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736A - 모듈형 플러그 - Google Patents

모듈형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736A
KR20140022736A KR1020130096515A KR20130096515A KR20140022736A KR 20140022736 A KR20140022736 A KR 20140022736A KR 1020130096515 A KR1020130096515 A KR 1020130096515A KR 20130096515 A KR20130096515 A KR 20130096515A KR 20140022736 A KR20140022736 A KR 20140022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s
cable
stuffer cap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6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퍼 조지 데일리
에드워드 존 호워드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586,408 external-priority patent/US8714994B2/en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22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7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모듈형 플러그(14)는, 정합 단부(36)와 케이블 단부(3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34), 및 정합 단부에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을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성형되고 위치 설정된다. 플러그 컨택트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배치되고,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제1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되고,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제1 전력 회로와 제2 전력 회로는 케이블(18)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44)에 종단된다.

Description

모듈형 플러그{MODULAR PLUG}
본 명세서의 주제는 일반적으로 모듈형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전기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 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데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부 전기 시스템들은 통상적인 커넥터들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산업 표준형 RJ-45 통신 커넥터는 8개의 신호 회로를 따라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파워 오버 이더넷(Power over Ethernet) 연결을 제공한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한정된 전류 반송 능력을 갖는다.
해결해야 할 과제는 더욱 높은 전류 반송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책은, 정합 단부와 케이블 단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정합 단부에서의 플러그 컨택트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성형되고 위치 설정된다. 플러그 컨택트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배치되며,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공통화되어 제1 전력 회로를 형성하고,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공통화되어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한다. 제1 전력 회로와 제2 전력 회로는 케이블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에 종단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되고 도 1에 도시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을 위한 플러그의 분해도.
도 3은 미리 종단되고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플러그와 와이어 종단의 단면도.
도 5는 플러그의 저면도.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7은 미리 종단되고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플러그의 다른 사시도.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한 플러그의 일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한 플러그의 일부의 단면도.
도 12는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한 플러그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일 실시예에서, 정합 단부와 케이블 단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및 정합 단부에서의 플러그 컨택트들을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를 제공한다.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성형되고 위치 설정된다. 플러그 컨택트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배치되고,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제1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되고,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제1 전력 회로와 제2 전력 회로는 케이블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에 종단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정합 단부와 케이블 단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를 제공한다. 플러그 하우징은 캐비티를 포함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플러그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제1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되는 복수의 제1 플러그 컨택트를 갖는 제1 리드프레임을 구비한다. 제1 리드프레임은 전력 케이블의 제1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공통화되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컨택트를 갖는 제2 리드프레임을 구비한다. 제2 리드프레임은 전력 케이블의 제2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플러그 하우징의 정합 단부에 위치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정합 단부와 케이블 단부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를 제공한다. 플러그 하우징은 정합 단부에서 개방된 컨택트 슬롯들과 캐비티를 갖는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플러그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수용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복수의 제1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는 제1 리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제1 공통화 패드는 제1 공통화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종단 레그 및 제1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을 전기적으로 공통화한다. 제1 플러그 컨택트들은 잭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과 정합 체결하도록 정합 단부에서 대응하는 컨택트 슬롯들 내에 수용된다. 제1 종단 레그는 전력 케이블의 제1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리드프레임 조립체는 복수의 제2 플러그 컨택트를 구비하는 제2 리드프레임을 포함하고, 제2 공통화 패드는 제2 공통화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2 종단 레그 및 제2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을 전기적으로 공통화한다. 제2 플러그 컨택트들은 잭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과 정합 체결하도록 정합 단부에서 대응하는 컨택트 슬롯들 내에 수용된다. 제2 종단 레그는 전력 케이블의 제2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하우징과 제1 및 제2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성형되고 위치 설정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모듈형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플러그 컨택트들, 및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된 스터퍼 캡(Stuffer Cap)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채널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케이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는 내측을 포함한다. 모듈형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장력 완화 부재(strain relief member)를 포함한다. 장력 완화 부재는, 스프링 빔이 베이스로부터 캔틸레버(cantilever)되도록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스프링 빔을 포함한다. 스프링 빔은, 케이블과 체결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 빔과 스터퍼 캡의 내측 사이에서 케이블을 집도록(pinch) 구성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듈형 플러그는,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플러그 컨택트들, 및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장력 완화 부재를 포함한다. 장력 완화 부재는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캔틸레버되는 스프링 빔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플러그 하우징에 피봇 결합된다. 스터퍼 캡은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채널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케이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는 내측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스터퍼 캡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되면 케이블의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플러그 컨택트들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구성된다. 스터퍼 캡은 스터퍼 캡을 통해 케이블 채널 내로 연장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슬롯은, 스프링 빔이 스프링 빔과 스터퍼 캡의 내측 사이에서 케이블을 집도록, 스터퍼 캡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되면 장력 완화 부재의 스프링 빔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모듈형 플러그는, 절연 케이블 재킷과 단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플러그 하우징, 및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플러그 컨택트들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은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된다. 스터퍼 캡은 케이블 채널 및 케이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는 내측을 포함한다. 케이블의 단부는 케이블 채널 내에 수용된다. 장력 완화 부재는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된다. 장력 완화 부재는 베이스 및 베이스로부터 캔틸레버되는 스프링 빔을 포함한다. 스프링 빔은, 스프링 빔과 스터퍼 캡의 내측 사이에서 케이블을 집도록 케이블의 절연성 재킷과 체결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의 사시도이다.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은, 모듈형 잭(12) 및 모듈형 잭(12)과 정합되도록 구성된 모듈형 플러그(14)를 포함한다. 이하, 모듈형 잭(12)과 모듈형 플러그(14)를 전기 커넥터(들)이라 칭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잭(12)은 인쇄 회로 기판(16) 등의 기판 상에 제공된다. 잭(12)은, 인쇄 회로 기판(16) 상에 수직으로, 인쇄 회로 기판(16) 상에 수평으로, 또는 다른 구성으로 장착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잭은 정합 단부에 수직하는 인쇄 회로 기판(16)과 직각으로 되는 잭일 수 있다. 잭(12)은 벽이나 패널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전기 디바이스나 장치에 장착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 잭(12)은 전력 케이블의 단부에 장착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14)는 전기 커넥터들로부터/전기 커넥터들에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케이블(18)의 단부에 제공된다. 잭(12)은 인라인 디바이스로서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잭(12) 및 대응하는 플러그(14)를 이용하여 2개의 케이블을 연결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은, 잭(12) 및/또는 플러그(14)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이러한 디바이스들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 적용예의 일부로서 사용된다.
산업 표준형 RJ-45 커넥터의 소정의 요건들을 충족하는 부품들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의 관점에서 잭(12)과 플러그(14)를 설명하지만, 잭(12)과 플러그(14)는 이러한 산업 표준에 부합하는 또는 부합하지 않는 일부 부품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부품들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구성은 그 표준에 부합할 수 있지만, 전기 커넥터들은 데이터 커넥터라기보다는 전력 커넥터들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전력 송신을 달성하는 데 서로 다른 부품들을 가질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전기 커넥터들은 8개의 컨택트를 갖지만, 8개의 컨택트는 RJ-45 커넥터들에서 통상적인 데이터 송신보다는 전력 송신을 위해 사용된다.
