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2969A - 사운드 품질 개선을 위한 현악기용 부품 - Google Patents
사운드 품질 개선을 위한 현악기용 부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12969A KR20140012969A KR1020137019867A KR20137019867A KR20140012969A KR 20140012969 A KR20140012969 A KR 20140012969A KR 1020137019867 A KR1020137019867 A KR 1020137019867A KR 20137019867 A KR20137019867 A KR 20137019867A KR 20140012969 A KR20140012969 A KR 201400129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ck
- fibers
- wood
- instrument
- organ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2—Resonating means, horns or diaphragm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06—Necks; Fingerboards, e.g. fret board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12—Anchoring devices for strings, e.g. tail pieces or hitchpin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e.g. slide-bars
- G10D3/22—Material for manufactur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Treatment of the material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2—Bowed or rubbed string instruments, e.g. violins or hurdy-gurdies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00—General design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G10D1/04—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 G10D1/05—Plucked or strummed string instruments, e.g. harps or lyres with fret boards or fingerboards
- G10D1/08—Guit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합된 가벼운 재료들 및 구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핑거보드/ 넥, 테일 피스, 상하부 블록, 사운드 포스트 또는 사운드 페그, 베이스바 또는 사운드 바 및 상하부 새들 막대의 강성/탄성/ 진동/공명 전달 특성들을 보정을 통하여 현악기의 사운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보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핑거 보드, 넥(neck), 넥 힐(neck hill), 페그 박스(peg box), 스크롤, 상하 새들(saddle), 상하 블록, 테일 피스(tailpiece), 테일 피스 거트(tailpiece gut), 하부 페그, 사운드 포스트 또는 사운드 페그, 혼합 경량 재료 및 구성 성분(principles)을 이용한 베이스 바(bass bar) 또는 사운드 바(sound bar)의 강성/탄성, 진동/공명 전달 특성 및 무게 저감 보정을 통하여 현악기의 사운드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현의 보잉(bowing,활로 뜯음)을 통한(바이올린 및 비올라 다 감바 류(da gamba-family)) 또는 현을 뜯는(기타 및 루스(luth) 류) 악기 및 중국의 구쟁(Guzheng)류 악기 또는 인도의 사랑기(Sarangi-), 에스라지(Esraj) 및 딜바(Dilrba)류 악기와 같은 현을 이용한 악기의 음질의 개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자체로 하나의 제품으로 각각 사용될 수도 있지만, 여기에 열거된 종래의 다른 발명들과 함께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악기의 사운드는 다음의 경우에 개선될 수 있다.
1. 현의 진동이 현(핑거 보드의 강성과 탄성/상부 새들/넥(neck)/상하부 블록)의 강한 고정 위치에 따라 깨끗하고 밀도 높은 품질을 가지는 경우.
2. 현의 진동이 브릿지를 통한 직접적인 전달뿐만 아니라, 상부 새들, 핑거 보드, 넥 및 상부 블록을 통한 브릿지를 통하여, 그리고 테일 피스, 테일 거트, 하부 새들, 하부 페그 및 하부 블록에 의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몸체)로 잘 전달되는 경우.
3. 현의 진동이 이와 같은 가벼운 무게의 악기 요소들에 의하여 보다 진동이 덜 감폭(damping)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보정들은 전통적인 현악기를 제조하는 분야에서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또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새로운 재료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새로운 재료들 또는 재료 조합들을 적용시키기 위한 기술은 항공기, 보트, 파이프라인 및 다른 것들을 제조하는 분야에서, 즉 완전히 다른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지만, 아래에 설명될 악기 요소(부품)들은 악기 제조 목적으로는 과거에 전혀 사용되지 않았다.
현악기, 음향악 또는 전기악기의 기본 구성 부품들은 바이올린의 경우 도 1(a)에, 그리고 기타의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과 같다:
1) 현(줄) (도 3 및 도 4)
2) 넥(Neck, 목부)
3) 핑거보드(Fingerboard, 지판)
4) 페그(Pegs, 줄조르개)
5) 테일피스(Tailpiece, 꼬리 부속물)
6) 테일거트(Tailgut)
7) 하부 페그(Lower Peg)
8) 브릿지(Bridge)
9) 바디(몸체, 도 3 및 도 4)
10) 상부 새들(Upper Saddle)
11) 상부 블록
11') 하부 블록
13) 하부 새들(Lower Saddle)
14) 코너 블록(Corner block)
15) 리브(Ribs)
16) 사운드 포스트(Sound post)
17) 코너(Corner,모서리 부재)
18) 라이닝(Linings,내장재)
19) 공명 테이블(Resonance-Table)
20) 페그 박스(Peg box)
21) 페그 홀(Peg holes)
22) 스크롤(Scroll)
23) 넥 힐(Neck heel)
24) 등판(Back of instrument)
현(
strings
, 줄)(1)
현(1)은 줄을 뜯는 악기 또는 활을 이용하여 켜는 현의 보잉(bowing) 악기에서, 그리고 청각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증폭되는 현악기에서 진동을 발생시키는 요소들이다. 이와 같은 현들은 넥(neck,목부)에 부착되는 핑거 보드(3,지판) 또는 그와 일체화된 부분에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의 현들은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동물의 내장(intestines)(gut) 또는 내장 코어에 권선된 금속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오늘날에는 이들 현들을 거트 현이라 부른다. 현대의 현들은 거트, 인조물 또는 다양한 금속 또는 합금으로 권선된(감아진) 금속성 코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현들은 다수의 층으로 권선되며, 진동 감폭(damping)을 조절하기 위하여 특수한 보다 부드러운 재료 층들을 포함한다.
넥(
neck
)(2)
현의 장력을 지지하고 그리고 현을 뜯거나 현이 활에 의해 켜지게 될 때, 효율적인 현의 진동을 만들기 위하여, 현악기의 현들은 강하게 지지될 수 있는 위치를 필요로 한다. 장력의 상당 부분은 넥(2)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은 넥은 광의로는 넥(2), 넥 힐(23), 페그 박스(20), 스크롤(22) (여기서, 스크롤은 바이올린 류, 비올라 류 및 다 감바(da gamba) 류에 있어서 넥의 일부이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든 현악기들은 넥(2)을 필요로 하며, 현의 장력 및 악기를 연주할 때 발생하는 다른 장력에 의하여 적은 양이지만 뒤틀림이 발생한다. 넥(2)이 현(1)에 의하여 발생한 진동들의 일부를 악기의 공명 바디에 전달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유연성)을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이와 같은 넥(2)의 구조, 그와 같은 구성을 이루기 위하여 사용된 재료들, 공명 바디에 대한 조립 품질들은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악기의 공명 효율을 위하여 필수적인 요소들이다.
전통적인 넥(2)은 현의 장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목재, 즉 일반적으로 견목(hardwood,견고한 나무)으로 제조된다. 넥의 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근에 사용되고 있는 다른 재료들의 예로서, 기타(Guitar)류의 악기 구성의 경우에 유리 섬유, 합판, 강화 플라스틱 및 탄소 섬유 등이 있다. 악기가 상기와 같은 재료들을 보다 더 또는 보다 덜 포함하여 제조되는 경우에, 이러한 재료들은 바이올린 류의 악기 바디 넥(2)의 구성에 주로 이용된다.
넥 힐(23)의 반대편에 구성되는 페그 박스(20)는 넥과 동일한 목재로 만들어 진다. 이와 같은 페그 박스는 페그(4)가 필요로 하는 필수적인 공간(room)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일부 현악기들은 페그 박스(20)의 단부에 장식 요소들을 구비하기도 한다. 장식의 예로는,
-) 동물 또는 인간 머리의 조각 형상 상징물,
-) 나선 형상의 볼류트(volute)(22)를 포함한다.
뜯는 현악기의 넥은 보잉 악기(활로 켜는 악기)들과 비교하여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다른 방법으로 구성된다.
즉, 뜯는 악기들은;
넥(2)과 넥 힐(23)이 보통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두 개의 나무 조각으로 만들어지며, 넥(2)은 보잉(활로 켜는) 악기의 넥과 비교하여, 비례적으로 길이가 길며, 넥(2)이 보다 큰 크기로 인하여 최소한 6개의 현을 위한 공간을 형성할 정도로 넓으며, 그리고 뜯는 악기의 넥(2)은 보통 보잉 악기의 무게보다 더 무거운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보잉 악기들은;
넥(2) 및 넥 힐(23)은 보통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목재로 만들어지며, 넥(2)은 뜯는 악기의 넥들과 비교하여 비례적으로 짧으며, 바이올린 악기류의 넥(2)은 그와 비교하여 더 좁으며, 4개의 현을 위한 공간만 필요하다. (첼로와 더블 베이스는 5개의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핑거보드
(3)
목재 넥(2)은 편안한 자세로 연주하도록 그 크기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목재 넥(2) 자체는 큰 뒤틀림이 없이 현(1)의 장력을 지지할 정도로 강하지 않다.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핑거 보드(3)를 이용하여, 적층 구조로 만들어진다. 보잉 악기의 경우에 특히 그와 같은 구조로 만들어진다.
에보니(Ebony, 흑단) 또는 다른 단단한 목재가 목재 자체의 견고함, 우수한 외관, 접촉감 및 우수한 내마모성 등으로 인하여, 현대적 핑거 보드(3)를 제조하는데 바람직한 재료로 사용된다. 대개의 뜯는 현악기들은 베니어판(여기서, 베니어판이란 1 내지 10mm의 두께를 갖는 고형 목재를 뜻한다) 또는 핑거 보드(3)와 같은 에보니(흑단) 또는 견목의 고형(solid) 피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핑거 보드(3)들은 소위 프렛 밴드(fret(현악기의 상아) band)의 삽입부를 구비하고 있다.
페그
(4)
넥의 단부에는, 현들이 상부 새들(10) 상부를 걸쳐 페그 박스(20) 내로 연결되며, 그리고 페그(4)에 권선되어, 장력을 갖도록 연결된다. 오늘날, 현(1)들은 확인을 위하여 그리고 페그(4) 내로 삽입 시에 소정의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양 단부에 칼라 래핑(wrapping)을 보통 구비하고 있다. 페그 축(shaft)은 불필요한 액세서리가 제거되고(shaved), 표준(standard) 테이퍼를 갖는다. 그들의 각각 페그 박스 구멍(21)들은 동일한 테이퍼 각도로 리머로 구멍이 넓혀져 있으며(ream 처리), 이에 따라 연주자가 회전시킴에 따라, 페그(4)의 축을 따라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마찰이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페그(4)들은 보통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며, 다양한 금속을 이용한 기계 조율기(turners)들이 더블 베이스 및 뜯는 악기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다.
테일
피스
(5)
현들의 반대편 단부들은 테일 피스(5)(보잉 악기)에 고정되며, 그 자체로 테일 거트(6) 및 하부 페그(7)에 의하여 바디에 느슨하게 부착된다. 뜯는 악기에 있어서, 테일 피스(5)는 브릿지의 일부이며, 악기의 공명 테이블(19)에 접착된다.
테일 피스(5)는 목재,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현(1)의 장력을 기지할 정도도 강해야 한다.
테일
거트
(6)
테일 거트(6)는 테일 피스(5)를 하부 페그에 부착하고, 테일 피스, 하부 새들 및 하부 페그를 통하여 전달된 현의 진동을 악기의 공명 바디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부
페그
(7)
하부 페그(7)는 악기(하부 페그는 바이올린 류 악기의 일부이다)의 바디 내로 직접 삽입되는 유일한 페그이다. 그것의 진동/공명 전달의 품질은 중요하다. 하부 페그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며, 하부 블록 내로 연장된다.
