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865A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7865A KR20140017865A KR1020120084549A KR20120084549A KR20140017865A KR 20140017865 A KR20140017865 A KR 20140017865A KR 1020120084549 A KR1020120084549 A KR 1020120084549A KR 20120084549 A KR20120084549 A KR 20120084549A KR 20140017865 A KR20140017865 A KR 201400178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or
- heat
- heat exchanger
- pipe
- refriger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400/00—General features or devices for 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or heat-pump systems, i.e. not limited to a particular subgroup of F25B
- F25B2400/04—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 F25B2400/0401—Refrigeration circuit bypassing means for the compress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실외 팽창창치;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 상기 연결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 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기이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실외기와 실내기가 분리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인 일체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 다수의 실내기가 실외기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실외 열교환기의 용량이 증가되기 위하여, 실외기에 다수의 실외 열교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다수의 실외 열교환기를 가지는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이 지속되면, 실외 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하므로, 상기 공기 조화기는 제상 운전을 수행하였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경우, 제상 운전시 다수의 실외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의 실외 열교환기를 응축기로 작용시켜,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경우, 응축기로 작용하는 실외 열교환기 외의 나머지 실외 열교환기가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증발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제상을 수행하면서 연속 난방이 가능하고,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실외 팽창창치;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 상기 연결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실외 팽창창치; 및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을 포함하고, 냉매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하나 이상의 열교환부로 유입되기 위한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은,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단계; 공기 조화기의 난방 모드 운전 중 제상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실외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는 축열유닛과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도 실내기는 난방 작용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연속적인 난방이 유지될 수 있으며, 실내 쾌적감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제상 운전 시, 상기 축열유닛이 증발기 역할을 하므로, 일부 열교환부 만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보다 증발 용량이 증가되어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실외 열교환기의 특정 열교환부가 제상될 때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실외 열교환기의 특정 열교환부가 제상될 때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내기(10)와,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내기 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 유닛(20)은 제1실내기(21)와 제2실내기(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실내기가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명세서에서 실내기의 개수와 실외기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즉, 1개 이상의 실외기에 1개 이상의 실내기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21, 22)는 실내 열교환기(211, 212)와, 실내 팽창장치(213, 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내 팽창장치(213, 214)는 일 예로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상기 실외기(10)는, 하나 이상의 압축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실외기(10)가 하나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와 달리 상기 실외기(10)가 다수의 압축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축기(10)의 토출 배관(114)은 냉매의 유로를 조절(또는 절환)하기 위한 유로조절밸브(112)에 연결된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12)는 사방밸브(Four-way valve)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밸브(112)에는 압축기(10)의 흡입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압축기(10)의 흡입배관에는 액냉매와 기상 냉매를 분리하기 위한 어큐물레이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12)에는 실외 열교환기(1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는, 냉매가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는 다수의 열교환부(121,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는 일 예로 제1열교환부(121)와, 제2열교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121)와 상기 제2열교환부(122)는 별도의 독립된 열교환기이거나 단일의 실외 열교환기(120)에서 냉매의 유동을 기준으로 구분되는 열교환기일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121)와 상기 제2열교환부(12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부(121)와 상기 제2열교환부(122)의 열교환 용량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와 실내 열교환기(211, 212)는 연결 배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은, 상기 제1열교환부(121)에 연결되는 제1개별배관(131)과, 상기 제2열교환부(122)에 연결되는 제2개별배관(132)과, 상기 제1개별배관(131)과 상기 제2개별배관(132)이 연결되는 공통배관(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에는 실외 팽창장치(141, 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1, 142)는 상기 제1연결배관(131)에 구비되는 제1실외 팽창장치(141)와, 상기 제2연결배관(132)에 구비되는 제2실외 팽창장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 팽창장치(141, 142)는 일 예로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의 토출 배관(114)에는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 측으로 바이패스 시키기 위한 제상배관 유닛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상배관 유닛은 상기 토출 배관(114)에 연결되는 공통 제상배관(150)과, 상기 공통 제상배관(150)에서 분지되는 다수의 개별 제상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개별 제상배관은 상기 제1개별배관(131)에 연결되는 제1제상배관(151)과, 상기 제2개별배관(132)에 연결되는 제2제상배관(152)을 포함한다.
상기 각 제상배관(151, 152)에는 냉매의 유동을 조절하는 제상밸브(153, 154)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제상밸브(153, 154)는 공기 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제상 운전 조건 만족 시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어느 하나의 제상밸브(153, 154)가 개방되면, 다른 하나의 제상밸브(153, 154)는 닫힌다.
