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690A -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 - Google Patents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690A
KR20140011690A KR1020120078408A KR20120078408A KR20140011690A KR 20140011690 A KR20140011690 A KR 20140011690A KR 1020120078408 A KR1020120078408 A KR 1020120078408A KR 20120078408 A KR20120078408 A KR 20120078408A KR 20140011690 A KR20140011690 A KR 201400116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hange
amount
motion
proxim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8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7688B1 (ko
Inventor
이준행
류현석
이규빈
델브럭 토비
버너 라파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8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688B1/ko
Priority to US13/940,349 priority patent/US9243904B2/en
Priority to EP13176770.9A priority patent/EP2687813B1/en
Publication of KR2014001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04Systems determining the presence of a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02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 H03K2217/94108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ivation making use of refl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217/00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 H03K2217/94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 H03K2217/941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 H03K2217/94116Indexing scheme related to 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or -breaking covered by H03K17/00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using an optical detector increasing reliability, fail-saf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Optical Distance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이 개시된다.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는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량 변화 감지부;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PROXIMITY SENSOR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USING LIGHT QUANTITY OF REFLECTION LIGHT}
이하의 일실시예들은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출력광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광원을 이용하여 광량 변화 감지 장치로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량 변화 감지 기술은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변화하는 광량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광량 변화 감지 기술은 광량의 값을 측정하지 않고, 광량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므로 사용자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와 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없었다.
반면, 근접 센서는 사용자와의 거리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이므로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광량 변화 감지 기술로 사용자와 센서 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으면서 동작하지 않는 사용자의 근접 여부도 판단할 수 있는 센서가 필요하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는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량 변화 감지부;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근접 판단부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근접 판단부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근접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에서 상기 이벤트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과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광량 변화 감지부는 광원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방향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종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싱 방법은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광량 변화 감지부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일례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와 오브젝트 간의 거리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광량 변화 감지부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광량 변화 감지부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근접 센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100)는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와 근접 센서(100)간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근접 센서(10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와 근접 판단부(120), 및 동작 인식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광원(101)이 출력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102)는 사용자 또는 물체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광량은 오브젝트(102)과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에 따라 근접 센서(100)가 수신하는 광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출력광 중에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수신할 수 있는 반사광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한 반사광의 광량도 증가할 수 있다.
반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가 멀수록 출력광 중에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수신할 수 있는 반사광의 비율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가 멀수록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한 반사광의 광량도 감소할 수 있다.
즉,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수신하는 반사광의 광량은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간의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에 따른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는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광량은 오브젝트(102)의 동작이나 출력광의 세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02)가 근접 센서(100)에게 접근하는 경우, 반사광의 비율이 증가하여 광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오브젝트(102)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오브젝트(102)에 의하여 광량이 변화하지 않으므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1)은 출력광의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오브젝트(102)가 동작하지 않더라도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01)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에 대응하여 변화하는 반사광의 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광의 세기 변화에 따른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오브젝트(102)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102)는 손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사용자가 제어하는 물체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오브젝트(102)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은 오브젝트(102)의 동작으로 인해서 영상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이 증가하거나 또는 감소하는 것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의 광량이 아니라 주변에서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이 오브젝트에 의하여 차단되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A위치에서 B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B위치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의해 수신하는 광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B위치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가 B위치에서 A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B위치에는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B위치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은 증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상의 픽셀들이 수신하는 광량은 오브젝트의 동작에 따라 시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광원(101)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는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근접 판단부(120)가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광원(101)이 출력광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고, 동작 인식부(130)가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영상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의 변화를 검출하여 이벤트들을 출력하는 템퍼럴 컨트라스트(temporal contrast) 감지 광 센서일 수 있다.
이때, 템퍼럴 컨트라스트 감지 광 센서는 영상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이 증가하는 경우 온(on) 이벤트들을 출력하고, 영상의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이 감소하는 경우 오프(off) 이벤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템퍼럴 컨트라스트 감지 광 센서는 프레임 없이 비동기로 동작하며 10 us(micro second) 미만의 시간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근접 판단부(120)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이며,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일 수 있다.
