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132A -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132A
KR20140019132A KR1020120085575A KR20120085575A KR20140019132A KR 20140019132 A KR20140019132 A KR 20140019132A KR 1020120085575 A KR1020120085575 A KR 1020120085575A KR 20120085575 A KR20120085575 A KR 20120085575A KR 20140019132 A KR20140019132 A KR 20140019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ial
prosumer
present
user
time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희
Original Assignee
이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희 filed Critical 이주희
Priority to KR1020120085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9132A/ko
Publication of KR20140019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발명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은, 포스팅 정보가 업로드되는 SNS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으로서, 상기 SNS 사이트에 표시되는 상기 포스팅 정보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복수개의 타임라인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개인 의사를 반영한 다수의 실시간 타임라인을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빅 데이터에서 선택적인 필요한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타임라인을 통해 공개될 모드와 비공개 모드를 구분하고, 개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전시/판매/보관 등의 분류된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서비스가 서로 믹스 및 매시업(Mix & Mash-up) 되면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비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Social Prosumer System and Servic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에 있어서 시간 순서에 따라 포스팅이 페이지에 보여지는 기능인, 이른바 타임라인 기능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발명이다.
현재 인터넷 블로그 기능과 연계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소셜 커머스 및 인터넷 쇼핑몰에 의한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온라인 서비스들이 각각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아울러 네트워크 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스마트 기기 등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에 의하여, 이른바 N스크린의 활용이 가능한 실정이다. N스크린이란, 공통의 OS(운영체제)를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PC, 스마트TV, 태블릿PC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 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시간, 장소, 디지털기기에 구애됨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어, 예컨대,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태블릿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N은 부정정수로 여러 개의 디지털 단말을 접속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휴대폰, PC, TV 등 3개의 스크린을 이어서 볼 수 있다는 의미의 '3스크린 플레이'의 확대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자상거래 환경과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기존 모델의 기능적 한계를 극복하고 더욱 사용자 편의적인 정보의 배치와 전자거래 모델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편의를 더욱 도모할 수 있는 타임라인(예컨대, 페이스북의 뉴스피드나 트위터의 타임라인 등)의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정보의 수급을 조절하고 개인 포스팅의 보안 및 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은, 포스팅 정보가 업로드되는 SNS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으로서,상기 SNS 사이트에 표시되는 상기 포스팅 정보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복수개의 타임라인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 방법은, 포스팅 정보가 업로드되는 SNS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를 통한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SNS 사이트에 표시되는 상기 포스팅 정보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분류된 포스팅 정보를 복수개의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임라인 설정방식에 따르면, 데이터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예컨대 빅 데이터(big data), 즉 데이터의 생성 양, 주기, 형식 등이 기존 데이터에 비해 너무 크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으로는 수집, 저장, 검색, 분석이 어려운 방대한 데이터를 자신의 취향에 맞게 분류하여 선택적 정보를 취득하게 되므로 데이터의 활용이 용이하고, 더욱 정확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습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현재 시의성 있는 관심 데이터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용자와 공급자의 관계성에 우선한 데이터를 제공하고 지인을 통하여 정보를 습득하므로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회적 관계망을 중심으로 선택적 개방성과 적절한 폐쇄성(보안)의 특징과 개인의 자유로운 의사와 창의성을 반영한 타임라인을 형성하고 N스크린을 통하여 서비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웹 표준과 N스크린 표준 환경에 맞춰 제작, 규격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안정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등록한 게시물은 다양한 단말기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N스크린 간에 서로 다른 물리적 저장 공간의 한계에서 벗어나 서버를 통해 서로 공유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단말기들 간의 콘텐츠 호환성을 보장하며,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동일한 정보와 콘텐츠들을 여러 개의 단말기에 똑같은 경험의 수준으로 제공하고, 단말기 간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고객 경험(New Customer