브릿지
(8)
브릿지(8)는 현의 진동 길이의 하부 앵커 포인트를 형성하고, 현의 진동을 바로 악기의 공명 테이블(19)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같은 브릿지의 상부는 핑거보드로부터 소정의 거리에서 현들을 지지한다. 기계적인 음향 필터로서 작용하는 브릿지의 현 각도 및 굴곡(flex)의 분배는 보잉 악기의 사운드에 중요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것들은 현의 장력에 의하여 제위치에 고정되는 브릿지(8)를 가지며, 반면에 뜯는 악기들은 악기의 공명 테이블(19) 상에 접착된 브릿지(8)를 구비하며, 테일 피스(5)는 이와 같은 브릿지(8)의 일부에 속한다.
바디
(9)
3차원으로 구성되는 악기 바디(9)는 공명 테이블(19), 등판(24) 및 리브(rib) 구조(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효율적인 공명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정교하게 처리된다. 전기 또는 반(semi-) 전기 악기의 경우에 있어서, 현의 진동은 전자기 센서 또는 마이크로폰에 의하여 전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개선된다. 바디(9)는 전체로,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및 탄소 섬유 또는 이러한 재료들을 조합하며 제조되며,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상부는 피혁(hide) 또는 다른 막(membrane)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바디의 내부에는, 코너 블록(14), 상부 및 하부 블록(11 및 11' 및 라이닝(18)과 같은 요소들이 삽입된다. 이러한 요소들은 바디의 주요 부분들과 동일한 재료들로 전통적으로 만들어 지지만, 너도밤나무, 버드나무 및 포플러 나무가 종종 사용된다. 사운드 바레스(25)(sound-bares)(bass bares) 또는 사운드 페그(16)(사운드 포스트)와 같은 구조적인 요소들은 상기 바디 내에 끼워져, 현의 장력에 대한 저항력과 현악기의 공명 성능을 개선하게 된다. 이러한 내부 구성들은 거의 가문비나무로 만들어 진다.
상부 새들(10) 및 하부 새들(13)
일반적으로 핑거 보드(3)의 단부에서 페그 박스(20)에 분리된 별도 부재로서 위치하는 상부 새들(10)은 현들을 위치시키기 위한 홈들을 구비하며, 이와 같은 홈들은 브릿지(8)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부는 핑거 보드(3)로부터 적당한 거리, 바람직하게는 짧은 거리에서 현(1)들을 지지한다. 상부 새들(10)은 핑거보드(3) 및 넥(2)에 직접적으로 접촉을 하며, 그 현 진동 전달 성능은 중요한 한 요소이다. 활을 사용하는 현악기에 있어서, 하부 새들(13)은 홈이 형성되어 테일피스 거트(6)를 위치 고정시키며, 악기의 공명 바디에 직접적으로 접착되어 있으며, 그의 진동 전달 성능은 역시 중요한 한 요소이다. 그 구성을 위하여 공통으로 사용되는 재료들은 에보니(흑단) 또는 아이보리(상아)와 같은 견목이다.
상하부
블록, 코너 블록(11, 11' 14)
상부 블록(11), 하부 블록(11') 및 코너 블록(14)들은 전통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지며, 가문비나무, 버드나무 및 포플러 나무들이 종종 사용된다. 넥(2)은 넥 힐(23)을 상부 블록(11) 내로 삽입하는 방법으로 공명 바디에 부착된다. 상부 블록(11)의 형태, 구성, 크기, 밀도 및 위치는 핑거 보드(3) 및 넥(2)의 구조상의 강성 및 탄성에 중요한 요소들이며, 특히 본 발명의 설명에서, 현악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공명의 품질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보잉 악기에 있어서, 하부 블록(11')은 악기의 공명 바디의 반대쪽 측면에서 현의 장력을 지지하고 있으며, 코너 블록(14)은 리브 코너(17)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블록(11')은 하부 페그(7)의 공명 전달 작용을 수행한다.
줄을 뜯는 악기 및 활로 켜는 악기들은, 보다 많은 악보를 연주하기 위하여, 그리고 현의 진동 길이를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현악기가 보다 강한 사운드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악기의 연주 능력 개선을 위해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변화들은 장력이 악기 내에서 분산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때로는 원하지 않은 방법으로 분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예를 들면, 바이올린 류(바이올린, 비올라, 테너-비올라, 첼로 및 더블 베이스)의 활로 켜는 악기들은 다음과 같은 역사적인 변화들을 겪어 왔다.
■ 넥(2)의 변화 (도 1(a)의 바이올린을 도시하는 도 3 및 도 4를 참조).
바이올린 류에 속하는 악기의 넥은 일반적으로 예전(16세기 전반기부터 18세기 후반기까지)의 것들이 오늘날의 그것 보다는 짧다. 핑거보드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높은 음자리에서 우수한 연주 능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러한 넥들은 여러 가지 다른 방법으로 변형되어 왔다. 이러한 변화들은 18세기(1800년대) 들어서도 진행되었다.
1) 바이올린의 경우에 있어서, 넥(2)은 공명 테이블의 가장자리에서 측정 시, 상부 새들(10)과 바이올린 바디(9)로 삽입된 넥 사이에 약 130mm 길이의 새로운 표준 넥을 만들기 위하여, 약 6 내지 10mm 정도 신장된다. 더 길어진 현의 길이, 씨에이(ca) 415Hz로부터 오늘날 440Hz 이상의 피치 증가, 보다 무겁고, 보다 높은 장력을 갖는 현(1)으로의 진화 등의 특성에 의하여, 악기(또한 뜯는 악기)의 공명 바디(9)의 넥 힐(23) 및 상부 블록(11)들이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더 높은 장력에 기인하여 보다 쉽게 왜곡된다.
2) 약한 부위, 즉 넥의 힐(23) 부분은 힐(23)이 보다 높은 음자리에서 악기의 연주 성능을 개선하기 위하여 크기 및 재료가 더 줄어드는 경우, 더 약해진다.
3) 넥(2)의 두께는 또한 편안한 연주를 위하여 축소된다.
4) 마지막으로, 공명 바디(9) 내로의 넥 각도 삽입은 다른 형상의 핑거보드(지금은 상부에서 하부까지 균일하게 평행한 에지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변형된다(도3 및 도4를 비교). 넥 힐(23)은 새로운 방식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넥(2)은 테이블 에지부 위로 약 5mm(바이올린) 위에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넥 힐(23)이 더 약해진다.
■ 핑거보드의 변화(도 5와 도 6을 참조)
종래의 핑거보드(3)는 박형의 견목 베니어 코팅을 적층하는 방법으로 가벼운 목재,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플러, 버드나무 또는 가문비나무로 만들어 진다. 이와 같은 합성 핑거보드 구조는 핑거보드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으로 개발되었다. 핑거보드(3)는 현대의 것과 비교하여 다른 형상과 다른 크기를 갖는다 (도 3, 4, 5 및 6과 비교). 1800년경을 중심으로 핑거보드에 있어서 가장 큰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변화된 넥(2)의 길이 때문에, 핑거보드(3)가 보다 길어졌다. 그와 같은 길이는 보다 높은 음을 만들기 위하여 바디(9)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어 브릿지(8)에 더 가깝게 되도록 연장되었다.
2. 적층 형태의 핑거보드를 이용하는 대신에, 새로운 핑거보드(3)는 단일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으로 만들어졌으며, 에보니 목재가 바람직하게 사용되었다. 핑거보드(3)의 강성 및 무게는 증가되었다.
3. 가장 얇은 단면이 상부 새들(10)에 근접하고, 가장 두꺼운 단면이 넥 힐(23) 이상인 최초의 웨지 유형의 핑거보드는 그 상부에서 바닥의 방향으로 균일한 평행 에지부를 갖는 핑거보드(3)로 교체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핑거보드/넥 구조에서 발생되었으며, 종래 구조의 핑거보드/넥에서 발견될 수 있는 좀 더 정교한 탄성(유연성)과 비교하여, 길이 방향에서 보다 균질의 탄성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 상하부 블록(11, 11')에서의 진화적인 변화의 부족
상부 블록(11)은 넥 힐(23)을 지지하며, 현에 의하여 발생된 진동을 상부 새들/핑거보드/넥 구조로부터 악기의 공명 바디로 전달한다. 현악기의 진화 과정에서 상부 블록(11)에 대한 변화는 없었다. 공명 바디(9)의 정교하게 작업된 균형을 방해하지 않고, 상부 블록(11)을 확장시키기 위한 공간이 내부에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목재 이외에는 다른 대체 재료 또는 재료 조합이 존재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하부 블록(1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현재의 현(1)에 의하여 만들어진 보다 강한 장력은 구조적인 또는 재료적인 면에서의 변화에 의하여 뒷받침되지 못한 면이 있다. 과거에는, 다른 대안적인 방법 또는 재료 조합에 의한 방법이 불가능하였다.
■ 테일 피스(5) 및 테일 거트(6)에서의 진화적인 변화 부족
테일 피스(5) 및 테일 거트(6)는 현(1)에 의하여 발생한 장력을 견디기 위하여 디자인된다.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한 가능성은 이차적인 문제점이 될 수 있다. 가볍고 강한 테일 피스(5)는 공명 바디(9)로 진동을 보다 잘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테일 피스(5), 테일 거트(6) 및 하부 페그(7)가 이와 같은 과정에 관여되어 있다는 사실이 무시되어 왔다.
■ 하부 페그(7)에서의 진화적인 변화 부족
진동의 전달을 위한 하부 페그(7)의 중요한 역할은 활로 켜는 현악기의 개발에 있어서 가시적이지 않다. 그 기능은 종래의 하부 페그(7)보다 더 우수한 조정 가능성을 통하여 개선될 수 있다.
■ 보잉 현악기의 핑거 보드(3) 및 넥(2)의 구성에 있어 진화에 기인한 좋지 않은 변화들의 요약 :
1) 핑거 보드(3)의 구성을 위하여 사용된 보다 무거운 재료들 때문에 더 무거워진 악기
2) 더 높은 현 장력 및 그 결과와 비교하여, 조합된 핑거 보드/넥의 낮은 강성. 길이가 길어지며, 박형의 넥(2), 짧아진 넥 힐(23) 및 그 변경된 위치에 의하여, 핑거 보드/넥 구조는 높은 장력을 가진 현들에 의하여 만들어진 왜곡에 더 취약하게 된다.
3) 한 개의 피스(Piece)로 만들어진 견목(견고한 나무) 핑거 보드(3) 때문에 저하되는 진동/공명 전달 능력
4) 넥 힐(23)의 영역에서 줄어든 견고성. 종래의 조합 구조의 핑거 보드/넥과 비교하여, 현대의 핑거 보드/넥 구조는 넥(2)의 힐(23)로 갈수록 약해지고, 페그 박스(20)로 갈수록 더 강해진다. 종래의 핑거 보드/넥은 페그 박스(20)로 갈수록 더 탄성적이고, 종래의 핑거 보드(3)의 형상 때문에 넥 힐(23)로 갈수록 더 강해진다. 넥 힐(23)은 보다 큰 크기로 인하여, 더욱 더 강한 특성을 보인다.
