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923A -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 Google Patents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923A
KR20140013923A KR1020130079489A KR20130079489A KR20140013923A KR 20140013923 A KR20140013923 A KR 20140013923A KR 1020130079489 A KR1020130079489 A KR 1020130079489A KR 20130079489 A KR20130079489 A KR 20130079489A KR 20140013923 A KR20140013923 A KR 2014001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yarn
needle bed
kn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9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449913B1 (en
Inventor
마나부 유이
히데카즈 이즈미
무네오 기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1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9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capable of manufacturing a knitted fabric not showing holes at a connection site of on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art. While an outer stitch (0)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a knitting width direc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needle bed (FB), a first stitch (1) and a second stitch (2), which continue in a wale direction of the outer stitch (0) and an end stitch (B9) of one needle bed (BB), are knitted using a knitting yarn from one yarn supply port (YB). Also, a third stitch (3) and a fourth stitch (4), which continue in a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B9) of one needle bed (FB) are knitted using a knitting yarn from the other yarn supply port (YF). Here, at the time of knitting using the knitting yarn from the yarn supply port (YF), an extending yarn (8) extended from the other yarn supply port (YF) is allowed to cross over a crossing yarn (9). In addition, the knitting yarn from the yarn supply port (YB) is used to knit a fifth stitch (5) continuing in a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2), and miss-knitting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1).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0001]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0002]

본 발명은,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에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에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폭방향의 끝부에서 접합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knitting fabric which joins one 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knitted in one side needle bed (one side needle bed) and the other 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knitted in the other side needle bed (another side needle bed) .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에는, 니들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왕복이동하고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가 구비되어 있다. 각 급사구는, 니들베드의 대향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고, 따라서 각 급사구는 다른 급사구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횡편기를 사용하여 일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폭방향의 끝부에서 접합하여 통 모양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A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a front needle bed and a second needle bed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knitting yarns which reciproc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eedle bed and feed yarn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needle beds, And a feeding port of the feeder is provided. The feeding ports are arranged so as to be sh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of the needle beds, so that the feeding ports do not hinder the movement of the other feeding ports. A knitted tubular knitted fabric is knitted by joining the one 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knitted in one needle bed and the other side knitted shoulder knitted in the other side needle bed at the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by using the weft knitting machine.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서는, 뒤쪽 급사구(타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앞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에서 앞쪽 편성포부(일측 편성포부)를 편성하고, 앞쪽 급사구(일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뒤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에서 뒤쪽 편성포부(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양쪽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 끝부에 있어서 앞쪽 급사구로부터의 편사와 뒤쪽 급사구로부터의 편사가 엮이게 되어, 앞쪽 편성포부와 뒤쪽 편성포부가 접합된다.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 front knitted fabric portion (one knitted fabric portion) is knitted from a front needle bed (one side needle bed) by using a knitting yarn fed from a rear feeding hopper (the other feeding yarn feeder) Knitting yarn is knitted from the back needle bed (the other side needle bed) by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yarn feeder (knitting needles). By doing so, the knitting yarn from the front yarn feeding opening and the yarn feeding yarn from the rear yarn feeding opening are knitted at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portions of both knitted embossing parts, and the front knitted embossed portion and the rear knitted embossing portion are joined.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72746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72746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1의 기술은,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를 웨일방향으로 2단(二段)씩 편성할 때마다 양쪽 편성포부의 편사끼리를 1회 감음으로써 양쪽 편성포부를 접합하는 기술이다. 즉 양쪽 편성포부의 접합부에 있어서 양쪽 편성포부의 편사끼리가 단지 걸려서 연결만 되어 있는 것이므로, 당해 접합부에 있어서의 편사의 밀도가 각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편사의 밀도보다 작아지게 되어, 당해 접합부에 구멍이 비어 있기 쉽다. 또한 상기 접합부의 편사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편성포를 잡아당겼을 때에 접합부의 구멍이 눈에 띠기 쉽다.However, the technique of Patent Document 1 is a technique of joining both knitted fabric parts by winding the knitting yarn between the knitted fabric parts one time each time the one-sid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side knitted fabric part are knitted two by two in the wale direction . That is, since the knitting yarns of both knitted shoulder portions are only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joining portions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s, the density of the knitting yarn at the joining portions becomes smaller than the density of the knitting yarns at the knitting needles, It is easy to be empty. Further, since the density of the knitting yarn of the joining portion is low, the hole of the joining portion tends to be noticeable when the knitted fabric is pulled.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접합장소에 있어서 구멍이 눈에 띠지 않는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knitting fabric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which has no holes in the joining position of the on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ther knitting fabric part.

본 발명은, 적어도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 및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일측 급사구(一側 給絲口)와 타측 급사구(他側 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일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폭방향의 끝부에서 접합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접합을 하는 위치에서 편성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스티치를 외측 스티치(外側 stitch)로 하였을 때에, 다음의 공정α∼공정ε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a knitting needle of a needle bed which has at least one needle bed (one needle bed) and another needle bed (another needle bed)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 knitting machine having a knitting machine (one side feed yarn feeder) and another side feed yarn feeder (another side feed yarn feeder) and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the front and back needle beds, To a knitting method for knitting a knitted fabric in which a knitted fabric part knitted on one side needle bed and another knitted fabric part knitted on the other side needle bed are joined at the en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To? When the stitches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t the joining position are outer stitches.

[공정α] … 외측 스티치가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이면 그 외측 스티치를 타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 외측 스티치가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이면 그 외측 스티치를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한 채로 한다.[Process alpha] ... The outer stitch is transferred to the other needle bed if the outer stitch is a stitch of the one knitted shoulder, and the outer stitch is stuck to the other needle bed if the outer stitch is a stitch of the other knitted shoulder.

[공정β] … 일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외측 스티치와 일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의 웨일방향으로 각각 연속하는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를 편성하고,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의 사이에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를 걸치게 한다.[Process beta] ...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which are respectively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at the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n the outer stitch and the one side needle bed are knitted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ne feeding yarn, A cross-over yarn connecting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is provided between one needle bed and the other needle bed.

[공정γ] … 타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외측 스티치를 제외한 타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한다.[Process γ] ... The third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at the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n the other side needle bed excluding the outer stitch is knitted by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ther side yarn feeder.