또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는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와 반비례할 수 있다. 즉, 근접 판단부(12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이때, 근접 판단부(120)는 추정한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오브젝트(102)가 근접 센서(100)에 근접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판단부(120)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은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부터 다음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까지일 수 있다.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할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세기가 변화한 출력광 및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에 따라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광량의 값이 아니라 광량이 변화하였는지 여부만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다음 추가적인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없는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광량의 변화는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에 근접한 시간일수록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많을 수 있다. 또한,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에서 시간이 경과할수록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다. 즉,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에서 일정 시간 이후에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는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와 관련이 적을 수 있다.
따라서, 근접 판단부(120)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만을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 판단에 이용함으로써,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와 관련이 적은 이벤트가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 판단에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근접 판단부(120)가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근접 판단부(120)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할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세기가 변화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세기가 변화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까지 이동하는 시간과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이 광량 변화 감지부(110)까지 이동하는 시간의 합일 수 있다.
따라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은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에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일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시간일 수 있다. 그러므로, 근접 판단부(120)는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에서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과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근접 판단부(120)가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해야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의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 광원(101)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는 경우에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01)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자신을 구동하지 않고, 동작 인식부(130)를 구동할 수 있다.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오브젝트(102)의 동작은 오브젝트(102)가 광량 변화 감지부(110)의 감지 범위 안에서 이동한 횟수, 및 이동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일 수 있다. 또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의 감지 범위 안에서 오브젝트(102)가 이동한 횟수일 수 있다.
또한,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기준값을 초과한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광원(101)이 출력광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주변의 광이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을 감지하므로, 근접 센서(100)의 이동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발생하는 이벤트는 사용자가 근접 센서(100)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발생 시킨 이벤트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인식부(130)는 일정 기간 동안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이벤트들을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입력한 이벤트로 판단하고, 해당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기준값은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가 사용자가 의도에 따라 발생한 이벤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횟수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준값은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기간 동안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동작 인식부(130)는 초과 횟수를 카운트 하고, 초과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패턴으로 오브젝트(102)를 이동할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이벤트들을 출력하는 간격도 일정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기준값을 초과한 시간들의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방향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인식부(130)는 연속된 영상의 픽셀들 중에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한 픽셀들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인식부(13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기준값을 초과한 경우, 연속된 영상에서 해당 이벤트들의 위치가 변화하는 방향을 기초로 오브젝트(102)의 동작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동작 인식부(130)는 온(on) 이벤트와 오프(off) 이벤트들의 출력 위치에 따라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인식부(130)는 오브젝트(102)가 온(on) 이벤트가 출력된 위치에서 오프(off) 이벤트가 출력된 위치로 이동하는 것으로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광원(101)은 케이스(case) 1과 같이 세기가 강한 출력광(2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는 출력광(210)이 오브젝트(120)에 반사된 반사광(211)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측정한 광량은 주변에서 픽셀에 입사되는 광량과 반사광(211)의 광량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211)의 광량만큼 광량이 증가한 것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100)의 근접 판단부(120)는 반사광(211)의 광량이 증가한 정도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광원(101)이 케이스(case) 1과 같이 세기가 강한 출력광(210)을 계속 출력하는 경우, 반사광(211)의 광량이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없으므로 근접 센서(100)는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를 