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390A - 텐트용 조인트 - Google Patents

텐트용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7390A
KR20140017390A KR1020120084506A KR20120084506A KR20140017390A KR 20140017390 A KR20140017390 A KR 20140017390A KR 1020120084506 A KR1020120084506 A KR 1020120084506A KR 20120084506 A KR20120084506 A KR 20120084506A KR 20140017390 A KR20140017390 A KR 20140017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seating
pole
base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5507B1 (ko
Inventor
이철주
Original Assignee
이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주 filed Critical 이철주
Priority to KR102012008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5507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3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5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된 베이스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안착회동공에 내측 복수개로 형성된 보조안착회동홈과, 안착회동공에서 폴대의 일단이 보조안착회동홈에서 폴대의 안착회동구가 회동상승되게하고,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결합판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하부결합판에 결합된 지지축으로 구성하여 텐트의 길이보다 폴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텐트가 조립되어있을시, 지지축을 하부로 눌러 폴대의 일단이 상기 안착회동공과 안착회동구가 보조안착회동공에서 회동승강시켜 외측으로 상기 텐트의 내측면을 외곡되게 팽창되어 있던 폴대가 내측으로 외곡되어 텐트를 해체하도록 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한 텐트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텐트용 조인트{TENT JOINT}
본 발명은 텐트용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된 베이스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안착회동공에 내측 복수개로 형성된 보조안착회동홈과, 안착회동공에서 폴대의 일단이 보조안착회동홈에서 폴대의 안착회동구가 회동상승되게하고,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결합판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하부결합판에 결합된 지지축으로 구성하여 텐트의 길이보다 폴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텐트가 조립되어있을시, 지지축을 하부로 눌러 폴대의 일단이 상기 안착회동공과 안착회동구가 보조안착회동공에서 회동승강시켜 외측으로 상기 텐트의 내측면을 외곡되게 팽창되어 있던 폴대가 내측으로 외곡되어 텐트를 해체하도록 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한 텐트용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텐트의 골격을 유지시켜주는 폴대는 조인트에 의해 지지되었다.
즉, 상기 조인트의 구성은 한개의 베이스 측면에 여러개의 연결관들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된 연결관으로 폴대가 결합되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여러개의 연결관이 베이스와 일체로된 조인트는 대부분 금속이나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조인트는 여러개의 연결관들이 베이스에 방사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많은 부피를 차지하고, 텐트를 설치하기 위해서 여러개의 폴대를 텐트에 설치된 조인트들에 일일히 결합하여서 텐트설치되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텐트에 설치된 조인트들에 각각의 폴대를 결합하여야하는 어려움으로 인한 텐트설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텐트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된 베이스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안착회동공에 내측 복수개로 형성된 보조안착회동홈과, 안착회동공에서 폴대의 일단이 보조안착회동홈에서 폴대의 안착회동구가 회동상승되게하고,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결합판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하부결합판에 결합된 지지축으로 구성하여 텐트의 길이보다 폴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텐트가 조립되어있을시, 지지축을 하부로 눌러 폴대의 일단이 상기 안착회동공과 안착회동구가 보조안착회동공에서 회동승강시켜 외측으로 상기 텐트의 내측면을 외곡되게 팽창되어 있던 폴대가 내측으로 외곡되어 텐트를 해체하도록 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한 새로운 텐트용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텐트용 조인트에 있어서, 텐트(T)면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공(21)이 형성된 베이스본체(20)와, 일단의 양측에 안착회동구(31)가 형성된 상기 폴대(30)와, 상기 베이스본체(20)에 방사형으로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폴대(30)가 삽입되는 안착회동공(40)과,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에는 양 상기 안착회동구(31)가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보조안착회동홈(50)과,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공(61)이 형성된 하부결합판(60)과, 상기 결합공(21)에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볼트부(B)가 상기 볼트공(61)에 볼트결합하며, 상부에 지지구(71)를 갖는 지지축(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둘레(w1)는 상기 폴대(30)의 외측둘레(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회동구(31)의 외측둘레(w2')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의 내측둘레(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텐트(T)의 길이는 상기 폴대(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결합판(60)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공(22)에 결합되도록 안착구(62)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텐트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된 베이스본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방사형으로 형성된 안착회동공에 내측 복수개로 형성된 보조안착회동홈과, 안착회동공에서 폴대의 일단이 보조안착회동홈에서 폴대의 안착회동구가 회동상승되게하고, 상기 베이스본체의 하부에 결합된 하부결합판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본체와 상기 하부결합판에 결합된 지지축으로 구성하여 텐트의 길이보다 폴대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텐트가 조립되어있을시, 지지축을 하부로 눌러 폴대의 일단이 상기 안착회동공과 안착회동구가 보조안착회동공에서 회동승강시켜 외측으로 상기 텐트의 내측면을 외곡되게 팽창되어 있던 폴대가 내측으로 외곡되어 텐트를 해체하도록 하여 텐트의 설치 및 해체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회동공에 폴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개략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구가 보조안착회동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폴대가 