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800A -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800A
KR20140022800A KR1020137022458A KR20137022458A KR20140022800A KR 20140022800 A KR20140022800 A KR 20140022800A KR 1020137022458 A KR1020137022458 A KR 1020137022458A KR 20137022458 A KR20137022458 A KR 20137022458A KR 20140022800 A KR20140022800 A KR 2014002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diaphragm
base
periphery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2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287B1 (ko
Inventor
브레트 카터
브레트 크로스
존 맥켄지
Original Assignee
캘리브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캘리브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캘리브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2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5/1424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 A61M2005/1425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of the skin patch type with needle inser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44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 A61M2005/14268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adapted to be carried by the patient, e.g. portable on the body with a reusable and a disposable compon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는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기부,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상부, 및 기부와 상부 사이의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다이어프램은 기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및 상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내측 주연부를 갖는다. 다이어프램은 저장부가 비어 있을 때 상부 및 기부를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저장부가 충만되어 있을 때 상부 및 기부를 이격된 관계로 배치하도록 배열된다.

Description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DETACHABLE DRUG DELIVERY DEVICE}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1년 1월 28일자로 출원된 공계류 중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437,424호의 이익을 주장하는, 2012년 1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출원 제13/358,764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들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액체 약제가 환자에 의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자기-투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그러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자에 의해 종종 자기-투여되는 하나의 액체 약제는 인슐린이며,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인슐린의 투여가 예시적인 목적으로 본 명세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본 발명이 그러한 예시적인 사용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인슐린 투여는 전통적으로 주사기를 사용해 성취되었다. 최근에는, 바늘을 구비한 펜(pen)과 유사한 장치가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인슐린 투여의 둘 모두의 형태는 환자가 인슐린을 주입할 때마다, 종종 하루에도 여러 번 스스로를 찌르는 것을 필요로 한다. 추가적으로, 그들이 사용될 때마다 깨끗한 새 바늘이 장치에 장착되어야 하고, 매 사용 후에 폐기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가 인슐린을 투여할 필요가 있고, 매 사용 후에 그들을 안전하게 폐기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그 "날카로운 것"을 몸에 지니고 있는 추가의 문제를 생성한다. 따라서, 인슐린 투여의 이들 전통적인 형태는 이들을 채택 및 채용해야 하는 환자들의 삶과 일상에 상당히 만연하는 침해이다.
보다 최근에는, 환자의 피부에 장착된 주입 세트에 튜빙(tubing)함으로써 부착되는 인슐린 펌프가 인슐린 투여의 대안적인 형태로서 개발되었다. 그러한 펌프는 제어 장치와 펌프를 제어하는 전자장치 사이의 단거리 무선 통신을 채용하는 프로그래밍 가능한 원격 전자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들은 더 적은 바늘 찌름을 수반할 수 있지만, 이들은 제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든다. 이들은 또한 작동이 복잡하고, 착용하기에 번거롭고 어색하다. 또한, 그러한 장치의 비용은 주사기 또는 인슐린 펜과 같은 전통적인 주입 수단을 사용하는 일일 비용의 몇 배일 수 있다.
전술된 유형의 장치는 또한 장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상당한 양의 훈련을 필요로 한다. 장치를 프로그래밍함에 있어서 많은 주의가 요구되는데, 그 이유는 펌프가 일반적으로 며칠 동안 지속되기에 충분한 인슐린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펌프의 부적절한 프로그래밍 또는 일반적인 작동은 과도한 양의 인슐린의 전달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매우 위험하고 심지어 치명적일 수 있다.
많은 환자들은 또한 펌프 장치를 착용하는 것을 꺼리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으로 어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치는 일반적으로 상당히 눈에 띄며, 무선 호출기만큼 클 수 있다. 환자 옷의 밖에 그들이 부착되는 것, 및 장치로부터 환자의 신체 상에 위치된 주입 세트까지 연장되는 튜빙 세트와 유사한 카테터에 대한 필요성이 그들의 어색함에 추가된다. 눈에 거슬리고 어쩌면 당혹스러운 것 외에, 그러한 장치를 착용하는 것은 또한 수영, 해수욕, 체육 활동과 같은 많은 활동, 그리고 환자의 신체의 일부분이 필연적으로 노출되는 일광욕과 같은 많은 활동에 심각한 방해일 수 있다.
