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2264A -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 Google Patents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2264A
KR20140022264A KR1020120088672A KR20120088672A KR20140022264A KR 20140022264 A KR20140022264 A KR 20140022264A KR 1020120088672 A KR1020120088672 A KR 1020120088672A KR 20120088672 A KR20120088672 A KR 20120088672A KR 20140022264 A KR20140022264 A KR 20140022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platform
rail
offshore wind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6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54337B1 (en
Inventor
임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8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337B1/en
Publication of KR20140022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2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3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E02B3/064Floating landing-s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6Fen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generator is disclosed. A mo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an offshore wind generator comprising a tower, and comprises a penetration unit which a tower is penetrated; a floating platform which is for a vessel approaching to the tower to be moored; and a pass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assage connecting an entranc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wer from the platform.

Description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0001]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0002]

본 발명은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통상적으로 해상풍력발전기와 관련된 인원 및 장비는 선박을 통해 운송된다. 인원 및 장비가 선박에서 해상풍력발전기로 옮겨지는 종래 방식을 살펴보면, 인원 및 장비를 실은 선박이 해상풍력발전기의 타워에 접근한다. 그리고 타워에 형성된 사다리 또는 케이블을 이용하여 선박에 실린 인원 및 장비가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로 이동된다.Personnel and equipment normally associated with offshore wind turbine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vessel. Looking at the conventional way in which personnel and equipment are transferred from the ship to the offshore wind turbine, the vessel carrying the personnel and equipment approaches the tower of the offshore wind turbine. The ladder or cable formed on the tower is used to move the personnel and equipment on the vessel to the entrance formed on the side of the tower.

이와 같은 종래 방식의 경우, 인원 및 장비의 이동을 위해 선박이 타워에 접근해야 하기 때문에 선박과 타워의 충돌 위험이 있다. 그리고 사다리 또는 케이블에 의해 인원 및 장비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인원 및 장비의 이동이 매우 제한적이고, 해수면의 높낮이 변화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 인원 및 장비의 추락 등 사고 위험이 높다.In such a conventional system, there is a risk of collision between the ship and the tower because the ship has to approach the tower in order to move personnel and equipment. Since personnel and equipment must be moved by a ladder or cable, the movement of personnel and equipment is very limited, and there is a high risk of accidents such as personnel and equipment falling due to difficulty in responding to changes in sea level.

그리고 해상풍력발전기의 유지 및 정비를 위한 선박으로 작은 배수량을 갖는 쾌속선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배수량이 작은 쾌속선은 해상 조건이 나빠지는 경우 해상풍력발전기로의 접근이 제한된다.It is a common practice to use a fast ship with small displacement as a vessel for the maintenance and maintenance of offshore wind turbines. In this way, when the marine conditions deteriorate, access to the offshore wind turbine is limit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안정적으로 계류되고 인원 및 장비 등이 선박과 타워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in which a ship approaching a tower stably stays and a person, equipment, and the like are stably moved between the ship and the tow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로서, 상기 타워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계류 가능하도록 부유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계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oring apparatus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including a tower, comprising: a platform form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tower penetrates; And a passage providing portion for providing a passage connecting an entranc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ower in the platform.

이때,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랫폼과 상기 타워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 롤러부가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penetration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riction prevention roller for preventing friction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tower.

이때, 상기 마찰 방지 롤러부는 상기 플랫폼에 완충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can be buffered and supported on the platform.

한편,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선박이 유입 가능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접안부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atform may be formed with an eyepiece which is opened to the side so that the ship can flow in.

한편,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passage providing unit may include a body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 a helical shape about the tower and supported by the platform to rotate about the tower; And moving means for rotating the body around the tower.

이때,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플랫폼 상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means includes: a rail formed on the platform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bout the tower; A rail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into which the rail is inserted; And a contact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and rotates in contact with the rail.

한편,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 또는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inclined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or a stepped shape.

