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3747A -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3747A
KR20140013747A KR1020120082096A KR20120082096A KR20140013747A KR 20140013747 A KR20140013747 A KR 20140013747A KR 1020120082096 A KR1020120082096 A KR 1020120082096A KR 20120082096 A KR20120082096 A KR 20120082096A KR 20140013747 A KR20140013747 A KR 20140013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riving
road
road surfa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율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2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3747A/ko
Priority to PCT/KR2013/006227 priority patent/WO2014017764A1/ko
Publication of KR20140013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7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91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information related to real-time traffic, weather, or environment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15Dynamic re-routing, e.g. recalculating the route when the user deviates from calculated route or after detecting real-time traffic data or accid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9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having a display in the form of a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다수의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실시간으로 변화되는 설정 경로 내의 도로 노면 정보를 ABS와 레인센서 등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로부터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노면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요하는 위험한 상태일 경우, 해당 지역을 경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 운전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guiding route of vehicl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주행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다수의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은 위성항법장치(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위성으로부터의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주행 거리 및 주행 속도, 도착 예정 시간 등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네비게이션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의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을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 외에도 주행 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교통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 또는 기상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이용하게 될 도로의 교통 정체 상태 등의 교통 정보 또는 주변 지역의 기상 정보 등을 제공받아 최단 주행 경로, 최단 주행 시간 등의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서버로부터 교통 정보 또는 기상 정보 등을 제공받아 주행 경로 및 이에 소요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더라도, 도로의 교통 정체 상황 또는 주변 지역의 기상 상황은 시시각각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 목적지까지 도달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이 상이한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많은 혼란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특허문헌: KR 10-0779466 B1, 2007년 11월 20일 등록 (명칭: 제동 시 노면상태 판단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차량 주행 안내 시 다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구비된 ABS 및 레인센서 등의 다수의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여 다른 차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시스템은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는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 정보 수집부,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 위치 확인부 및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항에 있어서, 도로 정보 수집부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된 빗물량 정보,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거나, 처음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입력부,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한 후,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방법은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 및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경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일정 시간 경과 후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가 감소되는 것이 비례하여 위험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사용자 단말장치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를 확인하여,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주행 안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안내 시 해당 주행 경로에 위치하는 다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에서의 도로 노면 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를 위한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시스템(100)은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및 통신망(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운행 중의 해당 도로의 노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 수집 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도로의 노면은 상태가 양호한 도로가 있는 반면에 비가 오거나 눈이 내림에 따른 결빙으로 미끄러운 노면, 주변 환경과 지역적인 영향 및 시간대에 따른 습기 및 결빙으로 미끄러운 노면, 공사로 인하여 포장이 벗겨진 비포장 노면 등 다양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로 노면이 양호하지 않을 경우, 타이어와 도로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정상적인 차량 제동 제어가 이뤄지지 않아 주변 차량과의 충돌 등 대형 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차량 주행 시 운전자의 의지와 다르게 차량이 운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행 안전 장치(Electronic Stability Program)와 같은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주행 안전 장치는 차량이 미끄러지려고 할 때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네 바퀴를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건조한 노면, 빗길, 자갈길, 눈길 등에서의 주행 안정성을 강화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네 바퀴에 장착되어 바퀴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이하, ABS라 함), 엔진에 장착되는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을 이용하여 각 바퀴로의 제동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스터 실린더의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 조향 휠에 장착되며 조향 휠의 각속도를 기초로 조향 의지를 판단할 수 있는 조향 휠 각속도 센서 등이 주행 안전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주행 안전 장치 외에도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들이 존재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윈드쉴드 클래스(Wind Shield Class)에 장착되고, 윈드쉴드 상의 빗물량 및 수분량 등의 정보를 감지하여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레인 센서(Rain Sensor), 와이퍼 작동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와이퍼 작동 센서, 차량 외부 온도를 측정하여 에어컨을 자동으로 동작하게 해주는 외기온도 센서 등이 그 예로 포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들, 즉 주행 안전 장치,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을 이용하여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다시 말해, 차량 운행 중 ABS가 동작하게 되면, 현재의 도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 더하여 외기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가 영하인 경우, 현재의 도로 노면은 미끄러운 결빙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현재 와이퍼가 강하게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비가 많이 내리고 있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동작 여부, 또는 장치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와 더불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는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실시간으로 수집되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들이 처음 동작을 개시하는 시점에 도로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거나, 일정 기간 또는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장치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기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지도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주행 경로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를 독립된 형태의 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와 사용자 단말장치(20)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차량 내 위치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차량 운행 중에 현재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차량 주행 시의 사용자에게 적합한 주행 경로를 안내할 수 있어야 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50) 내 존재하는 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차량의 원활한 주행을 위해 주행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차량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로, 특히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고,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추출한 후 위험도를 기초로 추출된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한 후 재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A, B, C 지역을 경유하여 목적지에 도착하는 주행 경로 및 이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한 상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다른 차량, 예컨대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B 지역에 대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의 3가지 도로 노면 정보 및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예컨대, B 지역)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위험 조건 정보는 원래의 도로 노면의 상태와 비교하여 볼 때 어느 정도의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해 가름할 수 있는 척도로, 예컨대, 도로 노면 정보별 기 설정된 임계값 또는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개수에 대한 조건 정보가 될 수 있다.