이상의 관점에서, 주입 시스템이 환자의 피부에 직접 신중하게 부착되게 하는, 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간단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한 장치의 일 예가 2008년 6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여분의 밸브식 안전장치를 갖는 일회용 주입 장치(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REDUNDANT VALVED SAFETY)"인 미국 출원 제12/147,283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이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한 장치는 환자의 의류 아래에서 환자에 부착되어, 펌프 장치의 일부로 제조된, 일시적으로 내재하는 캐뉼러의 원위 단부 밖으로의 인슐린의 소량 투여량들의 수동 펌핑에 의해 인슐린을 환자 내로 전달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상당히 소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옷 아래에 착용된 경우, 대부분의 사회적 상황에서 전혀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며칠 동안 환자에게 쓰기에 충분한 인슐린을 여전히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환자의 피부가 노출된 때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그것은 환자의 피부 색상과 자연스럽게 조화되도록 착색될 수 있다. 그 결과, 며칠분의 인슐린이 환자에 의해 신중하게 휴대될 수 있으며, 단 한 번의 바늘 찌름 후에 소량의 투여량들로 편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장치의 다른 설명에 대해, 2007년 9월 28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이중 밸브 시스템을 갖는 일회용 주입 장치(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DUAL VALVE SYSTEM)"인 공계류 중인 출원 제11/906,130호를 또한 참조할 수 있으며, 이 출원은 본 출원의 양수인이 소유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비교적 불연속적이지만, 환자는 시스템을 완전히 제거할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약물 전달 시스템이 우연히 환자로부터 제거된다면, 약제 및 펌프를 회수하고, 시스템의 최소량만을 교체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펌프, 인슐린 공급부 및 캐뉼러가 일체형이고 분리 불가능한 유닛인 경우, 단지 펌프만을 또는 단지 인슐린만을 제거하거나, 상이한 액체 약제를 첨가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실현 불가능하다. 때때로, 펌프 유닛, 인슐린 저장부(reservoir), 또는 장치 전체를 제거하고, 약물 전달 시스템의 부품들을 재조립 및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캐뉼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부분이 현재의 의료 및 규제 관행에 따라 3일마다 제거 및 재설치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캐뉼러를 갖는 부분으로부터 약물 전달 시스템의 다른 부분들을 제거하고, 이들을 새로운 캐뉼러 포함 부분에 재부착시켜서, 이들을 매 사용시마다 교체하는 것을 피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장치가 구매가능한 저장부 또는 카트리지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저장부가 사전충전될 수 있어서, 장치가 환자의 피부 상에 배치되기 전에 저장부를 충전하는 일로부터 환자를 해방시킨다면 또한 유리할 것이다.
불행하게도, 보존 수명(shelf life)이 사전충전된 저장부에 관한 문제가 된다. 대부분의 약물 열화는 수증기의 손실로 인한 것이다. 인슐린으로 충전된 저장부의 적절한 보존 수명을 보장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저장부 재료 및 구성은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들 및 다른 문제에 대처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에서,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는 주연부(perimeter)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기부,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상부, 및 기부와 상부 사이의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rolling diaphragm)을 포함한다. 다이어프램은 기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및 상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내측 주연부를 갖는다. 다이어프램은 저장부가 비어 있을 때 상부 및 기부를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저장부가 충만되어 있을 때 상부 및 기부를 이격된 관계로 배치하도록 배열된다.
다이어프램은 S-형상의 단면, 아코디언-유사 단면, 또는 매끄러운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이어프램의 내측 주연부는 열 용접, 열 압축,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접착제 접합, 기계적 클램핑(clamping), 기계적 크림핑(crimping),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 중 하나에 의해 상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될 수 있다.
저장부는 클램핑 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외측 주연부는 클램핑 링과 기부의 주연부 사이에 밀봉된 구속(sealed confinement) 상태로 있다. 저장부 상부는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및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표면 접촉하는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어프램 내측 주연부는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저장부 기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저장부는 클램핑 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다이어프램의 외측 주연부는 클램핑 링과 기부의 제1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에서,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는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배열되는 기부, 기부 상에 지지되는 캐뉼러 조립체, 캐뉼러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여 기부 상에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펌핑 유닛, 및 펌핑 유닛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저장부는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기부,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상부, 및 저장부 기부와 상부 사이의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을 포함한다. 다이어프램은 저장부 기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및 상부의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내측 주연부를 갖는다. 다이어프램은 저장부가 비어 있을 때 상부 및 저장부 기부를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저장부가 충만되어 있을 때 상부 및 저장부 기부를 이격된 관계로 배치하도록 배열된다.
