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917A -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917A
KR20140020917A KR1020137024353A KR20137024353A KR20140020917A KR 20140020917 A KR20140020917 A KR 20140020917A KR 1020137024353 A KR1020137024353 A KR 1020137024353A KR 20137024353 A KR20137024353 A KR 20137024353A KR 20140020917 A KR20140020917 A KR 20140020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tream
video
coding
configuration
data re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베르토 디니
사베리오 셀리아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에스.아이.에스브이.이엘. 쏘시에타‘ 이탈리아나 퍼 로 스빌루포 델‘엘레트로니카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9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56Mix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4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image parameters, e.g. image brightness, contr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39Format conversion, e.g. of frame-rate or size

Abstract

본 발명은 연관된 재생 디바이스(5) 상에서 재생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 상에서 선택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들(Fi)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식별 데이터에 의해 비디오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가짐 ― , 식별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와 비디오 스트림 코딩 및 전송 구성들 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의 저장 수단(12)에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에 의해 저장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단계,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상기 저장 수단(12)으로부터 습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연관된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5) 상에서 재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다음 선택을 위해 습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METHOD OF ACQUISITION, STORAGE AND USE OF DATA RELATING TO A THREE―DIMENSIONAL VIDEO STREAM,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비디오 이미지 수신 분야에서 사용되고 3-차원 디스플레이를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프로세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3-차원 모드에서 재생되도록 구성된 비디오 이미지 스트림의 포맷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및 저장 방법, 및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안시(binocular vision)에 의해 유발되는 3-차원 효과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의 좌측 눈 및 우측 눈에 3-차원 스트림으로 대응하는 좌측 및 우측 이미지들을 재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입체 시스템들에서, 이것은 양자의 이미지들을 단일 비디오 스트림으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고, 따라서 단일 비디오 스트림은, 장면의 각각의 프레임에 대해 좌측 이미지 및 우측 이미지 모두를 포함한다.
입체 쌍의 이미지들이 제현되는 상이한 모드들에 의존하여 입체 비디오 스트림들을 코딩, 전송 및 분배하기 위해, 다수의 포맷팅 기술들이 현재 사용중이다. 그러한 포맷들의 특정 클래스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의 좌측 및 우측 이미지들이 동일한 프레임("프레임 패킹")에 배치되어, 2-차원 콘텐츠, 더 상세하게는 고해상도(HD) 콘텐츠의 순환을 위해 이미 사용중인 분배 시스템들의 내에서 입체 비디오 스트림들의 분배를 허용한다. 상기 프레임 패킹 기술들은, 예를 들면, 비디오 스트림 내의 2 개의 이미지들의 크기, 회전, 데시메이션(decimation) 또는 언더샘플링, 재현(representation), 레이아웃 및 전송의 빈도와 같은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구별된다. 그 중에서도, 우리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기술 ― 2 개의 좌측 및 우측 이미지들이 각각의 이미지의 수평 분해능 값을 이등분함으로써 동일한 프레임에 배치됨 ― , 및 "상부-하부" 기술 ― 2 개의 좌측 및 우측 이미지들이 다양한 데시메이션 또는 언더샘플링 기술들에 따라 각각의 이미지의 수직 분해능 값을 이등분함으로써 합성 프레임이라 불리는 동일한 프레임에 배치됨 ― 을 언급할 수 있다.
2 개의 이미지들을 배열하기 위해 사용되는 추가적인 기술에 따라, 2 개의 이미지들 중 하나는 합성 프레임으로 파편화(fragmented)되지 않고 배치되고, 반면에 다른 하나는 몇몇의 부분들로 적절히 분해되고, 제 1 이미지에 의해 계속 비어 있는 프레임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태의 입체 비디오 스트림의 구성은 이후에 "파편화된" 것으로서 지칭될 것이다.
코딩 효율 이유들로, 예를 들면, 좌측 이미지 플러스 깊이 맵을 전송하는 것으로 구성된 "L + 깊이" 기술과 같은 다른 기술들이 또한 제안되었다. 이러한 2 개의 조각들의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는 장면의 3-차원을 재구축하여, 좌측 이미지 및 깊이 맵으로부터 우측 이미지를 습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위 "2D + 델타" 코딩과 같이, 2 개의 좌측 및 우측 이미지들 사이의 강한 상관(correlation)을 사용하는 다른 유사한 기술들이 또한 제안되었다.
당분야에 알려진 다른 기술들 중에서, 소위 "필드 얼터너티브(field alternative)", "라인 얼터너티브", "컬럼 얼터너티브" 및 "L + 깊이 + 그래픽 + 그래픽 - 깊이" 기술들이 언급될 가치가 있다.
위의 리스트의 코딩 기술들은, 그러한 기술들이 비디오 스트림을 특정 제한들의 대역 점유(band occupation) 내에서 유지하려 시도하면서 3-차원 이미지의 해상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계속해서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총망라되지 않는다.
이러한 프레임 패킹, 코딩 및 디스플레이 기술들 각각의 기술은 이점들 및 단점들을 갖고, 다소 최적의 방식으로 다른 기술들에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레이트에서, 이러한 다양한 3-차원 콘텐츠 재현 및 디스플레이 기술들은 많은 콘텐츠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예를 들면, 스크린 또는 프로젝터) 상에서의 상이한 3-차원 재생 기술들에 대해 비디오 스트림을 적응시키기 위해 그들을 인지할 수 있을 필요성이 유발된다.
이러한 다양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은 3-차원 콘텐츠의 증가된 재생에 의해 동반되고, 3-차원 콘텐츠는, 예를 들면, 그들을 블루-레이 및 DVD 매체들 상에 저장하거나, 브로드캐스트 코딩 및 전송 채널들(위성, 케이블 또는 지상)을 통해 그들을 전송하거나, 인터넷과 같은 로컬 영역 네트워크들 또는 지리적 영역 네트워크들로부터의 다운로딩을 위해 그들을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다수의 형태들로 분배된다.
현재에, 입체 비디오 콘텐츠의 생산, 분배 및 시각화의 모든 환경들에서 3-차원 비디오 콘텐츠를 전송 및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어떠한 통합된 기술 또는 기준 표준도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소스(예를 들면, TV 브로드캐스터, 블루-레이 디스크, 인터넷 사이트), 코딩 및 전송 수단(광 또는 전자 매체, 에어, 케이블, 위성)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교번(frame alternation)" 또는 교번되는 로우들 또는 컬럼들을 가짐)와 독립적으로 모든 생산, 분배 및 성과 환경들에 적용되는 3-차원 효과를 생성하기 위해 채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비디오 스트림 내에서, 시그널링하기 위한 어떠한 기준 표준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시그널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유용하며, 그렇지 않고, 비용이 많이 들고 정교한 비디오 스트림 분석 알고리즘들이 사용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재생될 비디오 스트림을 적절히 해석하지 못할 수 있고, 그러한 알고리즘들은 많은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리소스들(다른 목적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음) 및 그들의 완전한 실행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또한, 비디오 스트림 플레이어들 및/또는 수신기들에는 다수의 상호 접속 인터페이스들, 예를 들면, DVI, HDMI, 디스플레이 포트, USB, WiMAX, Wi-Fi가 설치될 수 있고, 물론 내장 텔레비전 동조기들 및 블루-레이 또는 DVD 판독기들 및 고체-상태 또는 광 전자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스트림들 또는 콘텐츠 각각은 어쩌면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3-차원 콘텐츠의 코딩 및 전송을 위해 상이한 구성을 채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디스플레이에서 입력 입체 비디오 스트림의 상이한 구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거나 적어도 이를 지원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고,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보통 코딩 및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것(본원에서 "구성"이라 불림)과 상이한 그 자신의 디스플레이 포맷을 사용하고, 그래서 포맷 변환이 요구된다. 제어 유닛들 상의 적절한 그래픽 제어 인터페이스들 또는 선택기가 설치된 3-차원 콘텐츠 재생 장치들은 시장에서 입수 가능하고, 이들 통해 사용자는 재현될 수신된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채택된 특정 코딩 및 전송 구성을 매번 수동으로 선택해야,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의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정확한 3-차원 재생을 보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비디오 스트림"은 일련의 비디오 프레임들을 지칭하고, 이들 각각은 하나 이상의 이미지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용어 "비디오 데이터"는 "L + 깊이" 구성의 경우에 깊이 맵과 같이 프레임들의 비디오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지칭한다. 상기 프레임들에 포함된 비압축된 이미지들 및 비디오 데이터는 그 자신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갖고, 이것은 상기 이미지들 및 비디오 데이터가 정확하게 재생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알려져야 한다.
