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1130A -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1130A
KR20140011130A KR1020120077896A KR20120077896A KR20140011130A KR 20140011130 A KR20140011130 A KR 20140011130A KR 1020120077896 A KR1020120077896 A KR 1020120077896A KR 20120077896 A KR20120077896 A KR 20120077896A KR 20140011130 A KR20140011130 A KR 20140011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writing
resin
writing instrument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501B1 (ko
Inventor
이경섭
유봉기
박재열
Original Assignee
동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현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현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501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electromagne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자기장의 반응으로 좌표상의 위치를 인식하는 전자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시트와의 반응이 전자 필기구의 끝단에서만 일어나도록, 자기장이 펜의 주위로 집속되는 복수 코어 구조를 갖는 전자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자필기구의 유도 자속선을 제2코어부에 의해 집속되게 함으로써, 자속선의 경로는 짧게, 면적은 작게 하여, 인덕턴스 값은 크게 하면서 그 변화율은 낮게 하여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 인식이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위치인식용 전자필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An electronic pen for recognizing a coordinate position and a position-recognizing device using this pen.}
본 발명은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에 있어서, 자기장의 반응으로 좌표상의 위치를 인식하는 전자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시트와의 반응이 전자 필기구의 끝단에서만 일어나도록, 자기장이 펜의 주위로 집속되는 이중 코어 구조를 갖는 전자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전자 기기에서 이전의 종이와 펜으로 이루어지는 메모 방식을 구현하는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이는 종래의 메모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작은 화면의 스마트 폰에서의 자판을 입력해야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종래의 1회성 메모 대신 이를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함으로써 편집이 가능한 형태로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자기기에서의 위치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메모 방식은 좌표계를 갖는 시트(sheet) 형상의 위치검출부, 위치인식장치의 후면에 위치한 금속 자성 시트(sheet), 및 위치 검출부의 유도교류자기장과 반응하여 위치 값을 전달하는 전자필기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위치인식장치는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나, 태블릿 장치 등에 적용되어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해상도가 높아지면서, 금속자성시트의 투자율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금속자성시트의 투자율이 증가함에 따라, 전자 필기구에서 발생되는 유도 자기장이 금속자성시트의 자성에 영향받아, 자속 선로의 왜곡이 발생되는 등, 이전에는 되지 않았던 발생되지 않았던 새로운 문제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2005-0018708호는 모바일 기기용 디지타이저 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위치 인식의 정확도나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펜의 내부에 원통형 바렐을 형성하고, 이러한 바렐 내부에 회전중심에서 벗어나는 부위에 웨이트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회전중심과 무게중심을 서로 다르게 하여 펜이 평평한 면에서도 잘 구르지 않게 함으로써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현재까지 관련하여 디지타이저와 LCD 패널을 일체화하는 기술 등에 대해서는 관련 기술이 많이 연구되었으나, 펜 자체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모바일 스마트 기기, 태블릿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위치인식용 장치는 크게 세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는 금속 자성시트, 두번째는 금속자성시트의 상부에 마련된 위치검출부, 세번째는 위치검출부의 교류자기장으로부터 생성된 유도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전자필기구, 즉 전자 펜이다. 