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961A -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961A
KR20050017961A KR1020030055589A KR20030055589A KR20050017961A KR 20050017961 A KR20050017961 A KR 20050017961A KR 1020030055589 A KR1020030055589 A KR 1020030055589A KR 20030055589 A KR20030055589 A KR 20030055589A KR 20050017961 A KR20050017961 A KR 20050017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unction
mobile
mobile function
function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블유알지
Priority to KR1020030055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961A/ko
Publication of KR20050017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96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인 '모바일 기능 카드'(1)는 상기 장치와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시스템이 구현된 모바일 단말기(2)에 장착되며, '모바일 기능 카드'에 내장된 기능에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 장치(1)에 내장된 기능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능 카드'에 적용될 수 있는 기능으로서 다양한 응용 사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 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Card-formed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ying to mobile device with the function thereof and system for realizing this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추가장치에 관한 것이며, 각기 다른 기능을 가진 회로를 카드 형태의 장치인 '모바일 기능 카드' (이하 '모바일 기능 카드'라 칭한다) 에 집적하여 모바일 단말기 자체의 기능을 확장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기능 중에서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단말기 장착 장치 및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카드 형태의 모바일 단말기 장착 장치의 경우 단순한 메모리의 역할만을 수행할 뿐더러 이를 확장하여 기본 시스템의 설계가 확장을 고려하지 않아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카드를 연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카드의 경우에 있어서도 단순한 스마트 카드나 교통 카드 등의 역할만을 할 뿐 회로가 집적되어 있는 기능 장치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는 높은 가격의 장치를 단말기에 기본 장착하지 않고 별도 판매된다는 점 외에 사용자가 다양한 기능의 카드를 취사 선택할 수 있도록 고려한 점이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 예로서 KTF, SK Telecom 등에서 실시하는 '모바일 커머스'의 경우, 별도의 스마트 카드를 내장해야 하므로 가격 상승 요인이 있었다. 또한 GPS, 교통카드 기능이 들어간 휴대폰의 경우에 사용자들이 원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 선택폭에 제한을 주고 불필요한 가격 상승 요인이 되었다.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될 수 있는 추가팩의 경우에 있어서도 크게 설계되어 있어 사용자의 휴대성을 저하시키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기능이 들어있어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거나 다양한 기능을 집적함으로 인한 가격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예로서 HP의 PDA인 IPAQ의 경우에 BackPaq 이라는 이름으로, 별도의 기능 장치를 판매하나 그 크기가 크고, 필요 이상으로 다양한 기능이 들어 있어서 사용자들이 취사 선택할 수 없다는 단점은 물론 가격 또한 고가일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카드 형태의 장치인 '모바일 기능 카드'를 통하여 각각의 기능이 구현된 여러 가지의 '모바일 기능 카드' 제작을 위하여 회로가 집적될 수 있는 규격을 제공하고 동시에 상기의 규격에 따라 동작하는 과정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 그 다양한 응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모바일 기능 카드'를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하여 종래의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취사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따라서 호환성과 확장성이 높은 모바일 단말기용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의 과정을 통하여 PDA, 모바일 단말기 등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나, 입력 장치를 같이 이용함으로써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가 있다.
특히 소량의 집적회로로 구성된 기능 장치에 초점을 맞춤으로서 크기를 줄이고 단가를 낮춰서 모바일 단말기 자체의 휴대성을 해치지 않는 장치와 상기 장치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 장치인 모바일 단말기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를 '모바일 기능 카드'라고 통칭하기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바일 기능 카드'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명시할 기능들을 훌륭히 수행하기 위한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 자체와 모바일 단말기의 연결부의 형태 구성 방법, 상기 구성된 형태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 방법, 상기 구성된 시스템의 구동 방법, 및 상기 시스템에 적용되었을 경우의 응용 수단을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탈부착 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다기능 장치, '모바일 기능 카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는 소형 카드 형태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는 PDA나 개인이동통신장치(휴대폰)에 장착되어 동작하게 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PDA나 개인이동통신장치(휴대폰) 외의 다른 장치, 예를 들자면, 디지털 카메라, mp3 player, 등의 장치에 장착되어 추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능 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는 컨트롤러(Controller) 및/또는 메모리(Memory) 및/또는 기타 칩(Chip)으로 구성된 전자 회로를 포함하여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독립된 기능이 2개 이상의 장치를 통하여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조합 수단; 모체와 다른 기기와의 연결을 기능으로 수행하는 단순 연결 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분류된 인식번호(ID)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인식번호(ID)는 본 출원인 또는 