[공정δ] … 타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제3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4스티치를 편성한다.[Process δ] ... A four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third stitch is knitted by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ther yarn feeder.

[공정ε] … 일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5스티치를 편성하고, 제1스티치에 대해서는 미스편성(miss編成)한다.[Process ε]. A fif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is knitted using a knitting yarn fed from one yarn feeding gear, and the first stitch is miss-knitted.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특정조건의 하에서 공정ζ 혹은 공정η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ζ or the process η is performed under a specific condition.

[공정ζ] … 공정γ에서, 타측 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가 교차사와 교차하였을 경우에, 공정δ를 하기 전에, 제1스티치를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교차사가 연장편사에 걸려서 되돌려진 상태로 한다.[Process ζ]… In step y, when the extended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other yarn feeder has crossed the cross yarn, the first stitch is transferred to the one needle bed before the step < RTI ID = 0.0 > 8, < / RTI &

[공정η] … 공정δ에서, 타측 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가 교차사와 교차하였을 경우에, 공정ε을 하기 전에, 제1스티치를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교차사가 상기 연장편사에 걸려서 되돌려진 상태로 한다.[Process η]. In step < RTI ID = 0.0 > delta, < / RTI > when the extended knitting yarns extending from the other feeding yarn intersect with the cross yarns, the first stitch is transferred to the one needle bed before the step epsilon, and the cross yarn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and returned.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편성폭방향 중에서, 외측 스티치로부터 편성포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들어가는 방향, 그 반대방향을 나가는 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이하에 나타내는 제1이동패턴을 따라 일측 급사구와 타측 급사구를 이동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I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 to the inside of the knitting fabric portion is entered and the direction from the outside stitch is out of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nd thus the one-side feeder and the other-side feeder are moved.

ㆍ공정β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on one side of the process?

ㆍ공정γ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 /

ㆍ공정δ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ing opening of the process?

ㆍ공정ε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dog on one side of the process?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편성폭방향 중에서, 외측 스티치로부터 편성포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들어가는 방향, 그 반대방향을 나가는 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이하에 나타내는 제2이동패턴을 따라 일측 급사구와 타측 급사구를 이동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 to the inner side of the knitting needles is entered and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es is out of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nd thus the one-side feeder and the other-side feeder are moved.

ㆍ공정β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on one side of the process?

ㆍ공정γ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 /

ㆍ공정δ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 port of process? Is the outgoing direction,

ㆍ공정ε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on one side of the process?

상기 제2이동패턴을 따르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다음의 공정β'와 공정γ'를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As one form of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movement pattern, there is a form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And?'.

[공정β'] … 공정β의 후이고 공정γ를 하기 전에, 제1스티치를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둠으로써, 공정γ에서 교차사에 연장편사가 교차하지 않도록 한다.[Process β '] ... By transferring the first stitch to the one needle bed after the step " b " and before the step " y ", the step y prevents the crossing yarn from crossing the cross yarn.

[공정γ'] … 공정γ의 후이고 공정δ를 하기 전에, 공정β'에서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둔 제1스티치를 타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둠으로써, 공정δ에서 상기 교차사에 상기 연장편사를 교차시킨다.
[Process γ '] ... After the step < RTI ID = 0.0 > y < / RTI > and before step < RTI ID = 0.0 > 6, < / RTI > the first stitch transferred to one needle bed in step beta 'is transferred to the other needle bed to cross the extruded yarn in step &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구멍이 눈에 띠기 어렵다. 이것은,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따름으로써,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도3, 도4의 루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합부에 있어서 일측 편성포부의 편사와 타측 편성포부의 편사가 특징적인 엮음 방법을 하므로, 당해 접합부에 있어서의 편사의 밀도가 종래보다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 그 특징적인 편사의 엮음 방법에 의하여 당해 접합부 근방에 있어서의 각 스티치의 간격이 막히게 되고, 또한 편성포를 잡아당겨도 그 간격이 벌어지기 어려운 것도, 접합부에 있어서의 구멍이 눈에 띠기 어려운 요인 중 하나이다.According to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icult for the holes in the joining portion of the one knitted fabric portion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to be noticeable. This is because, by following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loop diagrams of Figs. 3 and 4 of the later-described embodiments, the knitting yarn of the on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knitting yarn of the other knitting fabric part This is because the density of the knitting yarn at the joint portion become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Further, by the characteristic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yarn, the intervals of the respective stitches in the vicinity of the joining portion become clogged, and even if the knitted fabric is pulled out, the gap is unlikely to spread. Lt; / RTI >

상기 제1이동패턴 혹은 제2이동패턴을 따라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함으로써, 이들 이동패턴 이외의 이동패턴을 따르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편성포부의 편성과 접합을 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the first movement pattern or the second movement pattern, knitting and joining of the knitted fabric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than those following the movement patterns other than the movement pattern.

제2이동패턴에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할 때에, 공정β' 및 공정γ'를 더 함으로써 접합부에 있어서의 구멍을 더 눈에 띠기 어렵게 할 수 있다.
When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second movement pattern, it is possible to make the holes in the joining portion more difficult to see by adding the steps? 'And?'.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조끼(편성포)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3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편성된 우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고, (B)는 좌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편성된 좌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루프도이다.
도5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1, 2에 있어서의 접합 전의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고, (B)∼(D)는 상기(A)와는 다른 접합 전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vest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2 is a knitting process chart relat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ing fabric shown in Embodiment 1. Fig.
Fig. 3 (A) is a loop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stitches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knitted by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Embodiment 1, and Fig. 3 (B) And FIG.
Fig. 4 is a loop diagram showing an arrangement state of stitches in the left joining portion knitted using the knitting fabric knitting method shown in Embodiment 2. Fig.
5 (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one-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and the other-side knitted embossed portion before the joining in Embodiments 1 and 2, and (B) Fig.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적어도 2개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한 조끼(vest)의 편성예를 설명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으며, 편성되는 편성포도 조끼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 pair of needle beds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facing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at least two feeding ports are provided, and the front and rear needles An example of knitting a vest using a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beds will be described. Of course, the flat knitting machine to be used is not limited to the two-bed flat knitting machine, but may be, for example, a four-bed flat knitting machine, and is not limited to knitted veneer knitted.

