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941A -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941A
KR20140022941A KR1020140012034A KR20140012034A KR20140022941A KR 20140022941 A KR20140022941 A KR 20140022941A KR 1020140012034 A KR1020140012034 A KR 1020140012034A KR 20140012034 A KR20140012034 A KR 20140012034A KR 20140022941 A KR20140022941 A KR 20140022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copper
parts
weight
molten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병
윤관중
Original Assignee
윤태병
윤관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병, 윤관중 filed Critical 윤태병
Priority to KR102014001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2941A/ko
Publication of KR20140022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05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from non-ferrous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10Alloys containing non-metals
    • C22C1/1036Alloys containing non-metals starting from a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금동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방법은 구리(Cu), 크롬(Cr), 니켈(Ni), 티타늄(Ti), 철(Fe), 망간(Mn), 및 규소(Si)를 제1용해로에 투입하여 1100∼1400℃에서 용융하여 제1용탕을 제조하는 제1용융단계와; 알루미늄(Al), 아연(Zn), 마그네슘(Mg)를 제2용해로에 투입하여 800∼950℃에서 용융하여 제2용탕을 제조하는 제2용융단계와; 주석(Sn)과 인(P)을 제3용해로에 투입하여 400∼450℃에서 제3용탕을 제조하는 제3용융단계; 및 상기 제2용탕과, 상기 제3용탕을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고, 1100∼1400℃에서 40∼60분 동안 용융하여 황금동용탕을 제조하는 황금동용융단계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일반적인 황금동의 색상이나 광택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황금동은 금의 고유한 색상과 광택이 나타나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강하여 공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부가되는 첨가제들을 가열온도가 서로 다른 제1용해로, 제2용해로 및 제3용해로에 각각 투입한 후에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게 되므로 과열에 의하여 첨가제가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Description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COPPER ALLOY OF GOLD COL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미려한 황금색이 나타나고 광택이 발산되어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용융과정을 세분화하여 황금동 용탕의 조성비가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원재료가 손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金, Gold)은 화학 원소로 기호는 Au, 원자 번호는 79이다. 빛나는 노란색의 무른 금속으로 연성과 가단성이 있는 전이 금속이다. 다른 화학 물질과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나, 염소, 플루오린, 왕수와는 반응한다. 덩어리 금속, 또는 바위나 충적토의 알갱이로 산출된다. 수 천년 이상 금은 화폐로 쓰였으며, 장신구와 치과, 전자 제품 등에도 사용되었다. 그뿐만 아니라, 전자공학 특히 인쇄기판이나 실리콘(규소)를 겉에 입힌 반도체에 쓰인다. 중세시대에는 사람의 힘으로 금을 만들려는 연금술을 연구하기도 했다. 이제는 바닷물에서 금을 만들어낼 수도 있으나, 상업적으로 쓰이는 모든 금은 아직도 땅에서 얻고 있다.
최근에는 금의 속성을 가지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가공도 용이하며 기계적 성질도 우수한 황금동이 요구되었으며, 현재, 금 외의 재료인 동, 황동류, 청동류 등은 변색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재료 표면에 금도금을 행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금도금이 지워지면, 흑점이 발생하고, 청녹이 발생하며, 알레르기 같은 인체에 해를 미쳐 재료의 미적 각막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장신구용으로 사용되는 재료에서는 유동성과 내식성 및 색도 등이 우수한 것이 요구되는바, 장신구의 팔찌, 반지, 목걸이, 버클, 시계 밴드와 같은 제품은 정밀 주조하므로 유동성이 우수하고 제품의 전사율이 높아야 하며, 산업용 재료인 건축 재료나 기물 등에서는 압연하므로 가공성이 우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황금동의 각종 재료인, 알루미늄, 니켈, 철, 망간, 크롬 · 니켈 · 망간, 몰리브덴, 규소, 텅스텐, 붕소 등이 혼합된다.