판단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1)은 일정 시간 동안 케이스(case) 1과 같이 세기가 강한 출력광(210)을 출력하면, 출력의 세기를 변화하여 케이스(case) 2와 같이 세기가 약한 출력광(2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는 출력광(220)이 오브젝트(120)에 반사된 반사광(221)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221)의 광량이 반사광(211)의 광량보다 감소한 것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100)의 근접 판단부(120)는 반사광(221)의 광량이 반사광(211)의 광량보다 감소한 정도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광원(101)은 일정 시간 동안 케이스(case) 2와 같이 세기가 약한 출력광(220)을 출력하면, 출력의 세기를 변화하여 케이스(case) 1과 같이 세기가 강한 출력광(2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는 출력광(210)이 오브젝트(120)에 반사된 반사광(211)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211)의 광량이 반사광(221)의 광량보다 증가한 것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근접 센서(100)의 근접 판단부(120)는 반사광(211)의 광량이 반사광(221)의 광량보다 증가한 정도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와 근접 센서(100)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100)는 출력광의 세기를 변화시키는 광원(101)을 이용함으로써, 광량 변화 감지부(110)로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와 오브젝트 간의 거리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는 케이스(case) 1과 같은 근거리, 케이스(case) 2와 같은 중거리, 케이스(case) 3와 같은 장거리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케이스(case) 1과 같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가까운 경우, 근접 센서(100)는 출력광(310)이 오브젝트(120)에 반사된 반사광(311)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광(310)이 반사된 반사광(311)을 모두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반사광(311)의 광량의 변화의 폭은 출력광(310)의 세기 변화의 폭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case) 2와 같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중간인 경우, 근접 센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광(320)이 반사된 반사광(321) 중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반사광(321)의 광량의 변화의 폭은 출력광(320)의 세기 변화의 폭보다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case) 3과 같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먼 경우, 광원(101)이 출력한 출력광(330)은 오브젝트(102)에 거의 반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광량의 변화는 출력광(101)과 상관 없는 광의 시간적 광량일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광량의 변화는 출력광(320)의 세기 변화와 대응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광량 변화 감지부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광원(10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High)(411)과 로우(Low)(412)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케이스(case) 1과 같은 근거리인 경우, 반사광의 광량이 출력광의 세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하는 경우,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의 광량이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고, 다수의 이벤트(42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하는 이벤트(421)는 반사광의 광량이 증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온(on) 이벤트(420)일 수 있다. 그리고, 광원(101)이 세기를 하이(411)로 설정한 출력광을 출력하는 동안, 반사광의 광량은 추가적으로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출력하는 온(on) 이벤트(420)의 개수를 감소할 수 있다. 이때, 근접 판단부(120)는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다수의 이벤트(421)의 개수, 또는 온(on) 이벤트(420)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에서 로우(412)로 변경하는 경우,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반사광의 광량이 감소하는 것을 감지하고, 다수의 이벤트(43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하는 이벤트(431)는 반사광의 광량이 감소하는 것을 나타내는 오프(off) 이벤트(430)일 수 있다.
즉,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케이스(case) 1과 같은 근거리인 경우,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하는 시간, 및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로우(412)로 변경하는 시간에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복수의 이벤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반면,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케이스(case) 2와 같은 장거리인 경우, 근접 센서(100)는 도 3의 케이스(case) 2, 또는 케이스(case) 3과 같이 반사광을 적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하더라도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는 적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감지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에 따라 소수의 이벤트(422)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하는 이벤트(422)들의 개수는 이벤트(421)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또한,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에서 로우(412)로 변경하더라도,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는 적을 수 있다. 그러므로, 근접 센서(100)의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감지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에 따라 케이스(case) 1보다 적은수의 이벤트(432)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하는 이벤트(432)들의 개수는 이벤트(431)의 개수보다 적을 수 있다.
즉,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와 간의 거리가 케이스(case) 2와 같은 장거리인 경우,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변경하는 시간과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이벤트들을 출력하는 시간 간의 관계가 적을 수 있다.
따라서, 근접 센서(100)는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변경하는 시간과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복수의 이벤트들을 출력하는 시간 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라 광량 변화 감지부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인식하는 과정의 일례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100)는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가 반사광의 광량이 출력광의 세기에 대응할 수 있는 근거리인 경우,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 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할 경우,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세기가 변화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은 세기가 변화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까지 이동하는 시간과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이 광량 변화 감지부(110)까지 이동하는 시간의 합일 수 있다.
