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793A -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 Google Patents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793A
KR20140010793A KR1020120077729A KR20120077729A KR20140010793A KR 20140010793 A KR20140010793 A KR 20140010793A KR 1020120077729 A KR1020120077729 A KR 1020120077729A KR 20120077729 A KR20120077729 A KR 20120077729A KR 20140010793 A KR20140010793 A KR 201400107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harger
frequency
efficiency
charging effici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씨아이디티 filed Critical (주) 씨아이디티
Priority to KR102012007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10793A/ko
Publication of KR201400107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7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PC의 표준에 따른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에 관련하여,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는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은, 1차 코일(11)을 구비하는 충전기(2)의 송신부(10)와 2차 코일(21)을 구비하는 휴대기기(3)의 수신부(20)를 포함하고, 1차 코일(11)과 2차 코일(21)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2차 코일(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휴대기기(3)의 배터리(30)를 충전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에서, 휴대기기(3)의 수신부(20)를 충전기(2)의 송신부(10)에 근접시켜 무접점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무접점충전을 초기화 및 재개시하여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인증주파수에 기초하여 충전기(2)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충전기(2)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면, 배터리(30)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Method for Indicating Charging Efficiency and Identifying Charger in Non-Contact Charging System}
본 발명은 무접점충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표준에 따른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에 관련하여, 휴대기기(수신부: 예, 휴대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송신부: 예, 충전패드)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가를 식별하고,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는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기를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의 작동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서는 1회용이 아닌 다회용의 충전식 배터리가 널리 사용된다.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에는 전통적으로 유선(접점) 충전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 무접점(무선) 충전 방식이 도입되어 사용되고 있고, 그 적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휴대기기의 무접점충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는, 대한민국 공고특허 제10-1995-0005819호(1995. 05. 31. 공고)의 '무선 전화기의 무접점충전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2-0063050호(2002. 08. 01. 공개)의 '핸드폰 무선 충전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19164호(2004. 03. 05. 공개)의 '무선 충전을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및 충전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107110호(2004. 12. 20. 공개)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무선 충전 시스템 및 방법과 그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33166호(2007. 03. 26. 공개)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무선충전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7405호(2008. 10. 31. 등록)의 'RFID 리더기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배터리 충전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17303호(2001. 01. 08. 등록)의 '무선 충전 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534호(2005. 10. 31. 등록)의 '무선고주파전력을 충전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폰 배터리' 등이 있다.
대표적인 무접점충전시스템의 하나인 전자기유도방식은, 교류전원이 공급되는 송신기(충전기)에 설치된 1차 코일에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 측의 2차 코일을 접근시키면(올려놓으면),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에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유도기전력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도4는 일반적인 전자기유도 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접점충전시스템(100)은, 크게 송신부(110)와 수신부(120)로 구성된다.
송신부(110)는 교류전원(111)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송신회로(112)와 전자기유도를 위한 1차 코일(113)을 구비하고, 수신부(120)는 송신부(110)의 1차 코일(113)과의 사이에서 전자기유도가 발생되는 2차 코일(121)과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회로(122)를 구비하며, 배터리(130)를 충전회로(122)에 연결하고 2차 코일(121)을 1차 코일(113)에 정해진 위치로 근접시키면(올려놓으면), 2차 코일에 유도된 유도전류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된다.
휴대전화기에 무접점충전시스템을 적용하는 예를 보면, 수신부(2차 코일과 충전회로)가 장착된 '충전용 커버'를 휴대전화기와는 별도로 제작하고, 휴대전화기의 배터리를 커넥터나 케이블 등으로 충전용 커버에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충전용 커버를 송신부인 충전매트에 올려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품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별도의 충전용 커버를 사용할 경우, 휴대전화기의 무접점충전을 위해 별도로 충전용 커버를 소지해야 하는 불편이 있으므로, 휴대전화기의 일부인 배터리커버(배터리 교체를 위해 휴대전화기의 후면을 개폐하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사출물의 후면커버)에 수신부(2차 코일과 충전회로, 이때 충전회로는 휴대전화기의 본체에 설치하기도 함)를 예를 들어 인몰드 사출로 매립함으로써, 별도의 충전용 커버의 소지 없이 휴대전화기 자체로 무접점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전자기유도에 의해 무접점충전을 할 때, 상하 적층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그 중심이 상하로 정확히 일치될 때(양자 코일의 상하 겹친 면적이 최대일 때), 최대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하여 최대의 충전효율을 달성하며, 양자 코일의 겹친 면적이 감소할수록 유도기전력이 점차 감소하여 충전효율이 점점 저하되고, 결국에는 충전이 중단된다.
