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6096A - 셔츠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셔츠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6096A
KR20140016096A KR1020120083388A KR20120083388A KR20140016096A KR 20140016096 A KR20140016096 A KR 20140016096A KR 1020120083388 A KR1020120083388 A KR 1020120083388A KR 20120083388 A KR20120083388 A KR 20120083388A KR 20140016096 A KR20140016096 A KR 20140016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rt
model
drying apparatus
adjusting member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415B1 (ko
Inventor
박대윤
이명렬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415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9/00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 D06F59/02Supports adapted to retain the shape of particular articles being dried, e.g. incorporating heating means for gar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06F71/2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for pressing shir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셔츠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셔츠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형; 상기 셔츠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셔츠에 형성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상기 모형에 배치된 제 1조절부재; 기체를 움직이는 유동장치; 및 상기 유동장치를 경유한 기체가 상기 모형에 씌워진 셔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셔츠 건조장치 {Apparatus for drying a shirt}
본발명은 셔츠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레스 셔츠나 남방등 각종 셔츠의 구김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셔츠 건조장치로는 셔츠의 건조를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셔츠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셔츠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
리프레셔는 셔츠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셔츠를 건조시키거나, 셔츠에 향을 공급하거나, 셔츠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셔츠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단순히 셔츠에 스팀을 공급하여 셔츠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셔츠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셔츠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춘 셔츠 처리 장치는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셔츠의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해, 셔츠 재생 장치에 수납된 셔츠는 그 셔츠를 오염시킨 냄새 입자가 제거되거나, 구김이 제거되어 다림질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셔츠 건조장치로는, 드레스 셔츠나 남방 등 각종 셔츠 내에 열풍이나 스팀을 분사하거나 다리미판으로 다림질하는 셔츠 프레스(Shirts press)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셔츠 건조장치는 구김이 많이 발생되는 셔츠의 몸통부, 옷깃, 소매나 소매 인근의 주름을 다리기가 어려워 작업자가 별도의 다림질 수작업을 추가로 실시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셔츠의 건조 및 다림질을 하는 셔츠 건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건조 및 다림질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셔츠의 양 측면, 소매, 소매 인근 및 옷깃 주름을 깨끗히 다릴 수 있게 하는 셔츠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셔츠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형; 상기 셔츠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셔츠에 형성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상기 모형에 배치된 제 1조절부재; 기체를 움직이는 유동장치; 및 상기 유동장치를 경유한 기체가 상기 모형에 씌워진 셔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셔츠 건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셔츠의 건조 및 구김제거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셔츠에 공기, 열풍, 스팀을 분사하여 셔츠를 처리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다림질의 품질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종 감지센서와 조절부재 및 제어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모형에 형성된 통기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모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제 1조절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제 2조절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전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의 전면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셔츠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셔츠 건조장치(1)는 적어도 일부가 셔츠(5)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형(100); 상기 셔츠(5)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셔츠(5)에 형성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상기 모형(100)에 배치된 제 1 조절부재; 기체를 움직이는 유동장치(10); 및 상기 유동장치(10)를 경유한 기체가 상기 모형(100)에 씌워진 셔츠(5)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30)를 포함한다.
