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6224A - 다림질 장치 - Google Patents

다림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6224A
KR20160066224A KR1020140170289A KR20140170289A KR20160066224A KR 20160066224 A KR20160066224 A KR 20160066224A KR 1020140170289 A KR1020140170289 A KR 1020140170289A KR 20140170289 A KR20140170289 A KR 20140170289A KR 20160066224 A KR20160066224 A KR 20160066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air
shoulder
iron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우
Original Assignee
송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영우 filed Critical 송영우
Priority to KR1020140170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6224A/ko
Publication of KR20160066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2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Ir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림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된 유입 상태일 때, 소재 표면을 통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분출하는 제1 기능, 팽창된 상태를 형성하여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제2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사용 또는 보관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서 형상 유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바디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스팀 제공부; 상기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 제공부; 및 상기 스팀 제공부의 스팀 제공 동작 및 에어 제공부의 에어 제공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림질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다림질 장치 {Apparatus for ironing}
본 발명은 다림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을 통해 고압의 스팀 또는 에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바디부를 구비하고, 의류가 착용된 바디부에 내부로부터 고압의 스팀 또는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디부의 팽창 가압 및 고온 습기 분사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의류의 다림질 및 형상 고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림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양복이나 와이셔츠, 교복과 같이 다양한 의류에 있어서 세탁 또는 착용 후에 발생한 구김을 없애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전기 다리미를 이용한 다림질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전기 다리미를 이용한 다림질은 다리미판을 별도로 준비하고, 의류의 각 부위별로 위치를 바꾸어 가며 다림질을 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각 부위별로 위치를 바꾸어 다림질을 하는 과정에서 먼저 다림질한 부분이 다시 구겨짐은 물론 다림질을 함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기술을 요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전통적인 다림질 방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림질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848호에서는 바람을 가열하는 히터와, 스팀을 토출하는 스팀부가 구비되며, 가이드에는 상기 스팀 또는 상기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열풍을 통해 건조시키는 동시에 스팀을 통해 의류의 다림질까지 할 수 있는 건조 겸용 다림 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예시된 종래 기술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뤄진 가이드에 스팀 또는 바람이 불어 넣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의 형상 유지가 이뤄지지 않으므로, 가이드에 다림질 대상인 상의나 하의를 착용하는 과정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이드에 상의나 하의를 입힌 상태에서 송풍팬이나 히터, 스팀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순한 방식의 제어가 이뤄지므로, 가이드가 다림질을 하기에 적합한 팽창 상태가 확보되지 못하고, 양호한 다림질 효과가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6848호 (2007년06월04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며 표면을 통해 고압의 스팀 또는 에어를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바디부를 구비하고, 의류가 착용된 바디부에 내부로부터 고압의 스팀 또는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디부의 팽창 가압 및 고온 습기 분사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의류의 다림질 및 형상 고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림질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된 유입 상태일 때, 소재 표면을 통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분출하는 제1 기능, 팽창된 상태를 형성하여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제2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사용 또는 보관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서 형상 유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바디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스팀 제공부; 상기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 제공부; 및 상기 스팀 제공부의 스팀 제공 동작 및 에어 제공부의 에어 제공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림질 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제공부가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고, 소정 설정 패턴에 의해 상기 스팀 제공부가 스팀을 제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에 제공된 스팀 및 에어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를 전체 표면적에 걸쳐서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섬유 소재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를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팀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설정 패턴에 따라 상기 스팀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제공부는, 스팀 생성 및 보관 기능을 제공하는 스팀 용기와; 외부로부터 상기 스팀 용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주입구와;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와; 상기 스팀 용기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스팀이 제공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스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제공부는, 에어를 가압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에어를 가압 공급받아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상기 스팀 용기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스팀 또는 히터에 의해 에어의 가열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배출관의 배출 측에는 스팀 다리미가 더욱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용기는 소정 높이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팀 용기의 측면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관;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용기에는, 