Experience)을 창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의사를 반영한 다수의 실시간 타임라인을 제공함으로써 과도한 빅 데이터에서 선택적인 필요한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의 복수개의 타임라인을 공개 모드와 비공개 모드로 구분하고, 개인 블로그를 활용하여 전시/판매/보관 등의 분류된 서비스를 제공함과 아울러, 다양한 서비스가 서로 믹스 및 매시업(Mix & Mash-up) 되면서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소비자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타임라인 서비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절차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순환 네트워킹 절차(Circulation Networking Process)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5는 소셜 프로슈머 네트워킹의 개념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플랫폼과 단말기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소셜 프로슈머 네트워킹의 개념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셜 프로슈머'는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의 합성어인 '프로슈머(Prosumer)'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더한 개념이다.  개인 사용자가 상품이든 어떤 창작물(예술 창작물 포함)이든 이를 직접 자신의 개인 블로그를 통하여 직접 전시·발표하고,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SNS)을 이용하여 홍보하고, 소통하고 판매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생산자는 또다시 자신의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상품이나 창작물을 구입하는 소비자가 되기도 한다.  '소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자는 생산자이며 동시에 소비자가 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인 사용자는 물론, 인터넷 쇼핑몰의 소호 상점이나 중소기업도 자신의 페이지를 생성하고, 소셜 마케팅을 전개, 판매를 촉진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전자상거래 결제의 안정성을 위하여 에스크로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 간 거래의 안정성을 높인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는, 도4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N스크린을 통하여 서비스 될 수 있으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멀티 타임라인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바에 따라 각 타임라인에 표시될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류함으로써 보다 쉽게 선택적 정보를 수집하고, 현재 시의성 있는 정보를 배치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블로그(스토어)에 자신의 생산한 상품이나 창작한 저작물을 전시하고, 직접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마케팅 활동 및 선택적 모드(판매 모드, 전시 모드, 비공개 보관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판매상품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의 전시 상품 또는 저작물도 선택적으로 자신의 블로그에 포스팅하여 콜렉션을 구성하거나 전시, 판매하고 그에 따른 거래수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호 사회적 관계망'은 다른 사용자의 블로그에서 상품 또는 창작물을 직접 구입하거나 추천할 수 있는 사용자들 간의 네트워크 관계를 의미하며, 취향, 성향이 비슷한 사람들이 상호관계망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효과적인 마케팅과 소비망 구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개인간 상거래가 이루어지는 일종의 글로벌 오픈마켓(Global Open Market)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버를 통해 동일 사용자의 모든 N스크린에 동일한 정보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의 한계를 넘어 콘텐츠 생산자가 직접 자신의 가상 '오픈작업실'과 '오픈상점'을 개설하고, SNS를 통하여 글로벌 소비자와 직접 만나는 오픈 마켓 시스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언제 어디서든 상품을 열람하고 해당 상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간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 밖에 체계적인 거래와 관리를 위하여, 상품 등록 관리 코드화 및 저작권 표시를 제공하고, 안전 거래를 위한 에스크로 서비스 기능을 정비하고 체계적 시스템을 구축하며, 사용자의 진품 보증 시스템 기능을 부가하거나, 상품 재거래 시장(중고시장)을 생성하고, 고유 상품 히스토리 표시를 구성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타임라인 서비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멀티 타임라인(multi-timeline)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의 타임라인을 생성하는 것으로서, 이는 기존에 하나의 타임라인으로 인한 포스팅 정보의 무분별한 과잉 현상을 극복하며, 사용자 스스로가 개성에 맞는 기호나 주제로 정한 새로운 타임라인을 추가하는 것이다.
예컨대, 소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관계 설정(즐겨찾는 사용자)'을 한 블로거(bloger) 만의 타임라인과 일반 설정 사용자와의 타임라인을 구별하여 타임라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즐겨찾는 포스팅 또는 전체 포스팅).
이러한 타임라인의 구성에 의하여, 정보의 재배치로 빠르고 쉽게 다른 사용자 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관심분야로 만든 타임라인은 태그로 형성, 분류하고, 검색엔진에서 다른 사용자가 타임라인을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생성한 각 타임라인에 대하여 다른 사용자에게 노출할 것인지, 보안을 위하여 비노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공개>, <비공개>의 옵션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공개된 타임라인과 그 곳의 포스팅은 검색엔진에서 검색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선택적 개방성과 적절한 폐쇄성(보안)의 특징으로 기존 소셜 네트워크의 개인보호기능 미흡의 역기능을 해소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절차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순환 네트워킹 절차(Circulation Networking Process)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인 사용자는 상품을 직접 구입할 수 있는 소비자인 동시에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자이다.  생산자는 자신의 상품을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마케팅을 전개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상품을 구입하고 나서 이를 다시 재판매 할 수 있다.