예컨대, B 지역에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가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영하 이하"이면, "위험도 상", "ABS 동작 유"이면, "위험도 중"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는 위험도 상에 해당하는 상태이다.
즉,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현재 B 지역이 ABS가 동작하고 있으므로, 현재 도로 노면이 미끄러운 상태이며, 와이퍼가 강하게 동작하고 있으므로, 많은 양의 비 또는 눈이 내리고 있는 상태이며, 외기 온도가 -5℃이므로, 도로가 결빙된 상태로 차량 주행에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에 해당하는 상태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 B 지역의 도로 노면이 위험한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B 지역을 통과하는 차량에게 제공하기 위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 정보를 확인하여,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사용자 단말장치(20)를 추출하게 된다.
이후,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가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출되면,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확인한 후, B 지역을 통과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위험도에 따라 조정하여 다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반면, 위험 조건 정보가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개수에 대한 조건 정보일 경우, B 지역에 대한 도로 노면 정보를 동시에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10개 이상이면 "위험도 상", 5개 ~ 10개 사이이면, "위험도 중"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차량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통신망(4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와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각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수신되는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지도 데이터와 맵핑하여 출력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장치(20)가 직접 주행 경로를 탐색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장치(20)가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또는 다수의 다른 차량에 구비된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되는 모든 도로의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가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에 대한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 예컨대, 위험도가 상 또는 중일 경우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로정보 수집장치(10)가 직접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모든 사용자 단말장치(20)로 도로 노면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와 주행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20)를 별도의 독립된 형태의 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도로정보 수집부(11), 제어부(12), 통신부(13) 및 차량 위치 확인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로정보 수집부(11)는 차량 운행 시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와 같이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하거나,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량 정보,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와 같이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도로정보 수집부(11)는 차량 운행 시 1분 또는 10분과 같은 일정 기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거나, 50cm, 1m와 같은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장치들이 처음 동작하는 시점에만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예컨대, ABS는 타이어와 도로 노면 사이의 마찰력이 일정 부분 이상으로 감소하는지를 모니터링하고, 마찰력이 일정 부분 이상으로 감소하게 되면, 바퀴의 제동력 제어에 개입하게 된다. 이러한 ABS가 개입되는 시점에만 이에 대한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제어부(12)는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면, 도로 노면 정보 및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2)가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기 이전에,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만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가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이고,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가 "ABS 동작 무, 와이퍼 동작 상태 중"일 경우에는 "위험도 중",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영하 이하"일 경우에는 "위험도 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도로 노면 정보와 위험 조건 정보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한 결과,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는 "위험도 상"에 해당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만 상기의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위험도를 판단하는 과정 없이 바로,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을 추출한 후 해당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조정하여 재전송할 수도 있다.
