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8409A -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 Google Patents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8409A
KR20140018409A KR1020137034814A KR20137034814A KR20140018409A KR 20140018409 A KR20140018409 A KR 20140018409A KR 1020137034814 A KR1020137034814 A KR 1020137034814A KR 20137034814 A KR20137034814 A KR 20137034814A KR 20140018409 A KR20140018409 A KR 20140018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urce elements
extended portion
mapping
extend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686B1 (ko
Inventor
주안 몬토조
완시 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18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8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02Channel estimation
    • H04L25/0204Channel estimation of multip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04W72/56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of the wireless re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로 호환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과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무선 프레임으로 맵핑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3GPP 출시물 8 표준들(여기서 Rel. 8로 지칭함)과 호환가능하도록 구성된 장비는 사용과 액세스를 위해 어떤 대역폭이 이용가능한지에 관한 특정 제한들이 갖는 반면, 이러한 제한들은 Rel. 8 이후의 LTE 표준들의 이후 출시물(본원에서 "새로운(New)"으로 지칭함)에 적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은, 새로운(New)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될 수 있는 확장 부분과, Rel. 8 또는 새로운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와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될 수 있는 비확장 부분을 포함하도록 확장되어, 시스템 리소스들의 효과적인 다중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DOWNLINK AND UPLINK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CARRIER EXTENS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9년 10월 15일에 출원된, 명칭이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CARRIER EXTENSION IN LONG TERM EVOLUTION SYSTEMS"인 미국 가출원 제61/252,115 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출원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본 개시물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프레임들에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전화 통신, 비디오, 데이터, 메시징 및 브로드캐스트들과 같은 다양한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해 널리 전개된다. 통상적인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이용가능한 시스템 리소스들(예를 들어, 대역폭, 전송 전력)을 공유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과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다중 접속 기술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중 접속 기술들의 예들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스템들, 시분할 다중 접속(TDMA) 시스템들,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DMA) 시스템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FDMA) 시스템들, 단일-반송파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SC-FDMA) 시스템들, 및 시분할 동기식 코드 분할 다중 접속(TD-SCDMA)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액세스 기술들이 다양한 전기통신 표준들에 채택되어, 상이한 무선 디바이스들이 도시, 국가, 지역 및 심지어 세계적인 수준에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공통 프로토콜을 제공하였다. 최근에 생긴 전기통신 표준의 예는 롱 텀 이볼루션(LTE)이다. LTE는 제 3 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GPP)에 의해 공포된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모바일 표준에 대한 개선책들의 세트이다. 스펙트럼 효율을 개선시킴으로써 모바일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더 잘 지원하고, 비용을 낮추고, 서비스들을 개선하고, 새로운 스펙트럼을 활용하고, 그리고 다운링크(DL) 상에서 OFDMA, 업링크(UP) 상에서 SC-FDMA, 그리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안테나 기술을 이용한 다른 공개 표준들과 더 잘 통합되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이동형 광대역 액세스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함에 따라, LTE 기술에 있어서 추가적인 개선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개선들은 이러한 기술들을 채용하는 전기통신 표준들 및 다른 다중 접속 기술들에 적용가능해야 한다.
서로 호환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과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무선 프레임으로 맵핑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LTE 네트워크에서, 3GPP 출시물 8 표준들(여기서 R8로 지칭함)과 호환가능하도록 구성된 장비는 일반적으로, 이용과 액세스를 위해 어느 대역폭이 이용가능한지에 관한 특정 제한들을 갖는 반면, 이러한 제한들의 일부는 Rel. 8 이후의 LTE 표준들의 이후 출시물(본원에서 "새로운(New)"으로 지칭함)에 적용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시스템 대역폭은, 새로운(New) 프로토콜과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될 수 있는 확장 부분과, Rel. 8 또는 새로운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와 호환가능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될 수 있는 비확장 부분을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어, 시스템 리소스들의 효과적인 다중화를 제공한다.
본 개시물의 일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제 1 프레임의 확장 부분이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외하도록,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및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각각의 확장 부분은 각각, 제 1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이용가능하지 않은 대역폭 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제 1 프레임의 확장 부분이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외하도록,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각각의 확장 부분은 각각, 제 1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이용가능하지 않은 대역폭 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프레임의 확장 부분이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외하도록,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게 하는 명령들, 및 컴퓨터로 하여금,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게 하는 명령들을 구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각각의 확장 부분은 각각, 제 1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이용가능하지 않은 대역폭 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는, 프레임의 확장 부분이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외하도록,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고, 그리고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 각각의 확장 부분은 각각, 제 1 프로토콜에 따라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 이용가능하지 않은 대역폭 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및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비확장 부분은 제어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이 방법은 업링크 프레임을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비확장 부분의 제어 부분을 스킵하는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맵핑 순서를 따라간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을 채용하는 장치에 대한 하드웨어 구현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2는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3은 액세스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4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다운링크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5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사용하기 위한 업링크 프레임 구조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새로운 LTE 프로토콜 네트워크에서의 대역폭 확장의 상이한 해석들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LTE Rel.8 및 새로운 LTE 프로토콜들을 사용하는 무선 프레임 다중화 정보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8은 LTE Rel. 8 프로토콜 제어 영역을 위한 다양한 구성들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9는 LTE Rel. 8 프로토콜에 따른, 각각 다운링크 및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의 PDSCH 및 PUSCH 채널들의 맵핑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양상들에 따른, LTE Rel. 8 및 새로운 LTE 프로토콜들의 다중화에 따른 PDSCH의 맵핑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양상들에 따른, LTE Rel. 8 및 새로운 LTE 프로토콜들의 다중화에 따른 PUSCH의 맵핑의 예들을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는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양상에 따라 eNB와 통신하는 UE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방법들의 일련의 흐름도들이다.
도 15는 예시적인 장치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하여 아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구성들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원에 기재된 개념들이 실시될 수 있는 구성들만을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개념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목적으로 특정 세부사항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개념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조들 및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개념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이제, 원격 통신 시스템들의 몇몇의 양상들은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을 참조하여 제공될 것이다. 이러한 장치 및 방법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될 것이고, 다양한 블록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회로들, 단계들, 프로세스들, 알고리즘들, 등(총괄적으로 "엘리먼트들"로서 지칭됨)에 의해 첨부한 도면에 예시된다. 이러한 엘리먼트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한 엘리먼트들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예로서, 엘리먼트, 또는 엘리먼트의 임의의 부분,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조합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들의 예들은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DSP들),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PGAs), 프로그래밍 가능 로직 디바이스들(PLD들), 상태 머신들, 게이트 로직, 이산 하드웨어 회로들, 및 본 개시물 전반에 기재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 내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하드웨어 디스크립션 언어나 또는 다른 용어로 지칭되든지 간에, 명령들,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들, 서브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모듈들,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소프트웨어 패키지들, 루틴들, 서브루틴들, 오브젝트들, 실행 가능한 것들, 실행 스레드들, 프로시져들, 함수들, 등을 의미하도록 널리 해석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상주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예로서, 자기 저장 디바이스(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프로그래밍 가능 ROM(PROM), 소거가능 P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 RPOM(EEPROM), 레지스터, 착탈가능 디스크,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또한, 예로서, 반송파, 전송 라인, 및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되고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명령들을 전송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적절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프로세싱 시스템 내부, 프로세싱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거나,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수의 엔티티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컴퓨터 프로그램 물건은 패키징 재료들 내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전체 시스템 상에 부여된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본 개시물 전반에 제시된 기재된 기능을 최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인지할 것이다.