상술된 기술 시나리오는, 플레이어들 및/또는 수신기들에 의해 도달되는 고도의 복잡성, 끊임없이 진화중인 다수의 가능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 및 3-차원 콘텐츠를 시그널링 및 인식하기 위한 임의의 통합된 기준 표준들의 부재로 인해 극히 복잡하고, 다양하게 된다. 따라서,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이 제때에 시그널링되지 않거나 전혀 시그널링되지 않거나, 또는 이것이 최종 인스턴트에서 결정되거나 및/또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프로그램 안내 메거진의 신호로부터 별개로 통신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콘텐츠가 라디오-텔레비전 신호 전송 시스템들을 통해 브로드캐스팅될 때, 그러한 실제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라디오-텔레비전 신호 전송 시스템들에서, 동일한 라디오-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예를 들면, RAI)에 의해 분배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상이한 3-차원 콘텐츠 시그널링 데이터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제 1 서비스 "RaiUno"는 제 2 서비스 "RaiDue"와 상이한 구성을 갖는 3-차원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거나, 상기 서비스 "RaiUno"에 의해 전송되는 정해진 프로그램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기술에 따라 구성된 3-차원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고, 한편 상기 서비스 "RaiUno"에 여전히 속하는 다음 프로그램은 "상부-하부"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양자의 경우들에서, 시그널링 데이터는, 예를 들면, 불충분한 인원 또는 경제적인 리소스들, 또는 그 목적으로 특별히 사용되는 장치들의 부재로 인해 정확하거나 업데이트되지 않을 수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경제성 또는 물류 이유들로, 3-차원 비디오 콘텐츠의 제공자가 상이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를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콘텐츠는 가능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 중 하나를 배타적으로 사용하는 생산 소스들에서 생겨나고, 모든 콘텐츠들을 하나의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이 너무 비용이 많이 드는 것으로 고려된다. 동일한 비디오 콘텐츠 제공자가 경비를 제한하든지 아니든지 또는 물류 또는 엔지니어링 이유들로 단지 제한된 수의 가능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로만 비디오 콘텐츠들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심지어 동일한 텔레비전 서비스 내에서, 몇몇의 특정 프로그램들(예를 들면, 영화들, 라이브 스포츠 이벤트들)이 3D 모드로 브로드캐스팅되고, 반면에 다른 프로그램들이 동일한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예를 들면, "RaiUno") 상에서 2D 모드로 브로드캐스팅되는 경우가 또한 있을 수 있다.
위의 상황들 모두에서, 재핑(zapping) 동안에, 즉, 일반적으로 상이한 구성들을 갖는 비디오 스트림들을 특징으로 하는 상이한 텔레비전 서비스들의 일련의 선택들을 짧은 시간 기간 내에 연달아 반복할 때, 텔레비전 수신기는 상이한 비디오 스트림들의 시각화를 그 수신기와 연관된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적응시키기 위해 상이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 사이에서 스위칭해야 한다. 이것은 막 선택된 텔레비전 서비스의 비디오 스트림의 적절한 재생에서 특정 지연을 암시하고, 따라서 코딩 및 전송 구성에서의 변화가 습득되고 이에 따라 새로운 비디오 스트림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3D 재생 포맷으로 적응될 때까지, 막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이 일시적으로 잘못된 방식으로 재생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일시적인 해결책으로서, 스위칭이 발생할 때까지 누군가 비디오 재생을 인터럽트하거나 상기 디바이스 상의 디스플레이를 정지(freeze)시킬 수 있지만, 사용자는 재생이 선택된 마지막 텔레비전 서비스에 적응되도록 일정 시간을 대기하여 여전히 짜증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및 저장 방법, 및 관련된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정확한 코딩 및 전송 구성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의 재생 속도를 높이는 것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의해 취해진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및 저장 방법, 및 관련된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는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림이 가질 수 있는 많은 가능한 코딩 및 전송 구성들과 독립적으로, 간단하고 즉각적인 방식으로 3-차원 비디오 스트림들의 프로세싱을 처리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은,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및 저장 방법, 및 관련된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의 적절한 재생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을 최소화하는 것을 허용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선택 가능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들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산하기 위한 특정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갖는다.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선택 가능 비디오 스트림들을 식별하는 식별 데이터, 비디오 스트림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을 식별하는 구성 데이터, 및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 및 비디오 스트림 코딩 및 전송 구성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스트림 식별 데이터 중 하나에 의해 식별된 특정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할 때마다, 상기 디바이스는 코딩 및 전송 구성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저장되었는지를 검증하고,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비디오 스트림의 정확한 재생을 즉시 수행하기 위해 코딩 및 전송 구성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재생되는 비디오 스트림이 각각의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증할 수 있고, 존재한다면, 상기 디바이스는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상기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해 이러한 구성 데이터를 적용할 수 있다.
후속으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이미 저장된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이 소환될 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의해 적절히 재생될 수 있는 포맷으로 비디오 스트림을 적절히 변환하기 전에 그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즉시 추출할 필요가 없는데, 왜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상기 스트림에 포함된 특수 메타데이텀으로부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들보다 훨씬 더 짧은 액세스 시간들로 메모리로부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간단하고 빠르게 판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한 어떠한 표시도 포함하지 않는 파일 또는 또 다른 멀티미디어 논리 매체에 존재하는 비디오 콘텐츠의 경우에, 사용자는 비디오 콘텐츠를 스크린 또는 또 다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서 재생하기 위해 동일한 파일의 다음 선택 시에 수동으로 상기 구성을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목적들은 본 명세서의 통합 부분으로서 의도된 첨부된 청구항들에 제시될 것이고, 본 발명의 교시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바람직하지만 비제한적인 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2-차원 및 3-차원 콘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것의 대안인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제 1 및 제 2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의 구현을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습득 및 프로세싱 방법의 흐름도들.
도 1을 참조하면, 3-차원(및 또한 2-차원) 콘텐츠를 습득 및 재생하기 위한 시스템(100)이 도시되고, 상기 시스템은:
- 3-차원 신호들(및 2-차원 신호들)의 복수의 소스들(S1,... Sn) - 상기 소스들(S1,... Sn)은, 예를 들면, 판독기들 또는 블루-레이 DVD 디스크들, 브로드캐스트 텔레비전 전송들을 수신하기 위한 동조기들, US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메모리 판독기들, 전자 메모리들(USB, 플래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고체-상태) 또는 광 메모리들, 무선 인터페이스들, 이더넷 케이블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음 - ;
- 소스(Si)에 의해 공급된 데이터를 습득 및 디코딩하는 디코더(1) - 상기 소스들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선택 멀티플렉서 디바이스를 통해, 일반적으로 한번에 하나로, 디코더(1)와 연관될 수 있음 - ;
- 특정 그래픽 인터페이스들을 비디오 스트림에 입력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프로세서(15);
- 적어도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의 작동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7)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는, 임의의 형태의 스크린, 예를 들면, LCD, 플라즈마, 백-프로젝션 또는 비디오 프로젝터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는 인간의 눈에 의해 지각될 수 있는 형태로 비디오 스트림의 이미지들을 재생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 - ;
-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유용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1)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인터페이스(3);
- 데이터 인터페이스(3)의 작동을 처리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인터페이스(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유닛(23);
- 표들 및 다른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타입이든지 간에 하나 이상의 메모리 영역들로 구성된 저장 수단(12);
- 3-차원 및 2-차원 비디오 스트림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유용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된 제어 모듈(9);
- 사용자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9)로 신호들을 출력하는 제어 유닛(6) - 제어 유닛(6)은 사용자가 기능들을 선택하고 명령들을 발행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예를 들면, 복수의 키들, 원격 제어부 등을 통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 - 을 포함한다.
