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7040A -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7040A KR20140017040A KR1020120079970A KR20120079970A KR20140017040A KR 20140017040 A KR20140017040 A KR 20140017040A KR 1020120079970 A KR1020120079970 A KR 1020120079970A KR 20120079970 A KR20120079970 A KR 20120079970A KR 20140017040 A KR20140017040 A KR 201400170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rrule
- main line
- assembly
- cylindrical body
- assemb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광 통신 구축을 위한 광 케이블과 페룰의 현장 조립용의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주선 접속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적어도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융착부를 압박하여 주선 매칭을 유지토록 제공된 주선 접속수단; 및, 상기 주선 접속수단에 연계되는 제1 바디수단 및 상기 제1 바디수단에 체결되어 조립되는 제2 바디수단을 포함하는 조립형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통한 광 매칭의 현장 조립시, 주선 접속장치를 분리-조립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현장 조립전 미리 선 조립되는 부품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품수나 조립 단계를 감소시키어, 특히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광 접속(매칭) 구조는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매칭의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주선 접속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적어도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융착부를 압박하여 주선 매칭을 유지토록 제공된 주선 접속수단; 및, 상기 주선 접속수단에 연계되는 제1 바디수단 및 상기 제1 바디수단에 체결되어 조립되는 제2 바디수단을 포함하는 조립형 바디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광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통한 광 매칭의 현장 조립시, 주선 접속장치를 분리-조립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현장 조립전 미리 선 조립되는 부품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품수나 조립 단계를 감소시키어, 특히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광 접속(매칭) 구조는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매칭의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개선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광 통신 구축을 위한 광섬유 케이블과 페룰의 현장 조립을 위한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광섬유 케이블(이하, '광 케이블' 이라 함)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통한 광 매칭(주선 접속)의 현장 조립시, 주선 접속장치를 분리-조립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미리 조립되는 모듈부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품수나 조립 단계를 감소시키도록 하여,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광 접속(매칭) 구조는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매칭의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 케이블 네트워크의 보급이 진전됨에 따라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 작업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인데, 예를 들어, 현재 인터넷 통신시 사용되는 (가정용) 모뎀 라인(전화선 또는 동축케이블을 이용한 인터넷 통신 라인) 대신에 광 케이블을 이용한 광 통신 라인으로 대체되고 있다. 통상 광섬유는,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 모양의 도파관이며, 통상은 여러 가닥으로 결속된 광케이블 형태로 사용된다.
한편, 광 케이블은 외부 전자파에 의한 간섭이나 혼신이 없고, 도청이 어려우며, 특히 하나의 광섬유에 많은 통신 회선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광 통신 구축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광 통신 구축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 작업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광 케이블을 각 가정의 컴퓨터(PC)와 접속되는 광 모뎀의 어댑터에 접속하기 위하여는 광 케이블의 광섬유(주선)를 접속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를 사용한다.
일예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 사용되는 현장 조립형 광 커넥터(Field Assembly Optical Connector)는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광 커넥터는, 옥외단자와 각 가정의 광 모뎀 사이에 광 케이블의 연결 접속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광 커넥터는 옥외 단자와 각 가정의 광 모뎀 사이의 현장에서의 광 케이블의 길이는 현장 환경에 따라 가변되고, 따라서 광 케이블의 현장 조립시에는 광 케이블의 주선을 절단하여 광 커넥터에 접속시키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광 케이블의 현장 접속방법의 일예로 어댑터와 결합되어 실제 광신호를 반대편 광 케이블로 전송시키는 페룰(ferrule)의 주선(광섬유)과 가정에 연결되는 광 케이블의 주선(광섬유)을 커넥터 내부에서 매칭 젤을 이용하여 접속시키고, 광 커넥터화시켜 융착부(접속점)을 보호하는 현장조립형 광 커넥터를 이용한 기계식 접속방법이 있다.
다른 현장 접속방법은 광 케이블(광 점퍼코드 케이블) 양쪽에 미리 광 커넥터 작업을 한 광 점퍼코드를 절반(피그테일이라고 불림)으로 나눠 광 점퍼코드 케이블 주선과 현장에 인입된 광 케이블 주선을 광섬유 융착기(융착 접속기)를 이용해 (열) 융착 접속시키고, 이와 같은 융착된 주선 접속부위에 열을 가하면 수축하는 슬리브(튜브)로 피착 보강한 후 단자함이나 아웃렛 등의 트레이에 장착하여 융착부를 보호하는 융착접속 방법이다.