<실시형태1>&Lt; Embodiment 1 >

도1에 나타내는 조끼(편성포)(10)는,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구비한다. 이 조끼(10)의 암홀(armhole)의 하단에서부터 상단에 걸친 부분은,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당해 부분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급사구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옷단에서부터 암홀의 하단까지의 부분을 1개의 급사구를 사용한 주회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고, 암홀의 하단에서부터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각각 2개의 급사구를 사용한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편성하였을 경우에, 편성방법의 차이점에 의하여 파선의 상측 부분과 하측 부분에서 스티치의 경사가 변화되어, 파선의 부분에 줄무늬가 생길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조끼(10)를 편성하는 경우에 앞쪽 몸통(10F)을 편성하는 급사구와, 뒤쪽 몸통(10B)을 편성하는 급사구를 나누어서 편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st 10 shown in Fig. 1 has a front body 10F and a rear body 10B. The front body 10F and the rear body 10B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from the lower end to the upper end of the armhole of the vest 10. It is necessary to use at least two feed ports in order to knit the concerned body . Here, the portion from the head to the lower end of the arm hole is knitted by the main knitting using one feed opening, and the front body 10F and the rear body 10B from the lower end of the arm hole are knitted into two knitting yarns The inclination of the stitches may chang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roken line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knitting method, resulting in the occurrence of streaks on the broken line portion.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knit a yarn feeder for knitting the front body 10F and a yarn feeder for knitting the rear body 10B when the vest 10 is knitted.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별개의 급사구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경우에 파선의 하측 부분 및 암홀의 상단보다 상측 부분에서는,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편성폭방향의 끝부에서 접합할 필요가 있다. 이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편성하면서, 양쪽 몸통(10F, 10B)을 접합할 때에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이용한다.When the front body 10F and the rear body 10B are knitted by using separate yarn feeders, the front body 10F and the rear body 10B are knitted at a knitting width It is necessary to join at the end of the direction.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joining the front and rear bodies 10F and 10B while joining the two bodies 10F and 10B.

도2는, 앞쪽 몸통(10F)과 뒤쪽 몸통(10B)을 편성하면서 양쪽 몸통(10F, 10B)을 접합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2에 있어서, 좌란(左欄)의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중란(中欄)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니들베드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중란에 있어서, 급사구(YB)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는 굵은 선으로, 급사구(YF)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는 가는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우란(右欄)의 『K』가 붙는 좌우방향의 화살표는 급사구(YB, YF)의 이동방향(즉 편성방향)을 나타내고, 상하방향의 화살표는 트랜스퍼의 방향을 나타낸다. 또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뒤쪽 니들베드(BB)의 측을 일측(一側), 앞쪽 니들베드(FB)의 측을 타측(他側)으로 하여 설명하지만, 앞쪽 니들베드(FB)의 측을 일측, 뒤쪽 니들베드(BB)의 측을 타측으로 하여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할 수도 있다.2 is a knitting process diagram of a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ront body 10F and the rear body 10B are knitted together and the two bodies 10F and 10B are joined together. 2, &quot; S + number &quot; in the left column (left column) indicates the number of the knitting process, and the middle column indicates the knitting state of the needle bed in each knitting process. The yarn fed from the yarn feeder YB is shown in thick lines and the yarn fed from the yarn feeder YF is shown as a thin line in the closed-loop. Further, arrows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tached with "K" in the right column (right column) indicate the moving direction (ie, knitting direction) of the feed ports YB and YF, and arrow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ide of the rear needle bed BB is referred to as one side and the side of the front needle bed FB is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And the knitting method of the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arried out with the side of the one side and the back needle bed BB as the other side.

도2의 S0에는, 타측 니들베드(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A, C, E, G, I, K, M, O)에 타측 편성포부(앞쪽 몸통)(10F)가 결합되고, 일측 니들베드(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B, D, F, H, J, L, N, P)에 타측 편성포부(뒤쪽 몸통)(10B)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또한 S0에서는, 일측 급사구(YB) 및 타측 편성포부(YF)는 각각 편성포부(10F, 10B)의 우측 및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The other side knitted fabric portion (front side body) 10F is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s A, C, E, G, I, K, M, and O of the other needle bed (front needle bed) FB (Back body) 10B are joined to the knitting needles B, D, F, H, J, L, N and P of one needle bed (rear needle bed) BB. In S0, the yarn feeder YB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YF are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s 10F and 10B, respectively.

이 S0의 상태로부터, 양쪽 편성포부(10B, 10F)의 편성폭방향의 우측 끝부와 좌측 끝부에서 양쪽 편성포부(10B, 10F)를 접합한다. 이 접합을 하기 전에, 편성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외측 스티치(0)를 규정한다. 우측접합부에서는,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P)에 결합되는 일측 편성포부(10B)의 스티치가 외측 스티치(0)이다. 한편 좌측접합부에서는,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A)에 결합되는 타측 편성포부(10F)의 스티치가 외측 스티치(0)이다. 또한 급사구(YB, YF)의 이동방향(즉 편성방향)에 대하여, 외측 스티치(0)로부터 편성포부(10B, 10F)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들어가는 방향』, 그 반대방향을 『나가는 방향』이라고 규정한다(이하 참조).The knitted fabric portions 10B and 10F are joined at the right end portion and the left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knitted fabric portions 10B and 10F from the state of S0. Before this joining, the outermost stitch (0)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s defined.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the stitch of the one-side knitted fabric portion 10B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P of the one needle bed BB is the outer stitch (0). On the other hand, in the left joining portion, the stitch of the other knitted fabric portion 10F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other needle bed FB is the outer stitch (0).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moving direction (i.e., knitting direction) of the yarn feeding ports YB and YF,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 0 toward the inside of the knitting fabric portions 10B and 10F is referred to as &quot; "(See below).

ㆍ우측접합부 … 좌측방향 = 들어가는 방향, 우측방향 = 나오는 방향ㆍ Right joint ... Left direction = Entering direction, Right direction = Outgoing direction

ㆍ좌측접합부 … 우측방향 = 들어가는 방향, 좌측방향 = 나오는 방향ㆍ Left joint ... Right direction = Entering direction, Left direction = Outgoing direction

S1에서는, 우선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P)에 결합되는 우측접합부의 외측 스티치(0)를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P)으로 트랜스퍼 한다(우측접합부의 공정α). 이에 대하여 좌측접합부의 외측 스티치(0)는 원래 타측 니들베드(F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타측 니들베드(FB)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트랜스퍼는 하지 않는다(좌측접합부의 공정α).In S1, the outer stitch 0 of the right joining portion, which is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 P of one needle bed BB, is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 P of the other needle bed FB (step a of the right join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outer stitch (0) of the left joint is originally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FB), no transfer is made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FB) (step a of the left joint).