한편,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몸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assage provid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that provides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body when the body rotates about the tower.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에 고정 지지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ing motor fixedly supported on the platform; A driving gear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a driven gear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driving gea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풍력발전기의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은 부유식 플랫폼에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고 플랫폼과 타워의 출입구 사이에 제공된 통로를 통해 인원 및 장비 등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ip approaching a tower of an offshore wind turbine can stably moor to a floating platform, and movement of personnel and equipment can be performed smoothly through a passage provided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entrance of the tower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포함된 플랫폼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찰 방지 롤러의 설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랫폼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통로 제공부에 포함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oring apparatus for a marin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mooring apparatus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form included in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ounting cross section of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shown in FIG. 4,
Figure 6 is a view of a variant of the platform shown in Figure 1,
7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shown in Fig. 1,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shown in FIG. 1,
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part included in the passage providing part shown in FIG. 1,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에 포함된 플랫폼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oring apparatus for a marin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a mooring apparatus for a marin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tform included in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an exampl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10)(이하, 계류 장치(10)라 함)는 플랫폼(100)과 통로 제공부(3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계류 장치(10)는 해상풍력발전기(1)로 접근하는 선박(미도시)을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고 선박과 해상풍력발전기(1) 사이의 인원(미도시) 및 장비(미도시)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1 to 3, a mooring apparatus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oring apparatus 10) for an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atform 100 and a channel providing unit 300. Such a mooring device 10 is capable of stably mooring a ship (not shown) approaching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1 and capable of reliably mooring personnel (not shown) and equipment (not shown) between the ship and 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1, And the like can be smoothly moved.

해상풍력발전기(1)는 타워(5)를 포함할 수 있고, 타워(5)의 측면에는 출입구(5a)가 형성될 수 있다. 인원 및 장비 등은 출입구(5a)를 통해 타워(5)의 내부 및 외부 사이를 출입할 수 있다.The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1 may include a tower 5 and an entrance 5a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tower 5. Personnel and equipment can go in and out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tower 5 through the entrance 5a.

플랫폼(100)은 타워(5)로 접근하는 선박을 계류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식으로 제작된다. 선박이 플랫폼(100)에 계류되면 선박과 타워(5)의 충돌을 피할 수 있고, 풍랑이 심한 경우에도 선박은 안정적으로 정박할 수 있다.The platform 100 is floatably constructed for mooring a ship approaching the tower 5. When the ship is moored to the platform 100, collision between the ship and the tower 5 can be avoided, and even if the storm is severe, the ship can be stably stowed.

플랫폼(100)은 부력을 조절하는 발라스트 탱크(미도시)를 포함하거나 비중이 낮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플랫폼(100)에 계류하는 선박과 타워(5) 사이에서 상호 이동하는 인원 및 장비 등은 플랫폼(100)을 경유하여 이동할 수 있다.The platform 100 may include a ballast tank (not shown) for controlling buoyancy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of low specific gravity. Personnel and equipment moving with each other between the ship mooring to the platform 100 and the tower 5 can be moved via the platform 100.

플랫폼(100)에는 선박을 계류할 때 사용하는 계류삭(Anchoring rope)을 매는 계선주(Mooring post)(110)가 형성될 수 있다. 계선주(110)는 플랫폼(1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platform 100 may be provided with a mooring post 110 that hangs an anchorage rope used when mooring the ship. The cradle 110 may be disposed at the edge of the platform 1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에는 타워(5)(도 1, 2 참조)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120)가 형성된다. 관통부(120)는 플랫폼(1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관통부(120)가 형성된 플랫폼(100)은 해수면(W)(도 2 참조)의 변화에 따라 타워(5)의 길이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platform 100 is formed with a penetration portion 120 through which the tower 5 (see FIGS. 1 and 2) is disposed. The perforations 120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latform 100,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platform 100 on which the penetration portion 120 is formed can rise and desc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wer 5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sea level W (see Fig. 2).

도 4는 도 3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마찰 방지 롤러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shown in Fig.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관통부(120)의 내측면에는 마찰 방지 롤러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타워(5)(도 1, 2 참조)의 측면과 접촉 가능한 롤러(151) 및 롤러(151)를 플랫폼(10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브라켓(152)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a friction preventing roller unit 150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netrating part 120. The anti-friction roller unit 150 includes a roller 151 and a bracket 152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roller 151 and the roller 151 that can contact the side surface of the tower 5 (see FIGS. 1 and 2) .