스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와 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퀀스와, 상기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 또는 압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스팀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공부의 송풍기는, 외부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가압된 공기를 상기 에어관으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의 흡입부 측에는 에어 흡입관을 개재하여 흡입 청소가 가능하며, 상기 스팀 배출관과 연결되어 스팀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가 더욱 결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스팀 용기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단에 구비된 어깨 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프레임부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의 어깨 또는 몸통의 적어도 일측에는 어깨 또는 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장용 지퍼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용 지퍼를 따라 바디부 내측에는 바디부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확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확장용 지퍼의 개방 시에 바디부의 어깨 또는 몸통이 상기 확장부에 의해 더욱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디부의 어깨 측 단부에는 개폐용 지퍼가 더욱 구비되어, 내부의 스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깨 프레임부는 좌측 및 우측 어깨 프레임부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프레임부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몸통의 전면부를 좌우로 분할하는 제1 지퍼와, 상기 몸통의 후면부를 좌우로 분할하는 제2 지퍼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지퍼와 제2 지퍼의 지퍼 결합 상태에 따라 몸통이 일체를 이루는 상체 다림용 상태와,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된 하체 다림용 상태로 변형 구성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바디부에 다림질을 위해 긴팔 상의 또는 하의가 착용된 경우, 상기 긴팔 상의의 손목 측 단부 또는 하의의 발목 측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의류가 착용된 유연한 소재의 바디부에 내부로부터 고압의 스팀 또는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바디부의 팽창 가압 및 고온 습기 분사를 통해 짧은 시간 동안 의류의 다림질 및 형상 고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림질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스팀이 의류에 분사됨으로써, 의류 탈취, 멸균 효과를 제공하며, 스팀 생성을 위한 물에 방향제를 혼합하는 경우, 방향 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가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스팀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상태가 포함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스팀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상태가 포함된 또다른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가 생략된 상태의 또다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의 일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에 의류가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프레임부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스팀 다리미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청소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의 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프레임부의 요부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바디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지퍼 연결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도 15의 바디부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지퍼 연결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의류가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가 생략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스팀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상태가 포함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스팀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 상태가 포함된 또다른 모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에 의류가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는, 바디부(400), 프레임부(500), 스팀 제공부(100'),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부(400)는,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된 유입 상태일 때, 소재 표면을 통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분출하는 제1 기능, 팽창된 상태를 형성하여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제2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팀 및 에어는 제어 시퀀스에 따라 별도로 제공되거나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바람직한 일예로 동시에 제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팽창'이란, 접혀있거나 주름진 상태의 소재가 팽팽하게 펴지는 상태 또는 펴지고자 하는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와 같이 펴지는 상태에서 일반적인 소재 특성 상 다소의 탄성 변형에 의한 신장 내지 확장이 발생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바디부(400)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 또는 이들의 혼합 기체를 전체 표면적에 걸쳐서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섬유 소재로 이뤄진다. 이러한 섬유 소재의 바람직한 예로서, PC 원단(또는 TC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PC 원단(또는 TC 원단)은 폴리에스터(POLY ESTER) 계열인 Tetolon, Terylene, Trylon, Toplon 등(상품명 기준)을 주 소재로 하고 면(COTTON) 소재가 혼합된 혼방 섬유로 이해될 수 있다. PC 원단(또는 TC 원단)은 수분이나 기타 환경 요인에 대한 내변형성 및 강도가 우수하고 친인체적인 장점을 가지며, 스팀이나 에어가 적당한 정도로 통과가 가능한 통기도(내압에 의한 팽창이 가능하면서도 적당한 정도로 스팀이나 에어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의 통기도)를 갖고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에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바디부(400)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 또는 이들의 혼합 기체를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로 이뤄진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통기공은 미세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부(400)의 하단부는 스팀 제공부(100')의 스팀 용기(100)의 외측면에 끈, 밴드, 기타 공지의 다양한 조임 수단을 이용하여 스팀이 하단부를 통해 새어 나오지 않도록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밀봉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하부 커버 수단(450)을 더욱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바디부(400)의 하단부 형상 및 하부 커버 수단(450)의 형상은 스팀이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프레임부(500)는, 상기 바디부(400)의 사용 또는 보관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서 형상 유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제공한다. 프레임부(500)의 상세 구성은 별도로 후술한다.