S1에서는, 또 일측 급사구(YB)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P), BB의 편침(N, L, J, H, F, D, B) 및 FB의 편침(A)에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우측접합부에서는, 외측 스티치(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1스티치(1)가 편성되고 또한 일측 니들베드(BB)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B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2스티치(2)가 편성된다. 그리고 이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의 편성에 의하여, 일측 니들베드(BB)와 타측 니들베드(FB)의 사이에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9)가 걸친 상태가 된다(우측접합부의 공정β). 마찬가지로 좌측접합부에서는, 외측 스티치(0)와 단부 스티치(B9)의 웨일방향으로 각각 연속하는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가 편성되고, 양쪽 스티치(1, 2)를 연결하는 교차사(9)가 일측 니들베드(BB)와 타측 니들베드(FB)의 사이에 걸친 상태가 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β). 또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P, A)에 편성된 제1스티치(1, 1)는 모두, 조끼(1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백스티치(back stitch)가 된다.The yarn feeder YB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so that the knitting needles P, N, L, J, H, F, D and B of the knitting needles P and BB of the FB, Knit stitches. By this knitting, the first stitch 1 is knitted continuously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uter stitch 0 and the end stitch at the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one needle bed BB is knitted. The second stitches 2 are knitted continuously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knitted fabric B9.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re knitted between one needle bed BB and the other needle bed FB by the knitting of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The cross-over yarn 9 to be connected is put in a state (process β of the right joint). Similarly,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which are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outer stitch 0 and the end stitch B9, are knitted at the left joint, and the stitches 1, The cross yarn 9 is placed between one needle bed BB and the other needle bed FB (step? Of the left joint part). The first stitches 1 and 1 knitted on the knitting needles P and A of the other needle bed FB all become a back stitch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of the vest 10. [

S2에서는,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A)에 의하여 편성한 제1스티치(1)를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A)으로 트랜스퍼 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β'). 이 트랜스퍼는, 다음의 S3에서 타측 급사구(YF)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킬 때에, 좌측접합부에 있어서 타측 급사구(YF)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8)가 교차사(9)와 교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다.In S2, the first stitch 1 knitted by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other needle bed FB is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needle bed BB at one side (process β 'of the left joining portion). This transfer is performed so that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extending from the other yarn feeding port YF in the left joining portion does not intersect with the cross yarn 9 when the other feeding yarn YF is moved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next step S3 To do.

S3에서는, 타측 급사구(YF)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FB의 편침(C, E, G, I, K, M, O)에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좌측접합부에서는, 타측 니들베드(FB)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F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제3스티치(3)가 편성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γ). 한편 우측접합부에서는, 단부 스티치(F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3)가 편성된다(우측접합부의 공정γ). 이 S3이 종료한 시점에서, 우측접합부에 있어서,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연결하는 교차사(9)와, 타측 급사구(YF)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8)가 교차한다.E, G, I, K, M, and O of the FB by moving the other yarn feeder YF in the rightward direction. Due to this knitting, the third stitches 3 are knitted continuously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F9 at the knitting widthwise end portion of the other needle bed FB at the left joining portion (step? Of the left joining portion). On the other hand, at the right joining portion, the third stitches 3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end stitch F9 are knitted (step? Of the right joining portion). The intersecting yarn 9 connect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t the right joining portion and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extending from the other feeding opening YF, .

S4에서는, S2에 있어서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A)으로 트랜스퍼 하여 둔 제1스티치(1)를, 원래 결합되어 있었던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A)으로 트랜스퍼 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γ'). 또한 S4에서는,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P)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P)으로 트랜스퍼 한다. 그 결과 우측접합부에 있어서 교차사(9)가 연장편사(8)에 걸려서 되돌려진다(우측접합부의 공정ζ).In S4, the first stitch 1 transferred by the knitting needle A of one needle bed BB is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other needle bed FB which is originally engaged in S2 Of step &lt; RTI ID = 0.0 &gt; In S4, the first stitches 1 that ar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P of the other needle bed FB are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s P of one needle bed BB. As a result, the cross yarn 9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nd returned in the right side joining portion (process ζ of the right joining portion).

S5에서는, 타측 급사구(YF)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O, M, K, I, G, E, C)에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우측접합부에서는, 제3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4스티치(4)가 편성된다(우측접합부의 공정δ). 그 결과 우측접합부에 있어서, 교차사(9)와 연장편사(8)의 교차가 확정된다. 한편 좌측접합부에 있어서도, 제3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4스티치(4)가 편성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δ). 이 때에 타측 급사구(YF)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8)가 교차사(9)와 교차한다(연장편사(8)는 일측 급사구(YB)로부터 제1스티치(1)로 연장되는 편사와도 교차한다).In step S5, the other yarn feeding needle YF is moved in the leftward direction to knit stitches on the knitting needles O, M, K, I, G, E and C of the other needle bed FB. By this knitting, the fourth stitches 4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third stitches 3 are knitted (step δ of the right-side stitches) at the right stitches. As a result, the intersection of the cross yarn 9 and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is determined at the right side joint portion. On the other hand, also in the left joining portion, the fourth stitches 4 continuous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third stitches 3 are knitted (step δ in the left joining portion). At this time,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extending from the other yarn feeding opening YF intersects with the cross yarn 9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has a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one yarn feeding opening YB to the first stitch 1 ).

S6에서는, 타측 니들베드(FB)의 편침(A)에 결합되는 제1스티치(1)를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A)으로 트랜스퍼 한다. 그 결과 좌측접합부에 있어서, 교차사(9)가 연장편사(8)에 걸려서 되돌려진 상태가 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η).In step S6, the first stitches 1 that are coupled to the knitting needles A of the other needle bed FB are transferred to the knitting needles A of the one needle bed BB. As a result, in the left joining portion, the cross yarn 9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nd is returned (the process η of the left joining portion).