■ 보잉 현악기의 테일 피스(5), 테일 거트(6) 및 하부 페그(7)의 구성에 있어서 진화에 의한 좋지 않은 변화 요약 :
테일 피스(5), 테일 거트(6) 및 하부 거트(7)의 세 가지 요소는 현이 진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더 높고, 더 큰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개발되어져 왔다. 개선된 구성 구조 및 새로운 재료들을 이용한 진동/공명 전달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가능성은 무시되어 왔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 기술은 FR 2 807 862호, FR 2 762 706호, US 4,809,579호, GB 397 760호, TW 305411Y호 및 JP 2005326703호에 개시되어 있는 공개기술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현악기를 개발하는 과정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은 현악기의 사운드 및 연주 성능에 현저한 개선을 제공할 수 있는 현악기용의 새로운 부품(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이올린 또는 기타와 같은 현악기를 위한 부품(2,3)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코어 재료(30) 또는 중공 프로파일(31)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재료는 합성, 비-유기 또는 유기에 기원한 발포 또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의하면, 상기 재료는 다음의 리스트에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VC(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폴리우레탄 및 기타 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 광물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을 포함한 모든 금속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가벼운 나무,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쿠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소결된 나무, 유리화된 나무, 또는 융해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열매 등의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중합체들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금속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유리, 석재 및 광물
-) 여러 합성 물질, 금속성의, 광물 또는 유기물에 기원하여 자연적으로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제조된 벌집 구조물 및 기타 중공 형상의 구조물.
또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부품(요소)은 다음 리스트 속에 포함된 한 강화재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하는 금속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유기 또는 비-유기에 기원한 접착제가 공동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는 유기 및 비-유기 섬유들
-) 폴리아미드
-) 메타-아미드
-) 파라-아라미드
-) 오르쏘-아라미드
-) 나일론
-) 강화 나일론
-) 강화 폴리아미드
-) 폴리우레탄
-) 폴리에스테르
-)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케블라)
-) 전술한 섬유들의 조합
본 발명의 상기 강화재는 다음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금속 실 또는
-) 금속 와이어 또는
-) 회전 금속 섬유 또는
-) 짠, 꼬은 또는 나선 섬유 또는 필라멘트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합성 재료, 금속 재료, 광물질 또는 유기에 기원한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재료는 다음의 리스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그 밖의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쿠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그 밖의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유기 및 비-유기 섬유들.
또 본 발명의 상기 유기 또는 비-유기 섬유들은 다음의 것을 포함하고 있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붕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아래에서 선택되는 그 밖의 섬유들:
아마포,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재료로 만들어진 표면 코팅이 강화(보강)재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부품은 바이올린 계열 악기 또는 기타 계열의 악기에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부품은 핑거보드(3) 또는 넥(2) 또는 넥 힐(23), 또는 테일피스(5), 또는 상부 새들(10), 또는 상부 블록(11) 또는 하부 블록(11'), 또는 베이스 바 또는 사운드 바(25), 또는 사운드 포스트(16) 또는 사운드 페그 또는 비대칭 하부 페그(7) 또는 테일 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악기는 상기에서 언급된 부품들 중 최소한 한 개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현악기는 바이올린 계열 또는 기타 계열의 악기이다.
본 발명은 조합된 가벼운 재료들 및 구성 성분들을 이용하여, 핑거보드/ 넥, 테일 피스, 상하부 블록, 사운드 포스트 또는 사운드 페그, 베이스바 또는 사운드 바 및 상하부 새들 막대의 강성/탄성/ 진동/공명 전달 특성들을 보정을 통하여 현악기의 사운드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도 1은 바이올린(도 1a) 및 기타(도 1b)와 같은 현악기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바이올린 상에서 공명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지 중의 상부 도면, 움직이고 있는 현을 갖는 하부 도면: 진폭은 악기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진동의 그림과 같은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바이올린의 넥 및 핑거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핑거보드(fingerboard)의 사이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바이올린 넥(neck)의 힐(he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핑거보드 및 넥의 조합에 따른 피봇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핑거보드-넥 구조를 도시하는 절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핑거보다-넥 구조의 절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 구조의 절개도(측면, 상부)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 구조의 절개도 (측면, 상부)이다.
도 1은 바이올린(도 1a) 및 기타(도 1b)와 같은 현악기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요소들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바이올린 상에서 공명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정지 중의 상부 도면, 움직이고 있는 현을 갖는 하부 도면: 진폭은 악기에서 강하게 발생하는 진동의 그림과 같은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바이올린의 넥 및 핑거보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핑거보드(fingerboard)의 사이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1800년도 이전과 1800년도 이후의 바이올린 넥(neck)의 힐(heel)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핑거보드 및 넥의 조합에 따른 피봇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핑거보드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는 핑거보드-넥 구조를 도시하는 절개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핑거보다-넥 구조의 절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 구조의 절개도(측면, 상부)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넥 구조의 절개도 (측면, 상부)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현악기를 개발하는 과정에 발생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이해하기 쉽게 될 것이다.
■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최적화 되고, 적용 가능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핑거 보드를 입체적 방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조합 구조의 핑거 보드/넥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 및 악기 바디에 대한 조립 특성들은 핑거 보드/넥에 의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로 전달되는 진동/공명의 품질, 밀도 및 긴 수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바이올린 류 악기의 핑거 보드가 줄을 뜯는 음악 악기의 것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기 때문에, 만족할 만한 방법으로 그들의 사운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보잉 악기의 핑거 보드를 보정(변경)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A) 길이 방향/분배에 있어서 최적화 되고, 적용 가능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핑거 보드(3).
다수의 실험에 따르면, 넥(2)에 견고히 고정 부착되는 핑거 보드(3)의 하부는 핑거 보드(3)(바이올린 류 악기)의 혼자 독립된 구조 보다는 다른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핑거 보드(3)의 부착된 그리고 단독으로 위치하는 부분들은 핑거 보드/넥 구조를 통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 방향으로 효율적인 진동/공명 전달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의 길이 방향 분배를 통하여 최적화 되고, 조화될 수 있는 진동/공명 전달 품질들을 필요로 한다. 핑거 보드(3)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은 각각의 현에서 발생하는 개별 현 장력과 진동 주파수들에 따라 그 길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는 이런 점에 있어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B) 측면 방향 분포에 있어서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핑거 보드(3).
다수의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의 장력에 따라, 일부 재료들은 핑거 보드(3)의 구성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다. 음악 악기들은 그들의 주파수에 대하여 점차 증가하는 중간의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3)의 일 측면에서의 낮은 진동 주파수로부터 핑거 보드(3)의 반대편 측에서의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방향으로 구성되는 현의 분포 순서를 갖기 때문에, 핑거 보드(3)의 필요한 측면 공명 전달 품질은 이러한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은 가장 높다. 중간의 현들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높아진다. 핑거 보드(3)의 공명 전달 품질은 개별적인 현 장력에 따라 그의 측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C) 높이 방향 분포에서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핑거 보드(3).
실험에 따르면, 넥에 견고하게 고정 부착되는 핑거 보드(3)의 하부는 핑거 보드(3)(바이올린 류 악기)의 단독으로 위치하는 부분보다는 다른 진동/공명 전달 주파수를 갖는다. 핑거 보드(3)의 부착된 및 단독으로 구성되는 부분들은 핑거 보드/넥을 통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로의 효율적인 진동/공명 전달을 위하여 그들의 높이 방향으로 그들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이 최적화 및 조화될 필요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보통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는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의 장력에 따라, 일부 재료들은 핑거 보드(3)의 구성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다. 음악 악기들은 그들의 주파수에 대하여 점차 증가하는 중간 속도의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3)의 일 측면에서의 낮은 진동 주파수로부터 핑거 보드(3)의 반대편 측에서의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방향으로 구성되는 현의 분포 순서를 갖기 때문에, 핑거 보드(3)의 필요한 높이 방향 공명 전달 품질은 이러한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은 가장 높다. 중간에 위치하는 현들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높아진다. 핑거 보드(3)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은 개별적인 현 장력 및 각각의 현에서 만들어지는 진동 주파수에 따른 그의 높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갖는 핑거 보드를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조합으로 구성되는 핑거 보드/넥의 강성 및 탄성 및 악기 공명 바디에 대한 조립 특성은 현의 진동의 품질, 밀도 및 긴 수명과 만들어진 사운드의 품질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강성-탄성/진동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각 현의 서로 다른 진동-주파수 및 개별적인 현의 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A) 길이 방향 분포에 있어서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갖는 핑거 보드(3).
실험에 따르면, 넥에 고정 부착되는 핑거 보드(3)의 하부는 핑거 보드(3)의 단독으로 구성되는 부분보다 서로 다른 강성/탄성을 갖는다. 핑거 보드(3)(바이올린 류)의 부착 및 단독 구성부분들은 핑거 보드/넥 조합 구성을 통하여, 악기 바디로의 최적화된 공명 전달을 위하여 조화되는 강성/탄성을 필요로 하며, 핑거 보드(3) 상에서의 모든 연주 위치에서도 그러하다. 넥 힐로부터 상부 새들까지 구성되는 핑거 보드/넥 구조에서 감소되는 강성은 보다 낮은 주파수를 필요로 하며, 이것은 그것이 최초에 만들어질 때부터 18세기 말까지 바이올린 류의 종래 악기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특징과 같은 현상이다. 이와 같은 오래된 기술은 새로운 핑거 보드(3)의 구성을 위하여, 완전히 새로운 재료 및 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음악 악보를 연주하는 오늘날의 요구에 잘 적용된다. 핑거 보드(3)(바이올린 류)의 단독 구성 부분의 높은 강성은 높은 음 자리의 연주를 보다 편안히 만든다. 왜냐하면, 손가락들이 현들을 핑거 보드(3)에 보다 가까이 있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이른바 비브라토(현을 문질러 바이브레이션을 일으키는 것)라 불리는 기법의 품질은 이런 높은 음자리에서 잘 표현될 수 있다. 실험 결과, 공명 주파수 및 개별 현의 장력에 따라, 핑거 보드(3)의 강성은 현의 진동 및 악기 사운드의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것의 길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런 점에 있어서,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
B) 측면 방향 분포에 있어서 최적화 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갖는 핑거 보드(3).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 장력에 따라, 측면 방향에서 강성이 필요하다. 음악 악기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상승하는 중간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의 일 측면에 있는 낮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부터 상기 핑거 보드의 반대편에 있는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의 현 분배 순서를 갖기 때문에, 핑거 보드의 필요한 측면 강성/탄성은 이들의 구체적이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낮은 진동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진동 현의 장력이 가장 높다. 중간 현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가 상승함에 따라 점차 높아진다. 핑거 보드의 강성/탄성은 개별 현 장력에 따라 측면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는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C) 높이 방향 분포에 있어서 최적화 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갖는 핑거 보드(3).
