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62A -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 Google Patents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62A
KR20140019162A KR20120085780A KR20120085780A KR20140019162A KR 20140019162 A KR20140019162 A KR 20140019162A KR 20120085780 A KR20120085780 A KR 20120085780A KR 20120085780 A KR20120085780 A KR 20120085780A KR 20140019162 A KR20140019162 A KR 20140019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ry
aeration tank
floating
rotary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5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5535B1 (ko
Inventor
박재환
Original Assignee
박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환 filed Critical 박재환
Priority to KR20120085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55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5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5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Degasification And Air Bubble El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기 위한 부유버블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기조에서 폭기과정 중 발생되는 버블을 폭기조 상에 부유한 상태로 분쇄봉을 통해 제거하되 분쇄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폭기조 내의 유체 유입에 따른 회전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발생수단이 필요없으며 기존 모터 사용에 따른 소음발생과 기름유출이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친환경적인 폐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부유되어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는 부유버블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부유버블제거기는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폭기조 내에 폭기조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통해 폭기조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우징 외측의 회전축 일정 지점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분쇄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Floating Bubble Eliminator Having Circul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기 위한 부유버블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기조에서 폭기과정 중 발생되는 버블을 폭기조 상에 부유한 상태로 분쇄봉을 통해 제거하되 분쇄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폭기조 내의 유체 유입에 따른 회전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발생수단이 필요없으며 기존 모터 사용에 따른 소음발생과 기름유출이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친환경적인 폐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생활 폐수 및 축산 폐수, 분뇨 폐수, 일반 오폐수 등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폐수를 정화처리하기 위한 설비가 필요하며, 상기와 같은 폐수정화처리설비는 대개 폭기조를 구비하고, 상기 폭기조 내부에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미생물을 생존시키고 상기 미생물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폭기조의 바닥에 공기(산소)를 불어넣게 되는데 이때 공기가 바닥으로부터 상승하면서 폐수의 상부에 다량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폭기조로부터 발생된 거품은 폭기조를 넘치기도 하고, 악취 등에 의해 주변환경에 좋지 못한 악영향을 발생시키게 되며, 2차 오염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거품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소포수(消泡水)나 소포제를 폭기조에 직접 살수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화학 약품인 소포제의 경우는 정화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는 것이며, 소포수의 분사는 폭기조에 외부에서 별도의 용수가 유입되는 것이어서 폐수의 양이 늘어나게 되며 이로인해 불필요한 폐수처리량과 처리시간이 증가하게 됨과 동시에 계획유량에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특히 거품을 폭기조로부터 강제 흡입하여 처리하는 지상형 구조의 거품제거장치는 별도의 설치면적을 필요로 하게 되며, 강제 흡입송풍기를 사용하므로 송풍기 구동시 80db이상의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거품제거장치의 본체 내부에 소포용수가 필요로 하므로 운전비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강제 흡입한 거품여액을 다시 폭기조 내로 순환시키는 구조여서 거품유발물질이 소멸되지 않아 거품 제거효율이 떨어지며, 거품을 지상으로 흡입하는 과정에서의 과다한 전력소비량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폭기조에서 폭기과정 중 발생되는 버블을 폭기조 상에 부유한 상태로 분쇄봉을 통해 제거하되 분쇄봉을 회전시키는 동력이 폭기조 내의 유체 유입에 따른 회전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동력발생수단이 필요없으며 기존 모터 사용에 따른 소음발생과 기름유출이 원천적으로 제거되어 친환경적인 폐수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회전터빈을 회전시킨 유체를 살수구를 통해 배출함으로써 하나의 유체 순환구조로 분쇄봉 및 살수구를 통한 이중 버블 제거효과를 유도하여 버블 제거 효율을 대폭 증대시키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축에 판상형태의 분쇄판을 상, 하부로 2단 배치하고 이들 단부 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구성함으로써 거품과의 충격량은 줄이면서 제거효율은 증대되는 부유버블제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부유되어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는 부유버블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부유버블제거기는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폭기조 내에 폭기조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통해 폭기조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우징 외측의 회전축 일정 지점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분쇄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폭기조 내에 부유되어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는 부유버블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부유버블제거기는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폭기조 내에 폭기조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통해 폭기조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우징 외측의 회전축 일정 지점에 상, 하부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다수의 분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판은 회전축의 상부측에 4개소가 서로 90°로 교각을 이루며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1분쇄판과, 상기 제1분쇄판의 하부측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회전축의 하부측에 4개소가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2분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판과 제2분쇄판의 단부에는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축과, 이에 각각 축설되는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터빈이 설치되며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제1회전터빈을 회전시킨 후 제1회전터빈과 제2회전터빈 간을 연결하는 연통유로를 경유하여 제2회전터빈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제 