그런데, 매칭 젤(matching gel)을 이용하여 광 매칭을 구현하는 기계식 접속방식은 현장조립시 불량이 많으며, 반사 및 삽입 손실 등이 크며, 설치 후 고장이 자주 발생되어 광 통신 안정화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주선 접속이 확실하고 광 손실이 없는 융착 접속 방식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특히, 현재에는 100 Mbps 이상의 광 통신 속도를 제공하나, 향후에는 1 Gbps 이상의 광 통신 속도로 서비스가 이루어 지기 때문에, 기계식 접속방식 보다는 광 손실이 적은 융착형 접속방식을 선호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는 종래 융착 접속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서로 융착 접속되는 페룰(10)과 광 케이블(20)의 융착 접속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10)은 페룰 본체(12)와 페룰 본체(12)에 순차로 연결되는 플랜지(14)와 피복부(16) 내측의 주선(18)(광섬유)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광 케이블(20)은 외피(22)의 내측으로 유리섬유 등의 보호층(22a)(보호섬유)에 주선(26)이 내재된 피복부(24)가 내장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이 상기 페룰(10)의 주선(18)과 광 케이블(20)의 주선(26)은 융착 접속기를 통하여 그 끝단들이 융착 접속된다.(도 1의 'P' 부분)
그런데, 이와 같이 융착 접속된 페룰과 광 케이블 주선에는 보호튜브(슬리브)(30)가 포위되어 있다가 열을 가하면 수축되어 주선 융착부위를 피착 보강한다.
따라서, 통상 이와 같은 보호튜브(30)를 사용하여 융착부(접속점)(P)를 보호하는 종래의 융착 접속방식은, 페룰과 광 케이블의 접속후 이를 포위한 상태로 가열수단인 히터 등을 이용하여 보호튜브의 열 수축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페룰의 변형(undercut)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래 융착 접속방식의 경우 단지 튜브를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기 때문에, 실제 현장 사용시 그 사용 수명이 길지 않고, 내구성에도 문제가 많은 것이었다.
따라서, 융착 접속된 페룰과 광 케이블 접속부분의 열 수축 보호를 피하면서, 영구적인 광 매칭 상태를 구현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보호튜브(30)를 이용한 융착 방식의 주선 접속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방식의 융착형 광 커넥터를 본건의 동일 발명자이 특허 출원한 특허 출원 제2009-0113036호(등록특허 10-1076277)에서 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특허 출원에서 제시한 종래의 다른 융착형 광 커넥터의 경우에는, 조립체로서 서로 조립되는 주선 접속구를 이용하여 페룰과 광 케이블의 융착 접속된 주선들을 포위 고정하여 보호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다른 융착형 광 커넥터는, 주선 접속구가 상,하로 분리되는 방식으로서, 실제 현장 조립시 그 조립이 매우 번거롭고, 특히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접속구들의 조립시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이나 주선 융착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보호튜브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특허 출원건에서 제시된 융착형 광 커넥터에 따른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개선된 구조의 주선 접속장치와 개선된 주선 접촉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를 제안하게 되었다.
