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743A -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743A
KR20140019743A KR1020130091373A KR20130091373A KR20140019743A KR 20140019743 A KR20140019743 A KR 20140019743A KR 1020130091373 A KR1020130091373 A KR 1020130091373A KR 20130091373 A KR20130091373 A KR 20130091373A KR 20140019743 A KR20140019743 A KR 20140019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ase
separator
centrifugal separator
centrifug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1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232B1 (ko
Inventor
나오코 가와무라
준지 나이토
마사토시 다나카
이쿠오 오시마
기요시 에베
다카유키 이치노
요시아키 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40019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Abstract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와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별개로 모으면서 동시에 폐기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폐기 시의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의 날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는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갖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한다.
집진 장치(27)는 분리체(86)로부터 돌출되고,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에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스부(85)에 밀착하는 벽부(161)를 구비한다. 집진 장치(27)는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한 진애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165)를 구비한다. 진애 저류부(165)는 케이스부(85)에 대해서 벽부(161)가 밀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스부(85)와 벽부(161) 사이에 구획된다.

Description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DUST COLLECTING DEVICE AND ELECTRIC CLEANER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에 위치하여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진애를 포함한 공기(함진 공기라 함) 중 이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구비한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갖는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집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집진 장치는, 소위 집진 컵이며, 전동 송풍기의 구동에 의해 흡입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한다.
이러한 집진 장치로서, 최근 함진 공기를 내부에서 선회시킴으로써 진애를 원심 분리(사이클론 분리)하는, 소위 사이클론 분리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이클론 분리식의 집진 장치의 경우, 원심 분리부의 크기(선회 직경)에 따라서 분리할 수 있는 진애의 크기나 비중이 설정되기 때문에, 크기가 다른 원심 분리부를 다단으로 설치하여, 함진 공기 중 크기나 비중이 다른 진애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40443호 공보
크기나 비중이 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는, 전동 송풍기를 다시 구동시켰을 때에 집진 장치 내에서 날려 올라가지 않도록, 크기나 비중이 큰 진애, 즉 큰 먼지와 다른 개소에 모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특허문헌 1 기재의 구성에서는, 큰 먼지를 원심 분리하여 모으는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의 주위에, 미세 먼지를 원심 분리하는 복수의 제2 원심 분리부를 설치하고, 이들 제2 원심 분리부에 의해 분리한 미세 먼지를, 제1 원심 분리부의 중앙부에 구획한 진애 저류부로 낙하시켜서 모으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모아진 진애는, 제1 원심 분리부의 하부를 개방함으로써 동시에 폐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의 경우, 진애 저류부에 모아진 미세 먼지 주위에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 포집된 큰 먼지가 모아지기 때문에, 폐기 시에, 이들 큰 먼지와 미세 먼지는 서로 섞이지 않고 각각 별개로 쓰레기통 등으로 낙하하게 되며, 이 낙하 시에 미세 먼지가 날려 올라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와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별개로 모으면서 동시에 폐기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폐기 시의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의 날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는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갖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 장치로서,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부를 갖고, 함진 공기 중 진애를 분리함과 함께 이 케이스부 내에 모으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해서 이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에서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분리체와, 이 분리체에 설치되며, 이 분리체를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밀착하는 벽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벽부가 밀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스부와 벽부 사이에 구획되고,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집진 장치는,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 장치로서,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부를 갖고, 함진 공기 중 진애를 분리함과 함께 이 케이스부 내에 모으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해서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대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에서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분리체와, 이 분리체에 설치되며, 이 분리체를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의 타단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밀착하는 벽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벽부가 밀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스부와 벽부 사이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는,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전술한 특징을 갖는 집진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와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별개로 모으면서 동시에 폐기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폐기 시의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의 날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는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갖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의 전기 청소기의 집진 장치의 진애 저류부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a)는 분리체를 케이스부에 대해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분리체를 케이스부에 대해서 떼어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상기 집진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청소기 본체를 나타내는 중앙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전기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일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참조 부호 11은 소위 캐니스터형 전기 청소기를 나타내며, 이 전기 청소기(11)는 흡입 풍로체(풍로 형성체)인 관부(12)와, 이 관부(12)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청소기 본체(13)를 갖고 있다.
관부(12)는 청소기 본체(13)에 접속되는 접속관부(15)와, 이 접속관부(15)의 선단측에 연통하는 가요성을 갖는 호스체(16)와, 이 호스체(16)의 선단(상류)측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부(17)와, 이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상류)측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상류)측 등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흡입구체로서의 바닥 브러시(19)를 구비하고 있다.
