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925A -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925A
KR20140017925A KR1020120084815A KR20120084815A KR20140017925A KR 20140017925 A KR20140017925 A KR 20140017925A KR 1020120084815 A KR1020120084815 A KR 1020120084815A KR 20120084815 A KR20120084815 A KR 20120084815A KR 20140017925 A KR20140017925 A KR 2014001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o blower
air volume
turbo
blower
su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선
Original Assignee
(주) 에이스터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스터보 filed Critical (주) 에이스터보
Priority to KR102012008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7925A/ko
Publication of KR2014001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9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04D27/0292Stop safety or alarm devices, e.g. stop-and-go control; Disposition of check-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60Fluid transf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방식을 간단화하여 제어 단순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비전문적인 작업자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의 외압과 내압을 비교하여, 터보 블로워 차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싱부; 상기 터보 블로워 차압을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하는 풍량 획득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을 획득 및 저장하는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 상기 산출된 풍량을 기반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 조절하고, 상기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에 따라 상기 산출된 풍량을 분석하여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을 감지한 후,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시에는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을 즉각 중지시키는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량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터보 블로워의 모터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풍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OPERATING CONTROLLER OF TURBO BLOWER}
본 발명은 터보 블로워(turbo blow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한 방식으로 터보 블로워의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를 감지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送風機, Blower)는 유체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기계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송풍기는 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impeller), 임펠러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casing)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기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날개차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의한 분류이며, 그것은 축류형 송풍기(Axial Blower), 반경류형 송풍기(Radial Blower), 혼합류형 송풍기(Mixed Blower)로 나눈다.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 방향으로 발생하면 축류송풍기라고 하며, 이 경우에는 임펠러 입구와 출구의 유동방향이 모두 회전축과 일치한다. 프로펠러형 송풍기, 즉 보통의 가정용 선풍기가 여기에 속한다. 축류형 송풍기는 가해준 에너지가 주로 유체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며, 따라서 유량은 많이 필요하나 압력은 그리 필요하지 않은 곳에 사용된다. 반경류형 송풍기는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주된 목적이며 따라서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많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원심형 송풍기는 보통 임펠러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와 임펠러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
아울러, 상기 혼합류형 송풍기는 임펠러 내에서 축 방향과 반경 방향의 유동이 같이 존재하는 경우로 유량과 압력의 증가가 동시에 요구될 때 사용된다. 이외에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지 않는 새로운 방식의 송풍기들이 특수 목적에 사용되기도 하는데, 압전 소자를 이용하여 모터가 필요없는 송풍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송풍기는 그 응용 대상과 작동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하는데, 공업적으로는 공기조화시스템, 각종 흡배기시스템 등에 주로 사용된다. 그 크기도 컴퓨터용 냉각팬 등 소형으로부터 대형 공업용 송풍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원심 송풍기에 일종인 터보 블로워(Turbo Blower)는 비교적 압력비(壓力比)가 큰 원심 송풍기를 말하는 것으로, 임펠러(impeller)를 용기 속에서 고속 회전시켜 기체를 방사상(放射狀)으로 흐르게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송풍기 중에서 압력비가 작은 것을 원심형 통풍기, 터보 통풍기라 하고, 압력비가 그 이상의 것을 원심형 송풍기, 터보 송풍기라고 한다.
이와 같은 터보 블로워는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에 취약한 특징이 있으므로,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을 검출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장치는 복잡하고 고가의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어, 제작 단가 및 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전문적인 작업자만이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장치를 운영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방식을 간단화하여 제어 단순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비전문적인 작업자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의 외압과 내압을 비교하여, 터보 블로워 차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싱부; 상기 터보 블로워 차압을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하는 풍량 획득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을 획득 및 저장하는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 상기 산출된 풍량을 기반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 조절하고, 상기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에 따라 상기 산출된 풍량을 분석하여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을 감지한 후,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시에는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을 즉각 중지시키는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량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터보 블로워의 모터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풍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량 획득부는 수학식 ''의 식에 따라 상기 터보 블로워 차압을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하며, 상기 Q는 산출된 풍량, 상기 Pdiff는 터보 블로워 차압, 상기 Pdiff-max는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최대일 때 터보 블로워의 차압, 상기 Qmax는 터보 블로워의 최대 풍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풍량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목표 풍량을 획득하고, 상기 목표 풍량과 상기 산출된 풍량의 차를 기반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모터 회전수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에 설치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에 설치되는 장치와, 상기 터보 블로워의 원격지에 설치되는 장치로 구성되는 분산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터보 블로워의 풍량에 비례하여 터보 블로워의 외압과 내압간 차가 커짐을 고려하여, 터보 블로워의 외압과 내압간 차를 이용하여 풍량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 여부를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방식을 간단화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써지 또는 과부하 검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조 또한 단순화되어, 구현 비용 및 시간이 감소되고, 비전문적인 작업자도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싱부의 구현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상 검출 조건 설정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하,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보 블로워(1000)는 임펠러 케이스(110)와 모터 케이스(120)를 가지며 이들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 케이스(110)는 그 내부에 임펠러가 내장되며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외부로 공기가 유출되도록 토출구를 가지는 토출부(111)가 제공된다.