그러나 휴대용 전자기기에 소형화, 박형화, 고해상도화가 요구됨에 따라, 가장 하부에 존재하는 금속 자성시트의 투자율도 높아질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금속 자성시트의 투자율이 높아지면, 이전과는 다르게 전자 필기구의 각도가 화면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전자 필기구의 유도 자속선이 금속 자성시트의 자성과 반응하여, 전자 필기구의 유도 자속선이 왜곡되고, 왜곡됨에 따라, 자기장이 불안정해지고, 결과적으로 불안정한 자기장에 의해 위치 검출부와의 상호 반응도 불안정해져, 위치 검출부에서 일정 신호를 받지 못해, 위치검출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고해상도에서는 전자 필기구 내부에 기존보다 높은 유도전류를 생성시켜야 하는데, 이는 자속선의 경로를 짧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필기구 내부의 코어부와 코일부의 설계를 통해 구조적인 개선을 이루어, 기존의 구조보다 더 큰 유도기전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유도자속선의 경로를 펜 주위로 집속시켜, 펜이 화면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하부의 금속자성시트와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유도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코어와 코일부 외에 이를 감싸는 외부 코어부를 더 형성하여, 유도자기장을 전자 필기구의 주위에 집속시켜, 자기선속의 경로를 짧게 하여, 결과적으로 높은 인덕턴스값과 금속 자성시트와의 반응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인덕턴스의 크기는 [수학식 1]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
Figure pat00001
L은 인덕턴스 값을 나타내고, λ는 자력선속의 경로의 길이를 나타내며, μ는 물질의 투자율, A는 자성물질의 단면적, n은 전자석의 경우의 금속 코일의 권선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 외부 코어부를 더 형성하여, 유도자기장을 전자 필기구의 주위에 집속시킴으로써, 자기선속의 경로가 짧아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더 큰 인덕턴스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자기선속의 면적이 작아져, 금속 자성시트와의 반응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인 기존의 유도자기장을 형성시키기 위한 코어와 코일부 외에 이를 감싸는 외부 코어부를 더 형성하는 구조로 인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번째로 기존 방식에 비해 유도자기장을 전자 필기구의 주위에 집속시킴으로써, 자기선속의 경로가 짧아지도록 하여, 결과적으로는 더 큰 인덕턴스 값을 얻을 수 있다.
두번째로 더 큰 인덕턴스 값으로 인해, 더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는 높은 위치 인식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
세번째로 유도자기장을 전자 필기구의 주위에 집속시킴으로써, 자기선속의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하부에 존재하는 금속 자성시트와의 반응을 막을 수 있다.
네번째로 상기 금속 자성시트와의 반응을 차단함으로써 기존구조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전자 필기구의 허용각도보다 훨씬 더 큰 각도로 기울이더라도, 기존 구조에서 전자 필기구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전자필기구와 위치검출부, 금속 자성시트로 이루어진 위치인식장치에서 전자필기구를 세워서 메모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기존의 전자필기구를 기울여서 사용하는 경우의 위치인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자필기구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자필기구를 기울여서 사용하는 경우의 위치인식장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은 기존의 전자필기구(100)와 위치검출부(200), 금속 자성시트(300)로 이루어진 위치인식장치에서 전자필기구(100)를 세워서 메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기존의 전자필기구는 내부에 페라이트 등의 연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코어부(111)가 있고, 코어부를 감고 있는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코일부(1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위치인식장치는 위치검출부(200)의 복수개의 금속선들(210)에 의해 유도교류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러한 유도교류자기장에 전자필기구(100) 내의 코어와 코일부가 반응, 유도기전력이 발생된다. 이러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다시 유도자기장이 발생되고, 이 전자필기구(100)와 위치검출부(20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 간의 상호 간섭으로 위치를 인식하게 된다.
도1에서 볼수 있듯이 기존의 전자필기구(100)의 자력선속(140)의 면적은 매우 크나, 전자필기구(100)를 기울여서 사용하지 않으면, 최하부의 금속자성시트(300)와는 서로 반응하지 않아, 사용에 문제가 없다.
도 2는 기존의 전자필기구(100)와 위치검출부(200), 금속 자성시트(300)로 이루어진 위치인식장치에서 전자필기구(100)를 위치검출부(200)와 금속자성시트(300) 방향으로 기울여서 메모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기존의 위치인식장치에서는 최하부의 금속자성시트(300)의 상대 투자율(permeability)이 최대 100μ 였으나, 앞으로는 메모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금속자성시트(300)의 상대 투자율(permeability)이 140μ 이상으로 높아져야 한다. 