신규한 것으로 여겨지는 본 발명의 특징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상세히 기술된다. 본 발명이, 그의 추가의 특징 및 이점과 함께,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진 다음의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첨부 도면의 몇몇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주입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측면도.
<도 3>
도 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4>
도 4는 충전된 상태의 도 3의 제1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5>
도 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6>
도 6은 충전된 상태의 도 5의 제2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7>
도 7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8>
도 8은 충전된 상태의 도 7의 제3 저장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주입 장치(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장치(10)의 측면도이다. 장치(10)는 일반적으로 기부(12), 펌프 유닛(14), 및 저장부(16)를 포함한다.
기부(12)는 접착제 코팅(22)을 갖는 패드(20)를 포함한다. 접착제 코팅은 장치(10)가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는 것을 허용한다. 접착제 코팅은 처음에 장치가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기 전에 코팅(22)으로부터 벗겨지는 보호 시트에 의해 덮일 수 있다.
기부는 캐뉼러 수용부(30)를 추가로 포함한다. 캐뉼러 수용부에, 캐뉼러 드라이버(cannula driver)(36)가 장착된다. 캐뉼러 드라이버(36)는 처음에 캐뉼러(34)를 포함하며, 캐뉼러 드라이버는 캐뉼러를 캐뉼러 수용부(30) 내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원위 단부가 환자의 피부 아래에 있는 상태로 전개된 위치로 도입시킨다. 일단 드라이버(36)가 캐뉼러(34)를 전개시키면, 드라이버는 기부(12)의 캐뉼러 수용부(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기부(12)는 베드(bed)(40)를 추가로 포함한다. 베드는 내부에 펌프 유닛(14)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펌프 유닛이 베드(40) 내에 수용된 때, 펌프 유닛은 캐뉼러 수용부(30) 내의 포트(32)를 통해 캐뉼러와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두어진다.
펌프 유닛(14)은, 예를 들어 2008년 6월 26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여분의 밸브식 안전장치를 갖는 일회용 주입 장치"인 전술된 미국 출원 제12/147,28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펌프 기구를 가질 수 있다. 그 목적을 위해, 펌프 유닛은 장치(10)의 각각의 작동에 따라 고정 체적의 일회 투여량의 인슐린을 환자에게 전달하는 피스톤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펌프 기구는 한 쌍의 작동 버튼(42, 44)을 포함한다. 버튼들 중 제1 버튼은, 눌려진 때, 펌프로부터 캐뉼러(34)까지의 유체 경로를 확립한다. 제2 버튼은, 눌려진 때, 펌프를 작동시키고 펌프가 고정 체적의 일회 투여량의 인슐린을 캐뉼러에, 그리고 이에 따라 환자에게 전달하게 한다. 펌프 기구는 제2 버튼이 피스톤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제1 버튼과 함께 눌려질 수 있기 전에 먼저 제1 버튼의 누름에 의해 유체 경로가 확립되어야 하도록 배열된다. 일회 투여량이 전달된 후에, 피스톤 펌프는 작동 버튼들이 그들의 원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인슐린으로 재충전된다.
펌프 유닛(14)은 뚜껑(46)을 포함한다. 뚜껑이 개방된 때, 저장부 수용 격실(48)이 노출된다. 저장부 격실은 저장부(16)를 수용하도록 치수설정되어서, 저장부(16)가 격실(48) 내에 수용된 때, 저장부는 펌프 유닛(14) 내의 펌프 기구와 유체 연통하는 상태로 두어진다.
