형성하는 접합부 중 상기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부분의 연장선은 상기 하나의 셀 열과 인접하는 셀 열에 있어서의 셀을 통과하도록, 상기 복수의 셀 열이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좌우 측 테두리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에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에 따라는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와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몸통 주위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피부 당접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몸통 주위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 피포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상기 신축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신축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부는 상기 몸통 주위를 따르는 방향으로 수축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있어서의 피부 접합면의 일부에 발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기 셀 형성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를, 상기 몸통 주위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몸통 주위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피포부의 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신축부와, 상기 전 피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랑이 피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 및 상기 가랑이 피포부에 있어서의 상기 후 피포부측의 단부에 형성된 신축부 중 적어도 하나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착용자의 다리 주위를 둘러싸는 레그 신축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레그 신축부를, 상기 레그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접합하는 접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에 의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레그 신축부의 층간에, 상기 레그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교차하는 교차 방향으로 늘어나는 셀이 구획 형성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2.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복수의 부직포 시트의 층간에 신축재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신축재가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복수의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재가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13. 청구항 8 내지 11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는, 신축성 필름이 부직포 시트에 대해 고착되어 상기 부직포 시트 및 상기 신축성 필름이 일체적으로 거동하는 것인 일회용 기저귀.
  14.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또한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15. 청구항 8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형성 시트와 상기 신축부는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상기 신축부의 수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양방향을 향해 간헐적으로 형성된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KR1020137028799A 2011-03-31 2012-03-26 일회용 기저귀 KR101851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77350A JP5938848B2 (ja) 2011-03-31 2011-03-31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JP-P-2011-077350 2011-03-31
JPJP-P-2011-133718 2011-06-15
JP2011133718A JP5811615B2 (ja) 2011-06-15 2011-06-15 使い捨ておむつ
PCT/JP2012/057736 WO2012133294A1 (ja) 2011-03-31 2012-03-26 使い捨ておむ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334A true KR20140023334A (ko) 2014-02-26
KR101851038B1 KR101851038B1 (ko) 2018-04-20

Family

ID=4693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799A KR101851038B1 (ko) 2011-03-31 2012-03-26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851038B1 (ko)
CN (1) CN103619299B (ko)
MY (1) MY177014A (ko)
RU (1) RU2582955C2 (ko)
WO (1) WO20121332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7295B1 (ja) * 2014-04-14 2015-10-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896187B1 (ja) * 2014-08-20 2016-03-30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及びクッションシート
CN105105927B (zh) * 2015-07-23 2018-04-13 杭州可靠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成人用一次性纸尿裤
WO2017038030A1 (ja) * 2015-09-04 2017-03-09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404297B2 (ja) * 2016-10-21 2018-10-10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CN109982673B (zh) * 2016-11-21 2021-05-28 花王株式会社 一次性尿布
WO2018097772A1 (en) * 2016-11-23 2018-05-3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rray of gender-specific absorbent articles
JP6327324B1 (ja) * 2016-11-24 2018-05-2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82399B1 (ja) * 2017-06-16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043B2 (ja) * 1998-12-28 2006-09-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AU2007326550B2 (en) * 2006-11-27 2013-07-04 Uni-Charm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4964728B2 (ja) * 2007-09-28 2012-07-04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091045B2 (ja) * 2008-08-06 2012-12-05 王子ネピ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19299A (zh) 2014-03-05
KR101851038B1 (ko) 2018-04-20
RU2013148547A (ru) 2015-05-10
CN103619299B (zh) 2016-09-28
MY177014A (en) 2020-09-01
WO2012133294A1 (ja) 2012-10-04
RU2582955C2 (ru)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3334A (ko) 일회용 기저귀
JP576117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6229787B1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581161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4037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416431B2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US7566330B2 (en) Disposable diaper
JP4996508B2 (ja) 吸収性物品
TWI481393B (zh) 可丟棄尿布
JP5000551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本体保持カバー
JP5447091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4346633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750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627502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573806B2 (ja) 使い捨ておむつ
WO2017141808A1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4751812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83279A (ja) 吸収性物品
JP6137256B2 (ja) 使い捨ておむつ
TWI823849B (zh) 吸收性物品
JP5938848B2 (ja)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834930B2 (ja)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2018015360A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2023080468A (ja) パンツ式おむつ
JP5582876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