스팀 제공부(100')는, 상기 바디부(400)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팀 제공부(100')는 상기 바디부(400)에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팀 밸브(114)를 구비한다. 일예로, 스팀 밸브(114)는 전기적 제어에 의해 개폐 동작이 가능한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이에 상응하는 제어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스팀 제공부(100')의 상세 구성은 별도로 후술한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에는, 제어부(200)의 제어에 근거하여 상기 바디부(400)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제공부(300')가 더욱 구비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에어 제공부(300')는, 에어를 가압 공급하는 송풍기(300)와, 상기 송풍기(300)로부터 에어를 가압 공급받아 상기 바디부(400)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상기 스팀 용기(100)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스팀 또는 히터(150)에 의해 에어의 가열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관(112)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관(112)은 전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나선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된 부호 302는 송풍기 측과 스팀 용기 측을 차단 제어하는 제어밸브로서 제어부에 의해 개폐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디부(400) 내로 공급되는 에어는 미리 소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에어 제공부(300')는, 에어를 가압 공급하는 송풍기(300)와, 상기 송풍기(300)로부터 에어를 가압 공급받아 상기 바디부(400)의 내측으로 제공하되, 상기 스팀 용기(100)의 내부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바디부(400)의 내측으로 연통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에어관(도면 미도시)은 스팀 용기(100) 외측에 적절한 형상 및 위치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바디부(400) 내로 공급되는 에어는 가열되지 않은 상온 상태의 에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렇게 가열되지 아니한 에어를 바디부(400) 내측으로 공급하는 경우, 예를 들어, 스팀 다림질을 통해 다림질이 이뤄진 의류를 상온 에어의 냉각으로 형상 고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어부(200)는, 상기 스팀 제공부(100')의 스팀 제공 동작 및 에어 제공부(300')의 에어 제공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바디부(400)에 제공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바디부(400)의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제어부(200)는,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상기 에어 제공부(300')가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되, 상기 설정 시간 중 에어 만 공급되도록 별도 설정된 제1 공급 시간 경과 후 에어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에어와 스팀이 함께 제공하도록 설정된 제2 공급 시간의 시작 시점에 상기 스팀 제공부(100')가 스팀 제공을 개시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400)에 제공된 스팀 및 에어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공급 시간의 종료는 상기 설정 시간의 종료와 함께 이뤄질 수도 있고, 별도로 설정된 제2 공급 시간의 종료 시점에 이뤄지고 이후 상기 설정 시간의 종료 시까지 에어만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은, 상기 바디부(400)가 내부에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된 '유입 상태'일 때, 팽창된 상태를 형성하여 외측에 착용된 의류(40)를 밀착 가압하여, 실질적인 프레스 다림질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고압력 상태를 의미하며, 의류의 종류를 감안하여 제어부(2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력값으로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소정의 기준 압력'이 설정되지 않거나 너무 낮은 압력으로 스팀 및/또는 에어를 바디부(400)로 제공하게 되면, 스팀 및/또는 에어가 고압의 팽창 상태를 순간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동안 바디부(400)에 형성하지 못하고 약한 팽창 상태만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발생되면 바디부(400)가 가압에 의한 다림질 효과를 실질적으로 제공하지 못하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는 일정 압력(소정의 요구되는 팽창압)에 도달하도록 스팀 및/또는 에어의 공급을 제어하여 가압에 의한 다림질 효과가 양호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예로, 제어부(200)는, 스팀 밸브(114)를 개방하지 않고 대기 상태로 유지하면서 상기 에어 제공부(300')가 바디부(400)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여 바디부(400) 내에 미리 어느 정도의 내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에어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에서 일정 시간 경과 후 일정 스팀 압력 이상의 조건이 이뤄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스팀 밸브(114)를 개방하는 방식을 취하여 상기 스팀 제공부(100')가 스팀 제공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을 취하게 되면, 스팀의 압력 만으로 팽창압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에어의 압력을 어느 정도 확보한 상태에서 스팀의 압력을 더하여 전체적인 팽창압을 형성하게 되므로, 스팀 공급을 위한 장치의 리소스(예, 가열 에너지, 물 공급 등)를 적게 소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에어에 의한 내압 또는 스팀 제공 개시 시점의 스팀 압력 조건은 장치의 리소스 소모량 및 동작 시간, 요구되는 기준 압력 조건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상의 조건값으로도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설정 시간 또는 제1 공급 시간, 제2 공급 시간도 에어에 의한 내압 형성 시간 및 조건, 최종적인 팽창압 조건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를 더욱 변형하여,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중간에 일정 시간 동안 스팀을 공급 및 중단, 다시 공급하는 방식으로 소정 설정 패턴에 의해 제어할 수도 있다. 