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736B1 -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736B1
KR102377736B1 KR1020200099377A KR20200099377A KR102377736B1 KR 102377736 B1 KR102377736 B1 KR 102377736B1 KR 1020200099377 A KR1020200099377 A KR 1020200099377A KR 20200099377 A KR20200099377 A KR 20200099377A KR 102377736 B1 KR102377736 B1 KR 102377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e
product
image
data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816A (ko
Inventor
김단비
오송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크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20009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736B1/ko
Publication of KR20220018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816A/ko
Priority to KR1020220032058A priority patent/KR102444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람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품과 동일한 분류에 속한 상품에 대해, 상기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big data-based consumer participation online shopping platform}
본 발명은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플랫폼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물건만을 파는 쇼핑몰의 범위를 넘어서 사람들이 모여서 반응하며, 문화를 만들어내는 커뮤니티 플랫폼이고, 매출 극대화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익 배분형 SNS 커머스를 이용하여 구매유도 및 쉬운 결재가 가능한 서비스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온라인 쇼핑 비중은 해마나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 편집?? 상위 4개사의 매출을 기반으로 온라인 편집?? 시장 규모를 예측 데이터는, 제도권 브랜드, 뷰티 브랜드의 매출 89.7%를 제외하면 패션 소상공인 브랜드 시장인 니치마켓 시장은 10%로 예측되며, 전체 패션 시장 중 패션 커머스의 국내 시장 규모는 2021년 4,610억원 시장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기반으로, 텍스트나 이미지 위주의 기존 온라인 몰 컨텐츠는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실시간 라이브 방송기술 발전에 따라 일반인과 연예인의 경계에서 셀럽, 왕홍의 등장으로 누가 파느냐가 매출의 중요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홈쇼핑은 방송비용이 매우 비싸고, 수익의 대부분은 홈쇼핑업체에서 가져가는 구조로서 매우 불합리하였다. 또한 기존 시장에는 홈쇼핑처럼 스튜디오에서 정해진 쇼호스트가 특정 상품을 TV를 통해 판매하는 방식이 있지만, 이는 스튜디오, 전문방송장비, 전문방송인, 유통채널비용 등으로 인해 쇼핑방송비용이 매우 많이 들어서 공급자입장에서는 수익이 거의 없고 홈쇼핑업체가 독식하는 구조라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패션은 글로벌 패션 트렌드의 중심이 되고 있다. K팝, K드라마에 이어 K뷰티까지 한류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K패션 관심 증대되고 있다. 기획-생산-유통에 이르는 패션산업의 핵심 구조가 집결된 동대문 시장은 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문 패션경제특구로 빠른 생산 속도와 더불어 저렴한 가격으로 패션 강국에 걸맞는 성장 대응이 가능하다.
국내 패션 사업자의 51%가 홈쇼핑과 같은 대형 온라인 유통망에 의존하고 있으며 대형 홈쇼핑사의 과도한 판매 수수료(최대 54.4%)와 판매실적과 관계없이 사전에 일정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불가피한 이중 수수료, 매년 높아지는 임대료와 유지비로 인해 사업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에서도 이 심각성을 인지하여 대형 홈쇼핑의 폭리에 대해 경고했지만, 현실은 나아지지 않는 상황이다. 홈쇼핑 입점 사업자 전용 P2P 대출까지 나와 높은 이자로 인해 패션 소상공인이 더 힘들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동대문 패션업계 소상공인은 대부분 오프라인 기반으로 지속해 왔기 때문에 온라인 시장 접근방법에 대해 알지 못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자료를 직접 제작하기 어려움이 존재하는 반면, 사진, 동영상과 같은 마케팅 자료가 중요한 온라인 시장 진입장벽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수수료를 낮추고 합리적인 수익분배를 기반으로 패션사업자, 소비자, 인플루언서가 서로 상호작용하는 패션 커머스 플랫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개시된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패션 커머스 서비스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커머스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플랫폼 서비스 방법 등을 지원 내지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수수료를 낮추고 합리적인 수익분배를 기반으로 패션사업자, 소비자, 인플루언서가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특징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람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품과 동일한 분류에 속한 상품에 대해, 상기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상품의 분류,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는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드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포즈 중 임의로 선택된 포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온라인 쇼핑 시스템으로부터 포즈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즈 데이터는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중 적어도 하나를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컴퓨터에 위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전술한 방법 중 어느 한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일반적인 개인 판매자나 영세한 중소업체가 저비용으로 효과적으로 상품 광고 및 판매를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르면, 누구나 쉽게 쇼호스트로서 방송을 제작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작된 방송을 고객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상품 판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개시에 따르면 패션 소상공인 사업자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을 위해 새로운 마케팅 활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국내 비디오 기반 실시간 소비자 연결형 커머스 시스템 전무한 상황에서, 실시간 방송 구매 서비스 시장 태동단계로 블루오션 시장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실시간 쇼핑 구매 서비스 시장’에서, 단순 구매시스템이 아닌 소비자가 다른 소비자를 모집하는 기능이 포함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공정한 경제 생태계를 위해 부당한 폭리를 취하는 유통채널에 대응할 수 있는 정당한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 서버(106)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스타일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같이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미 공지된 기능 및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어디까지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관한 것일 뿐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또는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가 구현될 수 있는 시스템 환경(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시스템 환경(100)은, 복수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한 온라인 쇼핑 기능을 구비한 임의의 사용자 전자 장치일 수 있다.