모형(100)은 적어도 일부가 셔츠(5)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모형(100)은 적어도 셔츠(5)의 일부가 씌워질 수 있는 구조물이다. 바람직하게는 모형(100)은 셔츠(5)의 내면과 모두 접할 수 있다. 모형(100)은 신축 가능함이 바람직하다. 모형(100)의 체적은 변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모형(100)은 셔츠(5)를 쉽게 씌울 수 있다. 모형(100)은 셔츠(5)를 씌운 후에는 셔츠(5)의 내면과 모두 접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모형(100)은 셔츠(5)에 장력을 형성할 수 있다. 모형(100)은 셔츠(5)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모형(100)의 볼륨은 변형될 수 있다. 모형(100)은 낮은 압력에도 변형가능한 재질일 수도 있다. 모형(100)은 가스가 충전된 풍선일 수도 있다. 모형(100)은 탄력성이 높은 재질일 수도 있다. 모형(100)은 메모리 폼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로, 모형(100)은 셔츠(5)와 유사한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인체의 가슴 및 복부를 포함한 몸통과 유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모형(100)은 양쪽으로 대칭되게 절개되어 형성된 제 1모형(110); 및 제 2모형(1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제 1모형(110)과 제 2모형(130)이 접하는 면은 모형(100) 내부로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제 1모형(110)과 제 2모형(130)의 외 측면은 셔츠(5)로 감싸진다. 제 1모형(110)과 제 2모형(130)이 접하는 면은 모형(100) 내부로 만곡되어 셔츠(5)에 접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로, 모형(100)은 상기 셔츠(5)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셔츠(5)에 형성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상기 모형(100)에 배치된 제 1 조절 부재(200)를 포함한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형(100)의 체적을 증감한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형(100)의 볼륨을 증감한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형(100)의 외형을 변형시킨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형(100)의 간격을 변형시킨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셔츠(5) 사이즈에 대응하여, 모형(100)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신축한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셔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신축할 수 있다. 제 1 조절 부재(200)의 동력원은 전기공급 방식일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각종 감지센서와 조절 부재 및 제어 부(300)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제 1 조절 부재(200)는 신축할 정도를 감지하는 제 1 감지센서(25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셔츠(5)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신축할 수 있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제어 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감지센서(250)는 제 1 조절 부재(200)가 셔츠(5)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신축할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제 1 감지센서(250)는 제어 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형(100) 내부에 배치된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1모형(100)과 제 2모형(1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제 1 조절 부재(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엑츄에이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조절 부재(200)는 선형 모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감지센서(250)는 제 1모형(110)과 제 2모형(130) 간 형성되어야 할 간격을 감지한다. 제어 부(300)는 제 1 감지센서(2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부(300)는 수신된 정보를 계산한다. 제어 부(300)는 계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제 1 조절 부재(200)에 명령한다. 제어 부(300)는 제 1 조절 부재(200)에 포함된 선형모터(270) 또는 선형 엑츄에이터(210)에게 작동을 명령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모형(100)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모형(100)은 셔츠(5)의 양쪽 어깨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지지 부(150); 제 1 지지 부(150)를 지지하는 제 2 지지 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 부(150)는 셔츠(5)의 양쪽 어깨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지지 부(150)는 셔츠(5)의 어깨부분 형상과 유사하다. 제 1 지지 부(150)는 걸쳐진 셔츠(5)를 지지한다. 제 1 지지 부(150)는 제 2 지지 부(150)와 연결된다. 제 2 지지 부(150)는 제 1 지지 부(150)와 연결된다. 제 2 지지 부(150)는 지지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 2 지지 부(150)와 지지 프레임(20)은 다른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제 1 조절 부재(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로 제 1 조절 부재(200)는 상기 제 2 지지 부(150)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셔츠(5)의 내측 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패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제 2 지지 부(150)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탄성 부재는 셔츠(5)에 장력을 형성 한다. 탄성 부재는 패널(230)과 연결된다. 탄성 부재는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 부재는 판 스프링(260)일 수 있다.