소정 설정 패턴이란 에어와 스팀의 공급/중단에 관한 제어 패턴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 패턴은 의류의 건조 및 냉각, 다림질 효과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스팀 제공부(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스팀 제공부(100')는, 스팀 생성 및 보관 기능을 제공하는 스팀 용기(100)와, 외부로부터 상기 스팀 용기(10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주입구(110)와, 상기 스팀 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150)와, 상기 스팀 용기(100)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스팀 용기(100)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400)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스팀이 제공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스팀 밸브(114)를 포함한다. 상기 스팀 밸브(114)가 설치되기 위한 '상부 측'은 실질적으로 상기 스팀 용기(100)내의 수위면 보다 높은 상부측이면 되며, 물리적으로 반드시 상단부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설명된 부호 101은 받침대로서, 일반적인 고정형 받침대 또는 소형 바퀴가 부착된 이동형 받침대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부호 102는 드레인 밸브이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스팀 용기(100)는 소정 높이를 갖는 통 형상(특히,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스팀 용기(100)는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내압성과 내부식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며, 그 외측에 보온 또는 미감 제공을 위한 별도의 케이스(도면 미도시)가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
물 주입구(110)는 스팀 용기(100) 내로 물을 주입할 수 있는 통상의 주입구로 이해될 수 있으며, 스팀의 압력을 견디기 위한 밀봉 마개 또는 밀봉 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히터(150)는 일예로, 제어부(200)에 의해 전기적 제어가 가능한 통상의 코일형 전기 히터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팀 용기(100)의 측면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관(111)이 더욱 구비된다. 수위 확인관(111)은 상단과 하단이 상기 스팀 용기(100)의 수위면(WL)보다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중간부가 투명 소재로 이뤄진 통상의 수위 확인용 관과 유사한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육안으로 수위를 확인하고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팀 용기(100)에는, 스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106)와 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108)가 더욱 구비된다. 온도 센서(106)와 압력 센서(108)는 센싱 값을 전기적 신호로서 제어부(200)로 전송할 수 있는 통상의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200)는,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퀀스와, 상기 온도 센서(106) 또는 압력 센서(108)로부터 측정된 온도값 또는 압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스팀 밸브(114)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가 생략된 상태의 또다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프레임부의 길이가 단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프레임부(500)는, 상기 스팀 용기(100)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부(502)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502)의 상단에 구비된 어깨 프레임부(50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바디부(400)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프레임부(504)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502)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5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일예로, 상기 수직 프레임부(50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길이 조절용 구성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받침대의 다리 등에 널리 사용되는 길이 조절용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수직 프레임부(502)의 다수의 다리(502-1, 502-2)가 상호 간에 망원경식 신축 결합 형태를 가지며, 수직 프레임부(502)는 각각의 다리(502-1,502-2)가 상호 신장된 상태에서 돌기(502a)에 의해 고정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돌기(502a)는 내부의 탄지 수단(미도시)에 의해 신장 또는 단축 조작 시에 다리(502-1,502-2) 내부로 압입 또는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 조정용 구성은 다양한 예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상기 바디부(400)의 어깨 또는 몸통의 적어도 일측에는 어깨 또는 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장용 지퍼(410,412)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용 지퍼(410,412)를 따라 바디부(400) 내측에는 바디부(40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확장부(400b)가 구비되어, 상기 확장용 지퍼(410,412)의 개방 시에 바디부(400)의 어깨 또는 몸통이 상기 확장부(400b)에 의해 더욱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어깨 확장용 지퍼(410)를 열게 되면, 그 내부에 접힘 상태로 보관된 확장부(400b)가 외부로 노출되어 어깨 부위의 바디부(400a)의 체적을 더욱 확장시켜주게 된다.
다른 예로, 좌측 및/또는 우측의 몸통 확장용 지퍼(412)를 열게 되면, 그 내부에 접힘 상태로 보관된 확장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몸통 부위의 바디부의 체적을 더욱 확장시켜주게 된다.
