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4769A -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4769A
KR20140014769A KR1020120081664A KR20120081664A KR20140014769A KR 20140014769 A KR20140014769 A KR 20140014769A KR 1020120081664 A KR1020120081664 A KR 1020120081664A KR 20120081664 A KR20120081664 A KR 20120081664A KR 20140014769 A KR20140014769 A KR 20140014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erver
transaction number
user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602B1 (ko
Inventor
박영철
김형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08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02B1/ko
Publication of KR20140014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4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지급결제 서버는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포스 단말로 제공하는 포스 관리부,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되, 사용자 단말은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한다.

Description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service}
본 발명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을 이용한 전자 상거래는 물품 또는 서비스의 거래 과정에서 데이터 전송을 통한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에서 구매자가 특정 물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및 거래를 희망할 경우 그에 대한 대금은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인터넷에서 구매자의 대금 지불 방법은 신용카드를 이용하거나 판매자의 은행 계좌로 대금을 이체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인터넷 등의 온라인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결제를 할 경우에는 신용카드의 카드번호 및 비밀번호를 웹페이지에 직접 입력하기 때문에 카드정보나 개인정보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계좌이체를 이용하여 결제를 하는 방법은 판매자의 웹페이지에서의 쇼핑 이외에 별도의 인터넷 뱅킹을 이용하거나 직접 은행을 이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결제 방법으로 휴대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전자 결제를 수행하는 구매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휴대폰을 이용한 전자 결제를 하는 것은 신용카드를 소지하지 않고 있거나, 카드 번호를 외울 필요가 없이 전자 결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계좌이체 등을 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전자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는 휴대폰 번호에 카드 번호를 사전 등록하고, 휴대폰 번호를 매장 사이트에 등록해야 하며, 이에 따른 별도의 인증숭인절차의 필요로 결제 솔루션 및 보안 솔루션을 각각 개발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휴대폰을 이용한 비용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특허문헌이 있으며, 신용카드 단말기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를 탑재하지 않고 휴대폰을 이용하여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 구입한 상품에 대한 비용을 결제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KR 2010-0026609 A 2010. 03. 10
본 발명은 모바일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급결제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급결제 서버는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는 포스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및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과 연동하는 지급결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는 등록부,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의 성공에 따라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거래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며,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제 서비스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시스템은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 및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거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지급결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지급 결제 서버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은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포스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한 거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및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과 연동하는 지급결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제 서비스 방법은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는 단계,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의 성공에 따라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며,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만으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인증만으로 결제함으로써, 별도의 결제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가 필요 없어 모든 이동통신단말에 적용가능하고, 상점 내의 결제 단말의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변경이 불필요하고, 고객 단말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져 결제 정보가 안전하게 저장될 수 있다.
도 1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도 2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지급결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결제 서비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 지급결제 서버(20), 포스(POS) 단말(30) 및 금융 서버(4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은 발생한 거래에 대한 결제를 위하여,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하여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고, 발급받은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말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인터넷을 통해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지급결제 서버(20)로의 접속은 지급결제 서버(20)의 주소 정보(예를 들어, 지급결제URL)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10)은 포스 단말(30)에 의하여 생성된 거래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거래 번호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며,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한다.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며, 인증 성공에 따라 사용자의 거래에 대한 결제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지급결제 서버(20)는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이동통신사의 서버일 수 있으며, 공인 인증서 등록 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의 공인 인증서 발급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은행의 계좌, 휴대폰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신용카드회사명, 신용카드번호, 유효기간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용카드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은행의 계좌인 경우, 은행명, 계좌번호 등을 포함하는 은행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휴대폰 결제인 경우, 통신사명,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휴대폰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하여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결제 수단 식별자는 신용카드회사명이 될 수 있으며, 동일한 신용카드회사명을 가진 신용카드가 다수 존재하는 경우, 숫자, 알파벳 등을 이용하여 구분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제 수단이 은행의 계좌인 경우, 결제 수단 식별자는 은행명이 될 수 있고, 결제 수단이 휴대폰 결제인 경우, 결제 수단 식별자는 통신사명이 될 수 있다. 즉,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하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카드회사명, 은행명, 통신사명 등과 같은 결제 수단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사설 인증서를 발급한다. 즉,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설 인증서 발급을 통해 포스 단말(30)을 등록하며,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포스 단말(20)의 인증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포스 단말(20)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제공한다.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은 거래 발생 시, 포스 단말(30)이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번호 생성에 이용되며, 생성된 거래 번호는 포스 단말(30) 또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거래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의 거래를 인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 번호는 포스 단말(30)의 아이디, 지역명, 주소 정보, 패스워드, 날짜, 일련번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이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한 거래 번호를 사용자 단말(10)을 통해 전달받으면,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거래 번호를 판독하여 해당 포스 단말(30)의 거래 번호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포스 단말(30)은 매장 내에서 결제를 처리하는 단말로,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사설 인증서를 발급받아 지급결제 서버(20)에 등록되며, 주기적으로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지급결제 서버(20)와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포스 단말(30)은 매일 재부팅 시,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지급결제 서버(20)로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금융 서버(40)는 금융사의 서버로,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요청된 결제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금융 서버(40)는 신용카드사, 은행 등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S211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사설 인증서를 발급한다. 이를 통해, 포스 단말(30)은 지급결제 서버(20)에 등록될 수 있다.