장치(300)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세트, 셋-톱 박스, 비디오 레코더, 셀룰러 텔레폰 등일 수 있고, 3-차원 비디오 콘텐츠를 습득 및 프로세싱하는 능력을 갖는다. 임의의 레이트에서, 본 발명의 목적들에 대해, 디스플레이 장치(21)가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에 내장되지 않지만, 그와 연관되거나, 유선(예를 들면, HDMI, DVI, 디스플레이 포트, SCART, RCA-Cinch) 또는 무선이든지 간에, 알려진 접속 수단 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그에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가 장치(300)에 내장될 때, 인터페이스는 장치(300)의 내부 데이터 버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제어 모듈(9)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7)에 직접적으로 접속된 제 5 출력(7)을 갖는다는 것이 대안으로서 구상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교시는 디스플레이 장치(21)의 존재 또는 부재와 상관없이 구현될 수 있다. 장치(300)는 제어 모듈(9), 저장 수단(12) 및 3-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갖는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데이터 및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습득하기 위한 수단(10)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소스(Si)는 3-차원 비디오 콘텐츠를 습득하고, 코딩 및 전송 스트림(Fi)의 형태로 데이터 라인(30)을 통해 3-차원 비디오 콘텐츠를 디코더(1)로 전송한다. 이와 관련하여, 용어 "코딩 및 전송 스트림"은, 특정 코딩 및 전송 수단 상에서 전송되도록 구성된, 압축되거나 비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의 데이터 및 그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세트를 포함하는 정보의 스트림을 지칭한다. 소스들(S1,.., Sn)의 각각의 소스는 대응하는 데이터 라인(30)을 통해 코딩 및 전송 스트림(F1,..., Fn)을 제공한다.
특히, 데이터 라인(30) 상에 존재하는 코딩 및 전송 스트림(Fi)은, 다른 정보 중에서, 소스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를 식별하는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의 세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식별 데이터는, 예를 들면, TV 튜너에 의해 수신된 주어진 비디오 스트림이 저장되는 프로그램 넘버 또는 비디오 스트림이 전송 중인 통신 포트(SCART, USB, AV1, EXT1, DVI, HDMI1, HDMI2 등)의 식별자와 같이 장치(300)에 의해 부가되는 정보와 함께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코딩된 비디오 스트림의 경우에, 디코더(1)는 데이터 라인(30)에 의해 공급된 코딩 및 전송 스트림(Fi)에 포함된 압축된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를 압축 해제할 수 있거나, 게다가 디코더(1)는 일반적인 데이터 라인(30)에 의해 공급되는 일반적인 코딩 및 전송 스트림(Fi)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Fi)을 추출하고, 제 1 출력(2)을 통해 동일한 비디오 스트림을 비디오 프로세서(15)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더(1)의 제 1 출력(2)에서, 데이터 라인(30)에 의해 공급된 전송 스트림(Fi)으로 패킹된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이 획득된다. 이미지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3-차원 효과를 생성할 목적을 갖는 시각화를 생성하기 위해 비디오 스트림(Fi) 내의 특정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취한다. 제어 모듈(9)은, 비디오 프로세서(15)가 상이한 모드들로 동작할 값에 기초하여 제 2 출력(13)을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5)의 작동을 제어한다.
제 1 동작 모드에서, 비디오 프로세서(15)는 간단히 비디오 스트림을 출력한다. 제 2 동작 모드에서, 비디오 프로세서(15)는 사용자에게 의도된 적절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정된 비디오 스트림을 획득하기 위해 비디오 스트림의 콘텐츠를 프로세싱한다. 비디오 스트림 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수정된 비디오 스트림은 접속(18)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 유닛(23)으로 전송된다. 제어 유닛(23)은 데이터 인터페이스(3)를 통해 전송되도록 구성되고 비디오 스트림을 포함하는 코딩 및 전송 스트림을 제 3 출력(22)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3)로 전송한다. 비디오 스트림 코딩 및 전송 구성 값이 코딩 및 전송 스트림의 메타데이터에 입력되고, 상기 구성은 제어 모듈(9)의 제 4 출력(8)을 통해 제어 유닛(23)으로 전송된다. 이어서, 코딩 및 전송 스트림은 데이터 인터페이스(3)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1), 특히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7)으로 전송되고,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7)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자체와 호환 가능한 디스플레이 포맷을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제공하기 위해 상기 코딩 및 전송 스트림을 프로세싱한다.
비디오 프로세서(15)의 양자의 동작 모드들에서, 제어 모듈(9)이, 비디오 스트림의 선택 또는 게다가 사용자에 의해 발행된 적절한 커맨드에 응답하여, 제 2 출력(13)을 통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 값을 포함하는 신호를 비디오 프로세서(15)로 전송하고, 이어서, 비디오 프로세서(15)가, 사용자에 의해 인지 가능한 그래픽 형태로, 코딩 및 전송 구성 값에 관한 정보를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이미지들에 입력한다는 것이 구상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판독할 수 있다.
디코더(1)는 장치(300)에 의해 디코더(1)와 이전에 연관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후자(예를 들면, 프로그램 넘버, 서비스 네임, 파일 네임 및/또는 크기 또는 소스 포트)로부터 획득 가능한 다른 데이터와 어쩌면 연관되는 3-차원 비디오 콘텐츠의 소스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어 모듈(9)은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를 습득하기 위한 수단(10)을 통해 메타데이터를 수신하고, 비디오 스트림의 식별 데이터를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한다.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로부터 생기는 코딩 및 전송 스트림들의 경우에, 각각의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는 각각의 분배되는 서비스 또는 프로그램에 대한 그 자신의 식별 코드를 갖는다. 예를 들면, 디지털 지상 브로드캐스팅의 경우에, 상기 식별 코드는, 수신된 서비스들의 리스트 내의 미리 정의된 위치에서 수신되는 서비스에 자동적으로 할당할 목적으로 적절한 텔레비전 수신기들에 의해 사용되는 LCN 정보("논리 채널 넘버")이다. 서비스 식별자로서, 관련되는 서비스의 비디오 콘텐츠의 식별자, 예를 들면, MPEG 전송 또는 프로그램 스트림의 정해진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된 기본적인 스트림을 특징으로 하는 PID(Packet Identifier)조차도 사용될 수 있다. 텔레비전 채널 또는 서비스 내에서 전송되는 단일 프로그램 타이틀조차도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DVB 표준의 EIT 표들과 같은 적절한 식별 코드들을 통해 시그널링된다. 특정 브로드캐스터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입체 비디오 스트림들을 항상 브로드캐스팅하는 극단적인 경우에, 상기 서비스가 장치(300)에 의해 프로그램 표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넘버만이 심지어 도 3에 도시된 표에 저장될 수 있어서, 예를 들면, 프로그램 넘버를 증분 및 감분("재핑")하기 위해 제어 유닛(6)의 숫자 키들 또는 업/다운 키들을 사용함으로써 대응하는 프로그램 넘버를 입력함으로써 후속 선택 및 재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서비스가 선택될 수 있다.