한편, 상기 바디부(400)의 어깨 측 단부에는 개폐용 지퍼(402)가 더욱 구비된다. 개폐용 지퍼(402)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며, 스팀 및/또는 에어 제공 상태에서 내부의 스팀 및/또는 에어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긴 팔의 상의를 바디부(400)에 착용한 상태에서 상기 개폐용 지퍼(402)를 반쯤 개방하고 스팀 및/또는 에어를 제공하게 되면, 스팀 및/또는 에어의 일부가 개방된 지퍼 틈으로 분출되는데, 그 위치가 어깨 측 단부(몸통과 팔이 만나는 부분)이므로 스팀 및/또는 에어의 일부는 소매 방향으로 분출되고 다른 일부는 몸통 측으로 분출된다. 이렇게 분출된 스팀 및/또는 에어는 바디부(400)와 그에 착용된 의류의 사이 공간을 흐르게 되고, 이렇게 흐르는 스팀 및/또는 에어는 의류의 다림질 효과를 더욱 높여주게 된다. 개폐용 지퍼(402)는 분출시키고자 하는 스팀 및/또는 에어의 양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조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스팀 다리미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함께 참조할 때, 상기 스팀 제공부(100')는, 상기 스팀 용기(100)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400)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104)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스팀 배출관(104)의 배출 측에는 스팀 다리미(180)가 더욱 결합 구비된다. 일예로, 스팀 다리미(180)는 통상의 스팀 다리미와 같이 소정 면적을 갖는 다리미 패드에 다수의 스팀 구멍이 형성되어, 스팀을 분출하면서 다리미 패드로 의류 외측을 가볍게 문지르는 형태로 다림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팀 다리미(180)는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를 이용한 다림질 시에 의류 외측면의 손 다림질을 함께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미설명된 부호 182,186은 스팀 연결관이며, 184는 스팀 밸브이다. 스팀 밸브(184)는 자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구성 가능하다.
스팀 배출관(104)에는 이외에도 스팀 사용이 요구되는 다른 여러가지 장치들이 연결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스팀 개폐 밸브(부호 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청소기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청소기는 스팀 청소기와 진공 청소기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합형 청소기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스팀 청소기만을 사용하거나 진공 청소기만을 사용하거나, 상기 두가지 청소기 기능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을 함께 참조할 때, 상기 스팀 제공부(100')는, 상기 스팀 용기(100)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400)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104)을 더욱 포함한다.
도 2를 함께 참조할 때, 상기 송풍기(300)는 외부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부(300a)와, 가압된 공기를 상기 에어관(112)으로 공급하는 배출부(300b)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300)의 흡입부(300a) 측에는 에어 흡입관(282,286)을 개재하여 흡입 청소가 가능하며, 상기 스팀 배출관(104)과 연결되어 스팀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280)가 더욱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청소기(280)는 통상의 진공 청소기와 스팀 청소기가 일체로 구성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송풍기(300)의 전단에 먼지 필터(350)가 구비되어 청소기(280)의 흡입구(280a)를 통해 흡입된 에어에 포함된 먼지를 필터(350)를 통과시켜 제거함과 동시에, 스팀 청소부(280b)를 통해 스팀을 분사하면서 먼지를 닦아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흡입구(280a)는 통상의 진공 청소기의 흡입구와 유사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스팀 청소부(280b)는 통상의 스팀 청소기와 같이 섬유재의 걸레부와 다수의 스팀공이 결합된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걸레부는 스팀공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다른예로, 상기 걸레부는 스팀공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부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걸레부가 스팀부의 후단부에 부착되는 경우, 청소 중인 상태를 기준으로 스팀공을 통해 강한 압력의 스팀이 청소 대상면에 분사되어 먼지나 찌든 때를 스팀 분리시킨 후에 걸레부가 닦아내는 방식으로 효과적인 청소가 이뤄질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스팀 청소기의 경우, 일반 스팀 청소기와 달리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으로 스팀 제공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고온의 강력한 스팀 분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흡입구(280a)는 에어 흡입관(282) 내에 구비된 먼지 흡입관(350')과 연결되며, 먼지 필터 유입관(350b), 먼지 필터(350), 먼지 필터 배출관(350a)를 거쳐 송풍기(300)로 관로가 형성된다.
상기 스팀 청소부(280b)는 에어 흡입관(282) 내에 구비된 스팀 공급관(104T')과 연결되며, 연결구(104T) 및 스팀관(104P)을 거쳐 스팀 배출관(104)으로 관로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청소기(280)를 통해 먼지가 포함된 에어가 흡입되어 에어 흡입관(282) 내에 구비된 먼지 흡입관(350')을 통과하며, 흡입된 에어가 먼지 필터(350)로 유입되어 통과하면서 먼지가 필터링되고, 필터링 후의 깨끗한 에어가 다시 먼지 필터(350)로부터 배출되어 송풍기(300)를 거쳐 스팀 용기(100) 측으로 배출된다. 송풍기(300)에서 배출된 깨끗한 에어는 별도의 유로(또는 밸브)를 통해 스팀 용기(100) 측으로 가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먼지 필터(350)는 통상의 진공 청소기에 구비된 다양한 필터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쌓인 먼지를 사용자가 적절한 시점에 제거하는 방식으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청소기의 필터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예가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팀 배출관(104)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은 스팀관(104P), 연결구(104T) 및 에어 흡입관(282) 내에 구비된 스팀 공급관(104T')을 통과하여, 상기 스팀 청소부(280b)로 공급된다.