특히,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와 개선된 융착형 광 커넥터는 지금까지 제안된 바 없는 것이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광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통한 광 매칭의 현장 조립시, 주선 접속장치를 분리-조립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미리 조립되는 모듈부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면서 특히,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품수나 조립 단계를 감소시키도록 하여,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광 접속(매칭) 구조는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매칭의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한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중 적어도 주선 융착부를 압박하여 주선 매칭을 유지시키도록 제공되는 주선 접속수단; 및,
상기 조립형 주선 접속수단에 연계되는 제1 바디수단과 상기 제1 바디수단에 체결되는 제2 바디수단으로 구성된 조립형 바디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선 접속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주선 접속장치; 및,
상기 주선 접속장치의 양측에서 조립되는 접속장치 조립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케이블과 페룰의 융착 접속을 통한 광 매칭의 현장 조립시, 주선 접속장치를 분리-조립형으로 구조 개선하여, 현장 조립 전 미리 조립되는 모듈 부품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현장에서 조립되는 부품수나 조립 단계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 통신 구축을 위한 현장 조립시 그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현장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광 접속(매칭) 구조는 견고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광 매칭의 신뢰성 확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보호튜브를 이용하여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을 융착 방식으로 접속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이용한 주선들이 융착되는 페룰과 광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의 분리된 제2 바디수단을 포함하는 부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 융착형 광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본 발명 융착형 광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i는 본 발명의 융착형 광 컨넥터의 현장 조립단계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2의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를 이용한 주선들이 융착되는 페룰과 광 케이블의 접속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의 분리된 제2 바디수단을 포함하는 부품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본 발명 융착형 광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본 발명 융착형 광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a 내지 도 11i는 본 발명의 융착형 광 컨넥터의 현장 조립단계를 나타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주선 접속장치(200)를 도시하고 있고, 도 7에서는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의 제2 바디수단을 기반으로 하는 페룰측 모듈부품을 도시하고 있고,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1에서는 본 발명 융착형 광 커넥터를 이용한 현장 조립상태를 사진으로 단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다만, 이하의 본 실시예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페룰과 광 케이블은 100 단위의 도면부호, 주선 접속장치는 200 단위의 도면부호, 광 커넥터는 300 단위의 도면부호, 절단기와 융착기(융착 접속기)는 각각 400,500 단위의 도면부호로 각각 차별화하여 설명하고 도시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토대로 본 발명에 따른 주선 접속장치(2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는, 그 구성 일 예로서 크게 페룰 (110)과 광 케이블(120)의 주선(112)(126) 중 적어도 이들의 주선 융착부(도 10의 'P' 참조)를 압박하면서 그 주선 매칭(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도록 제공된 주선 접속수단(210) 및,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에 연계되는 제1 바디수단(240)과 상기 제1 바디수단(240)에 체결되는 제2 바디수단(250)으로 구성된 조립형 바디부(23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는, 앞에서 종래기술로 설명한 특허출원 제2009-0113036호에서 개시된 종래의 다른 융착형 광 커넥터의 주선 접속구들이 일체형으로 단순하게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되는 것에 비하여, 종래 커넥터의 주선 접속구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1)는, 페룰(110)과 광 케이블(120)의 적어도 주선 융착부(P)를 포함하여 주선(112)(126)들은 압박하여 그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토록 제공되는 주선 접속수단(210)과 연계된 바디부가 서로 필요시 간단하게 체결되는 제1,2 바디수단(240)(250)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실제 현장 조립시 부품 조립을 간편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시 체결되는 제1,2 바디수단(240)(250)들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바디수단을 모듈부품(도 7의 200' 참조)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현장 조립 전에 미리 (페룰측) 모듈부품(200')을 준비하고, 현장에서는 조립형 바디부(230)의 제1,2 바디수단(240)(250)들을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디 조립수단(도 3의 '260' 참조)을 통하여 쉽게 체결하여 조립하면 되기 때문에, 광 통신 구축을 위한 어댑터 측의 페룰(110)과 광 케이블(120)의 융착된 주선들을 포위하여 