실험에 따르면, 넥에 고정 부착되는 핑거 보드(3)의 하부는 핑거 보드(3)의 단독으로 구성되는 부분보다 다른 강성/탄성을 갖는다. 핑거 보드(3)(바이올린 류)의 부착 및 단독 구성부들은 핑거보드/넥 구성을 통하여, 악기 공명 바디로의 최적화된 공명 전달을 허용하기 위하여 그들의 높이 분포에 있어서 조화되는 강성/탄성을 필요로 하며, 그리고 이는 핑거 보드 상에서의 모든 연주 위치에서도 그러하다. 넥 힐로부터 상부 새들까지 구성되는 핑거 보드/넥 구조에서 감소되는 강성은 보다 낮은 주파수를 필요로 하며, 이것은 그것이 최초에 만들어질 때부터 18세기 말까지 바이올린 류의 종래 악기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특징과 같은 현상이다. 이와 같은 오래된 기술은 새로운 핑거 보드(3)의 구성을 위하여, 완전히 새로운 재료 및 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음악 악보를 연주하는 오늘날의 요구에 잘 적용된다. 핑거 보드(바이올린 류)의 단독 구성 부분의 높은 강성은 높은 음 자리의 연주를 보다 편안히 만든다. 왜냐하면, 현들이 핑거 보드(3)에 보다 가까이 있다고 손가락들이 느끼기 때문이다. 이른바 비브라토라 불리는 기법의 품질은 이런 높은 음자리에서 잘 표현될 수 있다. 실험 결과, 공명 주파수 및 개별적 현 장력에 따라, 핑거 보드(3)의 강성/탄성 현의 진동 및 악기 사운드의 품질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것의 높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런 점에 있어서,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 장력에 따라, 높이 방향에서 강성이 필요하다. 음악 악기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상승하는 중간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의 일 측면에 있는 낮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부터 상기 핑거 보드의 반대편에 있는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의 현 분배 순서를 갖기 때문에, 핑거 보드의 필요한 높이 강성/탄성은 이들의 구체적이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진동 현의 현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진동 현의 장력이 가능 높다. 중간 현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가 상승함에 따라, 점차 높아진다. 핑거 보드의 강성/탄성은 개별 현 장력에 따라 높이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는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3번째 목적은 공명을 촉진하도록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핑거 보드(3)에 작은 중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을 촉진하는 작은 중량은 현 진동의 품질, 밀도 및 긴 수명을 위하여, 그리고 조합 구성된 핑거 보드/넥의 진동과 만들어진 사운드의 품질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그것이 최초에 만들어질 때부터 18세기 말까지 바이올린 류의 종래 악기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특징과 같은 현상이다. 이와 같은 오래된 기술은 새로운 핑거 보드의 구성을 위하여, 완전히 새로운 재료 및 기술을 이용하여 복잡한 음악 악보를 연주하는 오늘날의 요구에 잘 적용된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런 점에 있어서,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4번째 목적은 핑거 보드(3)에 최적화된 표면 코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 결과, 견목의 표면은 우수한 손가락 터치 감각을 제공하지만, 표면에 사용된 다른 재료들은 공명 전달, 중량 감소, 강성 적용 및 우수한 땀 흡수, 온도 감각 등과 같은 육체적 연주 특성을 최적화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개의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핑거 보드(3)는 이런 점에 있어서,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
줄을 뜯는 다수의 악기의 핑거 보드(3) 구성은 보잉(활로 켜는) 음악 악기용 핑거 보드와 비교하여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다르다.
1. 프렛(frets, 현악기의 상아 또는 금속제 기러기발)의 삽입
2. 평평한 표면
3. 핑거 보드(3)의 주요부가 넥에 접착되며, 그것의 공명 테이블 중첩부는 상기 공명 테이블에 일반적으로 접착된다.
4. 보다 많은 현들로 인한 넓은 폭 (예를 들면, 바이올린 류는 4개 현, 기타는 6개 현이며, 더 많은 것도 있음)
■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넥(2)에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핑거보드/넥 조합 구조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 및 악기 바디의 조립 특성은 핑거보드/넥에 의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로 전달되는 진동/공명의 품질 및 밀도에 매우 중요하다. 줄을 뜯는 음악 악기들은 보통 바이올린 류의 악기보다는 실질적으로 보다 중량이 큰 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사운드를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뜯는 악기의 넥을 보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A) 그 길이 방향 분포에서의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넥(2).
실험 결과, 넥(2)은 핑거 보드/넥의 구조를 통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로의 최적화된 공명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공명 전달 품질을 그 길이 방향으로 조화시킬 필요가 있다. 넥의 진동/공명 전달 품질은 개별 현 장력에 따른 길이 방향의 분포 및 각각의 현에서 발생하는 진동 주파수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 있어서, 최적화와는 거리가 멀다.
B) 측면 분포에서의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갖는 넥(2).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의 장력에 따라, 일부 재료들은 넥(2)의 구성에 대하여 사용되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다. 음악 악기들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점차 증가하는 중간의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3)의 일 측면에서 낮은 진동 주파수로부터 넥(2)의 반대편 측에서의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방향으로 구성되는 현 분포 순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넥(2)의 필요한 측면 공명 전달 품질은 이러한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은 가장 높다. 중간 속도의 현들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높아진다. 넥(2)의 공명 전달 품질은 개별적인 현 장력에 따라 그의 측면 방향 분포로 적용될 필요가 있다. 다수의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의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C) 그의 높이 방향 분포에서의 최적화된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가지는 넥(2).
실험 결과, 넥(2)은 핑거 보드/넥 구조를 통하여, 악기의 바디로의 최적화된 공명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것의 높이 방향에서 조화되는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필요로 하며, 이들은 모든 연주 위치에서 적용된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그리고 실험에 따르면, 공명 주파수 및 현의 장력에 따라, 일부 재료들은 넥(2)의 구성에 대하여 사용되는 다른 것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하다. 음악 악기들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점차 증가하는 중간의 현들을 통하여, 핑거 보드(3)의 일 측면에서의 낮은 진동 주파수로부터 넥(2)의 반대편 측에서의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방향으로 구성되는 현의 분포 순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넥(2)의 필요한 높이 방향 공명 전달 품질은 이러한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은 가장 높다. 중간의 현들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높아진다. 넥(2)의 공명 전달 품질은 개별적인 현 장력에 따라 그리고 각각의 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진동/주파수에 따라, 그의 높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실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 및 탄성을 입체적인 방법으로 넥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핑거 보드/넥 조합 구조의 강성 및 탄성 및 악기의 바디에 대한 조립 특성은 현 진동의 품질. 밀도 및 긴 수명과 만들어진 사운드의 품질에 매우 중요하다. 강성-탄성/진동 비율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현의 서로 다른 진동-주파수 및 개별 현의 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A)그 길이 방향 분포에서의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가지는 넥(2).
실험 결과, 넥(2)의 길이 방향 강성/탄성은 현의 진동 품질, 밀도 및 오랜 수명 그리고 만들어진 사운드의 품질에 매우 중요하다. 강성-탄성/공명 비율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현에서 만들어 질 수 있는 개별 현의 장력 및 진동 주파수가 고려되어야 한다. 넥(2)의 강성/탄성은 이러한 현의 진동을 최적화시키기 위하여 길이 방향의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시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 거리가 멀다.
B) 그의 측면 방향 분포에서의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가지는 넥(2).
실험에 따르면, 각각의 현에서 만들어 질수 있는 공명 주파수에 따라, 측면 방향에서의 강성이 필요하다. 음악 악기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점점 상승하는 중간 현들을 통하여 넥(2)의 일 측면에 있는 낮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부터 상기 넥(2)의 반대편에 있는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현으로의 분배 순서를 갖기 때문에, 넥(2)의 필요한 측면 강성은 이들의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진동 현의 현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진동 현의 장력이 가능 높다. 중간 현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가 상승함에 따라, 점차 높아진다. 넥(2)의 강성은 개별 현 장력에 따라 측면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C) 그의 높이 방향/분포에서의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을 가지는 넥(2).
실험 결과, 넥(2)의 높이 방향 강성/탄성은 현의 진동 품질, 밀도 및 긴 수명과, 만들어진 공명의 품질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강성-탄성/공명의 비율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현의 공명 주파수 및 개별 현의 장력이 고려되어야 한다. 넥(2)의 강성/탄성은 이러한 현이 진동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그 높이 방향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실험에 따르면, 각각의 현의 공명 주파수 및 장력에 따라, 높이에 따른 방법이 적용된 강성이 필요하다. 음악 악기들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에 대하여 점차 증가하는 중간의 현들을 통하여, 넥(2)의 일 측면에서의 낮은 진동 주파수로부터 넥(2)의 반대편 측에서의 가장 높은 진동 주파수 방향으로 구성되는 현의 분포 순서 구조를 갖기 때문에, 넥의 필요한 높이 방향 탄성은 이러한 주파수들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가장 늦은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이 가장 낮으며, 가장 빠른 속도로 진동하는 현의 장력은 가장 높다. 중간의 현들의 장력은 그들의 진동 주파수들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더 높아진다. 넥(2)의 높이 방향 강성은 개별 현의 장력에 따라 그 분포에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한 조각으로 구성되는 견목 넥(2)은 이러한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어 보인다.
■ 본 발명의 제7 목적은 공명을 촉진하도록 질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감소된 중량을 가진 넥(2)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진동을 촉진하는 작은 중량은 현 진동의 품질, 밀도 및 긴 수명을 위하여, 그리고 조합 구성된 핑거 보드/넥의 진동과 만들어진 사운드의 품질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실험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 거리가 멀다. 뜯는 악기의 넥(2)들은 바이올린 류 악기의 그것들 보다는 실제적으로 중량이 크며, 뜯는 악기의 넥의 무게 감소는 만족할만한 사운드 개선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 본 발명의 제8 목적은 최적화된, 적용 표면 코팅을 넥(2)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실험 결과, 견목의 표면은 우수한 손가락 터치 감각을 제공하지만, 표면에 사용된 다른 재료들은 공명 전달, 중량 감소, 강성 적용 및 우수한 땀 흡수, 온도 감각 등과 같은 신체적 연주 특성을 최적화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2)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제9 목적은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 및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넥 힐(23)을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악기 바디(바이올린 류)와 조립되는 근래의 넥으로 인하여, 넥 힐(23)은 핑거 보드/넥의 진동 구조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진동 공명 전달 특성, 강성/탄성 적용 및 악기의 공명 바디(상부 블록(11))로의 조립 특성에 대한 특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넥 힐(23)의 진동/공명 전달 특성, 강성/탄성 및 무게 분포들은 그들의 진동을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악기의 공명 바디로 전달하기 위하여, 핑거 보드/넥의 전체 구조에 대해 이상적인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상부 새들에서의 현들에 대한 강한 지지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성/탄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견목 넥은 이러한 관점에서 최적화로부터 거리가 멀다.
많은 뜯는 음악 악기의 넥(2) 구성은 보잉 음악 악기 넥들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3가지 면에서 기본적으로 다르다.
-) 6개 또는 그 이상의 현들로 인하여 폭이 크다.
-) 악기의 공명 바디와 비교하여, 비례적으로 더 길다.
-) 넥(2) 및 넥 힐(23)은 접착된 2개의 피스 구조가 종종 사용된다.