의뢰를 받은 업체를 통하여 체계적인 정리가 되며, 본 발명의 모체 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인식번호(ID) 정보를 전달하는 전송 수단; 인증을 받은 인식번호(ID)를 가지고 있는 '모바일 기능 카드'에 대해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보안 수단;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신규 장치의 추가에 따른 인식번호(ID)의 확장 수단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가 PDA 혹은 개인이동통신장치(휴대폰) 등의 모체 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자체의 기능을 수행한 결과를 장착된 모체 기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알맞게 변환하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인터페이스 수단은 UART, SPI, I2C, I2S, USB, Parallel 통신, 기타 Analog 통신 등의 표준 인터페이스 수단이 될 경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는 크래들을 통하여 PC와 연동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전원이 있는 장치의 경우 충전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PC연동 수단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음악 파일 재생, 목소리 녹음,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음악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확장 메모리, 이동식 디스크, 게임 롬팩, 어플리케이션 팩,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메모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TV수신, Radio 수신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Tuner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신용 카드, 교통 카드, 인증 카드, 결제 카드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스마트 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정보 수집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GPS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블루투스, 무선랜, RF 통신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무선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본 출원인의 기 출원 특허인 '가속도 가공 장치 및 방법, 및 그의 응용 및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능 장치 - 움직임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모체 기기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및/또는 추가 및/또는 수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기능 장치 - 업그레이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소켓의 기계적 구조 및/또는 인터페이스 방식이 다른 두 장치를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능 장치 -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바일 기능 카드'의 내부에 배터리 모듈을 장착하여 모체기기의 보조 배터리 기능을 수행하는 '모바일 기능 장치 - 보조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다기능 장치와 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모바일 기능 카드'라고 통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개략적인 외관도이다.
소켓에 꽂는 소형 카드 형태로서 납작한 형태의 직육면체 형태를 기본으로 하여, 소켓에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 및/또는 통신을 위한 외부로 돌출된 전극(101)과 '모바일 기능 카드'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 부분(102,103)과 카드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러운 장착을 위한 홈(104)로 구성이 된다.
이 때, 전극(101)부분은 도 2에서 명시된 것과 같이 전극이 '모바일 기능 카드'의 윗면과 같은 높이로 존재하게 되는 평판형(105)이나, 측면에 핀이 나와있는 형태의 돌출형(106), 스마트 카드 형태의 평면 상에 존재하는 형태(107), 혹은 다른 형태의 전극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개략적인 내부도이다.
내부에는 기판(130) 위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구성된 칩(131)들과 각종 소자 등이 올려지고 도 2에서 명시한 전극(132)도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기판(130)은 일반적인 PCB 기판을 사용하게 되나, '모바일 기능 카드' 자체의 두께를 줄이는 것이 휴대성 및 이용성 증진에 큰 도움을 주므로 플랫 케이블이나 필름 PCB 등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와 칩들을 묶어 패키지(Packaging) 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위치하는 부품 등이 규격화된 카드의 내부를 채우지 못하거나 지지할만한 것들이 없을 경우에는 기판 위에 지지대(133)를 설치하여 외부 케이스가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 및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모체 기기의 소켓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4-a는 단면도이며, 4-b는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명시한 '모바일 기능 카드'의 전극(140)이 모체 기기에 위치한 소켓에 꽂아지면 소켓 내부의 전극(141)과 연결이 된다. 이 때 소켓의 내부 전극(141)은 일반의 전자 부품으로서의 커넥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모체 기기의 회로 등과 연결이 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장착 예시도 이다. 도 5-a는 일반 장착 예시도이며, 도 5-b는 개인이동휴대전화에의 장착 예시도이다.
도 5-a에서 '모바일 기능 카드'의 모체 기기의 소켓(150)은 도 4에서 명시한 것과 같은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켓에 모바일 기능 장치(151)가 장착되게 된다.
도 5-b는 그 중 한 예로서 개인이동휴대전화에 '모바일 기능 카드'가 장착되는 것을 예시한 것이다. '모바일기능 장치'(151)은 모체 기기인 개인이동휴대전화(152)에 장착이 되며, 이를 위하여 소켓은 배터리(153)의 크기를 줄이고 배터리 장착 공간(154)의 크기를 줄여 남는 공간에 설치를 한다. 모체 기기의 삽입구(150)에 '모바일 기능 카드'(151)을 삽입함으로써 장착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모바일 기능 카드'를 위한 장착 공간은 앞선 예시와 같이 배터리 크기를 줄여서 확보할 수도 있으며, 휴대폰 내부 회로를 줄여서 확보하는 것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인식되는 흐름도이다.
'모바일 기능 카드'를 모체 기기에 장착하면(S100) 모바일 기능 장치에 전원이 들어오게 되고, 메인 프로그램을 구동할 경우 (S110), 메인 프로그램에서는 ID 확인 절차를 거치게 된다(S120). 이때, '모바일 기능 카드' 장착 후 전원의 공급 여부는 메인 프로그램에서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메인 프로그램의 구동은 사용자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며, 모체 기기가 내부적으로 구동 시킬 수도 있다.