손잡이 조작부(17)에는, 루프 형상의 파지부(21)가 호스체(16)측으로 돌출되고, 이 파지부(21)의 상부에는, 조작용 설정 버튼(22)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청소기 본체(13)는 대직경의 주행륜(23)을 양측에 갖고 선회륜(24) 및 접지륜(25)을 하부에 갖는 본체 케이스(26)를 구비하고, 이 본체 케이스(26)의 외부인 상부에는, 집진 컵인 집진 장치(27)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청소기 본체(13)는 주행륜(23) 및 선회륜(24) 또는 접지륜(25)에 의해 피청소면인 바닥면 위를 적어도 전후 방향을 따라서 주행(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은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6))의 주행(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본체 케이스(26)는,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집진 장치(27)의 후방에 위치하는 본체부(31)와, 이 본체부(31)의 전방부 하측으로 돌출 설치되어 집진 장치(27)의 하부를 지지하는 집진 장치 지지부로서의 돌출 받침부(32)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26)의 내부에는, 이들 본체부(31)와 돌출 받침부(32)에 걸쳐서,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으로 굴곡진 본체 풍로부(33)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31)의 양측에는, 주행륜(23)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1)의 후방부의 하측에는, 청소기 본체(13)의 전방측이 일어선 상태에서 바닥면에 대해서 접지하는 접지륜(25)이 좌우 방향의 중앙부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본체부(31)의 전방부의 상측에는,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6))를 파지하기 위한 루프 형상의 핸들(34)이 후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본체부(31)의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실(35)이 하부의 일측, 예를 들어 우측으로 구획되어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전원실이 타측, 예를 들어 좌측으로 구획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실(35)의 상방에 인접하여 필터실(37)이 구획되고, 또한 이 필터실(37)의 상방에 인접하여 연통 풍로부(38)가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전동 송풍기실(35)의 내부에는, 전동 송풍기(39) 및 이 전동 송풍기(39)의 동작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이 되는 제어 회로부 등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전원실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동 송풍기(39) 등에 급전 가능한 전원 코드를 권회한 전원부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코드 릴 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필터실(37)에는 집진 장치(27)의 하류측과 전동 송풍기(39)의 흡입측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부(42)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체부(31)의 전방부의 하부에는 집진 장치(27)의 상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연통 개구부(45)(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본체부(31)의 전방부의 상부에는 연통 풍로부(38)와 연통하여 본체 케이스(26)에 장착된 집진 장치(27)의 하류측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흡기 개구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본체부(31)의 후방부에는, 접지륜(25)의 상방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면 형상(평면 형상)으로 연장되는 외곽면인 후면부(47)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면부(47)에는 전동 송풍기실(35)과 본체 케이스(26)의 외부를 연통하는 복수의 배기 구멍(48)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배기 구멍(48)의 상방의 일측에, 필터실(37)과 본체 케이스(26)의 외부를 연통하는 착탈 개구(49)가 형성되고, 또한 배기 구멍(48)의 상방의 타측에, 전원실과 본체 케이스(26)의 외부를 연통하여 전원 코드를 출납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코드 도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 받침부(32)의 전면에는, 관부(12)의 접속관부(15)의 하류측이 접속되는 본체 흡입구(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본체 흡입구(52)가 본체 풍로부(33)의 상류 단부의 개구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본체 흡입구(52)는 본체 풍로부(33)를 통해서 연통 개구부(45)와 연통하고, 이 연통 개구부(45)를 통해서 집진 장치(27)의 상류측과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39)는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 회로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이 전동 송풍기(39)는 흡입(상류)측을 상측으로서 배치하고, 배기(하류)측인 하측이 본체 케이스(26)의 저부(55)에 지지되어 있다.
제어 회로부는 설정 버튼(2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이 설정 버튼(22)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동작 모드(예를 들어 강 모드, 중 모드, 약 모드, 자동 모드, 정지 모드 등)로 전동 송풍기(39)의 동작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필터실(37)은 상부, 즉 상류측이, 통기 개구(61)에 의해 연통 풍로부(38)를 통해서 흡기 개구부(46)와 연통하고 있음과 함께, 하부, 즉 하류측이, 연통 개구(62)에 의해 전동 송풍기실(35)과 연통하여 전동 송풍기(39)와 기밀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필터부(42)는 집진 장치(27)를 통과한 진애를 포집하는 것이며, 제1 및 제2 필터(68, 69)를 구비하고, 필터실(37)에 본체 케이스(26)의 외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집진 장치(27)는 하측(상류측)에 위치하는 제1 본체부로서의 케이스부(85)와, 이 케이스부(85)의 상측(하류측)에 위치하는 제2 본체부로서의 분리체(86)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 분리체(86)는 케이스부(85)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원심 분리부(90)를 구성하는 구조체인 내통(91)과, 통기 풍로부(92)와,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원심 분리부(93)와, 풍로부(94)를 갖는 유닛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집진 장치(27)는 본체 케이스(26)에 대해서 장착한 상태에서 후방측이 본체부(31)의 전방부에 끼워 맞추고, 상측이 후방으로 경사진 상태에서(핸들(34)에 대해서 평행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1 원심 분리부(90)는, 전동 송풍기(39)의 구동에 의해 내부에 흡입한 함진 공기 중 일부인 상대적으로 큰 진애, 즉 큰 먼지를 주로 해서 원심 분리하여 모으는 것이다.