통신부(13)는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제어부(12)의 제어 하에 통신망(40)을 통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한다. 이때, 통신부(13)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차량 위치 확인부(14)는 도로정보 수집부(11)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는 시점의 차량 위치를 확인하여, 상술한 제어부(12)로 전송하는 것으로,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차량 위치 정보를 파악하거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셀 아이디(cell ID) 방식을 통해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20)는 단말 통신부(21), 단말 제어부(22), 단말 저장부(23), 단말 입력부(24), 단말 출력부(25) 및 사용자 위치 확인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단말 출력부(25)는 음원처리모듈(25a)과 표시모듈(25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통신부(21)는 통신망(40)을 통해 주행정보 제공장치(30)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통신부(21)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확인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주행정보 제공장치(30) 또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중 어느 하나의 장치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단말 제어부(22)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제어부(22)는 후술할 단말 입력부(24)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정보와 현재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제어부(22)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후술할 단말 저장부(23)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맵핑하여 출력하는 것을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 제어부(22)는 단말 저장부(24)에 지도 데이터 외에 주행 경로 탐색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더 저장하고 있을 경우, 직접 주행 경로를 탐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단말 제어부(22)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한 후 현재의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주행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단말 제어부(22)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주행 경로 정보를 전송하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단말 저장부(23)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발명의 단말 저장부(23)는 지도 데이터와 더불어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3)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사용자 단말장치(20)을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사용자 단말장치(2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지도 데이터, 사용자 식별 정보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저장부(23)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사용자 단말장치(2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목적지 정보를 단말 제어부(22)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단말 입력부(24)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 입력부(24)는 후술할 단말 출력부(25)의 표시모듈(25b)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입력부(24)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출력부(25)는 사용자 단말장치(2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이 수신되면, 단말 저장부(23)에 저장된 지도 데이터 상에 맵핑하여 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영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단말 출력부(25)는 음원처리모듈(25a) 및 표시모듈(2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음원처리모듈(25a)은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형식의 음원을 아날로그 형식으로 변환하여 스피커(SPK) 등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표시 모듈(25b)은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며, 이때의 표시 모듈(25b)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위치 확인부(26)는 현재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치로, GPS 방식 또는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한 셀 아이디(cell ID) 방식을 통해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서비스 통신부(31), 서비스 저장부(32) 및 서비스 제어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 판단 모듈(33a)과 주행 안내 모듈(33b)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통신부(31)는 통신망(40)을 통해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와 관련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서비스 저장부(32)는 주행 안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것으로, 특히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별로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부(33)는 특정 목적지까지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주행 정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33)는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주행 경로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도로 노면이 평상 시와 어느 정도 다른 상태인지에 대해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
예컨대, 도로 노면이 평상 시와 달리 매우 미끄러운 상황이면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상태이므로 "위험도 상"으로 판단하고, 어느 정도의 주의를 요하는 상태이면, "위험도 중"으로 판단하며, 평상 시와 별 차이가 없을 경우 "위험도 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도 분석 결과,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B 지역의 평상 시의 운행 속도가 60km이라면, "위험도 상" 상태에서는 30km로 감속 운행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어부(33)는 서비스 저장부(32)에 지역별 평상 시의 운행 속도 및 위험도에 대응한 적절한 안전 운행 속도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해당 지역을 경유하는 차량 운전자에게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위험도에 따라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차량 운전자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재전송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서비스 제어부(33)가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목적지 정보(예컨대 송파구 B 건물) 및 사용자 위치 정보(예컨대, 구로구 A 건물)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어부(33)는 "구로구 A 건물"에서 "송파구 B 건물" 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한다.
여기서 주행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은 주행 경로 탐색 시 도로 정체 상황에 대한 정보, 기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고려하여 주행 경로를 탐색할 수 있으나,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구로구 A 건물"에서 "송파구 B 건물" 까지의 A, B, C 지역을 통과하는 주행 경로가 설정되면, 서비스 제어부(33)는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고,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을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송신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전송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ABS 동작 유, 와이퍼 동작 상태 강, 외기 온도 -5℃"의 3가지 도로 노면 정보를 수신하고,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예컨대, B 지역)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위험도는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판단하게 되는 데,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는 하기의 <표 1>과 같이 설정될 수 있다.
지역 ABS 정보 와이퍼 작동 정보 외기 온도 위험도
B 지역 영하
- -
영상
상기의 <표 1>에 표시된 위험 조건 정보는 B 지역에 대응하여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로, 상기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는 상기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한 결과, "위험도 상"에 해당되게 된다.
현재, B 지역의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달리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 상태이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해당 지역을 경유하여 운행할 차량 운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서비스 제어부(33)는 해당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 해당 지역(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 운전자는 해당 차량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한 주행 경로를 기초로 확인이 가능하다.
상기의 예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가 A, B, C 지역을 경유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제어부(33)는 제1 차량(50a)을 B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차량 운전자로 추출하고,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기 전송한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33)는 위험도에 따라 차등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B 지역의 평상 시의 권장 안전 운행 속도가 60km이면, "위험도 상" 상태에서의 안전 운행 속도는 30km가 될 수 있다.