이러한 상대 투자율의 증가로 전자필기구(100)를 눕혀서 사용하는 경우에 전자 필기구(100)의 유도자기장과 금속자성시트(300)의 자장이 반응하여 결과적으로 전자 필기구(100)의 유도자속선의 왜곡(150)이 발생하고, 금속자성시트(300)와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유도자속선(140)은 왜곡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유도자속선의 왜곡은 결과적으로 유도기전력을 불안정하게 하고, 이러한 유도기전력과 유도자속의 불안정으로 위치검출부(200)에서는 전자필기구(300)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3과 같은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 필기구(400)는 외관의 몸통을 이루는 몸통부(410), 상기 몸통부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 1 코어부(411), 상기 제 1 코어부의 외부에 감겨진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제 1 코일부(412), 상기 제1 코어부와 제2 코일부를 감싸는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 2 코어부(421), 상기 제1 코어부와 제1 코일부에서 발생된 유도전류와 공진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부(420), 상기 전자 필기구의 끝단에 위치하는 팁(4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 1 코어부(411)를 이루는 강자성 물질은 페라이트(Ferrite, MeFe2O4, Me는 금속원소로 Mn, Ni, Co, Cu, Mg, Zn, F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뮤 합금(Mu-metal, Ni-Fe-Cu 간 합금), 펌얼로이(Permalloy), AlNiCo 합금(Al-Ni-Co 합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412)를 이루는 상기 금속 와이어는 구리(Cu), 은(Ag), 금(Au), 알루미늄(Al), 니켈(Ni), 백금(Pt), 팔라듐(Pd)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팁(430)은 몸통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형상으로, 플라스틱 또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코어부를 이루는 자성 물질은 Fe계 나노 결정립 함금, Fe계 비정질 합금, Co계 나노 결정립 함금, 또는 Co계 비정질 합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다.
다른 한편으로는 바인더와 자성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바인더는 염소화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메틸,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금속 입자는 철(Fe), 실리콘(Si), 크롬(Cr), 니켈(Ni), 망간(Mn)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폴리염화비닐수지(PVC)와 폴리우레탄수지의 경우에는 열수축 튜브에 사용되는 물질로, 바인더의 조성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수축하면서 제1코일부와 제2코어부 간의 거리가 가까와 짐에 따라, 유도자속선을 더 강하게 집속시켜, 자속선의 경로를 더 짧게, 면적을 더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코어부의 외부에 이를 감싸는 원통 형상의 추가 코어부와 추가 코일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의 목적과 공정의 허용 여부에 따라 제3, 제4의 코어부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코어부를 더 부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이중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400)를 기울여서 사용하는 경우의 작동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400)는 내부에 복수개의 코어부와 코일부를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유도자기장(440)을 전자필기(400)구의 주변에 집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최하부의 금속자성시트(300)와의 상호 반응에 의한 유도기전력과 유도가력선의 왜곡을 막을 수 있어, 위치검출부(200)에서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인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 필기구(400)에 의한 위치인식장치는 상기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 필기구(200)의 끝단의 위치를 좌표계의 한 지점으로 인식하는 시트(sheet) 형상의 위치 검출부, 금속 자성 시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위치검출부의 위치 신호를 받아들여, 이를 연산하여 일정 정보 값으로 변환하는 연산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검출부(200)는 연성기판과 상기 연성기판 위에 인쇄된 복수 개의 서로 교차하는 가로 금속선과 세로 금속선들(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는 평면위에 금속선을 나선형으로 권선한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도록 전류가 유입되어, 유도 교류자기장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금속 자성시트(300)는 바인더와 자성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인더는 염소화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메틸,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금속 입자는 철(Fe), 실리콘(Si), 크롬(Cr), 니켈(Ni), 망간(Mn)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복수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는 물론 이를 포함하는 위치인식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기기 등에 모두 미칠 것이다.
표1은 기존의 전자필기구와 본발명인 복수개의 코어부를 갖는 전자필기구에 대해서 금속자성시트와의 반응을 실험한 결과이다. 실험은 전자필기구를 LCR meter (HIOKI 3522-50 LCR HITESTER)에 연결하고, 금속 자성시트 위에 두께 2.53 mm의 Spacer 판(acryl panel)을 올린 후, Spacer 판에 펜을 접촉시켜, 560kHz에서의 L값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L값의 변화율이 더 작다는 것은 더 안정적으로 위치를 인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자성시트
상대투자율