S7에서는, 일측 급사구(YB)를 우측으로 이동시켜서,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B, D, F, H, J, L, N)에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때에 좌측접합부에서는, 미스편성(miss編成)에 의하여 제1스티치(1)에는 어떠한 스티치도 편성되지 않지만,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는 제5스티치(5)가 편성된다(좌측접합부의 공정ε). 한편 우측접합부에서도 마찬가지로, 제2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5스티치(5)가 편성되지만, 제1스티치(1)에 대해서는 미스편성이 이루어져서, 제1스티치(1)에는 어떠한 스티치도 편성되지 않는다(우측접합부의 공정ε).D, F, H, J, L, and N of one needle bed (BB) by moving the one feeding opening (YB) to the right. At this time, no stitch is knitted on the first stitch 1 due to miss knitting on the left joining portion, but the fifth stitch 5 is knitted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2 Process of joint ε). On the other hand, the fifth stitches 5, which continue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es 2, are knitted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similarly, but the first stitches 1 are mis- (Process 竜 of the right joint).

상기 S1∼S7에 의하여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1사이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에서 S7에 있어서의 일측 니들베드(BB)의 편침(P)의 제1스티치(1) 및 편침(A)의 제1스티치(1)를 각각, 다음의 사이클에 있어서의 우측접합부의 외측 스티치(0) 및 좌측접합부의 외측 스티치(0)로 규정한다. 그리고 S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외측 스티치(0, 0)를 일측 니들베드(BB)로부터 타측 니들베드(FB)로 트랜스퍼 한다(양쪽 접합부의 2사이클째의 공정α). 계속하여 S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B의 편침(P), BB의 편침(N, L, J, H, F, D, B) 및 FB의 편침(A)에 스티치를 편성한다(양쪽 접합부의 2사이클째의 공정β).The one-cycle knit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S1 to S7. Here, the first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P of the needle bed BB on one side and the first stitch 1 of the knitting needle A of the knitting needle A on the one side needle bed S7 in the step S7, (0) and the outer stitch (0) of the left joining portion. Then, as shown in S8, these outer stitches (0, 0) are transferred from one needle bed BB to the other needle bed FB (step a in the second cycle of both joints). Next, as shown in S9, stitches are knitted on knitting needles P of FB, knitting needles N, L, J, H, F, D and B of BB and knitting needles A of FB The second step?).

여기에서 S9의 종료 시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와 편성상태를 보면, S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후에는, S2∼S9를 반복함으로써 일측 편성포부(10B)와 타측 편성포부(10F)를 편성하면서, 양쪽 편성포부(10B, 10F)를 편성폭방향의 양쪽 끝부에서 접합할 수 있다.Here, the arrangement and the knitting state of the stitch at the end of S9 are identical to those of S1. Hence, by repeating the steps S2 to S9, it is possible to join the knitted fabric portions 10B and 10F at both end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ile knitting the one-side knitted embroidered portion 10B and the other-side knitted embroidered portion 10F.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순서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The order of arrangement described above is summarized as follows.

우선 우측접합부에서는, 공정α(S1) → 공정β(S1) → 공정γ(S3) → 공정ζ(S4) → 공정δ(S5) → 공정ε(S7)의 순서로 편성이 이루어진다. 즉 S1(공정α, β)에서 교차사(9)가 형성되고, 도2의 S3(공정γ)에서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연결하는 교차사(9)에 연장편사(8)가 교차되고, S4(공정ζ)에서 교차사(9)가 연장편사(8)에 걸려서 되돌려지고, S5(공정δ)에서 교차사(9)와 연장편사(8)의 엮음이 확정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편성된 우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도3(A)의 루프도에 나타낸다. 또 도3에 나타내는 화살표는 스티치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급사구(YF, YB)의 이동방향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후술하는 도4도 동일하다).First, at the right joining portion, the knitt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rocess? (S1)? The process? (S1)? The process? (S3)? The process? (S4)? The process? (S5)? The process? (S7). That is, the cross yarn 9 is formed at S1 (steps? And?), And the cross yarn 9 connect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t step S3 in Fig. 2 The cross yarn 9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nd returned back in S4 (process ζ), and the knitting of the cross yarn 9 and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in S5 (process δ) . 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titches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knitted in this order i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3 (A). The arrows shown in Fig. 3 indicate the knitting sequence of the stitches, and do not necessarily coincide with the moving directions of the yarn feeding ports YF and YB (also described later in Fig. 4).

도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접합부에서는, 상기 편성순서를 따름으로써 제3스티치(3)와 제4스티치(4)를 연결하는 연장편사(8)가 제1스티치(1)의 주위에 감겨서 되돌려진 상태가 된다. 그 결과 우측접합부에 있어서의 편사의 밀도를 종래보다 높게 할 수 있어, 우측접합부에 큰 구멍이 비어 있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스티치(1)의 주위에 연장편사(8)가 감김으로써 편성포를 편성폭방향으로 잡아당기더라도 제1스티치(1) 주변의 스티치 간격이 벌어지기 어렵게 되어, 우측접합부에 구멍이 비어 있기 어렵다.3 (A), an extended knitting yarn 8 connecting the third stitch 3 and the fourth stitch 4 is formed around the first stitch 1 by following the knitting sequence at the right joining portion It is rolled back. As a result, the density of the knitting yarn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can be made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large joining portion to be hollowed out. Further, even if the knitted fabric is pulle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by winding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round the first stitch 1, the stitch interval around the first stitch 1 is hard to spread, It is difficult to.

또한 우측접합부에 있어서의 공정β의 일측 급사구(YB)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좌측방향), 공정γ의 타측 급사구(YF)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우측방향), 공정δ의 타측 급사구(YF)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좌측방향), 공정ε의 일측 급사구(YB)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우측방향)으로 되어 있다. 일측 급사구(YB)와 타측 급사구(YF)가 질서 정연하게 이동하여, 우측접합부를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YB on one side in the right joining portion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eed port YB on the left side joins in the left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 opening YF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eeding opening (left direction) enters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ing opening YB on one side of the process epsilon is the leaving direction (right direction). The one side feed opening YB and the other side feed opening YF move in an orderly manner and the right side joining portion can be knitted efficiently.