등록특허공보 10-0946721(2010.03.12 공고) 공개특허공보 10-2011-0032191(2011.03.30 공개) 공개특허공보 10-2013-0043246(2013.04.29 공개)
그러나 공업용으로나 장식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금(金, Gold)은 한정되어 있어서, 필요한 분야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없고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려한 황금색이 나타나고 광택이 발산되어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강하여 공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황금동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황금동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원소를 첨가하게 되는데, 투입되는 원소들의 용융점이 서로 다르게 때문에 고온에서 휘발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황금동을 합금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원소들의 손실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황금동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며,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황금동의 제조방법은, 구리(Cu),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크롬(Cr),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니켈(Ni),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티타늄(Ti),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철(Fe),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망간(Mn), 및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규소(Si)를 제1용해로에 투입하여 1100∼140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1용탕을 제조하는 제1용융단계(S10)와, 알루미늄(Al),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아연(Zn), 및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마그네슘(Mg)를 제2용해로에 투입하여 800∼95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2용탕을 제조하는 제2용융단계(S20)와; 주석(Sn)과 상기 주석(Sn)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인(P)을 제3용해로에 투입하여 400∼450℃에서 60∼70분 동안 용융하여 제3용탕을 제조하는 제3용융단계(S30); 및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8∼0.1중량부의 제2용탕과,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1∼0.03중량부의 제3용탕을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고, 1100∼1400℃에서 40∼60분 동안 용융하여 황금동용탕을 제조하는 황금동용융단계(S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1용융단계(S10)에서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01∼0.05중량부의 금(Au)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용융단계(S20)에서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은(Ag)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황금동용융단계(S40)에서 용융된 황금동용탕을 형틀에 붓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잉곳을 성형하는 잉곳 성형단계(S50)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일반적인 황금동의 색상이나 광택과 달리 본 발명에 의한 황금동은 금의 고유한 색상과 광택이 나타나서 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식성이 강하여 공업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특히 부가되는 첨가제들을 가열온도가 서로 다른 제1용해로, 제2용해로 및 제3용해로에 각각 투입한 후에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게 되므로 과열에 의하여 첨가제가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금동의 제조 방법의 전체 공정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황금동의 제조 방법의 전체 공정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금동은 제1용융단계(S10), 제2용융단계(S20), 제3용융단계(S30), 황금동용융단계(S40) 및 잉곳 성형단계(S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용융단계(S10)는, 구리(Cu)를 주성분으로 하여서 크롬(Cr), 니켈(Ni), 티타늄(Ti), 철(Fe), 망간(Mn) 및 규소(Si)를 제1용해로에서 용융하게 된다.
상기 구리(Cu)는, 광택이 있는 붉은색의 금속 원소로 습한 공기 중에서는 녹청색을 띠며, 퍼지는 성질과 늘어나는 성질이 풍부하고, 열이나 전기의 전도율이 크다.
첨가제로 사용되는 상기 크롬(Cr)은 천이 원소의 하나로 은백색의 광택이 있는 금속으로 상자성을 띤다. 공기 중에서 녹이 슬지 않으며, 염산과 황산에는 잘 녹지만, 내식성(耐蝕性)이 강하여 도금 및 합금용 재료로 쓰인다. 상기 크롬(Cr)은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니켈(Ni)은 은빛이고 잘 늘어나며, 공기, 물, 알칼리 따위에 침식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합금의 재료나 도금의 피막으로 널리 쓰인다. 상기 니켈(Ni)는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투입된다.
상기 티타늄(Ti)은 대부분의 암석이나 흙속에 들어 있으며 윤이 나는 흰빛이다. 가열하면 강한 빛을 내며 타는데 티탄철의 제조, 아크 등의 전극 따위로 쓰인다. 상기 티타늄(Ti)은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투입된다.
상기 철(Fe)은 은백색의 고체 금속으로 강한 자성을 띠며, 늘어나는 성질과 얇게 펴지는 성질이 풍부하다. 이와 같은 철(Fe)은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투입된다.
상기 망간(Mn)은 윤이 나는 금속 원소의 하나로 철과 혼합해서 얻어지는 합금인 망간강은 강하고 굳다. 철교, 레일, 배 등의 재료로 쓰인다. 공기 중에서 산화하기 쉽고 화학 작용도 강하다. 상기 망간(Mn)은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상기 제1용해료에 투입된다.