케이스부(85)는, 예를 들어 투광성을 갖는(투명한) 합성 수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며, 제1 원심 분리부(90)의 외곽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제1 원심 분리부(90)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부(85)의 상부에는, 제2 원심 분리부(93)의 하부에 대향하는 진애 낙하 공간부인 공간부(96)가 구획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부(85)의 후방부에는, 함진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도입구(97)가 일측, 예를 들어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개구되어 있다. 이 케이스부(85)의 외부에는 집진 장치(27)(케이스부(85))를 파지하기 위한 집진 장치 손잡이부(98)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부(85)의 후방부의 양측에는, 본체 케이스(26)에 대해서 집진 장치(27)를 장착할 때의 위치 결정으로 되는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볼록부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부(85)의 상단부의 전체 주연부에 연속해서 상방으로 확대 개방되어 있는 공간부(96)는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즉, 이 공간부(96)는 케이스부(85)의 상단부에 주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서 일체 형성된 경사면부(101)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간부(96)는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와 연통하고 있다.
케이스부(85)의 후방부에 설치한 도입구(97)는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장착한 상태에서 연통 개구부(45)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이 도입구(97)는 연통 개구부(45) 및 본체 풍로부(33)를 통해서 본체 흡입구(52)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집진 장치 손잡이부(98)는, 케이스부(85)의 후방부에서, 또한 도입구(97)의 측방, 바꾸어 말하면 도입구(97)의 근방에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집진 장치 손잡이부(98)는, 예를 들어 상하 방향, 즉 케이스부(85)(제1 원심 분리부(90))의 축방향에 대해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볼록부는 도입구(97)의 상측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고, 본체 케이스(26)에 대해서 집진 장치(27)를 장착할 때에, 본체 케이스(26)의 본체부(31)의 전방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서 길이 형상으로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위치 결정 받침부의 하단부에 대해서 삽입되게 되어 있다.
내통(91)은 케이스부(85)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제1 원심 분리부(90)의 선회 중심으로 되어, 외주와 케이스부(85)의 내주면(85a) 사이(주위)에, 함진 공기를 선회시키는 선회 풍로(106)를 형성함과 함께, 내부를 통과하여 제1 원심 분리부(90)와 각 제2 원심 분리부(93)측(통기 풍로부(92))을 접속하는 것이다.
이 내통(91)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대략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원통 형상의 구조체 본체인 배기 통부(108)와, 이 배기 통부(108)의 하단측에 동일축 형상으로 설치된 압축부인 셰이드부(109)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내통(91)은 상단부가 분리체(86)에 대해서 일체가 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분리체(86)와 함께, 케이스부(85)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배기 통부(108)는, 선회 풍로(106)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가 내부로 통과하는 개구(111)를 주위 방향으로 복수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개구(111) 전체가 분리 필터(112)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한, 이 배기 통부(108)의 하단부는, 주변측, 즉 외측 테두리측으로부터 중앙(중심)측을 향해서 서서히 하류측인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경사진 경사면인 저면부(113)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 저면부(113)는, 예를 들어 구면의 일부를 잘라낸 구면 형상, 또는 포물 면 형상 등이며, 중앙부가 뾰족해지지 않고 만곡되어 있다.
셰이드부(109)는, 제1 원심 분리부(90)에 있어서 분리한 큰 먼지를, 전동 송풍기(39)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부압을 이용해서 압축하는 것이며, 배기 통부(108)의 하단부의 주연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차양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 형상의 천판부(115)와, 이 천판부(115)의 외주연으로부터 배기 통부(108)와 반대 방향인 하방을 향해서 돌출된 절첩부로서의 주판부(116)를 일체적으로 갖고,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이 셰이드부(109)는 배기 통부(108)보다도 직경 치수가 크고, 이 배기 통부(108)에 대해서 직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천판부(115)에는, 복수의 압축용 개구(117)가 주위 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개구되어 있으며, 이들 압축용 개구(117)는 압축 필터(118)에 의해 덮여져 있다(도 2 참조).
또한, 셰이드부(109)는 중앙부가 배기 통부(108)의 저면부(113)의 배면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셰이드부(109)의 중앙부는, 하류측인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셰이드부(109)는 케이스부(85)의 저부에 대해서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선회 풍로(106)를 선회하는 함진 공기의 일부가 하측으로부터 압축용 개구(117)로 순환하도록 통과함으로써 압축 필터(118)에 큰 먼지를 내리눌러서, 큰 먼지를 압축한 상태에서 모으도록 구성되어 있다.
분리체(86)는 제1 풍로체(121), 제2 풍로체(122), 도입 풍로체(123), 분리 풍로체(124), 상부 덮개부(125), 내통(91) 및 이 내통(91)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체(126)를 일체적으로 구비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부(85)(제1 원심 분리부(90))의 직경 치수보다도 큰 직경 치수를 갖고 있다.
제1 풍로체(121)는 하측에 위치하는 상류측으로부터 상측인 하류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도풍부(131)와, 이 도풍부(13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대략 원통 형상의 통부(132)와, 이 통부(132)에 연통하여 후방을 향해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덕트부(133)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풍로체(122)는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통부(132)와 기밀하게 접속되고, 외측 테두리부가 상부 덮개부(125)의 내측 테두리부와 접촉하고 있다.