한편 좌측접합부에서는, 공정α(S1) → 공정β(S1) → 공정β'(S2)공정γ(S3) → 공정γ'(S4) → 공정δ(S5) → 공정η(S6) → 공정ε(S7)의 순서로 편성이 이루어진다. 즉 S1(공정α, β)에서 교차사(9)가 형성되고, S5(공정δ)에서 제1스티치(1)와 제2스티치(2)를 연결하는 교차사(9)에 연장편사(8)가 교차되고, S6(공정η)에서 교차사(9)가 연장편사(8)에 걸려서 되돌려지고, S7(공정ε)에서 교차사(9)와 연장편사(8)의 엮음이 확정된다. 이러한 순서에 따라 편성된 좌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도3(B)의 루프도에 나타낸다.On the other hand, in the left joining portion, the process? (S1)? The process? (S1)? The process? '(S2) process? (S3)? The process?' (S4)? The process? (S5)? The process? (S7). That is, the cross yarn 9 is formed at S1 (steps? And?) And the cross yarn 9 connect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second stitch 2 at S5 (step? The cross yarn 9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t step S6 and the knitting of the cross yarn 9 and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at step S7 is confirmed. The arrangement of the stitches in the left joining portion knitted in this order i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3 (B).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접합부에 있어서도, 제3스티치(3)와 제4스티치(4)를 연결하는 연장편사(8)가 제1스티치(1)의 주위에 감겨서 되돌려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좌측접합부에 있어서도 우측접합부와 같은 이유로 구멍이 비어 있기 어렵다.As shown in Fig. 3 (B), even in the left joint portion,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connecting the third stitch 3 and the fourth stitch 4 is wound around the first stitch 1 and returned . Therefore, even in the left joint portion, the hole is hard to be hollowed out for the same reason as the right joint portion.

또한 좌측접합부에서는, 공정β의 일측 급사구(YB)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좌측방향), 공정γ의 타측 급사구(YF)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우측방향), 공정δ의 타측 급사구(YF)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좌측방향), 공정ε의 일측 급사구(YB)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우측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측 급사구(YB)와 타측 급사구(YF)가 질서 정연하게 이동하여, 좌측접합부를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In the left joining por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ing opening YB on one side of the process? Is the outgoing direction (left direc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eeding opening YF on the other side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yarn YF is in the outgoing direction (leftwar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yarn feeder YB on one side of the process epsilon is the entering direction (rightward direction). Therefore, the one side feed opening YB and the other side feed opening YF are moved in an orderly manner, so that the left side joining portion can be knitted efficiently.

<실시형태2>&Lt; Embodiment 2 >

실시형태2에서는, 도2의 좌측접합부에 있어서의 S2의 트랜스퍼(공정β')와 S4의 트랜스퍼(공정γ')를 생략한 예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S1의 후에 S2를 하지 않고 S3을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S3이 종료한 시점에서, 좌측접합부에 있어서 교차사(9)에 연장편사(8)가 감긴 상태가 된다. 이후에는, 도2의 S4에 나타내는 우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제1스티치(1)의 트랜스퍼만을 한 후에, S5∼S9와 완전히 동일한 편성을 하면 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2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실시형태1에 비하여 편성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fer (process? ') Of S2 and the transfer (process?') Of S4 in the left joint of FIG. 2 are omitted. More specifically, S3 is performed without performing S2 after S1. By doing so, at the time when S3 ends,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is wound around the cross yarn 9 at the left joining portion. Thereafter, after the transfer of the first stitches 1 at the right joining portion shown in S4 of Fig. 2, it is only necessary to knit exactly the same knitting yarns as S5 to S9.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knitting process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상기 순서에 따라 편성된 좌측접합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도4의 루프도에 나타낸다. 이 루프도를 보면 명확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2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도, 제3스티치(3)와 제4스티치(4)를 연결하는 연장편사(8)가 제1스티치(1)의 주위에 감겨 있어, 이 부분에 있어서의 구멍이 눈에 띠기 어렵다.The arrangement state of the stitches in the left joining portion knitted in the above order is shown in the loop diagram of Fig. As clearly shown in this loop diagram, also in the method of knitting the knitted fabric of Embodiment 2,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connecting the third stitch 3 and the fourth stitch 4 is stitched on the first stitch 1 ), And the hole in this portion is hard to be seen.

여기에서 상기한 실시형태2의 좌측접합부보다 실시형태1의 좌측접합부쪽이 미려함이 좋다. 도4에 나타내는 실시형태2의 좌측접합부에서는, 제3스티치(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8)가 지면(紙面)의 전방측으로부터 속측으로 빠져서 제1편사(1)에 감겨서 제4스티치(4)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장편사(8)는 제1스티치(1)와 제5스티치(5)를 연결하는 부분에도 엮여 있고, 이 엮음에 의하여 실시형태2의 편성포를 잡아당겼을 때에 제1스티치(1)를 변형되게 하거나 비틀어지게 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하여 공정β'와 공정γ'를 하는 실시형태1의 좌측접합부에서는, 도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스티치(3)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8)가 지면 속측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빠져서 제1스티치(1)에 감겨서 제4스티치(4)에 연결되어 있지만, 이 연장편사(8)는 제1스티치(1)와 제5스티치(5)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엮여 있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형태1의 편성포를 잡아당겼을 때에, 도4의 좌측접합부만큼 제1스티치(1)의 모양이 무너지지 않는다. 다만 실시형태2의 편성방법에는, 실시형태1보다 편성공정을 줄인다는 메리트가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에서는 실시형태2의 편성방법은 유효하다. 예를 들면 굵은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원래 접합부의 구멍이 눈에 띠기 어렵기 때문에, 실시형태2의 편성방법에 의한 편성포의 생산성 향상을 우선시키면 좋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ft joint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is more beautiful than the left joint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left joint por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4,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extending from the third stitch 3 slips from the front side to the inner side of the paper surface and is wound around the first knitting yarn 1, (4).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is also woven in a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fifth stitch 5 and when the knitted fabric of the second embodiment is pulled by this weaving, It may be deformed or twisted. 3B, the extended knitting yarn 8 extending from the third stitch 3 is pulled out from the front side to the front side in the left joining portion of the embodiment 1 in which the steps? 'And?' 1 stitch 1 a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stitch 4 but the extended stitch yarn 8 is not woven in th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stitch 1 and the fifth stitch 5. Therefore, when the knitted fabric of Embodiment 1 is pulled, the shape of the first stitch 1 is not broken by the left joint portion in Fig. However,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has merit of reducing the knitting step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therefore, the knitting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effective in terms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knitted fabric. For example, in the case of using a coarse knitting yar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knitting fabric according to the knitt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is given priority because the hole of the original joint portion is hardly visible.