상기 모터 케이스(120)는 상기 임펠러 케이스(110)의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내장되며 그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개방부인 흡입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가 고속회전 함에 따라 상기 모터 케이스(120)의 흡입부(121)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모터를 냉각하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200)는 압력 센싱부(210), 풍량 획득부(220),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240), 풍량 제어부(250), 및 풍량 조절부(250) 등을 포함하여, 도1 및 도2과 같이 구성되는 터보 블로워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즉각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력 센싱부(210)는 터보 블로워(100)의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특히, 흡입부의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센싱하고, 이에 상응하는 아날로그 신호(예를 들어, 전류, 전압)를 출력한다. 이때의 압력 센싱부(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보 블로워(1000)의 흡입부 (121)의 내측에 설치되어 송풍구 외측 압력을 센싱하는 제1 압력 센서(211)와, 송풍구(121)의 외측에 설치되어 송풍구 내측 압력을 센싱하는 제2 압력 센서(212)를 구비하고, 제1 압력 센서(211)과 제2 압력 센서(212)를 측정된 압력을 서로 비교함으로써, 흡입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이하, 터보 블로워의 차압)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압력 센싱부(10)의 구현 방식은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흡입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측정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풍량 획득부(220)는 터보 블로워(100)의 차압을 다음의 수학식에 따라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으로 환산한다. 이때, 터보 블로워의 차압은 아날로그 신호 형태인 반면,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은 뒷단의 풍량 제어부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신호 형태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Q는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 Pdiff는 터보 블로워의 차압, Pdiff-max는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최대일 때 터보 블로워의 차압, Qmax는 터보 블로워의 최대 풍량이다.
풍량 제어부(230)는 풍량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을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60)(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260)의 모니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보해준다.
그리고, 풍량 제어부(230)는 풍량 획득부(220)에 의해 획득된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을 기 설정된 목표 풍량과 비교하고,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과 목표 풍량의 차에 따라 모터 회전수를 증감시킴으로써,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이 항상 목표 풍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목표 풍량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한 풍량이 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기본 오프셋(offset) 값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풍량 제어부(230)는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240)에 의해 설정된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을 기반으로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을 분석하여,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가 발생하였으면, 터보 블로워(100)의 동작을 즉각 중단시켜, 터보 블로워(100)가 오동작 또는 손상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240)는 사용자가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이상 검출 조건 설정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획득되는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을 풍량 제어부(230)에 제공하여, 풍량 제어부(230)가 이를 기반으로 한 이상 상태 검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상 검출 조건 설정창에는 터보 블로워(100)의 풍량 예측 곡선과 함께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 입력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풍량 예측 곡선을 참고하여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5a에서와 같이 써지 검출 조건과 과부하 검출 조건은 텍스트 입력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도5b에서와 같이 풍량 예측 곡선의 일 지점을 선택하는 동작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참고로, 사용자 선택 지점이 풍량 예측 곡선 중심 영역의 하부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 선택 지점에 대응되는 풍량은 써지 검출 상한 값이 될 것이고, 사용자 선택 지점이 풍량 예측 곡선 중심 영역의 상부 영역에 속하면, 사용자 선택 지점에 대응되는 풍량은 과부하 검출 하한 값이 될 것이다.