상기 실외기(10)는 상기 압축기(110)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유닛(180)은, 축열부재(182)와, 상기 축열부재(182)를 수용하는 하우징(18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부재(182)와 상기 하우징(183) 중 하나 이상이 상기 압축기(110)와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압축기(11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하우징(183)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통배관(130)과 상기 압축기(10)의 토출 배관(114)은 바이패스 배관(18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의 냉매는 상기 축열부재(182)에 축적된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의 냉매와 상기 축열부재(182)는 열교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에는 냉매 유동을 조절하는 바이패스 밸브(1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는 일 예로 냉매량 조절(개도 조절)이 가능한 전자팽창밸브(EEV)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은 상기 하우징(183)을 관통하며 상기 축열부재(18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축열부재(182)로부터 열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은 상기 축열부재(182)을 관통할 수 있으며, 1회 이상 절곡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은 상기 축열부재(182)와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1배관(184)과, 상기 축열부재(182)와 열교환되기 전의 냉매의 유동하는 제2배관(18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배관(184)은 상기 축열유닛(180)과 상기 압축기(10)의 토출 배관(114)을 연결하고, 상기 제2배관(185)은 상기 축열유닛(180)과 상기 연결 배관(130)을 연결한다. 물론,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은 상기 제1배관(184)과 상기 제2배관(185)을 연결하는 열교환 배관(도면부호 미표시)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배관(184)에는 제1온도센서(186)가 구비되고, 상기 제2배관(185)에는 제2온도센서(187)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는 상기 제2배관(18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는 상기 제1온도센서(186)와 제2온도센서(187)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 내의 냉매의 과열도와 기준 과열도를 비교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배관(184)의 냉매 온도(제1온도)는 상기 제2배관(184)의 냉매 온도(제2온도) 보다 높으며, 제1온도와 제2온도의 차이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의 과열도로 판단된다.
본 실시 예에서 기준 과열도는 특정 값이거나 특정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기준 과열도가 특정 값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의 냉매 과열도가 기준 과열도인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는 현재 상태를 유지하고, 냉매 과열도가 기준 과열도 보다 큰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가 커지고, 냉매 과열도가 기준 과열도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가 작아진다.
상기 기준 과열도가 특정 범위인 경우, 냉매 과열도가 특정 범위를 정의하는 상한 값 보다 큰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가 커지고, 냉매 과열도가 특정 범위를 정의하는 하한 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는 작아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온도센서(186)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압축기(10)의 흡입측 배관의 온도로부터 획득되는 과열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 흡입 측 배관의 온도는 별도의 온도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거나, 압력 센서에서 감지된 압력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될 때의 냉매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실외 열교환기의 특정 열교환부가 제상될 때의 냉매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에는 제1열교환부가 제상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되고, 도 5에는 제2열교환부가 제상될 때의 냉매 흐름이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난방 운전 명령에 의해서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된다(S1).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경우,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는 증발기로 작용하고, 실내기(21, 22)의 실내열교환기(211, 212)는 응축기로 작용한다.
상기 공기조화기의 난방 운전 시,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유로조절밸브(112)에 의해서 상기 실내 열교환기(211, 212)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211, 212)를 유동하면서 응축된 냉매는 상기 실내 팽창장치(213, 214)에 의해서 미팽창된 상태에서 상기 공통배관(130)으로 토출된다. 상기 공통배관(130)으로 토출된 냉매는 상기 각 개별배관(131, 132)으로 분지되고, 상기 각 개별배관(131, 132)에서 실외 팽창장치(141, 142)에 의해서 팽창된다. 팽창된 냉매는 상기 실외열교환기(120)를 지나면서 증발된 후에, 상기 유로조절밸브(112)를 지나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 및 상기 제상밸브(153, 154)는 닫힌다. 따라서, 공기 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로 바이패스되지 않고, 상기 공통배관(130)의 냉매가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으로 바이패스되지 않는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중에는, 상기 축열부재(182)는 상기 압축기(10)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축적한다.
상기 공기조화기가 난방 운전되는 중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2).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상 운전 조건의 만족 여부는, 일 례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출구 배관 온도와 실외 온도의 비교에 의해서 판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상 운전 조건 만족 여부 판단은 위에서 설명되는 방법 외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제상 운전 조건 만족 여부 판단을 위한 방법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단계 S2에서 판단 결과,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된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가 열린다(S3).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제상 운전 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외 열교환기(120)를 구성하는 특정 열교환부(n 번째 열교환부)가 제상된다(S4).