도입 풍로체(123)는 제1 풍로체(121)와 제2 풍로체(122)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확대 개방되어 하단부가 도풍부(131)의 상단부에 기밀하게 접속되는 원통 형상의 연결 통부(135)와, 이 연결 통부(135)의 외측 테두리부에 나선 덮개 형상으로 설치되어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상단부(상류부)를 형성하는 선회부(136)와, 이들 선회부(136) 각각의 중앙부에 원통 형상으로 일체로 설치된 배기부(137)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배기부(137)의 상단부가, 제2 풍로체(122)의 외측 테두리 근방에 개구된 원 형상의 접속 구멍(138)에 기밀하게 삽입 접속되어 있다.
분리 풍로체(124)는, 연결 통부(135)의 외측에 위치하여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하단부를 이루는 제2 원심 분리부 본체로서의 콘부인 복수의 선회 통부(141)과, 이들 선회 통부(141)의 주위를 덮는 커버부(14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선회 통부(141)는 제1 원심 분리부(90)의 케이스부(85)보다도 소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로 서서히 직경을 작게 하고 있다. 이들 선회 통부(141)의 상단부에는, 도입 풍로체(123)의 선회부(136)가 각각 끼워맞추고 있음과 함께, 이들 선회 통부(141)의 하단부는, 각각 공간부(96)과 연통하고 있다.
커버부(142)는 분리체(86)의 외주면을 이루는 것이다. 이 커버부(142)에는, 덕트부(133)와 연통하여 풍로부(94)의 하류 단부를 이루는 예를 들어 사각 형상의 배기 개구(144)가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후방부에 개구되어 있다.
배기 개구(144)는 후방측에 배치된 제2 원심 분리부(93, 93)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 배기 개구(144)는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장착한 상태에서 흡기 개구부(46)와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이 배기 개구(144)는 흡기 개구부(46)를 통해서 전동 송풍기(39)의 흡입측과 기밀하게 접속된다.
또한, 배기 개구(144)는 도입구(97)와 동일측인 집진 장치(27)의 후방측에 위치하고 있고,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장착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26)의 본체부(31)의 전방부에 대향한다.
상부 덮개부(125)는 도입 풍로체(123)의 상측을 덮어서 분리 풍로체(124)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상부 덮개부(125)는 상측의 중앙부에, 예를 들어 제2 풍로체(122)의 만곡 형상을 따라서 하방으로 오목해진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의 상측 오목부(147)가 형성되어 있고, 이 상측 오목부(147)로부터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후방부에 걸쳐서, 걸림 지지 장치로서의 집진 장치용 클램프(148)가 장착되어 있다.
집진 장치용 클램프(148)는 상측 오목부(147)에 끼워 맞추는 조작용 조작 핸들부(151)와, 이 조작 핸들부(151)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는 걸림 지지부를 구성하는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 핸들부(151)는 양측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서 상측 오목부(147)의 내측 테두리를 따르는 외측 테두리를 갖고 있으며, 전단부가 좌우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평면에서 볼 때 원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조작 핸들부(151)는 후단부가 상부 덮개부(125)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작 핸들부(151)의 전방부는, 상측 오목부(147)의 내측 테두리에 대해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고, 사용자가 손가락을 상측 오목부(147)에 삽입하여 조작 핸들부(151)의 전방측을 상방으로 들어 올려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는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장착할 때에, 이 본체 케이스(26)의 본체부(31)의 전방부의 흡기 개구부(46)의 상방에 개구된 걸림 지지 받침부가 되는 걸림 지지 개구(153)에 삽입 걸어 결합하여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걸림 지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는 상단부가 상부 덮개부(125)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는 선단측이 상부 덮개부(125)의 후방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고, 또한 걸림 지지부 가압 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154)에 의해, 후방으로 진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의 상부에는, 조작 핸들부(151)의 후단부가 접촉하고 있고, 조작 핸들부(151)가 상측 오목부(147)로부터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의 상측이 하방으로 밀어 넣어져서, 이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가 코일 스프링(154)의 가압에 저항하여 전방으로 퇴피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체(126)는 내통(91)의 배기 통부(108)의 상단부측이 중앙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원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벽부(16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보유 지지체(126)는, 분리체(86)의 하단부, 즉 제1 풍로체(12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벽부(161)는 분리체(86)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선단측에 가요성 및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 또는 고무 등의 폐색 부재인 패킹(163)이 장착되어 있다. 이 패킹(163)은 벽부(161)에 장착되는 피장착부(163a)와, 이 피장착부(163a)의 선단인 하단으로부터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의 중앙부측을 향해서 굴곡져서 돌출된 시일부인 립부(163b)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벽부(161)는 보유 지지체(126)의 주위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고, 보유 지지체(126)를 분리체(86)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하방에 대향하고 있다. 또한, 이 벽부(161)는 외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그리고, 이 벽부(161)는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의 상방에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스부(85)의 경사면부(101)에 대해서 패킹(163)을 압접하는, 바꾸어 말하면, 벽부(161)의 선단측과 경사면부(101) 사이에서 립부(163b)를 협지함으로써, 공간부(96)의 내부에서 케이스부(85)와 벽부(161)의 외주측(제2 원심 분리부(93)(선회 통부(141))의 중심축 위치의 바로 아래보다도 외측의 부분) 사이에,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된 진애, 즉 미세 먼지 D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165)를 구획한다.