베이스본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폴대가 베이스본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착회동공에 폴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착구가 보조안착회동홈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부분개략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폴대가 베이스본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폴대가 베이스본체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조인트를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텐트용 조인트는 베이스본체(20)와, 폴대(30)와, 안착회동공(40)과, 보조안착회동홈(50)과, 하부결합판(60)과, 지지축(70)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본체(20)는 텐트(T)면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공(2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공(22)들에는 후술되는 상기 하부결합판(60)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구(6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하게 상기 안착구(62)가 상기 안착공(22)에 삽입어 결합되게 하는 것은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가 상기 하부결합판(5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폴대(30)의 일단의 양측에는 안착회동구(31)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폴대(30)의 길이는 상기 텐트(T)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폴대(30)가 상기 텐트(T)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폴대(30)의 일단은 후술되는 상기 안착회동공(40)내에서 승강회동되게 하고, 상기 폴대(30)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상기 안착회동구(31)가 후술되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에서 승강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텐트(T)를 다수개의 상기 베이스본체(20)에 결합된 다수개의 상기 폴대(30)로 설치시 상기 폴대(30)가 상기 텐트(T)의 내측으로 외곡되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폴대(30)의 일단은 후술되는 상기 안착회동공(40)내에서 승강회동되게 하고, 상기 폴대(30)의 일단 양측에 형성된 상기 안착회동구(31)가 후술되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에서 승강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회동공(40)은 상기 베이스본체(20)에 방사형으로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폴대(3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에는 양 상기 안착회동구(31)가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된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둘레(w1)는 상기 폴대(30)의 외측둘레(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착회동구(31)의 외측둘레(w2')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의 내측둘레(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둘레(w1)는 상기 폴대(30)의 외측둘레(w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안착회동구(31)의 외측둘레(w2')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의 내측둘레(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은 상기 안착회동공(40)내에 삽입된 상기 폴대(30)의 외측둘레가 상기 안착회동공(40)내에서 용이하게 승강 및 회동되도록 하며,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내에 삽입된 상기 안착회동구(31)의 외측둘레가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내에서 승강 및 회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폴대(30)의 일단이 상기 안착회동공(40)을 기반으로 상기 텐트(T)의 내측면으로 외곡되어 설치되고, 이러하게 설치된 상기 폴대(30)를 상기 텐트(T)의 내측면 반대로 외곡되게 하려면 후술되는 지지축(70)의 지지구(71)를 하부로 누르면, 상기 베이스본체(20)에 형성된 상기 안착회동공(40) 및 상기 보조안착회동공(50)내에서 상기 폴대(30)의 일단 및 상기 안착회동구(31)가 승강 회동되어 상기 폴대(30)는 상기 텐트(T)의 내측면으로 외곡되었다가 상기 텐트(T)의 내측면 반대로 외곡되어 상기 텐트(T)를 지지했던것을 해제하여 상기 텐트(T)조립에서 철거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폴대(30)가 상기 텐트(T)의 내측면의 반대쪽으로 외곡되어지면, 상기 폴대(30)는 상기 텐트(T)의 내측면에서 이탈되어 상기 텐트(T)가 조립에서 철거되어진다.
상기 하부결합판(60)은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공(61)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공(22)들에는 후술되는 상기 하부결합판(60)의 상부면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구(62)가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70)은 상기 결합공(21)에 그 중부가 삽입되고, 상기 지지축(70)의 하부에 형성된 볼트부(B)는 상기 볼트공(61)에 볼트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축(70)의 상부에는 만곡되어진 지지구(7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축(7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텐트(T)설치에서 철거를 하기 위한 해제구로서, 상기 지지축(70)을 하부로 누를시, 상기 지지축(70)과 결합된 상기 베이스본체(20)에 형성된 상기 안착회동공(40) 및 상기 보조안착회동공(50)내에서 상기 폴대(30)의 일단 및 상기 안착회동구(31)가 승강 회동되어 상기 폴대(30)는 상기 텐트(T)의 내측면으로 외곡되었다가 상기 텐트(T)의 내측면 반대로 외곡되어 상기 텐트(T)를 지지했던것을 해제하여 상기 텐트(T)조립에서 철거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안착회동공(40)이 상기 베이스본체(20)에 4개가 형성되고, 4개의 상기 안착회동공(40)에 상기 폴대(30)가 결합되어지면, 텐트의 골격중 "X"자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착회동공(40)이 상기 베이스본체(20)에 3개가 형성되고, 3개의 상기 안착회동공(40)에 상기 폴대(30)가 결합되어지면, 텐트의 골격중 "Y"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안착회동공(40)이 상기 베이스본체(20)에 2개가 형성되고, 2개의 상기 안착회동공(40)에 상기 폴대(30)가 결합되어지면, 텐트의 골격중 "L"자형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X", "Y","L"자형의 프레임을 다수개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텐트의 골격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하게 텐트골격에 텐트원단을 결합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회동공(12) 및 상기 보조안착회동홈(12a')에 상기 연결관(20b)과 상기 회동구(20c)가 안착되게 하고 상기 연결관(20b)에 상기 폴대(20)의 일단이 착탈되게 구성하여 상기 폴대(20)와, 상기 베이스본체(10) 및 상기 하부결합판(30)을 서로 분리하여 텐트의 골격을 구성하는 상기 폴대(20)의 부피를 줄여 손쉽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0: 베이스본체 21: 결합공
22: 안착공 30: 폴대
31: 안착회동구 40:안착회동공
50: 보조안착회동홈 60: 하부결합판
61: 볼트공 62: 안착구
70: 지지축 71: 지지구
w1,w1': 내측둘레 w2,w2': 외측둘레
T: 텐트