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랩탑, PDA, 디지털 TV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특정 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을 통해서, 서비스 서버(106)와 통신, 즉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외부로부터, 예컨대 고객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을 통한 서비스 서버(106)와의 통신을 통해 얻어진, 위 고객 사용자 입력에 대응한 동작 결과(예컨대, 특정 요청 응답의 제공 및/또는 특정 태스크의 수행 등)를 대응하는 고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예컨대 온라인 쇼핑 서버일 수 있고, 고객 사용자 단말(102)은, 예컨대 온라인 쇼핑 서버에 액세스하는 고객의 통신 단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통해서 온라인 쇼핑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 및 서비스 서버(106)를 통하여,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은 쇼핑에 필요한 요청과 응답을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임의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예컨대 TCP/IP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예컨대 Wi-Fi망, LAN망, WAN망, 인터넷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가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망(104)은, 예컨대 이더넷, GSM,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CDMA, TDMA, OFDM, 블루투스, VoIP, Wi-MAX, Wibro 기타 임의의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소정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에 따라, 고객 사용자 단말(102)과 통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인플루언서는 사용자 중 영향력이 있는 사람으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와 관련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의 이름, 별명, 인플루언서가 거주하는 위치,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한 사진, 동영상, 인플루언서가 방문한 장소, 인플루언서가 클릭한 상품, 구입한 상품, 판매하는 상품, 좋아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에게 지급해야 할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해야 할 금액, 배분 비율, 인플루언서가 본인과 연결되어 광고할 수 있도록 수락한 광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에게 인플루언서의 쇼핑 목록과 함께 상품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는 사람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서비스 서버(160)는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여 관련 데이터를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영상을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을 잘 알고 있으므로 영상 분류방법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가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가 스타일링 게시물을 작성할 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사용자가 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촬영 가이드를 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란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되는 기능이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복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반 모드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서비스 서버(160)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분류된 영상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업자는 영상을 분류하는 다양한 방법을 잘 알고 있으므로 영상 분류방법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60)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하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160)는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 서버(106)의 기능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서비스 서버(106)는,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 스타일링 가이드부(204), 같이구매 관리부(206) 및 통신부(208)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는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는 사용자 중 영향력이 있는 사람으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와 관련된 자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의 이름, 별명, 인플루언서가 거주하는 위치, 인플루언서가 업로드한 사진, 동영상, 인플루언서가 방문한 장소, 인플루언서가 클릭한 상품, 구입한 상품, 판매하는 상품, 좋아하는 상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플루언서의 데이터는 인플루언서에게 지급해야 할 비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인플루언서에게 배분해야 할 금액, 배분 비율, 인플루언서가 수락한 광고 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사용자가 스타일링 게시물을 작성할 때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업로드하는 경우 사용자가 촬용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촬영 가이드를 노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사용자가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가이드는 복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반 모드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것으로서,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데, 스타일링 가이드부(204)는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같이구매 관리부(206)는 판매하는 상품에 대해서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 다른 사용자들이 특정 사용자가 올린 같이구매 신청을 보고 필요에 따라 같이구매를 선택하여 구매하도록 하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같이구매 