상기 에어 및 스팀의 관로의 세부 형상 및 연결 구조는 디자인적/성능적 측면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의 통상적인 창작 범위로 볼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바디부의 요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다림질 장치의 프레임부의 요부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바디부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지퍼 연결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도 15의 바디부 상태를 구현하기 위한 지퍼 연결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과 도 17은 바디부의 목 부근을 나타낸 모식도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어깨 프레임부(504)는, 좌측 및 우측 어깨 프레임부(504a,504b)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된다. 일예로, 이러한 착탈 결합은 자석(504a',504b')을 이용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공지의 착탈 결합 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4의 미설명 부호 504f는 수직 프레임부(502)를 어깨 프레임부(504)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로서, 유연한 재질(예, 실리콘) 또는 탄성 재질(예, 스프링)로 형성되어 약간의 변형이 가능하거나 예를 들어, 힌지 구성을 통해 약간의 각도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 설명 부호 504c,504d는 자석으로서 후술하는 하체 다림용 상태에서 의류 하의(예, 바지)의 바깥쪽에서 어깨 프레임부(504) 양단에 구비된 자성체(미도시)에 자력 부착되어 의류 하의의 끝단을 다림질 시 고정하는 기능을 더욱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바디부(400)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실시예보다 팔 부분이 거의 없는 몸통만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디부(400)의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된 하체 다림용 상태로 변형 구성되기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디부(400)는, 상기 어깨 프레임부(504)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502)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500)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하부 커버가 바디부(400)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상부 또는 하부 조임끈을 통해 조임 설치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부 커버는 스팀 및 물 등에 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하며, 공지의 방수 원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바디부(400)는, 몸통의 전면부를 좌우(400a,400b)로 분할하는 제1 지퍼(704)와, 상기 몸통의 후면부를 좌우(400c,400d)로 분할하는 제2 지퍼(702)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지퍼(704)와 제2 지퍼(702)의 지퍼 결합 상태에 따라 몸통이 일체를 이루는 상체 다림용 상태(도 13)와,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된 하체 다림용 상태(도 15)로 변형 구성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지퍼(704)와 제2 지퍼(702)는 바디부(400)의 상단부(목 부근)에서 지퍼 레일의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체 다림용 상태 또는 하체 다림용 상태와 같이 바디부(400)가 닫힌 상태를 이루는 경우에는 바디부(400)의 하측에 위치하고, 상체 다림용 상태 또는 하체 다림용 상태를 이루기 위해 지퍼 레일을 결합/분리하는 상황에서는 바디부(40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몸통이 일체를 이루는 상체 다림용 상태(도 13)에서는 도 16과 같은 지퍼 결합 상태를 이루며,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된 하체 다림용 상태(도 15)에서는 도 17과 같은 지퍼 결합을 통해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어깨 프레임부(504)는, 좌측 및 우측 어깨 프레임부(504a,504b)로 분리되어 좌측 및 우측 몸통 내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스팀 및 에어 제공에 의한 다림질 과정은 상체의 다림질 과정과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다림질 장치에 의류가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400)에 다림질을 위해 긴팔 상의 또는 하의가 착용된 경우, 상기 긴팔 상의의 손목 측 단부 또는 하의의 발목 측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802)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도 18은 긴팔 상의를 예시)
밀폐 수단은 예를 들어, 경량 소재의 합성 수지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일단이 타단보다 직경이 큰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긴팔 상의의 손목 측 단부(또는 하의의 발목 측 단부)를 삽입식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경우, 긴팔 상의의 내부에 스팀을 분사하여 다림질을 할 때에, 스팀이 밀폐 수단에 의해 의류 내부에서 가압 또는 추가 순환이 이뤄지므로, 더욱 양호한 스팀 다림질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 과정이 이뤄질 수 있다.
물 주입구를 통해 물을 주입하여 스팀 용기 내에 소정의 수위로 물이 보관되도록 한다.
바디부에 다림질을 할 의류를 착용한다.
제어부를 조작하여 히터의 가열이 이뤄지도록 하여 스팀 용기 내에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때, 스팀 밸브가 닫힌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부는 제어한다.