잭(12)은 인쇄 회로 기판(16)을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정합 단부(22)에서 액세스가능한 8개의 정합 컨택트(20)를 포함한다. 잭(12)의 하우징(26)은 인쇄 회로 기판(16)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8개의 정합 컨택트들(20)은 하나 이상의 전력 회로들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력 회로에는 각 전력 회로마다 4개의 정합 컨택트(20)가 제공될 수 있다. 정합 컨택트들(20)은 하우징(26)의 정합 단부(22)의 개구부(28)를 통해 액세스된다. 잠금 메커니즘(30)은, 플러그(14)의 일부와 체결하여 잭(12) 내에 플러그(14)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개구부(28) 내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잭(12)의 정합 인터페이스(32)는 RJ-45 모듈형 잭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정합 인터페이스(32)는 개구부(28)의 크기와 형상, 개구부(28)의 정합 컨택트들(20)의 위치 설정, 정합 컨택트들(20)의 이격, 잠금 메커니즘(30)의 위치 설정 등의 특징들에 의해 규정된다.
플러그(14)는 정합 단부(36)와 케이블 단부(3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34)을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34)은, 정합 단부(36)에서, 잭(12)의 개구부(28)와 대략 유사한 단면을 갖는다. 정합 단부(36)는 플러그(14)와 잭(12)의 정합 동안 개구부(28) 내에 플러그 연결된다.
플러그 하우징(34)은 정합 단부(36)에서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컨택트 슬롯(40)을 포함한다. 플러그 컨택트들(42)은 컨택트 슬롯들(40)의 각각 내에 위치한다. 각 플러그 컨택트(42)는, 플러그(14)가 잭(12) 내에 삽입되면 정합 컨택트들(20)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플러그(14)는, 전력 케이블(18)의 (도 2에 도시한) 대응하는 와이어들(44)을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정합 단부(36)에서 액세스가능한 8개의 플러그 컨택트(42)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은 하나 이상의 전력 회로들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력 회로에는 각 회로마다 4개의 플러그 컨택트(42)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42)은, 잭(12)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20)과 정합 체결하도록 플러그 하우징(34)의 하부(46)를 따라 및/또는 플러그 하우징(34)의 정면(48)을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플러그(14)는, 잭(12) 내의 잠금 메커니즘(30)을 이용하여 플러그(14)를 잭(12)에 래칭하기 위한 래치(50)를 포함한다. 래치(50)는 정합 단부(36)에 인접한 플러그 하우징(34)의 상부(52)로부터 연장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14)의 정합 인터페이스(54)는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정합 인터페이스(54)는, 정합 단부(36)에서의 플러그 하우징(34)의 외측의 크기와 형상, 플러그 하우징(34)을 따른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위치 설정,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이격, 래치(50)의 위치 설정 등의 특징들에 의해 규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장점들은, 대체 실시예들에서 더욱 많은 또는 더욱 적은 개수의 컨택트들을 반송할 수 있는 다른 표준화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기 커넥터의 다른 유형들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기 바란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예시를 위해서만 설명을 제공하지만 이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잠재적인 적용예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플러그(14)의 분해도이다. 플러그(14)는, 플러그 하우징(34), 플러그 하우징(34)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 리드프레임 조립체(60), 및 전력 케이블(18)의 와이어들(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플러그 하우징(3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터퍼 캡(62)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62)은 조립하는 동안 와이어들(44)을 리드프레임 조립체(6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들(44)은 스터퍼 캡(62)이 플러그 하우징(34)에 결합되면 리드프레임 조립체(6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가압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과는 별도의 부품이다.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에 고정되어 플러그 하우징(34)과 리드프레임 조립체(60)에 대하여 와이어들(44)과 전력 케이블(18)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대체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리드프레임 조립체(60)는 플러그 하우징(34) 내에 로딩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리드프레임 조립체(60)는 제1 리드프레임(64)과 제2 리드프레임(6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들(64, 66)은 플러그(14)를 위한 제1 및 제2 전력 회로들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들(64, 66)은 전력 케이블(18)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4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리드프레임(64)은 플러그(14)의 양의 단자를 규정하고, 제2 리드프레임(66)은 플러그(14)의 음의 단자를 규정한다. 플러그 컨택트들(42)의 다른 그룹들은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64, 66)에 의해 함께 그룹화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14)는, 플러그 컨택트들(42) 중 4개는 제1 리드프레임(64)에 연관된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제1 그룹을 규정하고 플러그 컨택트들(42) 중 4개는 제2 리드프레임(66)에 연관된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제2 그룹을 규정하는,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조립시 제1 리드프레임(64)과 제2 리드프레임(66)은 수직으로 적층되며 플러그 컨택트들(42)이 플러그 하우징(34)의 정합 단부(36)에서 인터네스팅(internest)된다.
제1 리드프레임(64)은 공통화 패드(70), 공통화 패드(70)로부터 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42), 및 공통화 패드(70)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 레그(72)를 포함한다. 공통화 패드(70)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제1 그룹을 함께 전기적으로 공통화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컨택트들(42)은 공통화 패드(70)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들(42)과 공통화 패드(70)는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리드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종단 레그(72)는 전력 케이블(18)의 대응하는 와이어(44)에 종단되도록 위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종단 레그(72)는 와이어(44)를 뚫도록 구성된 스파이크들(74)을 포함한다. 와이어(44)는 스트랜드형 와이어 컨덕터일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고체 컨덕터일 수도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제1 리드프레임(64)을 와이어(44)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종단 특징부의 다른 유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단 레그(72)는 절연성 변위 컨택트, 크림프 배럴, 스프링 빔, 또는 종단 특징부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드프레임(66)은 공통화 패드(80), 공통화 패드(80)로부터 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42), 및 공통화 패드(80)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 레그(82)를 포함한다. 공통화 패드(80)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제2 그룹을 함께 전기적으로 공통화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컨택트들(42)은 공통화 패드(80)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들(42)과 공통화 패드(80)는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리드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종단 레그(82)는 전력 케이블(18)의 대응하는 와이어(44)에 종단되도록 위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종단 레그(82)는 와이어(44)를 뚫도록 구성된 스파이크들(84)을 포함한다. 와이어(44)는 스트랜드형 와이어 컨덕터일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고체 컨덕터일 수도 있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제2 리드프레임(66)을 와이어(44)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하도록 종단 특징부의 다른 유형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단 레그(82)는 절연성 변위 컨택트, 크림프 배럴, 스프링 빔, 또는 종단 특징부의 다른 유형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하는 동안, 리드프레임 조립체(60)는 플러그 하우징(34) 내로 로딩된다. 예를 들어, 리드프레임 조립체(60)는 케이블 단부(38)를 통해 플러그 하우징(34) 내로 로딩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64, 66)은 플러그 하우징(34) 내로 함께 하나의 단위로서 로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64, 66)은 플러그 하우징(34) 내로 별도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로딩될 수도 있다. 리드프레임 조립체(60)가 플러그 하우징(34) 내로 로딩되면, 플러그 컨택트들(42)은 플러그 하우징(34)의 정합 단부(36)에 배치된다. 종단 레그들(72, 82)은 와이어들(44)에 종단되도록 플러그 하우징(34)의 케이블 단부(38)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도 3은 미리 종단되고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14)의 배면 사시도이다.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과 정렬된다. 선택 사항으로,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에 대한 개방 위치에 미리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미리 구성된 개방 위치에서,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에 결합되고 스터퍼 캡(62)이 플러그 하우징(34)에 대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플러그 하우징(34)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미리 구성된 개방 위치는, 플러그 하우징(34)에 대한 스터퍼 캡(62)의 상대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스터퍼 캡(62)과 플러그 하우징(34) 간의 상대 운동은 하나 이상의 소정의 방향으로 제어되거나 제한된다. 예를 들어, 미리 구성된 개방 위치에서, 스터퍼 캡(62)은, 와이어들(44)을 리드프레임 조립체(60)(도 2에 도시함)에 종단하도록 와이어들(44)이 스터퍼 캡(62) 내에 로딩된 후에 수직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스터퍼 캡(62)은 플러그 하우징(34)의 대응하는 고정 특징부(92)와 체결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9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90)는 스터퍼 캡(62)으로부터 연장되는 클립 또는 탭을 구성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92)는 고정 특징부(90)를 수용하는 개구부를 구성한다. 고정 특징부들(90, 92)은 미리 구성된 개방 위치 및/또는 폐쇄 위치에서 스터퍼 캡(62)을 플러그 하우징(34)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다.
