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0158A -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0158A
KR20140020158A KR1020120086945A KR20120086945A KR20140020158A KR 20140020158 A KR20140020158 A KR 20140020158A KR 1020120086945 A KR1020120086945 A KR 1020120086945A KR 20120086945 A KR20120086945 A KR 20120086945A KR 20140020158 A KR20140020158 A KR 2014002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ynthetic
hanji
blind fabric
korean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676B1 (ko
Inventor
조인희
Original Assignee
조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희 filed Critical 조인희
Priority to KR1020120086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676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6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warp or weft elements other than yarns or threads
    • D03D15/65Pape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06Feeding liquid to the spinning hea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일 실시예로서, 한지사와 합성사를 직조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한지를 슬리팅 가공 후 연사과정을 거쳐 한지사로 만드는 단계; 합성섬유를 용융 방사 후 연사과정을 통해 합성사로 만드는 단계; 위사를 한지사로 하고, 경사를 합성사로 하여 직조하는 단계; 직조된 한지사와 합성사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따라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사를 만든 후 이를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합성사를 이용하여 서로 직조한 후 그 원단을 열융착시켜 블라인드 원단으로 제조함에 따라 끊어짐에 약한 한지사의 단점을 합성사가 보완함과 동시에 한지의 향균기능과 소취성 및 속건성과 적외선방출효과 등의 기능성은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것이며, 한지 고유의 색감에 따른 채광 조명효과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어 조명의 활용도를 높이고, 실내온도의 조절효과, 습도 조절효과, 공기정화효과, 방음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Blinds fabric by using a korean paper yarn and it's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한지로 만든 한지사를 이용하여 블라인드를 제작함으로써, 한지 고유의 특성 및 기능성을 충분히 살리면서, 채광조명의 활용도를 높이고, 장식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라인드(blind)는 건물 실내로 유입되는 일사를 차단 혹은 조절하기도 하며,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서, 베네시안 블라인드, 버티칼 블라인드, 롤 블라인드, 로만쉐이드와 같이 창의 실내측에 설치되는 종류와 어닝과 같이 외부에 설치되는 종류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원단은 소정의 색상과 무늬를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이 사용되고 있고, 주로 합성섬유로 된 다양한 원사를 직조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예로서 나일론사, 폴리에스터, 아크릴사, 모다크릴사, 비닐 등의 합성섬유로 된 원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합성섬유의 재질은 정전기의 발생 및 통기성이 양호하지 못하고,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쉽게 되며, 장시간 사용시 악취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고, 습기에 약하여 각종 세균의 번식이 쉽게 발생함에 따라 사용자의 위생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합성섬유를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한지를 이용한 블라인드가 이미 제안된 바 있으며, 그러한 관련기술로는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3742호 "한지 블라인드"가 등록되어 있으며, 그 구성을 살펴보면, 한지 블라인드(11)가 불투명 한지(2)와 이 불투명한 한지(2)의 상하면에 열압착코팅에 의해 접착되어 적층된 투명 플라스틱 판재(1,1)로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불투명한 한지(2)의 상하면에 열압착코팅으로 투명 플라스틱 판재(1,1)를 설치하는 경우 투명 플라스틱 판재(1,1)를 통해 불투명한 한지(2)가 투시되면서 한지 고유의 색상 및 이미지로 인한 고급스러운 실내분위기의 연출하고, 투명 플라스틱 판재(1,1)로 인해 블라인드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한지의 전후면이 투명 플라스틱 판재(1,1)로 열압착코팅이 