이와 같은 기술적 배경에 따라, 전자기유도방식 무접점충전의 표준을 마련하고 있는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에서는, 무접점충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으로서 몇 가지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그 첫 번째 표준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중앙에 영구자석을 장착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양자 코일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도(양자 코일의 겹친 면적이 최대가 되게 유지)하는 "자석형 충전기"이다(아래의 표1에서 A1, A5, A9).
두 번째 표준은, 송신부(1차 코일) 위에 수신부(2차 코일)를 올리면, 2차 코일의 위치를 검출하여 스텝핑 모터로 1차 코일을 2차 코일의 위치로 이동하여 2차 코일에 대한 1차 코일의 위치를 정위치 시키는 "코일이동형 충전기"이다(아래의 표1에서 A2, A3, A7).
세 번째 표준은, 송신부에 1차 코일을 다수개 설치하고 여기에 2차 코일을 올리면 2차 코일과 가장 인접한 1차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양자 코일의 겹친 면적을 넓게 유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유도기전력을 높이는 "어레이코일형 충전기"이다(아래의 표1에서 B1, B2 및 B3).
그리고, 네 번째 표준은, 최상의 전력전송제어를 위해 PID(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비례적분미분제어)의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를, 예를 들어 최대 205kHz와 최소 110kHz와 같이 일정 범위에서 가변하여 사용하는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다(아래의 표1에서 A1, A4, A5, A6 및 A8).
위와 같은 WPC의 표준들에 의거하여 다양한 형태의 충전기(예, 충전패드)들이 개발되어 있으며, WPC 표준에서는 Qi Spec. Ver1.1 (Mar. 2012)에서 충전기를 A1~A9 및 B1~B3의 총 12개를 표준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표준에 대한 스펙은 아래의 표1과 같다.
분류 충전위치 자석 1차코일 입력전압
(V)
코일전압
(Vp-p)
충전
주파수
(kHz)
인증
주파수
(kHz)
표준
제안사
A1 유도 O 고정
1개
19±1 200 110~205 175 Fulton
A2 비유도 X 이동
1개
3~12
(초기:8)
50 140 140 Sanyo
/Panasonic
A3 비유도 X 이동
1개
3~12
(초기:6)
100 105~140 140 Sanyo
/Panasonic
A4 비유도 X 고정
2개
5~11
(초기:8)
40 110~180 130 Hanrim
Postech
A5 유도 O 고정
1개
5±5% 100 110~205 175 Fulton
A6 비유도 X 고정
3개
12±5% 100 115~205 175 Fulton
A7 비유도 X 이동
1개
3~12 100 105~140 140 Sanyo
/Panasonic
A8 비유도 X 고정
1개
5~11 100 110~180 130 LGE
A9 유도 O 고정
1개
2~15 100 105~115 115
Fulton
B1 비유도 X 어레이
(다수)
0~20 36 105~113 113
Convenient
Power
B2 비유도 X 어레이
(다수)
0~20 36 105~113 113
Convenient
Power
B3 비유도 X 어레이
(다수)
12±5% 36 105~113 113
Convenient
Power
표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2개의 표준화된 충전기들은 그 동작 방식에 따라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정위치로 유도하는 위치유도(Guided Positioning)의 충전기와 위치비유도(Free Positioning)의 충전기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위치유도 충전기(A1, A5, A9)는, 충전기(충전패드: 송신부)의 1차 코일 중앙에 자석을 적용함으로써, 수신부의 2차 코일 중앙에 자석을 사용한 경우 두 자석의 인력에 의해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최적으로 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위치비유도 충전기는, 다시 송신부의 코일구조와 충전 알고리즘에 따라, 가변주파수형 3종(A8: 1개 코일, A4: 2개 코일, A6: 3개 코일), 코일이동형 3종(A2, A3, A7), 어레이코일형 3종(B1,B2, B3)의 3가지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WPC Qi Spec. Ver1.1에서는 위와 같이 전자기유도방식 충전기(충전패드)에 대한 표준을 정의하고는 있지만, 충전기를 효율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어떠한 규정도 정의하고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표준에 따르는 모든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접점충전 수신기는 상기 표준을 따르는 모든 충전기 위에서 반드시 충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충전기들은 선행 표준들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선된 것들과 이전 표준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개선 전후 표준에 따른 상용 제품이 시장에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 ID 기능을 추가한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칩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는 WPC Qi Spec. Ver1.1에서 표준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WPC Qi Spec. Ver1.1 따라 제작된 여러 종류의 다른 제품에서는 호환성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무접점충전에서는 유선 충전과 달리 단순한 충전이 가능하다는 것과 충전이 효율적으로 실행되는 것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전술한 코일이동형 충전기와 어레이코일형 충전기는 자석형 충전기에 