스터퍼 캡(62)은 대응하는 와이어들(44)을 수용하는 와이어 채널들(94)을 포함한다. 와이어들(44)은 와이어 로딩 방향으로 와이어 채널들(94) 내에 로딩된다. 일단 와이어들(44)이 와이어 채널들(94) 내에 완전히 로딩되면, 스터퍼 캡(62)이 폐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스터퍼 캡(62)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스터퍼 캡(62)은 스파이크들(74, 84)을 와이어들(44)의 절연체를 관통시킴으로써 와이어들(44)을 가압하여 리드프레임 조립체(6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62)은 전력 케이블(18)을 위한 장력 완화를 제공하도록 장력 완화 특징부(96)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장력 완화 특징부(96)는 전력 케이블(18)과 플러그(14) 간에 장력 완화를 제공하도록 전력 케이블(18) 둘레로 단단히 폐쇄될 수 있는 리드 또는 커버를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장력 완화 특징부의 다른 유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전력 케이블(1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리드프레임 조립체(60)를 도시하는 플러그(14)의 단면도이다. 종단 레그(82)의 스파이크들(84)은 도 4에서 전력 케이블(18)의 와이어(44)의 절연체를 뚫고 있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조립하는 동안, 스터퍼 캡(62)이 플러그 하우징(34)을 향하여 수직 하향으로 가압되면, 와이어들(44)이 스파이크들(84)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스파이크들(84)은 와이어(44)의 절연체를 관통하여 와이어(44)의 컨덕터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도 5는 플러그(14)의 저면도이다. 컨택트 슬롯들(40)과 플러그 컨택트들(42)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는,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42)과 8개의 컨택트 슬롯들(40)이 제공된다. 분리 벽들(98)은 컨택트 슬롯들(40)을 분리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배치된다.
특정 적용예에 따라 플러그 컨택트들(42) 중 임의의 것을 함께 그룹화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위치 1, 3, 5, 7에 있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은 (도 2에 도시한) 제1 리드프레임(64)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되는 한편 위치 2, 4, 6, 8에 있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은 (도 2에 도시한) 제2 리드프레임(66)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된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대체 구성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위치 1, 2, 3, 4에 있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이 전기적으로 공통화되는 한편 위치 5, 6, 7, 8에 있는 플러그 컨택트들(42)은 다른 리드프레임에 의해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된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2개보다 많은 리드프레임과 컨택트들의 그룹들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할 수 있다. 다른 대체 실시예들에서, 같지 않은 개수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이 리드프레임에 의해 전기적으로 공통화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42)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함으로써, 플러그 컨택트들 중 하나 또는 둘 만이 전류를 반송하는 전기적 연결에 비해 플러그(14)에 대한 더욱 높은 전류 반송 능력이 가능해진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모듈형 플러그(114)의 사시도이다. 모듈형 플러그(114)는 일부 양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한) 모듈형 플러그(14)와 유사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모듈형 잭(12)과 정합될 수 있다. 플러그(114)는 전기 커넥터들에 전력을 송신하거나 전기 커넥터들로부터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케이블(118)의 단부에 제공된다. 플러그(114)는 산업 표준형 RJ-45 커넥터의 소정의 요건들을 충족한다. 예를 들어, 일부 부품들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구성은 그 표준에 부합할 수 있지만, 플러그(114)는 데이터 커넥터라기보다는 전력 커넥터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전력 송신을 달성하는 데 서로 다른 부품들을 가질 수도 있다.
플러그(114)는 정합 단부(136)와 케이블 단부(13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134)을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134)은 정합 단부(136)에서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컨택트 슬롯(140)을 포함한다. 플러그 컨택트들(142)은 컨택트 슬롯들(140)의 각각 내에 위치한다. 플러그 컨택트들(142)은 (도 2에 도시한) 플러그 컨택트들(42)과 대략 유사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142)은 플러그 컨택트들(42)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114)는 (도 2에 도시한) 리드프레임 조립체(6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플러그(114)는 전력 케이블(118)의 (도 7에 도시한) 대응하는 와이어들(144)을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정합 단부(136)에서 액세스가능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14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142)은 하나 이상의 전력 회로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력 회로에는 각 회로마다 4개의 플러그 컨택트(142)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142)은, 잭(12)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20)과 정합 체결하도록 플러그 하우징(134)의 하부(146)를 따라 및/또는 플러그 하우징(134)의 정면(148)을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114)의 정합 인터페이스(154)는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정합 인터페이스(154)는, 정합 단부(136)에서의 플러그 하우징(134)의 외측의 크기와 형상, 플러그 하우징(134)을 따른 플러그 컨택트들(142)의 위치 설정, 플러그 컨택트들(142)의 이격, 래치(150)의 위치 설정 등의 특징들에 의해 규정된다.
플러그(114)는, 전력 케이블(118)의 와이어들(1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플러그 하우징(13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터퍼 캡(162)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162)을 사용하여 조립하는 동안 와이어들(144)을 플러그(114)의 리드프레임 조립체(60)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스터퍼 캡(162)이 플러그 하우징(134)에 결합되면 와이어들(144)이 가압되어 리드프레임 조립체(60)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162)은 플러그 하우징(134)에 대하여 피봇 결합된다. 스터퍼 캡(162)은, 스터퍼 캡(162)을 위한 축(axle)로서 작동하는, 플러그 하우징(134) 내로 연장되는 핀 또는 포스트(16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스터퍼 캡(162)은 플러그 하우징(134)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리빙 힌지(Living Hinge)에서 이 플러그 하우징에 연결된다.
도 7은 미리 종단되고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114)의 배면 사시도이다. 스터퍼 캡(162)은 플러그 하우징(134)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위치로 부분적으로 개방되어 있다. 스터퍼 캡(162)은, 일단 와이어들(144)이 내부에 로딩되면 피봇팅 폐쇄 방향(166)으로 피봇팅된다.