풍량 조절부(250)는 풍량 제어부(230)의 제어하에 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하거나, 모터의 회전 여부를 결정한다(즉, 터보 블로워(10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한다). 즉, 풍량 제어부(230)가 풍량의 감소를 명령하면, 풍량 조절부(250)의 모터 회전수를 감소시켜 터보 블로워(100)이 발생하는 풍량을 감소시키고, 풍량의 증가를 명령하면, 풍량 조절부(250)의 모터 회전수를 증가시켜 터보 블로워(100)이 발생하는 풍량을 증가되도록 한다. 풍량 제어부(230)가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의 발생을 통보하면, 모터의 회전을 즉각 중지하여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에서 터보 블로워(100)가 계속하여 동작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문제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는 모니터, 다이얼, 키패드 장치 등을 구비하여, 터보 블로워(100)의 동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설정 또는 제어 정보를 획득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70)는 스피커, 경고 알람등 등을 추가 구비하고, 이들을 통해 써지 또는 과부하 상태 발생을 시청각적으로 통보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상태를 보다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터보 블로워(100)의 차압을 풍량으로 환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 여부를 검출 및 통보하는 간단한 구조로 터보 블로워의 이상 동작을 체크 및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도3에서와 같이, 터보 블로워측에 설치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6에서와 같이 터보 블로워측에 설치되는 장치와 원격지에 설치되는 장치로 구성되는 분산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200)는 터보 블로워측에 설치되어 풍량 검출 동작과 풍량 조절 동작을 수행하는 블로워 장치(300)와, 컨트롤 센터와 같은 원격지에 설치되어 풍량 통보 동작과 풍량 조절 지시 동작을 수행하는 원격지 장치(400)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로워 장치(300)는 도3의 압력 센싱부(210), 풍량 획득부(220), 및 풍량 조절부(250)를 구비하고, 원격지 장치(400)는 도3의 풍량 제어부(250),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24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를 구비하되, 블로워 장치(300)와 원격지 장치(400)가 별도의 장치로 구현됨을 고려하여 블로워 장치(300)와 원격지 장치(400) 각각이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271, 272)를 추가 구비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보 블로워가 설치된 현장이 아닌 컨트롤 센터와 같은 원격지에서 터보 블로워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이상 검출 조건(즉, 써지 검출 상한값, 과부하 검출 하한값)을 설정한다(S1).
이러한 상태에서 터보 블로워(100)가 구동되면, 압력 센싱부(210)는 터보 블로워(100)의 흡입부 외부와 내부의 압력차를 센싱하여 터보 블로워의 차압을 획득하고(S2), 이를 앞서 설명된 수학식1에 따라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한 후(S3), 사용자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시/청각적으로 사용자에 통보한다(S4).
그리고 나서, 단계 S1를 통해 설정된 이상 검출 조건과 터보 블로워의 풍량을 비교하여,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이상 검출 조건을 충족시키는 지 확인한다(S5).
만약,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이상 검출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터보 블로워가 정상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터보 블로워의 현재 풍량이 기 설정된 목표 풍량이 될 수 있도록 풍량 조절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즉, 터보 블로워의 현재 풍량이 기 설정된 목표 풍량을 비교하고(S6), 터보 블로워의 현재 풍량이 기 설정된 목표 풍량보다 크면(S7), 터보 블로워의 모터 회전수를 감소시켜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감소되도록 하고(S8), 터보 블로워의 현재 풍량이 기 설정된 목표 풍량보다 작으면(S9), 터보 블로워의 모터 회전수를 증가시켜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증가되도록 한다(S10). 물론, 터보 블로워의 현재 풍량이 기 설정된 목표 풍량과 동일한 경우에는, 터보 블로워의 모터 회전수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다(S11).
