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3096A - 체성분 측정 모듈 - Google Patents

체성분 측정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3096A
KR20140023096A KR1020120089811A KR20120089811A KR20140023096A KR 20140023096 A KR20140023096 A KR 20140023096A KR 1020120089811 A KR1020120089811 A KR 1020120089811A KR 20120089811 A KR20120089811 A KR 20120089811A KR 20140023096 A KR20140023096 A KR 20140023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composition
information
subject
measuremen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2117B1 (ko
Inventor
홍순성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시스템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시스템
Priority to KR2012008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2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23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3C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8Portable consumer electronic devices, e.g. music players, telephones, tablet compu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ultimedia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성분 측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체성분 측정 모듈은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커넥터가 형성되며, 데이터베이스, 체성분 분석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피검자가 입력부에 접촉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된 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이에 따른 관리방법을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부와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체성분 측정 모듈 {BODY COMPOSITION MEASURING MODULE}
본 발명은 체성분 측정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기기나 차량 등에 적용되는 체성분 측정장치는 통상 획일적이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보다 많은 기능이 있는 고가의 체지방 측정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성분 측정장치는 인체의 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인체의 구성성분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체성분 측정장치에서 인체의 구성성분을 측정하기 위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BIA: Bio electrical Impedance Analysis)법이 사용된다. 상기 생체전기 임피던스 분석법은 인체 내로 약한 교류 전류를 보내어 인체전기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과 함께 피검자의 신장 및 체중을 통해 피검자의 체수분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체성분량, 무기질량, 근육량 등의 생체 정보를 산출하는 방법이다. 한 예로, 한국공개특허 제2006-0117718호 "체성분 측정기 및 그 측정방법"에서는 인체 임피던스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체성분 측정장치는 도 1과 같이 대략 L자 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는 체중계가 설치된다. 체중계는 피검자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한 발판을 구비하고, 상기 발판과 전극 손잡이에는 양발과 양손이 접하는 전극부를 설치한다. 상기 전극부는 발판에 형성되는 발바닥 전극과 전극 손잡이에 형성되는 손바닥 전극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바닥 전극에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전극과, 전압을 측정하는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손바닥 전극에는 전류를 흐르게 하기 위한 전극과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전극으로 구성된다.
도 1의 측정기에 피검자가 올라가 전극 손잡이를 양손으로 감싸 손바닥 전극이 접촉되도록 하고, 양발을 발바닥 전극에 접촉되도록 하면 피검자의 인체 임피던스가 측정된다. 예를 들어, 발바닥 전극과 손바닥 전극에 전류가 흐르도록 회로를 컨트롤하고 발바닥 전극과 손바닥 전극을 통하여 전압을 측정하면, 피검자의 좌측 부분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다. 반대로, 발바닥 전극과 손바닥 전극에 전류가 흐르도록 회로를 컨트롤하고 발바닥 전극과 손바닥 전극을 통하여 전압을 측정하면, 피검자의 우측 부분의 신체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신체 부위의 임피던스 값과 이미, 기억장치에 입력된 피검자의 정보를 조합하거나 연산하여 피검자의 체성분(체지방, 근육량 등)을 측정하게 된다.
한편, 최근 웰빙 열풍에 따라 병원이나 헬스클럽 등은 저마다 체성분을 검사할 수 있는 상기와 같은 체성분 측정장치를 구비하여 환자들이나 회원들에게 수시로 몸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고, 건강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주기적으로 체성분을 체크하여 몸상태를 점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일부러 체성분 측정장치가 설치된 곳으로 이동하여 체성분 측정을 위한 자세를 취할 필요가 있으므로, 체성분 측정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개인이 매일 이용하는 차량 내부에서 별다른 자세를 취할 필요 없이 쉽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에 체성분 분석기를 장착하거나, 또는 가정 내의 전자기기를 통해서 체지방을 측정하고 있으며, 측정된 체지방은 네트워크를 통해 병원 등의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개인의 건강 상태가 온라인을 통해 관리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체성분 측정장치는 가전기기나 차량 등의 내부에 일체로 설치되기 때문에 가전기기나 차량의 가격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나 차량 등에 적용되는 체성분 측정장치는 통상 획일적이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보다 많은 기능이 있는 고가의 체성분 측정장치를 사용해야 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117718호