RJ-45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력 커넥터들을 규정하는 플러그들(14, 114)을 제공한다. 플러그 컨택트들(42, 142)은 플러그들(14, 114)의 전력 단자들을 규정하는 리드프레임들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플러그 컨택트들(42, 142, 242)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함으로써, 플러그 컨택트들 중 하나 또는 둘 만이 전류를 반송하는 전기적 연결에 비해 플러그들(14, 114)에 대한 더욱 높은 전류 반송 능력이 가능해진다.
도 8과 도 9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모듈형 플러그(214)의 사시도이다. 모듈형 플러그(214)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장력 완화 부재(296)의 예시적인 일 실시예를 포함한다. 모듈형 플러그(214)는 일부 양태에 있어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모듈형 플러그(114) 및/또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모듈형 플러그(14)와 마찬가지일 수 있으며,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축(215)을 따라 (도 1에 도시한) 모듈형 잭(12)과 정합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플러그(214)는, 전기 커넥터들에 전력을 송신하거나 전기 커넥터들로부터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케이블(218)의 단부(280)에 제공된다. 전력 케이블(218)은 도 9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플러그(214)는 정합 단부(236)와 케이블 단부(23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234)을 구비한다. 플러그 하우징(234)은 정합 단부(236)에서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컨택트 슬롯(240)을 포함한다. 플러그 컨택트들(242)(도 9에는 보이지 않음)은 컨택트 슬롯들(240)의 각각 내에 위치한다.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플러그 컨택트들(42) 및 (도 6에 도시한) 플러그 컨택트들(142)과 대략 유사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플러그 컨택트들(42)과 유사한 방식으로 리드프레임 조립체의 일부일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플러그(214)는 (도 10에 도시한) 리드프레임 조립체(26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플러그(214)는 전력 케이블(218)의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대응하는 와이어들(244)을 위한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정합 단부(236)에서 액세스가능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242)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하나 이상의 전력 회로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전력 회로에는 각 전력 회로마다 4개의 플러그 컨택트들(242)이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플러그 컨택트들(242)이 잭(12)의 (도 1에 도시한)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20)과 정합하는(즉, 정합 체결하는) 플러그(214)의 정합 인터페이스(254)를 규정하도록 플러그 하우징(234)의 하부(246)를 따라 및/또는 플러그 하우징(234)의 정면(248)을 통해 액세스가능하다.
플러그(214)는 산업 표준형 RJ-45 커넥터의 소정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부품들의 크기, 형상, 위치, 및 구성은 그 표준에 부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214)의 정합 인터페이스(254)는 RJ-45-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정합 인터페이스(254)는, 정합 단부(236)에서의 플러그 하우징(234)의 외측의 크기와 형상, 플러그 하우징(234)을 따른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위치 설정,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이격, 래치(250)의 위치 설정 등의 특징들에 의해 규정된다.
플러그(214)는 산업 표준형 RJ-45 커넥터의 일부 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플러그(214)는 임의의 산업 표준(들)의 일부 요건을 충족하는 임의의 유형의 모듈형 플러그일 수 있다. 또한, 예시한 플러그(214)의 실시예는, 데이터 커넥터보다는 전력 커넥터로서 사용되며, 따라서, 전력 송신을 달성하는 데 서로 다른 부품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플러그(214)는 전력 커넥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플러그(214)는, 플러그(214)가 어떠한 유형의 모듈형 플러그인지 그리고 플러그(214)가 어떠한 산업 표준(들)에 부합하는지에 상관없이 전력 송신에 더하여 또는 전력 송신의 대안으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케이블"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케이블(218)은 데이터 신호를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송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러그(214)는 전력을 송신하지 않는다.
플러그(214)는, 전력 케이블(218)의 와이어들(2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플러그 하우징(234)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스터퍼 캡(262)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262)은 조립 동안 와이어들(244)을 플러그(214)의 리드프레임 조립체(26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스터퍼 캡(262)이 플러그 하우징(234)에 결합되면 와이어들(244)이 가압되어 리드프레임 조립체(26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262)은, 스터퍼 캡(262)이 플러그 하우징(234)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위치와 폐쇄 위치 간에 피봇가능하도록 플러그 하우징(234)에 피봇 결합된다. 스터퍼 캡(262)은 도 8과 도 12에서 폐쇄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터퍼 캡(262)은 도 9 내지 도 11에서 미리 구성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리 구성된 위치에서, 스터퍼 캡(262)은, 전력 케이블(218)의 종단을 위해 스터퍼 캡(262)을 폐쇄하기 전에, 전력 케이블(218)을 스터퍼 캡(262)의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케이블 채널(282) 내에 삽입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선택 사항으로, 플러그(214)는 미리 구성된 위치에 있는 상태로 고객에게 출하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피봇 핀 및/또는 하나 이상의 피봇 포스트는 스터퍼 캡(262)의 피봇 동작을 위한 축으로서 기능하도록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262)은,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응하는 대향 개구부들(266)(도 8과 도 9에서는 하나만 보임) 내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피봇 포스트들(264)(도 8과 도 9에서는 하나만 보임)을 포함한다. 스터퍼 캡(262)은 피봇 포스트들(264) 주위를 피봇팅하여 미리 구성된 위치와 폐쇄 위치 간에 피봇팅하도록 구성된다. 플러그 하우징(234)이 피봇 포스트(264)를 포함하고 스터퍼 캡(262)이 대응하는 개구부(266)를 포함하도록, 피봇 포스트들(264) 중 하나 이상과 대응하는 개구부(266)의 배치를 역으로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플러그 하우징(234)의 외측(268)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개구부(266)는 대안으로 외측(268)을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각 개구부(266)는,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응하는 벽(271)의 내측(270) 내로 연장되지만 벽(271)을 통해 완전하게 연장되지는 않는 노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터퍼 캡(262) 내로 연장되는 임의의 개구부(266)는 일측(272)으로부터 타측(274)으로 스터퍼 캡(262)을 통해 완전하게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피봇 핀을 사용하는 일례는, 스터퍼 캡(262)을 통해 연장되며,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향 개구부들(266) 내로 연장되는 대향 단부들을 갖는 단일 피봇 핀(도시하지 않음)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임의의 피봇 포스트(264) 및/또는 임의의 피봇 핀에 더하여 또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스터퍼 캡(262)은 플러그 하우징(234)과 일체 형으로 형성되어 스터퍼 캡(262)의 피봇팅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리빙 힌지에서 이 플러그 하우징에 연결될 수 있다.