S212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포스 단말(30)을 주기적으로 인증한다. 예를 들어, 지급결제 서버(20)는 매일 포스 단말(30)의 재부팅 시에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포스 단말(30)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S213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제공한다.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은 거래 번호가 포스 단말(30)의 정보와 해당 거래에 대한 일련번호 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S215 단계 및 S219 단계에서 후술할 거래 번호 생성 및 인증에 이용될 수 있다.
S214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 공인 인증서를 발급한다. 여기서, 지급결제 서버(20)는 공인 인증서 발급을 통해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결제 수단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 은행 정보, 휴대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214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전에 사용자 단말(10)이 지급결제 서버(20)로 결제 수단 정보의 등록을 요청하여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고,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나, 소비자와 가맹점 간에 거래 발생에 따라 결제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20)이 지급결제 서버(20)로 접속하는 S216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S215 단계에서, 포스 단말(30)은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제공받은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한다. 즉, S215 단계부터는 소비자가 가맹점에서 점원에게 거래를 요청함에 따라 수행되는 단계이다.
S216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지급결제 서버(20)로 접속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의 사용자는 거래 발생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지급결제 서버(20)의 주소(URL)를 이용하여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은 지급결제 서버(20)가 제공하는 지급결제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S217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과 지급결제 서버(20)는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S218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포드 단말(30)이 생성한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한다.
S219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제공한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한다.
S220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거래 번호 인증이 성공되면,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들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가 결제 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등록한 모든 결제 수단들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가 나타나게 웹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S221 단계에서, 사용자 단말(10)은 사용자의 결제 수단 선택에 따른 선택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한다.
S222 단계에서, 지급결제 서버(20)는 금융 서버(40)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금융 서버(40)로부터 결제 승인을 받아 결제를 완료한다.
이후, 금융 서버(40)는 승인 결과를 포스 단말(30)로 통보하며, 지급결제 서버(20)는 모바일 영수증을 사용자 단말(1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S220 및 S221 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결제 수단을 선택하여 결제 처리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의 우선순위 설정에 따라 결제 수단을 적용하여 결제 처리하거나, 사용자의 결제 수단 사용 이력(예를 들어, 선호도 산출)에 따라 우선 순위를 정하여 결제를 처리할 수도 있다.
도 3은 지급결제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지급결제 서버(20)는 통신부(21), 포스 관리부(22), 사용자 관리부(23), 결제 처리부(24) 및 저장부(25)를 포함한다.
통신부(21)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 포스 단말(30), 금융 서버(40) 등)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는 사용자 단말(10) 또는 포스 단말(30)로부터 인증서 발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발급된 인증서를 사용자 단말(10) 또는 포스 단말(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거래 번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로 결제수단 식별자를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는 결제 처리를 위한 결제 정보를 금융 서버(40)로 전송할 수 있다.
포스 관리부(22)는 포스 단말(30)로 사설 인증서를 발급한다. 즉, 포스 관리부(22)는 사설 인증서 발급을 통해 포스 단말(30)을 등록하며,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포스 단말(20)의 인증을 주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포스 단말(20)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지급결제 서버(20)는 포스 단말(30)로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제공한다.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은 거래 발생 시, 포스 단말(30)이 해당 거래에 대한 거래 번호 생성에 이용되며, 생성된 거래 번호는 포스 단말(30) 또는 해당 가맹점의 고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거래 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가맹점의 거래를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관리부(23)는 사용자 단말(10)로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여, 사용자 단말(1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관리부(23)는 사용자 단말(10)의 공인 인증서 발급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등록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제 수단은 신용카드, 은행의 계좌, 휴대폰 결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신용카드회사명, 신용카드번호, 유효기간정보 등을 포함하는 신용카드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은행의 계좌인 경우, 은행명, 계좌번호 등을 포함하는 은행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또한, 결제 수단 정보는 결제 수단이 휴대폰 결제인 경우, 통신사명,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휴대폰 정보가 포함 될 수 있다.
결제 처리부(24)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한다. 즉, 결제 처리부(24)는 결제를 위하여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10)과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한 후, 사용자 단말(10)로부터 거래 번호를 수신하면, 거래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한다. 이어, 결제 처리부(24)는 거래 번호 인증을 성공하면,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들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한다. 이어, 결제 처리부(24)는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수신하면,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40)로 결제를 요청함으로써, 결제가 처리된다. 예를 들어, 결제 처리부(24)는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결제 수단 정보를 제공하나, 사용자 단말(10)로 전송되는 결제 수단 정보는 신용카드회사명, 은행명, 통신사명 등과 같은 결제 수단 식별자가 될 수 있다.