■ 본 발명의 제10 목적은 최적화되고, 적용 가능한 강성/탄성 및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테일 피스(5)에 입체적인 방법으로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인 보잉 악기에 있어서 테일 피스(5)는 현의 장력에 저항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재료, 즉 에보니 및 다른 목재, 탄소 섬유, 티타늄 및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및 폴리머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에 언급한 핑거 보드(3)에 대한 것과 유사한 주요 구성 재료들이 효율적인 테일 피스(5)의 제조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11 목적은 진동/공명 전달 특성(바이올린 류)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재료 조합 및 주요 구성 재료들에 의해 만들어진 테일피스 거트(6)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테일피스 거트(6)는 하부 새들(13) 및 하부 페그(7)를 통하여 악기의 공명 바디로 현 및 테일 피스(5)의 진동을 전달한다.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로 서로 지지된 천연 또는 인공 섬유들은 현재 사용되는 재료들보다는 보다 효율적으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12 목적은 진동/공명 전달 특성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재료 조합 및 주요 구성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상부 새들(10) 및 하부 새들(13)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부 새들(10)은 핑거 보드/넥 구조에 직접 접촉한다. 현들로부터 핑거 보드/넥 구조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부분들은 중요하다. 상부 새들의 진동/공명 전달 특성을 최적화하고, 핑거 보드/넥 조합 구조의 강성/탄성을 최적화학 위하여, 핑거 보드/상부 새들은 한 개의 조각 또는 한 개의 합성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하부 새들(13)(바이올린 류)은 테일피스 거트의 진동을 전달한다. 보통으로 사용되는 재료, 즉 견목 또는 아이보리와 같은 재료들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제13 목적은 무게, 강성/탄성 및 진동/공명 전달 품질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보강된 강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상부 블록(1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지는 상부 블록(11)은 전통적인 상부 블록보다 강해야하며, 그 디자인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악기의 바디로 현(핑거/넥 구조를 통하여)의 비틀림 및 진동이 효과적으로 분배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부 새들에 위치하는 현들에 강한 지지 위치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제공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및 형상들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제14 목적은 무게, 강성 및 공명 전달 품질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보강된 강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하부 블록(1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목재로 만들어지는 하부 블록(11')은 전통적인 하부 블록보다 강해야 하며, 그 디자인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악기의 바디로 현(바이올린 류의 악기의 경우에 있어서, 테일피스 거트 및 하부 페그)의 비틀림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재 및 형상들은 이런 면에서 최적화로부터는 거리가 멀다.
■ 본 발명의 제15 목적은 무게, 강성 및 공명 전달 품질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보강된 강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베이스바(bassbar) 또는 사운드 바(25)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지는 베이스 바 또는 사운드 바(25)는 하기에 언급되는 재료 및 주요 구성 재료들의 이용에 따라 증가하는 무게/강성/공명 전달 비율을 구비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16 목적은 무게, 강성 및 공명 전달 품질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소정의 적용 강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사운드 포스트(16) 또는 사운드 페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가문비나무로 만들어지는 사운드 포스트(16) 또는 사운드 페그는 하기에 언급되는 재료 및 주요 구성 재료들의 이용에 따라 증가하는 무게/강성/진동/공명 전달 비율을 구비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제17 목적은 무게, 강성 및 공명 전달 품질을 최적화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소정의 적용 강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하부 페그(7)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견목 또는 아이보리로 만들어지는 하부 페그(7)는 하기에 언급되는 재료 및 주요 구성 재료들의 이용에 따라 증가하는 무게/강성/진동/공명 전달 비율을 구비할 수 있다.
새롭게 개발된 비대칭 형상은 현-각도/무게 분배에 대하여 브릿지(8)를 경유하여 현(1)의 통과를 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한다. 이는 하부 새들(13) 상부의 테일 거트(6)의 통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비대칭 하부 페그(7)를 회전(turning)시키고, 그리고 테일 피스(5)의 위치를 결정함에 따라 성취된다.
비대칭의 하부 페그(7)는 하부 블록(11') 내에 정밀하게 위치 잡지 못한 하부 페그(7)를 교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새로운 핑거 보드(3)를 구현하는 방법
본 출원 명세서의 앞 부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현대의 표준적인 핑거 보드(3)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선될 수 있다. 핑거 보드(3)의 물리적인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특성들을 악기(일반적으로, 바이올린 류, 테너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들의 진동 주파수 기록기(레지스터)에 적용하기 위하여, 그리고 하자가 있는 사운드 발생(울프 톤, 불편한 사운드 컬러)을 보정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하여, 연주 시설(playing facilities)들을 이용하기 위하여, 특수한 주문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음에 리스트로 정리된 전형(archetypes,아키타입)들 중에서 구축(아키텍처)하는 것 및 재료 조합이 실현될 수 있다.
■ 목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도 10-14, 예를 들면 바이올린 류 악기의 예들을 참조)에 있어서 핑거보드(3)의 강성/탄성
코어(30)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의 핑거 보드(3)는 인조 합성, 비 유기성 또는 유기성 기원(origin)에 의해 만들어진 발포 또는 중공의 구조로 구성된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그들 중 몇몇은 다음과 같다:
⊙ 염화비닐(PVC),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폴리우레탄 및 기타 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 광물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을 포함한 모든 금속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가벼운 나무, 견고한 나무(견목), 페르남부크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소결된 나무, 유리질된 나무, 또는 융해된 나무 및 단단함/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열매 등의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중합체들(폴리머들)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금속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유리, 석재 및 광물
⊙ 여러 합성 물질, 금속성의, 광물 또는 유기물에 기원하여 자연적으로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제조된 벌집 구조물 및 기타 중공 형상의 구조물.
이들 구조물들은 또한 직접 핑거보드,(3) 코팅 물질 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그리고 핑거보드(3)의 통합된 부품이 될 수 있다. 이는 도 10을 참조할 수 있다.
핑거보드(3)는 여기서 언급된 모든 재료 또는 어떤 적당한 그들로부터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들 코어(30/33) 물질들 또는 구조물들은 다음의 합성물질, 비-유기물 또는 유기물에 기원한 재료들에 의해 강화재(32)가 될 수 있다(바이올린 계열 악기들에 대한 도 11, 도 12 및 도 15~16의 실시예들을 참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모든 유기 및 비- 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붕소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바잘트)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은 동물에서 유래한 천연 섬유들
⊙ 뼈, 피부, 내장, 상아, 조개편 등과 같은 동물에서 유래한 부품들
⊙ 광물에서 기원한 구조물
⊙ 보강(강화) 구조물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섬유들은 아마포(linen),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섬유들은 모두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수지들 및 접착제들은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강화 재료(32)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의 형태로 코어(30)(샌드위치 구조)에서 가시적으로 보이는 부분들에 적용된다. 상기 강화 재료는 코어 구조의 입체적인 형태로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부분적으로 또는 전부가 코팅 표면의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코어 및/또는 강화 코어의 강성/탄성 특성들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구성에 대하여 사용되는 재료들의 천공 또는 두께에 따라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동일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하여, 벌집 또는 다른 중공의 구조 및 특수 강화 구조와 같은 특수 코어(30) 및/또는 샌드위치 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코어(30) 및/또는 강화 코어(30+32)의 형태는 핑거 보드(3)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코어(30) 및/또는 강화 코어(30+32) 자체가 바로 핑거 보드(3)가 될 수도 있다.
핑거 보드(3)의 생산을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종류의 재료들이 단독으로 또는 그들로부터 선택된 재료들로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핑거 보드(3)의 구성의 다른 구조들은 상부 새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 보드(3)의 공명 전달 품질의 목적:
중공 프로파일(31)(hollow profile)로 구성되거나 또는 중공 프로파일 코어(31)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핑거 보드(3)는 인조 합성, 금속성, 미네랄 및 유기성 기원(origin) (바이올린 류 악기에 대한 예로, 도 13 및 14를 참조)과 같은 재료들로 만들어 진다.
그들 중 몇몇은 다음과 같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기타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돌)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견목), 페르남부크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도/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모든 유기 및 비-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중공 프로파일(구조) 또는 중공 프로파일 코어로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섬유들은 아마포(linen),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조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수지들 또는 접착제들은 자연산, 인조 합성, 비 유기성 및/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31)(또는 '중공 구조'라 한다) 또는 중공 프로파일 코어(31)(또는 '중공 구조 코어'라 한다)의 공명 전달 특성들은 변경될 수 있으며, 그 구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들의 천공, 분리 또는 두께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중공 구조 코어(31)의 형태는 핑거 보드(3)의 형태와는 다를 수 있다.
중공 구조 그 자체가 핑거 보드(3)가 될 수도 있다.
핑거 보드(3)의 구성을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종류의 재료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핑거 보드(3)의 구성의 다른 구조들은 상부 새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 핑거 보드(3)의 가벼운 무게의 목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 보드(3)는 가벼운 중량의 재료들 및 상기에 언급된 구성들 중에서 구성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 입체적으로 구성되는 핑거 보드(3)의 특성 목적
길이 방향, 높이 방향 및 측면 방향의 특성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핑거 보드는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한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및 구성들 중 선택된 한 방법 또는 그들을 이용하여, 입체적인 구성으로 서로 다른 종속적인 구조 및/또는 독립적 구성의 구조로 다음과 같은 분포로 만들어 진다.
- 그 길이 방향 분포
- 그 높이 방향 분포
- 그 측면 방향 분포 또는 이들 전체의 조합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의 선택 또는 조합 및 그의 구성을 위한 구성 원칙의 이용.
오픈 스페이스 또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고무 및/또는 텍스타일 등과 같은 탄성 재료들을 이용한 인서트(inserts,삽입부재)들을 사용하여, 독립적인 구조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원하지 않는 진동을 피할 수 있다.
핑거 보드 구성의 서로 다른 구조들은 상부 새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 핑거 보드(3)의 표면 코팅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된 전형(아키타입)들 중 한 타입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한 핑거 보드(3): 그것은 인조 합성 재료, 금속성, 미네랄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들을 이용하여 베니어 형태로 만들어 질 수도 있다.
그들의 몇몇은 다음과 같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기타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돌)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크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도/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모든 유기 및 비-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붕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표면 코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섬유들은, 아마포(linen),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수지들 및 접착제들은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 보드(3)는 넥(2)에 접착되는 요소를 포함하는 모든 가시적인 측면을 이용하여 베니어 형태 또는 부분적으로 베니어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베니어 구조는 코어(30)의 표면, 강화 코어(30+32) 또는 중공 구조(31)로 조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표면 코팅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공의 피스(들)로 구성되거나, 그들을 이용한 조립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별하게 처치된 재료들은 다음을 변형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색상
⊙ 마모 및 땀 흘림에의 저항성
⊙ 접촉감
⊙ 견고함/탄성
⊙ 공명 전달 특성
이들 변형들은 또한 다음의 관한 것일 수 있다:
⊙ 연주 설비
⊙ 핑거보드(3)의 외관
⊙ 넥(2)과의 접촉
핑거 보드(3)의 베니어 구조를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종류의 재료들이 단독으로 또는 조합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핑거 보드(3) 구성의 다른 구조들은 상부 새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뜯는 음악 악기의 핑거 보드(3)를 위하여, 프렛(frets)은 코어(30)/강화 코어(30+32) 또는 중공 구조(31)의 부분이 될 수 있으며, 탄성/강성의 분포에서와 같이 진동/공명 전달에 특수한 방법으로 적용된다.
코어(30)/강화 코어(30+32) 또는 중공 구조(31)의 부분을 구성하는 핑거 보드 베니어 구조 및 프렛은 모든 짜임 구조(constellation)에 있어서 간혹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렛들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을 이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프렛들은 코팅 표면의 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 핑거 보드(3)의 진동/공명 전달 및 형태/구조 변경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공명을 제어 및 보정하기 위하여 삽입된 댐핑 재료들을 갖는 핑거 보드(3)의 이러한 재료들은 목재, 실리콘, 고무, 소정의 텍스타일, 팽창(expanded) PVC의 특수 밀도, 케블라 섬유(kevlar), 마크로론(marcrolon), 나일론 등이 될 수 있다.