본 실시 예에서 공기조화기가 제상 운전되는 경우의 실내기의 냉매 유동은 난방 운전 시의 실내기의 냉매 유동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실외기에서의 냉매 유동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열교환부가 먼저 제상운전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본 실시 예에서 제상되는 열교환부의 순서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열교환부(121)의 제상 운전 시, 상기 제2열교환부(122)는 지속적으로 증발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교환부(121)의 제상 운전 시, 상기 제1열교환부(121)와 대응되는 제1제상밸브(153)가 열리고, 제1실외팽창장치(141)는 닫힌다. 반면, 상기 제2열교환부(122)와 대응되는 제2제상밸브(154)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2실외팽창장치(14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 중 일부는 공통 제상배관(150)으로 바이패스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제상배관(150)으로 바이패스된 냉매는 상기 제1제상배관(151)을 지나 상기 제1개별배관(131)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1개별배관(131)으로 유동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부(121)를 유동하면서, 상기 제1열교환부(121)의 성에를 녹이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1열교환부(121)가 제상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21, 22)에서 배출되어 상기 공통배관(130)으로 배출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2실외팽창장치(142)에 의해서 팽창된 후에 상기 제2열교환부(122)를 유동하면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배관(130)의 냉매 중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으로 바이패스 된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축열유닛(180)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즉,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을 유동하는 냉매가 상기 축열부재(182)의 열을 흡수하여 증발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온도센서(186, 187)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축열유닛(180)은 증발기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을 유동한 냉매는 상기 토출배관(114)으로 유입되고, 상기 제2열교환부(122)에서 증발된 냉매와 합쳐진 후에 상기 압축기(10)로 유입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열교환부(121)가 제상되는 중에도, 상기 제2열교환부(122)는 증발기로 작용하므로, 실내 난방이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축열유닛(180)이 증발기 역할을 하므로, 제2열교환부 만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보다 증발 용량이 증가되어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부(121)의 제상이 완료된 후에는, 제2열교환부(122)(n+1번째 열교환부)가 제상된다(S5).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열교환부(122)의 제상 운전 시, 상기 제1열교환부(121)는 증발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제2열교환부(122)의 제상 운전 시, 상기 제2열교환부(122)와 대응되는 제2제상밸브(154)가 열리고, 제2실외팽창장치(142)는 닫힌다. 반면, 상기 제1열교환부(121)와 대응되는 제1제상밸브(153)는 닫히고, 상기 제1실외팽창장치(141)는 열린다.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 중 일부는 공통 제상배관(150)으로 바이패스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 제상배관(150)으로 바이패스된 냉매는 상기 제2제상배관(152)을 지나 상기 제2개별배관(132)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2개별배관(132)으로 유동된 고온의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부(122)를 유동하면서, 상기 제2열교환부(122)의 성에를 녹이게 된다. 즉,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의 냉매에 의해서 상기 제2열교환부(122)가 제상된다.
한편, 상기 실내기(21, 22)에서 배출되어 상기 공통배관(130)으로 배출된 냉매 중 일부는 상기 제1실외팽창장치(141)에 의해서 팽창된 후에 상기 제1열교환부(121)를 유동하면서 증발된다. 그리고, 상기 공통배관(130)의 냉매 중 나머지는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으로 바이패스 된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83)을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축열유닛(180)과 열교환되어 온도가 상승한다.
단계 S5에서 선택된 n+1번째 열교환부의 제상이 완료된 후에는 열교환부 전체의 제상이 완료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S6). 본 실시 예에서 n번째 실외기의 열교환부의 전체 개수는 N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만약, 전체 열교환부(실외 열교환기 전체)의 제상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188)가 닫힌다. 또한, 상기 각 제상밸브(153, 154)가 닫힌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기는 다시 난방 운전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가 제상 운전되는 중에도 실내기는 난방 작용을 수행하므로, 실내의 연속적인 난방이 유지될 수 있으며, 실내 쾌적감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축열유닛(180)이 증발기 역할을 하므로, 일부 열교환부 만 증발기로 작용하는 경우 보다 증발 용량이 증가되어 난방 성능이 저하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110: 압축기 120: 실외 열교환기
180: 축열유닛
180: 축열유닛
Claims (14)
-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실외 팽창창치;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
상기 연결 배관을 유동하는 냉매를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으로 바이패스시키며,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구비되는 바이패스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바이패스 밸브가 온될 수 있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온도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 센서에 감지된 온도를 기초로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후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1배관과,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되기 전의 냉매가 유동하는 제2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배관에 구비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되는 제2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와 상기 제2온도센서의 온도 차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밸브는 상기 제2배관에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냉매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압축기의 흡입 측 배관의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바이패스 밸브의 개도가 조절되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배관은, 공통 배관과, 상기 공통 배관에서 분지되며, 다수의 열교환부 각각과 연결되는 다수의 개별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실외 팽창창치는 상기 다수의 개별 배관 각각에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일부 열교환부의 제상을 위하여, 다수의 실외 팽창장치 중 일부는 닫히고, 다른 일부는 열리는 공기 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공통 배관에 연결되는 공기 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상기 다수의 개별배관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제상배관과,