도 1은 프로세싱 시스템(114)을 사용하는 장치(100)에 대한 예시적인 하드웨어 구현의 블록도이다. 이러한 예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버스(102)에 의해 일반적으로 표현되는 버스 아키텍처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102)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의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설계 제약들에 의존하여 임의의 수의 상호 접속 버스들 및 브리지들(bridges)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102)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04)에 의해 표현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및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6)에 의해 표현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회로들을 함께 링크한다. 버스(102)는 또한 타이밍 소스들, 주변 장치들, 전압 레귤레이터들, 및 전력 관리 회로들과 같은 다양한 다른 회로들을 링크할 수 있고, 이들은 당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고, 따라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버스 인터페이스(108)는 버스(102)와 트랜시버(11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시버(110)는 전송 매체를 통해 다양한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장치의 특성에 의존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112)(예를 들면,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로폰, 조이스틱)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104)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6) 상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프로세싱 및 버스(102)를 관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프로세서(104)에 의해 실행될 때, 소프트웨어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으로 하여금 임의의 특정 장치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게 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06)는 또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 프로세서(104)에 의해 조작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200)를 도시하는 도이다.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200)는 이벌브드 패킷 시스템(EPS)(200)으로 지칭될 수 있다. EPS(20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사용자 장비(UE)(202), 이벌브드 UMTS 지상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UTRAN)(204), 이벌브드 패킷 코어(EPC)(210), 홈 가입자 서버(HSS)(220) 및 운영자의 IP 서비스들(222)을 포함할 수 있다. EPS는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들과 상호접속할 수 있지만, 간략화를 위해 이러한 엔티티들/인터페이스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EPS는 패킷-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지만,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개시물 전반에 제시되는 다양한 개념들은 회선-교환 서비스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들로 확장될 수 있다. EPS(200)의 다양한 엘리먼트들은 도 1과 연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E-UTRAN은 이벌브드 노드 B(eNB)(206) 및 다른 eNB들(208)을 포함한다. eNB(206)는 UE(202)에 대한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 프로토콜 종료들을 제공한다. eNB(206)는 X2 인터페이스(즉, 백홀)를 통해 다른 eNB들(208)에 접속될 수 있다. eNB(206)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기지국, 베이스 트랜시버 스테이션, 무선 기지국, 무선 트랜시버, 트랜시버 기능, 기본 서비스 세트(BSS), 확장형 서비스 세트(ESS)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eNB(206)는 EPC(210)로의 액세스 포인트를 UE(202)에게 제공한다. UE들(202)의 예들은 셀룰러 전화, 스마트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랩톱, 개인 휴대 정보 단말(PDA), 위성 라디오, 글로벌 위치확인 시스템,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비디오 디바이스, 디지털 오디오 플레이어(예를들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게임 콘솔 또는 임의의 다른 유사한 기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UE(202)는 또한 당업자들에 의해 이동국, 가입자국, 이동 유닛, 가입자 유닛, 무선 유닛, 원격 유닛, 이동 디바이스, 무선 디바이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원격 디바이스, 이동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이동 단말, 무선 단말, 원격 단말, 핸드셋, 사용자 에이전트, 이동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일부 다른 적합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eNB(206)는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EPC(210)에 접속된다. EPC(210)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212), 다른 MME들(214), 서빙 게이트웨이(216)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게이트웨이(218)를 포함한다. MME(212)는 UE(202)와 EPC(210) 사이의 시그널링을 프로세싱하는 제어 노드이다. 일반적으로, MME(212)는 베어러 및 접속 관리를 제공한다. 모든 사용자 IP 패킷들은 스스로 PDN 게이트웨이(218)에 접속되는 서빙 게이트웨이(216)를 통해 전송된다. PDN 게이트웨이(218)는 UE IP 어드레스 할당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들도 제공한다. PDN 게이트웨이(218)는 운영자의 IP 서비스들(222)에 접속된다. 운영자의 IP 서비스들(222)은 인터넷, 인트라넷,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MS) 및 PS 스트리밍 서비스(PSS)를 포함한다.
도 3은 LTE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의 액세스 네트워크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액세스 네트워크(300)는 다수의 셀룰러 영역들(셀들)(302)로 분할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더 낮은 전력 등급(class)의 eNB들(308, 312)은 셀들(302)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과 겹치는 셀룰러 영역들(310,314)을 각각 가질 수 있다. 더 낮은 전력 등급의 eNB들(308, 312)은 펨토 셀들(예를 들어, 홈 eNB들(HeNBs)), 피코 셀들 또는 마이크로 셀들일 수 있다. 더 높은 전력 등급 또는 매크로 eNB(304)가 셀(302)에 할당되며 EPC(210)에 대한 액세스 포인트를 셀(302) 내의 모든 UE들(306)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액세스 네트워크(300)의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집중 제어기가 존재하지 않지만, 대안적인 구성들에서는 중앙집중 제어기가 이용될 수 있다. eNB(304)는 서빙 게이트웨이(216)(도 2 참조)에 대한 무선 베어러 제어, 승인 제어, 이동성 제어, 스케줄링, 보안성 및 접속성을 포함하는 모든 무선 관련 기능들을 담당한다.
액세스 네트워크(300)에 의해 이용되는 변조 및 다중 액세스 방식은 배치되는 특정 통신 표준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LTE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및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둘 다를 지원하기 위해 OFDM은 DL을 통해 이용되고 SC-FDMA는 UL을 통해 이용된다. 당업자들이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하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제시된 다양한 개념들은 LTE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잘 맞는다. 그러나, 이들 개념들은 다른 변조 및 다중 액세스 기술들을 이용하는 다른 통신 표준들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 예시로서, 이들 개념들은 이볼루션-데이터 최적화(EV-DO) 또는 울트라 이동 광대역(UMB)으로 확장될 수 있다. EV-DO 및 UMB는 CDMA2000 표준들의 패밀리의 일부로서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 2(3GPP2)에 의해 공포되는 무선 인터페이스 표준들이며,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이동국들에 제공하기 위해 CDMA를 이용한다. 이들 개념들은 또한 광대역-CDMA(W-CDMA), 및 TD-SCDMA와 같은 CDMA의 다른 변형들을 이용하는 유니버설 지상 무선 액세스(UTRA); TDMA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및 이벌브드 UTRA(E-UTRA), 울트라 이동 광대역(UMB), IEEE 802.11(Wi-Fi), IEEE 802.16(WiMAX), IEEE 802.20 및 OFDMA를 이용하는 플래시-OFDM으로 확장될 수 있다. UTRA, E-UTRA, UMTS, LTE 및 GSM이 3GPP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된다. CDMA2000 및 UMB는 3GPP2 기구로부터의 문헌들에 설명된다. 이용되는 실제 무선 통신 표준 및 다중 액세스 기술은 시스템 상에 부과되는 전체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를 것이다.
eNB(304)는 MIMO 기술을 지원하는 다수 안테나들을 가질 수 있다. MIMO 기술의 이용은 공간 다중화, 빔 형성 및 전송 다이버시티를 지원하기 위해 eNB(304)가 공간 도메인을 이용하게 할 수 있다.
공간 다중화는 동일한 주파수 상에서 동시에 서로 다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 UE(306)에 또는 전체 시스템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의 UE들(306)에 데이터 스트림들이 전송될 수 있다. 이것은 각 데이터 스트림을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한 후에 다운링크 상에서 서로 다른 전송 안테나를 통해 각각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스트림을 전송함으로써 달성된다.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들은 서로 다른 공간 서명들을 가지고 UE(들)(306)에 도달하며, 그 공간 서명들은 UE(들)(306)의 각각이 그 UE(306)로 예정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복원하게 할 수 있다. 업링크 상에서, 각각의 UE(306)는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며, 이는 eNB(304)가 각각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 데이터 스트림의 소스를 식별하게 할 수 있다.