제어부의 조작 내지 설정에 의해, 소정의 설정 시간 동안 에어 제공부가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설정 시간 중 제1 공급 시간 경과 후 제어부는 스팀 밸브를 개방하여 일정 시간(예, 제2 공급 시간) 또는 소정의 스팀 압력이 유지되는 시간 동안 스팀이 바디부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소정의 스팀 압력은 상술한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의 압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공급을 통해,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는 상술한 제1 기능 및/또는 제2 기능을 제공하여 다림질이 이뤄지게 된다.
스팀의 제공 이전에 또는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제어부는 송풍기를 동작시켜 가압 공급된 에어가 바디부 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에어 공급을 통해,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는 스팀의 압력을 더욱 높이는 효과를 제공하면서 의류의 건조 또는 형상 고정 효과를 더욱 원활하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어를 공급하는 중간에 일정 시간 동안만 스팀을 공급하여, 에어를 통한 내압 환경 제공 -> 스팀을 통한 다림질 -> 다시 에어를 통한 건조/냉각의 사이클 방식으로 다림질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에어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중간에 일정 시간 동안 스팀을 공급 및 중단, 다시 공급하는 방식으로 다림질 장치를 사용하거나, 이러한 스팀의 공급 및 중단을 미리 설정된 사이클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팀의 공급 형태 구성은 의류의 건조 및 냉각, 다림질 효과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제 동작 중에 에어 만을 공급하도록 하여 의류의 건조 효과를 주 목적으로 본 실시예의 다림질 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팀 및/또는 에어의 제공과 동시에 또는 그 이후에 상술한 스팀 다리미를 함께 이용하여 의류 외측에 손 다림질을 더욱 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팀 및/또는 에어 제공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설정된 제어 시퀀스에 의해 1회에서 수회 제공될 수 있다. 다림질이 이뤄진 후, 사용자는 의류를 바디부에서 탈착하여 다림질을 마무리한다. 이후,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보관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렇게 짧게 조절한 상태에서 상술한 청소기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팀 발생은 이뤄지고, 스팀 밸브의 개방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로 상기 스팀 배출관의 개폐 밸브를 조작하여 스팀 다리미 또는 스팀 청소기만을 사용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팀 발생은 이뤄지지 않고 송풍기만을 ON 조작하여 흡입 청소기의 기능만을 이용하거나, 또는 스팀 발생이 이뤄진 상태에서 흡입 청소기와 스팀 청소기 기능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다.
100': 스팀 제공부
200: 제어부
300': 에어 제공부
400: 바디부
500: 프레임부

Claims (19)

  1. 유연한 소재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유입된 유입 상태일 때, 소재 표면을 통해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외부로 분출하는 제1 기능, 팽창된 상태를 형성하여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제2 기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사용 또는 보관 상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에서 형상 유지를 위한 지지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부;
    상기 바디부에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스팀 제공부;
    상기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에어 제공부; 및
    상기 스팀 제공부의 스팀 제공 동작 및 에어 제공부의 에어 제공 동작을 제어하되, 상기 바디부에 제공되는 스팀 및 에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착용된 의류를 밀착 가압 가능한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다림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 제공부가 바디부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하고, 소정 설정 패턴에 의해 상기 스팀 제공부가 스팀을 제공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바디부에 제공된 스팀 및 에어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준 압력 이상이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를 전체 표면적에 걸쳐서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섬유 소재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스팀 또는 에어를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합성수지 소재로 이뤄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바디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스팀 밸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 설정 패턴에 따라 상기 스팀 밸브를 개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부는,
    스팀 생성 및 보관 기능을 제공하는 스팀 용기와;
    외부로부터 상기 스팀 용기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 물 주입구와;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에 공급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와;
    상기 스팀 용기의 상부 측에 구비되어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스팀이 제공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된 스팀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제공부는,
    에어를 가압 공급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에어를 가압 공급받아 상기 바디부의 내측으로 제공하며, 상기 스팀 용기의 내부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스팀 또는 히터에 의해 에어의 가열이 이뤄질 수 있도록 구성된 에어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배출관의 배출 측에는 스팀 다리미가 더욱 결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용기는 소정 높이를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팀 용기의 측면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물의 수위를 확인하기 위한 수위 확인관;이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용기에는, 스팀의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 센서와 압력 측정을 위한 압력 센서가 더욱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제어 시퀀스와, 상기 온도 센서 또는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값 또는 압력값에 근거하여 상기 스팀 밸브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 제공부는, 상기 스팀 용기 내부에 생성된 스팀을 상기 바디부의 외측으로 배출하며, 스팀이 배출되는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스팀 배출관;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에어 제공부의 송풍기는, 외부 에어를 흡입하는 흡입부와 가압된 공기를 상기 에어관으로 공급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의 흡입부 측에는 에어 흡입관을 개재하여 흡입 청소가 가능하며, 상기 스팀 배출관과 연결되어 스팀 청소가 가능한 청소기가 더욱 결합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스팀 용기로부터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 프레임부와;