Inductance, L (at 560kHz)

기존 구조

이중 코어 구조

펜 수직

펜 수평

L 변화율

펜 수직

펜 수평

L 변화율

100 μ

27.0μH

27.6μH

2.2%

42.5μH

42.7μH

0.47%

140 μ

27.0μH

29.8μH

10.4%

42.5μH

42.9μH

0.94%
상기 표1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구조보다 이중 코어구조를 갖는 전자필기구의 경우가 더 높은 인덕턴스 값을 가지면서도, 펜의 화면에 대한 기울기에 따른 인덕턴스의 변화율은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자성시트의 상대 투자율이 100μ 일 때에는 기존구조에서 펜을 화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평행하게 변화시켰을 때 인덕턴스의 변화율이 기존구조에서는 2.2%, 이중코어구조인 본 발명의 전자필기구에서는 0.47%로 이는 위치검출부와 금속자성시트의 특성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허용할 수 있는 변화치이다.
자성시트의 상대 투자율을 140μ으로 증가시켰을 때에는 기존구조는 펜을 화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평행하게 변화시켰을 때 인덕턴스의 변화율이 10.4%로 크게 증가하고, 이중코어구조인 본 발명의 전자필기구에서는 0.94%로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이는 도2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중 코어구조를 갖는 전자필기구에서는 자속선이 전자필기구 주변으로 집속되어, 최하부의 금속자성시트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기존 구조의 전자필기구에서는 자속선의 경로와 면적이 커, 최하부의 금속자성시트의 자성과 반응하여, 자속선의 경로가 왜곡되기 때문이다.
표1의 결과는 이중코어구조를 갖는 전자필기구의 경우가 더 안정한 인덕턴스 값을 가짐을 나타내며, 절대적인 수치보다는 인덕턴스의 변화가 위치인식에 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중코어구조에 더 큰 인덕턴스 값을 갖는 것은 [수학식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자속선의 집속에 의해 경로의 길이가 감소하여 분모값이 작아지므로, 전체 인덕턴스는 증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구조는 인덕턴스 값은 크게 하면서 그 변화율은 낮게 하여 안정적이고도 정확한 위치 인식이 가능하게 할수 있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
100 : 기존 전자필기구 110 : 몸통부
111 : 코어부 112 : 코일부
120 : 공진회로부 130 : 팁
140 : 왜곡되지 않은 자력선속 150 : 왜곡된 자력선속
200 : 위치검출부 210 : 금속선
220 : 전류 출입부
300 : 금속 자성 시트
400 : 본 발명의 전자필기구 410 : 몸통부
411 : 제1 코어부 412 : 제1 코일부
421 : 제2 코어부
420 : 공진회로부 430 : 팁
440 : 집속된 자력선속

Claims (11)