반면,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이상 검출 조건을 충족시키면, 터보 블로워가 이상 동작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른 조치가 즉각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써지 검출 조건을 만족시키면, 써지 발생 상태라고 판단한 후(S12), 경고음 등을 통해 써지 발생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함과 동시에 터보 블로워 운전을 즉각 중지시킨다(즉, 터보 블로워의 모터를 회전 중시킨다(S13). 반면,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과부하 검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과부하 발생 상태에서도(S14),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경고음 등을 통해 과부하 발생 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함과 동시에 터보 블로워 운전을 즉각 중지시킨다(S1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보 블로워의 외압과 내압을 비교하여, 터보 블로워 차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싱부;
    상기 터보 블로워 차압을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하는 풍량 획득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을 획득 및 저장하는 이상 검출 조건 설정부;
    상기 산출된 풍량을 기반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 조절하고, 상기 써지 및 과부하 검출 조건에 따라 상기 산출된 풍량을 분석하여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을 감지한 후, 써지 또는 과부하 발생시에는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을 즉각 중지시키는 풍량 제어부; 및
    상기 풍량 제어부의 제어하에 상기 터보 블로워의 모터를 동작 제어하여,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을 결정하거나, 상기 터보 블로워의 운전 여부를 결정하는 풍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획득부는
    수학식''에 따라 상기 터보 블로워 차압을 상기 터보 블로워의 풍량으로 환산하며, 상기 Q는 산출된 풍량, 상기 Pdiff는 터보 블로워 차압, 상기 Pdiff-max는 터보 블로워의 풍량이 최대일 때 터보 블로워의 차압, 상기 Qmax는 터보 블로워의 최대 풍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목표 풍량을 획득하고, 상기 목표 풍량과 상기 산출된 풍량의 차를 기반으로 상기 터보 블로워의 모터 회전수를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에 설치되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는
    상기 터보 블로워에 설치되는 장치와, 상기 터보 블로워의 원격지에 설치되는 장치로 구성되는 분산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1020120084815A 2012-08-02 2012-08-02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201400179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815A KR20140017925A (ko) 2012-08-02 2012-08-02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815A KR20140017925A (ko) 2012-08-02 2012-08-02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925A true KR20140017925A (ko) 2014-02-12

Family

ID=50266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815A KR20140017925A (ko) 2012-08-02 2012-08-02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79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0877B1 (ko) * 2015-06-05 2015-12-30 터보윈 주식회사 직결 구동형 터보 블로워 냉각 구조
KR20160115549A (ko) * 2015-03-27 2016-10-06 (주) 에이스터보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101989588B1 (ko) 2018-11-27 2019-06-14 터보윈 주식회사 서지 영역에서의 운전이 가능한 터보 블로어
US10753372B2 (en) 2015-09-04 2020-08-25 Turbowin Co., Ltd. Direct drive type dual turbo blower cooling structur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5549A (ko) * 2015-03-27 2016-10-06 (주) 에이스터보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KR101580877B1 (ko) * 2015-06-05 2015-12-30 터보윈 주식회사 직결 구동형 터보 블로워 냉각 구조
WO2016195238A1 (ko) * 2015-06-05 2016-12-08 터보윈 주식회사 직결 구동형 터보 블로워 냉각 구조
JP2018517870A (ja) * 2015-06-05 2018-07-05 ターボウィン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直結駆動型のターボブロワー冷却構造
US10533560B2 (en) 2015-06-05 2020-01-14 Turbowin Co., Ltd. Direct drive-type turbo blower cooling structure
DE112016002508B4 (de) * 2015-06-05 2021-07-01 Turbowin Co., Ltd. Turbogebläsekühlungsstruktur vom direktantriebstyp
US10753372B2 (en) 2015-09-04 2020-08-25 Turbowin Co., Ltd. Direct drive type dual turbo blower cooling structure
KR101989588B1 (ko) 2018-11-27 2019-06-14 터보윈 주식회사 서지 영역에서의 운전이 가능한 터보 블로어
DE112019005374T5 (de) 2018-11-27 2021-08-19 Turbowin Co., Ltd. TURBOGEBLÄSE FÜR DEN BETRIEB IM STOßBEREICH
US11668313B2 (en) 2018-11-27 2023-06-06 Turbowin Co., Ltd. Turbo blower capable of operating in surge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7974B2 (en) Device for detecting blockage of air filter mesh
KR1022959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7925A (ko) 터보 블로워의 동작 제어 장치
US20150056912A1 (en) System enclosure ventilation monitoring system
JP6453115B2 (ja) 空気調和装置室内機
CN111486121A (zh) 风扇运作状态诊断装置及其方法
US10371158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tall or surge in radial compressors
US201400649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compressor device
NO338304B1 (no) Fremgangsmåte for drift av en effektomformermatet kompressor
JP2009024582A (ja) ガス圧縮装置及びガス圧縮装置の制御方法
KR20160022061A (ko) 보급형 터보블로워
US20140109653A1 (en) Intelligent pipeline pressure sensing device
JP6229167B2 (ja) ブラシレスdcモータを搭載した送風装置
JP2008249258A (ja) 空調機能力試験方法および空調機能力試験システム
CN110878989B (zh) 用于空调器的防凝露控制方法
JP2005265726A (ja) 風量測定装置及び風量測定方法
JP2009293908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異常検知方法
KR10205314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7450138B2 (ja) 送風装置及び静圧評価装置
JP2016065679A (ja) 空調装置の動力伝達ベルト用異常検知装置及び動力伝達ベルト用異常検知方法
CN213808154U (zh) 一种风机装置及空调室外机
EP31541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condition of a fluid flow path
US9759468B2 (en) System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HVAC system having tandem compressors
CN106122070A (zh) 一种离心风机及其流量控制方法
JP2008196821A (ja) 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