또한, 오브젝트(102)의 형상에 따라 반사광 각각에 대응하는 일정 시간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102)에 근접 센서(100) 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있는 경우, 근접 센서(100)는 다른 부분에 반사된 반사광보다 해당 부분에 반사된 반사광을 먼저 수신할 수 있다. 즉, 오브젝트(102)의 형상에 따라 근접 센서(100)가 반사광을 수신하는 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도 시간에 따라 일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반사광 중에서는 오브젝트(101)의 본체에 반사된 반사광이 가장 많을 수 있다. 따라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가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은 오브젝트(101)의 본체에 반사된 반사광을 수신한 시간일 수 있다. 그러므로, 근접 판단부(120)는 그러므로, 근접 판단부(120)는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에서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과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이스(case) 1과 같이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510)이 B2인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한 시간과 B2 간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case) 2와 같이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520)이 B1인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한 시간과 B1 간의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근접 센서(100)와 오브젝트(102)간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이 케이스(case) 1에서 케이스(case) 2로 변화하는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이벤트들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시간(520)과 광원(101)이 출력광의 세기를 하이(411)로 변경한 시간의 차이가 감소하였으므로 오브젝트(102)가 근접 센서(100) 방향으로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근접 센서의 근접 센싱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610)에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근접 센서(100)가 수신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근접 센서(100)가 수신한 광량의 변화는 광원(101)이 출력한 출력광이 오브젝트(102)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일 수도 있고, 오브젝트(102)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일 수도 있다. 또한, 광량 변화 감지부(110)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을 출력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이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원(101)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는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광원(101)이 온(on)되어 동작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계(620)에서 광원이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단계(610)에서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로 판단하여 단계(630)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620)에서 광원이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근접 판단부(120)는 단계(610)에서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오브젝트(102)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로 판단하고, 동작 인식부(130)를 구동하여 단계(65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근접 판단부(120)는 단계(610)에서 출력한 이벤트 중에서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출력한 이벤트들을 식별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은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부터 다음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까지일 수 있다.
단계(640)에서 근접 판단부(120)는 단계(630)에서 식별한 이벤트들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접 판단부(120)는 단계(630)에서 식별한 이벤트들의 개수 및 단계(630)에서 식별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을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650)에서 동작 인식부(130)는 단계(610)에서 감지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동작 인식부(130)는 단계(610)에서 출력한 이벤트들의 개수,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 이벤트들의 방향, 및 이벤트들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102)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이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이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근접 센서
101: 광원
102: 오브젝트
110: 광량 변화 감지부
120: 근접 판단부

Claims (21)

  1.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량 변화 감지부;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판단부
    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판단부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판단부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판단부는,
    상기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에서 상기 이벤트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과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변화 감지부는,
    광원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동작 인식부
    를 더 포함하는 근접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방향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인식부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종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서.