  1.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전자 필기구의 외관의 몸통을 이루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강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 1 코어부;
    상기 제 1 코어부의 외부에 감겨진 금속와이어로 이루어진 제 1 코일부;
    상기 제1 코일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자성 물질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제 2 코어부;
    상기 제1 코어부와 제1 코일부에서 발생된 유도전류와 공진하여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부;
    상기 전자 필기구의 끝단에 위치하는 팁(tip);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부를 이루는 강자성 물질은 페라이트(Ferrite, MeFe2O4, Me는 금속원소로 Mn, Ni, Co, Cu, Mg, Zn, Fe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뮤 합금(Mu-metal, Ni-Fe-Cu 간 합금), 펌얼로이(Permalloy), AlNiCo 합금(Al-Ni-Co 합금)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팁(tip)은 몸통의 중심축을 따라 관통하는 형상으로, 플라스틱 또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일부를 이루는 상기 금속 와이어는 구리(Cu), 은(Ag), 금(Au), 알루미늄(Al), 니켈(Ni), 백금(Pt), 팔라듐(Pd)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는 제2 코어부의 외부에 이를 감싸는 자성물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추가 코어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부 및 상기 추가 코어부를 이루는 자성 물질은 Fe계 나노 결정립 함금, Fe계 비정질 합금, Co계 나노 결정립 함금, 또는 Co계 비정질 합금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부 및 상기 추가 코어부를 이루는 자성 물질은 바인더와 자성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인더는 염소화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메틸,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염화비닐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금속 입자는 철(Fe), 실리콘(Si), 크롬(Cr), 니켈(Ni), 망간(Mn)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인식용 전자 필기구.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자 필기구;
    상기 전자 필기구의 끝단의 위치를 좌표계의 한 지점으로 인식하는 시트(sheet) 형상의 위치 검출부;
    금속 자성 시트;
    상기 위치검출부의 위치 신호를 받아들여, 이를 연산하여 일정 정보 값으로 변환하는 연산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위치 인식 장치.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연성기판과 상기 연성기판 위에 인쇄된 복수 개의 서로 교차하는 가로 금속선과 세로 금속선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위치 인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연성기판과 상기 연성기판 위에 인쇄된 복수 개의 서로 교차하는 가로 금속선과 세로 금속선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위치 인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자성 시트는 바인더와 자성 금속 입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바인더는 염소화폴리에틸렌, 에틸렌프로필렌디메틸, 실리콘 고무, 아크릴 수지, 아미드계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부티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니트릴-부타디엔계 고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자성 금속 입자는 철(Fe), 실리콘(Si), 크롬(Cr), 니켈(Ni), 망간(Mn)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위치 인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의 전자 필기구를 포함하고, 화면 메모를 기반으로 위치 인식과 정보 저장이 가능한 전자 기기.
KR1020120077896A 2012-07-17 2012-07-17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KR101361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96A KR101361501B1 (ko) 2012-07-17 2012-07-17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896A KR101361501B1 (ko) 2012-07-17 2012-07-17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130A true KR20140011130A (ko) 2014-01-28
KR101361501B1 KR101361501B1 (ko) 2014-02-13

Family

ID=5014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896A KR101361501B1 (ko) 2012-07-17 2012-07-17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58B1 (ko) * 2015-11-16 2016-06-24 주식회사 트레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타이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74599B (ko) 1994-04-06 1996-04-21 Philips Electronics Nv
JP3195528B2 (ja) * 1995-11-01 2001-08-06 株式会社セイコーアイ・インフォテック スタイラスペン及びそのスタイラスペンを使用した座標読取システム
JP2006163798A (ja) 2004-12-07 2006-06-22 Wacom Co Ltd 座標指示器、および、座標入力装置
JP5358834B2 (ja) 2009-02-17 2013-12-04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指示器及び入力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58B1 (ko) * 2015-11-16 2016-06-24 주식회사 트레이스 스타일러스 펜의 기울기 정보를 이용하여 지우개 기능을 구현하는 디지타이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501B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1671B2 (en) Digitiz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40401B1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US10308009B2 (en) Magnetic media holder for printer
US10483625B2 (en) Mobile terminal and coil antenna module
CN104054409B (zh) 数字转换器用磁场屏蔽薄片及制备方法和便携式终端设备
US9158394B2 (en) Stylu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panel
JP6178002B2 (ja) 円筒体用の全方向アンテナ
EP2045696B1 (en) Position indicator and coordinate input device
JP2011022661A (ja) 位置検出装置及びセンサユニット
KR101399021B1 (ko) 디지타이저용 자기장 차폐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기
US9001088B2 (en) Input device
JP2010191588A5 (ko)
JP2006295981A (ja) リーダ/ライタ用アンテナ及び該アンテナを備えたリーダ/ライタ
EP3633823B1 (en) Terminal wireless charging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device, and wireless charging system
JP2017228185A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センサの制御方法
US11662834B2 (en) Electronic erasing device and 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1361501B1 (ko) 좌표계 위치 인식용 전자 필기구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인식 장치.
US20240220036A1 (en) Electronic pen
JP2010015415A (ja) リーダライタ、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可搬記録媒体操作判別方法およびサービス提供方法
JP2014523588A (ja) 入力装置
US20160306485A1 (en) Multi-scale digitizer using 3d magnetic force sensor and magnetic force pen
KR101318453B1 (ko) 근거리 무선통신용 안테나 일체형 자성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1995968A (zh) 电磁感应的输入笔
JP2008193187A (ja) 受信コイルアンテナ
WO2019114403A1 (zh) 一种刷卡引导区域确定方法、装置及读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