견고하게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200)의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은, 체결수단(220)을 매개로 서로 조립되면서 적어도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융착부(P)를 압박하여 그 접속(융착) 상태를 안정적으로 하기 위한 제1,2 접속구(212)(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제1,2 접속구(212)(214)는,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서로 긴밀하게 조립되고, 이와 같은 제1,2 접속구의 조립시 그 내측을 통과하는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112)(126)들이 압박되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1)에서 제1,2 접속구(212)(214)들을 간편하게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체결수단(220)은, 제1,2 접속구의 하나(즉, 제1 접속구)에 제공된 훅크(222)와 제1,2 접속구 중 다른 하나(즉, 제2 접속구)에 제공된 체결돌기(22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2 접속구(212)(214)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얇은 두께를 갖고 제1,2 접속구의 일측 모서리 부분에 (한쌍이) 제공된 연결부(216)로 연결되어 있고, 광 커넥터 조립전에는 제1,2 접속구(212)(214)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실제 작업시에는 제1,2 접속구들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측의 제1 접속구(212)를 제2 접속구(214)의 위에서 간단하게 누르는 동작만으로, 훅크(222)가 체결돌기(224)에 걸리어 지지되기 때문에, 제1,2 접속구들을 쉽게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접속구(212)(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중앙에는 일체로 압박부재 수용홈(212a) (214a)들이 제공되고, 따라서 압박부재 수용홈 들에 각각 주선 압박부재(218)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박부재의 재질은 탄력을 갖는 고무류의 패드이면 될 것이나, 주선을 손상시키지 않는 재질이면 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주선 압박부재(218)들은 고무패드 등으로 길이를 갖고 있어,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융착부(P)를 포함하여, 주선 융착부의 양측으로 주선의 상당부분을 제1,2 접속구들의 조립시 압박하면서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그 고정력도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더 바람직하게는 상측의 제1 접속구(212)의 압박부재(218)는 접속구 상면(평면)에서 돌출되도록 하고, 하측의 제2 접속구(214)의 압박부재(218)는 접속구 상면(평면)에서 들어 가도록 제공하면, 압박부재들의 서로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틈새 발생이 없어,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융착부와 주선들이 압박부재들사이에서 긴밀한 밀착을 통하여 더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 (200)에서, 상기 제1,2 바디수단(240)은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에 포함된 제1,2 접속구 중 하나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원통바디(242) 및, 상기 제1 원통바디(242)에 인접하여 밀착되는 제2 원통바디(25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2 원통바디(242)(252)는 바디 조립수단(260)을 매개로 분리 상태에서 필요시 쉽게 서로 체결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디 조립수단(260)은, 상기 제1 원통바디(242)에 제공된 신장부(262)에 구비된 체결개구(264) 및, 상기 제2 원통바디(252)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개구에 체결되는 훅크(266)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신장부(262)는 제1 원통바디(242)의 양측에서 일체로 수평하게 신장되고, 그 단부에는 상기 체결개구(264)가 관통 형성되고, 이때 상기 신장부의 신장된 길이는 제2 원통바디(252)의 길이에 대응되면서, 상기 체결개구(264)에 훅크(266)가 체결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원통바디(242)에 바디 조립수단(260)의 신장부(262)가 양측에서 마주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신장부는 제2 원통바디(252)에 제공되고, 훅크(266)를 제1 원통바디(242)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원통바디(242)를 제2 원통바디(252)에 밀착시키면 신장부의 체결개구(264)에 훅크(266)가 체결되면서 제1,2 원통바디들 즉, 제1,2 바디수단(240)(250)들의 체결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1)의 조립형 바디부(230)의 제1,2 바디수단(240)(250)들은 바디 조립수단(260)을 통하여 서로 밀착되면서 도 2와 같이 조립되고, 도 7 및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제1,2 원통바디(242)(254)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페룰(110)의 주선(112)이 통과하고, 따라서 상기 서로 조립된 원통바디들의 내부 공간은 주선 보상공간(도 10의 'S')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10과 같이, 페룰(110)은 페룰 조립구(114)의 후단부에 삽입되고 페룰 조립구(114)는 제1,2 원통바디(242)(252)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고, 따라서 상기 원통바디들의 조립된 길이 만큼 형성되는 공간은 페룰의 주선이 만곡될 수 있는 것(도 10의 페룰 주선 112의 점선부분)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이와 같은 주선 보상공간(S)은 주선의 접속시 오차가 발생되어도 이를 보상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바디부(230)의 주선 접속수단(210)의 제1 접속구(212)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바디수단(240)의 제1 원통바디(242)에는 제1 원통바디가 절개되는 주선 통과구(2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선 통과구(244)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페룰(110)이나 광 케이블(120)의 주선(112)들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초기에 서로 분리된 제1,2 접속구(212)(214)사이와 제1 원통바디(242)를 통과하여 융착된 주선 융착부(P)의 위치를 제1,2 