이와 같이 구성된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해수면(W)(도 2 참조)의 변화에 따라 플랫폼(100)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롤러(151)가 관통부(120)의 내측면 보다 타워(5)의 측면에 먼저 접촉하여 회전하도록 작동함으로써 플랫폼(100)과 타워(5)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The friction-preventing roller unit 15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oller 151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relativ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enetration portion 120 in the process of the platform 100 ascending and descend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ea surface W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platform 100 and the tower 5 from occurring.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플랫폼(100)에 완충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랫폼(100)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타워(5)가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충격할 때 해당 충격이 완충될 수 있다.The anti-friction roller portion 150 can be buffer-supported on the platform 100. In this case, the impact can be buffered when the platform 100 is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ower 5 impacts the anti-friction roller portion 150.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플랫폼(100) 사이에 완충 수단(160)이 개재될 수 있다.The buffering means 160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150 and the platform 100. [

완충 수단(16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6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압 실린더(161)는 실린더부(162)와 실린더부(162)에 삽입되는 피스톤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ffering means 160 may include a hydraulic cylinder 161 as shown in Fig. The hydraulic cylinder 161 may include a cylinder portion 162 and a piston portion 163 inserted into the cylinder portion 162.

실린더부(162)는 플랫폼(1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플랫폼(10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 부재(13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실린더부(162)에서 연장되는 피스톤부(163)는 플랫폼(100)을 관통하여 관통부(120) 내에 배치된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결합된다.The cylinder portion 162 may be disposed inside the platform 100 and may be fixedly supported on the support member 130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platform 100. The piston portion 163 extending from the cylinder portion 162 penetrates the platform 100 and is engaged with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150 dispos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120.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실린더(161)는 타워(5)(도 1 참조)가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충격하면, 마찰 방지 롤러부(150)를 플랫폼(100)에 대해 완충 지지한다.The hydraulic cylinder 161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ushions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150 against the platform 100 when the tower 5 (see FIG. 1) impacts the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150.

대안적으로 완충 수단(16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찰 방지 롤러부(150)와 플랫폼(100)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buffering means 160 may include a spring, not shown, but interposed between the anti-friction roller portion 150 and the platform 100.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일 수 있고, 복수의 마찰 방지 롤러부(150)는 관통부(120)의 내측면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3, and a plurality of the friction-preventing roller portions 150 may be spaced apar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penetration portion 120. The friction-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플랫폼(100)은 상측에서 볼 때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선박(미도시)은 플랫폼(100)의 4개의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계류할 수 있다.1 and 3, the platform 1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In this case, the ship (not shown) can be moored using any one of the four sides of the platform 100.

선박이 플랫폼(100)의 측면들 중 어느 하나에 계류하면, 선박의 일 측면만이 플랫폼(100)과 마주보게 된다. 이 경우, 선박과 마주보는 플랫폼(100)의 측부에 마련된 계선주(110)에 계류삭을 매어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When the ship is moored to one of the sides of the platform 100, only one side of the ship faces the platform 100. In this case, the mooring line can be moored to the mooring line 11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platform 100 facing the ship to moor the ship.

도 6을 참조하면,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플랫폼(100)이 변형된 플랫폼(101)이 제안될 수 있다. 플랫폼(101)에는 오목한 접안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접안부(105)는 플랫폼(101)의 측면으로 개방된다. 접안부(105)에는 선박(미도시)이 유입될 수 있고, 접안부(105)에 유입된 선박은 3 면이 접안부(105)의 내측면들과 마주볼 수 있다. 이 경우, 접안부(105)의 주변에 배치된 계선주(110)에 계류삭(미도시)을 매어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a modified platform 101 may alternatively be proposed, in which the platform 100 shown in Fig. 1 is modified. A concave eyepiece section 105 may be formed on the platform 101. The eyepiece 105 is opened to the side of the platform 101. [ A ship (not shown) may be introduced into the eyepiece section 105, and three sides of the ship introduced into the eyepiece section 105 may face the inside surfaces of the eyepiece section 105. In this case, a mooring rope (not shown) can be attached to the mooring 110 disposed around the eyepiece 105 to moor the ship.

이와 같이 선박을 접안부(105)에 유입시켜 플랫폼(101)에 계류하면, 보다 안정적으로 선박을 계류할 수 있다.When the ship enters the eyepiece section 105 and moored to the platform 101, the ship can be moored more stably.