이 진애 저류부(165)는 제1 원심 분리부(90)의 상측 주위에 위치하고, 집진 장치(27) 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진애 저류부(165)에는, 전동 송풍기(39)의 구동에 의해 생기는 부압이 실질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공기가 흐르지 않는다.
그리고, 이 벽부(161)는 그 경사에 의해, 각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된 미세 먼지 D를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하방(바로 아래), 즉 이들 제2 원심 분리부(93)의 중심축 위치에 대해서, 측방으로 어긋난 위치로 빼내어 진애 저류부(165)로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통기 풍로부(92)는 제1 원심 분리부(90)와 각 제2 원심 분리부(93)를 기밀하게 접속함으로써, 제1 풍로체(121)의 통부(132)와 덕트부(133) 사이 및 제2 풍로체(122)와 도입 풍로체(123)의 연결 통부(135) 및 선회부(136) 사이에 걸쳐서 기밀하게 구획되고, 선회부(136)를 통해서 각 제2 원심 분리부(93)(선회 통부(141)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이 통기 풍로부(92)는 상류측(제1 원심 분리부(90)의 하류측)으로부터 하류측(제2 원심 분리부(93)의 상류측)으로, 함진 공기의 유량을 줄이면서 정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제2 원심 분리부(93)는, 함진 공기의 선회 반경을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의 선회 반경보다도 작게, 또한 선회 속도를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의 선회 속도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제1 원심 분리부(90)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에서의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 원심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상대적으로)작은 진애, 즉 미세 먼지 D를 원심 분리하여 공간부(96)로 낙하시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각 제2 원심 분리부(93)는 함진 공기 중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 분리할 수 없었던 진애를 원심 분리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들 제2 원심 분리부(93)는, 제1 원심 분리부(90)의 상방에서, 도입 풍로체(123)의 선회부(136) 및 배기부(137)와 분리 풍로체(124)의 선회 통부(141) 사이에 구획되어 있다.
선회부(136)로부터 통기 풍로부(92)를 통과한 함진 공기를 선회 통부(141)의 내주면의 접선 방향을 따라서 나선 형상으로 내부에 도입하여 선회 통부(141) 내에서 선회시켜서, 원심 분리한 미세 먼지 D를 하단부로부터 공간부(96) 내로 낙하시켜, 벽부(161)를 경유하여 진애 저류부(165)로 유도함과 함께, 미세 먼지 D를 분리한, 실질적으로 진애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를 배기부(137)로부터 풍로부(94)로 배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이들 제2 원심 분리부(93)는 집진 장치(27)(제1 원심 분리부(90))의 중심축의 주위의 후방부(풍로부(94))를 제외한 위치에,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호 형상(동일 원주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풍로부(94)는 제2 원심 분리부(93)의 각 배기부(137)로부터 상부 덮개부(125)와 제2 풍로체(122) 사이, 제1 풍로체(121)의 통부(132) 및 덕트부(133)에 의해 기밀하게 구획되어 있다. 즉, 이 풍로부(94)는 모든 제2 원심 분리부(93)의 하류측과 연통하고,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상방으로부터, 이들 제2 원심 분리부(93)의 측방,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호 형상(대략 원 형상)으로 배열된 제2 원심 분리부(93)의 중심으로 공기의 유량을 서서히 줄이도록 연속함과 함께, 후방으로 굴곡져 있다.
이어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의한 청소 동작을 설명한다.
청소를 개시할 때에는, 우선 케이스부(85)에 분리체(86)를 장착하여 일체적으로 조립한다. 이때, 분리체(86)로부터 돌출된 벽부(161)의 선단측인 하단측을 케이스부(85)의 경사면부(101)에 패킹(163)을 개재해서 밀착시킴으로써, 케이스부(85)의 공간부(96)에서 케이스부(85)와 벽부(161)의 외주측 사이에 진애 저류부(165)가 구획된다.
그리고, 이 조립한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에 장착한다. 즉, 집진 장치(27)를 위치 결정 볼록부 등을 본체 케이스(26)측의 위치 결정 받침부에 위치 정렬하면서 삽입하여 본체 케이스(26)의 돌출 받침부(32)에 적재하여 지지한다. 또한, 집진 장치용 클램프(148)의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를 본체 케이스(26)의 걸림 지지 개구(153)에 삽입 걸림 지지함으로써 본체 케이스(26)에 대해서 집진 장치(27)를 걸림 지지한다. 집진 장치(27)의 걸림 지지에 의해, 집진 장치(27)의 도입구(97) 및 배기 개구(144)가 본체 케이스(26)의 연통 개구부(45) 및 흡기 개구부(46)와 각각 기밀하게 접속된다. 따라서, 집진 장치(27)가 전동 송풍기(39)의 흡입측과 본체 흡입구(52) 사이에 기밀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본체 케이스(26)에 장착된다.
또한, 집진 장치(27)가 본체 케이스(26)에 이미 장착된 상태인 경우에는, 이들의 조작은 불필요하다.