공간 다중화는 일반적으로 채널 조건들이 양호할 때 이용된다. 채널 조건들이 덜 바람직할 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방향들로 전송 에너지를 포커싱하기 위해 빔 형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안테나들을 통한 전송을 위해 데이터를 공간적으로 프리코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셀의 에지들에서의 양호한 커버리지를 달성하기 위해, 단일 스트림 빔 형성 전송이 전송 다이버시티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다운링크 상에서 OFDM을 지원하는 MIMO 시스템을 참조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의 다양한 양상들이 설명될 것이다. OFDM은 OFDM 심볼 내의 다수의 부반송파들 상에서 데이터를 변조하는 확산-스펙트럼 기술이다. 부반송파들은 정밀한 주파수들로 이격된다. 그 이격 간격은 수신기가 부반송파들로부터 데이터를 복원하게 할 수 있는 "직교성"을 제공한다. 시간 도메인에서, OFDM-심볼 간 간섭에 대처하기 위해 각 OFDM 심볼에 보호 간격(guard interval)(예를 들어, 주기적 프리픽스)이 추가될 수 있다. 업링크는 높은 피크-대-평균 전력비(PAPR)를 보상하기 위해 DFT-확산 OFDM 신호의 형태로 SC-FDMA를 이용할 수 있다.
DL 및 UL 전송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제,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DL 무선 프레임(414)의 구조의 일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제시할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들이 용이하게 인식하는 바와 같이, 임의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무선 프레임(414)의 구조는 임의의 수의 팩터들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본 예에서, 10 ms 무선 프레임(414)은 10개의 1ms 서브프레임들(412)로 분할된다.
종래의 LTE 설계(예를 들어, 3GPP 출시물 8 표준 다음 것, 본원에서 Rel. 8 프로토콜로 지칭됨)에서,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추가로, 2개의 0.5ms 타임 슬롯들(410)로 분할되고, 각각의 타임 슬롯(410)은 다수의 OFDM 심볼들로 이루어진다. 이 수는 통상적으로, 확장된 사이클릭 프리픽스 및 정규 사이클릭 프리픽스에 대응하는 6 또는 7개의 OFDM 심볼들일 수 있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408)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다수의 부반송파들(416)로 추가로 분할되며, 이 다수의 부반송파들(416)은 상이한 구성들에서는 7.5kHz 또는 15kHz에서 이격될 수 있다. 부반송파들의 총수는 채널 대역폭에 의존한다.
통상적인 리소스 블록(408)은, 각각의 리소스 블록(408)에 대해 180kHz 대역폭을 사용하는, 15kHz에서 이격된 12개의 부반송파들(416)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대역폭에 의존하여, 각각의 슬롯은 6개의 상이한 수들의 리소스 블록들(RB들; 408)(즉, 6, 15, 25, 50, 75 또는 100개의 리소스 블록들(408))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대역들에 의한 간섭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서, RF 전송이 통상적으로 제공되지 않는 OFDMA 신호의 각 에지에서 최대 약 1MHz의 보호 대역이 존재할 수 있다.
리소스 그리드는 인접한 타임 슬롯들(410) 내의 2개의 인접한 리소스 블록들(408)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 그리드는 다수의 리소스 엘리먼트들(406)로 분할된다. LTE에서, 리소스 블록(408)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12개의 연속하는 부반송파들(416) 및 각 OFDM 심볼에서의 정규 주기적 프리픽스에 대해, 시간 도메인에서 7개의 연속하는 OFDM 심볼들(418), 또는 8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들(406)을 포함한다. 즉, 리소스 엘리먼트(406)는 본질적으로 하나의 부반송파 및 하나의 OFDM 심볼이다. 데이터 비트들의 수를 나타내는 변조 심볼이 하나의 리소스 엘리먼트(406)로 맵핑된다. 각각의 리소스 엘리먼트(406)에 의해 전달되는 비트들의 수는 변조 방식에 의존한다. 따라서, UE가 수신하는 리소스 블록들(408)이 많을수록 그리고 변조 방식이 더 높을수록(higher), UE에 대한 데이터 레이트가 더 높아진다.
이제, FDD UL 무선 프레임 구조(500)의 예를 도 5를 참고로 하여 나타낼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DL 무선 프레임 구조와 비슷하게, UL 무선 프레임(500)은 2개의 슬롯들(520)을 각각 포함하는 2개의 서브프레임들(5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프레임(500)은 주파수에 있어서 다수의 부반송파들(530)로 분할될 수 있으므로, 리소스 엘리먼트들(540)은 하나의 OFDM 심볼 및 하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리소스 블록들(550)은 하나의 슬롯 안에 있는 리소스 엘리먼트들(540)의 블록들이다.
*도 4 및 도 5의 예에서, 각각의 타임 슬롯은, 특정 수의 리소스 블록들(즉, 대략 1.4, 3, 5, 10, 15 및 20 MHz 대역폭들의 시스템 대역폭들에 대응하는 6, 15, 25, 50, 75, 또는 100개의 리소스 블록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eNB가 전개되는 경우, 이것은 통상적으로 이러한 시스템 대역폭들 중 하나를 채택하고 그에 따라 신호들을 전송한다. 그러나, 3GPP 표준들이 Rel. 8 이후의 미래의 출시물(본원에서, LTE 출시물 9 또는 그보다 더 높은, LTE 어드밴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프로토콜로 지칭)로의 진화를 지속하기 때문에, 임의의 수의 리소스 블록들, 6개 내지 최대 110개 또는 그 초과까지의 리소스 블록들을 비롯한, 임의의 수의 리소스 블록들이 특정 반송파에 대하여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의 에지들에 있는 상술된 보호 대역들은 추가적인 리소스 블록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특정 수들 이외의 리소스 블록들의 수들의 이용에 따른 문제는, 전송들이 더 이상 역방향 호환성이 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새로운 LTE 프로토콜 신호들을 이용하는 eNB가 상술된 6개의 가능한 시스템 대역폭들 이외의 값을 신호로 보내는 경우, Rel. 8 프로토콜에 따라서 구성된 UE는 그 요청을 취급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eNB 전개들에서, 증가된 이용가능한 시스템 대역폭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6은 대역폭 확장을 가진 서브프레임들의 예들을 도시하며, 확장된 대역폭, 즉, Rel. 8 시스템 대역폭 구성들과는 상이한 다수의 RB들 또는 상당수의 RB들이 eNB에 의한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제 1 확장된 대역폭(610)에서, 비확장 부분(612)은 Rel. 8 표준 시스템 대역폭에 대응하는 상술된, 종래에 지정된 수의 RB들 중 하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비확장 부분은 Rel. 8 프로토콜을 위해 구성되는 UE에 의해 인지된다. 제 1 확장된 대역폭(610)은 비확장 부분(612)의 에지들에 균일하게 분포되는 확장 부분들(614)을 추가로 포함하므로, 비확장 부분(612)이 확장 부분들(614) 사이의 중앙에 있다. LTE Rel. 8 UE는 이러한 확장 부분들(614)을 고려하지 않는데, 그 확장 부분들이 표준 시스템 대역폭들 밖에 있고 따라서 Rel. 8 UE에 의해 보호 대역으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3GPP 표준들의 이후 출시물과 호환성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LTE UE가 확장 부분들(614)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LTE UE에 대한 처리량이 증가한다. 대역폭들(620 및 630) 각각은, 확장 부분들(624 및 634)이 비확장 부분들(622 및 632)을 대칭적으로 둘러쌀 필요는 없지만, 비확장 부분의 어느 한 쪽(either side)에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도시하기 위해 다른 예들을 보여준다. 물론,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LTE Rel. 8 UE에는 비확장 부분 내의 RB들을 이용하도록 신호로 보내질 수 있고, 새로운 LTE 프로토콜("새로운 UE")에 따라 구성된 UE에는 확장 부분내의 RB들의 유효성이 신호로 보낼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시스템 대역폭의 확장 부분들은 새로운 UE들에 대하여 이용가능할 뿐이고, eNB는 LTE Rel. 8 UE들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유지하는 한편 새로운 UE들에 대한 개선된 처리량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전송 중 어느 하나를 위해 적용가능할 수 있는 무선 프레임(700)을 도시한다. 일부 예들에서, 도시된 무선 프레임(700)은 복수의 반송파들 중 하나에 관하여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프레임(700)은 10개의 서브프레임들(710)을 포함하는데, 각각의 서브프레임(710)은 3GPP 출시물 8 사양들에 따라서 구성된 LTE Rel. 8 UE들, 및 3GPP 사양들의 이후 출시물들에 따라서 구성된 새로운 LTE UE들을 위한 다중화를 가능하게 하는 확장 부분(720) 및 비확장 부분(730)을 포함하는 대역폭을 구비한다. 여기서, 무선 프레임(700)은 도 6에 도시된 대역폭(610)의 대칭적인 구성을 택하지만,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들이 가능하다.