저장부(25)는 사용자 단말(10)로 결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 또는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5)는 사용자 단말(10)의 공인 인증서 및 인증서 패스워드, 포스 단말(30)의 사설 인증서 및 인증서 패스워드, 거래번호 생성 규칙, 사용자 단말(10)의 결제 수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구성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중심으로 사용자 단말(10)의 구성을 설명하되, 도 5 및 도 6을 참조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은 통신부(11), 저장부(12), 등록부(13), 인증부(14), 거래 처리부(15), 출력부(16), 제어부(17) 및 입력부(18)를 포함한다. 도 4의 구성도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0)은 카메라부, 센서부, 인터페이스부, 송수화부 등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의 일반적인 구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등록부(13), 인증부(14) 및 거래 처리부(15)는 결제 서비스 방법의 구현을 위해 특별히 추가된 구성에 해당하는 바, 일반적인 구성들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등록부(13), 인증부(14) 및 거래 처리부(15)가 수행하는 기능 및 역할은 제어부(17)가 통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통신부(11)는 사용자 단말(1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11)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0)의 종류에 따라 통신부(11)는 무선 인터넷 모듈, NFC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는 지급결제 서버(20)로 공인 인증서 발급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발급된 공인 인증서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는 입력된 거래 번호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고,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결제수단 식별자를 수신하고, 지급결제 서버(20)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12)는 후술할 제어부(17)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의 공인 인증서, 거래 번호, 결제수단 식별자,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등록부(13)는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하여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고, 공인 인증서 발급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에 등록한다. 결제 수단 정보는 사용자의 신용카드 정보, 은행 정보, 휴대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사용자가 결제 서비스에 가입 시,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10)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 단말(10)은 공인 인증서 발급을 위하여 등록할 패스워드 입력 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어, 사용자 단말(10)은 공인 인증서 패스워드로 등록될 패스워드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으면, 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고,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결제 수단 등록을 위한 결제 수단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수단 정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결제 수단이 신용카드인 경우, 신용카드사 리스트가 될 수 있고, 결제 수단이 은행 계좌인 경우, 은행명 리스트가 될 수 있고, 결제 수단이 휴대폰 결제인 경우, 통신사 리스트가 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이 A카드라고 가정하면(즉, 사용자가 실제 소지한 신용카드 중에서 A카드 선택), 사용자 단말(10)은 A카드의 카드 번호, 유효기간 및 CVC 번호를 입력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고, 해당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지급결제 서버(20)는 사용자 단말(10)로부터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 공인 인증서 패스워드 등의 수신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고, 발급된 공인 인증서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은 결제 수단 등록 및 공인 인증서 발급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팝업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 단말(10)에서의 공인 인증서 발급 절차를 나타낸 도 5에 도시된 화면은 일례에 불과하며, 지급결제 서버(20)는 공인 인증서 발급에 대한 사용자 검증을 위하여, 예를 들어, SMS 메시지를 통한 인증 번호 전송 등과 같은 인증 요청이나 해당 사용자의 신상 정보 등의 추가 입력 요청을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인증부(14)는 사용자 단말(10)이 지급결제 서버(20)로의 접속에 따라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접속 인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인증부(14)는 지급결제 서버(20)로의 접속에 따른 결제 서비스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인증부(14)는 사용자 단말(10)에 저장된 공인 인증서를 선택하고, 해당 공인 인증서에 대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는 결제 서비스 웹페이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인증부(14)는 공인 인증서 패스워드를 입력받으면, 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여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접속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거래 처리부(15)는 포스 단말(30)이 생성한 거래 번호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한다.