이 상태에서,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6))의 본체 흡입구(52)에 관부(12)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접속 관부(15)를 본체 흡입구(52)에 삽입 접속함과 함께,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측에 연장관(18) 및 바닥 브러시(19)를 차례로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 조작부(17)의 설정 버튼(22)이 청소기 본체(13)(본체 케이스(26)) 내의 제어 회로부 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코드 도출구로부터 전원 코드를 꺼내서 벽면 등의 콘센트에 접속한 후, 파지부(21)의 원하는 설정 버튼(22)을 조작함으로써, 전동 송풍기(39)의 동작 모드를 설정한다.
제어 회로부는, 이 설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해서 전동 송풍기(39)의 입력을 제어하고, 전동 송풍기(39)를 설정받은 동작 모드로 기동한다.
이 전동 송풍기(39)의 기동에 의해 생긴 부압은, 필터실(37)(필터부(42)), 연통 풍로부(38), 흡기 개구부(46), 배기 개구(144), 풍로부(94), 제2 원심 분리부(93), 통기 풍로부(92), 제1 원심 분리부(90), 도입구(97), 연통 개구부(45), 본체 풍로부(33) 및 본체 흡입구(52)를 통해서, 관부(12)에 작용된다.
사용자는 이 부압의 작용에 의해, 바닥 브러시(19), 연장관(18), 또는 손잡이 조작부(17)의 선단(상류)측으로부터 공기와 함께 진애를 흡입한다.
이 진애를 포함하는 공기, 즉 함진 공기는, 관부(12)로부터 본체 흡입구(52), 본체 풍로부(33) 및 연통 개구부(45)를 경유하여 도입구(97)로 유도되고, 이 도입구(97)로부터 집진 장치(27) 내, 즉 제1 원심 분리부(90) 내로 흡입된다.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는, 함진 공기는 선회 풍로(106)를 선회하여 함진 공기 중 특히 큰 먼지가 원심 분리되어, 케이스부(85)의 내주면(85a)을 따라 낙하하여 저부 위에 모인다. 또한, 이 큰 먼지는, 함진 공기의 흐름의 일부에 의해 선회 풍로(106)로부터 내통(91)의 셰이드부(109)로 운반되고, 셰이드부(109)의 압축용 개구(117)를 함진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압축 필터(118)에 의해 셰이드부(109) 내에서 압축된다.
큰 먼지가 분리된 함진 공기는, 내통(91)의 배기 통부(108)의 개구(111)를 통과할 때에 분리 필터(112)에 의해 여과된다. 또한, 이 분리 필터(112)을 통과한 함진 공기는, 저면부(113)를 따라 하류측인 상측으로 정류되면서 통기 풍로부(92)로 운반된다.
그리고, 이 함진 공기는, 이 통기 풍로부(92)에 있어서, 서서히 유량이 줄여지면서 정류되고, 각 선회부(136)에 의해 각 제2 원심 분리부(93) 내(선회 통부(141) 내)로 각각 분기되어 유입된다.
이들 제2 원심 분리부(93)(선회 통부(141))에 있어서, 함진 공기는, 내주면(선회 통부(141)의 내주면)을 따라 선회되고, 이 함진 공기 중 미세 먼지 D가 원심 분리되고, 제2 원심 분리부(93)(선회 통부(141)의 내주면)를 따라 공간부(96)로 낙하하여, 벽부(161)에 의해 진애 저류부(165)로 유도되어 모인다.
그리고, 미세 먼지 D가 원심 분리되어 실질적으로 진애를 포함하지 않은 공기는, 각 제2 원심 분리부(93)의 중앙부의 배기부(137)로부터 풍로부(94)로 배기되어 합류하고, 이 풍로부(94)에 의해 유량이 줄여지면서 후방으로 유도되어, 배기 개구(144)로부터 집진 장치(27)의 외부로 배기된다.
이 후, 이 공기는 흡기 개구부(46)로부터 연통 풍로부(38) 및 필터부(42)의 필터(68, 69)를 차례로 통과한 후, 전동 송풍기(39)로 흡입되고, 이 전동 송풍기(39)의 내부를 냉각하면서 통과하여 배기풍으로 되어, 전동 송풍기(39)로부터 배기 구멍(48)을 통해서 본체 케이스(26)의 외부로 배기된다.
청소가 종료되면, 사용자가 소정의 설정 버튼(22)을 조작하여, 제어 회로부에 의해 전동 송풍기(39)의 입력을 저하시켜서, 전동 송풍기(39)를 정지시킨다.