유사한 고려 사항들은 또한 다른 타입들의 소스들(Si), 예를 들면, USB 키와 같은 고체-상태 메모리 매체, 또는 블루-레이/DVD 판독기와 같은 광학 메모리 매체로부터 생기는 코딩 및 전송 스트림들에 적용되고(수신기 장치에 USB 인터페이스 또는 블루-레이/DVD 판독기가 제공되는 경우), 메타데이터는 메모리 매체 내의 파일 네임, 파일 콘텐츠 및 파일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도 3은 적어도 다음의 필드들: 서비스 또는 파일 네임, 프로그램 또는 파이 타이틀, 프로그램 소스 또는 넘버 및 코딩 및 전송 구성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데이터 구조의 유용성은 이후에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일단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텀이 습득되면, 제어 모듈(9)은, 자신이 데이터 교환 라인(11)을 통해 접속되는 저장 수단(12)에서, 비디오 스트림 자체에 속하는 이미지들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식별하는 구성 데이텀이 상기 3-차원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텀과 이미 연관되었는지를 검증한다. 그 구성 데이텀이 이미 연관되었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데이텀에 의해 식별된 구성은 제어 모듈(9)의 제 4 출력(8)을 통해 데이터 인터페이스(3)의 제어 유닛(23)에 자동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이 정확히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1)의 입력(4)으로 전송된 신호가 비디오 스트림 및 제어 모듈(9)을 통해 그와 연관된 코딩 및 전송 구성 모두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대안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구성은 제 5 출력(7)을 통해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유닛(17)으로 직접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요약하면,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는, 예를 들면, 비디오 콘텐츠의 분석을 통해 비디오 스트림 자체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메타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외삽(extrapolating)하거나, 사용자에 대해 데이터를 요청함으로써, 달리 획득되어야 하지 않고도,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상세히 예시한다. 사용자가 비디오 스트림(예를 들면, 텔레비전 서비스, AVI 비디오 파일, DVD 또는 블루-레이 매체 상의 비디오)을 선택할 때, 디바이스(200)는, 단계(410)에서,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식별 데이터를 습득하기 시작(블록 시작(400))하고, 식별 데이터는 비디오 스트림의 타입에 의존하여 변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저장 수단(12)이 단계(410)에서 식별된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지가 검증된다. 긍정적인 경우에, 디바이스(200)는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그러한 데이터를 저장 수단(12)으로부터 습득하고, 그 데이터를 비디오 프로세싱 디바이스(300)로 출력하고(블록 460), 이어서 비디오 프로세싱 디바이스(300)는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블록 470).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과 각각의 코딩 및 전송 구성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도 저장 수단(12)에서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들(도 6에서 프레임 영역(40))은 본 발명의 목적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본질적이지는 않다. 그러나, 예로서, 코딩 및 전송 구성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블록 430)이 구상 가능하다. 긍정적인 경우에, 그러한 구성이 획득되고 메모리(12)에 저장된다(블록 440).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적절한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도움으로 또는 상호 작용 다이얼로그를 통해 상기 구성을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요구될 수 있고(블록 450), 이어서 엔트리가 저장 수단(12)에 저장된다.
위의 동작들에 대한 대안으로서, 심지어 단지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되고, 가령, "2D 포맷"에 대응하는 "비(no) 3D 구성"과 같은 디폴트 구성이 저장 수단(12)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롭게도 사용자가, 예를 들면, 먼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저장 수단(12)에 저장된 연관성들을 수정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이한 구성과의 가능한 연관성은 나중 시간에 사용자에게 달려있다.
일단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정확한 3-차원 재생을 위해 요구된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가 습득되면, 증가된 안정성을 위해, 예를 들면, 그 데이터가 메타데이터 형태의 그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시작하는 그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실상, 텔레비전 서비스들에 대응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해, 프로그램 스케줄, 또는 기술적인 업데이트들에 대한 수정들 다음에, 서비스 제공자가 정해진 TV 서비스를 통해 브로드캐스팅되는 정해진 서비스 또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세트 또는 비디오 콘텐츠에 대해 사용되는 전송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타임 온으로부터, 네트워크 "RaiUno"의 모든 전송들이 2D 포맷으로부터 "3D 사이드 바이 사이드 L/R" 포맷으로 스위칭된다고 가정하라. 그러한 경우에, 디바이스(200)는 잘못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계속해서 습득 및 공급할 것인데, 왜냐하면 디바이스는(200)는 포맷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특정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로부터 생기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의 그룹 또는 비디오 콘텐츠가 남아있는 프로그램들과 상이한 포맷을 갖는 또 다른 가능한 상황에서,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그램 "La domenica sportiva"이 "L + 깊이" 3D 포맷으로 RaiTre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고, 반면에 남아있는 프로그램들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3D 포맷을 유지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특정 타입들의 비디오 스트림 소스들(예를 들면, 텔레비전)에 대해, 디바이스의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습득된 구성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자체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정확하다는 것을, 자발적인 방식으로, 및 사용자를 수반하지 않고 가능한 멀리서 검증하는 것이 이롭다. 코딩 및 전송 구성이 습득된 것에 대응한다는 것이 이러한 검증으로부터 드러나면, 어떠한 동작들도 수행되지 않을 것이고, 이것이 사실이지 않다면, 디바이스(200)는, 존재할 때, 이전에 습득되고 메모리 또는 메모리 영역(12)에 저장된 것들에 비해 우선 순위를 가질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구성 데이터로부터 유래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출력할 것이며, 왜냐하면, 그 구성 데이터가 나중 것보다 더 최근 것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저장 수단(12)에 의해 습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의 정확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을 상세히 예시한다. 이러한 검증이 활성화되면(블록 시작 500),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시작하여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콘텐츠의 분석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획득하는 단계(블록 510)를 실행한다. 단계(520)에서,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저장 수단(12)으로부터 습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이 동일한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것에 대응하는지가 검증된다. 긍정적인 경우에, 프로세스가 종료되고(블록 정지 550), 그렇지 않다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식별 데이터와 각각의 코딩 및 전송 구성 사이의 연관성이 저장 수단(12)에 적절히 저장된다(블록 530). 상기 연관성은 그 특정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저장 수단(12)에 이전에 존재한 것(들)과 상이할 것이며, 왜냐하면 이것은 선택된 스트림과 이전에 연관된 것 또는 것들과 충돌하는 구성을 갖는 선택된 스트림의 비디오 콘텐츠를 식별하기 때문이다. 블록(540)은, 연관된 재생 디바이스(5) 상에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하기 위해, 도 6의 블록(470)에 이전에 적용된 것을 대체하는,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습득하고 이를 출력한다. 이러한 지점에서,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상술된 검증 프로세스는, 비디오 스트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때뿐만 아니라, 재생을 위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한 전송 구성에서의 변화가 가능한 언제든지 반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텔레비전 서비스들에 속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해, 이것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에 의해 브로드캐시팅되는 프로그램들이 변할 때 발생한다. 이것은, MPEG2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DVB 타입의) 디지털 텔레비전 서비스들의 현재 및 미래의 프로그램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EIT(Event Information Tables)의, DVB 표준에 따른 MPEG 전송 스트림에 포함된 비디오 스트림 내의 존재에 의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텔레비전 서비스의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이전에 저장된 것과 상이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갖는 텔레비전 서비스의 임의의 비디오 콘텐츠는 즉시 검출되고 저장 수단(12)에 저장될 수 있다.