상기 다수의 제상배관에 구비되는 다수의 제상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의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일부 열교환부의 제상을 위하여, 다수의 제상밸브 중 일부는 열리고, 다른 일부는 닫히는 공기 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유닛은,
상기 압축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축적하는 축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은,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축열부재와 접촉하는 공기 조화기. - 압축기;
상기 압축기에서 배출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밸브;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는 실내 열교환기;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가 유입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실외 열교환기;
상기 실내 열교환기와 상기 실외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 구비되는 실외 팽창창치; 및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유닛을 포함하고,
냉매는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각각을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고,
제상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다수의 열교환부 중 하나 이상의 열교환부로 유입되기 위한 냉매 중 일부가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후에 상기 압축기로 유입되는 공기 조화기. -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로 운전되는 단계;
공기 조화기의 난방 모드 운전 중 제상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제상 조건이 만족되면, 실외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냉매 중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압축기로부터 발생된 열을 흡수하는 축열유닛과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축열유닛과 열교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시키는 단계에서는, 팽창된 냉매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 중 일부 만을 유동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압축기에서 토출된 냉매 중 일부를 상기 실외 열교환기 중 나머지 부분으로 유동시키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549A KR101414860B1 (ko) | 2012-08-01 | 2012-08-01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84549A KR101414860B1 (ko) | 2012-08-01 | 2012-08-01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7865A true KR20140017865A (ko) | 2014-02-12 |
KR101414860B1 KR101414860B1 (ko) | 2014-07-03 |
Family
ID=5026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4549A KR101414860B1 (ko) | 2012-08-01 | 2012-08-01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486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127875A (ko) * | 2016-05-13 | 2017-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히트 펌프 |
US10544957B2 (en) | 2015-06-08 | 2020-0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2240069B1 (ko) * | 2020-02-26 | 2021-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CN114517944A (zh) * | 2022-01-28 | 2022-05-20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10920B (zh) * | 2014-07-04 | 2016-01-13 | 西安交通大学 | 一种回收利用压缩机余热的空气源热泵系统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8748Y1 (ko) * | 1994-08-31 | 1999-01-15 | 배순훈 | 냉장고의 냉각장치 |
JP4923794B2 (ja) | 2006-07-06 | 2012-04-25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JP2011080733A (ja) * | 2009-10-09 | 2011-04-21 | Hitachi Appliances Inc | 空気調和機 |
JP5108923B2 (ja) * | 2010-09-09 | 2012-12-2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
2012
- 2012-08-01 KR KR1020120084549A patent/KR10141486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44957B2 (en) | 2015-06-08 | 2020-01-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20170127875A (ko) * | 2016-05-13 | 2017-11-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히트 펌프 |
KR102240069B1 (ko) * | 2020-02-26 | 2021-04-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CN114517944A (zh) * | 2022-01-28 | 2022-05-20 |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 空调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4860B1 (ko) | 2014-07-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925545B2 (ja) | 冷凍装置 | |
CN108027179B (zh) | 空气调节机 | |
AU2008208346B2 (en) | Air conditioner | |
JP5213817B2 (ja) | 空気調和機 | |
JP5137933B2 (ja) | 空気調和装置 | |
JP6880204B2 (ja) | 空気調和装置 | |
US20160216015A1 (en) | Air-conditioning apparatus | |
KR101712213B1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US20100139312A1 (en) | Refrigeration apparatus | |
KR101588204B1 (ko) |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 제어방법 | |
JP2016003848A (ja) | 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19086251A (ja) | 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装置、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及びマルチ型空気調和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KR101414860B1 (ko) | 공기 조화기 및 그의 제어방법 | |
JP5734205B2 (ja) | 空気調和装置 | |
KR102082881B1 (ko) | 냉난방 동시형 멀티 공기조화기 | |
EP3236168B1 (en) | Air conditioning device | |
JP2007232265A (ja) | 冷凍装置 | |
JP5506433B2 (ja) | マルチ型空気調和機 | |
KR101723689B1 (ko) | 공기 조화기 | |
JP5213372B2 (ja) | 空気調和機 | |
JP2009243842A (ja) | マルチ型空気調和機および室外機の運転方法 | |
KR20190041091A (ko) | 공기조화기 | |
JP7258129B2 (ja) | 空気調和装置 | |
KR20190081837A (ko) | 공기조화 시스템 | |
KR20190005052A (ko) | 멀티형 공기조화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