스터퍼 캡(262)은,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응하는 고정 특징부들(292)과 체결하여 플러그 하우징(234)에 대하여 미리 구성된 위치에 스터퍼 캡(262)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특징부들(290)을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고정 특징부들(90)은 스터퍼 캡(262)의 대향 측들(272, 27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엠보스먼트들(290a; embossment)(여기서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음)을 구성한다. 플러그 하우징(234)의 고정 특징부들(292)은 벽들(271)의 레지들(292a)(여기서는 하나만 보임)을 구성한다. 엠보스먼트들(290a)은, 대응하는 레지들(292a) 위로 스냅핑(snap)되어 스터퍼 캡(262)을 미리 구성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벽들(172)은 엠보스먼트들(290a)이 레지들(292a)을 제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레지들(292a) 위로 스냅핑할 수 있도록 편향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34)이 엠보스먼트(290a)를 포함하고 스터퍼 캡(262)이 대응하는 레지(292a)를 포함하도록, 엠보스먼트들(290a) 중 하나 이상과 대응하는 레지(292a)의 배치를 역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터퍼 캡(262)은 임의의 개수의 고정 특징부들(290)을 포함할 수 있고, 플러그 하우징(234)은 임의의 개수의 고정 특징부들(29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 플러그(214)는 미리 구성된 위치에 스터퍼 캡(262)을 고정하기 위한 어떠한 고정 특징부도 포함하지 않으며, 전력 케이블(218)을 스터퍼 캡(262)에 삽입하는 동안 사용자 또는 기계가 스터퍼 캡을 미리 구성된 위치에서 유지한다.
플러그 하우징(234)은, 선택 사항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터퍼 캡(26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엠보스먼트들(292a)을 내부에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부(273)를 포함한다. 개구부(273)는, 스터퍼 캡(26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플러그 하우징(234)의 벽들(271)이 편향되지 않게 (즉, 그 벽들이 자연스러운 배치 위치에 있게) 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고정 특징부들(291, 293)에 더하여 또는 이러한 고정 특징부들의 대안으로, 개구부들(273) 내에 엠보스먼트들(292a)을 수용함으로써, 스터퍼 캡(262)을 폐쇄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다. 플러그 하우징(234)의 외측(268)을 통해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개구부(273)는, 대안으로, 외측(268)을 통해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즉, 각 개구부(273)는, 대응하는 벽(271)의 내측(270) 내로 연장되지만 벽(271)을 통해 완전하게 연장되지는 않는 노치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스터퍼 캡(262)을 미리 구성된 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특징부들(290, 292)은 스냅 끼워맞춤 연결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억지 끼워맞춤(즉, 가압 끼워맞춤) 연결을 이용하는 것, (예를 들어, 피봇 축에서) 스터퍼 캡(262)과 플러그 하우징(234) 간의 정지 마찰을 이용하는 것, 래치형 연결을 이용하는 것, 스레드형 연결을 이용하는 것 등의 다른 임의의 유형의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특징부들(290, 292)은 각 엠보스먼트들(290a)과 레지들(292a)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탭, 노치, 포스트, 개구부, 래치, 클립, 클램프, 스레드형 파스너 등의 다른 임의의 유형의 연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과 도 11은 각각 플러그(214)의 일부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플러그 하우징(234)은 명료해지도록 도 10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전력 케이블(218)은 와이어들(244) 및 와이어들(244)을 유지하는 절연성 재킷(278)을 포함한다. 전력 케이블(218)은 단부(28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전력 케이블(218)은 와이어들(244) 중 두 개를 포함한다. 그러나, 전력 케이블(218)은 임의의 개수의 와이어들(244)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력 케이블(218)의 각 와이어(244)는 스트랜드형 와이어 컨덕터일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고체 컨덕터일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214)는 리드프레임 조립체(260)를 포함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리드프레임 조립체(260)는 두 개의 리드프레임, 즉, 제1 리드프레임(364)과 제2 리드프레임(366)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364, 366)은 플러그(214)를 위한 제1 및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한다.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364, 366)은 전력 케이블(218)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244)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는 두 개의 와이어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리드프레임 조립체(360)는 임의의 개수의 리드프레임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제1 리드프레임(364)은 플러그(214)의 양의 단자를 규정하고 제2 리드프레임(366)은 플러그(214)의 음의 단자를 규정한다.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서로 다른 그룹들(도 11에는 보이지 않음)은 제1 및 제2 리드프레임(364, 366)에 의해 함께 그룹화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214)는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242)을 포함하고, 플러그 컨택트들(242) 중 4개는 제1 리드프레임(364)에 연관된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제1 그룹을 규정하고, 플러그 컨택트들(242) 중 다른 4개는 제2 리드프레임(366)에 연관된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제2 그룹을 규정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조립시 제1 리드프레임(364)과 제2 리드프레임(366)은 수직으로 적층되고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플러그 하우징(234)의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정합 단부(236)에서 인터네스팅된다.
제1 리드프레임(364)은, 공통화 패드(370), 공통화 패드(370)로부터 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242), 및 공통화 패드(370)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 레그(372)를 포함한다. 공통화 패드(370)는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제1 그룹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공통화 패드(3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들(242)과 공통화 패드(370)는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제1 리드프레임(364)을 형성할 수 있다.
종단 레그(372)는 전력 케이블(218)의 대응하는 와이어들(244)에 종단되도록 위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종단 레그(372)는 와이어(244)를 뚫도록 구성된 스파이크들(374)을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제1 리드프레임(364)을 와이어(244)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종단 특징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단 레그(372)는 절연성 변위 컨택트, 크림프 배럴, 스프링 빔, 또는 다른 유형의 종단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드프레임(366)은, 공통화 패드(380), 공통화 패드(380)로부터 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242), 및 공통화 패드(308)로부터 역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단 레그(382)를 포함한다. 공통화 패드(380)는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제2 그룹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한다.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컨택트들(242)은 공통화 패드(380)와 일체 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들(242)과 공통화 패드(380)는 금속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리드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종단 레그(382)는 전력 케이블(218)의 대응하는 와이어들(244)에 종단되도록 위치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종단 레그(382)는 와이어(244)를 뚫도록 구성된 스파이크들(384)을 포함한다.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제2 리드프레임(366)을 와이어(244)에 전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종단 특징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종단 레그(382)는 절연성 변위 컨택트, 크림프 배럴, 스프링 빔, 또는 다른 유형의 종단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1만을 참조해 보면, 스터퍼 캡(262)과 플러그 하우징(234)은 스터퍼 캡(262)을 플러그 하우징(234)에 대하여 폐쇄된 위치에 고정하도록 고정 특징부들(291, 293)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터퍼 캡(262)의 고정 특징부(291)는 스터퍼 캡(262) 내로 연장되는 윈도우(291a)이다. 플러그 하우징(234)의 고정 특징부(293)는, 스냅 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윈도우(291a) 내에 수용되어 스터퍼 캡(262)을 폐쇄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엠보스먼트(293a)를 구성한다. 