즉, 거래 처리부(15)는 포스 단말(30)에 의하여 생성된 거래 번호가 입력되면, 거래 번호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하고, 지급결제 서버(20)의 거래 번호 인증에 따라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등록된 결제수단에 대한 결제수단 식별자를 수신하면, 결제수단 식별자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입력을 받는다. 이어, 거래 처리부(15)는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한다. 지급결제 서버(20)는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40)로 결제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금융 서버(40)는 해당 결제 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결제 처리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10)이 지급결제 서버(20)에 접속하여 공인 인증서를 이용한 접속 인증 후의 출력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은 거래 번호 입력 창을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거래 번호를 입력받고, 이를 지급결제 서버(2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제품 구매에 따라 점원에게 결제를 요청하고, 점원의 조작에 의하여 포스 단말(30)이 거래 번호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거래 번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10)에 입력될 수 있다. 이후, 지급결제 서버(20)는 해당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들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사용자 단말(1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10)은 지급결제 서버(20)로부터 수신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이 출력하는 결제 수단 식별자는 신용카드명, 은행명, 통신사명 등을 포함하는 결제 수단 리스트의 형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6)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며, 디스플레이 모듈, 음향 출력 모듈, 햅틱 모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용자 단말(1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은 공인 인증서 발급 화면, 결제수단 등록 화면, 거래번호 입력 화면, 결제수단 선택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8)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입력부(18)는 키 패드 입력 장치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8)는 결제 수단 정보, 공인 인증서 패스워드, 거래 번호, 결제수단 선택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7)는 사용자 단말(10)의 각 구성부(예를 들어, 통신부(11), 저장부(12), 등록부(13), 인증부(14), 거래 처리부(15), 출력부(16), 입력부(18))를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사용자 단말
20: 지급결제 서버
30: 포스(POS) 단말
40: 금융 서버

Claims (19)

  1.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는 포스 관리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는 사용자 관리부; 및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결제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관리부는 상기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고,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처리부는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수단을 선택받고,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관리부는 상기 포스 단말로 사설 인증서를 발급하여 상기 포스 단말을 등록하고, 상기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 단말을 주기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 번호는 상기 포스 단말의 아이디, 주소 정보, 패스워드, 날짜, 일련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급결제 서버의 URL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급결제 서버.
  7.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및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과 연동하는 지급결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는 등록부;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의 성공에 따라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 결제 서버로 전송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거래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며,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거래 처리부는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에 따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수단 식별자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수단 식별자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수단을 선택받고,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0.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 및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거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지급결제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시스템.
  11. 지급 결제 서버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포스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과 접속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로 발급한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
    상기 포스 단말이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한 거래 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등록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공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등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수단 식별자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수단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 단말로 사설 인증서를 발급하여 상기 포스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사설 인증서를 이용하여 상기 포스 단말을 주기적으로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생성되는 거래 번호는 상기 포스 단말의 아이디, 주소 정보, 패스워드, 날짜, 일련번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급결제 서버의 URL 주소를 이용하여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7. 결제를 처리하는 금융 서버 및 거래 번호 생성 규칙에 따라 거래 번호를 생성하는 포스(POS) 단말과 연동하는 지급결제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공인 인증서를 발급받는 단계;
    상기 지급결제 서버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인증의 성공에 따라 상기 거래 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지급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사용자가 선택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상기 포스 단말로 제공하며,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융 서버로 결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결제 수단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결제 서버는 상기 거래 번호 생성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거래 번호의 인증에 따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부터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수단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수단 식별자를 출력하여 사용자로부터 결제 수단을 선택받는 단계; 및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선택 정보를 상기 지급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제 서비스 방법.
KR1020120081664A 2012-07-26 2012-07-26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55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64A KR101554602B1 (ko) 2012-07-26 2012-07-26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664A KR101554602B1 (ko) 2012-07-26 2012-07-26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4769A true KR20140014769A (ko) 2014-02-06
KR101554602B1 KR101554602B1 (ko) 2015-09-21

Family

ID=5026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664A KR101554602B1 (ko) 2012-07-26 2012-07-26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02B1 (ko) 2015-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400117A1 (en) Unified identity verification
US1137981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management for supporting mobile payments
US11875317B2 (en) Electronic money transfer method and system for the same
US200400029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wireless access of computer-based services in an attributable manner
KR20140095745A (ko) 결제 지원 방법과 시스템
JP2004287593A (ja) 通信システム、決済管理装置および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779615B2 (ja) 多様な決済手段を用いるars認証ベースの決済システム及び決済方法
KR101195547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금융거래 중개 시스템
AU2014280844A1 (en) Secure data entry and display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20140089186A1 (en) Mobile payment service for small financial institutions
KR20120100283A (ko) 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JP2008152338A (ja) 携帯情報端末を利用したクレジットカード決済方法及びシステム
KR20110091265A (ko) 아이폰을 이용한 인터넷 결제방법
KR101554602B1 (ko) 결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12241885A (zh) 数字货币钱包的生成方法、数字货币支付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110029478A (ko) 자가 카드결제 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035751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결제 방법
KR101253254B1 (ko) 이동통신 번호와 연계된 매칭 아이디를 이용한 결제 방법
US11468429B1 (en) Payment method and system through generation of one-time payment-only number of real card linked with application
US20150310435A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cessing a user request us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user instruments to conduct a pecuniary communication
KR20240013487A (ko) 전자상품권을 이용한 상품 거래 시스템
KR20140066556A (ko) 휴대단말기에서 다양한 전자서명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방법
KR20200061449A (ko) 멀티 사용자 상호 인증에 의한 원격 결제 승인 시스템
KR20110042920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인증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115034A (ko) 인터넷을 통한 사용자 및 결제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