본 발명은 가전기기나 차량 등에 적용되는 체성분 측정장치는 통상 획일적이므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보다 많은 기능이 있는 고가의 체지방 측정장치를 사용해야 함에 따라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꼭 고급사양의 모듈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피검자의 사용의도에 맞는 적당한 사양의 저렴한 모듈을 선택하여 가전기기나 차량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가전기기나 차량에 불필요하게 고급사양의 모듈이 적용됨에 따라 가전기기나 차량의 판매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체성분 측정 모듈은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커넥터가 형성되며, 데이터베이스, 체성분 분석부, 제어부 및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피검자가 입력부에 접촉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된 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이에 따른 관리방법을 생성한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입력부와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전기기에 체성분 측정 모듈을 장착시키기만 하면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의 기능에 따라 해당 부위만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능이 적은 저가의 체성분 측정 모듈에서부터 기능이 많은 고가의 체성분 측정 모듈 중 피검자가 원하는 체성분 측정 모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어 폭넓은 선택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즉, 체성분 측정 모듈이 고급사양일수록 가격은 비싸지므로, 꼭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피검자의 사용의도에 맞는 적당한 사양의 저렴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선택함으로써,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나 차량에 체성분 측정 모듈을 장착하기만 하면 체성분 측정이 가능하므로, 기존 가전기기나 차량에 불필요하게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이 적용됨에 따라 가전기기나 차량의 판매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존에 기능이 적은 체성분 측정 모듈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필요시 추후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로 교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의 가전기기나 차량사용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전자기기에 복수개의 체성분 측정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피검자가 하나의 체성분 측정 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따라, 체성분 측정 모듈을 전자기기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도 1은 종래의 체성분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체성분 측정 모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모듈을 냉장고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모듈을 TV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모듈을 차량의 네비게이션에 장착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위하여 실제와는 달리 과장된 수치가 제시되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류별 체성분 측정 모듈에 관한 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100)은 체성분 측정 모듈(110) 및 전자기기(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자기기(120)는 냉장고나 TV, 리모콘, 네비게이션 등을 의미하며,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장착(탈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자기기(12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입력부(121)는 손 또는 발과 같이 특정 인체 부분이 접촉되는 전도체 등으로 구현되며, 특정 인체 부분이 손쉽게 접촉될 수 있도록 냉장고의 손잡이 및 바닥이나 차량의 핸들 및 페달, 리모콘, 핸드폰 등 소정 영역 내에 연결된다. 입력부(121)가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손 전도체는 핸들의 양측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왼손과 오른손이 접촉하도록 하고, 발 전도체는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에 부착되어 운전자의 왼발과 오른발이 접촉하도록 한다. 입력부(121)의 위치와 크기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체성분 측정 모듈(110)은 칩이나 USB와 같이 전자기기(120)에 장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112), 체성분 분석부(113), 제어부(114), 통신부(115) 및 커넥터(116)를 포함한다.
데이터베이스(112)에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와 같은 개인정보 및 이러한 정보들을 통해 건강상태와 관리방법을 분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측정된 피검자의 생체 임피던스 값을 일시 또는 특정 기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값은 측정부위별, 측정주파수별 임피던스 값을 기초로 체중별, 신장별, 연령대별 또는 성별에 따른 적정 기준의 체지방량, 체수분량, 단백질량, 무기질량 등의 범위를 의미하는데, 보통 성인남성의 경우 적정 기준의 체지방량은 25% 이하, 성인여성의 경우에는 30% 이하이므로, 이 적정 기준을 벗어날 경우 비만으로 간주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는 도 3과 같이 체성분 측정 모듈(110)마다 피검자의 측정부위와 측정주파수(주파수 대역, 주파수 개수 등)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행기능이 정의된 정보를 포함한다. 통상 인체를 상체부위와, 복부 및 몸통부위와, 하체부위 3부분으로 구분하여 체성분을 측정하지만, 최근에는 상체측정용, 하체측정용, 전체측정용, 좌우측정용 등 세부적인 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의 체성분 측정 모듈(110)도 기능이 적은 저가의 모듈에서부터 기능이 많은 고가의 모듈까지 다양한 종류로 구현된다.
체성분 분석부(113)는 입력부(121)에 피검자가 접촉하면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특정 측정주파수로 특정 인체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및 데이터베이스(112)에 저장된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기초로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한다. 즉, 체성분 분석부(113)는 입력부(121)에 접촉한 피검자의 체지방량, 체근육량, 체수분량과 같은 체성분을 체성분 측정 모듈(110)의 수행기능에 따라 측정한다. 예를 들면, 입력부(121)에 의해 인체의 체성분을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법을 적용하여, 인체에 250mA 정도의 약한 전류를 통과시켜 체내 임피던스을 측정하는데, 이때 전자기기(120)에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110)의 종류가 무엇인지에 따라 체성분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가 다르므로, 측정부위와 측정주파수가 다르게 적용된다. 즉, 전자기기(120)에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고유번호 MBia-110u의 경우에는 상체만 측정되고, Mbia-850s의 경우에는 인체를 보다 세부적으로 나누어 오른팔, 왼팔, 복부, 오른다리, 왼다리가 측정되는 것이다(도 3 참조).