패널(230)은 셔츠(5)의 내측 면에 배치되어 셔츠(5)와 접한다. 패널(230)은 탄성 부재와 연결된다. 패널(230)은 와이어(265)와 연결된다. 패널(230)과 셔츠(5)가 맞닿는 부분은 메모리 폼일 수 있다. 패널(230)은 메모리 폼일 수 있다. 패널(230)의 상단은 셔츠(5)의 겨드랑이 부위와 형합하도록 만곡된 형상일 수 있다. 패널(230)의 만곡된 부분은 셔츠(5)의 겨드랑이 부위와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조절 부재(200)는 모터(270) 및 일 측은 모터(270)와 연결되고, 타 측은 패널(230)과 연결되어, 패널(230)의 위치를 조절하는 와이어(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270)는 제 2 지지 부(150)에 배치될 수 있다. 모터(270)는 와이어(265)와 연결된다. 모터(270)는 와이어(265)를 감거나 푼다. 모터(270)는 패널(230)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감지센서(250)는 제 2지지 부와 패널(230) 사이에 형성되어야 할 간격을 감지한다. 제어 부(300)는 제 1 감지센서(2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부(300)는 수신된 정보를 계산한다. 제어 부(300)는 계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제 1 조절 부재(200)에 명령한다. 제어 부(300)는 모터(270)에 작동을 명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형(100)은 지지 프레임(20)과 연결된다. 모형(100)은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지면에 설치된다. 모형(100)은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모형(100)과 지지 프레임(20)은 다른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모형(100)은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가정의 세탁실, 건조실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업적으로는 세탁소나 호텔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장치(1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셔츠 건조장치(1)는 기체를 움직이는 유동장치(10) 및 유동장치(10)를 경유한 기체가 모형(100)에 씌워진 셔츠(5)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셔츠 건조장치(1)는 모형(100)으로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장치(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동장치(10)는 지지 프레임(20)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유동장치(10)는 기체의 흐름을 만드는 팬(11)(fan)일 수 있다. 팬(11)은 송풍기, 통풍기라고도 하며, 날개, 프로펠러 등을 회전시켜 공기를 빨아내거나 송풍 하는 기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로 유동장치(10)는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13)일 수 있다. 히터(13)는 도선을 감은 코일, 온도조절장치(thermostat)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13)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코일은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유동장치(10)는 스팀기(15)일 수 있다. 스팀기(15)는 물을 기체 상태로 상변화 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다. 스팀은 저압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스팀은 공기 중에 형성된 눈에 보이는 작은 물 방을 형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팀기(15)는 100도 씨의 수증기를 방출할 수 있다.
스팀기(15)는 가열수단, 가열수단과 열 교환 하는 금속관, 상기 금속관에 물을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장치는 물을 저장하는 저장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수 공급장치는 냉각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급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기(15)에 공급되는 물은 필요에 따라 세제, 방향제 등이 포함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유동장치(10)는 팬(11), 히터(13), 스팀기(15)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팬(11), 히터(13) 등은 스팀기(15)에 이용될 수 있다.
셔츠 건조장치(1)는 유동장치(10)를 경유한 기체가 모형(100)에 씌워진 셔츠(5)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셔츠 건조장치(1)는 유동장치(10)에서 토출된 기체가 모형(100)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30)는 유동장치(10)와 연결된다. 유로(30)의 토출구는 의류를 향해 배치된다. 유로(30)의 토출구는 모형(100)을 향해 배치된다. 유로(30)는 모형(100)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모형(100)에 형성된 통기공(101)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셔츠 건조장치(1)는 모형(100)을 경유하는 유체가 셔츠(5)를 향해 송풍 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기공(101)을 포함할 수 있다. 통기공(101)은 모형(100)에 형성된다. 통기공(101)은 셔츠(5)의 곳곳으로 기체가 분사될 수 있도록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셔츠 건조장치(1)는 모형(10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은 모형(100)과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과 모형(100)은 다른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은 지면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2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 내부에는 각종 기계장치들이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 내부에는 유동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제 2 조절 부재(4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셔츠 건조장치(1)는 일 측은 상기 모형(100)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셔츠(5)의 소매 끝까지 신장하는 제 2 조절 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조절 부재(400)의 일 측은 모형(100)의 측면 상단에 연결된다. 제 2 조절 부재(400)의 일 측은 제 1 및 제 2모형(130)의 어깨부위에 연결된다. 제 2 조절 부재(400)의 일 측은 제 1 지지대의 양쪽 측면에 연결된다. 제 2 조절 부재(400)의 타 측은 셔츠(5)의 소매 끝까지 신장할 수 있다.
제 2 조절 부재(4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신축한다. 제 2 조절 부재(4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셔츠의 팔길이에 대응하여 신축할 수 있다. 제 2 조절 부재(400)의 동력원은 전기공급 방식일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셔츠 건조장치(1)는 제 2 조절 부재(400)의 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셔츠(5) 소매로 토출되는 기체를 막는 차폐 막(420)을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막(420)은 제 2 조절 부재(400)의 타 측에 배치된다. 차폐 막(420)은 소매크기에 대응한다. 차폐 막(420)은 소매로 토출되는 기체를 일정부분 차폐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차폐 막(420)은 소매의 크기에 대응한다. 차폐 막(420)은 원형 판 형상일 수 도 있다. 차폐 막(420)은 필요에 따라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차폐 막(420)은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차폐 막(420)은 제 2조절부재가팔 길이까지 신장된 후, 소매의 크기에 맞게 펼쳐질 수 있다.