이후, 확인된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차등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위험 조건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관점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B 지역을 동시에 운행하고 있는 다수의 차량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비해, 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경우, 일정 시간 경과 후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한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가 감소하는 경우, 위험도를 단계적으로 낮출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어부(33)는 기 설정된 위험 조건 정보와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는 위험도 판단 모듈(33a), 주행 경로를 탐색하여 설정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는 주행 안내 모듈(33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다수의 다른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주행 안내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및 주행정보 제공장치(3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정보 제공장치에서의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101 단계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부터 사용자 위치 정보, 목적지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탐색한다. 주행 경로 탐색 시 각 도로별 교통 정체 상황 정보 등을 고려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후, 주행 경로가 설정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설정된 주행 경로에 대응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한다(S105).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107 단계에서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로 주행 경로,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한다.
이후,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제2 차량(50b)의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통해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해당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평상 시와 다른 상태일 경우, 제1 차량(50a)으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재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에서의 도로 노면 정보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흐름도 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S201 단계에서 차량 내 구비된 다양한 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의 제어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등을 통해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컨대,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ABS 장치를 통해 ABS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를 수집하거나,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와 같이 안정적인 차량 주행을 도모하기 위한 주행 안정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수집하여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빗물량 정보를 수집하거나,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것과 같이 기상 상황에 따라 차량에 대한 다양한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부터 측정된 정보를 도로 노면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이후, 도로정보 수집장치(10)는 S203 단계에서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 및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에서의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를 위한 도착 예정 시간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흐름도 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301 단계에서 도로정보 수집장치(10)로부터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수신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노면 상태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S303).
위험도는 다양한 관점에서 판단될 수 있는 데, 예컨대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해당 지역의 도로 노면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위험도 판단 결과, 해당 지역의 현재 도로 노면 상태가 운전자의 깊은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상" 또는 어느 정도의 주의를 요하는 "위험도 중"과 같이 해당 도로 노면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지역을 경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 운전자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로 노면 상태에 따라 적합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여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S305),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10)를 추출한 후(S307), 추출된 사용자 단말장치(10)의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조정하여(S309), 사용자 단말장치(10)로 전송하게 된다(S30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따르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경우, 해당 도로 노면 상태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 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제1 차량(50a)는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주행 안내를 요청한 차량이며, 제2 차량(50b)은 차량 운행 중에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차량(50a) 및 제2 차량(50b)의 기능 및 동작 방법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량(50a)은 차량 내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 차량(50b)은 차량 내 도로정보 수집장치(10)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차량 모두 도로정보 수집장치(10) 및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차량(50a)은 S401 단계에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03 단계에서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를 설정한다. 그리고,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05 단계에서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한 후, 제1 차량(10a)으로 주행 경로, 도착 예정 시간을 전송한다(S409).
이후, 제1 차량(50a)의 사용자 단말장치(20)를 통해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출력(S409)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를 기초로 차량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차량(50a)의 주행 경로 상의 도로를 먼저 운행하고 있는 제2 차량(50b)은 S411 단계에서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운행 중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2 차량(50b)은 S413 단계에서 수집된 도로 노면 정보를 제2 차량(50b)의 차량 위치 정보와 함께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도로 노면 정보는 일정 기간, 일정 구간 단위로 전송되거나, 처음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에만 주행정보 제공장치(3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5 단계에서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위험도는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판단하거나,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10)의 수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이후, 도로 노면 상태가 평상 시와 다른 위험한 상태로 판단되면,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7 단계에서 해당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은 차량, 예컨대 제1 차량(50a)을 추출하게 된다.
주행정보 제공장치(30)는 S419 단계에서 제1 차량(50a)으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기 위해, 위험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한 후(S421), 조정된 도착 예정 시간을 제1 차량(50a)으로 전송하게 된다(S423).
이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목적지 정보에 대응하여 주행 안내 시 해당 주행 경로에 위치하는 차량으로부터 수집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차량에 구비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차량 주행 중 현재의 도로 노면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 해당 도로를 운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차량을 추출하여 해당 차량으로 보다 정확한 도착 예정 시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행 안내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정보 수집장치(10), 사용자 단말장치(20), 주행정보 제공장치(3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주행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운행 시 다수의 다른 차량들로부터 수신되는 도로 노면 정보를 이용하여, 주행 경로에 대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네비게이션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도로정보 수집장치 11: 도로정보 수집부 12: 제어부
13: 통신부 14: 차량 위치 확인부 20: 사용자 단말장치
21: 단말 통신부 22: 단말 제어부 23: 단말 저장부
24: 단말 입력부 25: 단말 출력부 26: 사용자 위치 확인부
30: 주행정보 제공장치 31: 서비스 통신부 32: 서비스 저장부
33: 서비스 제어부 40: 통신망 100: 주행 안내 시스템

Claims (12)

  1.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현재 사용자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로부터 주행 경로 및 도착 예정 시간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안전 운행 속도 및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안내 시스템.