도 1 및 2를 참조하면, 타워(5)의 출입구(5a)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해수면(W)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해상에 부유하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에 높이차가 발생하여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가 필요하다.1 and 2,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sea surface W to prevent inflow of seawater. Therefore, a height difference is generated between the floating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and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is requir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통로 제공부(300)는 플랫폼(100)에서 타워(5)의 출입구(5a)까지 연장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 경우, 플랫폼(100)에 계류된 선박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에서 인원 및 장비 등이 제공된 통로를 경유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ssage providing portion 300 provides a passage extending from the platform 100 to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In this case, the ship moored to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can safely be moved via a passage provided with personnel and equipment.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몸체의 일부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7 is a bottom view of the body shown in FIG. 1, and FIG. 8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shown in FIG. 1.

도 1, 2, 3, 7 및 8을 참조하면, 통로 제공부(300)는 몸체(310)와 이동 수단(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2, 3, 7 and 8, the passage providing part 300 may include a body 310 and a moving part 330.

몸체(310)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구조물로서 플랫폼(100)에 지지될 수 있다. 몸체(310)는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플랫폼(100)에 지지된다.The body 310 may be supported on the platform 100 as a structure forming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The body 310 is supported on the platform 100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tower 5.

몸체(310)에는 타워(5)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310 may have an inclined portion 311 extending in a helical shape about the tower 5.

경사부(311)의 적어도 일부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플랫폼(100)은 해수면의 변화에 따라 승강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랫폼(100)의 상면에서 출입구(5a)까지의 높이는 변할 수 있다. 이때, 플랫폼(100)에서 출입구(5a)까지의 높이에 따라 경사부(311)의 전체 또는 일부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되는 과정은 후술한다.At least a part of the inclined portion 311 can be used as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 In this regard, the height of the platform 100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100 to the entrance 5a may vary because the platform 100 can ascend and desce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a level. At this time, all or a part of the inclined portion 311 may be used as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depending on the height from the platform 100 to the entrance 5a. The process in which the inclined portion 311 is used as a path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will be described later.

경사부(3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는 경사부(311)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계단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inclined portion 311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shape as shown in FIG. Or the inclined portion 311 may have a stepped shape although not shown.

경사부(311)의 너비는 타워(5)의 출입구(5a)를 출입하는 인원 및 장비 등의 규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width of the inclined portion 311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ersonnel and equipment entering and leaving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

이동 수단(330)은 몸체(310)를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킨다.The moving means 330 rotates the body 310 about the tower 5.

이동 수단(330)은 레일(331)과, 레일 홈(333)과 접촉 롤러(33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means 330 may include a rail 331 and a rail groove 333 and a contact roller 335.

레일(331)은 플랫폼(100) 상에 형성되고,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레일(331)은 관통부(120)를 둘러싸는 원형 궤도를 형성할 수 있다.The rail 331 is formed on the platform 100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round the tower 5 or the penetration portion 120. In this case, the rail 331 may form a circular orbit around the penetration portion 120. [

플랫폼(100) 상에는 하나 이상의 레일(33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331)이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레일(331)은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At least one rail 331 may be formed on the platform 100. When a plurality of rails 331 are used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plurality of rails 331 can form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around the tower 5 or the penetrating portion 120.

레일 홈(333)은 몸체(310)의 저면에 형성된다. 레일 홈(333)에는 레일(331)이 삽입된다. 레일 홈(333)은 레일(331)과 대응하여 몸체(310)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331)이 사용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레일 홈(33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일 홈(333)은 타워(5) 또는 관통부(120)를 중심으로 동심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rail groove 33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310. A rail 331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33. The rail groove 333 may be formed on the body 3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rail 331. When a plurality of rails 331 are used, a plurality of rail grooves 333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plurality of rail grooves 333 can form a concentric circular structure around the tower 5 or the penetrating portion 120.