플러그 하우징(234)이 엠보스먼트(293a)를 포함하고 스터퍼 캡(262)이 윈도우(291a)를 포함하도록 엠보스먼트(293a)와 대응하는 윈도우(291a)의 배치를 역으로 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스터퍼 캡(262)의 벽(295)을 완전하게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대안으로, 윈도우(291a)는 벽(295)을 완전하게 관통하여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즉, 윈도우(291a)는 벽(295)의 내측(297) 내로 연장되지만 벽(295)을 완전하게 관통하여 연장되지는 않는 노치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하우징(234) 내로 연장되는 임의의 윈도우(291a)는 플러그 하우징(234)의 대응하는 벽을 완전하게 관통하여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스터퍼 캡(262)은 임의의 개수의 고정 특징부들(291)을.포함할 수 있고, 플러그 하우징(234)은 임의의 개수의 고정 특징부들(293)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다른 구성을 이용하여 스터퍼 캡(262)을 폐쇄 위치에 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특징부들(291, 293)은 스냅 끼워맞춤 연결을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억지 끼워맞춤(즉, 가압 끼워맞춤) 연결을 이용하는 것, (예를 들어, 피봇 액슬에서) 스터퍼 캡(262)과 플러그 하우징(234) 간의 정지 마찰을 이용하는 것, 래치형 연결을 이용하는 것, 스레드형 연결을 이용하는 것 등의 다른 임의의 유형의 연결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특징부들(291, 293)은 각 윈도우(291a)와 엠보스먼트(293a)로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탭, 노치, 포스트, 레지, 래치, 클립, 클램프, 스레드형 파스너 등의 다른 임의의 유형의 연결 구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10과 도 11을 참조해 보면, 스터퍼 캡(262)은 전력 케이블(218)의 단부(28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채널(282)을 포함한다. 케이블 채널(282)은 스터퍼 캡(262)의 하나 이상의 내측(284)에 의해 규정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채널(282)은, 케이블 채널(282)이 스터퍼 캡(262)의 4개의 내측(282a, 282b, 282c, 282d)에 의해 규정되도록 계란형의 (도 12에 가장 잘 보임) 대략 단면 형상을 갖는다. 내측(282d)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각 내측(282a 내지 282d)은 케이블 채널(282)의 일부를 규정한다. 다시 말하면, 각 내측(282a 내지 282d)은 케이블 채널(282)의 단면 둘레의 구획을 규정한다. 케이블 채널(282)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고 설명하는 계란형 단면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케이블 채널(282)은 임의의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스터퍼 캡(262)의 임의의 개수의 내측(252)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케이블 채널(282)은, 케이블 채널(282)의 단면 둘레의 전체를 적절히 규정하는 스터퍼 캡(262)의 단일 내측(282)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케이블 채널(282)은 임의의 크기와 형상을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임의의 크기와 형상(예를 들어, 임의의 단면 크기와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케이블 채널(282)의 크기 및/또는 형상은, 케이블 채널(282)이 서로 다른 다양한 케이블 크기 및/또는 형상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도록, 구성된다.
스터퍼 캡(262)은 스터퍼 캡(262)을 통해 케이블 채널(282) 내로 연장되는 슬롯(286)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슬롯(286)은 내측(284c)을 포함하는 스터퍼 캡(262)의 벽(288)을 통해 연장된다. 슬롯(286)은 슬롯(286)의 단부(290)가 케이블 채널(282)과 연통하도록 벽(288)의 내측(284c)을 통해 연장된다. 슬롯(286)은 슬롯의 대향 단부(292)가 개방되도록 벽(288)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롯(286)은, 스터퍼 캡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되면 장력 완화 부재(296)의 일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장력 완화 부재(296)가 전력 케이블(218)과 체결하도록 구성된다. 직사각형의 대략 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슬롯(286)은, 장력 완화 부재(296)가 전력 케이블(218)과 체결하도록 슬롯(286)이 장력 완화 부재(296)를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다른 임의의 형상(및 임의의 크기)을 가질 수 있다.
간략히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214)는 장력 완화 부재(296)를 포함한다. 장력 완화 부재(296)는, 선택 사항으로, 플러그 컨택트들(24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리드프레임(366)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장력 완화 부재(296),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제2 그룹, 및 공통화 패드(380)는 일체형 구조로서의 재료 시트로부터 스탬핑되어 리드프레임(366)과 장력 완화 부재(296)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리드프레임(364)과 일체 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른 일부 대체 실시예들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플러그 하우징(234)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장력 완화 부재(296)와 플러그 하우징(234)은 동일한 주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장력 완화 부재(296)는 플러그 하우징(234)에 의해 유지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리드프레임(366)은, 장력 완화 부재(296)가 플러그 하우징(234)에 의해 유지되도록 플러그 하우징(234)에 의해 유지된다. 장력 완화 부재(296)가 플러그 하우징(234)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실시예들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플러그 하우징(234)에 의해 유지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리드프레임(366)의 공통화 패드(38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장력 완화 부재(296)는 공통화 패드(380)로부터 장력 완화 부재(296)의 베이스(298)로 외측으로 연장되는 브리지(294)를 포함한다. 그러나, 장력 완화 부재(296)는,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리드프레임(366)의 다른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들(242)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장력 완화 부재(296)는 베이스(298)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스프링 빔(300)은 베이스(298)로부터 캔틸레버된다. 구체적으로, 각 스프링 빔(300)은, 스프링 빔(300)이 베이스(298)로부터 캔틸레버되도록 베이스(298)로부터 연장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장력 완화 부재(296)는 2개의 스프링 빔(300a, 300b)을 포함한다. 그러나, 장력 완화 부재(296)는 임의의 개수의 스프링 빔(30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 빔들(300)은, 전력 케이블(218)과 체결하여 스터퍼 캡(262)과 스프링 빔들(304) 사이에서 전력 케이블(218)을 집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빔들(300a, 300b)의 각각을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스프링 빔이라 칭할 수 있다.
스프링 빔(300a)은 베이스(298)로부터 스프링 빔(300a)의 단부(302)로 연장된다. 스프링 빔(300b)은 베이스(298)로부터 스프링 빔(300a)의 단부(304)로 연장된다. 도 10과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스프링 빔들(300a, 30b)은, 단부들(302, 304)이 대략 서로 대향하도록(즉, 대면하도록) 베이스(298)로부터 연장된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단부들(302, 304)은 자유 단부들이다. 그러나, 대안으로, 단부들(302, 304)은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로 형성된 후 기계적으로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스프링 빔들(300)은, 스프링 빔들(300)이 전력 케이블(218)과 체결되면 편향되도록 구성된 탄성 스프링들이다. 예시한 실시예에서, 스프링 빔들(300a, 300b)의 단부들(302, 304)은, 단부들(302, 304)이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화살표 A 방향으로 편향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방향 A는, 스프링 빔들(300a, 300b)의 단부들(302, 304)이 각각 대략 장력 완화 부재(296)의 베이스(298)를 향하여 그리고 대략 플러그 하우징(234)의 베이스(306)를 향하여 편향하도록 구성되도록, 배향된다. 선택 사항으로, 단부들(302, 304)은, 단부들(302, 304)이 장력 완화 부재(296)의 베이스(298)와 물리적으로 접하면서 체결하도록, 상당히 충분한 거리만큼 편향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빔들(300)은, 선택 사항으로, 대략 플러그 하우징(234)의 정합 단부(236)를 향하는 방향으로 (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축(215)에 대하여 경사진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빔들(300a, 300b)은 연결 축(215)에 대하여 예각 α로 경사진다. 예각 α는, 약 60도 내지 약 85도 범위, 약 86도 미만 등의 임의의 값일 수 있지만, 이러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프링 빔들(300)이 플러그 하우징(234)의 정합 단부(236)를 향하여 경사지는 실시예들에서, 스프링 빔들(300)은, 스프링 빔들(300)이 전력 케이블(218)과 체결하면 정합 단부(236)를 향하여 약간 편향한다. 각도 α는, 스프링 빔들(300)이 베이스(298)와 체결하도록 방향 A로 충분히 많은 양만큼 편향하더라도 스프링 빔들(300)이 베이스(298)와 체결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작을 수 있다(즉, 스프링 빔들(300)은 베이스(298)와 체결하는 것 대신에 베이스(298)와 중첩된다).