  11.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된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 및 반사광의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 및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벤트들의 시간별 분포 패턴에서 상기 이벤트가 가장 많이 발생한 시간과 출력광의 세기 변화가 발생한 시간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광원이 세기가 변화하는 출력광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근접 센싱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횟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싱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간격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싱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발생 방향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싱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을 인식하는 단계는,
    오브젝트의 동작과 관련된 광량의 변화에 기초한 이벤트들의 종류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동작을 인식하는 근접 센싱 방법.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20078408A 2012-07-18 2012-07-18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KR102017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08A KR102017688B1 (ko) 2012-07-18 2012-07-18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US13/940,349 US9243904B2 (en) 2012-07-18 2013-07-12 Proximity sensor and proximity sensing method using light quantity of reflection light
EP13176770.9A EP2687813B1 (en) 2012-07-18 2013-07-17 System and method for proximity sensing using changed light quantity of reflection ligh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8408A KR102017688B1 (ko) 2012-07-18 2012-07-18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690A true KR20140011690A (ko) 2014-01-29
KR102017688B1 KR102017688B1 (ko) 2019-09-04

Family

ID=4879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08A KR102017688B1 (ko) 2012-07-18 2012-07-18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243904B2 (ko)
EP (1) EP2687813B1 (ko)
KR (1) KR1020176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306A (ko) * 2014-04-30 2017-02-08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비동기식 광센서로 관찰한 장면에서 모양을 추적하는 방법
KR20170103115A (ko) * 2016-03-03 2017-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초고주파 레이더를 이용한 코드 판독 방법 및 장치
KR20180047457A (ko) *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사용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102241718B1 (ko) * 2019-11-11 2021-04-19 (주)시그봇 센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32565B2 (en) 2009-12-16 2015-05-19 Kohler Co. Touchless faucet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JP2016018432A (ja) * 2014-07-09 2016-02-01 ローム株式会社 ユーザインタフェイス装置
CN106303021A (zh) * 2016-08-12 2017-01-04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屏幕工作状态控制方法及装置
CN106506794A (zh) * 2016-09-05 2017-03-15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的状态监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6357922B (zh) * 2016-10-12 2018-05-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的状态监测方法、装置及终端设备
EP3372357A1 (en) * 2017-03-10 2018-09-12 Koninklijke Philips N.V. Handheld personal care device and method of estimating a position and/or an orientation of a handheld personal device relative to a subject
CN107179609A (zh) * 2017-06-12 2017-09-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虚拟现实眼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861A (en) * 1991-04-01 1992-11-10 Tamburino Louis A Laser imaging and ranging system using one camera
KR20050108666A (ko) * 2004-05-12 2005-11-1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공초점 원리를 이용한 레이저의 최적 초점거리 측정장치
KR20060128622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절형 광변조기의 미러 위치 측정 및 보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090098513A (ko) * 2008-03-14 200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97682A (ko) * 2007-11-14 2010-09-03 인터실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 근접 센서 및 근접 감지 방법
KR20110028933A (ko) * 2009-09-14 2011-03-22 (주) 픽셀플러스 근접 여부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8922A (ko) * 2009-09-14 2011-03-22 마루엘에스아이 주식회사 근접센서
JP2011149866A (ja) * 2010-01-22 2011-08-04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26956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37418A3 (en) * 1996-10-18 2006-03-2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input using reflected light image of target object
US6250601B1 (en) * 1997-07-18 2001-06-26 Kohler Company Advanced touchless plumbing systems
JP5115912B2 (ja) * 2001-02-23 2013-01-09 独立行政法人日本原子力研究開発機構 高速ゲート掃引型3次元レーザーレーダー装置
EP1410755A4 (en) 2001-06-15 2009-01-28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CONTROL DEVICE
EP1958433B1 (en) 2005-06-03 2018-06-27 Universität Zürich Photoarray for detecting time-dependent image data
US7714265B2 (en) 2005-09-30 2010-05-11 Apple Inc. Integrated proximity sensor and light sensor
SG139579A1 (en) * 2006-07-20 2008-02-29 Cyclect Electrical Engineering A foreign object detection system
US8970501B2 (en) 2007-01-03 2015-03-03 Apple Inc. Proximity and multi-touch sensor detection and demodulation
DE102007004632A1 (de) * 2007-01-30 2008-07-31 Sick Ag Verfahren zur Erfassung eines Gegenstands und optoelektronische Vorrichtung