집진 장치(27) 내에 일정량의 진애가 모아진 경우에는, 사용자가 집진 장치용 클램프(148)의 조작 핸들부(151)를 들어 올려, 걸림 지지 갈고리부(152)를 걸림 지지 개구(153)로부터 퇴피시켜, 집진 장치(27)를 본체 케이스(26)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로부터 떼어내면, 분리체(86)와 일체적으로 내통(91)이 케이스부(85)로부터 뽑혀짐과 함께, 벽부(161)(패킹(163))의 경사면부(101)로의 밀착이 해제되어, 진애 저류부(165)에 모아진 미세 먼지 D가, 경사면부(101)의 경사를 따라 케이스부(85)의 내부로 낙하하고, 이 케이스부(85) 내에 모아진 큰 먼지의 상측에 내리덮여서 이 큰 먼지와 섞인다(도 1의 (a) 및 도 1의 (b)).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집진 장치 손잡이부(98)를 파지하여 케이스부(85)를 쓰레기통 등의 폐기 위치로 집진 장치(27)를 운반시킨 후, 상측을 하방으로 기울이도록 뒤집는 것으로, 케이스부(85)에 압축된 상태에서 모아진 큰 먼지 및 이 큰 먼지와 섞인 미세 먼지 D가 함께 폐기된다.
이상 설명한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 원심 분리부(90)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93)를 갖는 분리체(86)로부터 돌출된 벽부(161)가,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에 장착한 상태에서 이 케이스부(85)(경사면부(101))에 밀착하여, 케이스부(85)와 벽부(161) 사이에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한 미세 먼지 D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165)를 구획한다.
이 진애 저류부(165)의 구획에 의해, 제1 원심 분리부(90)에서 분리한 진애인 큰 먼지는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 내에 저류하고,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한 진애인 미세 먼지 D는 진애 저류부(165)에 모을 수 있다.
따라서, 미세 먼지 D와 큰 먼지를 서로 격리된 상태에서 별개로 모을 수 있으며, 미세 먼지 D는 집진 장치(27) 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로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전동 송풍기(39)를 재구동시켰을 때 등에 부압에 의해 미세 먼지 D가 날려 올라가거나, 제2 원심 분리부(93)로 다시 순환하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원심 분리부(90) 내에서는, 함진 공기가 선회하기 때문에, 케이스부(85)의 내주면(85a)에 정전기가 발생하기 쉽지만, 미세 먼지 D가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 내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정전기에 의해 미세 먼지 D가 케이스부(85)의 내주면(85a)에 부착하여 제1 원심 분리부(90) 내의 시인성이 저하하지도 않는다.
게다가,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로부터 떼어내면, 벽부(161)가 케이스부(85)(경사면부(101))로부터 이격되어 진애 저류부(165)가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 내와 연통하여, 진애 저류부(165) 내에 모아진 미세 먼지 D가 경사면부(101)를 따라 제1 원심 분리부(90)로 낙하하여, 이 제1 원심 분리부(90)에 모아진 큰 먼지에 내리덮여서 섞인다.
그 때문에, 진애를 폐기할 때에 분리체(86)를 떼어낸 케이스부(85)의 상측을 하방으로 기울여서 뒤집는 것으로, 케이스부(85)에 압축된 상태에서 모아진 큰 먼지 및 이 큰 먼지와 섞인 미세 먼지 D를 동시에 폐기할 수 있어, 이들을 별개로 폐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폐기의 수고가 적다.
또한, 미세 먼지 D는 큰 먼지 위에 내리덮인 상태에서 섞이므로, 케이스부(85)의 상측을 하방으로 기울여서 뒤집었을 때에는, 미세 먼지 D의 상측에 덮개를 덮도록 큰 먼지가 위치하기 때문에, 폐기 시의 미세 먼지 D의 날려 올라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분리체(86)의 직경 치수를, 케이스부(85)의 직경 치수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벽부(161)의 경사를 보다 수직(연직)으로 근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제2 원심 분리부(93)에서 분리되어 낙하한 미세 먼지 D가 벽부(161)에 부착되어 잔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진 케이스부(85)의 경사면부(101)의 내측에 대해서,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에 장착한 상태에서 벽부(161)가 밀착함으로써, 분리체(86)를 케이스부(85)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진애 저류부(165)에 모아진 미세 먼지 D를 경사면부(101)의 경사를 따라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측으로 보다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벽부(161)와 케이스부(85)(경사면부(101))의 밀착 위치를 폐색하는 패킹(163)을 구비함으로써, 진애 저류부(165)와 제1 원심 분리부(90)측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으며, 진애 저류부(165)에 모아진 미세 먼지 D가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측으로 낙하하여 전동 송풍기(39)의 구동에 의해 순환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163)은 립부(163b)가 벽부(161)와 케이스부(85)(경사면부(101)) 사이에 협지됨으로써, 진애 저류부(165)와 제1 원심 분리부(90)측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립부(163b)는 제1 원심 분리부(90)(케이스부(85))의 중앙부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진애 저류부(165) 내에 모아진 미세 먼지 D가 벽부(161)의 선단측(피장착부(163a))과 립부(163b) 사이에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11)는, 코드 릴 장치에 의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급전하는 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차 전지 등의 전지를 전원으로서 내장한, 소위 코드리스 타입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전기 청소기(11)로서는, 캐니스터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의 본체 케이스(26)의 하단부에 바닥 브러시(19)를 접속한, 소위 업라이트형의 것에도 대응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며,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이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 실시 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11 : 전기 청소기
26 : 본체 케이스
27 : 집진 장치
39 : 전동 송풍기
85 : 케이스부
86 : 분리체
90 : 제1 원심 분리부
93 : 제2 원심 분리부
101 : 경사면부
161 : 벽부
163 : 폐색 부재인 패킹
165 : 진애 저류부

Claims (7)

  1.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 장치로서,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부를 갖고, 함진 공기 중 진애를 분리함과 함께 이 케이스부 내에 모으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해서 이 제1 원심 분리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에서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분리체와,
    이 분리체에 설치되며, 이 분리체를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밀착하는 벽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벽부가 밀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스부와 벽부 사이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부 및 분리체는, 각각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리체는, 상기 케이스부보다도 직경 치수가 큰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케이스부는, 주변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하방을 향해서 경사진 경사면부를 구비하고,