도 7로 돌아가면, 도시된 대역폭은 비확장 부분(730)의 에지들에서, 즉, 보호 대역 이내 또는 Rel. 8 UE들을 위한 표준 시스템 대역폭에 인접한 대역폭에서 확장 부분들(720)을 제공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 MHz의 시스템 대역폭을 가진 반송파를 이용하여, Rel. 8 UE들은 100개의 RB들을 이용할 수 있는 반면, 새로운 UE들은 최대 110개의 RB들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브프레임들(0, 4, 5 및 9)의 비확장 부분들(730)이 Rel. 8 UE들 전용으로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서브프레임들(1, 3, 6 및 8)의 비확장 부분들(730)은 새로운 UE들 전용으로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서브프레임들 2 및 7의 비확장 부분들(730)은 Rel. 8과 새로운 UE들의 혼합으로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확장 부분들(720) 각각에 있는 데이터는 새로운 UE들로 배타적으로 어드레싱된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확장 부분들(720)은, 상술된 바와 같이, Rel. 8 UE들에 의해 액세스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들의 특정 레이아웃은 실례가 되는 예로서 여기에 주어질 뿐이고; 비확장 부분들(730) 내 다른 데이터 시퀀스들이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대안으로, 비확장 부분들 모두가 Rel. 8 데이터용으로 보유될 수 있고, 또는 비확장 부분들이 Rel. 8 및 새로운 데이터와 모두 혼합될 수 있다. 어떤 경우, 상술된 무선 프레임(700)은 Rel. 8 및 새로운 UE들용으로 디렉팅된 데이터의 다중화를 제공하는 한편, 확장 부분들(720)을 통해 새로운 UE들에 대한 개선된 처리량을 제공한다.
무선 프레임(700)에서, 새로운 UE들에만 전용된 리소스들(즉, 서브프레임들(0, 2, 4, 5, 7 및 9)의 확장 부분들(720) 및 서브프레임들(1, 3, 6 및 8)의 전체 대역폭)에 있어서, Rel. 8-타입 제어 채널 구조가 필요하지 않다. 사실상, 확장 부분들(720)에 있어서, 어떠한 제어 정보도 전혀 전송하지 않고, 데이터 전송들을 위해 이러한 부분들을 남겨두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새로운 UE들을 위한 스케줄링은 무선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730)의 Rel. 8 제어 채널들에 의존할 수 있다.
도 4로 다시 돌아가면, LTE Rel. 8 사양들에서, 각각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412) 내에,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이 제 1 n OFDM 심볼들(418)에 위치될 수 있으며, 큰 시스템 대역폭들(>10개의 리소스 블록들)에서 n≤3이고, 그렇지 않으면 n≤4이다. 예를 들어, 다운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슬롯 0으로 라벨링된 슬롯(410) 내의 OFDM 심볼들(0, 1 및 2)에 위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내 나머지 OFDM 심볼들(즉, 슬롯 0 내 OFDM 심볼들(3-6) 및 슬롯 1 내 OFDM 심볼들(0-6))은 데이터 영역으로서 이용가능하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제어 채널 구조의 일부 예들을 도시하는 몇 개의 역방향 호환성 서브프레임들(810-860)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들(810, 820 및 830)은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을 도시하고 서브프레임들(840 및 860)은 업링크 서브프레임들을 도시한다. 서브프레임(810)에서, 비확장 부분은 제어 채널 부분(811) 및 데이터 부분(81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데이터 부분(812)은 레거시 LTE Rel. 8 UE들로 디렉팅된 정보로 제한된다. 서브프레임(820)은 확장 부분(823)과 제어 채널 부분(821) 및 데이터 부분(822)을 포함하는 비확장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서, 데이터 부분(822)은 Rel. 8 UE들로 디렉팅된 정보 및 새로운 UE들로 디렉팅된 정보의 혼합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830)은 확장 부분(833) 및 비확장 부분(832)을 포함하고, 비확장 부분(832)은 제어 부분이 없어서, OFDM 심볼들 모두가 Rel. 8 및 새로운 데이터의 혼합을 위한 데이터 부분에 전용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들(810, 820 및 830) 각각에서, 각각의 확장 부분들은 어떠한 Rel. 8 제어 부분들도 갖지 않는 새로운 UE들을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업링크에 있어서, 서브프레임(840)은 확장 부분(841) 및 제어 채널 부분(843) 및 데이터 부분(842)를 포함하는 비확장 부분을 포함한다. 서브프레임(860)은 확장 부분(861), 및 데이터 부분(862)을 포함하는 비확장 부분을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호환성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810, 820 및 830)의 제어 채널 구조는 서브프레임의 전체 대역폭에 걸쳐 있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제어 채널 구조는 비확장 부분으로 제한될 수 있다. 아래에서 알 수 있게 되는 바와 같이, 이 구조는 PDSCH와 같은 데이터 채널들을 위한 맵핑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다루는 특정 문제들을 나타낸다. 비슷하게, 업링크 서브프레임들(840 및 860)에서, 확장 부분들을 포함하는 경우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 9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910)에서 PDSCH에 대한, 그리고 업링크 서브프레임(920)에서 PUSCH에 대한 종래의 (즉, 3GPP 출시물 8 사양들에 따른)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을 도시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910)에 있어서, 특정 전송 안테나 포트를 위한 맵핑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서브프레임 내 PDSCH에 대한 제 1 슬롯으로 시작하여 주파수 인덱스 먼저, 그 후에 시간 인덱스의 순서로 증가한다. 즉, PDSCH는, 주파수에 있어서 먼저 수직으로 진행한 후, 시간에 있어서 수평으로 진행하는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방식으로 맵핑된다. 구체적으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910)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주파수 인덱스 증가시에 시간적으로 가장 빠른 OFDM 심볼로 할당되어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 모두를 채운다;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 모두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채워지는 경우, 그 OFDM 부반송파에서 주파수의 인덱스 증가시에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되는 것 등과 같은 방식으로, 가장 빠른 OFDM 심볼 및 제 1 주파수 부반송파 이후 시간적으로 다음에 있는 OFDM 심볼에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가 맵핑된다. 다운링크 서브프레임(9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부분은 PDSCH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제어 부분은 스킵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920)에 있어서, 맵핑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주파수 인덱스 먼저 그 후에 시간 인덱스의 순서로 증가한다. 즉, PUSCH는, 시간에 있어서 먼저 수평으로 진행한 후, 주파수에 있어서 수직으로 진행하는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방식으로 맵핑된다. 구체적으로, 업링크 서브프레임(920)에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OFDM 심볼의 인덱스 증가시 최저의 부반송파 인덱스로 할당되고; 이용가능한 OFDM 심볼 인덱스들 모두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채워지는 경우, OFDM 심볼의 인덱스 증가시 다음의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되는 것 등과 같은 방식으로, 최저 부반송파 인덱스 이후 다음 부반송파 인덱스로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가 맵핑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92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부분은 PUSCH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제어 부분은 스킵된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2가지 예시적인 양상들에 따라서 반송파 확장을 이용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들에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PDSCH로 맵핑하는 것을 도시한다. 여기서, 용어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맵핑은 대체로, 예를 들어, 비확장 부분 내에서,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맵핑을 국부적으로 따라갈 수 있는 일반적인 프로세스를 지칭한다. 즉, 비확장 부분들로의 맵핑 이전에 또는 이후에 확장 부분들로의 맵핑이 실시되는 그러한 경우들에서, 확장 부분이 비확장 부분과 별개로 다루어지는 경우, 이 용어는 맵핑에 있어서 불연속성들을 포함한다. 