2회전터빈 일측에는 외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살수구가 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축과, 이에 각각 축설되는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터빈이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은 날개부가 서로 치형결합하여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을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 양측으로 일측은 연통관이 결합되고 타측은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 외부측을 경유하여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결합되고, 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살수구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쇄봉을 회전하기 위한 모터 사용이 필요 없어 소음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고, 모터 내의 기름 유출에 따른 유체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폐수 정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회전터빈유로를 경유한 폭기조 유체가 살수구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버블 제거 효율을 현격히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쇄판과 연결판을 통해 입체적 타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거품제거 효과를 대폭 증대시킴은 물론 와류 형성을 통한 2차 거품제거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개략적인 수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수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수직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기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개략적인 수직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개략적인 수평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는 크게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11)과, 상기 수평프레임(10) 또는 수직프레임(11)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20)와, 상기 수평프레임(10) 또는 수직프레임(11)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30)과, 일단은 폭기조(T) 내에 폭기조(T)의 유체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40)과, 상기 연통관(40)을 통해 폭기조(T)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30)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50)와, 상기 하우징(30)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60)과, 상기 하우징(30)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60)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71)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50)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71)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70)과, 상기 하우징(30) 외측의 회전축(60) 일정 지점에 결합되어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분쇄봉(80)과,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며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90)과, 상기 배출관 단부에 결합되며 배출관(90)으로부터 전달받은 유체를 분사하는 살수구(9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11)은 부유버블제거기(100)의 골격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데, 도 1에서와 같이 상부측 및 하부측에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0)은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도록 통공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플레이트 형태로 수평프레임(10)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부유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두개소가 설치되었으나, 전방, 후방측에도 각각 2개소가 더 설치되어 부유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30)은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회전터빈(70) 및 회전축(60)을 일정부분 수용하도록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하우징(30)에는 회전터빈(70)의 날개부(71)를 타격하여 회전시키는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연통관(40) 및 날개부(71) 타격 후 유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90)이 각각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 내부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구획과 이를 연통하는 연통유로(3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는 버블제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하우징(30) 내에 두개소의 회전터빈(70)을 수용하게 되는데, 이는 유입된 유체를 하나의 회전터빈(70)만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순차적으로 두 개소의 회전터빈(70)을 회전시켜 버블(B) 제거 범위를 보다 확대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연통관(40)은 일단은 폭기조(T) 내에 폭기조(T)의 유체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30) 일측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통관(40)의 일정 지점에는 순환펌프(50)가 연결되어 폭기조(T)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30)으로 강제 유입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된 유체는 후술할 회전터빈(70)의 날개부(71)를 타격하고 이와 고정결합된 회전축(60)이 동반회전함에 따라 회전축(60)에 결합된 분쇄봉(80)이 버블(B)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순환펌프(50)를 이용하여 폭기조 내의 유체를 통해 버블(B)을 제거하는 경우 별도의 모터 등의 동력발생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장치 원가를 줄일 수 있고 모터의 동작에 따른 소음이 제거되고 모터에서 유출되는 기름이 폭기조 내 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60)은 상기 하우징(30)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6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에 날개부(71)를 가지는 회전터빈(70)이 축설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회전축(60)과 회전터빈(70)은 각각 제1회전축(61), 제2회전축(62) 및 제1회전터빈(72), 제2회전터빈(7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회전터빈(72)의 일측에 근접결합되는 연통관(40)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면 제1회전터빈(72)의 날개부(71)를 타격하면서 연통유로(31)측으로 유체가 이동하고 이는 곧 제2회전터빈(73)의 날개부(71)를 타격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71)는 유입되는 유체와 타격에 따른 충격량이 증대되도록 유체 유입방향과 날개부(71)의 타격면이 예각을 형성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쇄봉(80)은 상기 하우징(30) 외측의 회전축(60) 일정 지점에 결합되어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분쇄봉(80)의 회전에 의해 폭기조의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B)이 제거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30)의 제2회전터빈(73) 일측에는 외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90)이 결합되는데, 배출관(90)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상기 배출관(90)의 단부에 결합된 살수구(91)를 통해 폭기조로 분사된다.