ID 확인 절차에 있어서(S120), ID가 인증되지 않은 번호로 인식되었을 경우 데이터 센터에 확인 연결을 하여(S123) 신규 ID에 대한 정보를 받고 확인을 받게 된다. 확인을 받았을 경우에는 구동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하게 되며(S126) 이는 일반 PC에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비슷한 형태로서, Plug & Play 기능 등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확인이 안 되는 번호에 대해서는 에러 메시지 출력과 함께 구동을 할 수 없으며, 데이터 센터에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 '모바일 기능 카드' 모체 기기의 제작 시에 적절히 분류를 한 통신, 연결 등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기본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ID 확인 또한 기본 저장되어 있는 목차를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ID 확인과 구동 프로그램 연결이 되면 '모바일 기능 카드'가 제대로 동작하게 된다(S130). '모바일 기능 카드'의 동작 중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 되어 이를 이용할 수 있다(S140).
'모바일 기능 카드'가 탈착 되면(S150) '모바일 기능 카드'와 관련된 동작이 종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인터페이스 구성 예시도 이다.
'모바일 기능 카드'의 전극은 대략 50여 개의 핀으로 구성이 되며, 각각의 핀 위치에 알맞은 인터페이스 수단이 매칭된다. 따라서 개별적인 '모바일 기능 카드'는 인터페이스 수단을 각 기능에 알맞게 선택할 수 있으며, 모체 기기 또한 이 중 선택적으로 인터페이스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인터페이스 수단의 예로서는 표준 시리얼 인터페이스인 I2C, I2S, UART, SPI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외의 고속 통신을 위한 8~16-bit 가량의 Bus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의 Analog 장치를 위하여 Analog 통신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능 카드' 자체의 구동과 제어를 위한 핀을 따로 구비하여, 초기화, 전원 공급, 등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PC연동 장치 예시도이다.
'모바일 기능 카드'는 모바일 단말기 등의 모체 기기에 연결됨은 물론 PC에도 크래들을 통하여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이 때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되었을 때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전원이 있는 장치의 경우에는 충전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능 카드'의 PC 연동 흐름도이다.
PC의 USB Port 등에 연결될 수 있는 크래들에 '모바일 기능 카드'가 꽂히게 되면(S200), 전원 장치인지 확인을 하고(S210), 배터리 장치일 경우 충전을 수행한다(S220). 충전 과정을 수행하면서 PC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이를 인식하고 통신 프로그램이 구동된다(S220). 도 6의 흐름도와 마찬가지로 통신 프로그램에서 인증번호(ID) 확인 후에 (S230), 확인되지 않은 인증번호 일 경우 데이터 센터 연결을 하고(S233), 인증을 받아 구동 프로그램 설치를 하며(S236), 인증이 되면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240). 인증이 마쳐지면 개별 응용프로그램이 동작을 시작한다.(S250)
이 때 '모바일 기능 카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PC에서 수정하거나 디스플레이 하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모바일 기능 카드'의 기능에 따라 PC와 연결됨과 동시에 데이터 동기화가 되어 작동할 수 있다. 그 예로서는 '스케줄러' 기능이 들어간 '모바일 기능 카드'를 생각할 수 있다.