■ 새로운 넥을 구현하는 방법(도 17 내지 도 18)
본 특허의 설명에서,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현대의 표준 넥(2)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개선될 수 있다. 넥의 물리적인 특성을 보정하기 위하여, 악기의 구체적인 진동 주파수 기록기에 대한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바이올린 류의 악기, 즉 바이올린, 비올라, 테너 비올라, 첼로 및 더블 베이스), 하자가 있는 사운드 발생(불협화음(wulftones), 불편한 소리 음색)을 고치고, 보정하거나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또는 연주 시설을 적용하기 위하여 또는 특수한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음에 열거된 전형(archetypes)들 중에서 소정의 구조 형태(architecture) 및 재료 조합을 이용할 수 있다. 넥(2) 및 핑거 보드(3)는 단일의 또는 서로 다른 방법으로 조합된 코팅 적용을 통하여, 아래에 언급된 샌드위치 또는 중공 구조 형태들 중 한 개 또는 그들의 조합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 넥(2)의 강성/탄성(도 17 내지 도 18)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30/33)를 가진 샌드위치 구조로 구성되는 넥(2)은 인조 합성, 금속성, 미네랄(광물질)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구성되는 발포 또는 중공 구조로 만들어진다.
그들의 몇몇은 다음과 같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기타 중합체들, 나일론
⊙ 유리, 석재(돌) 및 광물
⊙ 티타늄, 알루미늄 및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가벼운 나무, 단단한 나무, 페르남부쿠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별한 특성을 가진 기타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벌집 구조 및 다른 중공 공간 형태가 만들어지거나 또는 인조 합성, 금속성, 미네랄 또는 유기성 기원의 다양한 재료들에서 이미 자연 상태에 존재한다.
이러한 구조들은 넥의 코팅 재료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넥의 통합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넥은 여기에 열거된 모든 재료들로 만들어 질수 있다.
이들 코어(30/33) 물질들 또는 구조물들은 다음의 합성 물질, 금속 물질, 광물 또는 유기에 기원한 물질에 의해 강화된 코어(30/33)를 형성하도록 보강될 수 있다.
⊙ 티타늄, 알루미늄 및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모든 유기 및 비-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붕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코어(30/33)를 보강할 수 있도록 사용될 수 있는 기타의 섬유들은
아마포,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수지 또는 접착제는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될 수 있다.
강화 재료가 코어(30/33) (샌드위치 구성)의 가시적인 측면들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강화 재료 역시 코어 구조(34)(도 18 참조)에 일체화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강화 재료 역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코팅 표면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코어(30/33) 및/또는 강화 코어(30/33)의 강성/탄성 특성들은 그 구성을 위하여 사용된 재료들의 천공 또는 두께에 따라 변경 또는 적용될 수 있다.
벌집 및 다른 중공의 구조뿐만 아니라, 특수한 강화 구조 형태와 같은 특수 코어 및/또는 샌드위치 구조 형태가 이와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코어(30/33) 및/또는 강화 코어(30/33)의 형태는 넥(2)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코어(30/33) 및/또는 강화 코어(30/33)는 완전한 형태의 넥(2)이 될 수도 있다. 넥(2)의 생산을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종류의 재료들이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넥(2) 구성의 서로 다른 구조는 핑거 보드(3), 상부 새들(10), 페그 박스(20), 스크롤(22)(바이올린 류), 상부 블록(11)을 포함할 수 있다.
■ 넥(2)의 공명 전달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넥(2)은 중공의 구조로 또는 인조 합성, 금속성, 미네랄 및 유기성 기원 재료로 만들어지는 중공 프로파일 코어(도 13 및 도 14의 핑거보드 예들과 유사)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들의 몇몇은 다음과 같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기타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돌)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크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성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모든 유기 및 비-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넥(2)의 중공 프로파일에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섬유들은 아마포(linen),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수지 및 접착제는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될 수 있다.
상기 코어의 공명-전달 특성들은 그 구성을 위하여 사용된 재료들의 천공, 분리 또는 두께에 따라 변경 및 적용될 수 있다.
중공 구조 코어의 형태는 넥(2)의 형태와 비교하여 다르다. 중공의 구조는 완전한 형태의 넥(2)이 될 수도 있다.
넥(2)의 구성을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종류의 재료들이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넥(2) 구성의 다른 구조들은 핑거보드(3), 상부 새들(10), 페그 박스(20) 및 스크롤(22)(바이올린 류), 상부 블록(11)을 포함할 수 있다.
■ 넥의 무게와 관련한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넥(2)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에서 가벼운 재료들 및 구성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 입체적으로 구성되는 넥(2)의 특성을 위한 목적
길이 방향, 높이 방향 및 측면 방향 특성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들의 조합 및 그 구성을 위한 구성 성분(principles)을 이용하여, 넥(2)은 다른 종속적인 및/또는 독립적인 구조로 다음의 방법으로 입체적으로 만들어진다.
- 그것의 길이 방향
- 그것의 높이 방향
- 그것의 측면 방향 또는 그들의 조합.
개방 공간 또는 폴리머 및/또는 실리콘 및/또는 고무 및/또는 텍스타일 등과 같은 탄성 재료들로 구성되는 인서트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구성되는 구조들 사이에서의 원하지 않은 진동의 근원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넥(2) 구성의 서로 다른 구조들은 핑거 보드(3), 상부 새들(10), 페그 박스(20), 스크롤(22) 및 상부 블록(11)을 포함할 수 있다.
■ 넥(2)의 표면 코팅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넥(2)은 상기에 언급된 구조 형태(아키타입)들 중에서 한 개 또는 그들의 조합을 이용한다. 자연적인 재료, 인조 합성, 금속성, 미네랄 또는 유기성 기원 같은 재료들을 이용하여 베니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들의 몇몇의 실예는 다음과 같다:
⊙ PVC, 폴리우레탄, 및 기타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돌)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크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함/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모든 유기 및 비-유기 섬유 같은 것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넥(2,목부)의 표면 코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타 섬유들은 아마포(linen),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이다.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된 수지 또는 접착제는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넥(2)은 부분적으로 베니어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핑거 보드(3)에 접착되는 부분을 포함함 가시적인 측면들에 구성될 수도 있다.
베니어는 코어의 표면, 강화 코어 또는 중공 구조와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 넥(2)/넥 힐(23)
상기 코어(30/33), 또는 강화 코어(30/33) 또는 중공 구조는 구체적인 형태 그리고 페그 박스(20)의 표면, 스크롤(22), 넥(2), 넥 힐(23), 상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들 또한 상기에 언급한 재료들 중 한 개의 요소로 구성되거나,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코어(30/33), 강화 코어(30/33) 또는 중공 구조는 페그 박스(20), 스크롤(22), 넥(2), 넥 힐(23), 상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한 개의 요소에 대하여 폐쇄적(close for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뭉치고, 소결되고, 유리화 또는 융해 목재 또는 세라믹 코팅이 상기에 언급된 다른 재료들 중에서 베니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30/33), 강화 코어(30/33) 또는 중공 구조는 페그 박스(20), 스크롤(22), 넥(2), 넥 힐(23), 상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을 포함하는 한 개의 요소에 대하여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코팅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공 요소 또는 그들로부터 만들어지는 다른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의 요소(들)는 페그 박스(20), 스크롤(22), 넥(2), 넥 힐(23), 상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것들이 될 수 있다.
만약, 넥의 코팅이 목재 베니어로 이루어진다면, 한 가지 해법은 넥(2)의 원통형 부분만을 박형의 목재와 베니어 구조로 구성하며, 페그 박스(20), 스크롤(22) 및 넥 힐(23)은 목재 전체로 만들어지는 보정된 재료들로 만들어지고, 다음으로 코어(30/33)/강화 코어(30/33) 또는 중공의 구조에 접착한다.
이와 같은 경우는, 사운드 품질 또는 연주 시설 등의 문제로, 전체 무게를 저감시킬 필요가 있을 시에 페그 박스(20), 스크롤(22)(오직 활을 켜는 악기에 한정)이 중공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코어(30/33)/강화 코어(30/33) 또는 중공 프로파일을 덮어 씌우기 위하여, 특별히 처치된 나무들은 다음을 변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색상
⊙ 마모 및 땀 흘림에의 저항성
⊙ 접촉감
⊙ 강성/탄성
⊙ 공명 전달 특성
이들 변형들은 또한 다음의 관한 것일 수 있다:
⊙ 연주 설비
⊙ 넥의 외관
⊙ 핑거보드와의 접촉
상기 넥(2)의 덧씌움 구조를 위하여 상기에 언급된 모든 물질들은 단독으로 또는 그들의 다른 것들과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넥(2) 구성의 서로 다른 구조들은 상부 블록(11), 핑거 보드(3), 상부 새들(10), 페그 박스(20), 넥 힐(23), 스크롤(22( 바이올린 류 악기), 상부 블록(11) 또는 이들 중 선택된 한 개의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이올린 류의 악기에 있어서, 넥 힐(23)은 넥(2)의 정통적인 구성 부분이다. 상기의 넥힐(23)은 생산적인 이유로 넥(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 새로운 넥 힐(23)을 구현하는 방법
■ 넥 힐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넥 힐(23)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및 조립체의 진동, 바람직하게는 코어/강화 코어 또는 넥(2)의 중공 구조로 한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는 재료들을 이용하여, 악기의 현-장력 및 공명 레지스터(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에 따라, 입체적으로 구성되는 공명-전달 품질 및 특별히 소정의 강성/탄성을 갖는다.
■ 새로운 테일 피스(5)를 구현하는 방법
■ 테일 피스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일 피스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코어/강화 코어 또는 중공 구조의 샌드위치 또는 중공 구조 구성을 갖는다.
구성 성분들은 입체적 공명 전달, 입체적 강성/탄성 및 공명 전달 변경 및 표면 코팅의 목적을 포함하여 상기의 핑거 보드(3)와 동일하다.
상기 현(1) 및 테일 피스 거트(6)를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천공구멍들을 보상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변경 및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천공구멍들은 상기 현(1) 및 테일 피스 거트(6)용의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부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공명 전달 변경 목적의 일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러한 지지 구조들은 테일 피스(5)의 특정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 테일 피스 거트(6)를 구현하는 방법
■ 테일 거트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일 피스 거트(6)는 테일 피스(5)와 고정 연결되고, 다음의 재료들로 만들어 진다.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종류의 금속성 합금을 포함하는 모든 금속
- 다음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기성 및 비유기성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붕소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탄소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유리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현무암(basalt)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식물 기원의 천연 섬유
- 실크, 거미줄과 같은 동물 기원의 천연 섬유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되는 동물 거트(동물의 내장)
- 모든 종류의 필라멘트
상기 섬유들은 입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언급한 수지 또는 접착제는 인조 합성, 폴리머 또는 유기성 기원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 새로운 상부 새들(10)을 구현하는 방법
■ 상부 새들(10) 및 하부 새들(13)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및 구성 성분들 중 한 개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지는 코어/강화 코어 또는 중공 프로파일을 갖는 샌드위치 또는 중공 구조로 만들어지는 상부 새들(10) 및 하부 새들(13)을 구비한다.
상부 새들(10)은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은 중공의 빈 공간(aeries) 또는 탄성 재료의 인서트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이격된 한 개 또는 2, 3, 4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할된 별도로 독립된 부재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상부 새들(10)은 상기 핑거보드(3)의 전체 부분일 수 있고, 및/또는 상기 베니어의 전체 부분일 수 있다.
후스노트 주 베니어(Fussnote zu veener)는 1-20mm이다.