이제, 플러그(214)의 조립을 설명한다. 스터퍼 캡(262)이 도 10과 도 11에 도시한 미리 구성된 위치에 있으면 전력 케이블(218)이 스터퍼 캡(262)의 케이블 채널(282) 내에 로딩될 수 있다. 일단 전력 케이블(218)의 단부(280)가 케이블 채널(282) 내에 완전히 수용되면, 스터퍼 캡(262)이 미리 구성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피봇팅될 수 있다. 스터퍼 캡(262)이 폐쇄 위치로 이동되면, 스터퍼 캡(262)은, 스파이크들(374, 384)이 와이어들(244)의 절연체를 강제로 관통하게 함으로써, 와이어들(244)을 리드프레임 조립체(6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한다.
도 12는 조립된 상태의 플러그(214)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스터퍼 캡(262)은, 도 12에서 명료해지도록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제 도 11과 도 12를 참조해 보면, 스터퍼 캡(262)이 미리 구성된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피봇팅하면, 장력 완화 부재(296)의 스프링 빔들(300)이 스터퍼 캡(262)의 슬롯(286) 내로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스터퍼 캡(262)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하면 스프링 빔들(300)이 슬롯(286) 내로 연장되어 전력 케이블(218)의 절연성 재킷(278)과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체결된다. 이제 도 12만을 참조해 보면, 각 스프링 빔(300a, 300b)은 전력 케이블(218)의 절연성 재킷(278)과 체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터퍼 캡(262)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하면 스프링 빔들(300)과 절연성 재킷(278)이 체결함으로써, 스프링 빔들(300)의 단부들(302, 304)이 해당 바이어스에 저항하며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편향한다. 따라서, 스프링 빔들(300)은, 스프링 빔들(300)과 스터퍼 캡(262)의 내측(284a) 사이에서 전력 케이블(218)을 집는다. 또한, 스프링 빔들(300)은 플러그 하우징(234)의 (도 8, 도 9, 도 11에 도시한) 정합 단부(236)를 향하여 약간 편향할 수 있고, 이는 통상적인 케이블 인력의 대략 반대 방향으로 장력 완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편향에 저항하는 스프링 빔들(300)의 자연적 바이어스는 스터퍼 캡(262)의 내측(284a)과 스프링 빔(300) 사이에서 전력 케이블(218)을 집는 힘을 전력 케이블(218)에 가한다. 집는 힘은 전력 케이블(218)에 장력 완화를 제공한다. 스프링 빔들(300)의 편향에 저항하도록 기능하는 스프링 빔들(300)의 자연적 바이어스 힘은,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소정의 집는 힘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 소정의 집는 힘은, 전력 케이블(218)이 내측(284a)과 스프링 빔들(300)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압축되도록 선택된다. 전력 케이블(218)은 임의의 양만큼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집는 힘은, 전력 케이블(218)의 절연성 재킷(278)이 스프링 빔들(300) 및/또는 내측(284a)에 의해 절단(예를 들어, 관통)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다.
스프링 빔들(300)의 편향은, 장력 완화 부재(296)가 서로 다른 다양한 케이블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하여 장력 완화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스프링 빔들(300)의 편향은, 동일한 장력 완화 부재(296)가 서로 다른 크기의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케이블들(218)과 함께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스프링 빔들(300)의 편향은, 케이블들의 절연성 재킷을 절단하지 않고 장력 완화 부재(296)가 서로 다른 다양한 케이블 크기 및/또는 형상에 대하여 장력 완화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각 스프링 빔(300)은, 임의의 양만큼 편향할 수 있고, 장력 완화 부재(296)가 케이블에 장력 완화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임의의 자연스러운 바이어스 힘을 가질 수 있다.
RJ-45 정합 인터페이스를 갖는 전력 커넥터들을 규정하는 플러그들(14, 114, 214)을 제공한다. 플러그 컨택트들(42, 142, 242)은 플러그들(14, 114, 214)의 전력 단자들을 규정하는 리드프레임들의 일부로서 전기적으로 공통화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들(42, 142, 242)을 전기적으로 함께 공통화함으로써, 플러그 컨택트들 중 하나 또는 둘 만이 전류를 반송하는 전기적 연결에 비해 플러그들(14, 114, 214)에 대한 더욱 높은 전류 반송 능력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모듈형 플러그(14, 214)로서,
    정합 단부(36)와 케이블 단부(38)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34)과,
    상기 정합 단부에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은 RJ-45 모듈형 플러그 정합 인터페이스를 규정하도록 성형되고 위치 설정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은 제1 그룹과 제2 그룹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공통화되어(commoned) 제1 전력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의 각각은 전기적으로 공통화되어 제2 전력 회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전력 회로와 상기 제2 전력 회로는 케이블(18)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44)에 종단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42)의 제1 그룹과 제2 그룹 각각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3. 제1항에 있어서, 8개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은 상기 제1 그룹의 4개의 플러그 컨택트들과 상기 제2 그룹의 4개의 플러그 컨택트들로 된 것인, 모듈형 플러그(14, 21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42)은 상기 정합 단부(36)를 따라 정렬되고 균등하게 이격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은 잭(12)의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20)과 정합 체결하도록 노출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34)은 상기 정합 단부(36)에 인접하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52)로부터 연장되는 래치(5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은 잭(12)에 대응하는 정합 컨택트들(20)과 정합 체결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46)를 따라 노출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블(18)의 서로 다른 와이어들(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채널들(94)을 갖는 스터퍼 캡(stuffer cap; 6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터퍼 캡은, 상기 스터퍼 캡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폐쇄되면 상기 와이어들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전력 회로 및 상기 제2 전력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34)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모듈형 플러그(14, 214).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 캡(62)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피봇 결합되고, 상기 스터퍼 캡은 피봇팅되어 폐쇄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 캡(62)은 상기 스터퍼 캡을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고정하도록 상기 플러그 하우징(34)에 결합된 고정 특징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9.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통화 패드(70)와 제2 공통화 패드(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화 패드는 상기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을 전기적으로 공통화하고, 상기 제2 공통화 패드는 상기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공통화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42)은 상기 제1 공통화 패드(70)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은 상기 제2 공통화 패드(80)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42)과 상기 제1 공통화 패드(70)는 제1 리드프레임(64)으로부터 스탬핑되고, 상기 제2 그룹의 플러그 컨택트들과 상기 제2 공통화 패드(80)는 제2 리드프레임(74)으로부터 스탬핑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화 패드(70)는, 상기 케이블(18)의 대응하는 와이어(44)에 종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공통화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1 종단 레그(7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공통화 패드(80)는, 상기 케이블의 대응하는 와이어에 종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공통화 패드로부터 연장되는 제2 종단 레그(82)를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결합되고, 케이블(218)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케이블 채널(282)을 포함하는 스터퍼 캡(262) - 상기 스터퍼 캡은 상기 케이블 채널의 적어도 일부를 규정하는 내측(284)을 포함함 - 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는 장력 완화 부재(296)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완화 부재는, 스프링 빔이 베이스로부터 캔틸레버(cantilever)되도록 베이스(298)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스프링 빔(300)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빔은 상기 케이블과 체결하고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 빔과 상기 스터퍼 캡의 내측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을 집도록(pinch) 구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300)은, 상기 스프링 빔이 상기 케이블(218)과 체결되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234)의 베이스(306)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빔(300)은 제1 스프링 빔(300a)이고, 상기 장력 완화 부재(296)는, 상기 제1 스프링 빔과 제2 스프링 빔이 서로 대향하도록 상기 장력 완화 부재의 베이스(298)로부터 캔틸레버된 제2 스프링 빔(300b)을 더 포함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퍼 캡(262)은, 상기 스터퍼 캡이 폐쇄 위치로 피봇팅되면 상기 케이블(218)의 와이어들(244)을 가압하여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242)과 전기적으로 접촉시키도록 상기 스터퍼 캡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플러그 하우징(234)에 피봇 결합되고, 상기 스터퍼 캡은 상기 스터퍼 캡을 통해 상기 케이블 채널(282) 내로 연장되는 슬롯(286)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스프링 빔이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과 체결하도록 상기 스터퍼 캡이 상기 폐쇄 위치로 피봇팅되면 상기 장력 완화 부재(296)의 스프링 빔(3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완화 부재(296)는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242)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18. 제13항에 있어서, 공통화 패드(380)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그룹을 포함하는 리드프레임(3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완화 부재(296)는 상기 공통화 패드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모듈형 플러그(14, 214).