구성 데이터의 정확성은 그 자신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메타데이터의 존재를 검증함으로써 디바이스(200)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브로드캐스팅되는 특정 프로그램과 연관되거나 연관되지 않을 수 있다. 브로드캐스터가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램들과 연관하여 사용중인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데이터로서, 예를 들면, 텔레비전 서비스의 네임 또는 코드, 그의 LCN 코드, 또는 텔레비전 서비스 또는 텔레비전 서비스의 적어도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임의의 다른 데이터를, 특정 전송 구성을 사용하는 프로그램들과 함께 저장 수단(12)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면, 전송 구성이 대다수의 프로그램들의 것과 상이한 그러한 프로그램들에 대해서만 이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브로드캐스팅되는 프로그램이 조화되지 않는 구성을 갖는 것들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 정해진 서비스에 속하는 비디오 스트림에 적용될 디폴트 구성이 존재할 것이다. 이것은 메모리를 절약하고, 적어도 2 개의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을 사용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에 속하는 모든 프로그램들에 대한 하나의 연관성을 저장할 필요가 없는데 유용하다.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터 "RaiTre"가 "L + 깊이" 3D 포맷을 사용하는 "La domenica sportiva"를 제외하고 모든 프로그램들을 2D로 브로드캐스팅한다고 가정하라. 초기에, 디바이스의 저장 수단(12)은, 코딩 및 전송 구성으로서, "비 3D 포맷", 즉, "2D" 포맷에 대응하는 데이텀을 포함한다. 이것이 브로드캐스팅되는 프로그램과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비스 RaiTre에 대해 RaiTre의 서비스 식별자와 코딩 및 전송 구성 "2D" 사이의 하나의 연관성만이 저장된다. 도 7의 검증 절차 동안에, 전송 구성이 "L + 깊이"인 프로그램 "La domenica sportiva"의 제 1 에피소드를 수신한 후에, 디바이스(200)는 서비스 식별자 "RaiTre" 및 프로그램 네임 "La domenica sportiva"의 조합으로 구성된 스트림 식별자와 구성 "L + 깊이" 사이의 연관성을 저장 수단(12)에 부가한다. 다음 프로그램(예를 들면, "TG3")이 2D 포맷으로 복귀하기 때문에, 디바이스는 식별자("RaiTre" + "TG3")와 구성 "2D 포맷" 사이의 새로운 연관성을 저장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RaiTre"와 "2D 포맷" 사이의 연관성이 이미 존재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 연관성은 RaiTre 프로그램들, 즉, 프로그램 타이틀을 포함하는 메모리(12)에서 어떠한 특정 연관성도 존재하지 않는 모든 RaiTre 프로그램들에 대해 유효한 "디폴트" 연관성으로서 의도되어야 한다.
브로드캐스팅되는 각각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한 정보를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하는 그러한 브로드캐스트들에 대해, 디바이스(200)에 의해 실행되는 정정 방법은, 스트림 식별자로서, 그 쌍(서비스 식별자, 프로그램 타이틀) 또는, 심지어 유니보컬(univocal) 식별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경우에, 프로그램 타이틀만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MPEG 표준이 프로그램 타이틀들을 포함하는 EIT 표들을 포함하기 때문에 가능하여, 그 특정 프로그램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코딩 및 전송 구성을 표기하는 사적 데이텀을 입력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저장 수단(12)은 심지어, 이용 가능한 경우에, 프로그램을 브로드캐스팅하기 위해 브로드캐스터에 의해 사용되는 코딩 및 전송 구성이 부가되는 실제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또한, 코딩 및 전송 구성의 존재 및 정확성은,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콘텐츠를 분석하고, 그러한 구성을 검출하기에 적절한 임의의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검증될 수 있다(도 6의 블록(430) 및 도 7의 블록(510) 각각). 이러한 분석은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되는 적절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될 수 있거나, 비디오 콘텐츠는, 이를 분석하고 적절한 알고리즘을 통해 이로부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외삽할 수 있는 디바이스로 포워딩될 수 있다.
어떠한 이유로, 저장 수단(12)에 저장되고 상술된 방법을 통해 획득된 연관성이 잘못된 경우에, 즉, "비 3D 구성"이 3D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될 때, 통상적으로, 비디오 스트림은, 자신이 2D 포맷, 즉, 2-차원인 것처럼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와 연관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상에 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의 비디오 스트림의 잘못된 시각화를 검출하고, 제어 유닛(6)을 통해, 저장 수단(12)에 포함된 잘못되거나 구식의 연관성으로 인한 잘못된 시각화를 시그널링하는 제어 신호를 제 6 출력(14)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할 때, 제어 모듈(9)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식별 데이텀과 연관될 정확한 구성을 사용자로부터 습득하기 위해 제 1 연관성 및 저장 절차에 따라 동작한다.
제 1 연관성 및 저장 절차에서, 제어 모듈(9)은 이미 설명된 제 2 동작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즉, 비디오 스트림을 구성하는 이미지들에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입력하도록, 제 2 출력(13)을 통해, 비디오 프로세서(15)에 요청하고, 특히,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현재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에게 어드레싱되는 요청을 포함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제어 유닛(6)을 통해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입력하고, 이어서 대응하는 사용자 제어 신호는 제어 유닛(6)의 제 6 출력(14)을 통해 제어 모듈(9)로 전송된다.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기 위해, 도 3의 데이터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가 디폴트로 2D 포맷 내에 있는 것으로 가정하는 것이 이로울 수 있다. 디바이스의 제어 모듈(9)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재현되는 비디오 스트림 내의 식별자들의 존재를 미리 결정된 빈도로(예를 들면, 1 또는 2 초마다)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식별 데이터에서의 변화(예를 들면, 프로그램 넘버, 서비스, 전송, 전송 주파수 채널, 비디오 스트림 입력 포트, 파일 네임, 볼륨 네임 및/또는 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타이틀 등에서의 변화)가 검출될 때, 제어 모듈(9)은 어떠한 코딩 및 전송 구성이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텀과 연관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연관성들의 스캔을 수행하고,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대응하는 구성 데이텀을 출력한다. 구성 데이텀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리트리브(retrieve)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 모듈(9)은 스트림이 2D 구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고,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을 보통의 2-차원 비디오 스트림으로서 처리하여, 그 스트림이 2D 비디오 스트림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연관된 디스플레이 장치(21)는, 비디오 스트림이 2-차원인 것처럼, 즉, 3-차원 효과를 획득하기 위해 입력 비디오 스트림에 임의의 시각화 적응 메커니즘을 적용하지 않고도, 비디오 스트림이 접속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 상에서 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저장 수단(12)에 저장된 연관성들의 예가 도 3에 도시된다. 이러한 예에서,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 또는 서비스 "RaiUno"(및/또는 상기 서비스가 저장되는 주파수 채널 넘버 및/또는 프로그램 넘버)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코딩 및 전송 구성과 연관된다.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 "RaiUno"(및/또는 대응하는 주파수 채널 및/또는 프로그램 넘버)가 선택될 때마다, 제어 모듈(9)은 3-차원 콘텐츠의 정확한 재생을 보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2)로 전송될, 그와 연관되는 구성을 출력할 것이다. 동일한 고려 사항들이 서비스 "RaiDue"에 적용된다. "RaiUno" 및 "RaiDue"의 경우들에서, 전체 프로그램 스케줄이 3-차원 콘텐츠를 갖는다고 가정된다. 반대로, 몇몇의 프로그램들만이 3D 콘텐츠를 사용하면, 비디오 스트림은 서비스 식별자를 통해 식별될 것이다. 도 5의 표는, 프로그램 식별자 "La domenica sportiva"를 갖는 "RaiTre"의 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모듈(9)은 서비스 "RaiTre"가 프로그램 "La domenica sportiva"를 전송할 때에만 "L + 깊이" 구성을 출력할 것이다.
브로드캐스팅되는 대다수의 스트림들이 (예를 들면, 서비스 "RaiSatCinema"에 대해 "사이드 바이 사이드 R/L" 타입의) 제 1의 3-차원 구성을 갖고, 몇몇의 단일 이벤트들 또는 프로그램들만이 (예를 들면, "RaiSatCinema"에 의해 여전히 브로드캐스팅되는 영화 "Il ritorno dello Jedi"에 대해 "상부-하부" 타입의) 상이한 제 2 구성을 가질 때, 텔레비전 서비스들에 여전히 관련된 상이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비디오 스트림 "RaiSatCinema"가 선택될 때마다, 제어 모듈(9)은, 이러한 서비스에 대해, 출력이 "상부-하부" 타입을 표시하는 연관된 구성을 제공할 영화 "Il ritorno dello Jedi"가 브로드캐스팅될 때를 제외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을 표시하는 연관된 구성을 출력할 것이다.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로부터 생기는 3-차원 콘텐츠에 대해,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이미지들에 대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서비스 식별 코드(예를 들면, DVB-T 표준에서 서비스를 표시하는 LCN)뿐만 아니라 브로드캐스팅되는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코드(예를 들면, DVB-T 표준에서, MPEG-2 코딩 및 전송 구성 스트림으로 전송되는 EIT 표들이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함)와 연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딩 및 전송 구성은 자동적으로 서비스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프로그램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도 3의 표의 마지막 2 개의 로우들에서, 비디오 콘텐츠가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경우에 적용되는 연관성의 예가 존재한다. 그러한 경우에,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은 3D 콘텐츠가 수신되는 파일의 경로를 통해 식별되고, 절대적인 유니보컬 식별을 보장하기 위해, 파일 콘텐츠로부터 획득된 CRC32 또는 해시 코드에 의해 파일 크기, 날짜 및 시간을 저장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상이한 타입들의 연관성은 또한, 예를 들면, 그의 파일 경로에 의해 식별된 파일을 구성 타입과 연관시킴으로써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고안될 수 있다.