제어부(114)는 분석된 체성분을 기초로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관리방법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역할로, 이를 위해 생체 임피던스 측정법에 의한 체성분 산출 프로그램, 예를 들면 측정된 체성분 지수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 및 그에 따른 건강상태, 관리방법 등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12)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측정결과의 일예로 영양평가, 체중관리, 비만진단에서 모두 표준이 나왔고, 상체균형과 하체균형은 균형 있게 나왔지만 상하균형에서 약간의 불균형이 나왔으며, 상체강도는 표준, 하체강도는 발달된 경우, 상체 근육량이 발달되도록 상체 중심의 웨이트 트레이닝을 권유하는 분석결과를 제공한다. 이렇게 측정 및 분석된 각종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12)에 누적되어 저장되며, 피검자가 체성분 검사를 1회 이상하였을 경우 누적된 데이터들을 통하여 인체의 건강상태 및 그 관리방법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관리방법은 맞춤건강정보로 월간 또는 주간 식단표, 피검자에게 적절한 운동방법, 적절한 생활 습관 정보, 목표체지방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115)는 입력부(121)와 유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5)는 분석된 피검자의 건강상태와 이에 따른 관리방법에 관한 정보를 전자기기(120)로 출력한다. 일예로, 통신부(115)는 Bluetooth, 232C Serial, USB, I2C, SP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자기기(120)로 전송한다. Bluetooth는 저렴한 가격에 저전력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파수 특성이 전 방향으로 신호가 전송되므로 전자기기(120)와 연결하기 위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 사용하기에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232C Serial 또한 가격이 저렴하고 접속이 쉽기 때문에 가전기기(120)와 연결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기에 유리하며, USB의 경우에는 232C Serial 보다 빠르고 연결하기도 편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다. I2C는 빠른 속도를 요구하지 않는 간단하고 저비용의 가전기기(120)와 연결하기에 적합하며, 저전력을 소모하는 특징이 있다. SPI는 I2C와 함께 널리 사용되고 있고, 속도면에서 I2C보다 우월한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통신방식은 저렴하고, 저전력이며, 속도가 빠르므로 전자기기(120)와의 통신방식에 적용하기에 유리하다.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이러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정보를 전자기기(120)로 출력하면, 전자기기(120)에서의 출력방식은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패널을 통해 시각적 신호로 출력될 수도 있다. 또는, 웹서버와 연동하여 개인단말을 통해 분석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커넥터(116)는 전자기기(120)에 장착될 수 있도록 체성분 측정 모듈(110)에 형성되며, 탈착 가능하므로, 어떤 전자기기(120)에 장착하기만 하면 손쉽게 체성분 측정 및 분석이 가능하다.
만약,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냉장고에 장착된 실시예에서 전도체가 도 4와 같이 냉장고의 손잡이와 바닥에 배치된 경우, 피검자는 개인정보를 입력하고, 양손으로 손잡이에 구성된 전도체를 잡고 바닥의 전도체 위에 올라서면 되며, 그 결과는 냉장고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 도 5와 같이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리모콘에 장착된 실시예에서는 피검자가 리모콘에 부착된 전도체를 양손으로 잡으면 되는데, 이렇게 측정 및 분석된 결과는 TV의 화면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도 6과 같이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차량의 네비게이션 등에 장착된 실시예에서는 핸들의 수평위치 양 끝에 부착된 전도체(A)를 운전자가 양손으로 잡고 약 3~4초간 측정을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100)을 통해 AV화면에서 바로 측정결과 및 분석결과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모든 가전기기에 체성분 측정 모듈(110)을 장착하면,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110)이 체성분을 측정 및 분석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전자기기는 측정 및 분석된 정보를 피검자에게 제공하므로, 장소나 시간에 구애받지 아니하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냉장고의 손잡이에 인체의 일부를 접촉시켜 체성분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도 있고, 가정의 필수품인 냉장고나 리모콘과 TV를 통해 체성분을 측량함으로써, 간편하게 건강을 체크할 수 있다. 또는, 체성분 측정기능을 개인이 매일 이용하는 차량에 적용하여 피검자는 차량 내부에서 별다른 자세를 취할 필요 없이 쉽게 체성분을 측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체성분 측정기능이 부여된 가전기기나 장치의 효용성과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피검자의 건강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기기(120)에 체성분 측정 모듈(110)을 장착시키기만 하면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110)의 기능에 따라 해당 부위만의 체성분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기능이 적은 저가의 체성분 측정 모듈에서부터 기능이 많은 고가의 체성분 측정 모듈 중 피검자가 원하는 체성분 측정 모듈을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어 폭넓은 선택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즉, 체성분 측정 모듈이 고급사양일수록 가격은 비싸지므로, 꼭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피검자의 사용의도에 맞는 적당한 사양의 저렴한 체성분 측정 모듈을 선택함으로써,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나 차량에 불필요하게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이 적용됨에 따라 가전기기나 차량의 