■ 새로운 상부 블록 11(도 1, 도 17 내지 도 18)을 구현하는 방법
■ 상부 블록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블록은 소정의 강성, 중량 및 공명 전달 보정을 갖는 상기에 언급된(핑거 보드 3 참조)바와 같은 샌드위치 또는 중공의 구조로 만들어진다.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넥/핑거 보드(2/3)에 의하여 전달된 비틀림을 보다 부드럽게 공명 테이블(19). 등판(24) 및 공명 바디(9)의 리브 구조(15)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부 블록(11)의 형상은 전방부(공명 테이블 19)로부터 보았을 때, 예를 들면 V 또는 W 형상으로 그리고 측면(리브(15))에서 보았을 때는 C, L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개별적인 악기로의 적용을 위하여, 이러한 형상들은 비대칭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 새로운 하부 블록(11')를 구현하는 방법
■ 하부 블록의 목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블록(11')은 소정의 강성, 중량 및 공명 전달 보정을 갖는 상기에 언급된 (핑거보드 (3) 참조) 샌드위치 구성 또는 중공의 구조로 만들어 진다.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하부 페그(7)(보잉 현악기)에 의해 전달된 비틀림을 보다 부드럽게 공명 테이블(19). 등판(24) 및 공명 바디(9)의 리브 구조(15)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하부 블록(11')의 형상은 전방부(공명 테이블 19)로부터 보았을 때, 예를 들면 V 또는 W 형상으로 그리고 측면(리브(15))에서 보았을 때는 C, L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개별적인 악기로의 적용을 위하여, 이러한 형상들은 비대칭 및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페그(7)를 지지하기 위한 특수 강화 구멍이 경우에 따라서 필요할 수 있다.
■ 베이스바(bassbar), 사운드 바(25)(도1(a)를 참조)를 구현하는 방법
■ 베이스바, 사운드바(soundbares)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바 또는 사운드바는 진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그리고/또는 브릿지(8), 공명 테이블(19) 및 상하부 블록(11)(11')을 경유하여 전달된 현 장력으로 인한 뒤틀림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강성. 중량 및 공명 전달 보정을 갖는 상기에 언급된 샌드위치 구성 또는 중공 구조로 입체적으로 만들어 진다.
베이스바 또는 사운드바는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함께 사용된 상기에 언급된 인조 합성 또는 천연 섬유를 이용하여 강화될 수 있다.
그들 구성 또는 가벼운 목재용으로 사용되는 보통의 목재들은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으로 절단되고, 삽입된 강화 재료 부분들을 이용하여, 다시 접착된다.
강화 재료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코어(샌드위치 구성)의 가시적인 부분에 적용되며, 베이스바 또는 사운드바 구조의 입체적 구성으로 일체화된 부재일 수도 있으며, 그리고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코팅 표면의 일부 일 수 있다.
■ 사운드 포스트, 사운드 페그(16)를 구현하는 방법
■ 사운드 포스트 또는 사운드 페그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운드 포스트 또는 사운드 페그(16)는 소정의 강성, 중량 및 공명 전달 보정을 갖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핑거 보드 3 참조)의 선택에 따라 샌드위치 구성 및/또는 중공 구조로 만들어진다.
■ 하부 페그(7)를 구현하는 방법
■ 하부 페그의 목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페그(7)는 가벼운 재료 또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 및 구성 성분들 중 한 개의 성분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코어/강화 코어 또는 중공 구조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또는 중공 구조 구성으로 만들어 진다.
이와 같이 새롭게 고안된 비대칭 형상은 테일 거트(6) 지지부를 하부 블록(11') 내로 삽입되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 부분과 비교하여 다른 축 상에서 제조하여 얻어진다.
하부 블록(11')의 구멍 내의 이와 같은 비대칭 하부 페그(7)의 필요한 그립력(grip)을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형상을 갖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 숫 부재(하부 페그(7)) 및 암 부재(하부 블록(11') 내의 페그 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특수한 마찰 재료들 역시 사용될 수 있다.
첼로 및 더블 베이스에는, 상기 하부 페그(7)가 테일 스파이크를 지지하는 구조이다.
본 출원의 도면을 참조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 내지 도 18은 비-제한적인 방법으로 구성되는 기본적 아키타입 또는 예시적인 구성을 대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핑거 보드(3)/넥(2) 구조는 서로 다른 코어/강화 코어 및/또는 중공의 구조 아키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 코어(30/33)/강화 코어(30/33) 및/또는 중공의 프로파일(31)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 그들은 서로 다른 분리된 부분들로 입체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 그들은 그들의 형상, 밀도 및 재료 적용에 있어서 비대칭이다.
- 그들은 다른 중공의 구조(31) 또는 코어(30/3)/강화 코어(30/33) 구조와 조합될 수 있다.
- 코어(30/33)/강화 코어(30/33) 구조 또는 중공 구조(31)는 모든 측면에서부분적으로 적층(도 11 및 도 12 참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혀 적층되지 않을 수도 있다.
- 상기의 적층은 강화 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
- 상기의 적층은 상기에 열거된 서로 다른 재료들로 만들어 질 수 있다.
- 이와 같은 적층 구조는 페그 박스(20)/스크롤(22), 넥(2), 넥 힐(23), 하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부재를 포함하는 단일의 합성 구성을 만들기 위하여, 서로 다른 재료들을 조합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 페그 박스(20)/스크롤(22), 넥(2), 넥 힐(23), 상부 블록(11), 상부 새들(10) 및 핑거 보드(3) 또는 이들 중 선택된 부재는 코어/강화 코어의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이용하여 한 개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중공 구조(31) 또는 이들의 조합 (코어(30/33)/강화 코어(30/33))
-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적층 재료 및 코팅
도 10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을 갖는 4개의 측면 상에 베니어 결합되는 코어(30)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구성의 핑거보드(3)를 도시한다.
도 11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32) 상에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에서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에서 베니어 결합된 코어(30)를 갖는 샌드위치 구성의 핑거보드(3)를 도시한다.
도 12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2개의 측면(상부 및 하부(32)) 상에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에서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에서 베니어 결합된 코어(30)를 갖는 샌드위치 구성의 핑거보드(3)를 도시한다.
도 13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에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에서 베니어 결합된 중공 구조 코어(31)를 갖는 핑거 보드(3)를 도시한다.
도 14는 두 개 또는 복수개로 분리된 디자인(상부 및 하부 및/또는 좌우측, 및/또는 피크 및 베이스 또는 비대칭 디자인)으로서 상기에 언급된 강화 재료(32)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4개의 측면에 베니어 결합된 중공 구조 코어(31)로서 코어/강화 코어를 갖는 핑거 보드(3)를 도시한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핑거 보드(3)의 구성 성분은 넥(2), 테일피스(5), 등과 같은 앞서 설명한 다른 부재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모든 가시적인 측면에서 적층되는 단일 코어(30)를 갖는 샌드위치 구성의 핑거(3)/넥(2)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모든 가시적인 측면에서 적층되는 코어(30/33)들을 갖는 두 개로 분리된 샌드위치 구성의 핑거(3)/넥(2)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모든 가시적인 측면에서 적층되는 코어(33)를 갖는 샌드위치 구성의 절개된 넥(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만들어지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34)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강화되며, 상기에 언급된 재료들 중 한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모든 가시적인 측면에서 적층되는 코어(33)를 갖는 샌드위치 구성의 절개된 넥(2)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가는 검은색의 라인(34)은 넥 힐의 강화를 표시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보강 섬유들은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 폴리아미드
- 메타-아미드
- 파라-아라미드
- 오르쏘-아라미드
- 강화 나일론
- 폴리우레탄
- 폴리에스테르
-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케블라)
- 전술한 섬유들의 적당한 조합
강화재(보강물)은 또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
- 금속 실
- 금속 와이어
- 실을 자은 금속 섬유
- 짠, 꼬은 또는 나선 섬유 또는 필라멘트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제공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으로 제공되었으며, 한정적인 방법으로 구성된 것은 아니다. 다른 균등 수단 및 재료들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 내에서 예측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다른 실시예들은 설명된 바와 같은 동일한 악기 내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1 : 현(줄)
2 : 넥(Neck, 목부)
3 : 핑거보드(Fingerboard, 지판)
4 : 페그(Pegs, 줄조르개)
5 : 테일피스(Tailpiece, 꼬리 부속물)
6 : 테일거트(Tailgut)
7 : 하부 페그(Lower Peg)
8 : 브릿지(Bridge)
9 : 바디
10 : 상부 새들(Upper Saddle)
11 : 상부 블록
11' : 하부 블록
13 : 하부 새들(Lower Saddle)
14 : 코너 블록(Corner block)
15 : 리브(Ribs)
16 : 사운드 포스트(Sound post) 또는 사운드 페그(Sound peg)
17 : 코너(Corner)
18 : 라이닝(Linings)
19 : 공명 테이블(Resonance-Table)
20 : 페그 박스(Peg box)
21 : 페그 홀(Peg holes)
22 : 스크롤(Scroll)
23 : 넥 힐(Neck heel)
24 : 등판(Back of instrument)
2 : 넥(Neck, 목부)
3 : 핑거보드(Fingerboard, 지판)
4 : 페그(Pegs, 줄조르개)
5 : 테일피스(Tailpiece, 꼬리 부속물)
6 : 테일거트(Tailgut)
7 : 하부 페그(Lower Peg)
8 : 브릿지(Bridge)
9 : 바디
10 : 상부 새들(Upper Saddle)
11 : 상부 블록
11' : 하부 블록
13 : 하부 새들(Lower Saddle)
14 : 코너 블록(Corner block)
15 : 리브(Ribs)
16 : 사운드 포스트(Sound post) 또는 사운드 페그(Sound peg)
17 : 코너(Corner)
18 : 라이닝(Linings)
19 : 공명 테이블(Resonance-Table)
20 : 페그 박스(Peg box)
21 : 페그 홀(Peg holes)
22 : 스크롤(Scroll)
23 : 넥 힐(Neck heel)
24 : 등판(Back of instrument)
Claims (15)
- 바이올린 또는 기타와 같은 현악기를 위한 부품(2,3)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코어 재료(30) 또는 중공 프로파일(31)을 가진 샌드위치 구조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합성, 비-유기 또는 유기에 기원한 발포 또는 중공 구조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다음의 리스트에 있는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PVC,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폴리우레탄 및 기타 폴리머들, 나일론
-)유리, 석재, 광물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을 포함한 모든 금속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가벼운 나무,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쿠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소결된 나무, 유리질된 나무, 또는 융해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기타의 나무들
-) 열매 등의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중합체들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금속
-) 소결된 및/또는 유리화된 및/또는 융해된 유리, 석재 및 광물
-) 여러 합성 물질, 금속성의, 광물 또는 유기물에 기원하여 자연적으로 이미 존재하거나 또는 제조된 벌집 구조물 및 기타 중공 형상의 구조물 - 상기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음 리스트 속에 포함된 한 재료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하는 금속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유기 또는 비-유기에 기원한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사용되지 않는 유기 및 비-유기 섬유들
-) 폴리아미드
-) 메타-아미드
-) 파라-아라미드
-) 오르쏘-아라미드
-) 나일론
-) 강화 나일론
-) 강화 폴리아미드
-) 폴리우레탄
-) 폴리에스테르
-) 폴리-파라페닐렌-테레프탈아미드(케블라)
-) 전술한 섬유들의 조합
- 상기 선행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재가 다음의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금속 실 또는
-) 금속 와이어 또는
-) 회전 금속 섬유 또는
-) 짠, 꼬은 또는 나선 섬유 또는 필라멘트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합성 재료, 금속 재료, 광물질 또는 유기에 기원한 재료들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는 다음의 리스트 속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PVC, 폴리우레탄, 및 그 밖의 중합체들(폴리머들), 나일론
-) 유리, 석재 및 광물 세라믹, 자기제품(포셀린)
-) 티타늄, 알루미늄 및 모든 금속 합금들을 포함한 모든 금속들
-) 뼈 구조물과 같은 동물 부품들
-) 견고한 나무, 페르남부쿠 나무, 덩어리로 된 나무 및 강성/탄성/중량비에 관한 특수한 성질을 가진 그 밖의 나무들
-) 과일들 속에서 발견되는 것 같은 특별한 식물 구조물들
-) 유기 및 비-유기 섬유들 - 제4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또는 비-유기 섬유들이 다음의 것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붕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아라미드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케블라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리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현무암 섬유들
-) 소정의 수지 또는 접착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들
-) 나뭇잎, 나무, 과일, 대나무 널판지, 나무 껍질 등과 같은 식물 부품들
-) 실크, 거미줄 등과 같이 동물에 기원한 천연 섬유
-) 뼈, 피부, 거미, 애벌레, 내장, 상아, 조개 부품들 등의 동물에 기원한 부품들
-) 광물에 기원한 구조물들
-) 아래에서 선택되는 그 밖의 섬유들:
아마포, 대마, 사이잘 섬유, 황마, 아마포(flax), 대나무, 옥수수, 줄기, 아프리카 수염새, 파피루스, 갈대(갈대 짚 풀), 암바리삼, 라민, 로젤러(털빠진 양), 사탕수수 섬유, 빈랑나무 섬유, 쌀 껍질, 밀, 보리, 귀리, 호밀, 야자나무 빈 과일 다발, 야자껍질 섬유, 부레옥잠, 자반풀류, 케이폭, 종이, 오디, 라피아잎 섬유, 바나나 섬유, 파인애플 잎 섬유, 잎으로 바구니를 엮는 큰 부들(elephant grass), 목화 아마, 비(broom), 쐐기풀, 헤네켄(용설란의 일종), 팰프, 시리얼 짚, 마닐라삼, 여러 소스들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 된 비스코스 - 전술한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로 만들어진 표면 코팅이 강화(보강)재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바이올린 계열 악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기타 계열의 악기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핑거보드(3) 또는 넥(2) 또는 넥 힐(23), 또는 테일피스(5), 또는 상부 새들(10), 또는 상부 블록(11) 또는 하부 블록(11'), 또는 베이스 바 또는 사운드 바(25), 또는 사운드 포스트(16) 또는 사운드 페그 또는 비대칭 하부 페그(7) 또는 테일 거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용 부품.