비슷하게, 예를 들어, 용어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맵핑은 대체로,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맵핑을 국부적으로 따라갈 수 있지만, 맵핑의 불연속성들을 포함할 수 있는 맵핑을 포함하며, 확장 부분들 및 비확장 부분과 같은 특정 영역들은 별개로 다루어진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도 10의 도시된 실시형태들 중 어느 하나에서, 확장 부분으로 맵핑된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새로운 UE에 대하여 디렉팅된 정보를 위해 배타적으로 보유되는 반면,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된 리소스 엘리먼트들은 LTE Rel. 8 UE들, 새로운 LTE UE들, 또는 이 둘의 혼합일 수 있다.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PDSCH로의 맵핑은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라서 다양한 상이한 방법들 중 임의의 것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010)은 제 1 확장 부분(1011), 제 2 확장 부분(1012) 및 비확장 부분(1013)을 포함한다. 비확장 부분은 제어 영역(1014) 및 데이터 영역(1015)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1015)의 적어도 일부는 PDSCH(1016)에 할당된다. 도시에서, 확장 부분들(1011 및 1012) 각각은 PDSCH(1016)를 포함하지만, 데이터 영역 내의 PDSCH(1016)의 할당은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많은 다른 형태들을 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서브프레임(1010)에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은 도 9에 도시된 Rel. 8 서브프레임에서와 같이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방식으로 성취된다; 그러나,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배치는 제 1 확장 부분(1011)에서 시작한다. 여기서, 확장 부분들(1011 및 1012) 둘 모두가 PDSCH(1016)를 포함하기 때문에,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제 1 확장 부분(1011)내의 최저 인덱스를 가진 OFDM 슬롯에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 모두를 채운 후,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의 맵핑은 (얇은 화살표들로 나타내어진)비확장 부분(1013)을 스킵하는데, 비확장 부분(1013)은 PDSCH(1016)에서 제외되는 제어 영역(101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 2 확장 부분(1012)에서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가 PDSCH(1016)로 맵핑된다. 제 2 확장 부분(1012)내의 최저 인덱스를 가진 OFDM 슬롯에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 모두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채워질 경우, 맵핑은 다음 OFDM 심볼 인덱스로 진행하고 제 1 확장 부분(1011)으로 복귀한다. 이 프로세스는 비슷하게, 맵핑이, 비확장 부분(1013) 내의 제어 영역 (1014)에 의해 점유된 OFDM 심볼 인덱스들의 수에 대응하는 OFDM 심볼 인덱스들의 수를 초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이 시점에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은, 더 굵은 화살표들로 나타내어진, 이용가능한 부반송파들 모두를 따라 확장 부분(1011)뿐만 아니라 비확장 부분에 할당된다. 이와 같이, 본 개시물의 이 양상은 일반적으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맵핑을 하면서, 비확장 부분(1013)의 제어 영역(1014)을 스킵한다.
다른 예에서, 제 2 다운링크 서브프레임(1020)은 제 1 확장 부분(1021), 제 2 확장 부분(1022) 및 비확장 부분(1023)을 포함한다. 비확장 부분은 제어 영역(1024) 및 데이터 영역(1025)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1025)의 적어도 일부는 PDSCH(1026)에 할당된다. 도시에서, 확장 부분들(1021 및 1022) 각각은 PDSCH(1026)를 포함하지만, 데이터 영역 내의 PDSCH(1026)의 할당은 당업자들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많은 다른 형태들을 택할 수 있다. 여기서, PDSCH(1026)에 대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은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방식으로 성취되며, 확장 부분들(1021 및 1022)은 비확장 부분(1023)과는 별개로 다루어진다. 즉, 본 개시물의 일 양상에 따르면, (더 얇은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비확장 부분(1023)은 스킵하면서 확장 부분들 (1021 및 1022)이 먼저 맵핑되고, 이후 (더 굵은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확장 부분(1023)이 유사한 주파수-첫 번째 시간-두 번째 방식으로 맵핑된다. 물론, 당업자는, 비확장 부분 먼저 그 다음에 확장 부분을 맵핑하는 것 등과 같은 다른 맵핑 순서들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양상에 따라서 반송파 확장을 사용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1100)에서의 PUSCH에 대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을 도시한다. 여기서, 업링크 서브프레임(1100)은 제 1 확장 부분(1110), 제 2 확장 부분(1111), 및 비확장 부분(1112)을 포함하고, 비확장 부분(1112)은 제어 영역(1113) 및 데이터 영역(1114)을 포함한다. 데이터 영역(1114)의 적어도 일부는 PUSCH(1115)로 할당된다. 또한, 확장 부분들(1110 및 1111)은 데이터 영역들이고,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PUSCH(1115)로 할당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1 확장 부분(1110) 및 제 2 확장 부분(1111) 각각은 PUSCH(1115)를 포함하지만, 당업자는, 이것이 반드시 이러한 경우일 필요는 없고, 다른 채널들이 확장 부분들 및 비확장 부분 내에 할당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기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은, 먼저 시간에 있어서 수평으로 진행한 후 주파수에 있어서 수직으로 진행하는 화살표들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맵핑으로 성취된다. 구체적으로, 반송파 확장을 가진 업링크 서브프레임(1110)에 있어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OFDM 심볼의 인덱스 증가시 최저 부반송파 인덱스로 할당된다; 그리고 이용가능한 OFDM 심볼 인덱스들 모두가 리소스 엘리먼트들로 채워지는 경우, OFDM 심볼의 인덱스 증가시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들이 맵핑되는 것 등과 같은 방식으로, 그 최저 부반송파 인덱스 이후 다음 부반송파 인덱스로 다음 리소스 엘리먼트가 맵핑된다. 업링크 서브프레임(1110)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 부분은 PUSCH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제어 부분이 스킵된다. 또한, 확장 부분들(1110 및 1111)은 비확장 부분(11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다루어지며, 부반송파 인덱스는 확장 부분들(1110 및 1111) 및 비확장 부분(1112)에 걸쳐 연속적인 것으로 다루어진다.
본 개시물의 다른 양상에서, 확장 부분들(1110 및 1111)은 비확장 부분(1112)과는 별개로 다루어질 수 있으므로, PUSCH에 대한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은 비확장 부분(1112) 먼저, 그 다음에 확장 부분들(1111 및 1112)로, 또는 그 반대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양한 양상들에 따른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을 택할 수 있다. 이제, 도 12을 참고로 하여 LTE 시스템에 대한 예를 나타낼 것이다. 도 12는 사용자 및 제어 플레인들에 대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의 예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12로 돌아가면, UE 및 eNB를 위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가 3개의 계층들: 계층 1, 계층 2, 및 계층 3으로 도시된다. 계층 1은 최하위 계층이고 다양한 물리 계층 신호 처리 기능들을 구현한다. 여기서 계층 1을 물리 계층(1206)으로 지칭한다. 계층 2(L2 계층)(1208)는 물리 계층(1206)위에 있고 물리 계층(1206)을 통해 UE와 eNB 간의 링크를 담당한다.
사용자 플레인에서, L2 계층(1208)은 매체 접근 제어(MAC) 서브계층(1210), 무선 링크 제어(RLC) 서브계층(1212) 및 패킷 데이터 컨버즌스(convergence) 프로토콜(PDCP;1214) 서브계층을 포함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측 상의 eNB에서 종료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UE는 네트워크 측에서의 PDN 게이트웨이(208)(도 2 참조)에서 종료되는 네트워크 계층(예를 들면, IP 계층), 및 접속의 다른 단부(예를 들면, 원단(far end) UE, 서버, 등)에서 종료되는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하는 L2 계층(508) 위에 몇 개의 상부 계층들을 가질 수 있다.