만약 모형(100)이 제 1 지지부(150)와 제 2 지지부(170)를 포함하는 경우, 제 1 지지부(150)의 상단에는 별도의 차폐 막(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별도의 차폐 막은 셔츠의 목 부분으로 토출되는 기체를 차폐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바람직하게는, 별도의 차폐 막은 셔츠(5)의 목 부분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별도의 차폐막은 토출되는 기체의 일정량을 막아, 셔츠(5) 내부에 공압을 형성할 정도면 충분하다.
제 2 조절 부재(400)는 모형(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모형(100) 및 제 2 조절 부재(4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링크(430)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링크(43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2 조절 부재(4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엑츄에이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 조절 부재(400)는 선형 모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조절 부재(400)는 셔츠(5)의 소매길이에 대응하도록 신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감지센서(450)는 셔츠(5)의 팔 길이에 대응하도록 제 2 조절 부재(400)가 이동할 거리를 감지한다. 제 2 감지센서(450)는 제 2 조절 부재(4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감지센서(450)는 제어 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감지센서(450)는 감지된 정보를 제어 부(300)로 전달한다.
제어 부(300)는 제 2 감지센서(4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부(300)는 수신된 정보를 계산한다. 제어 부(300)는 계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제 2 조절 부재(400)에 명령한다. 제어 부(300)는 제 2 조절 부재(400)에 포함된 선형모터(270) 또는 선형 엑츄에이터(410)에게 작동을 명령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셔츠 건조장치(1)는 모형(1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3 조절 부재(600)를 포함한다. 제 3 조절 부재(600)는 모형(100)과 연결된다. 제 3 조절 부재(600)와 모형(100)은 다른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제 3 조절 부재(600)는 지지 프레임(20)과 연결된다. 제 3 조절 부재(600)와 지지 프레임(20)은 다른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제 3 조절 부재(600)는 모형(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제 3 조절 부재(6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신축한다. 제 3 조절 부재(600)는 수동 및/또는 자동으로 셔츠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신축할 수 있다. 제 3 조절 부재(600)의 동력원은 전기공급 방식일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엑츄에이터(41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2 조절 부재(400)는 선형 모터(2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3 감지센서(650)는 셔츠(5) 밑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제 3 조절 부재(600)가 신축될 정도를 감지한다. 제 3 감지센서(650)는 제 3 조절 부재(6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감지센서(650)는 제어 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 3 감지센서(650)는 감지된 정보를 제어 부(300)로 전달한다.
제어 부(300)는 제 3 감지센서(650)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제어 부(300)는 수신된 정보를 계산한다. 제어 부(300)는 계산된 수치를 바탕으로 제 3 조절 부재(600)에 명령한다. 제어 부(300)는 제 3 조절 부재(600)에 포함된 선형모터(270) 또는 선형 엑츄에이터(410)에게 작동을 명령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전면 고정장치(700)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전면 고정장치(7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로 전면 고정장치(700)는 벨트(713); 벨트(713)의 일단과 연결되어 벨트(713)를 감는 감김 장치(711); 및 벨트(713)의 타 단을 모형(100)에 체결하는 체결장치(715)를 포함한다.
벨트(713, 733)의 일단은 감김 장치(711, 733)와 연결된다. 벨트(713, 733)의 일단은 스풀(미도시)과 연결된다. 벨트(713, 733)는 감김 장치(711, 733)에 의해 감기거나 풀린다. 벨트(733)의 타단은 홀 부(737a)와 연결된다. 벨트(713)의 타단은 버클(717a)과 연결된다.