관리부(206)는 특정 사용자가 같이구매 신청을 하면서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8)는, 서버(106)가, 도 1의 통신망(106)을 통하여, 고객 사용자 단말(102) 각각과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통신부(206)는,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 신호 등과, 그 사용자 입력 신호 등으로부터 인플루언서 데이터 관리부(202), 스타일링 가이드부(204), 같이구매 관리부(206)에서 생성된 하나 이상의 대화 응답, 및 각종 분석 결과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고객 사용자 단말(102)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링 공유하기 버튼(301)을 클릭하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303)은 촬영되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모드 선택 영역(305)은 쵤영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드 선택 영역(305)은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모드에 따라 또는 임의로 선택된 모드에 따라 사용자에게 선택된 모드에 해당하는 포즈를 제시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모드(Normal: 307)는 정지 영상 사진을 촬영할 때 취할 수 있는 포즈를 촬영 영상 위에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것으로서 정자세, 브이자 자세, 손을 위로 뻗은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댄싱 모드(Dancing: 309)에서는 사용자가 댄서를 따라 춤을 출 수 있도록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주로 동영상 촬영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친구와 함께 모드(with Friend: 311)에서는 적어도 두 명의 피사체가 동일 프레임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고, 어깨동무한 자세, 서로 포옹하는 자세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시되는 포즈는 임의로 선택될 수 있거나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스타일링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40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스타일링 공유를 요청하는 입력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403)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은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 입력이 없는 경우, 소정의 모드, 예컨대 일반(normal)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405)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서 소정의 포즈를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303)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포즈는 설정된 모드와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는 포즈 중 임의로 선택된 포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포즈는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영상을 분류하고 그에 따라 제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 영상 내 상품이 가방임을 식별하고 가방군으로 영상을 분류한 후, 가장 판매량이 많은 가방에 사용된 판매자의 포즈를 촬영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 상에 제시될 수 있는 화면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구매 버튼(501)을 클릭하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상품의 리스트가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에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버튼(503)을 클릭하면, 초대할 사용자의 목록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버튼(503)을 클릭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해당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일 수 있는데, 예컨대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구매에 대한 요청(초대)를 전송할 매칭의 수를 입력할 수 있다(511). 일 실시예에서, 매칭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 수록 혜택이 증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서버(106)에서 고객 사용자 단말(102)에 같이구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601)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은 같이 구매를 요청하는 입력일 수 있다. 같이구매 요청이 입력되면, 구매할 수 있는 상품 또는 상품의 리스트가 고객 사용자 단말(102)의 화면 표시부에 도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03)에서, 사용자로부터 상품 입력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605)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입력을 수신하면, 초대할 사용자의 목록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하기 입력을 수신하면,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사용자들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해당 상품을 구입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일 수 있는데, 예컨대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와 소비패턴이 유사한 사용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의 SNS 메신저의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607)에서, 특정 상품에 대해 초대할 사용자를 선택하여 공동구매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후에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매칭을 기다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계(609)에서, 같이구매에 대한 초대한 다른 사용자로부터의 응답(매칭)의 수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매칭되는 사용자의 수가 많을 수록 혜택이 증가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이 본 개시에 기술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재구성 및 대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기술들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102: 고객 사용자 단말
104: 통신망
106: 서버

Claims (7)