    상기 수직 프레임부의 상단에 구비된 어깨 프레임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프레임부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어깨 또는 몸통의 적어도 일측에는 어깨 또는 몸통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확장용 지퍼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용 지퍼를 따라 바디부 내측에는 바디부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된 확장부가 구비되어,
    상기 확장용 지퍼의 개방 시에 바디부의 어깨 또는 몸통이 상기 확장부에 의해 더욱 확장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어깨 측 단부에는 개폐용 지퍼가 더욱 구비되어, 내부의 스팀 배출을 위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 프레임부는 좌측 및 우측 어깨 프레임부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분리 구성되며,
    상기 바디부는,
    어깨와 몸통을 포함하는 사람의 상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깨 프레임부에 어깨가 걸리고 상기 수직 프레임부를 몸통이 감싸는 형태로 프레임부에 의해 지지되고, 하단부가 상기 스팀 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몸통의 전면부를 좌우로 분할하는 제1 지퍼와, 상기 몸통의 후면부를 좌우로 분할하는 제2 지퍼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지퍼와 제2 지퍼의 지퍼 결합 상태에 따라 몸통이 일체를 이루는 상체 다림용 상태와, 몸통이 좌측 및 우측 몸통으로 분할된 하체 다림용 상태로 변형 구성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 다림질을 위해 긴팔 상의 또는 하의가 착용된 경우, 상기 긴팔 상의의 손목 측 단부 또는 하의의 발목 측 단부를 밀폐하기 위한 밀폐 수단을 더욱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림질 장치.
KR1020140170289A 2014-12-02 2014-12-02 다림질 장치 KR201600662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89A KR20160066224A (ko) 2014-12-02 2014-12-02 다림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289A KR20160066224A (ko) 2014-12-02 2014-12-02 다림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224A true KR20160066224A (ko) 2016-06-10

Family

ID=5619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289A KR20160066224A (ko) 2014-12-02 2014-12-02 다림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62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98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6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801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800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7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5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48B1 (ko) 2006-04-24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건조 겸용 다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6848B1 (ko) 2006-04-24 2007-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건조 겸용 다림 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798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6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801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800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7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WO2018124795A1 (ko) 2016-12-30 2018-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16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18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21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17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20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KR20180078919A (ko) 2016-12-30 2018-07-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시스템 다리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6224A (ko) 다림질 장치
CN108315986B (zh) 一种自动控制快速干衣机及控制方法
US5555648A (en) Portable device for dry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CN107761341B (zh) 一种干衣机
US22842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inishing garments
JP6545543B2 (ja)
WO2018033001A1 (zh) 一种快速干衣装置
CN108755056B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服装加工用熨烫装置
EP3358070B1 (en) Portable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ing method thereof
WO2018130039A1 (zh) 一种便于收纳的快速干衣机
KR101566835B1 (ko) 다림질 장치
CN104313856B (zh) 商用型快速立体无痕烫衣机及其烫衣方法
CN204282086U (zh) 家用型快速立体无痕烫衣机
KR101748416B1 (ko) 스탠드형 다림질 장치
KR20160040074A (ko) 다림질 장치
CN106917241A (zh) 蒸汽式便捷衣物局部清洗装置
CN205874809U (zh) 充气式水雾气囊袖口熨烫装置
KR20180052223A (ko) 마네퀸 타입의 다기능 의류 케어장치
KR20140016096A (ko) 셔츠 건조장치
CN206408428U (zh) 易清洗型蒸汽发生器及具有该易清洗型蒸汽发生器的电熨斗
CN107142699A (zh) 便携式衣物烘干装置
JP2007029330A (ja) 衣服仕上げ機
CN207552761U (zh) 一种安全高效的服装挂烫机
CN207509585U (zh) 一种pu发泡设备
CN207812566U (zh) 一种洗手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30

Effective date: 2016072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301001052; JUDGMENT (SUPREME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502

Effective date: 2017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