저장부는 인슐린과 같은 약제로 사전충전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사전충전된 약물 유체 저장부의 보존 수명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저장부 재료 및 구성은 약물 열화를 방지하도록 수증기의 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 장벽 재료(barrier material)를 통한 수분 손실의 표준적 측정은 수증기 투과율(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MVTR)이다. MVTR은 물질을 통한 수증기 통과의 측정이며, 전형적으로 gm/m2/일의 단위로 측정된다. 주어진 재료 및 표면적에 대해, 증가된 저장부 두께는 MVTR의 직선적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1 ㎜ 두께의 저장부 재료는 1/2 ㎜ 두께의 저장부 재료의 MVTR의 절반을 가질 것이다. MVTR이 또한 표면적의 함수이기 때문에, 더 높은 MVTR을 갖는 재료의 최소 면적을, 그리고 더 낮은 MVTR을 갖는 재료의 더 큰 면적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탈착가능한 약물 저장부 실시예의 경우, 중요한 특징은 충전 상태에 따라 자동-조정되는 저장부 체적의 능력이다. 나중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는 강성 섹션 및 가요성 섹션을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가요성 섹션은 유체 체적의 증가 및 감소를 수용하도록 이동한다. 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PCTFE), 환형 올레핀 공중합체(COC), 환형 올레핀 중합체(COP),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과 같은 소정의 바람직한 재료로 구성될 때 가요성 섹션이 가요성이기 위해, 가요성 섹션은 매우 얇아야 하며, 이는 가요성 섹션을 그의 감소된 두께로 인해 높은 MVTR을 허용하게 만든다.
가요성에 필요한 감소된 두께 및 높은 MVTR을 보상하기 위해, 가요성 섹션은 가요성이도록 요구되는 저장부의 그 부분을 단지 제공하기 위한 면적이, 예를 들어 나중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테두리 둘레로 감소될 수 있다. 테두리 둘레에 얇고 가요성인 섹션을 사용하고 이를 가요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중심 섹션의 더 낮은 MVTR을 갖는 더 두꺼운 재료에 접합시킴으로써, 가요성과 낮은 총 MVTR의 둘 모두의 필요한 요소가 유지된다.
도 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1 저장부 실시예(116)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10)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충전된 상태의 저장부(1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는 2 부품 강성 기부(120), 롤링 다이어프램(130), 2 부품 강성 상부 중심 섹션(140) 및 클램핑 링(150)으로 구성된다.
기부(120)는 실질적으로 평면인 제1 부재(122), 및 원형 테두리(126)를 형성하는 제2 부재(124)를 포함한다. 상부(140)는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142) 및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144)를 포함한다. 롤링 다이어프램(130)은, 기부(120)의 테두리(126)와 클램핑 링(150) 사이에 끼이고 포획됨으로써 기부(120)의 주연부를 따라 포획 및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또는 에지를 갖는다. 롤링 다이어프램(130)은 또한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142)와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144) 사이에 끼임으로써 상부 중심 강성 부분(140)에 대해 그의 내측 주연부 또는 에지를 따라 포획 및 밀봉된다. 강성 기부(120)가 2 부품으로 도시되었지만, 그것은 단지 하나의 부품일 수 있다. 다이어프램(130)의 롤링 에지는 강성 기부(120)에 대한 상부 강성 중심 섹션(14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은 S-형상의 단면 또는 프로파일(132)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롤링 다이어프램(130)은 완전히 팽창되어서, 액체 약물을 수용하는 체적부(160)를 생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둘러싸인 액체 체적부는 다이어프램(130)의 얇고, 가요성이며, 높은 MVTR 재료에 노출되는 최소 면적을 갖고, 강성 기부(120) 및 강성 상부(140)의 더 두껍고 더 낮은 MVTR 재료에 의해 대부분 둘러싸여서, 약물 물질의 보존 수명을 연장시킨다.
도 5는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2 저장부 실시예(216)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10)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충전된 상태의 저장부(2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16)는 강성 기부(220), 다이어프램(230), 강성 상부 중심 섹션(240) 및 클램핑 링(250)으로 구성된다. 기부(220)는 테두리(226)를 형성한다.
다이어프램(230)은 운동을 촉진하기 위해 성형된 리플(ripple) 또는 아코디언-유사 단면(232)을 갖는다. 강성 상부 중심 섹션(240)은 그의 외측 에지 둘레에서 다이어프램(230)과 정합하는 단일편으로 구성된다. 다이어프램(230)과 상부 중심 섹션(240) 사이의 접합부는 열 용접, 열 압축,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접착제 접합 등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압력 밀폐형으로 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230)의 외측 에지는 압축 링(250) 및 테두리(226)에 의해 기부(220)에 밀봉된다. 대안적으로, 그것은 또한 기계적 크림핑, 열, 레이저, 초음파, 열 압축, 또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기부에 밀봉될 수 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된 때, 다이어프램(230)은 뒤집혀 액체 약물을 수용하는 체적부(260)를 생성한다.