Claims (5)

  1. 텐트용 조인트에 있어서,
    텐트(T)면의 하부에 상부가 결합되고, 중앙에 결합공(21)이 형성된 베이스본체(20)와,
    일단의 양측에 안착회동구(31)가 형성된 상기 폴대(30)와,
    상기 베이스본체(20)에 방사형으로 다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폴대(30)가 삽입되는 안착회동공(40)과,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에는 양 상기 안착회동구(31)가 결합되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보조안착회동홈(50)과,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중앙에 볼트공(61)이 형성된 하부결합판(60)과,
    상기 결합공(21)에 삽입되고, 하부에 형성된 볼트부(B)가 상기 볼트공(61)에 볼트결합하며, 상부에 지지구(71)를 갖는 지지축(7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회동공(40)의 내측둘레(w1)는 상기 폴대(30)의 외측둘레(w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회동구(31)의 외측둘레(w2')는 상기 보조안착회동홈(50)의 내측둘레(w1')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T)의 길이는 상기 폴대(3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판(60)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본체(20)의 하부에 다수개로 형성된 안착공(22)에 결합되도록 안착구(62)가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용 조인트.
KR1020120084506A 2012-08-01 2012-08-01 텐트용 조인트 KR101525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6A KR101525507B1 (ko) 2012-08-01 2012-08-01 텐트용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506A KR101525507B1 (ko) 2012-08-01 2012-08-01 텐트용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390A true KR20140017390A (ko) 2014-02-11
KR101525507B1 KR101525507B1 (ko) 2015-06-03

Family

ID=5026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506A KR101525507B1 (ko) 2012-08-01 2012-08-01 텐트용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55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91A (ko) 2014-12-10 2016-06-20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및 조인트
KR20160132653A (ko) 2015-05-11 2016-11-21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및 조인트
KR20160132652A (ko) 2015-05-11 2016-11-21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CN113323497A (zh) * 2021-04-29 2021-08-31 成都市鑫宏威野营装备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多瓣式可展开露营帐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909U (ko) * 1998-06-18 2000-01-15 전용우 텐트용 조인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491A (ko) 2014-12-10 2016-06-20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및 조인트
KR20160132653A (ko) 2015-05-11 2016-11-21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및 조인트
KR20160132652A (ko) 2015-05-11 2016-11-21 이건우 트랜스포머 텐트
CN113323497A (zh) * 2021-04-29 2021-08-31 成都市鑫宏威野营装备器材有限责任公司 一种多瓣式可展开露营帐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5507B1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7390A (ko) 텐트용 조인트
KR20130044315A (ko) 좌석 지지 시스템
GB2562188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post and beam of bunk bed and bunk bed using the structure
CN204590654U (zh) 一种盘扣式可调模板支撑架
CN103919364B (zh) 一种可调节式茶几
CN105332977B (zh) 折叠式支架的连接件
CN202588898U (zh) 一种积木式组合桌凳
KR101087985B1 (ko) 아암 지주와 폴대지주의 조립성, 직선도 개선과 제조 생산성을 개선한 림 타입 유니언을 갖는 가로등주
CN209129161U (zh) 一种可快速拆装的箱房
CN204370897U (zh) 一种帐篷连接系统
CN204126259U (zh) 一种新型早拆可调支顶座
CN205843964U (zh) 发动机台架试验用飞轮连接盘
CN209254106U (zh) 一种游乐设施
CN204812882U (zh) 可折叠的圆凳
CN202424381U (zh) 轴承箱支架
CN219118385U (zh) 一种超长ptfe膜材的特殊张拉节点
CN209129162U (zh) 一种可快速拆装的活动房
CN109208759A (zh) 一种可快速拆装的活动房
CN216076184U (zh) 一种适用型承插型盘扣式钢管支架支撑体系
CN109208760A (zh) 一种可快速拆装的箱房
CN217536715U (zh) 一种可快速拆装的临时支架
CN202351609U (zh) 一种安装快捷的银幕
CN211103764U (zh) 一种分离装置和拆卸组件
CN220203352U (zh) 一种锥体上脚手架搭设工装
CN212956968U (zh) 一种装配式建筑用高强度钢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