판매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기존에 기능이 적은 체성분 측정 모듈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필요시 추후 고급사양의 체성분 측정 모듈로 교체하기만 하면 되므로, 기존의 가전기기나 차량사용은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체성분 측정 시스템(100)은 인터넷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시간과 공간에 제약 없이 자신의 현재 건강상태 및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비만/건강관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체성분 분석결과와 대사질환 검사를 통한 건강정보를 바탕으로 개인별 건강관리 블로그를 별도 제공하여 개인별 맞춤식이/운동처방을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체성분 측정과 대사질환 여부에 기반을 둔 개인별 맞춤 블로그를 제공함으로써, 개인의 모든 건강 및 지속적인 관리와 원격 처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 시스템(200)은 도 2의 구성과 동일하며, 전자기기(220)의 모듈 선택부(2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 2에서의 구성과 유사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모듈 선택부(222)는 전자기기(220)에 장착된 체성분 측정 모듈이 복수개(210a, 210b, ……)인 경우, 피검자가 하나를 선택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반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의 버튼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선택부(222)가 터치스크린의 버튼 형식으로 구현되면 피검자는 터치스크린의 화면에 표시되는 체성분 측정 모듈들(210a, 210b, ……)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입력부에 접촉하면 선택된 체성분 측정 모듈은 해당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특정 측정주파수를 사용하여 특정 측정부위의 체성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체성분을 기초로 피검자의 건강상태를 분석하며,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자기기(220)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전자기기(220)에 복수개의 체성분 측정 모듈(210a, 210b, ……)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피검자가 하나의 체성분 측정 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함에 따라, 체성분 측정 모듈을 전자기기(220)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상 편리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 시스템(300)은 체성분 측정 모듈(310)과 리모콘(320)으로 구성된다.
체성분 측정 모듈(310)은 리모콘(320)에 장착(탈착)될 수 있는 USB의 형태로 구현되어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이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체성분 분석부, 제어부, 통신부 및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들은 도 2에서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리모콘(320)에는 체성분 측정 모듈(310)이 장착될 수 있는 연결단자가 형성되며, 외측면에 양손이 접촉될 수 있는 전도체(321)가 부착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체성분 측정시 피검자는 자신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와 같은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 양손으로 전도체를 잡고 3~5초간 기다리면 된다. 상기 입력된 개인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므로 한번만 입력하면 된다.
이렇게 체성분 측정 모듈(310)은 전도체(321)에 의해 체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데,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체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특정 측정주파수로 특정 인체부위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체내 임피던스 및 피검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분석된 체성분을 기초로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관리방법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정보들을 리모콘(320)으로 전송한다.
리모콘(320)에 디스플레이부가 형성된 경우, 상기 분석된 정보들을 수신한 리모콘(320)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또는 수신된 상기 분석된 정보들을 TV로 전송하여 TV의 화면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체성분 측정 시스템
110, 210a, 210b: 체성분 측정 모듈
112: 데이터베이스 113: 체성분 분석부
114: 제어부 115: 통신부
116: 커넥터
120, 220: 전자기기
121, 221: 입력부 222: 모듈 선택부

Claims (4)

  1.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
    피검자가 입력부에 접촉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분석부;
    상기 분석된 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이에 따른 관리방법을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상기 입력부와 연결되는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커넥터가 형성된 체성분 측정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임피던스 측정에 관한 정보는 피검자의 측정부위와 이에 사용되는 측정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수행기능이 정의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체성분 분석부는 상기 수행기능이 정의된 정보를 기초로 특정 측정주파수로 상기 피검자의 특정 인체 부위의 체성분을 분석하는 체성분 측정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Bluetooth, 232C Serial, USB, I2C, SPI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방식으로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체성분 측정 모듈.