여기서 살수구(91)는 분사노즐로 대체 가능하며 단부에 배출구멍이 다수개 형성되어 전방위로 골고루 분산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살수구성은 그 자체로 버블(B) 제거 효과가 있어 상기 분쇄봉(80)을 통한 버블제거와 살수를 통한 버블제거가 동반 진행됨에 따라 훨씬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분쇄봉(90) 및 살수구(91)의 동력원 및 살수원이 하나로 수행됨으로써 에너지효율 또한 증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수평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는 하우징(30) 내 수용되는 회전터빈(70)을 한 쌍으로 구성하되 양 회전터빈(70)이 치형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터빈(70)의 회전동력원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연통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회전터빈(70)의 날개부(71)가 타격되어 회전하게 되나,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유입되는 유체를 통해 순차적으로 양 회전터빈, 즉 제1회전터빈(72) 및 제2회전터빈(73)을 회전시킴에 따라 점차 유체속도가 느려져 제2회전터빈(73)의 회전속도는 느려지게 된다.
이는 곧 양 회전터빈의 속도차를 발생시키게 되어 버블 제거의 편차가 발생되나, 본 실시예의 경우 순환펌프(50)에 의해 유입되는 유체가 연통관(40) 및 배출관(90)을 이동하는 경로상에 제1회전터빈(72)과 제2회전터빈(73)의 날개부가 치형결합하고 있어 날개부(71) 타격에 따른 회전속도는 양 회전터빈이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양 회전터빈(70)은 동일한 회전속도를 가지게 되어 버블 제거의 편차가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인 버블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는 단순히 유체를 이용해 회전터빈을 돌리는 것이 아니라 기존 부유버블제거기(100) 중 하나의 형태로 물 또는 약품 용해액을 분사하여 버블을 제거하는 장치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의 경우 하나의 순환 사이클로 분쇄봉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유체를 분사시킴으로써 버블 제거에 필요한 동력 대비 제거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수직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부유버블제거기(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분쇄봉 대신 상, 하부로 각각 4개소가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분쇄판(81)이 설치된다.
이러한 분쇄판(81)은 회전축(60)의 상부측에 4개소가 서로 90°로 교각을 이루며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1분쇄판(81a)과, 상기 제1분쇄판(81a)의 하부측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회전축의 하부측에 4개소가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2분쇄판(8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판(81a)과 제2분쇄판(81b)의 단부에는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판(81c)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분쇄봉 대신 분쇄판(81)을 설치하는 것은 장시간 거품제거에 사용할 경우 계속적인 부하에 의해 분쇄봉이 파손될 수 있으므로 판상형태의 분쇄판을 수평면상으로 설치하여 파손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분쇄판(81)을 상, 하부로 2단 배치되는 제1분쇄판(81a)과 제2분쇄판(81b)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분쇄판(81a)과 제2분쇄판(81b)의 단부에 이들간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연결판(81c)을 설치함에 따라 전술한 실시예의 평면적 거품 타격을 입체적으로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입체적 타격으로 같은 시간 내 거품 제거 효과가 획기적으로 증대될 수 있으며 폭기조 내에 담수된 폐수 표면부의 와류 형성을 유도하여 와류에 의한 거품 제거 효과도 함께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연결판(81c)은 상기 제1분쇄판(81a)과 제2분쇄판(81b)의 단부간을 연결하되 회전방향에 대해 직교하도록 수직배치하거나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교방향에 대해서 45°내외로 비틀어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연결판(81c)이 직교되도록 배치할 경우 거품제거 효과는 증대되나, 거품과의 충격량이 커져 연결판에 가중되는 부하가 증대됨으로써 파손 우려가 커진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교방향에 대해서 45°내외로 비틀어서 배치함으로써 충격량을 어느 정도 감소시킴과 동시에 와류 형성 및 거품 제거 효과가 증대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수평프레임 11 : 수직프레임
20 : 부유체 30 : 하우징
31 : 연통유로 40 : 연통관
50 : 순환펌프 60 : 회전축
70 : 회전터빈 71 : 날개부
80 : 분쇄봉 81 : 분쇄판
81a : 제1분쇄판 81b : 제2분쇄판
81c : 연결판 90 : 배출관
91 : 살수구 100 : 부유버블제거기

Claims (6)

  1. 폭기조 내에 부유되어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는 부유버블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부유버블제거기는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폭기조 내에 폭기조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통해 폭기조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우징 외측의 회전축 일정 지점에 결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다수의 분쇄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2. 폭기조 내에 부유되어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버블을 분쇄하는 부유버블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부유버블제거기는
    골격을 이루는 수평프레임 및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 하부측에 고정결합되는 부유체와;
    상기 수평프레임 또는 수직프레임의 하부 또는 상부에 고정결합되는 하우징과;
    일단은 폭기조 내에 폭기조와 연통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일측과 연통되는 연통관과;