PDCP 서브계층(1214)은 상이한 무선 베어러들과 논리적 채널들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한다. PDCP 서브계층(1214)은 또한, 헤더 압축을 상위 계층 데이터 패킷들에 제공하여 무선 전송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그 데이터 패킷들을 암호화함으로써 보안성을 제공하고, 그리고 eNB들 간의 핸드오버 지원을 UE들에 제공한다. RLC 서브계층(1212)은 상부 계층 데이터 패킷들의 분할(segmentation) 및 재결합(reassembly), 손실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전송 및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청(HARQ)으로 인한 차례가 뒤바뀐 수신을 보상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재정렬을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1210)은 논리적인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에 다중화를 제공한다. MAC 서브계층(1210)은 또한 하나의 셀에 있는 다양한 무선 리소스들(예를 들어, 리소스 블록들)을 UE들 중에 할당하는 것을 담당한다. MAC 서브계층(1210)은 또한 HARQ 동작들을 담당한다.
제어 플레인에서, UE 및 eNB를 위한 무선 프로토콜 아키텍쳐는, 제어 플레인에 대하여 헤더 압축 기능이 없다는 것을 제외하고 물리 계층(1206) 및 L2 계층(1208)에 대해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어 플레인은 또한 계층 3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RRC) 서브계층(1216)을 포함한다. RRC 서브계층(1216)은 무선 리소스들(즉, 무선 베어러들)을 획득하는 것과 eNB와 UE 사이의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하위 계층들을 구성하는 것을 담당한다.
도 13은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UE(1350)와 통신하는 eNB(1310)의 블록도이다. DL에서,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제어기/프로세서(1375)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1375)는 도 12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L2 계층의 기능을 구현한다. DL에서, 제어기/프로세서(1375)는 다양한 우선순위 메트릭들에 기초하여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분할 및 재정렬, 논리적 및 전송 채널들 사이의 다중화 및 UE(1350)로의 무선 자원 할당들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1375)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전송 및 UE(135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TX 프로세서(1316)는 L1 계층(즉, 물리적 계층)에 대한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은 UE(1350)에서의 순방향 에러 정정(FEC)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딩 및 인터리빙 및 다양한 변조 방식들(예를 들어, 이진 위상-시프트 키잉(BPSK), 직교 위상-시프트 키잉(QPSK), M-위상-시프트키잉(M-PSK), 또는 M-직교 진폭 변조(M-QAM))에 기초하는 신호 성상도로의 맵핑을 포함한다. 코딩된 및 변조된 심볼들이 그 후에 병렬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후, TX 프로세서(1316)는, 예를 들어, 각 스트림을 OFDM 부반송파로 맵핑하고, 시간 및/또는 주파수 도메인에서 기준 신호(예를 들어, 파일럿)와 다중화한 후, 이어서 시간 도메인 OFDM 심볼 스트림을 전달하는 물리적 채널을 생성하기 위해 역 고속 퓨리에 변환(IFFT)을 이용하여 함께 결합함으로써 심볼들의 스트림들을 프레임들로 맵핑할 수 있다. OFDM 스트림은 다수 공간 스트림들을 생성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프리코딩된다. 채널 추정기(1374)로부터의 채널 추정치들은 코딩 및 변조 방식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공간 프로세싱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채널 추정치는 기준 신호 및/또는 UE(1350)에 의해 전송되는 채널 조건 피드백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각각의 공간 스트림은 그 후에 별개의 전송기(1318TX)를 통해 서로 다른 안테나(1320)에 제공된다. 각각의 전송기(1318TX)는 전송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반송파를 변조한다.
UE(1350)에서, 각각의 수신기(1354RX)는 그의 각각의 안테나(1352)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1354RX)는 RF 반송파 상에서 변조되는 정보를 복원하고 그 정보를 수신기(RX) 프로세서(1356)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1356)는 L1 계층의 다양한 신호 프로세싱 기능들을 구현한다. RX 프로세서(1356)는 UE(1350)에 대해 예정된 임의의 공간 스트림들을 복원하기 위해 정보에 관한 공간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다수 공간 스트림들이 UE(1350)에 대해 예정된 경우, 다수 공간 스트림들은 RX 프로세서(1356)에 의해 단일 OFDM 심볼 스트림으로 조합될 수 있다. RX 프로세서(1356)는 그 후에 고속 퓨리에 변환(FFT)을 이용하여 시간-도메인으로부터 주파수 도메인으로 OFDM 심볼 스트림을 변환한다. 주파수 도메인 신호는 OFDM 신호의 각 부반송파에 대한 별개의 OFDM 심볼 스트림을 포함한다. 각 부반송파 상의 심볼들, 및 기준 신호는 eNB(1310)에 의해 전송되는 가장 가능성있는 신호 성상도 포인트들을 결정함으로써 복원되고 복조된다. 이들 소프트 결정들은 채널 추정기(1358)에 의해 계산되는 채널 추정치들에 기초할 수 있다. 이어서, 소프트 결정들은 물리적 채널 상에서 eNB(1310)에 의해 원래 전송되었던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을 복원하기 위해 디코딩되고 디인터리빙된다. 데이터 및 제어 신호들은 그 후에 제어기/프로세서(1359)에 제공된다.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도 12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L2 계층을 구현한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하기 위해 전송 채널과 논리적 채널 사이의 역다중화, 패킷 재결합,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상위 계층 패킷들은 그 후에 L2 계층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내는 데이터 싱크(1362)에 제공된다. 다양한 제어 신호들은 또한 L3 프로세싱을 위해 데이터 싱크(1362)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인 응답(ACK) 및/또는 부정 응답(NA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UL에서, 데이터 소스(1367)는 제어기/프로세서(1359)에 상위 계층 패킷들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된다. 데이터 소스(1367)는 L2 계층(L2) 위의 모든 프로토콜 계층들을 나타낸다. eNB(1310)에 의한 DL 전송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기능과 유사하게,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eNB(1310)에 의한 무선 자원 할당들에 기초하여 헤더 압축, 암호화, 패킷 분리 및 재정렬, 및 논리적 채널과 전송 채널 사이의 다중화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플레인과 제어 플레인에 대한 L2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또한 HARQ 동작들, 손실된 패킷들의 재전송 및 eNB(1310)로의 시그널링을 담당한다.
eNB(1310)에 의해 전송되는 피드백 또는 기준 신호로부터 채널 추정기(1358)에 의해 유도되는 채널 추정치들은 적절한 코딩 및 변조 방식들을 선택하고 공간 프로세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TX 프로세서(1368)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TX 프로세서(1368)는, 상기 설명된 eNB(1310)의 TX 프로세서(1316)에 의해 사용된 것과 비슷한 방식으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으로 맵핑할 수 있다. TX 프로세서(1368)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 스트림들은 별개의 전송기들(1354TX)을 통해 상이한 안테나(1352)에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전송기(1354TX)는 전송을 위해 각각의 공간 스트림으로 RF 반송파를 변조한다.