  19. 제13항에 있어서, 서로 전기적으로 공통화된 상기 플러그 컨택트들(242)의 그룹을 포함하는 리드프레임(3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장력 완화 부재(296)는 상기 리드프레임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34)은 정합 단부(236)로부터 케이블 단부(238)로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 빔(300)은, 상기 스프링 빔이 상기 케이블(218)과 체결되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정합 단부를 대략 향하는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된, 모듈형 플러그(14, 214).
KR1020130096515A 2012-08-15 2013-08-14 모듈형 플러그 KR201400227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86,408 US8714994B2 (en) 2012-08-15 2012-08-15 Modular plug for power applications
US13/586,408 2012-08-15
US13/763,007 2013-02-08
US13/763,007 US8979574B2 (en) 2012-08-15 2013-02-08 Modular pl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736A true KR20140022736A (ko) 2014-02-25

Family

ID=4895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6515A KR20140022736A (ko) 2012-08-15 2013-08-14 모듈형 플러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9574B2 (ko)
EP (1) EP2698873B1 (ko)
JP (1) JP6241991B2 (ko)
KR (1) KR20140022736A (ko)
CN (1) CN10363348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2848A1 (en) * 2016-05-04 2017-11-09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Large conductor industrial plug
US10707495B2 (en) 2017-07-26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diffusion layer for metal-air battery, metal-air battery including the gas diffus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air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40761S1 (en) * 2014-04-04 2015-10-13 Mitchell J Cullins Data port plug and labeling apparatus
US9923316B1 (en) * 2014-04-13 2018-03-20 Jarrod Little Model railroad accessory interface
US9385466B2 (en) * 2014-10-29 2016-07-05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tention features for cable assembly of a pluggable connector
DE202014106058U1 (de) 2014-12-15 2015-01-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GB2547958B (en) 2016-03-04 2019-1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o-wire plug and receptacle
MX2019003036A (es) 2016-09-23 2019-07-18 Hubbell Inc Conector electrico para cables que contienen tanto conductores de potencia como de control.
CN115313081A (zh) 2017-04-24 2022-11-08 康普技术有限责任公司 用于单个扭绞导体对的连接器
JP2021529451A (ja) 2018-06-19 2021-10-28 アイディーエーシ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異なる信頼度を有するデータを転送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デバイス
WO2020007952A1 (de) * 2018-07-03 2020-01-09 Aqueous Group Ag Verbindungsvorrichtung
WO2020006586A1 (de) * 2018-07-03 2020-01-09 Bertelt Peter Verbindungsvorrichtung
WO2020190758A1 (en) 2019-03-15 2020-09-2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CN111430985A (zh) * 2020-04-29 2020-07-17 杭州依玲凌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宽带接入技术可直接压合的网络水晶头
US11476623B2 (en) * 2020-11-05 2022-10-18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Staggered contact
WO2022104121A1 (en) * 2020-11-13 2022-05-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mpliant mechanism tool for connector termin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1330A (en) * 1997-09-03 1999-09-14 Lucent Technologies Inc. Alignment apparatus for use in the jack interface housing of a communication plug
JP3741349B2 (ja) * 1999-06-15 2006-02-01 矢崎総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EP1687869A4 (en) * 2003-11-19 2008-02-20 Siemon Co KABELABSCHIRMKONTAKT
EP1693933A1 (de) 2005-02-17 2006-08-23 Reichle & De-Massari AG Steckverbinder für die Datenübertragung über elektrische Leiter
DE102006049563B3 (de) 2006-10-20 2008-04-17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mit verbesserter Kabelzugentlastung
DE102008064535A1 (de) * 2008-12-19 2010-06-24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Verbindungsstecker
CN202259790U (zh) * 2011-08-19 2012-05-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8714994B2 (en) * 2012-08-15 2014-05-0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odular plug for power applica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2848A1 (en) * 2016-05-04 2017-11-09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Large conductor industrial plug
US9899765B2 (en) 2016-05-04 2018-02-20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Large conductor industrial plug
US10707495B2 (en) 2017-07-26 2020-07-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s diffusion layer for metal-air battery, metal-air battery including the gas diffusion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etal-air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33483B (zh) 2017-04-12
JP2014038847A (ja) 2014-02-27
EP2698873A1 (en) 2014-02-19
US20140051278A1 (en) 2014-02-20
CN103633483A (zh) 2014-03-12
US8979574B2 (en) 2015-03-17
EP2698873B1 (en) 2017-01-11
JP6241991B2 (ja) 201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22736A (ko) 모듈형 플러그
TWI407646B (zh) 用於板安裝及電纜應用之模組的連接器家族
JP252566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成端カバ―
US5934942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46283B2 (en) Terminal housing for a communication jack assembly
US10476197B2 (en) Coupler connector and cable terminator with side contacts
US4838811A (en) Modular connector with EMI countermeasure
US7762846B1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 back shell
US8714994B2 (en) Modular plug for power applications
US8662927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US2006022894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function latching member
EP0515963A2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KR101534997B1 (ko) 하네스 커넥터
US202301878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with hybrid connection for conductive terminals
US6447326B1 (en) Patch cord connector
US8870606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o cables
JP2013152841A (ja) コネクタ装置
CA1128619A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system
EP1171933B1 (en) Patch cord connector
CN215266964U (zh) 线端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EP0235193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0299167A (ja) 電気コネクタ
CN115084953A (zh) 线端连接器和电连接器组件
US4553800A (en) Low profile modular pl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