도 3에서, 파일 "C:\Filmati3D\vacanze01.mkv"는 코딩 및 전송 구성 "L + 깊이"와 연관된다. 제 2 타입의 연관성은 특정 폴더 또는 경로부터 생기는 모든 파일들을 특정 구성 타입과 연관시킨다. 예를 들면, 도 3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 구성과 이미 연관된 "vacanze01.mkv"를 제외하고, 디렉토리 "C:\Filmati3D"에 포함된 파일들은 "상부 하부 L/R" 구성과 연관된다.
도 3의 데이터 구조가, 서비스 또는 파일 네임 및 프로그램 타이틀에 부가하여, 프로그램 넘버 및/또는 비디오 스트림 입력 포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고, 이것은 유니보컬 식별을 보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물론, 도 3의 데이터 구조는 어쩌면, 정해진 비디오 스트림이 2-차원이고 따라서 3-차원 비디오 스트림들과 상이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1)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기재된 연관성 리스트는 실제로 저장 수단(12)에 존재하는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다. 이것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상이한 형태들로 물리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룩-업 표, 즉, 동질적인 데이터의 2 개 이상의 그룹들을 연관시키는 표 형태의 데이터 구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구조는 대응하는 출력 데이터 세트를 입력 데이터의 각각의 허용 가능한 조합과 연관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데이터는 정해진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으로 구성된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정해진 비디오 스트림을 식별하는 데이터이다.
대안적인 구현에서, 가능한 구성들에 관련된 구성 데이터의 리스트가 저장 수단(12)의 특정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고, 상기 룩-업 표의 출력이 그 구성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 않지만,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구성 데이텀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을 표시하는 포인터에 대응하고, 식별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한다는 것이 구상 가능하다. 그러한 수정된 데이터 구조가 도 4에 예시된다. 이러한 대안을 통해, 동일한 코딩 및 전송 구성 데이터가 다수의 식별 데이터(예를 들면, "La domenica sportiva"를 제외한 모든 RaiTre 프로그램들)에 대응하는 경우에 룩-업 표에서 구성 데이터를 더 이상 여러번 복제할 필요가 없다. 리스트에서 연관성을 제거, 수정 또는 부가하기 위해, 제어 모듈(9)이 그 특정 연관성에 대응하는 룩-업 표 엘리먼트들에 대해 제거, 수정 또는 입력 동작들을 실행하는 것이 충분하다. 이것은 또한 룩-업 표의 출력이 메모리 셀 포인터인 경우에 적용되고, 그러한 경우에, 구성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셀들을 수정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포인터 표에 대한 대안으로서, 각각의 엘리먼트가 2 개의 포인터 필드를 갖는 포인터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 하나의 포인터 필드는 리스트 내의 다음의 엘리먼트를 지시하고, 반면에 제 2 하나의 포인터 필드는 스트림 식별 데이터와 연관된 구성을 지시한다. 이러한 후자의 데이터 구조는, 스트림 식별자들이 긴 시간, 즉,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더 긴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기 때문에, 더 이상 쓸모가 없게 되는 그 스트림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그러한 메모리 위치들이 다시 용이하게 이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는 면에서, 더 많은 메모리 공간을 절약하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가 그룹화되고 특정 메모리 공간들에 저장되고, 제어 모듈(9)이 특정 구성을 상기 메모리 공간들 중 각각의 메모리 공간에 할당하는 것이 구상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연관성을 제거, 수정 또는 부가하기 위해, 제어 모듈(9)이 데이터를 대응하는 메모리 공간들로부터/로 제거, 이동 또는 입력하는 것이 충분하다. 연관성 리스트가, 구별 없이,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텀 또는 제어 모듈(9)에 알려진 형태로 상기 데이텀에 참조 가능한 임의의 코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유사한 고려 사항이 또한 이미지 코딩 및 전송 구성 데이터에 적용된다. 연관성들을 저장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고, 그래서 이러한 공간이 도달 및 초과될 때, 비디오 스트림들이 과도하게 먼 시간 인스턴트에서 검출된 그러한 식별자들에 대응하는 연관성들을 제거함으로써 제어 모듈(9)이 메모리를 청소하는 것이 또한 구상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연관성들이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에는, 제어 모듈(9)에 의해 매번 업데이트되는 데이터 필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필드는 비디오 스트림이 검출된 마지막 날짜 및 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예를 들면, 프로그램 표에서 절약되는,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로부터 생기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응하는 것들과 같이, 몇몇의 특히 중요한 스트림들이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장치(300)의 정상 동작 동안에 제어 모듈(9)의 계산적인 리소스들을 사용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장치가 대기 모드에 있을 때 클리닝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연관성들에 의해 점유된 메모리 공간이 특정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할 때, 이러한 동작이 수행된다는 것이 또한 구상 가능하다.
장치(300)가 설치, 업데이트 또는 재설치되고, 프로그램 표가 생성될 때, 프로세싱 디바이스(200)가 브로드캐스터 식별자들(이러한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를 구성하는 브로드캐스터 네임 또는 코드) 및 각각의 구성 데이터 사이의 연관성들에 상기 표의 일부분을 할당하는 것이 또한 이롭다.
본 발명의 바람직 실시예에서, 장치(100)의 프로그램 표를 설치 또는 재설치 또는 업데이트하는 절차 동안에,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즉, 사용자에 의한 수동 작동을 요구하지 않는 모든 그러한 절차들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가능한 자동 절차에 따라, 비디오 스트림을 특징짓는 각각의 코딩 및 전송 구성을 비디오 스트림과 자동적으로 연관시키려고 시도한다. 이것은,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스캐닝 단계 동안에 수신된 모든 텔레비전 서비스들에 적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여기서 재생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스트림들은 텔레비전 채널 상에서 방금 발견되고 튜닝된 텔레비전 서비스들의 비디오 스트림들로 대체된다. 물론, 그러한 경우에, 저장 수단(12)은 초기에 비어 있을 수 있고, 채널 스캔 동안에 발견된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로 점진적으로 채워질 수 있다. 물론, 그러한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들의 구성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트림의 디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분석 또는 메타데이터의 존재가 사용될 수 있다. 양자의 경우에, 상기 식별자가 충분한 신뢰도로 검출되거나 추론되면, 이것은 비디오 스트림과 자동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2 개의 자동 절차들은, 제조자에 의해 이루어진 설계 선택들에 의존하여 동일한 프로세싱 디바이스(200)에서 함께 또는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이것은,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의 보통 운영 수명의 과정에서 메모리(12)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응하는 어떠한 연관성도 메모리(12)에서 발견되지 않을 위험성, 즉, 도 6의 블록(420)에서 수행되는 검증의 부정적인 결과의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표(예를 들면, USB 메모리 또는 멀티미디어 판독기의 광학 디스크 내의 파일)에 포함되지 않는 임의의 소스(Si)로부터 발신된 임의의 비디오 스트림(Fi)이 선택될 때마다, 본 발명의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이것이 동일한 스트림의 이전 선택 동안에 이미 이루어진 경우에, 비디오 스트림의 구성을 수동으로 재입력해야 하는 것으로부터 사용자를 구하기 위해 도 6의 동일한 방법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자동 절차들 중 어느 것도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에,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적어도 값이 자동적으로 인지될 수 없는 그러한 비디오 스트림들(프로그램 표에 저장되는지 여부)에 대해 구성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는 가능성을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것이 이롭다. 예를 들면, 프로그래밍, 재프로그래밍 또는 프로그램 업데이트 절차의 종료 시에, 프로세싱 디바이스(200)는, 상술된 상호 작용 다이얼로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표에 저장된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의 각각의 비디오 스트림들의 구성 데이터를 수동으로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문의할 수 있다.