    벽부는, 분리체를 케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부의 내측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집진 장치는, 벽부와 케이스부의 밀착 위치를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5. 전동 송풍기를 수용한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축방향을 구비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집진 장치로서,
    외곽을 이루는 케이스부를 갖고, 함진 공기 중 진애를 분리함과 함께 이 케이스부 내에 모으는 제1 원심 분리부와,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연통해서 이 제1 원심 분리부에 대해서 상기 축방향의 일단부측에 위치하고, 이 제1 원심 분리부를 통과한 함진 공기 중에서의 제1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하는 진애보다도 작은 진애를 분리하는 제2 원심 분리부를 갖고,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착탈 가능한 분리체와,
    이 분리체에 설치되며, 이 분리체를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원심 분리부보다도 상기 축방향의 타단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케이스부에 밀착하는 벽부와,
    상기 케이스부에 대해서 상기 벽부가 밀착함으로써 이들 케이스부와 벽부 사이에 구획되어, 상기 제2 원심 분리부에서 분리한 진애를 모으는 진애 저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집진 장치.
  6.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7. 전동 송풍기를 수납한 본체 케이스와,
    이 본체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동작에 의해 흡입된 함진 공기로부터 진애를 분리하여 포집하는 제4항에 기재된 집진 장치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전기 청소기.
KR20130091373A 2012-08-07 2013-08-01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KR101512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5028A JP5367886B1 (ja) 2012-08-07 2012-08-07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JP-P-2012-175028 2012-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43A true KR20140019743A (ko) 2014-02-17
KR101512232B1 KR101512232B1 (ko) 2015-04-14

Family

ID=4985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91373A KR101512232B1 (ko) 2012-08-07 2013-08-01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67886B1 (ko)
KR (1) KR101512232B1 (ko)
CN (1) CN1035653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059A1 (en) * 2014-10-15 2016-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7810B2 (ja) * 2015-07-03 2020-02-1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7074576B2 (ja) * 2018-06-14 2022-05-24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7190394B2 (ja) * 2019-05-30 2022-12-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集塵装置及び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680B1 (ko) 2001-05-29 2003-09-19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5110964A (ja) * 2003-10-08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US7556662B2 (en) * 2005-01-31 2009-07-07 Samsung Gwangju Electronics Co., Ltd. Multi-cyclone dust separating apparatus
KR100594589B1 (ko) * 2005-01-31 2006-06-30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JP2006320713A (ja) * 2005-05-16 2006-11-30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マルチサイクロン集塵装置
KR100598600B1 (ko) 2005-05-16 2006-07-1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멀티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0647197B1 (ko) * 2005-06-14 2006-11-23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사이클론 집진장치
CN201036540Y (zh) * 2007-01-12 2008-03-19 王跃旦 吸尘器二节三次旋风分离尘杯
CN201182569Y (zh) * 2008-02-01 2009-01-21 王跃旦 一种三次分离的吸尘器尘杯
CN101862165A (zh) * 2009-04-20 2010-10-20 马吉 吸尘器的多级旋风分离装置
CN201977709U (zh) * 2011-01-20 2011-09-21 杭州春兰电器实业有限公司 用于真空吸尘器的多级旋风除尘装置
CN202235173U (zh) * 2011-09-05 2012-05-30 程再雄 吸尘器用多级旋风除尘筒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09059A1 (en) * 2014-10-15 2016-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US10028630B2 (en) 2014-10-15 2018-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232B1 (ko) 2015-04-14
JP2014033718A (ja) 2014-02-24
JP5367886B1 (ja) 2013-12-11
CN103565362B (zh) 2017-06-06
CN103565362A (zh)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2673B1 (ko) 전기 청소기
KR101539143B1 (ko) 전기 청소기
KR20140009062A (ko) 전기 청소기
KR101981446B1 (ko) 전기청소기
KR20140019743A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2014171669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368645B1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KR101512559B1 (ko) 집진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전기 청소기
JP6430112B2 (ja) 電気掃除機
JP2014171668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23782A (ja) 電気掃除機
KR101372727B1 (ko) 전기 청소기
JP2014014452A (ja) 電気掃除機
JP2014018301A (ja) 電気掃除機
JP5840809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4033971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5840811B2 (ja) 電気掃除機
JP5840810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063546B2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6100870B2 (ja) 電気掃除機
JP2014014496A (ja) 電気掃除機
KR101497820B1 (ko) 집진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2014033972A (ja) 集塵装置および電気掃除機
JP2017018363A (ja) 電気掃除機
JP2014028031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