- 상기 선행하는 항들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최소한 한 개의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바이올린 계열 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는 기타 계열의 악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10197182 | 2010-12-28 | ||
EP10197182.8 | 2010-12-28 | ||
PCT/IB2011/055944 WO2012090145A1 (en) | 2010-12-28 | 2011-12-23 | Elements to improve the sound quality of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12969A true KR20140012969A (ko) | 2014-02-04 |
Family
ID=45531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19867A KR20140012969A (ko) | 2010-12-28 | 2011-12-23 | 사운드 품질 개선을 위한 현악기용 부품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199016B2 (ko) |
EP (1) | EP2659479B1 (ko) |
JP (1) | JP2014504742A (ko) |
KR (1) | KR20140012969A (ko) |
CN (2) | CN108039161A (ko) |
WO (1) | WO201209014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FI20110028U1 (it) * | 2011-05-05 | 2012-11-06 | Hiroshi Kugo | Accessori per strumenti musicali ad arco |
US9911401B2 (en) * | 2014-12-09 | 2018-03-06 | Aero 3 Guitars | Electric guitar |
EP3374989A1 (en) * | 2015-11-13 | 2018-09-19 | Hellinge, Andreas | Elements to improve string function on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CN105405433A (zh) * | 2015-12-06 | 2016-03-16 | 刘建康 | 一种提琴拉弦板 |
WO2017216203A1 (en) | 2016-06-16 | 2017-12-21 | Luca Alessandrini | Method for manufacturing musical instruments, sound boxes and acoustic boxes products obtained with such method |
ITUA20164429A1 (it) * | 2016-06-16 | 2017-12-16 | Luca Alessandrini | Procedimento per realizzazione di strumenti musicali, casse armoniche e casse acustiche, manufatti con tale procedimento ottenuti |
FR3055460B1 (fr) * | 2016-08-30 | 2018-08-17 | Gilles Saurais | Hausse pour archet d'instruments de musique a cordes frottees |
US10121457B2 (en) * | 2017-02-02 | 2018-11-06 | John Gilbert | Method and apparatus for waking-up violin and other string instruments |
CN107039023A (zh) * | 2017-06-05 | 2017-08-11 | 方仁俊 | 用于制作弹拨乐器的板材、制作该板材的方法及弹拨乐器 |
WO2019109796A1 (zh) * | 2017-12-07 | 2019-06-13 | 广州市拿火信息科技有限公司 | 空心琴颈及吉他 |
CN107784995A (zh) * | 2017-12-07 | 2018-03-09 | 广州市拿火信息科技有限公司 | 空心琴颈及吉他 |
US20200118528A1 (en) * | 2018-01-16 | 2020-04-16 | Upton Bass String Instrument Co. | Packable stringed instrument with neck and tail wire |
CN109265870A (zh) * | 2018-09-21 | 2019-01-25 | 贵州谦梦乐器制造有限公司 | 一种吉他护板及其加工方法 |
US20220230606A1 (en) * | 2019-05-16 | 2022-07-21 | Matthew Schiebold | Non-Amorphous Musical Instrument Components |
US11257470B1 (en) * | 2020-10-02 | 2022-02-22 | Alvin Fry | String instrument with superior tonal qualities |
JP7521162B2 (ja) * | 2020-10-29 | 2024-07-24 | 輝幸 高良 | 弦楽器 |
WO2024092053A1 (en) * | 2022-10-25 | 2024-05-02 | Ineedthis, Llc | Universal finger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397760A (en) | 1932-05-31 | 1933-08-31 | Aluminium Ltd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iolins or like instruments |
US2225613A (en) * | 1938-11-16 | 1940-12-24 | Frederick J Alyn | Finger board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DE2614714C3 (de) * | 1976-04-06 | 1978-11-16 | Mirko Prof. 4300 Essen Dorner | Saiteninstrument |
JPS5472519U (ko) * | 1977-10-31 | 1979-05-23 | ||
FR2512245A2 (fr) * | 1981-07-10 | 1983-03-04 | Berton Vincent | Instruments de musique a cordes de type baton |
JPS60145487U (ja) * | 1984-03-08 | 1985-09-27 | 住出 隆義 | 再帰反射材付き楽器及び付属品 |
CN1018960B (zh) * | 1987-03-26 | 1992-11-04 | 揭阳县白石塑料电器厂 | 乐弓弓身的制造方法 |
US4969381A (en) * | 1987-07-31 | 1990-11-13 | Kuau Technology, Ltd. | Composite-materials acoustic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JP2688646B2 (ja) * | 1988-09-09 | 1997-12-10 |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 弦楽器、ネック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4951542A (en) * | 1989-08-28 | 1990-08-28 | Tong Ho Musical & Wooden Works Co., Ltd. | Electric guitar neck |
JPH0444696A (ja) | 1990-06-11 | 1992-02-14 | Hitachi Ltd | スタティック型ram |
JPH0444696U (ko) * | 1990-08-20 | 1992-04-15 | ||
US5955688A (en) | 1996-05-13 | 1999-09-21 | Cook; Richard L. | Composite string instru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uch apparatus |
US6100458A (en) * | 1999-03-24 | 2000-08-08 | Horizon Sports Technologies, Inc. | Neck for stringed instrument |
GB9919922D0 (en) * | 1999-08-24 | 1999-10-27 | Univ Loughborough | Acoustic device |
JP2001117558A (ja) | 1999-10-22 | 2001-04-27 | Bunkyo Gakki Seizo Kk | 楽 弓 |
EP1182641B1 (de) * | 2000-08-23 | 2005-11-09 | Martin Schleske | Resonanzplatte in Faserverbund-Bauweise |
US6350939B1 (en) * | 2001-01-16 | 2002-02-26 | Chris Griffiths | Neck block system for acoustic stringed instruments |
US6965065B2 (en) * | 2001-12-12 | 2005-11-15 | Mcpherson Mathew | Neck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US7112733B1 (en) * | 2003-07-30 | 2006-09-26 | Babicz Jeffrey T | String instrument |
US7763786B2 (en) * | 2004-11-12 | 2010-07-27 | Jones Donald B | Unitary fingerboard and method of making same |
CN101218624A (zh) * | 2005-07-11 | 2008-07-09 | 科兹莫斯·M.·莱尔斯 | 保持相对音调的弦乐器 |
CN100458912C (zh) * | 2008-02-01 | 2009-02-04 | 西安音乐学院 | 系列秦胡空心底座 |
JP2010044112A (ja) | 2008-08-08 | 2010-02-25 | Yamaha Corp | 電子鍵盤楽器用鍵 |
US8962956B2 (en) * | 2008-12-30 | 2015-02-24 | Allred & Associates Inc. | Neck stiffen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
CN102214456B (zh) * | 2010-04-07 | 2013-03-13 | 雅马哈株式会社 | 弦乐器弓杆、弦乐器弓及弦乐器弓杆的制造方法 |
-
2011
- 2011-12-23 CN CN201711010628.XA patent/CN108039161A/zh active Pending
- 2011-12-23 WO PCT/IB2011/055944 patent/WO201209014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23 EP EP20110813431 patent/EP2659479B1/en active Active
- 2011-12-23 CN CN2011800632877A patent/CN103314406A/zh active Pending
- 2011-12-23 US US13/997,859 patent/US1019901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12-23 KR KR1020137019867A patent/KR2014001296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12-23 JP JP2013546804A patent/JP2014504742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199016B2 (en) | 2019-02-05 |
EP2659479B1 (en) | 2015-05-06 |
CN108039161A (zh) | 2018-05-15 |
WO2012090145A1 (en) | 2012-07-05 |
CN103314406A (zh) | 2013-09-18 |
JP2014504742A (ja) | 2014-02-24 |
EP2659479A1 (en) | 2013-11-06 |
US20140144305A1 (en) | 2014-05-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12969A (ko) | 사운드 품질 개선을 위한 현악기용 부품 | |
US8378191B2 (en) | Soundboard bracing structure system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 |
US3880040A (en) | Sound board for stringed instrument | |
US5955688A (en) | Composite string instrument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such apparatus | |
US6051764A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formed from bamboo plates | |
US6664452B1 (en) | Acoustic guitar having a composite soundboard | |
US20110005366A1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
US10909954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composite sound board | |
US8389837B1 (en) | Stringed instrument having a fretboard cantilevered over the soundboard | |
JP4414483B1 (ja) | 弦楽器 | |
US11763782B2 (en) | Bowed instrument | |
JP2008052054A (ja) | アコースティックギター系弦楽器 | |
US20040129127A1 (en) | Violin with enhanced components | |
EP1020842B1 (en) | Stringed musical instrument formed from bamboo plates | |
US20120297953A1 (en) | Musical Instrument | |
US20210125586A1 (en) | Panel board for musical instrument | |
CN210119968U (zh) | 改善弦乐器上的弦功能的元件 | |
EA044853B1 (ru) | Смычковый инструмент | |
RU2104590C1 (ru) | Акустическая шестиструнная гитара а.н.овчинникова | |
WO2012126060A1 (en) | A stringed musical instrument | |
HU231219B1 (hu) | Vonós hangszer | |
Stenzel | From a guitar maker’s notes: A plea for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of classical guitar soundboards | |
AU2009273127B1 (en) | Soundboard bracing structure system for musical stringed instru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