접속구의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제1,2 접속구(212)(214)들을 체결수단(220)을 통하여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물론, 제1 원통바디의 주선 통과구(244)가 없는 경우에는 다음에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광 케이블(120)측에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도 7에서는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에서 제1 바디수단(240)과 조립되지 전 제2 바디수단(250)만을 프레임(320)에 조립하여 하나의 모듈부품(200')으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7 및 도 9,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주선 접속장치(1)에서 상기 조립형 바디부(230)의 제2 바디수단(250)에 구비된 제2 원통바디(252)에 페룰(110)이 삽입되면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의 프레임 (320)이 조립되는 경우, 도 11a와 같이 하나의 단독적인 페룰측 모듈부품(2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페룰측 모듈부품(200')은, 현장 조립전에 미리 커넥터 부품 제작 단계에서 페룰(110)을 제2 바디수단(250)과 프레임(320)과 조립하여 단독적인 모듈부품으로 제작하면, 실제 현장 조립시 조립되는 부품의 수가 줄어들고, 따라서 현장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룰측 모듈부품(200')을 사전 제적하여 현장 조립하는 경우 기존 현장에서 조립하는 부품이 8개인 것이 모듈 부품을 포함하여 5개로 줄어들고, 따라서 현장 조립시간도 기존에 4분에서 2분 30초로 매우 단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룰(110)의 경우에는 별도의 페룰 조립구(114)를 사용하는데, 예를 들어, 상기 페룰(110)은 페룰 조립구(114)에 삽입되고 상기 페룰 조립구(114)가, 주선 접속장치(1)의 제2 바디수단(250)의 제2 원통바디(252)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원통바디와 페룰 조립구의 플랜지(116) 사이에는 스프링(350)이 탄성적으로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350)은 페룰 조립구(114)와 제1 원통바디(242)사이에 이들을 밀어내려는 힘을 인가시키고, 따라서 페룰 조립구(114)의 내부에 삽입된 페룰(110)은 뒤로 밀리는 힘을 받고,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페룰(110)과 어댑터의 반대편 페룰(미도시)과의 밀착을 긴밀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스프링(350)은 페룰(110)과 어댑터내 페룰과의 밀착을 긴밀하게 유지시키어 광 통신의 손실을 줄이고 광 통신의 신뢰성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원통바디(252)가 융착형 광 커넥터(300)의 프레임 (320)에 조립되면, 도 7과 같은 하단의 사전 조립(제작)이 가능한 페룰측 모듈 부품(2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기 페룰 조립구(114)의 내부에는 도 10과 같이, 별도의 도면부호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턱이 형성되어 있어 페룰(110)이 걸리어 지지될 수 있고, 페룰 조립구의 내부에는 보호섬유(미부호)등이 내장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페룰측 모듈부품(200')의 제공은 결과적으로,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1)의 조립형 바디부(230)의 제1,2 바디수단(240)(250)들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 조립수단(260)을 매개로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시 체결되어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제1,2 바디수단들의 제1,2 원통바디들의 분리->조립의 구현을 통하여 현장 조립시의 작업단계를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와 같은 페룰측 모듈부품(200')은, 페룰(110)이 삽입된 페룰 조립구 (114)를 제2 원통바디(252)에 스프링(350)을 개재하여 삽입하고, 이들을 프레임-플러그(320)에 전방으로 후방으로 삽입하면, 페룰 조립구(114)의 플랜지(116)는 프레임-플러그(320)의 내측 단턱(도 10의 320a)에 걸리어 지지되는 동시에, 프레임-플러그(320)의 체결개구(322)에 제2 원통바디(252)의 후방측 체결돌기(254)가 체결되고, 프레임-플러그(320)의 후방으로 페룰 캡(118)이 끼워져, 도 7과 같은 하나의 페룰측 모듈 부품(200')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도 8 내지 도 9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형 광 커넥터(3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 커넥터는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주선 접속장치(200)의 양측에서 조립되는 접속장치 조립구(31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광 커넥터에서 상기 접속장치 조립구(310)는, 상기 주선 접속장치(200)에 포함된 제2 바디수단(250)의 제2 원통바디(252)의 일측에 조립되는 프레임(320) 및, 상기 제2 원통바디(252)의 타측에 조립되는 프레임-플러그 (330)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융착형 광 커넥터(300)의 경우 상기 프레임(320)은 하우징(340)에 조립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플러그(330)의 일측에는 부트(370)가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는 내부를 통과하는 광 케이블(120)을 압박 고정토록 구성된 케이블 압박수단(360)이 제공될 수 있다.
동시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 원통바디(252)와 페룰(110)이 삽입되는 페룰 조립구(114)사이에는 스프링(350)이 탄성 체결된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하나의 단독적인 융착형 광 컨턱터(300)의 조립이 완료되어, 페룰(110)과 광 케이블(120)의 주선들의 접속(매칭) 및 그 접속의 견고한 유지를 기반으로, 광 통신의 구축을 위한 현장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선 접속장치(1)와 광 커넥터 부품들의 조립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주선 접속장치(200)의 제2 바디수단의 제2 원통바디(252)의 일측 및 타측(전,후측)에는 각각 체결돌기(254)(256)들이 원통바디의 외 표면의 양측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에 페룰(110)이 삽입된 페룰 조립구(114)가 조립되는 제2 원통바디(252)가 프레임(320)의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일측 체결돌기(254)는 프레임(320)의 전방으로 좌우 양측에 관통 형성된 체결개구(322)에 끼워진다.