다른 실시예로, 벨트(713, 733)의 내부에는 자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모형(100)에는 자성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벨트(713, 733)에 자성물질이 포함된 경우, 체결장치(715, 735)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벨트(713, 733)의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한 부분은 셔츠(5) 전면의 고정상태 및 구김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정도면 충분하다. 벨트(713, 733)는 다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벨트(713, 733)는 필요에 따라 셔츠(5)의 다른 부분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를 배치할 수도 있다.
감김 장치(711. 731)는 벨트(713, 733)가 감기거나 풀리는 스풀을 포함한다. 감김 장치(711, 731)는 벨트(713, 733)와 연결된다. 스풀은 벨트(713, 733)와 연결된다. 일 실시 예로, 감김 장치(711)는 지지 프레임(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감김 장치(731)는 모형(100)의 목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체결장치(715)는 벨트(713)와 연결된 버클(717a) 및 버클(717a)이 체결되는 래치(717b)를 포함할 수 있다. 버클(717a)은 래치(717b)에 삽입될 수 있다. 래치(717b)는 지지 프레임(20)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체결장치(735)는 벨트(733)와 연결된 홀 부(737a) 및 모형(100)에 형성된 회전가능한 돌기 부(737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 부(737b)는 모형(100)의 목 부위에 배치된다. 돌기 부(737b)는 홀 부(737a)에 끼워진다. 돌기 부(737b)는 회전 가능하다. 홀 부(737a)는 벨트(713)의 타 단에 연결된다. 홀 부(737a)는 돌기 부(737b)에 끼워진다. 돌기 부(737b)는 홀 부(737a)에 형성된 홀에 삽입된 후, 회전 될 수 있다.
체결장치(715, 735)와 감김 장치(711, 731)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셔츠 건조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모형(100)을 셔츠(5)로 감싼 후, 셔츠(5)의 앞면에 배치된 단추를 채운다. 만약 전면고정장치가 포함된 모델의 경우라면, 사용자는 벨트(713, 733)를 당겨 셔츠(5)의 전면을 덮어 고정하면 된다. 벨트(713, 733)는 셔츠(5)의 전면을 모형(100)에 고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셔츠(5)의 앞면에 배치된 단추를 채울 필요가 없다.
체결장치(715)가 버클(717a)과 래치(717b)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셔츠의 전면을 모형에 밀착시킨 후, 버클(717a)을 당겨 래치(717b)에 끼워 고정시킨다.
체결장치(735)가 홀부(737a)와 돌기부(737b)를 포함하는 경우, 사용자는 셔츠(5)의 전면을 모형에 밀착시킨다. 그 후, 사용자는 홀부(737a)을 당겨 홀부(737a)를 돌기부(737b)에 끼운고, 돌기부(737b)를 돌린다. 사용자는 벨트(713, 733)에 형성된 투명한 부분을 통해, 셔츠(5) 전면의 상태를 확인하여 배치상태를 수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조절 부재(200)를 작동시켜 셔츠(5)를 팽팽하게 한다. 제 1 조절 부재(200)에 모터(270), 선형모터(270) 및 선형 엑츄에이터(410)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조절하면 된다. 만약 제 1 감지센서(250)가 부착된 경우, 제 1 조절 부재(200)는 적절한 장력이 셔츠(5)에 가해질 때까지 자동으로 변형된다.
사용자는 소매 끝 부분까지 제 2 조절 부재(400)를 신장시킨다. 제 2 조절 부재(400)에 모터(270), 선형모터(270) 및 선형 엑츄에이터(410)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조절하면 된다. 만약 제 2 감지센서(450)가 부착된 경우, 제 2 조절 부재(400)는 소매 끝까지 자동으로 길이가 신장한다.
사용자는 셔츠(5) 밑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제 3 조절 부재(6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제 3 조절 부재(600)에 모터(270), 선형모터(270) 및 선형 엑츄에이터(610)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조절하면 된다. 만약 제 3 감지센서(650)가 부착된 경우, 제 3 조절 부재(600)는 적정한 높이로 자동으로 길이가 변형된다.