JP5190663B2 (ja) * 2007-03-27 2013-04-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距離画像生成装置
KR100942293B1 (ko) 2007-07-12 2010-02-16 주식회사 토비스 광을 이용한 터치 센싱 방법 및 그에 따른 터치패널 장치와시스템
EP2189814B1 (de) * 2008-11-21 2010-07-21 Sick Ag Optoelektronischer Sensor und Verfahren zur Messung von Entfernungen nach dem Lichtlaufzeitprinzip
JP4647004B2 (ja) 2008-11-25 2011-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光検出半導体装置およびモバイル機器
KR100992411B1 (ko) 2009-02-06 2010-11-05 (주)실리콘화일 피사체의 근접여부 판단이 가능한 이미지센서
US20110026770A1 (en) * 2009-07-31 2011-02-03 Jonathan David Brookshire Person Following Using Histograms of Oriented Gradients
US8692200B2 (en) 2010-01-06 2014-04-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Optical proximity sensor with improved dynamic range and sensitivity
EP2418573A2 (en) 2010-08-13 2012-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displayed object
US9167991B2 (en) * 2010-09-30 2015-10-27 Fitbit, Inc. Portable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8294879B2 (en) * 2010-11-15 2012-10-23 Raytheon Company Multi-directional active sensor
JP5185354B2 (ja) * 2010-11-26 2013-04-17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光学モーションセンサー
GB2485995B (en) * 2010-11-30 2014-01-01 St Microelectronics Res & Dev Improved proximity sensor and associated method,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firmware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861A (en) * 1991-04-01 1992-11-10 Tamburino Louis A Laser imaging and ranging system using one camera
KR20050108666A (ko) * 2004-05-12 2005-11-17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공초점 원리를 이용한 레이저의 최적 초점거리 측정장치
KR20060128622A (ko) * 2005-06-10 2006-12-14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절형 광변조기의 미러 위치 측정 및 보상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20100097682A (ko) * 2007-11-14 2010-09-03 인터실 아메리카스 인코포레이티드 근접 센서 및 근접 감지 방법
KR20090098513A (ko) * 2008-03-14 2009-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8933A (ko) * 2009-09-14 2011-03-22 (주) 픽셀플러스 근접 여부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28922A (ko) * 2009-09-14 2011-03-22 마루엘에스아이 주식회사 근접센서
JP2011149866A (ja) * 2010-01-22 2011-08-04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制御方法
KR20120026956A (ko) * 2010-09-10 2012-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동작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306A (ko) * 2014-04-30 2017-02-08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비동기식 광센서로 관찰한 장면에서 모양을 추적하는 방법
KR20170103115A (ko) * 2016-03-03 2017-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초고주파 레이더를 이용한 코드 판독 방법 및 장치
KR20180047457A (ko) * 2016-10-31 2018-05-10 (주) 씨앤피 사용 모드 자동 전환 기능을 가진 전자 확대기
KR102241718B1 (ko) * 2019-11-11 2021-04-19 (주)시그봇 센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22528A1 (en) 2014-01-23
EP2687813A1 (en) 2014-01-22
EP2687813B1 (en) 2020-10-28
US9243904B2 (en) 2016-01-26
KR102017688B1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7688B1 (ko) 반사광의 광량 변화를 이용한 근접 센서
KR101326991B1 (ko) 노면의 성질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US8810719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amera sensing circuit and object sensing circuit used for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operation modes and relate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074857B1 (ko) 이벤트 기반 비전 센서를 이용한 근접 센서 및 근접 센싱 방법
US9218076B2 (en) Electronic device
US10101819B2 (en) Control system for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gesture sensing arrangement
US8013841B2 (en) Enhanced lift detection technique for a laser illuminated optical mouse sensor
JP2016529474A5 (ko)
US20090195503A1 (en) Reporting optical tracking data based on integrated resolution switching and surface detection
KR102357965B1 (ko) 객체 인식 방법 및 장치
KR20170121933A (ko) 깊이 센서를 이용한 충돌 회피 방법 및 그 장치
TWI464629B (zh) 座標定位模組、光學式觸控系統、偵測主動式觸控媒介之電量的方法、及切換主動式觸控媒介之使用模式的方法
US9367148B2 (en) Selective frame rate switching
KR101279779B1 (ko) 근접센싱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8652B1 (ko) 시차 결정 방법 및 장치
US9134855B2 (en) Positioning module, optical touch system and method of calculating a coordinate of a touch medium
US20140146019A1 (en) Positioning module, optical touch system and method of calculating a coordinate of a touch medium
US8237375B2 (en) Illumin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746961B2 (en) Background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backgr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5760938B2 (ja) 光学式センサ
KR102006782B1 (ko) 모바일기기의 표시장치 제어방법
KR102074385B1 (ko) 발광다이오드 구동 제어 장치 및 그것의 제어 신호 제공 방법
KR20200083360A (ko) 오브젝트 탐지 방법 및 장치
CN115955602A (zh) 减少运动激活相机系统中的错误触发
US20150091445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riving of lighting-emitting diode and method of providing control signal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