레일 홈(333) 내부에는 접촉 롤러(3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331)이 레일 홈(333)에 삽입되면 접촉 롤러(335)와 레일(331)은 접촉한다. 그리고 몸체(310)를 회전 이동 시킬 때 접촉 롤러(335)는 레일(331)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한다.A contact roller 335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333. [ When the rail 331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33, the contact roller 335 and the rail 33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body 310 is rotated, the contact roller 335 rotates in contact with the rail 331.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수단(330)은 몸체(310)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외에도 몸체(31)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수단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ving means 330 configured in this way enables the body 310 to rotate about the tower 5.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types of moving means may be provided that enable the body 31 to rotate about the tower 5.

이상에서 살펴본 통로 제공부(300)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 사이의 거리에 따라 몸체(310)를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함으로써 몸체(310)에 형성된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작동한다.The passage providing part 300 described above can be rotated and mov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body 310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311 operate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예컨대, 몸체(31)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놓여있는 경우 몸체(310)에 형성된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경사부(311)가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되어야 한다.For example, when the body 31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the inclined portion 311 formed on the body 310 does not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 passage connecting the inclined portion 311 to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the body 310 must be rotated and positioned.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나선형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 조정되면, 해당 위치에 놓인 경사부(311)에 의해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311)의 일부는 플랫폼(100)과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When the body 310 is rotated so that one region of the helical inclined portion 311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5a, the inclined portion 311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positions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can be form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inclined portion 311 can be used as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워(5)의 외측면 중 출입구(5a)의 하단면과 접하는 일측부에는 타워(5)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장 부재(320)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부재(320)는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됨으로써 나선형 경사부(311)가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출입구(5a)와 경사부(311) 사이의 간극을 메워 인력 및 장비 등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1 and 2, an extension member 320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ower 5 may be formed on one side portion of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tower 5 that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entrance / exit port 5a . The elongated member 320 can be moved by moving the body 310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entrance 5a and the inclined portion 311 when the helical inclined portion 311 forms a passage, Can be smoothly performed.

연장 부재(320)는 통로를 형성하는 경사부(311)와 가까운 측 단부에서 경사부(311)와 동일한 경사면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elongated member 320 may have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clined portion 311 at the side end near the inclined portion 311 forming the path,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도 1에 도시된 통로 제공부에 포함된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등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9의 구동부를 도시하지 않았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part included in the passage providing part shown in FIG. 1.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riving unit of FIG. 9 is not shown in FIG.

도 9를 참조하면, 통로 제공부(300)(도 1, 8 참조)는 몸체(310)가 타워(5)(도 1 참조)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몸체(31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passage providing portion 300 (see FIGS. 1 and 8) is provided with a rotational drive force for the body 310 when the body 310 rotates about the tower 5 (see FIG. 1) And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350.

구동부(350)는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와, 종동 기어(3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35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351, a driving gear 353, and a driven gear 355.

구동 모터(351)는 플랫폼(100)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구동 모터(351)의 모터축에는 구동 기어(353)가 결합될 수 있고, 구동 기어(353)는 구동 모터(35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The drive motor 351 can be fixedly supported on the platform 100. [ A drive gear 353 can be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351 and the drive gear 353 can be rotated by the drive motor 351.

구동 기어(353)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355)는 몸체(3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동 기어(35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종동 기어(355)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몸체(31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driven gear 355 engaged with the drive gear 353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310. In this case, the driven gear 355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310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driven gear 355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310 although not shown.

몸체(310)의 측면에 형성된 종동 기어(355)는 몸체(310)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driven gear 355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310 may exten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body 310.

이와 같이 구성된 구동부(350)는 구동 모터(351)가 회전할 때 구동 모터(351)의 회전 구동력이 구동 기어(353) 및 종동 기어(355)를 통해 몸체(310)에 전달되어 몸체(310)가 회전 이동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구동 모터(351)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drive motor 351 rotates, the driving unit 350 transmit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motor 351 to the body 310 through the driving gear 353 and the driven gear 355,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drive motor 351 can be controlled by wire or wireless.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은 하우징(357)에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모터(351)과 구동 기어(353)가 해수 등에 노출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357)은 구동 모터(351)와 구동 기어(353)의 유지 보수를 위해 개폐 가능하다.The drive motor 351 and the drive gear 353 may be surrounded by the housing 357.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ive motor 351 and the drive gear 353 from being exposed to seawater or the like to be corroded. The housing 357 is openable and closable for maintenance of the drive motor 351 and the drive gear 353.