    상기 연통관을 통해 폭기조 내의 유체를 상기 하우징으로 강제 유입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하우징 내에 일정부분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며 외측에 날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유입된 유체가 날개부를 타격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터빈과;
    상기 하우징 외측의 회전축 일정 지점에 상, 하부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동반회전하는 다수의 분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판은
    회전축의 상부측에 4개소가 서로 90°로 교각을 이루며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1분쇄판과, 상기 제1분쇄판의 하부측에 각각 대응되어 배치되도록 회전축의 하부측에 4개소가 수평면상으로 설치되는 제2분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분쇄판과 제2분쇄판의 단부에는 이들간을 연결하는 연결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축과, 이에 각각 축설되는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터빈이 설치되며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제1회전터빈을 회전시킨 후 제1회전터빈과 제2회전터빈 간을 연결하는 연통유로를 경유하여 제2회전터빈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축과, 이에 각각 축설되는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회전터빈이 설치되되 상기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은 날개부가 서로 치형결합하여 맞물려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제 2회전터빈 일측에는 외측으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며,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살수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 양측으로 일측은 연통관이 결합되고 타측은 연통관으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제1회전터빈 및 제2회전터빈 외부측을 경유하여 이동한 후 배출되도록 배출관이 결합되고, 배출관의 단부에는 유체가 분사되는 살수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20120085780A 2012-08-06 2012-08-06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385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780A KR101385535B1 (ko) 2012-08-06 2012-08-06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5780A KR101385535B1 (ko) 2012-08-06 2012-08-06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62A true KR20140019162A (ko) 2014-02-14
KR101385535B1 KR101385535B1 (ko) 2014-04-15

Family

ID=5026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5780A KR101385535B1 (ko) 2012-08-06 2012-08-06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55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2055A (zh) * 2020-03-19 2020-08-28 抚顺市明尧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闭式容器内转动机械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204424B1 (ko) * 2020-07-24 2021-01-18 (주)월드에너지 진공 증발 농축장치의 거품 제거용 팬
CN114602108A (zh) * 2022-01-14 2022-06-10 华能南通燃机发电有限公司 一种发电厂消防水高效输送的母管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415Y1 (ko) * 1990-04-06 1992-08-08 주식회사 청우엔지니어링 오. 폐수처리시설의 부유물 수거장치
JP4947525B2 (ja) 2006-10-24 2012-06-06 有限会社フジカ 標識幕掲出収納装置
KR20100008023U (ko) * 2009-02-04 2010-08-12 정규창 거품제거장치
KR101067329B1 (ko) 2011-07-08 2011-09-23 (주) 케이오더블유 임펠러방식의 거품제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92055A (zh) * 2020-03-19 2020-08-28 抚顺市明尧石油机械有限公司 一种闭式容器内转动机械装置及其驱动方法
KR102204424B1 (ko) * 2020-07-24 2021-01-18 (주)월드에너지 진공 증발 농축장치의 거품 제거용 팬
CN114602108A (zh) * 2022-01-14 2022-06-10 华能南通燃机发电有限公司 一种发电厂消防水高效输送的母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5535B1 (ko) 201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6756B1 (ko) 액체 폭기 시스템
EP3046688B1 (en) Ultrasonic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60083683A (ko) 미세기포 버블기가 구비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1385535B1 (ko) 순환구조를 가지는 부유버블제거기
KR101353852B1 (ko) 하수처리장용 수중 폭기장치
KR101272861B1 (ko) 오폐수 거품제거장치
CN101140091A (zh) 空气加湿装置
JP2011020091A (ja) 排ガス処理装置
CN207887285U (zh) 一种带有粉尘处理装置的环保型建筑废料粉碎机
KR20120118296A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플라즈마 스크러버용 수처리시스템
KR101348597B1 (ko) 양수력을 이용한 양어장의 산소공급 장치
KR101163089B1 (ko)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CN107758853B (zh) 一种污水处理用曝气池
CN210333655U (zh) 一种全自动玻璃器皿清洗机
CN205006726U (zh) 一种果蔬清洗机
CN102934955A (zh) 果蔬清洗机
KR101421344B1 (ko) 마을상수도 라돈저감장치
CN109260809B (zh) 一种废气处理用喷淋塔的喷淋液循环系统辅助装置
KR20090087371A (ko) 산소 용해 장치
JP6345545B2 (ja) 曝気撹拌装置
CN213446465U (zh) 一种自消泡型污水曝气池
CN204583759U (zh) 新型净化系统
CN102601073B (zh) 油烟净化器清洗装置
KR20150102654A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CN211412358U (zh) 一种浮选精煤用消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