상기와 같은 조절은 사용자의 편의대로 순서를 바꿔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절을 하나의 버튼으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와 같은 구성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단순한 구성의 추가로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끝나면, 사용자는 의류의 옷감, 건조시간, 구김의 정도를 고려하여 유동장치(10)를 가동시킨다. 유동장치(10)를 경유한 기체는 유로(30)를 통과하여 모형(100)의 내부로 모이고, 그 기체는 모형(100)에 형성된 통기공(101)을 통해 셔츠(5)를 향해 골고루 분사된다. 기체는 셔츠(5)에 분사되어 공압을 형성하므로, 셔츠(5)에 남아있던 구김이 펴진다. 셔츠(5)의 팔 부분으로 향하는 기체는 소매 끝단에 배치된 차폐 막(420)으로 인해 일정용량 이외의 기체는 토출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셔츠(5)의 팔 부분에도 공압이 형성되어 장력이 형성되므로, 팔 부위에 형성된 구김을 제거할 수 있다.
셔츠(5)의 건조가 끝나고, 구김이 제거되면, 사용자는 버클(717a)을 래치(717b)에서 빼거나, 돌기부(737b)에서 홀부(737a)를 빼고, 셔츠(5)를 모형(100)에서 벗긴다. 벨트(713, 733)는 리트랙터(711, 731)가 자동으로 감아들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셔츠 건조장치. 5: 셔츠
10: 유동장치 11: 팬
13: 히터 15: 스팀기
20: 지지 프레임 30: 유로
100: 모형 101: 통기공
110: 제 1모형 130: 제 2모형
150: 제 1지지부 170: 제 2지지부
200: 제 1조절부재 210: 선형 엑츄에이터
230: 패널 250: 제 1감지센서
260: 판 스프링 265: 와이어
270: 모터 300: 제어부
400: 제 2조절부재 410: 선형 엑츄에이터
420: 차폐막 430: 링크
450: 제 2감지센서 600: 제 3조절부재
610: 선형 엑츄에이터 650: 제 3감지센서
700: 전면 고정장치 711: 감김장치
713: 벨트 715: 체결장치
717a: 버클 717b: 래치
731: 감김장치 733: 벨트
735: 체결장치 737a: 홀부
737b: 돌기부

Claims (23)

  1. 적어도 일부가 셔츠의 내면과 접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모형;
    상기 셔츠에 장력을 가하여 상기 셔츠에 형성된 주름을 펼 수 있도록 상기 모형에 배치된 제 1조절부재;
    기체를 움직이는 유동장치; 및
    상기 유동장치를 경유한 기체가 상기 모형에 씌워진 상기 셔츠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장치는,
    기체의 흐름을 만드는 팬을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장치는,
    온풍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장치는,
    고온 다습한 기체를 발생시키는 스팀기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은,
    양쪽으로 대칭되게 절개되어 형성된 제 1모형; 및
    제 2모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모형과 제 2모형이 접하는 면은 상기 모형 내부로 만곡된 형상인 셔츠 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절부재는 상기 모형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 1모형과 제 2모형의 간격을 조절하는 선형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은 상기 모형을 경유하는 기체가 상기 셔츠를 향해 송풍될 수 있도록 형성된 통기공을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셔츠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제 1조절부재가 신축할 정도를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은 상기 셔츠의 양쪽 어깨부분을 지지하는 제 1지지부;
    상기 제 1지지부를 지지하는 제 2지지부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절부재는,
    상기 제 2지지부의 양 측면에 대칭으로 배치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셔츠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도록 배치된 패널을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절부재는,
    모터; 및
    일측은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패널의 위치를 조절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과 상기 셔츠가 맞닿는 부분은 메모리폼으로 형성된 셔츠 건조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판 스프링인 셔츠 건조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단은 상기 셔츠의 겨드랑이 부위와 형합하도록 만곡된 형상인 셔츠 건조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모형의 측면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셔츠의 소매 끝까지 신장되는 제 2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절부재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셔츠 소매로 토출되는 기체를 막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 및 상기 제 2조절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링크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링크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셔츠 건조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셔츠의 팔길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조절부재가 이동할 정도를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절부재는 선형 엑츄에이터인 셔츠 건조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형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 3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조절부재는 선형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22. 제 20항에 있어서,
    셔츠 밑단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상기 제 3조절부재가 신축될 정도를 감지하는 제 3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23. 적어도 셔츠의 일부가 씌워지는 모형;
    상기 셔츠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기 모형의 볼륨을 조절하는 제 1조절부재;
    기체를 유동시키는 유동장치;
    상기 유동장치에서 토출된 기체가 상기 모형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로; 및
    상기 모형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셔츠 건조장치.