3-차원 스트림들을 이미지 코딩 및 전송 구성들과 자동적으로 연관시키기 위해 제어 모듈(9)에 의해 사용되는, 저장 수단(12)에 저장된 연관성들이 다양한 방식들로 정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연관성들은, 예를 들면, 3-차원 비디오 콘텐츠 제공자들에 의해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공장에서 저장 수단(12)에 저장될 수 있거나, 연관성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 및 재정의될 수 있다.
특히, 제조자가 도 6에 도시된 방법의 적용이 실시되는 초기 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코딩 및 전송 구성들과 비디오 스트림 식별자들 사이의 연관성들의 세트를 저장 수단(12)의 영역에 입력하는 것이 구상 가능하다. 이러한 연관성들은,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의 운영 수명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 같은 그러한 비디오 스트림들, 즉, 통상적으로 그의 구성이 선험적으로 알려진 텔레비전 서비스들에 속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될 수 있다.
공장에서 정의된 연관성들이 사용자에 의해 후속으로 수정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새로운 것들을 부가할 수 있다는 것이 또한 구상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표현 "연관성을 정의하는 것"은 새로운 연관성을 연관성 리스트에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연관성을 재정의하는 것"은, 제 1 경우에, 연관성의 2 개의 컴포넌트들, 즉, 구성 데이텀 및 식별 데이텀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변경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제 2 경우에서, 연관성을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표 또는 리스트)로부터 연관성 자체를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성들은 몇몇의 옵션들로 사용자에 의해 정의 또는 재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옵션은 이전에 설명된 연관성 및 저장 절차들의 사용이다. 제 2 옵션은 전체 연관성 리스트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단일 절차에 의해 다수의 연관성들을 정의 또는 재정의할 수 있다. 제어 유닛(6)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연관성 리스트 수정 요청 커맨드를 제 6 출력(14)을 통해 발행할 수 있고, 상기 커맨드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9)은, 데이터 교환 라인(11)을 통해, 저장 수단(12)으로부터 리스트를 나타내는 데이터 구조를 판독한다. 이어서, 제어 모듈(9)은, 제 2 출력(13)을 통해, 사용자가 전체 연관성 리스트를 수정하도록 허용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 스트림에 입력하기 위한 요청을 비디오 프로세서(15)로 전송한다. 상기 리스트는 모든 저장된 텔레비전 서비스들과 그 연관된 튜닝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표의 통합 부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제어 유닛(6)을 통해, 연관성 리스트를 수정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커맨드들을 발행할 수 있고, 이러한 커맨드들에 응답하여, 제어 모듈(9)은 데이터 교환 라인(11)을 통해 저장 수단(12)에 포함된 데이터 구조를 업데이트한다.
사용자를 돕기 위해, 상기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예를 들면, 장치(300)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프로그램 표에 포함된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의 완전한 리스트를 포함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와 같이, 임의의 특정 코딩 및 전송 스트림과 아직 연관되지 않은 그러한 비디오 스트림들의 식별자를 또한 나열하는 것이 또한 구상 가능하다. 용어 "프로그램 표"는, 라디오-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의 분배를 위해 사용되는 코딩 및 전송 수단 및 소스와 독립적으로, 제어 유닛(6)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프로그램 넘버들 및 장치(300)가 어쩌면 튜닝될 수 있는 라디오-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들 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는 표 또는 리스트를 지칭한다. 상기 프로그램 표는 저장 수단(12) 또는 별개의 메모리 영역(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음)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위해 현재 선택되지 않은 다수의 비디오 스트림들에 대한 새로운 연관성들을 정의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한 주기적일 수 있고, 상기 연관성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어 모듈(9) 및/또는 저장 수단(12)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예를 들면, 소스들(Si) 중 하나가 인터넷 인터페이스인 경우에 자동적으로 다운로딩될 수 있고, 소스(Si)가 DVB 신호 튜너일 때,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라디오 브로드캐스팅 채널 또는 또 다른 분배 네트워크(예를 들면, 인터넷)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일반 디코더(1)로부터 추출되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는 입력(10)을 통해 제어 모듈(9)로 전송된다. 물론, 상술된 가능성들 중 2 개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해결책들이 또한 구상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되고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기능적 엘리먼트들의 레이아웃은 전적으로 예시적이며,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의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간단한 블록도를 구성한다. 2 개 이상의 기능적 블록들이 단일 하드웨어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단일 기능적 블록이 2 개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회로 엘리먼트들(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더, 셋 톱 박스, 텔레비전 세트, 모니터)의 협력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미래에, 비디오 프로세서(15) 및/또는 제어 모듈(9) 및/또는 디코더(1) 및/또는 데이터 인터페이스 제어 유닛(23) 중에서 2 개 이상의 기능적 블록들이 단일 집적 회로에 통합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고, 그렇기는 하지만 단일 집적 회로는 본원에 설명된 본 발명을 구현하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명백히 포함한다.
특히, 구별 없이, 메모리 영역 또는 저장 수단으로 또한 지칭되는 메모리(12)는, 구별 없이, 하나 이상의 별개의 모듈들로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부분들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대해 무엇이든지 어떠한 효과도 없이 디바이스(200) 및/또는 장치(300) 외부 또는 내부에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결국, 제어 모듈(9)은,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의 동작을 일반적으로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본 발명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모듈(9)은 프로그래밍된-논리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형태로, 또는 특수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습득 및 저장 디바이스가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 또는 장치 대신에 비디오 기록 디바이스와 연관되거나 이와 연관 가능한 경우에 본 발명이 또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동일한 장치에 통합될 수 있거나, 유선(예를 들면, HDMI, DVI, 디스플레이 포트, 이더넷) 또는 무선(예를 들면, Wi-Fi, WLAN)이든지 아니든지, 적절한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 동일한 장치와 연관될 수 있다.
채택된 메커니즘이 극복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할 수 있는 지연들 또는 결함들에 실시될 수 있다는 면에서, 3D 플레이어 디바이스가 3D 비디오 스트림의 구성을 인지할 수 있는 경우에 또한 본 발명이 이롭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강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비디오 스트림 구성을 획득하기 위해 이미지 분석 시스템이 사용되면, 상기 분석은 매우 복잡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분석이 일반적으로 더 많은 계산력을 요구하고 꽤 긴 시간이 걸리는 복잡한 계산 프로세싱 작동들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비디오 스트림으로 입력되는 특수 메타데이터의 도움으로 구성이 인지될 때(그 기술이 양자의 백-호환 가능 타입들에 대해 채택될 수 있음), 메타데이터가 전송 에러들로 인해 인지되지 않거나, 메타데이터가 지연을 갖고 인지되는 것이 발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예를 들면, 메타데이터가 충분히 빈번하게 전송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연관된 구성 데이터 스토리지는, 제때에 도달하지 않을 수 있는, 재생될 비디오 스트림에 포함된 관련 메타데이터의 습득을 대기할 필요 없이, 튜닝된 프로그램 넘버가 변경될 때(특히, 새롭게 선택된 프로그램이 현재 튜닝된 것과 상이한 mux에 속할 때), 또는 비디오 구성이 하나의 전송으로부터 다른 전송으로의 전환에서 동일한 프로그램 내에서 변할 때, 비디오 구성의 식별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결과적인 적응을 상당히 더 빠르게 만드는 것을 허용한다. 유사한 고려 사항들은 재생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체-상태 광학 또는 전자 대용량 매체로부터 습득된 일반적인 3-차원 비디오 스트림, 예를 들면, 인터넷 사이트로부터 획득되거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부터 기록되거나, 사적 비디오 카메라에 의해 직접적으로 기록된 일반적인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의 빠른 식별에 적용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되고 도면들에 도시된 표들 및 다른 데이터 구조들에 표시된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의 값들은 전적으로 예시적이고 상징적이다. 상기 값들은 임의의 데이터, 코드 또는 데이터 세트로 구성될 수 있고, 임의의 데이터, 코드 또는 데이터 세트에 기초하여 디바이스(200) 및/또는 장치(300)는 어떠한 구성이 정해진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본 특허의 보호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합성 프레임을 구성하는 오리지널 입체 이미지들의 언더샘플링의 정도 및 모드와 같은 다른 구성 특징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즉, 2 개의 별개의 이미지들로부터 시작하여 입체 이미지들에 주로 기초하여 3-차원 비전에 대해 참조가 이루어졌다. 본 발명이 소위 다차원 또는 "멀티뷰" 시스템들에 또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고, 여기서 장면 3-차원성의 지각은 2 개보다 더 많은 동일한 장면의 다수의 뷰들에 의해 생성된다.