상기 규소(Si)는 산화물이나 규산염의 형태로 암석 중에 다량으로 존재한다. 공업적으로는 규석이나 규사에 코크스를 섞어 만드는데, 그 방법에 따라 무정형인 갈색의 가루가 되거나, 짙고 어두운 잿빛의 판 모양이 된다.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따위의 반도체를 만드는 데에도 널리 쓰인다. 상기 규소(Si)는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를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리(Cu), 크롬(Cr), 니켈(Ni), 티타늄(Ti), 철(Fe), 망간(Mn) 및 규소(Si)를 제1용해로 투입하고, 1100∼140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1용탕을 제조하는 제1용융단계(S10)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용융단계(S20)는 알루미늄(Al), 아연(Zn) 및 마그네슘(Mg)을 제2용해로에 투입하여 제2용탕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알루미늄(Al)은 은백색의 가볍고 부드러운 금속 원소로 전성과 연성이 풍부하며 산화가 잘 안 된다. 열과 전기의 양도체로서 여러 가지 금속 기구의 재료나 합금의 성분으로 쓰이는 등 그 용도가 매우 넓다.
상기 아연(Zn)은 청백색의 고체 금속으로 상온에서는 무르나 섭씨 100∼150도에서는 전성, 연성이 커진다. 전극, 도금 재료, 황동 등의 합금 재료로 쓰이며, 섬아연석, 능아연석 등으로 존재한다. 상기 아연(Zn)은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상기 제2용해로에 투입된다.
상기 마그네슘(Mg)은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 원소로 산에서 잘 녹는데 수소를 발생시키고 염류를 이룬다. 천연적으로는 탄산염, 황산염, 규산염 따위로 바위 속이나 바닷물, 광천, 냇물, 동식물 체내 등에 들어 있으며, 인위적으로는 소금물을 전기 분해를 하여 얻는다. 공기 중에서 가열하면 강렬한 흰빛을 내면서 타므로 사진술, 발화 신호, 불놀이 따위에 쓰이며, 환원성이 강하므로 티탄이나 우라늄을 만들 때 환원제로 많이 쓰인다. 상기 마그네슘(Mg)은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가 제2용해로에 투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Al), 아연(Zn) 및 마그네슘(Mg)이 투입된 상기 제2용해로는 800∼95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2용탕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제3용융단계(S30)는 주석(Sn)과 인(P)을 제3용해로에 투입하여 제3용탕을 제조하는 단계인데, 상기 주석(Sn)은 연하며 푸른 빛이 나는 은백색 금속으로 고대에는 구리와의 합금인 청동으로 쓰였다. 주석은 식품용기로 쓰이는 도금된 강철통에 널리 쓰이고 베어링에 사용하는 금속 및 납땜에 쓰인다.
상기 인(P)은 보통 무색의 반투명하며 연하고 매끈한 고체로 어두운 곳에서 빛을 낸다. 공기 중에서 스스로 점화되어 무거운 흰색의 산화물 증기를 발생한다. 상기 인(P)은 상기 주석(Sn)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를 제3용해로에 투입하게 되고, 주석(Sn)과 인(P)이 투입된 상기 제3용해로는 400∼450℃에서 60∼70분 동안 용융하여 제3용탕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제1용융단계(S10)에서는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01∼0.05중량부의 금(Au)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고, 제2용융단계(S20)에서는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은(Ag)이 추가로 투입될 수 있다.
상술한 제1용융단계(S10), 제2용융단계(S20) 미 제3용융단계(S30)가 진행된 후에는 상기 황금동용융단계(S40)가 진행되는데, 상기 황금동용융단계(S40)는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8∼0.1중량부의 제2용탕과,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1∼0.03중량부의 제3용탕을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고, 1100∼1400℃에서 40∼60분 동안 용융하여 황금동용탕을 제조하게 된다.