되면 한지 고유의 기능, 즉 항균성, 소취성, 속건성, 원적외선 방출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습도유지 및 축열기능 등을 가질 수 없어, 한지를 활용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사를 구성하고 이를 합성사인 폴리에스터사나 레이온사와 직조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한지의 고유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살리면서 채광 조명의 활용도를 높이고, 공기정화 및 방음효과와 보온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지사와 합성사를 직조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한지를 슬리팅 가공 후 연사과정을 거쳐 한지사로 만드는 단계와; 합성섬유를 용융 방사 후 연사과정을 통해 합성사로 만드는 단계와; 위사를 한지사로 하고, 경사를 합성사로 하여 직조하는 단계와; 직조 된 한지사와 합성사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과 관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는 1~4mm 폭으로 슬리팅 가공되고, 150~2500TPM으로 연사하여 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사는 연사과정에서 실크사 또는 합성사를 합사하여 복합사로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사의 용융 방사시 굵기는 300 데니어인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사는 폴리에스터사 또는 레이온사인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사와 합성사의 융착온도는 150℃~260℃인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사와 합성사의 열융착 수단은 가열 롤러 또는 열풍에 의해 융착되는 것과 관련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성섬유에 방염제를 포함시켜 방사한 후 연사공정을 통해 방염기능을 가지는 합성사로 구성한 것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한지를 슬리팅 가공 후 연사과정을 거쳐 한지사로 만드는 단계와; 합성섬유를 용융 방사후 연사과정을 통해 합성사로 만드는 단계와; 위사를 한지사로 하고, 경사를 합성사로 하여 직조하는 단계와; 직조 된 한지사와 합성사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블라인드 원단과 관련된다.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사를 만든 후 이를 위사로 사용하고, 경사로는 합성사인 폴리에스터사 또는 레이온사를 이용하여 서로 직조한 후 그 원단을 열융착시켜 블라인드 원단으로 제조함에 따라 끊어짐에 약한 한지사의 단점을 합성사가 보완함과 동시에 한지의 향균기능과 소취성 및 속건성과 적외선방출효과 등의 기능성은 그대로 살릴 수 있는 것이며, 한지 고유의 색감에 따른 채광 조명효과를 다양하게 연출시킬 수 있어 조명의 활용도를 높이고, 실내온도의 조절효과, 습도 조절효과, 공기정화효과, 방음효과 등의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한지사와 합성사로 이루어진 원단의 요부를 확대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샘플을 나타낸 도면대용 부분 확대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은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사(10)를 만들고, 이를 합성사(20)와 직조하여 한지의 고유 기능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한 블라인드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우선, 한지사(10)를 만들기 위해서는 한지가 필요한 것이며, 상기 한지는 일반적으로 닥나무를 이용하여 만들게 되는데, 그 제작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원료인 닥을 11월에 잘라 져서 벗긴다. 이를 흑피라고 하는데 이 흑피를 물에 불려 검은 껍질을 벗기면 백피가 된다. 이 백피를 말렸다가 필요할 때 잿물로 삶아 깨끗한 물에 씻는다. 요즘은 잿물 대신 가성소다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과정은 순수 셀룰로오스를 얻기 위한 것으로 잘 삶아서 깨끗이 씻어야만 좋은 품질의 한지가 될 수 있으며,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티를 고르는 작업을 거치고, 기호에 따라 섬유를 개울가나 눈 위에서 자연표백하는데 최근에는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표백한다.
다음은 섬유를 콜로이드화하는 과정으로 섬유 사이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방망이로 두드리는데 이를 고해라고 하며, 요즘에는 비터를 사용한다.
다음 이 섬유를 지통에 넣고 섬유의 약 45배 되는 물을 붓고 잘 저은 다음 닥풀, 일명 황촉규를 넣어 대나무로 만든 발로 뜬다. 뜬 종이는 판 위에 놓고 돌로 눌러 물을 뺀 다음 나무판에 붙여 건조시키기도 한다. 요즘은 철판, 스테인레스강 등의 판에 불을 때서 건조시킨다. 그 밖에 전통적인 방법으로 쌀가루나 돌가루 등을 발라 다듬이질을 하기도 하는데 이를 도침이라 한다. 두꺼운 종이나 여러 겹의 종이는 이런 과정을 거친 후 완성된다.