KR1020120083388A 2012-07-30 2012-07-30 셔츠 건조장치 KR10192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88A KR101926415B1 (ko) 2012-07-30 2012-07-30 셔츠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388A KR101926415B1 (ko) 2012-07-30 2012-07-30 셔츠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096A true KR20140016096A (ko) 2014-02-07
KR101926415B1 KR101926415B1 (ko) 2018-12-07

Family

ID=5026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388A KR101926415B1 (ko) 2012-07-30 2012-07-30 셔츠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4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0416A (zh) * 2017-05-26 2017-09-05 东台银信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提醒作用的蒸汽去皱装置
KR20200142084A (ko) * 2018-12-21 2020-1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고정형 다림질판에 대해 이동가능한 옷걸이를 갖는 의류 스티머
WO2021045439A1 (ko) *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393A (ja) * 1993-10-28 1995-05-16 Hideaki Shibata 衣類仕上げ機
JP2003010598A (ja) * 2001-07-04 200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仕上げ装置
KR200332570Y1 (ko) * 2003-08-05 2003-11-07 이병수 상의 프레스의 높이 조절장치
US20040003519A1 (en) * 2000-12-22 2004-01-08 Joachim Damrath Pressing dummy with stiffening device at the sleeve end
KR20100116312A (ko) * 2009-04-22 2010-11-01 이상훈 다림질 보조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4393A (ja) * 1993-10-28 1995-05-16 Hideaki Shibata 衣類仕上げ機
US20040003519A1 (en) * 2000-12-22 2004-01-08 Joachim Damrath Pressing dummy with stiffening device at the sleeve end
JP2003010598A (ja) * 2001-07-04 2003-0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衣類仕上げ装置
KR200332570Y1 (ko) * 2003-08-05 2003-11-07 이병수 상의 프레스의 높이 조절장치
KR20100116312A (ko) * 2009-04-22 2010-11-01 이상훈 다림질 보조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30416A (zh) * 2017-05-26 2017-09-05 东台银信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提醒作用的蒸汽去皱装置
KR20200142084A (ko) * 2018-12-21 2020-12-21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고정형 다림질판에 대해 이동가능한 옷걸이를 갖는 의류 스티머
WO2021045439A1 (ko) * 2019-09-02 2021-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US11371183B2 (en) 2019-09-02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es car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415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15986B (zh) 一种自动控制快速干衣机及控制方法
US5555648A (en) Portable device for dry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US5815961A (e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CN107761341B (zh) 一种干衣机
KR101992181B1 (ko) 의류 처리 장치
EP3358070B1 (en) Portable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ing method thereof
KR20160066224A (ko) 다림질 장치
KR20140016096A (ko) 셔츠 건조장치
KR101598785B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CN108315987B (zh) 一种便于收纳的快速干衣机
US2679956A (en) Garment finishing machine
CN216427750U (zh) 衬衫熨烫机
KR200463981Y1 (ko) 상의 다림장치
KR20180052223A (ko) 마네퀸 타입의 다기능 의류 케어장치
KR101926417B1 (ko) 셔츠 건조장치
JP3744101B2 (ja) 衣類仕上げ装置
JP2003010598A (ja) 衣類仕上げ装置
KR101566835B1 (ko) 다림질 장치
JP2003199998A (ja) 衣類仕上げ装置
JPH07100300A (ja) 衣類乾燥用ハンガー装置
KR101926416B1 (ko) 셔츠 건조장치
JP6928483B2 (ja) 衣類の仕上げ装置
US20220396912A1 (en) Clothes Drying Device and Method for Drying an Item of Clothing
CN213173042U (zh) 烘/干衣装置和晾衣系统
JP2003199994A (ja) 衣類仕上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