상술한 구동부(350) 외에도 몸체(31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가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별도의 구동부 없이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 몸체(310)가 회전 이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driving unit 350, various types of driving units for rotating the body 310 can be proposed. In addition, the body 310 can be rotated and moved by an operator's force without a separate driving unit.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10 및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계류 장치(10)의 작동을 설명한다.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mo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oor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10 and 11. Fig.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타워(5)에 접근한 선박(미도시)은 플랫폼(100)에 계류된다. 이 경우, 선박에서 인력 및 장비 등이 플랫폼(100)으로 이동할 수 있다.Referring first to FIG. 1, a ship (not shown) approaching a tower 5 is moored to a platform 100. In this case, manpower and equipment, etc., can be moved to the platform 100 from the ship.

플랫폼(100)으로 이동한 인력 및 장비 등은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통해 타워(5)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The workforce and equipment moved to the platform 100 can move into the interior of the tower 5 through the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이때, 통로는 통로 제공부(300)에 의해 제공되는데, 몸체(310)가 도 1에 도시된 위치에 놓인 경우, 몸체(310)의 경사부(311)는 통로를 형성하지 못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상황에서 몸체(310)에 형성된 나선형 경사부(311)가 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몸체(310)가 타워(5)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될 필요가 있다.At this time, the passage is provided by the passage providing portion 300, and when the body 310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the inclined portion 311 of the body 310 can not form a passage. Therefore, in order to form the passageway, the body 310 needs to be rotated and moved about the tower 5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piral inclined portion 311 formed on the body 310 in the state shown in FIG.

따라서 몸체(310)는 도 1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0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된다. 몸체(310)가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 놓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타워(5)의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body 310 is rotationally moved and positioned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1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When the body 310 is plac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one area of the inclined portion 31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311 can be used as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해수면의 상승으로 인해 플랫폼(100)이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상승하면, 몸체(310)는 도 10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 이동하여 위치 조정될 수 있다. When the platform 100 is raise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11 due to the rising sea level, the body 310 rotates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0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Lt; / RTI >

몸체(310)가 도 11에 도시된 위치로 위치 조정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부(311)의 일 영역이 타워(5)의 출입구(5a)와 상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 경우, 경사부(311)는 플랫폼(100)과 타워(5)의 출입구(5a)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When the body 31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shown in FIG. 11, one region of the slope portion 31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inclined portion 311 forms a passage connecting the platform 100 and the entrance 5a of the tower 5.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many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5 : 타워 5a: 출입구
10 :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100, 101 : 플랫폼
110 : 계선주 120 : 관통부
130 : 지지 부재 150 : 마찰 방지 롤러부
151 : 롤러 152 : 브라켓
160 : 완충 수단 161 : 유압 실린더
162 : 실린더부 163 : 피스톤부
300 : 통로 제공부 310 : 몸체
311 : 경사부 320 : 연결 부재
330 : 이동 수단 331 : 레일
333 : 레일 홈 335 : 접촉 롤러
350 : 구동부 351 : 구동 모터
353 : 구동 기어 355 : 종동 기어
5: Tower 5a: entrance
10: Mooring device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100, 101: Platform
110: caster 120: penetrating part
130: Support member 150: Friction prevention roller unit
151: roller 152: bracket
160: buffer means 161: hydraulic cylinder
162: cylinder part 163: piston part
300: channel providing unit 310: body
311: inclined portion 320: connecting member
330: moving means 331: rail
333: rail groove 335: contact roller
350: driving unit 351: driving motor
353: drive gear 355: driven gear

Claims (9)