결국, 프레임(320)의 내측으로 주선 접속장치의 제2 원통바디(252)가 긴밀하게 조립되고, 이때 도 10과 같이 프레임(320)의 내측에서 단턱부부에 페룰 조립구(114)가 걸리어 지지되고, 페룰 조립구(114)의 플랜지(116)사이와 제2 원통바디 사이에는 스프링(350)이 탄성적으로 체결되게 된다.
다음, 도 5 및 도 9와 같이, 상기 제2 원통바디(250)의 전방측으로 외측면의 양측에 마주하여 일체로 돌출된 체결돌기(256)는, 제1,2 원통바디들이 프레임-플러그(330)에 삽입되면 상기 프레임-플러그(330)의 체결개구(332)에 끼워져 체결된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선 접속장치(1)의 제1,2 원통바디(242)(252)들은 바디 조립수단(260)으로 서로 체결 조립되고, 상기 제2 원통바디(252)의 후방 및 전방 측에는 각각 프레임(320)과 프레임 플러그(330)가 체결돌기와 체결개구의 체결로 서로 긴밀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프레임(320)이 삽입되는 하우징(340)에 형성된 조립개구(342)에는 상기 프레임(330)의 중앙측에 돌출된 체결구(324)가 삽입되고, 이에 도 8과 같은 조립이 완료된 본 발명의 융착형 광 커넥터(300)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20)의 전방측 상부에는 절개부(326)가 제공되고, 상기 절개부(326)은 제2 바디수단(250)인 제2 원통바디(252)의 상부에 돌출된 가이드(258)기 부품 들의 조립시 통과하게 되면서 부품들의 조립 동선을 안내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다음, 도 5,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융착형 광 커넥터(300)의 경우 상기 프레임-플러그(330)의 일측에 일체로 제공되는 케이블 압박수단(3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블 압박수단(360)은, 도 5 및 도 9와 같이, 양 측면이 절개된 압박판(362)을 구비하고, 상기 압박판(362)의 후면에는 도 10과 같이 케이블(120)의 외피(122)를 압박하는 케이블 압박돌기(362a)들이 구비되고, 따라서 케이블 압박수단(360)에 구비된 나사부(364)에 부트(370)의 내측 나사부(372)를 체결하면 부트(370)는 상기 압박판들을 압박하고, 따라서 광 케이블(120)의 외피(122)는 압박돌기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이는 광 케이블의 주선(122)과 페룰 주선(112)의 융착부(P)의 위치가 유동되지 않게 한다.
물론,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112)(122)들은 앞에서 설명한 주선 접속장치(1)의 제1,2 주선 접속구(212)(214)들의 조립시 긴밀하게 압박부재(218)로서 압박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때, 도 3,5를 참고하여 도 10과 같이, 상기 광 케이블(120)의 외피에서 돌출되고 내부에 주선이 통과하는 피복부(124)도 제1,2 주선 접속구(212)(214)의 압박부재(218)사이에서 일부분이 압박되어 고정된다.
다음, 도 11a 내지 도 11i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 및 융착형 광 커넥터(300)를 이용한 현장 조립단계를 사진으로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1a와 같이, 앞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페룰측 모듈부품(200')을 절단기(400)의 고정소켓(402)에 안착시키어 페룰(110)의 주선(12)을 절단하고, 도 11b와 같이, 광 케이블(120)도 절단기(400)에서 주선(122)을 절단하여 융착을 준비한다.
이때, 도 11b와 11c와 같이, 앞에서 설명한 광 커넥터(300)의 프레임-플러그(330)와 일체로 된 케이블 압박수단(360) 및 압박수단에 체결되는 부트(370)는 광 케이블(120)에 미리 끼워둔다.
다음, 도 11d와 같이, 페룰측 모듈부품(200')이 안착된 고정소켓(402)과 광 케이블(120)을 융착기(500)의 전극봉(510)의 양측에 배치시키고 융착기의 전극봉을 통하여 고전압을 매개로 열 융착하여 주선들의 융착 접속을 수행한다.