'모바일 기능 카드'가 크래들에서 탈착되면 동작이 종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는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모바일 단말기의 추가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확장성을 높여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내장되기 힘들었던 장치들을 '모바일 기능 카드'의 형태로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기능을 추가하고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효과를 통하여 사용자화(Customizing) 되어 있는 단말기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각각에 대한 제품 개발비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다양한 응용 장치를 적용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모바일 기능 카드'의 다양한 기능 장치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제작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기의 부가 장치 시장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 2 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전극 부분의 예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개략적인 내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 모체 기기의 소켓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 장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가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되어 인식되는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인터페이스 구성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PC연동을 위한 크래들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모바일 기능 카드'의 PC연동 과정의 흐름도

Claims (37)

  1. 단말기에 탈/부착 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의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소형 카드 형태의 장치 및 이를 구동 시키기 위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모체가 되는 단말기에 탈/부착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카드의 전극과 소켓을 가지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카드의 전극은 내부의 회로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켓은 모체가 되는 단말기의 회로와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소형 카드 형태의 장치는 규격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구동 시키기 위한 시스템은 인증 번호(ID)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인증 번호(ID) 은 보안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증 번호
  7. 제 5항에 있어서 인증 번호(ID)는 장치의 구동용 프로그램의 인식 번호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번호
  8.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는 각각 혹은 조합되어 독립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PC에도 연결되어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PC 연결을 위한 크래들을 따로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크래들은 PC에 USB로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는 모체 기기에 연결되어 Plug & Play 기능을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구동 프로그램은 PC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마찬가지의 구동 방식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및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은 음악 재생 장치, 음성 녹음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확장 메모리, 이동식 디스크, 게임 롬 팩, 이미지 저장용 팩, 어플리케이션 팩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메모리가 포함된 장치
  16.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TV 수신, Radio 수신 등을 가능하도록 하는 Tuner 회로가 포함된 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신용 카드, 교통 카드, 인증 카드, 결제 카드 등의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카드 종류의 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위치 정보 수집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GPS 모듈이 포함된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움직임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가속도센서 및/또는 자이로센서가 포함된 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모체 기기의 업그레이드 및/또는 추가 및/또는 수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포함된 장치
  21.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이 다른 2개의 인터페이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일종의 변환기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 포함된 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가 배터리를 포함하고 있어서 모체 기기의 보조 배터리 역할을 수행 하는 장치
  23.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가 추가로 모체 기기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가 휴대용 측정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휴대용 의료 측정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체온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혈당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혈압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체지방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초음파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 25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저주파 치료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제 24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습도 측정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 24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온도 측정 장치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 24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기압 측정 장치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 24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산소 농도 측정 장치의 기능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레이저 포인터가 포함되어 지시장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
  37. 제 1항에 있어서 카드 장치의 기능으로서 LED 등이 포함되어 있어 보조 디스플레이 장치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치
KR1020030055589A 2003-08-12 2003-08-12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KR20050017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89A KR20050017961A (ko) 2003-08-12 2003-08-12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589A KR20050017961A (ko) 2003-08-12 2003-08-12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961A true KR20050017961A (ko) 2005-02-23

Family

ID=3722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589A KR20050017961A (ko) 2003-08-12 2003-08-12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9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637B1 (ko) * 2006-12-20 2008-06-1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충전시스템을 이용한 무선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KR101327483B1 (ko) * 2006-11-21 201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및 이것이 적용되는 휴대용무선단말기
WO2014025861A1 (en) * 2012-08-07 2014-02-13 Netanel Avner Sim card based medical testing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1462117B1 (ko) * 2012-08-17 2015-01-07 (주)에프에스시스템 체성분 측정 모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483B1 (ko) * 2006-11-21 2013-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입자 식별 모듈 카드 및 이것이 적용되는 휴대용무선단말기
KR100837637B1 (ko) * 2006-12-20 2008-06-12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무접점충전시스템을 이용한 무선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WO2014025861A1 (en) * 2012-08-07 2014-02-13 Netanel Avner Sim card based medical testing and data transmission system
KR101462117B1 (ko) * 2012-08-17 2015-01-07 (주)에프에스시스템 체성분 측정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9670B2 (en) Adapter for us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604310B (zh) 通過usb啓動配件
US9962121B2 (en) Wearable device
KR102285073B1 (ko) 복수개의 액세서리 장치들에 대응하는 콘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201827B2 (en) Device dependent selection between modes for asymmetric serial protocols
EP1843272A2 (en) Multi-functional dongle for a portable terminal
US9146900B2 (en) Method for activating applicatio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and car system
US8438408B2 (en) Control of accessory components by portable computing device
US20110167187A1 (en) Connectors in a portable device
WO2008099384A2 (en) Modular wireless communicator
US9609098B2 (en) Button-type connecto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80005425A1 (en) Electronic Card Type Media Storage and Player Device
JP2009514358A (ja) 交換可能なアクセサリモジュールを有する携帯型の通信デバイスおよびシステム
CN205427859U (zh) 便携式存储装置
KR20150125485A (ko)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장치 연결 방법
KR20050017961A (ko) 모바일 단말기에 장착할 수 있는 카드 형태의 기능 장치와상기 발명을 실현시키기 위한 시스템
US8391014B2 (en) Expandable computer system and fastening device thereof
CN209517115U (zh) 5g智能手表
CN105045339A (zh) 电子产品多功能扩展设备及其扩展方法
CN101398605A (zh) 可相互整合的扩充基座与微型投影机
TWM445239U (zh) 使用於個人手持裝置之讀卡裝置
JPH10243463A (ja) データストレージ装置および携帯型無線通信端末
KR20060059370A (ko) 기존 휴대폰 전화기를 접목한 USB HOST기능을 갖는 저장장치이면서, USB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MP3 디코딩과 휴대폰 충전 기능, SIM Card내장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
WO2004003716A1 (fr) Dispositif de traitement de donnee integre portable a interface de donnees standard
KR20050025883A (ko) 전자상거래용 칩카드 및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