따라서, 다음의 청구항들에 명백히 지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아이디어의 신규한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원에 설명된 것에 대해 많은 수정들, 개선들 또는 동등한 부분들 및 엘리먼트들의 대체들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다.

Claims (16)

  1. 연관된 재생 디바이스(5) 상에서 재생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 상에서 선택 가능한 비디오 스트림들(Fi)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식별 데이터에 의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는 단계 ―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코딩 및 전송 구성을 가짐 ― ;
    식별된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임의의 데이터가 비디오 스트림 식별 데이터와 비디오 스트림 코딩 및 전송 구성들 사이의 연관성을 포함하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의 저장 수단(12)에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에 의해 저장되었는지를 검증하는 단계;
    긍정적인 경우에, 상기 식별 데이터에 의해 식별된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된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을 상기 저장 수단(12)으로부터 습득하는 단계; 및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을 연관된 비디오 재생 디바이스(5) 상에서 재생하기 위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다음 선택을 위해 습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를 위해 선택된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시도가 성공적이면, 상기 비디오 스트림의 획득된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가 상기 저장 수단(12)에 저장된 것들에 대응하는지를 검증하는 단계; 및
    시도가 성공적이지 않다면, 상기 디바이스(5) 상의 비디오 재생을 위해 상기 비디오 스트림으로부터 습득된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의 제조자에 의해 상기 저장 수단(12)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설정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들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정의 또는 재정의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연관된 메타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조각들에 포함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상기 데이터는, 식별될 3-차원 비디오 스트림의 디코딩된 비디오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분석함으로써 획득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텀은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를 식별하는 정보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텀은 상기 텔레비전 브로드캐스터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되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딩 및 전송 구성에 관련된 상기 데이터는 상기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300)와 연관된 제어 유닛(6)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들은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정의 또는 재정의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은 복수의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의 제 2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구성 데이텀 및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텀 사이의 유니보컬(univocal) 연관성으로서 표 형태로 표현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구조는 상기 저장 수단(12)에 저장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은 복수의 코딩 및 전송 구성들의 제 2 데이터 구조에 포함된 구성 데이텀 및 적어도 하나의 식별 데이텀 사이의 포인터로서 표현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구조는 상기 저장 수단(12)에 저장되는,
    비디오 스트림들에 관련된 데이터를 습득 및 저장하기 위한 방법.
  13.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장치(300)로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장치(300).
  14. 제 13 항에 있어서,
    구성 데이텀은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특히 HDMI, DVI 또는 디스플레이 포트 또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장치(300).
  15. 제 13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인지될 수 있는 그래픽 형태로 상기 구성 데이텀과 연관된 한 편(piece)의 정보를 상기 재생 가능 비디오 스트림에 입력할 수 있는, 비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수단(15)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장치(300).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를 통합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5)에 의해 재생될 수 있는 비디오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비디오 스트림 프로세싱 장치(300).
KR1020137024353A 2011-02-15 2012-02-13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 KR201400209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2011A000128 2011-02-15
ITTO2011A000128A IT1404062B1 (it) 2011-02-15 2011-02-15 Metodo per l'acquisizione, la memorizzazione e la fruizione di dati relativi ad un flusso video tridimensionale e relativo apparato di elaborazione video
PCT/IB2012/050643 WO2012110937A1 (en) 2011-02-15 2012-02-13 Method of acquisition, storage and use of data relating to a three-dimensional video stream,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917A true KR20140020917A (ko) 2014-02-19

Family

ID=43976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353A KR20140020917A (ko) 2011-02-15 2012-02-13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302015A1 (ko)
EP (1) EP2676437A1 (ko)
KR (1) KR20140020917A (ko)
CN (1) CN103518379A (ko)
IT (1) IT1404062B1 (ko)
TW (1) TW201238328A (ko)
WO (1) WO2012110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7707B2 (en) 2012-04-30 2022-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file path indexing for a content repository
US9323761B2 (en) 2012-12-07 2016-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mized query ordering for file path indexing in a content repository
KR20150134861A (ko) * 2014-05-23 2015-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904478B2 (en) * 2019-05-23 2021-01-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lected forwarding between serially chained devices
CN114513675A (zh) * 2022-01-04 2022-05-17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全景视频直播系统构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87769B2 (ja) * 1996-04-05 2003-03-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映像データ送信方法、映像データ送信装置、及び映像データ再生装置
JP2001326875A (ja) * 2000-05-16 2001-11-22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録媒体
WO2004091207A1 (ja) * 2003-04-02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それらを用いた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JP2010169777A (ja) * 2009-01-21 2010-08-0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289998B2 (en) * 2009-02-13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three (3)-dimensional image data stream
CA2760100C (en) * 2009-04-27 2015-12-08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transmitter, broadcast receiver and 3d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20072896A1 (en) * 2009-06-05 2012-03-22 Haruhito Watanabe Software updating system, electronic devices, and software upd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38328A (en) 2012-09-16
CN103518379A (zh) 2014-01-15
ITTO20110128A1 (it) 2012-08-16
IT1404062B1 (it) 2013-11-08
WO2012110937A1 (en) 2012-08-23
EP2676437A1 (en) 2013-12-25
US20130302015A1 (en) 2013-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760B2 (en) Video stream composed of combined video frames and methods and systems for its generation, transmission, reception and reproduction
JP4974984B2 (ja) 映像記録装置及び方法
US8949884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 receiving method, and program
US9077859B2 (en) Device for recording and playing contents, server for managing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method for managing content information
WO2013061525A1 (ja) 放送受信装置、再生装置、放送通信システム、放送受信方法、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39550B2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機における高速のチャンネル変更
CN104822071A (zh) 提供立体视频广播服务的数据流的发送方法和接收方法
US20130321578A1 (en) Method of Acquisition, Storage and Use of Data Relating to a Three-Dimensional Video Stream, and Video Processing Apparatus Thereof
CN103168473A (zh) 数字接收机以及用于处理数字接收机中的3d 内容的方法
KR20140020917A (ko) 3―차원 비디오 스트림에 관련된 데이터의 습득, 저장 및 이용 방법, 및 그의 비디오 프로세싱 장치
JP5981915B2 (ja) 送信装置、受信再生装置、送信方法及び受信再生方法
KR10204691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채널 정보 갱신 방법
US20120162365A1 (en) Receiver
TWI242371B (en) Decoder and decoding method
EP286364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changing
US20160241906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3026902A1 (en) Broadcasting recep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3146657A1 (ja) 録画装置、サムネイル管理情報作成装置、録画方法および録画プログラム
JP3922110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100927486B1 (ko) 예약 녹화 방법 및 영상 녹화 장치
KR20090091535A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정보 전송 방법 및 그 디지털 티브이
KR20120076625A (ko) 3차원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