그 다음, 도 11e와 같이, 페룰측 모듈부품의 제2 바디수단(250)과 제1 바디수단(240)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2 원통바디들에 상호 협력하도록 제공된 바디 조립수단(260) 즉, 훅크(266)와 체결개구(264)를 통하여 체결하고, 이때 주선 융착부(P)는, 도 11f와 같이 주선 접속구(212)(214)들을 체결수단(220)으로 조립하여 페룰과 광 커이블의 적어도 주선 융착부(P)를 압박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다음, 도 11g 내지 도 11i와 같이, 프레임-플러그(330)를 제2 원통바디(252)에 체결하고, 부트(370)를 케이블 압박수단(360)의 나사부(364)에 체결하여, 페룰과 광 케이블 주선의 매칭을 통한 광 통신을 구축하는 현장 조립을 완료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도 11a 내지 도11i의 사진에서 알 수 있듯이,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주선 접속장치(200)와 융착형 광 커넥터(300)의 경우에는, 주선 접속장치의 바디들이 바디 조립수단으로 분리상태에서 필요시 조립되는 개선된 구조로 인하여, 페룰측 모듈 부품(200')의 사전 제작을 가능하게 하고, 따라서 전체적인 페룰과 광 케이블의 주선 매칭을 통한 광 통신의 현장 조립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 작업시간도 단축 가능하게 하고, 결과적으로 매우 경제적인 광 통신 구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10.... 페룰 112.... 페룰 주선
120.... 광 케이블 126.... 광 케이블 주선
200.... 주선 접속장치 210.... 주선 접속수단
212,214.... 주선 접속구 230.... 조립형 바디부
240,250.... 제1 바디수단 242,252.... 제1,2 원통바디
260.... 바디 조립수단 262... 신장부
266.... 훅크 300.... 광 커넥터
310.... 접속장치 320....프레임
330.... 프레임-플러그 340.... 하우징
350.... 스프링 360.... 케이블 압박수단
370.... 부트 P.... 주선 융착부
400.... 주선 절단기 500... 주선 열 융착기
120.... 광 케이블 126.... 광 케이블 주선
200.... 주선 접속장치 210.... 주선 접속수단
212,214.... 주선 접속구 230.... 조립형 바디부
240,250.... 제1 바디수단 242,252.... 제1,2 원통바디
260.... 바디 조립수단 262... 신장부
266.... 훅크 300.... 광 커넥터
310.... 접속장치 320....프레임
330.... 프레임-플러그 340.... 하우징
350.... 스프링 360.... 케이블 압박수단
370.... 부트 P.... 주선 융착부
400.... 주선 절단기 500... 주선 열 융착기
Claims (14)
- 적어도 페룰(110)과 광 케이블(120)의 주선 융착부(P)를 압박하여 주선 매칭을 유지토록 제공된 주선 접속수단(210); 및,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에 연계되는 제1 바디수단(240) 및, 상기 제1 바디수단에 체결되어 조립되는 제2 바디수단(250)을 포함하는 조립형 바디부(2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선 접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은, 체결수단(220)을 매개로 서로 조립되면서 상기 주선 융착부를 압박토록 제공되는 제1,2 접속구(212)(214);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20)은 상기 제1,2 접속구(212)(214)중 하나에 제공된 훅크(222)와 다른 하나에 제공된 체결돌기(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접속구(212)(214)는 연결부(216)로 연결되되, 주선 융착부를 포함하여 페룰의 주선(112)과 광 케이블의 주선(126)을 압박토록 제공된 압박부재(21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바디수단(240)(250)은 상기 주선 접속수단(210)에 포함된 제1,2 접속구 중 하나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원통바디(242) 및, 상기 제1 원통바디(242)에 분리된 상태에서 바디 조립수단(260)을 매개로 조립되는 제2 원통바디(252)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조립수단(260)은, 상기 제1 원통바디(242) 또는 제2 원통바디 (252)에 제공된 신장부(262)에 구비된 체결개구(264); 및,
상기 제2 원통바디(252) 또는 제1 원통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개구에 체결되는 훅크(266);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서로 조립된 상기 제1,2 원통바디(242)(254)는, 내측으로 주선 보상공간(S)을 형성하는 중공 원통체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통바디에 제공된 주선 통과구(24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수단(250)에 구비된 제2 원통바디(252)에 페룰(110)이 삽입되면서 융착형 광 커넥터의 프레임(320)이 조립되어 페룰측 모듈부품(200')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룰(110)은 페룰 조립구(114)에 삽입되고, 상기 페룰 조립구(114)가 제2 원통바디(252)에 삽입되되, 상기 제2 원통바디와 페룰 조립구 사이에는 스프링(35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선 접속장치.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주선 접속장치(200); 및,
상기 주선 접속장치(200)의 양측에서 조립되는 접속장치 조립구(31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주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장치 조립구(310)는, 상기 주선 접속장치(200)에 포함된 제2 바디수단(250)의 제2 원통바디(252)의 일측에 조립되는 프레임(320); 및,
상기 제2 원통바디(252)의 타측에 조립되는 프레임-플러그(33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320)은 하우징(340)에 조립되고,