도 7은 내부가 비어 있는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저장부 실시예(316)를 도시하는, 도 1의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8은 충전된 상태의 저장부(316)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316)는 강성 기부(320), 다이어프램(330), 및 강성 상부 중심 섹션(440)으로 구성된다. 다이어프램(330)은 매끄러운 구성 또는 단면을 가져서, 다이어프램(330)의 제조를 보다 용이하게 한다. 다이어프램은 열 압축, 압축, 크림핑,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열 용접 또는 접착제 접합에 의해 전술된 바와 같이, 각각 그의 외측 및 내측 주연부들 또는 에지들에서 강성 기부(320)에 그리고 강성 상부(340)에 접합된다. 도 8은 다이어프램(330)에서의 최소의 높은 MVTR 노출 면적을 갖는 체적부(360)를 생성하는 충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이 도시 및 기술되었으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그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정한 사상 및 범주 내에 속하는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6)

  1.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reservoir)로서,
    주연부(perimeter)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기부;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상부; 및
    상기 기부와 상기 상부 사이의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rolling diaphragm)으로서, 상기 기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및 상기 상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상부 및 상기 기부를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저장부가 충만되어 있을 때 상기 상부 및 상기 기부를 이격된 관계로 배치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S-형상의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아코디언-유사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매끄러운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내측 주연부는 열 용접, 열 압축, 접착제 접합,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기계적 크림핑(crimping), 기계적 클램핑(clamping) 또는 이들의 조합들에 의해 상기 상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6.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링(clamping ring)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외측 주연부는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기부의 상기 주연부 사이에 밀봉된 구속(sealed confinement)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및 상기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표면 접촉하는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내측 주연부는 상기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상기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클램핑 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외측 주연부는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기부의 상기 제1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저장부.
  9.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로서,
    환자의 피부에 점착되도록 배열되는 기부;
    상기 기부 상에 지지되는 캐뉼러 조립체;
    상기 캐뉼러 조립체와 유체 연통하여 상기 기부 상에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펌핑 유닛; 및
    상기 펌핑 유닛에 의해 수용되도록 배열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기부,
    주연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강성인 상부, 및
    상기 저장부 기부와 상기 상부 사이의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으로서, 상기 저장부 기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외측 주연부 및 상기 상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내측 주연부를 갖고, 상기 저장부가 비어 있을 때 상기 상부 및 상기 저장부 기부를 서로 바로 인접하게 배치하고, 상기 저장부가 충만되어 있을 때 상기 상부 및 상기 저장부 기부를 이격된 관계로 배치하도록 배열되는, 상기 가요성 롤링 다이어프램을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S-형상의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아코디언-유사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은 매끄러운 단면을 갖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내측 주연부는 열 용접, 열 압축, 및 접착제 접합 중 하나에 의해 상기 상부의 상기 주연부를 따라 밀봉되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클램핑 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외측 주연부는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저장부 기부의 상기 주연부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및 상기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표면 접촉하는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이어프램 내측 주연부는 상기 제1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와 상기 제2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기부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클램핑 링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기 외측 주연부는 상기 클램핑 링과 상기 저장부 기부의 상기 제1 부재 사이에 밀봉된 구속 상태로 있는, 착용가능한 주입 장치.