  1.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이미지 내 사람의 피사체와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사람의 피사체의 포즈를 분류하여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상기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상품과 동일한 분류에 속한 상품에 대해, 상기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포즈를 선택하여 전송하는 단계는 신경망 알고리즘의 딥러닝 이미지 분석으로 촬영 중인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하는 것인,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품에 대한 소정의 관련 데이터는 상기 특정 상품의 분류, 상기 특정 상품의 판매량, 상기 특정 상품을 포함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좋아요 갯수,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생성자,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데이터의 모드는 일반(normal), 댄싱(dancing), 친구와 함께(with friend) 모드 중 하나인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같이구매 신청을 입력받아 소정의 기준에 따라 선정된 다른 소비자에게 같이구매 신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준은 특정 사용자를 팔로잉하는 팔로워, 특정 사용자와 소비 패턴이 유사한 소비자 또는 특정 사용자의 SNS 등록 친구 중 하나인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6. 온라인 쇼핑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고 사용자 단말에서 실행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온라인 쇼핑 시스템으로부터 포즈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화면 표시부의 이미지 표시 영역에 촬영되는 영상 위로 오버래핑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즈 데이터는 특정 상품에 대한, 이미지 내 피사체의 포즈 및 소정의 관련 데이터를 연관하여 저장하여 스타일링포즈데이터베이스에서 촬영 중인 영상 내 상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상품군에서 가장 판매량이 많은 상품에 사용된 포즈를 제안하는 것인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7.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컴퓨터에 위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0200099377A 2020-08-07 2020-08-07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77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ko) 2020-08-07 2020-08-07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ko) 2020-08-07 2022-03-15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ko) 2020-08-07 2020-08-07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58A Division KR102444955B1 (ko) 2020-08-07 2022-03-15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816A KR20220018816A (ko) 2022-02-15
KR102377736B1 true KR102377736B1 (ko) 2022-03-24

Family

ID=8032574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377A KR102377736B1 (ko) 2020-08-07 2020-08-07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ko) 2020-08-07 2022-03-15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2058A KR102444955B1 (ko) 2020-08-07 2022-03-15 소비자 참여형 구매요청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77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75B1 (ko) * 2007-05-09 2009-12-30 김현배 가상 의류 착용 방법
KR101488978B1 (ko) * 2013-06-14 2015-02-02 주식회사 모비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3710B2 (en) * 2014-04-17 2018-07-03 Ebay Inc. Fashion preference analysis
KR102049015B1 (ko) * 2017-12-19 2019-11-26 박조은 구도 가이드 설정을 통한 모바일 단말기의 촬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475B1 (ko) * 2007-05-09 2009-12-30 김현배 가상 의류 착용 방법
KR101488978B1 (ko) * 2013-06-14 2015-02-02 주식회사 모비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955B1 (ko) 2022-09-21
KR20220018816A (ko) 2022-02-15
KR20220039683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267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benchmark generation using neural networks for image or video selection
US103806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ng content design transformations based on user preference and activity data
US989906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US9741057B2 (en)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user generated video reviews
WO2019171128A1 (en) In-media and with controls advertisement, ephemeral, actionable and multi page photo filters on photo, automated integration of external contents, automated feed scrolling, template based advertisement post and actions and reaction controls on recognized objects in photo or video
CN103137046A (zh) 用于交互式广告的使用测量技术和系统
US1191546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computer memory for scoring images or videos using selective web crawling
Harris The fundamentals of digital fashion marketing
Liao et al. Data mining analytics investigate Facebook Live stream users’ behaviors and business models: The evidence from Thailand
Ng et al. Best Practices in Managing Social Media for Business.
WO2019183061A1 (en) Object identification in social media post
US2022030107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Using Place-Based Social Networks
CN105610797A (zh) 基于交易型视频播放器的数据收集与分析系统
KR102377736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소비자 참여형 온라인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90228433A1 (en) User Generated Mobile Advertisements Creation, Reaction and Distribution Method
KR20210052237A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상품 카탈로그 자동 분류 시스템
Ilvonen et al. Case study: Creating a business value in immersive journalism
KR20230050656A (ko) 적응형 아이템 소비 플랫폼, 그 시스템 및 운영 방법
Supriadhie Urban Casual Promotion Strategy On Social Media Instagram
Jelassi et al. Strategies for Social Commerce
Chu Clarifying Conflation in Live Stream Commerce: A Definition and Model for Future Research
Tarakanova E-commerce entrepreneurship: a practical study of online shop development
Shi et al. Apparel Wearing Marketing Self-Media System
KR20240071467A (ko) 소비자의 영상 컨텐츠를 광고로 적용하는 온라인 쇼핑몰 시스템
Radhika et al. Shopping Through Live Stre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