이와 같은 만들어진 한지를 한지사(10)로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한지를 임의의 넓이로 절단하는 슬리팅 공정을 통해 일정한 폭을 가지는 다수개의 가닥으로 만들어야 하며, 이때 슬리팅 공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한지의 폭은 1~4mm 가 적당하며, 이러한 폭으로 만들어진 한지는 연사과정을 통해 꼬여지게 되는데, 그 꼬임수는 한지사의 원하는 강도를 고려하여 150~2500TPM(Twist Per Meter)으로 연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연사과정을 거치면 한지사(10)가 완성되는데, 상기와 같은 한지사(10)는 친환경 소재로서, 내구성 및 형태 안정성이 우수하며, 일반 면사와 달리 황색포도상구균이나 폐렴구균의 99.9%의 정균 감소율을 가지고 있어 곰팡이 및 유해 세균 발생을 방지해주며, 암모니아는 99.5%, 포름알데이드는 33.3%를 감소시켜 소취성의 우수하며, 코튼(Cotton)에 비해 2배 가량의 속건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황토의 90% 수준에 이르는 원적외선 방사율을 가지며, 그 비중은 0.8로서 1.54인 면사에 비하여 절반 수준으로 무게가 가벼운 특징이 있다.
그리고 통기성이 우수하여 공기정화의 기능을 가질 수 있으며, 흡수성이 뛰어나며, 보온성이 우수하여 방한기능성을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은 한지사(10)를 단사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필요에 따라 연사과정에서 실크사 또는 다른 합성사(20)와 합사하여 복합사로 만들어 한지사(10)의 강도를 보강하거나 한지사(10)에 의해 만들어지는 원단의 패턴, 색상, 질감 등에 변화를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한지사(10)와 함께 직조되는 합성사(20)는 합성섬유를 용융 방사한 후 연사과정을 통해 만들어지게 되고, 이러한 합성사(20)의 일 예로는 폴리에스터사 또는 레이온사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여기서 상기 합성사(20)의 굵기는 필요로 하는 원단(30)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굵기로 만들 수 있지만 300 데니어(denier)의 굵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합성사(20)를 방사하기 전에 합성섬유 원료에 특정색상의 안료가 첨가되도록 마스터 배치하여 다양한 색상의 합성사로 방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한지사(10)와 합성사(20)가 만들어진 후에는 한지사(10)를 가로방향으로 놓이는 실 즉, 씨실인 위사로 사용하고, 합성사(20)를 세로방향으로 놓이는 실 즉, 날실인 경사로 사용하여 서로 직각방향으로 얽히도록 직조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지사(10)를 위사로 사용하고 합성사(20)를 경사로 사용하여 직조하는 이유는 한지사(10)와 합성사(20)에 의해 직조 되는 원단(30)의 사용 용도가 블라인드 원단이므로 일반적인 블라인드는 수직 상하방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됨에 따라 위사보다 경사의 강도가 더 커야 한다.
따라서 위사를 인장력이 약한 한지사(10)를 적용하고 경사로서 인장력이 강한 합성사(20)를 적용한 것이며, 블라인드 원단의 형태에 따라 위사를 합성사(20)로 하고, 경사를 한지사(10)로 사용하는 것도 무방한 것이다.
이와 같이 위사로 한지사(10)를 하고 경사로 합성사(20)를 하여 직조한 다음에는 한지사(10)와 합성사(20)가 서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직조된 원단(30)을 열융착시켜 블라인드 원단으로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합성사(20)가 열에 의해 녹았다가 다시 경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열에 의해 경사인 합성사(20)가 녹은 후 다시 경화되는 과정을 통해 위사인 한지사(10)와 합성사(20)가 서로 융착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합성사(20)는 150℃~260℃의 범위 내에서 용융되도록 한 것인데, 상기 합성사(20)가 폴리에스터사인 경우에는 그 용융온도를 250℃~260로 설정하고, 합성사(20)가 레이온사인 경우에는 그 용융온도를 150℃~16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합성사(20)의 열융착을 위한 수단으로는 합성사(20)를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를 가지는 가열 롤러(도면중 미도시)를 상하로 배치하고 그 가열 롤러 사이를 통해 합성사(20)와 한지사(10)로 직조 된 원단(30)이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합성사(20)와 한지사(10)가 서로 열융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며, 합성사(20)의 열융착을 위한 다른 수단으로는 합성사(20)를 용융시킬 수 있는 온도를 가지는 열풍 발생장치(도면중 미도시)를 상하로 배치하고 그 열풍 발생장치의 사이를 통해 직조 된 합성사(20)와 한지사(10)가 통과되도록 하여 합성사(20)와 한지사(10)가 서로 열융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블라인드 원단은 소방법 관련법규의 강화로 방염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합성사(20)를 만들기 전 합성섬유에 방염제를 용융한 후 방사한 다음 연사하여 방염기능을 가지는 합성사로 만들어 한지사(10)와 직조함에 따라 방염기능을 가지는 블라인드 원단으로 제작하는 것도 바람직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한지사(10)와 합성사(20)로 직조 된 블라인드 원단은 일반적인 블라인드 원단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가지며, 아래의 표1 과 표2 는 그러한 차이점을 비교한 것이다.