UL 전송은 UE(1350)에서의 수신기 기능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eNB(1310)에서 프로세싱된다. 각각의 수신기(1318RX)는 수신기의 각각의 안테나(1320)를 통해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수신기(1318RX)는 RF 반송파 상에서 변조된 정보를 복원하고 정보를 RX 프로세서(1370)에 제공한다. RX 프로세서(1370)는 L1 계층을 구현한다.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도 12와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L2 계층을 구현한다. UL에서,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UE(1350)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을 복원하기 위해 전송 채널과 논리 채널 사이의 역다중화, 패킷 재결합, 암호해독, 헤더 압축해제, 제어 신호 프로세싱을 제공한다. 제어기/프로세서(1375)로부터의 상위 계층 패킷들이 코어 네트워크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프로세서(1359)는 또한 HARQ 동작들을 지원하기 위해 ACK 및/또는 NACK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에러 검출을 담당한다.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eNB(1310)를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TX 프로세서(1316), RX 프로세서(1370) 및 제어기/프로세서(1375)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부 양상들에 따르면,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되는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UE(1350)를 포함한다. 특히,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TX 프로세서(1368), RX 프로세서(1356), 및 제어기/프로세서(1359)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양상들에 따른, 특정 무선 통신 방법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1400, 1410, 1430 및 1440)을 포함한다. 제 1 방법(1400)에 따르면, 블록(1402)에서, 프로세스는 제 1 프로토콜(예를 들어, LTE Rel. 8)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블록 1404에서, 프로세스는 제 2 프로토콜(예를 들어, 새로운 LTE)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여기서, 방법(1400)이 eNB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 제 1 프레임 및 제 2 프레임은 동일한 DL 프레임일 수 있거나, 상이한 DL 프레임들일 수 있으며; 방법(1400)이 UE에 의해 실시되는 경우, 제 1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제2 프레임과는 상이한 UL 프레임이다. 즉, eNB는, 동일한 다운링크 프레임 내에서 상이한 프로토콜들을 따르는 상이한 UE들로 디렉팅된 리소스들을 다중화할 수 있지만, UE는 통상적으로 특정 업링크 프레임 내의 하나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반면, UE는 상이한 프레임들 내의 제 1 프로토콜 또는 제 2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방법(1410)에 따르면, 블록 1412에서, 프로세스는 제 2 프로토콜(예를 들어, 새로운 LTE)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블록 1414에서, 프로세스는 제 1 프로토콜(예를 들어, LTE Rel. 8)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프로세스들(1400 및 141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의 맵핑 순서가 반전될 수 있다.
제 3 방법(1430)에 따르면, 블록 1432에서, 프로세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고; 그리고 블록 1434에서, 프로세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제 4 방법(1440)에 따르면, 블록 1442에서, 프로세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고; 그리고 블록 1444에서, 프로세스는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한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프로세스들(1430 및 1440)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순서가 반전될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장치(1500)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장치(1500)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모듈(1502), 및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모듈(15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3을 참고하면, 일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00)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수단들은 상술된 수단들에 의해 인용된 기능들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114)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TX 프로세서(1316), RX 프로세서(1370) 및 제어기/프로세서(137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일 구성에서, 상술된 수단들은 상술된 수단들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TX 프로세서(1316), RX 프로세서(1370) 및 제어기/프로세서(1375)일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100)는 제 1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1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1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 및 제 2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제 2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제 2 프레임의 확장 부분 및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상술된 수단들은 상술된 수단들에 의해 인용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시스템(114)일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114)은 TX 프로세서(1368), RX 프로세서(1356) 및 제어기/프로세서(135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일 구성에서, 상술된 수단들은 상술된 수단들에 의해 인용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TX 프로세서(1368), RX 프로세서(1356) 및 제어기/프로세서(1359)일 수 있다.
개시된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은 예시적인 해결방식들의 예시임을 이해한다. 설계 선호도들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들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재배열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첨부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시하며, 제시되는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제한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전 설명은 당업자가 본원에 기재된 다양한 양상들을 실시 가능하게 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양상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원에 규정된 포괄적인 원리들은 다른 양상들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들은 본원에 제시된 양상들로 제한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언어 청구항들에 따른 최대 범위를 따르는 것이며, 여기서 단수의 엘리먼트에 대한 참조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은 "하나 및 단지 하나"를 의미하도록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일부(some)"는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지칭한다. 당업자들에게 알려졌거나 나중에 알려지는 본 개시물 전반에 기재된 다양한 양상들의 엘리먼트들에 대한 모든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동등물들은, 참조로서 본원에 명백히 통합되고, 청구항들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어떠한 것도 그러한 개시가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언급되든지 상관없이 공중에게 전용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수단"이란 문구를 사용하여 명백히 언급되지 않거나 또는 방법 청구항에서, 엘리먼트가 "~하기 위한 단계"란 문구를 사용하여 언급되지 않는 한, 어떠한 청구항 엘리먼트도 35 U.S.C.§112의 조항들, 6 번째 단락 하에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9)

  1. 무선 통신 방법으로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 상기 비확장 부분은 제어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함 ― ; 및
    상기 업링크 프레임을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 및 상기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비확장 부분의 상기 제어 부분을 스킵하는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 맵핑 순서를 따라가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 및 상기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는 것은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와는 별도로 처리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이전에 실시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 및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는 단계는 함께 처리되는,
    무선 통신 방법.
  7.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비확장 부분은 제어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함 ― ; 및
    상기 업링크 프레임을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 및 상기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비확장 부분의 상기 제어 부분을 스킵하는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의 맵핑 순서를 따라가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8.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게 하는 명령들;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게 하는 명령들 ― 상기 비확장 부분은 제어 부분 및 데이터 부분을 포함함 ― ; 및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업링크 프레임을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게 하는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 및 상기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게 하는 명령들은, 상기 비확장 부분의 상기 제어 부분을 스킵하는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의 맵핑 순서를 따라가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9.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로서,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업링크 프레임의 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고;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업링크 프레임의 비확장 부분으로 맵핑하고 ― 상기 비확장 부분은 제어 부분과 데이터 부분을 포함함 ― ;그리고
    상기 업링크 프레임을 업링크 상에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싱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리소스 엘리먼트들을 상기 확장 부분 및 상기 비확장 부분 각각으로 맵핑하는 것은 상기 비확장 부분의 상기 제어 부분을 스킵하는 시간-첫 번째, 주파수-두 번째의 맵핑 순서를 따라가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
KR1020137034814A 2009-10-15 2010-10-15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KR101643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211509P 2009-10-15 2009-10-15
US61/252,115 2009-10-15
US12/903,995 US9247547B2 (en) 2009-10-15 2010-10-13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carrier extension
US12/903,995 2010-10-13
PCT/US2010/052967 WO2011047355A2 (en) 2009-10-15 2010-10-15 Downlink and uplink resource element mapping for carrier extens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435A Division KR101422750B1 (ko) 2009-10-15 2010-10-15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8409A true KR20140018409A (ko) 2014-02-12
KR101643686B1 KR101643686B1 (ko) 2016-07-29

Family

ID=4341402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435A KR101422750B1 (ko) 2009-10-15 2010-10-15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KR1020137034814A KR101643686B1 (ko) 2009-10-15 2010-10-15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435A KR101422750B1 (ko) 2009-10-15 2010-10-15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247547B2 (ko)
EP (2) EP2775775B1 (ko)
JP (1) JP5710628B2 (ko)
KR (2) KR101422750B1 (ko)
CN (1) CN102687575B (ko)
ES (1) ES2564410T3 (ko)
TW (1) TWI433578B (ko)
WO (1) WO201104735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3952B2 (en) 2009-04-10 2017-06-06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user equipments on different system bandwidths
US9276710B2 (en) 2009-12-21 2016-03-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allocation with carrier extension
JP5427221B2 (ja) * 2011-01-07 2014-02-26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CN102223215B (zh) * 2011-06-23 2016-09-2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Ack/nack的传输方法、接收方法及其装置