<기타><Others>

실시형태1, 2에서 접합을 시작하기 전의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면, 도5(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다. 이에 대하여 도5(B)∼도5(D)에 나타내는 스티치의 결합상태에서도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하여 전후의 편성포부를 편성하면서 접합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서는, 우선 편성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외측 스티치를 특정하고, 그 외측 스티치를 기준으로 각 공정을 실시한다. 도5(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1, 2에서는, 내부가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스티치를 외측 스티치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도5(B)∼도5(D)와 같은 초기배치의 경우에도, 내부가 흰색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스티치를 외측 스티치로 규정하고,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하면 된다. 또 일측 편성포부의 단부 스티치와 타측 편성포부의 단부 스티치의 위치가 편성폭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단부 스티치가 편성폭방향의 가장 외측이 되도록 니들베드의 래킹이나 트랜스퍼를 하면 좋다.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engagement state of the stitches before starting the bonding is schematically shown in the state shown in Fig. 5 (A). 5 (B) to 5 (D), it is possible to apply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ront and rear knitted fabric parts while knitt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outermost stitch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is specified, and each step is performed based on the outer stitch.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shown in Fig. 5 (A), a stitch indicated by a white arrow in the inside is used as an outer stitc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initial arrangement as shown in Figs. 5 (B) to 5 (D), the stitches indicated by the white arrows are defined as the outer stitches. When the end stitches of the one-side knitting needles and the end stitches of the other knitting needles are provide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the needle beds may be racked or transferred so that one of the end stitches is the outermost side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

이 이외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편성포부(10B, 10F)를 리브조직(rib組織) 등의 패턴조직으로 하여도 좋고, 편성포부(10B, 10F)를 인타샤 편성(intarsia 編成)하여도 상관없다. 중요한 것은, 양쪽 편성포부(10B, 10F)의 접합부의 편성에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이 적용되어 있으면, 그 이외의 부분은 어떻게 편성하여도 상관없다.
The knitting needles 10B and 10F in the above embodiment may be patterned such as a rib structure or the knitting needles 10B and 10F may be knitted intarsia . Importantly, if the method of knitting a knitted fabric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knitting of the joining portions of both knitted embroideries 10B and 10F, the other portions may be knitted.

10 : 편성포(조끼)
10B : 일측 편성포부(뒤쪽 몸통)
10F : 타측 편성포부(앞쪽 몸통)
BB : 일측 니들베드(뒤쪽 니들베드)
FB : 타측 니들베드(앞쪽 니들베드)
YB : 일측 급사구(뒤쪽 급사구)
YF : 타측 급사구(앞쪽 급사구)
0 : 외측 스티치
B9, B9 : 단부 스티치
1 : 제1스티치 2 : 제2스티치 3 : 제3스티치
4 : 제4스티치 5 : 제5스티치
8 : 연장편사 9 : 교차사
10: knitted fabric (vest)
10B: One-side knitting aspiration (rear body)
10F: other knitting aspiration (front body)
BB: One needle bed (rear needle bed)
FB: other needle bed (front needle bed)
YB: One side dashboard (rear dashboard)
YF: The other side dune (front side ditch)
0: Outside stitch
B9, B9: End stitch
1: first stitch 2: second stitch 3: third stitch
4: fourth stitch 5: fifth stitch
8: Extended knitting yarn 9: Cross yarn

Claims (4)

적어도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 및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일측 급사구(一側 給絲口)와 타측 급사구(他側 給絲口)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타측 편성포부를 편성폭방향의 끝부에서 접합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합을 하는 위치에서 편성폭방향의 가장 외측에 있는 스티치를 외측 스티치(外側 stitch)로 하였을 때에,
상기 외측 스티치가 상기 일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이면 그 외측 스티치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고, 상기 외측 스티치가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스티치이면 그 외측 스티치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한 채로 하는 공정α와,
상기 일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 스티치와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의 웨일방향으로 각각 연속하는 제1스티치와 제2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일측 니들베드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의 사이에 상기 제1스티치와 상기 제2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를 걸치게 하는 공정β와,
상기 타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 스티치를 제외한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 끝부의 단부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3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γ와,
상기 타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제3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4스티치를 편성하는 공정δ와,
상기 일측 급사구로부터 급사되는 편사를 사용하여, 상기 제2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5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제1스티치에 대해서는 미스편성(miss編成)하는 공정ε을
구비하고,
상기 공정γ에서, 상기 타측 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가 상기 교차사와 교차하였을 경우에, 상기 공정δ를 하기 전에,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상기 교차사가 상기 연장편사에 걸려서 되돌려진 상태로 하는 공정ζ을 하고,
상기 공정δ에서, 상기 타측 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연장편사가 상기 교차사와 교차하였을 경우에, 상기 공정ε을 하기 전에,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상기 교차사가 상기 연장편사에 걸려서 되돌려진 상태로 하는 공정η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One side needle bed), one side needle bed (another side needle bed) and at least one yarn feeder (one side yarn feeder) which feeds a knitting yarn to the knitting needles of the respective needle beds at least at a front- By using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yarn mouth and a second side yarn feeding opening and capable of transferring stitches between front and rear needle beds,
A knitting method of knitting a knitting fabric which knits one knitted fabric part knitted in the one needle bed and the other knitted fabric part knitted in the other needle bed at an end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When the stitches located at the outermost positions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t the position where the joining is performed are set as the outer stitches (outer stitches)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outer stitch to the other needle bed if the outer stitch is a stitch of the one knitted fabric part and the outer stitch of the outer stitch being coupled to the other needle bed if the outer stitch is a stitch of the other knitting part,
A first stitch and a second stitch which are respectively continuous in a wale direction of an end stitch at an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outer stitch and the one side needle bed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ne side feeding yarn, A step of forming a cross-over yarn between the one needle bed and the other needle bed to connect the first stitch and the second stitch,
A step of knitting a third stitch continuing in a wale direction of an end stitch at an end portion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of the other needle bed excluding the outer stitch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ther side feeding yarn,
A step 隆 of knitting a four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third stitch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ther side feed dog,
A step of knitting a fifth stitch continuing in the wale direction of the second stitch by using the knitting yarn fed from the one yarn feeding means and performing a miss knit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stitch,
Respectively,
In the step y, when the extended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other feeding yarn intersects with the cross yarn, the first stitch is transferred to the one needle bed before the step?, And the cross yarn is caught by the extended knitting yarn The process ζ for returning to the state is performed,
In the step &lt; RTI ID = 0.0 &gt; 隆, &lt; / RTI &gt; when the extended knitting yarn extending from the other yarn feeder crosses the cross yarn, the first stitch is transferred to the one needle bed before the step epsilon, And the step of bringing the knitted fabric into a restored state is performed.
제1항에 있어서,
편성폭방향 중에서, 상기 외측 스티치로부터 편성포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들어가는 방향, 그 반대방향을 나가는 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상기 공정β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
상기 공정γ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
상기 공정δ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
상기 공정ε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 toward the inside of the knitting fabric portion enter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on one side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ing opening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ing opening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dog at one side of the process epsilon is the outgoing direction
And the knitting yarn is knitted.
제1항에 있어서,
편성폭방향 중에서, 상기 외측 스티치로부터 편성포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을 들어가는 방향, 그 반대방향을 나가는 방향이라고 하였을 때에,
상기 공정β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
상기 공정γ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
상기 공정δ의 타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나가는 방향,
상기 공정ε의 일측 급사구의 이동방향은 들어가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knitting width direc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direction from the outer stitch toward the inside of the knitting fabric portion enter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port on one side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other feed port of the proces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eed dog on one side of the process epsilon is the direction
And the knitting yarn is knit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의 후이고 상기 공정γ를 하기 전에,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둠으로써, 상기 공정γ에서 상기 교차사에 상기 연장편사가 교차하지 않도록 하는 공정β'와,
상기 공정γ의 후이고 상기 공정δ를 하기 전에, 상기 공정β'에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둔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로 트랜스퍼 하여 둠으로써, 상기 공정δ에서 상기 교차사에 상기 연장편사를 교차시키는 공정γ'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The method of claim 3,
A process β 'for preventing the extended knitting yarn from crossing the cross yarn in the step γ by transferring the first stitch to the one side needle bed after the step β and before the step γ,
After transferring the first stitch transferred to the one needle bed in the step &lt; RTI ID = 0.0 &gt; β ', after the step & A step of crossing?
And knitting the knitted fabric.
KR1020130079489A 2012-07-25 2013-07-08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144991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65147 2012-07-25
JP2012165147A JP2014025159A (en) 2012-07-25 2012-07-25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923A true KR20140013923A (en) 2014-02-05
KR101449913B1 KR101449913B1 (en) 2014-10-13