여기서 상품이라 함은, 상거래가 가능한 모든 물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 공산품 뿐만 아니라 순수 예술 창작물, 예컨대 미술 작품(그림, 사진, 도예, 조각, 공예 등 기타 미술 창작물), 음악, 음원, 문예작품, 만화, 캐릭터, 패션, 이미지 등과, 기타창작물, 예컨대 디지털 콘텐츠, 게임, 어플리케이션, 아이템, 개발 프로그램 등도 해당될 수 있고, 그 외의 상품 및 생산물, 예컨대 의류, 가구 등 모든 상품 및 중고 상품 및 저작물, 생산물(농·축·수산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사용자가 스스로 상품을 만들어 공개하고 판매할 수도 있지만 직접 생산하지 않아도 다른 사용자가 생산한 상품을 자신의 개인스토어에 전시하여 판매하고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상품을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카메라, 스캐너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서버에 상품 이미지를 업로드하여, N스크린(PC, 스마트 기기, TV 등)을 통해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지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유통구조를 줄인 생산자(또는 판매자)의 '오픈 상점'을 통해 직접적인 소통과 상품 거래가 가능하고, SNS로 인한 즉각적인 소비자의 반응 확인 및 각종 설문조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누구나 자신을 표현하고 재능을 발표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하여 자신의 그림, 사진, 도예품 등, 혹은 소장 작품 또는 선택한 상품들을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블로그에 콜렉션을 구성하여 전시, 발표하고, 자신만의 타임라인을 필요시 추가하여 생성할 수 있는 한편, SNS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대화하며, 자신의 상품을 평가받고, 다른 사용자와도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다.
이처럼 포스팅된 상품을 자신의 개인 페이지를 통해 큐레이터 및 에디터 활동 등을 통하여 사용자 및 이용자의 취향에 맞는 전자상거래가 가능하고, 상품거래를 사용자가 직접 체험하여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Claims (4)

  1. 포스팅 정보가 업로드되는 SNS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으로서,
    상기 SNS 사이트에 표시되는 상기 포스팅 정보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복수개의 타임라인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팅 정보는 상기 SNS 사이트의 사용자가 설정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3. 포스팅 정보가 업로드되는 SNS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를 통한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 방법으로서,
    상기 SNS 사이트에 표시되는 상기 포스팅 정보는 소정의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상기 분류된 포스팅 정보를 복수개의 타임라인으로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라인에 대하여 상기 SNS 사이트의 사용자에 의한 분류기준이 설정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셜 프로슈머 서비스 방법.
KR1020120085575A 2012-08-06 2012-08-06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19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75A KR20140019132A (ko) 2012-08-06 2012-08-06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575A KR20140019132A (ko) 2012-08-06 2012-08-06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32A true KR20140019132A (ko) 2014-02-14

Family

ID=50266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575A KR20140019132A (ko) 2012-08-06 2012-08-06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91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7628B2 (en) Interactive video distribution system and video player utilizing a client server architecture
US20120295542A1 (en) System for creating web based applications linked to rfid tags
CN104391565A (zh) 用于使用动作触摸物体及其显示器编码介质的系统和方法
Karpischek et al. my2cents—Digitizing consumer opinions and comments about retail products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Ihlström Eriksson et al. Designing ubiquitous media services-exploring the two-sided market of newspapers
US202203379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ustomizing live video streams
US9967297B1 (en) Generating item suggestions from a profile-based group
Surdak Data crush: How the information tidal wave is driving new business opportunities
KR102341488B1 (ko) 인플루언서 사이트와 연계하는 온라인 쇼핑몰 플랫폼
US11954776B2 (en) Display of related objects in compartmentalized virtual display units
US20140278871A1 (en) Providing incentives to a user of a social networking system based on an action of the user
US8725558B1 (en) Intra-site product advertising system
Baron et al. Instagram as a new promotion and sales channel
US20190164217A1 (en) Assistance for gift purchasing
JP2008257660A (ja) ユーザー参加メディア投稿型広告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20170270539A1 (en) Retail websit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rending looks by location
KR20140019132A (ko) 소셜 프로슈머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Hendriana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Fashion Store “Demi Outfits” Based on Android
KR102377736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11769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 Dependent Streaming Services
US20170270599A1 (en) Retail website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trending looks
KR101880757B1 (ko) 소셜 네트워크기반의 셀프 상품 제작 및 마케팅을 위한 스토리샵 관리시스템
KR20180064895A (ko) 컨텐츠 제공 방법
KR20180113431A (ko) 미디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의 마켓팅 플랫폼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