US8798656B2 (en) 2011-06-29 2014-08-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by which periodically broadcasting nodes can resolve contention for access to a smaller pool of broadcasting resources
KR101595676B1 (ko) 2011-08-12 2016-02-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시스템에서의 융통성있는 대역폭 동작을 위한 다운링크 리소스 할당
JP2013055393A (ja) * 2011-09-01 2013-03-21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
US9209955B2 (en) * 2011-10-11 2015-12-08 Qualcomm Incorporated Extension carrier as a bandwidth extension
US9100978B2 (en) * 2012-02-15 2015-08-04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resources of a frequency band in a wireless system supporting at least two radio access technologies
US9775144B2 (en) 2012-02-29 2017-09-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erminal receiving down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JP6045808B2 (ja) * 2012-04-06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4110793A1 (zh) * 2013-01-18 2014-07-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控制信息的方法,基站及用户设备
US9167586B1 (en) 2013-08-13 2015-10-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rference mitigation at cell edge region of enhanced node B of LTE wireless network
CN104639486B (zh) * 2013-11-12 2018-04-10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方法及装置
EP2887760A1 (en) * 2013-12-23 2015-06-24 Telefonica S.A. A method and a system for performing virtualization of a radio access technology over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wireless network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thereof
CN105340342A (zh) * 2014-05-07 2016-02-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分配带宽的方法、装置及系统
EP2945307A1 (en) 2014-05-12 2015-11-18 Telefonica S.A. Method and transmitter for channel coding and modulation in the frequency domain of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networks
CN105281813B (zh) * 2014-06-16 2018-10-26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多用户多输入多输出系统中传输数据的方法及装置
CN106664180B (zh) 2014-07-03 2020-07-10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非许可带宽传送和接收信号的方法及其设备
US10117268B2 (en) * 2014-09-22 2018-10-30 Qualcomm Incorporated Ultra-low latency LTE downlink frame structure
US10447445B2 (en) * 2016-01-11 2019-10-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EP3520310B1 (en) * 2016-09-30 2021-10-27 Cohere Technologies, Inc. Uplink user resource allocation for orthogonal time frequency space modulation
CN108282308B (zh) * 2017-01-06 2022-10-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参考信号的处理方法及装置、设备
WO2018128401A1 (ko) * 2017-01-06 2018-07-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2603814B1 (ko) 2017-01-06 2023-11-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상향링크 제어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US10764871B2 (en) 2017-01-16 2020-09-01 Qualcomm Incorporated Extension of data transmission from ULRB to ULCB
EP3777384A4 (en) * 2018-04-06 2021-12-01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 SCALABILITY OF THE USE OF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RESOURC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257A1 (en) * 2007-11-05 2009-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919B1 (en) * 1999-06-11 2007-02-0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Random access preamble coding for initiation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sessions
EP1458208B1 (en) * 2003-03-10 2005-05-04 Alcatel Method for routing messages between mobile control and cell control functional entities of a distributed radio access network
US7688854B2 (en) * 2003-10-03 2010-03-30 Nokia Corporation Generalized spare extension field usage in frame protocol data frame
EP1622290B1 (en) 2004-07-27 2008-03-05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wide bandwidth mixed-mode wireless communications
KR101059491B1 (ko) * 2004-10-09 2011-08-26 지티이 코포레이션 Ofdm과 ofdma 공존 시스템의 주파수 스펙트럼대역폭의 할당 방법
WO2006090852A1 (ja) * 2005-02-24 2006-08-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再生装置
US20070232349A1 (en) * 2006-04-04 2007-10-04 Jones Alan E Simultaneous dual mode operation in cellular networks
JP4836840B2 (ja) * 2007-03-15 2011-12-1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基地局装置
JP2010532418A (ja) * 2007-06-29 2010-10-07 マーテック バイオサイエンシーズ コーポレーション 多価不飽和脂肪酸のエステルの製造方法および精製方法
TW200926708A (en) 2007-07-13 2009-06-16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over multiple networks
US20090067377A1 (en) * 2007-08-15 2009-03-12 Motorola, Inc. Medium access control frame stru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103112B2 (ja) 2007-09-21 2012-12-1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方法
JP5252881B2 (ja) 2007-11-02 2013-07-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基地局及び方法
US8139537B2 (en) * 2007-11-07 2012-03-20 Wi-Lan, Inc. Advanced technology frame structure with backward compatibility
KR101632080B1 (ko) 2007-11-09 2016-06-20 지티이 (유에스에이) 인크. 통신 시스템용의 유연한 ofdm/ofdma 프레임 구조
US8130847B2 (en) * 2007-11-09 2012-03-06 Motorola Mobility, Inc. Closed-loop transmiss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KR101523100B1 (ko) * 2007-12-05 2015-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US8009685B2 (en) * 2008-02-01 2011-08-30 Nokia Corporation Signalling the presence of extension frames
KR101498060B1 (ko) * 2008-02-19 2015-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a) 시스템에서의 상향링크 전송 방법
DE102008011122A1 (de) * 2008-02-26 2009-09-03 Rohde & Schwarz Gmbh & Co. Kg Verfahren und System zur Bandbreitendetektion
KR20090094736A (ko) * 2008-03-03 2009-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전송방법
US8547903B2 (en) * 2008-03-04 2013-10-01 Lg Electronics Inc. Ranging structure, multiplexing method and signaling method for legacy support mode
JP2009239443A (ja) 2008-03-26 2009-10-15 Fujitsu Ltd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KR101603649B1 (ko) * 2008-04-21 2016-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거시 시스템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할당을 위한 다중화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
ES2431337T3 (es) * 2008-06-04 2013-11-26 Sony Corporation Nueva estructura de trama para sistemas de múltiples portadoras
US8537763B2 (en) * 2008-06-30 2013-09-17 Motorola Mobility Llc Frame allocation to support legacy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on uplink transmission
KR101518059B1 (ko) * 2008-07-02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고처리율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채널 관리 방법과 채널 스위치 방법
US7688245B2 (en) * 2008-07-11 2010-03-30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for quantizing of signal values and quantizer
BRPI0904958B1 (pt) * 2008-07-11 2020-03-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e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arelho e método para calcular dados de extensão de largura de banda usando um quadro controlado por inclinação espectral
US9225481B2 (en) * 2008-08-11 2015-12-29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grants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089858B2 (en) * 2008-08-14 2012-01-03 Sony Corporation Frame and signalling pattern structure for multi-carrier systems
US8194529B2 (en) * 2008-09-08 2012-06-05 Sony Corporation Frame and data pattern structure for multi-carrier systems
US8203929B2 (en) * 2008-10-09 2012-06-19 Sony Corporation Frame and data pattern structure for multi-carrier systems
US20110205995A1 (en) 2008-10-28 2011-08-25 Nokia Corporatio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extended bandwidth systems
US8223739B2 (en) * 2008-10-29 2012-07-17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of dynamic bandwidth management
KR101205622B1 (ko) * 2008-12-22 2012-11-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채널 대역 할당 장치 및 방법
JP5206496B2 (ja) 2009-02-27 2013-06-12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および送信方法
EP3474621B1 (en) * 2009-09-25 2022-05-04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carrier network operation
WO2012015271A2 (ko) 2010-07-30 2012-02-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61257A1 (en) * 2007-11-05 2009-05-1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ultiple compatible ofdm systems with different bandwidth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RAN WG1 Meeting #58bis, R1- 093822, 2009.10.12. *
3GPP TSG-RAN WG1 Meeting #58bis, R1-093835, 2009.10.12. *
3GPP TSG-RAN WG1 Meeting #58bis, R1-094203, 2009.10.1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75775B1 (en) 2015-12-02
CN102687575B (zh) 2015-06-03
EP2489234A2 (en) 2012-08-22
US9247547B2 (en) 2016-01-26
JP2013509046A (ja) 2013-03-07
KR101422750B1 (ko) 2014-07-24
EP2775775A1 (en) 2014-09-10
WO2011047355A3 (en) 2011-06-16
EP2489234B1 (en) 2014-07-16
WO2011047355A2 (en) 2011-04-21
US20110090854A1 (en) 2011-04-21
ES2564410T3 (es) 2016-03-22
JP5710628B2 (ja) 2015-04-30
TWI433578B (zh) 2014-04-01
TW201134278A (en) 2011-10-01
CN102687575A (zh) 2012-09-19
KR101643686B1 (ko) 2016-07-29
KR20120068981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86B1 (ko) 반송파 확장에 대한 다운링크 및 업링크 리소스 엘리먼트 맵핑
US8780826B2 (en) Continuous CDM/FDM structure for LTE uplink data
US85426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an extended bandwidth wireless network
EP244969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antenna port assignments
KR101551863B1 (ko) 이종 네트워크에서의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셀들에 걸친 정보 교환을 위한 메커니즘들
KR20120085910A (ko) Lte―어드밴스드에서의 서브프레임 의존 전송 모드
US9787437B2 (en) Uplink ACK/NACK bundling enhancement for LTE TDD 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and traffic adap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