KR1020137022458A 2011-01-28 2012-01-30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 KR1020152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37424P 2011-01-28 2011-01-28
US61/437,424 2011-01-28
US13/358,764 US8696630B2 (en) 2011-01-28 2012-01-26 Detachable drug delivery device
US13/358,764 2012-01-26
PCT/US2012/023136 WO2012103544A2 (en) 2011-01-28 2012-01-30 Detachable drug delive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800A true KR20140022800A (ko) 2014-02-25
KR102015287B1 KR102015287B1 (ko) 2019-08-28

Family

ID=46577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2458A KR102015287B1 (ko) 2011-01-28 2012-01-30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696630B2 (ko)
EP (1) EP2667917B1 (ko)
JP (1) JP6017454B2 (ko)
KR (1) KR102015287B1 (ko)
CN (1) CN103619382B (ko)
AU (1) AU2012211080B2 (ko)
BR (1) BR112013019261B1 (ko)
CA (1) CA2826098C (ko)
ES (1) ES2687683T3 (ko)
RU (1) RU2595013C2 (ko)
WO (1) WO20121035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6023642A2 (pt) 2014-04-30 2017-08-22 Kimberly Clark Co Porção de cartucho do aparelho de distribuição transdérmica de droga e métodos
EP3525841A4 (en) * 2016-10-17 2020-04-08 Micromed Co., Ltd. MICRO DELIVERY DEVICE
EP3787715B1 (en) 2018-05-02 2023-11-08 Cequr SA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bolus dose in a microfluidic circuit of a pum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79A (en) * 1987-05-29 1989-02-28 Hewlett Packard Yokogawa Calibration of drip pump, pump chamber and drip system
US6500156B1 (en) * 2000-10-03 2002-12-31 Mckinley Medical L.L.L.P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JP2003534058A (ja) * 2000-05-23 2003-11-18 エラン ファーマ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ィド 薬剤供給装置
US20070055205A1 (en) * 2005-07-14 2007-03-08 Wright Clifford A Protective dr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90326456A1 (en) * 2008-06-26 2009-12-31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prime indicato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8893A (en) * 1986-02-03 1988-01-12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ure regulated implantable infusion pump
US4772263A (en) * 1986-02-03 1988-09-20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pring driven infusion pump
US6358239B1 (en) * 1992-01-24 2002-03-19 I-Flow Corporation Platen pump
SE9502789D0 (sv) * 1995-08-09 1995-08-09 Hans Tillander Tryckinfusionsapparat
EP0929333B1 (en) * 1996-03-19 2005-03-16 I-Flow Corporation Platen pump
EP1635894B1 (en) * 2003-06-25 2015-05-27 Infusion Systems, LLC Medication infusion device using negatively biased ambient pressure medication chamber
US8444604B2 (en) * 2003-08-12 2013-05-2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atch-like infusion device
US8211059B2 (en) 2007-06-25 2012-07-03 Kriesel Marshall S Fluid dispenser with additive sub-system
US7771391B2 (en) 2007-09-28 2010-08-10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snap action actuation
US7976500B2 (en) 2008-06-26 2011-07-12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redundant valved safety
US8231577B2 (en) 2008-06-26 2012-07-31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automatically releasable cannula driver
US7976493B2 (en) 2009-05-05 2011-07-12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resettable last dose lock-ou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479A (en) * 1987-05-29 1989-02-28 Hewlett Packard Yokogawa Calibration of drip pump, pump chamber and drip system
JP2003534058A (ja) * 2000-05-23 2003-11-18 エラン ファーマ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リミティド 薬剤供給装置
US6500156B1 (en) * 2000-10-03 2002-12-31 Mckinley Medical L.L.L.P Thumb-powered flushing device for catheters
US20070055205A1 (en) * 2005-07-14 2007-03-08 Wright Clifford A Protective dressing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90326456A1 (en) * 2008-06-26 2009-12-31 Calibra Medical, Inc. Disposable infusion device with prime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11080B2 (en) 2016-08-25
JP2014509888A (ja) 2014-04-24
RU2595013C2 (ru) 2016-08-20
WO2012103544A3 (en) 2012-11-01
CN103619382B (zh) 2016-07-06
CN103619382A (zh) 2014-03-05
AU2012211080A1 (en) 2013-08-29
KR102015287B1 (ko) 2019-08-28
CA2826098A1 (en) 2012-08-02
EP2667917A2 (en) 2013-12-04
BR112013019261A2 (pt) 2016-10-11
US8696630B2 (en) 2014-04-15
RU2013139869A (ru) 2015-03-10
JP6017454B2 (ja) 2016-11-02
EP2667917B1 (en) 2018-08-01
BR112013019261B1 (pt) 2020-12-08
CA2826098C (en) 2019-10-01
WO2012103544A2 (en) 2012-08-02
EP2667917A4 (en) 2014-08-27
US20120197199A1 (en) 2012-08-02
ES2687683T3 (es) 201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2189B2 (en) Flexible and conformal patch pump
JP6484345B2 (ja) 固定及び/または戻りが真空によって支援された薬物送達装置
CA2997427C (en) Fluid interconnection scheme between reservoir, pump and filling member
EP2512551B1 (en) Self-injection device
US20060041229A1 (en) Flow restriction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infusion device
JP6549615B2 (ja) プログラムキーを持つ輸液ポンプ
JP2020081882A (ja) 流路チャネルおよび吸着剤
KR102015287B1 (ko) 탈착가능한 약물 전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