상기 잉곳 성형단계(S50)는, 상기 황금동용융단계(S40)에서 용융된 황금동용탕을 형틀에 붓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잉곳을 성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S10: 제1용융단계, S20: 제2용융단계,
S30: 제3용융단계, S40: 황금동용융단계,
S50: 잉곳 성형단계

Claims (5)

  1. 구리(Cu),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크롬(Cr),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니켈(Ni),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티타늄(Ti),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철(Fe),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망간(Mn), 및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규소(Si)를 제1용해로에 투입하여 1100∼140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1용탕을 제조하는 제1용융단계(S10);
    알루미늄(Al),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아연(Zn), 및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마그네슘(Mg)를 제2용해로에 투입하여 800∼950℃에서 60∼90분 동안 용융하여 제2용탕을 제조하는 제2용융단계(S20);
    주석(Sn)과 상기 주석(Sn)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인(P)을 제3용해로에 투입하여 400∼450℃에서 60∼70분 동안 용융하여 제3용탕을 제조하는 제3용융단계(S30); 및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8∼0.1중량부의 제2용탕과, 상기 제1용탕 100중량부 대비 0.01∼0.03중량부의 제3용탕을 상기 제1용해로에 투입하고, 1100∼1400℃에서 40∼60분 동안 용융하여 황금동용탕을 제조하는 황금동용융단계(S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동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융단계(S10)에서 상기 구리(Cu) 100중량부 대비 0.01∼0.05중량부의 금(Au)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동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융단계(S20)에서 상기 알루미늄(Al) 100중량부 대비 0.1∼0.5중량부의 은(Ag)이 추가로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동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금동용융단계(S40)에서 용융된 황금동용탕을 형틀에 붓고 상온에서 냉각하여 잉곳을 성형하는 잉곳 성형단계(S50)가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동의 제조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항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동.
KR1020140012034A 2014-02-03 2014-02-03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KR20140022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34A KR20140022941A (ko) 2014-02-03 2014-02-03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034A KR20140022941A (ko) 2014-02-03 2014-02-03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941A true KR20140022941A (ko) 2014-02-25

Family

ID=50268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034A KR20140022941A (ko) 2014-02-03 2014-02-03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294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611A (ko) * 2018-06-08 2018-06-29 주식회사 지.에이.엠 골드 칼라를 나타내는 동합금 및 동합금 주물
US11253553B1 (en) 2018-12-18 2022-02-22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CN116287805A (zh) * 2023-03-20 2023-06-23 北京壹号金源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微金饰品的制备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2611A (ko) * 2018-06-08 2018-06-29 주식회사 지.에이.엠 골드 칼라를 나타내는 동합금 및 동합금 주물
US11253553B1 (en) 2018-12-18 2022-02-22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US11382935B2 (en) 2018-12-18 2022-07-12 Sang Hee Kim Composition for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preventing or treating dementia an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comprising Galla rhois extract and fraxin as active ingredients
CN116287805A (zh) * 2023-03-20 2023-06-23 北京壹号金源品牌管理有限公司 一种微金饰品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3136B2 (ja) ニッケルおよび銅を含まないグレーゴールド合金
CN102242292A (zh) 高抗变色环保易切削白色铜合金及制备方法
KR20140022941A (ko) 황금동과 그의 제조방법
CN103556001A (zh) 一种锌基合金
CN102482794B (zh) 镀锡层的耐热剥离性优良的Cu-Ni-Si系合金镀锡条
KR101420619B1 (ko) 무연 황동 괴 및 그 제조방법
CN106916991A (zh) 一种紫色金靶材及其制备方法
CN102477496A (zh) 一种无铅易切削黄铜的制备方法
JPH01177327A (ja) 銀白色を呈する快削性銅基合金
CN106399751A (zh) 一种高强高导铜合金的制备方法
JP2017193765A (ja) 銅−鉄合金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4357703A (zh) 一种玫瑰红18k金及其制备方法
CN106471144B (zh) 铜合金、冷轧板材以及其的制造方法
CN103882268A (zh) 一种三角阀用铝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JP2015537117A (ja) 電気コンタクト部材のための材料
CN106191552A (zh) 一种可阳极氧化压铸铝合金的制备方法
KR101483542B1 (ko) 실리콘 황동 괴 및 그 제조방법
CN103757476A (zh) 一种镁铋黄铜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831116A (zh) 一种环保易切削抗热裂硒铋黄铜材料及其制备工艺
KR101285700B1 (ko) 황금색 동합금과 그의 제조방법
CN103773993B (zh) 一种环保锌白铜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886239A (zh) 高温耐磨防腐蚀热喷涂合金丝
RU2604148C1 (ru) Сплав на основе золота, упрочненный интерметаллидами, содержащими железо, (варианты)
KR20120081724A (ko) 저순도(低純度) 골드용 합금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저순도 골드
KR19990048845A (ko) 고강 선재 및 판재용 구리(Cu)-니켈(Ni)-망간(Mn)-주석(Su)-알루미늄(Al) 합금과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