Family

ID=4991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9489A KR101449913B1 (en) 2012-07-25 2013-07-08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4025159A (en)
KR (1) KR101449913B1 (en)
CN (1) CN103572479B (en)
DE (1) DE102013011639A1 (en)
IT (1) ITTO20130624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445A (en) * 2020-08-06 2022-02-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26554B2 (en) * 2015-12-25 2019-06-0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DE102018210887A1 (en) * 2017-07-06 2019-01-10 Shima Seiki Mfg., Ltd. Knitted knitwear and knitwear
CN114921898A (en) * 2022-05-24 2022-08-19 浙江启翔针织科技有限公司 Tuck-free color lump weaving tissue and connection method
CN114921897A (en) * 2022-05-24 2022-08-19 浙江启翔针织科技有限公司 Tuck-free color lump woven tissue and connection strengthen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0006A1 (en) * 1996-07-25 1998-01-29 Stoll & Co 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at knitted fabrics seamlessly connected to open or closed at the edges
JP3126315B2 (en) * 1996-10-29 2001-0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having 2 × 1 rubber knitting structure
TW491918B (en) * 2000-05-17 2002-06-21 Shima Seiki Mfg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
EP1300497B1 (en) * 2000-06-05 2010-06-30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s
TW548358B (en) * 2000-08-22 2003-08-21 Shima Seiki Mfg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JP3968017B2 (en) * 2001-02-02 2007-08-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for connecting tubular knitted fabrics and the knitted fabric
JP4344210B2 (en) * 2003-10-08 2009-10-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Method for knitting knitwear having raglan sleeves and knitwear having raglan sleeves
JP4374309B2 (en) * 2004-11-29 2009-12-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wear knitted by a flat knitting machine and its knitting method
KR101232703B1 (en) * 2005-04-12 2013-02-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WO2007029695A1 (en) * 2005-09-09 2007-03-1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knit wear with collar
WO2007099709A1 (en) * 2006-02-28 2007-09-07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EP2312028B1 (en) * 2008-06-05 2016-03-09 Shima Seiki Mfg., Ltd Partial knitting method and fabric
JP5330188B2 (en) * 2009-10-20 2013-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CN102859057B (en) * 2010-04-26 2014-05-1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Joining method of neighbor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knitted fabric
JP5753374B2 (en) * 2010-12-02 2015-07-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Join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445A (en) * 2020-08-06 2022-02-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25159A (en) 2014-02-06
DE102013011639A1 (en) 2014-01-30
CN103572479B (en) 2015-04-29
KR101449913B1 (en) 2014-10-13
ITTO20130624A1 (en) 2014-01-26
CN103572479A (en)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913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KR101523498B1 (en) Method for preventing unraveling of knitting yarn
JPWO2007099709A1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101329124B1 (en) Partial knitting method and fabric
KR20070087591A (en) Knitwear knitted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JP3967922B2 (en) Knitted fabric having a bifurcation and its knitting method
KR101347648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JP3888899B2 (en) Knitwear knitting method
WO2007099708A1 (en) Method of forming increase and knitted fabric where increases are formed inner side of knitting width direction end of knitted fabric
JP5479048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449504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KR101347652B1 (en) Join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5543927B2 (en) Knitting method and knitted fabric of a knitwear with a hook having a V-neck tip
CN102345197B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5514717B2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KR20210063957A (en) Knitting method for efficient neck line formation of knitwear
KR101356985B1 (en) Set-up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3673107B2 (en) Forming method
JP2010281010A (en) Method for knitting v-neck part of knitwear
CN115404587B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JP5372914B2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having double stitches and knitted fabric
KR102602203B1 (en)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JP3954326B2 (en) Bind-off method and bind-off knitted fabric
KR20230154246A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CN103243469A (en) Knitwe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