구분

일반적인 블라인드 원단

한지사와 합성사로 직조된 블라인드 원단

중량(weight)

520.7g/㎡

252.0g/㎡

두께(thickness)

0.69mm

0.57mm

차광율(shade factor)

97%

98.43%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Warp 232.2 daN/5cm

Warp 600 daN/5cm

Weft 170.2 daN/5cm

Weft 1700 daN/5cm

인장신도(elongation strength)

Warp 34.9%

Warp 33.4%

Warp 24.5%

Warp 24.2%


인열강도(tearing strength)

Warp 7.0 daN/5cm

Warp 12 daN/5cm

Weft 5.0 daN/5cm

Weft 31 daN/5cm

구분

일반적인 블라인드 원단

한지사와 합성사로 직조된 블라인드 원단

차광성

빛을 강제로 막아줌

빛을 투과시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함

통기성

통기성이 불량

통기성 우수함

친환경성

인체에 유해함

인체에 유익함

유지비용

빛을 강제로 막아 반드시 추가적인 조명이 필요

분광효과로 조명이 없어도 일정한 조도를 유지함

물성특성

중량이 무거움

두께에 비해 중량이 가벼움
참고로 한지사(10)는 여러 종류의 한지를 이용하여 만들 수 있는 것이며, 한지는 그 종류에 따라 구리짚을 원료로 하여 만든 고정지, 등나무를 원료로 만든 등지, 마의 대를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마골지, 짚을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마분지, 분을 먹인 흰 분백지, 뽕나무 껍질을 섞어 만든 상지, 솔잎을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송엽지, 닥나무에 소나무 속 껍질을 섞어 만든 송피지, 버드나무를 잘게 부수어 섞어 만든 유목지, 버드나무 잎을 섞어 만든 유엽지, 털과 같이 가는 해초를 섞어 만든 태장지, 황마를 섞어 만든 황마지, 다른 원료와 목화를 섞어 만든 백면지, 아바카를 이용한 아바카한지 등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다양한 한지를 이용하여 한지사(10)를 만든 후 합성사(20)와 직조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만들게 되면 도 2 내지 도 7 에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블라인드 원단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할 수 있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한지사 20 : 합성사
30 : 원단

Claims (9)

  1. 한지사와 합성사를 직조하여 블라인드 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한지를 슬리팅 가공 후 연사과정을 거쳐 한지사로 만드는 단계;
    합성섬유를 용융 방사 후 연사과정을 통해 합성사로 만드는 단계;
    위사를 한지사로 하고, 경사를 합성사로 하여 직조하는 단계;
    직조 된 한지사와 합성사를 서로 열융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는 1~4mm 폭으로 슬리팅 가공되고, 150~2500TPM으로 연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사는 연사과정에서 실크사 또는 합성사를 합사하여 복합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사의 용융 방사시 굵기는 3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사는 폴리에스터사 또는 레이온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사와 합성사의 융착온도는 150℃~2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사와 합성사의 열융착 수단은 가열 롤러 또는 열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에 방염제를 용융시켜 방사한 후 연사공정을 통해 방염기능을 가지는 합성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KR1020120086945A 2012-08-08 2012-08-08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3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45A KR101437676B1 (ko) 2012-08-08 2012-08-08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45A KR101437676B1 (ko) 2012-08-08 2012-08-08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58A true KR20140020158A (ko) 2014-02-18
KR101437676B1 KR101437676B1 (ko) 2014-09-04

Family

ID=50267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45A KR101437676B1 (ko) 2012-08-08 2012-08-08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300A (ko) 2017-11-02 2019-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닥나무 방적사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49324B1 (ko) * 2020-03-09 2021-05-07 주식회사 우리텍스타일 진공세팅처리를 통한 한지테이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759Y1 (ko) * 2001-07-12 2001-12-24 김선기 물세탁이 가능한 방염 블라인드
KR200346491Y1 (ko) * 2003-12-23 2004-03-30 주식회사 예당이십일 한지실을 이용하여 직조된 직물지
KR101122674B1 (ko) * 2009-03-19 2012-03-09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05590A (ko) * 2009-07-10 2011-01-18 이옥심 한지섬유원단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300A (ko) 2017-11-02 2019-05-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닥나무 방적사를 포함하는 롤 스크린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49324B1 (ko) * 2020-03-09 2021-05-07 주식회사 우리텍스타일 진공세팅처리를 통한 한지테이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676B1 (ko) 2014-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236B1 (ko) 차광성이 우수한 단열 블라인드 및 암막지 제조용 친환경 원단
CN107400987A (zh) 一种非织造布制造藏毯工艺
KR101437676B1 (ko) 한지사를 이용한 블라인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N101564255A (zh) 一种菠萝叶纤维防螨凉席的制造方法
CN106192188B (zh) 一种四维网布及其加工方法
CN105795868B (zh) 一种竹纤维加热地毯
CN101967757A (zh) 一种复合无纺布
CN205553389U (zh) 一种提花面料
CN207721583U (zh) 一种除螨型保温羽绒被
CN205272710U (zh) 一种保暖性好的家纺型面料
CN206456028U (zh) 一种防水针织植绒布
CN202820581U (zh) 一种超柔保暖涤纶云毯
CN102234865A (zh) 一种低碳环保阻燃面料及其制取方法
CN108468157A (zh) 一种用生物质材料制备无纺布的方法
CN107901544A (zh) 一种保暖抑菌服装面料
CN210436729U (zh) 一种仿雪尼尔布绣花窗帘
CN103835051A (zh) 一种青年t恤纺织面料
CN208625275U (zh) 一种温感变色隔音窗帘
CN207984230U (zh) 一种保暖抑菌服装面料
CN208324429U (zh) 一种防辐射复合真丝面料
CN105768814A (zh) 一种竹炭纤维保温地毯
CN217293754U (zh) 一种全遮光的室内阻燃环保面料
CN107553991A (zh) 一种高强度阻燃防污刺绣无缝墙布生产工艺
CN209904165U (zh) 一种透气型提花面料
CN220576754U (zh) 一种多层抑菌面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