  2. 차량 운행 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도로 정보 수집부;
    상기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의 차량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차량 위치 확인부; 및
    상기 도로 정보 수집부를 통해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되면,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상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 수집부는
    휠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정보를 기초로 제동 시 바퀴의 잠김을 막는 안티 락 브레이크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의 동작 유무에 대한 정보, 마스터 실린더에 구비되는 압력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압력 정보, 조향 휠에 장착된 조향 휠 각속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각속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윈드쉴드(Wind Shield)에 장착되는 레인 센서를 통해 감지된 빗물량 정보, 와이퍼 작동 센서를 통해 검출되는 와이퍼 작동에 대한 정보, 외기 온도 센서를 통해 검출된 외기 온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정보 수집부는
    일정 기간, 일정 구간 단위로 도로 노면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거나, 처음 도로 노면 정보가 수집된 시점에만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
  5.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 받는 단말 입력부;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단말 통신부; 및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확인한 후,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 또는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 노면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장치.
  6. 적어도 하나의 도로정보 수집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목적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및 상기 주행 경로에 대응하는 도착 예정 시간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한 후, 상기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안전 운행 속도 및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전송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정보 제공장치.
  8.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로정보 수집장치로부터 도로 노면 정보 및 차량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기초로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위험도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안전 운행 속도 및 상기 안전 운행 속도를 기초로 기 전송된 도착 예정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안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도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도로 노면 정보별로 기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여 위험도를 판단하거나,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안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에 따라 위험도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도로 노면 정보를 제공하는 도로정보 수집장치의 수가 감소되는 것이 비례하여 위험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안내 방법.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정보 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기 전송된 주행 경로를 확인하여, 상기 차량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을 통과할 가능성이 있는 사용자 단말장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행 안내 방법.
  12.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주행 안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20082096A 2012-07-27 2012-07-27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01374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96A KR20140013747A (ko) 2012-07-27 2012-07-27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CT/KR2013/006227 WO2014017764A1 (ko) 2012-07-27 2013-07-11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096A KR20140013747A (ko) 2012-07-27 2012-07-27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1963A Division KR20180075457A (ko) 2018-06-22 2018-06-22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747A true KR20140013747A (ko) 2014-02-05

Family

ID=5026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096A KR20140013747A (ko) 2012-07-27 2012-07-27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374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40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데이터 분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20220030610A (ko) * 2020-09-03 2022-03-11 한국도로공사 화물차용 도로정보 및 교통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497A (ko) * 2020-09-16 2022-03-23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 생성 방법,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차량 운행 예상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640A (ko) * 2018-10-30 2020-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행 데이터 분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차량 시스템
KR20220030610A (ko) * 2020-09-03 2022-03-11 한국도로공사 화물차용 도로정보 및 교통안전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6497A (ko) * 2020-09-16 2022-03-23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 생성 방법,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차량 운행 예상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WO2022059983A1 (ko) * 2020-09-16 2022-03-24 포티투닷 주식회사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 생성 방법, 차량의 와이퍼 동작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교통 흐름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차량 운행 예상 소요 시간 산출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1312B1 (en) Providing a confidence-based road event message
EP30373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oad surface friction data for a response action
EP3244165B1 (en) Map based feedback loop for vehicle observations
CN107750375B (zh) 确定自主交通工具的拾取和目的地位置
US8855915B2 (en) Navigation system, navigation apparatus, method and server
US20210014643A1 (en)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5556245B (zh) 预测能量余量引导系统
US11057591B1 (en) Augmented reality display to preserve user privacy
JP5796740B2 (ja) 交通情報通知システム、交通情報通知プログラム及び交通情報通知方法
KR101539217B1 (ko) 차량 상태를 이용한 도로 환경 분석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11087617B2 (en) Vehicle crowd sensing system and method
US11928961B2 (en) Phantom traffic jam detection and avoidance
EP31446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navigation speed at intersections
CN113167592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程序
US20220097734A1 (en) Semantic identification of pickup locations
KR20140013747A (ko)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703366B2 (en) Inhibiting highway assist mode
CN111619577B (zh) 服务器、车辆控制系统
CN106468556A (zh) 一种行车信息共享、展示方法及装置
US9000950B2 (en) Managing vehicle detection
KR102402171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미끄럼 사고를 감지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60523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tate of visibility for a road object in real time
KR20180075457A (ko) 주행 안내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088322B2 (en) Traffic control device detection
KR20160088966A (ko) 이동수단 판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2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03

Effective date: 2020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