타워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로서,
상기 타워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로 접근하는 선박이 계류 가능하도록 부유하는 플랫폼; 및
상기 플랫폼에서 상기 타워의 측면에 형성된 출입구를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통로 제공부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A mooring device for an offshore wind turbine including a tower,
A platform formed with a penetr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tower is disposed to be pierced so that a ship approaching the tower can berth; And
Mooring device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omprising a passag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assage for connecting the entrance and the exit formed on the side of the tower in th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플랫폼과 상기 타워 사이에서 마찰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 롤러부가 설치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penetra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friction preventing roller portion for preventing friction between the platform and the tow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방지 롤러부는 상기 플랫폼에 완충 지지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riction-preventing roller portion is buffer-supported on the plat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폼에는 상기 선박이 유입 가능하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접안부가 형성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tform is provided with an eyepiece which is open to the side so as to allow the ship to flow into the moo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상기 플랫폼에 지지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ssage providing unit,
A body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extending in a helical shape about the tower and supported by the platform to rotate about the tower; And
And moving means for rotating the body about the tow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상기 플랫폼 상에 형성되는 레일;
상기 몸체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레일이 삽입되는 레일 홈; 및
상기 레일 홈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접촉 롤러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rail formed on the platform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about the tower;
A rail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body and into which the rail is inserted; And
And a contact roll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rail groove and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rail.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경사면 또는 계단 형태를 갖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inclined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or a stepped shap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제공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타워를 중심으로 회전 이동할 때, 상기 몸체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The passage provid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drive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the body when the body rotates about the tow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플랫폼에 고정 지지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 기어; 및
상기 몸체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구동 기어와 맞물리는 종동 기어를 포함하는, 해상풍력발전기용 계류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riving unit includes:
A drive motor fixedly supported on the platform;
A driving gear rotated by the driving motor; And
And a driven gear form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nd engaged with the drive gear.
KR1020120088672A 2012-08-14 2012-08-14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KR1014543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en) 2012-08-14 2012-08-14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en) 2012-08-14 2012-08-14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2264A true KR20140022264A (en) 2014-02-24
KR101454337B1 KR101454337B1 (en) 2014-10-23

Family

ID=50268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672A KR101454337B1 (en) 2012-08-14 2012-08-14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33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388A (en) * 2023-04-25 2023-08-11 海底鹰深海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ber defending ne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6899B4 (en) * 1999-09-30 2004-04-29 Wobben, Aloys, Dipl.-Ing. Offshore Winder energy plant
JP2007040044A (en) * 2005-08-05 2007-02-15 Molten Corp Mooring device
EP2477882A1 (en) * 2009-09-14 2012-07-25 Eide Marine Services AS Offshore equipment deploying and retrieving vessel
KR101737125B1 (en) * 2011-01-18 2017-05-18 한국전력공사 Access unit to offshore structures using sliding lad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75388A (en) * 2023-04-25 2023-08-11 海底鹰深海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ber defending net device
CN116575388B (en) * 2023-04-25 2024-02-23 海底鹰深海科技股份有限公司 Optical fiber defending ne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337B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081B1 (en) Wind park
JP4091549B2 (en)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EP3817973B1 (en) Motion compensated transfer system, vessel and use thereof
KR101380649B1 (en) Docking facility for tower on sea and Tower on sea having the same
EP25204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a floating vessel against a stationary object
DK2771235T3 (en) Installations for anchoring in the ground of a floating platform
KR20130000733U (en) Anchor Watching Platform of Vessel
KR20120132168A (en) Accomodation ladder for ship
FR2577510A1 (en) VERTICAL AND HORIZONTAL TRANSHIPMENT BOAT
JP2008174919A (en) Tower for escaping from flood disaster
KR101454337B1 (en) Mooring apparatus for offshore wind power generator
CN106143829A (en) Single floating mobile disembarkation detection platform
KR101737125B1 (en) Access unit to offshore structures using sliding ladder
RU2466902C2 (en) Anchors handling device
KR101785080B1 (en) Mooring anapparatus for floating offshore structures
PT107881B (en) MECHANICAL DEVICE FOR THE CONVERSION OF KINETIC ENERGY FROM MARINE OR FLUVIAL CURRENTS IN POTENTIAL ENERGY FOR A LONGER CONVERSION IN ELECTRICAL ENERGY
US4170429A (en) Installation for inspecting and repairing installations in deep water
JPH07101379A (en) Mooring structure for floating structure
KR10150579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20100095805A (en) Boarding bridge for embarkation andleaving a ship on wharf
KR20080101307A (en) Boarding device of ship
CN110914145B (en) Vessel and method for performing subsea wellbore related operations
JP2019522141A (en) Offshore turbine
CN215165287U (en) Net body lifting device applied to entrance and exit area
KR101487671B1 (en) Canister-type thru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