  4. 입력부와 연결되는 전자기기; 및
    상기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는 커넥터가 형성된 복수개의 체성분 측정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체성분 측정 모듈 마다 피검자의 특정 측정부위와 이에 사용되는 특정 측정주파수에 관하여 정의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값에 기초하여 이와 비교할 수 있는 기준값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피검자가 상기 전자기기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체성분 측정 모듈 중 하나를 선택 및 상기 입력부에 접촉하면, 상기 선택된 체성분 측정 모듈은 해당 생체 임피던스 측정 방식에 따라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된 생체 임피던스 및 상기 저장된 피검자의 체중, 신장, 나이 및 성별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체성분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체성분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피검자의 건강상태의 위험여부 및 이에 따른 관리방법을 생성하며, 상기 분석된 건강상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전자기기로 출력하는 체성분 측정 시스템.
KR20120089811A 2012-08-17 2012-08-17 체성분 측정 모듈 KR101462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811A KR101462117B1 (ko) 2012-08-17 2012-08-17 체성분 측정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811A KR101462117B1 (ko) 2012-08-17 2012-08-17 체성분 측정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096A true KR20140023096A (ko) 2014-02-26
KR101462117B1 KR101462117B1 (ko) 2015-01-07

Family

ID=5026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9811A KR101462117B1 (ko) 2012-08-17 2012-08-17 체성분 측정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2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443A1 (en) * 2015-06-19 2016-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information regarding human bod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006350B1 (ko) * 2019-03-15 2019-10-01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687B1 (ko) * 2002-07-12 2004-12-03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 유닛
KR20050008972A (ko) * 2003-07-14 2005-01-24 박승훈 생체측정계를 구비하는 휴대기기
KR20050017961A (ko) * 2003-08-12 2005-02-23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KR101034391B1 (ko) 2010-08-18 2011-05-1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사용자 판별 기능을 구비한 체성분 분석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443A1 (en) * 2015-06-19 2016-1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information regarding human bod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809949A (zh) * 2015-06-19 2018-03-16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与人体有关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0595783B2 (en) 2015-06-19 2020-03-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information regarding human bod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809949B (zh) * 2015-06-19 2021-04-0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与人体有关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CN113017599A (zh) * 2015-06-19 2021-06-25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与人体有关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11647961B2 (en) 2015-06-19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measuring information regarding human body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3017599B (zh) * 2015-06-19 2024-03-29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测量与人体有关的信息的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KR102006350B1 (ko) * 2019-03-15 2019-10-01 (주)녹십자웰빙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2117B1 (ko)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am Noah et al. Comparison of steps and energy expenditure assessment in adults of Fitbit Tracker and Ultra to the Actical and indirect calorimetry
TWI546101B (zh) 多功能體適能檢測裝置
CN102596014B (zh) 体能测试系统和体能测试方法
JP6183827B2 (ja) 運動機能評価装置及び運動機能評価方法
CN109716443B (zh) 利用肌电图传感器的运动管理方法以及系统
CN104700140B (zh) 多功能体适能检测装置
CN109820504A (zh) 一种提高准确度的人体成分测量方法和系统
CN111317472B (zh) 具有测量心率体脂功能一体的检测系统
JPWO2019181483A1 (ja) 認知機能評価装置、認知機能評価システム、認知機能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33776A (ko) 체지방 측정 전자기기, 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시스템
KR101462117B1 (ko) 체성분 측정 모듈
JP2007260210A (ja) 健康管理装置
Suryadevara et al. Towards a smart non-invasive fluid loss measurement system
KR200466561Y1 (ko) 가정용 건강정보 측정 장치
JP2009082414A (ja) 活動管理システム
JP4099428B2 (ja) 筋肉量推定装置
CN101744615A (zh) 智能型人体脂肪监测仪
KR101206610B1 (ko) 탈착가능한 지지대를 갖는 체성분 측정 장치
KR20160080347A (ko) 체성분 분석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KR101896596B1 (ko) 체성분 분석기의 임피던스를 이용한 컨디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1012346A (zh) 体质指标测量方法、装置及智能体脂秤
KR101865814B1 (ko) 휴대용 체성분 측정기에 활동량센서를 부가한 스마트 디바이스
US20190192043A1 (en) Body Composition Analysis Method and Apparatus
US11412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 and feedback for optimal placement of a smart belt
Weghorn Unsubstantial health and sports monitoring reliability of commercial fitness tracker bracelets induced by their all-in-one sensing unit approach-experimental evaluation of measurement accuracy in dynamic and in steady physical effort scenari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