상기 페룰(110)은 페룰 조립구(114)에 삽입되어 페룰 삽입구(114)가 제2 원통바디(252)에 삽입되되, 상기 제2 원통바디(252)와 페룰 조립구(114)사이에는 스프링(350)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플러그(330)의 일측에 일체로 제공되면서, 부트(370)의 체결시 내부를 통과하는 광 케이블(120)을 압박 고정토록 구성된 케이블 압박수단(3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통바디(252)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프레임(320)에 형성된 체결개구(322) 및 상기 프레임-플러그(330)에 구비된 체결개구(332)에 각각 체결되는 체결돌기(254)(256)들이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320)에는 상기 하우징(340)의 조립개구(342)에 끼움 조립되는 체결돌부(32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970A KR101369454B1 (ko) | 2012-07-23 | 2012-07-23 |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9970A KR101369454B1 (ko) | 2012-07-23 | 2012-07-23 |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7040A true KR20140017040A (ko) | 2014-02-11 |
KR101369454B1 KR101369454B1 (ko) | 2014-03-06 |
Family
ID=5026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9970A KR101369454B1 (ko) | 2012-07-23 | 2012-07-23 |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945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0472A (ko) * | 2021-06-24 | 2023-01-02 |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 스크류 고정방식을 이용한 드롭 광케이블 접속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0637B1 (ko) * | 2008-07-30 | 2008-11-26 | 장종호 | 현장 조립용 광섬유 일체형 광어댑터 |
KR20100095283A (ko) * | 2009-02-20 | 2010-08-30 | 주식회사 옵텔콤 | 광섬유 접속구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
US8851765B2 (en) * | 2009-04-23 | 2014-10-07 |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 Collar body for field terminable optical connector |
-
2012
- 2012-07-23 KR KR1020120079970A patent/KR1013694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0472A (ko) * | 2021-06-24 | 2023-01-02 | 주식회사 케이티 서비스 북부 | 스크류 고정방식을 이용한 드롭 광케이블 접속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9454B1 (ko) | 2014-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4289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US10088635B2 (en) | Connector assemblies for hybrid fiber/wire connections | |
WO2012096246A1 (ja) |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 |
KR200485300Y1 (ko) | 광섬유 융착형 광커넥터 | |
US6715933B1 (en) | Optical-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connection to the end of an optical-fiber-cable | |
US11275217B2 (en) | Field 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 with crimp zones for unjacketed optical fibers | |
US20160103290A1 (en) | Distribution cable with bidirectional breakout locations | |
CN109839698B (zh) | 光纤适配器 | |
TW201232943A (en) | Field-installable fiber optic connectors and related cable assemblies | |
KR101076277B1 (ko) | 융착형 광 컨넥터 | |
US10401574B2 (en) | Hybrid fiber power connection system | |
KR101096495B1 (ko) | 접속기 홀더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 접속기 | |
KR101369454B1 (ko) | 주선 접속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융착형 광 커넥터 | |
KR101041953B1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CN203825235U (zh) | 光纤连接器 | |
JP7201276B2 (ja) | 光ファイバベンディングを防止する現場組み立て型光コネクター | |
CN210401746U (zh) | 采用光纤阵列耦合的多芯光纤连接器 | |
KR20100095283A (ko) | 광섬유 접속구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컨넥터 | |
KR102480322B1 (ko) | 현장조립형 광섬유 팬아웃 조립방법 | |
JP4255803B2 (ja) | 光コネクタ | |
CA2975994A1 (en) | Optical adaptor for mounting to a receptacle to optically couple connectorized optical cables | |
CN220626716U (zh) | 一种光纤快速连接器 | |
KR20160145894A (ko) | 현장 조립형 광커넥터 | |
AU2016211698B2 (en) | Hybrid connection system using factory connectorized pigtail | |
JP2004191555A (ja) | 光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