비해 부품수의 증가 등으로 상대적으로 제품 가격이 상승하는 것은 물론이고, 코일이동형은 모터가 받는 부하를 줄이기 위해 1차 코일의 무게를 제한해야 하는 한계가 있고, 어레이코일형은 1차 코일들의 어레이 구조로 인해 송신부의 크기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한편 각 1차 코일들의 크기를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코일이동형 충전기와 어레이코일형 충전기는, 자석형 충전기에 비해 10% 이상의 충전효율 저하가 발생하고, 따라서 현실적으로 자석형 충전기가 상대적으로 더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석형 충전기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양자 코일의 상하 위치를 정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이를 휴대전화기에 적용할 경우에, 자석으로 인하여 휴대전화기의 사이즈 및 중량증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적용한 자석이 휴대전화기에 내장되어 있는 자계를 이용한 장치(예, 나침반이나 자이로 센서 등)의 오동작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현실의 많은 제품들에서는 자석을 배제하고 설계하는 실정이다.
상기 가변주파수형 충전기는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를 예를 들어 최대 205kHz와 최소 110kHz의 범위(예, A1 형)에서 가변하여 사용한다. 즉, 충전주파수로서,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위치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정위치의 조건에서는 기본적으로 205kHz 또는 이에 근접한 주파수를 사용하고, 1차 코일에 대해 2차 코일이 그 정위치로부터 벗어날수록 110kHz 쪽의 점차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면서 1차 코일에 인가하는 전류를 증가시켜 전체의 무접점충전효율을 적어도 일정 효율 이상으로 유지한다.
그러나 WPC의 표준에 따라 충전주파수를 가변하여 충전효율을 개선하여도, 비록 유도기전력이 발생하는 범위 내라고 하더라도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정위치로부터 벗어나 있게 되면 예를 들어 최소의 유도기전력이 유도되는 최외곽에서는 그 효율이 최대효율 대비 20% 이상 저하되는 등 충전효율 보상에 충분하지 못한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
충전효율이 낮은 최외곽의 경우 2차 코일의 정류회로는 유입된 유도기전력의 저하로 인한 충전전압의 부족분을 보상하기 위하여 1차 코일에 더 많은 전압 상승을 요청하게 되고, 이런 상승된 전압은 1차 코일로부터 2차 코일이 벗어난 정도만큼 2차 코일의 한쪽으로만 유입되어 전류가 상승하므로 인하여 발열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WPC 표준 중에 가변주파수형 무접점충전시스템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16100호(충전효율표시장치를 구비한 무접점충전시스템 및 충전효율 표시방법)를 제안하였으며, 본 무접점충전시스템은, 송신부에 수신부를 근접시켜 충전을 실행할 때, 1차 코일과 2차 코일 사이의 전자기유도에 사용되고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산출된 충전효율을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충전효율이 높은 위치로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가능한 높은 충전효율로 무접점 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특허출원 제10-2011-0116100호의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WPC의 표준에 따른 12 가지 충전기 중에, 상기 표1의 A1, A4, A5, A6, 및 A8의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에만 적용되는 시스템이므로, 특허출원 제10-2011-0116100호의 방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WPC의 표준에 따른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에 관련하여, 휴대기기(수신부: 예, 휴대전화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기(송신부: 충전패드)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판별하고,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는 가변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최고의 충전효율을 갖는 최적의 위치로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가능한 높은 충전효율로 무접점 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가 아닐 경우에는 충전효율표시를 실행하지 아니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1차 코일을 구비하는 충전기의 송신부와 2차 코일을 구비하는 휴대기기의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2차 코일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에 적용되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휴대기기의 상기 수신부를 상기 충전기의 상기 송신부에 근접시켜 무접점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무접점충전을 초기화 및 재개시하여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증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가 상기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상기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무접점충전 개시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기기의 자계센서에 의해 상기 송신부의 자석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인증주파수의 검출 단계 이후에, 일시적으로 상기 수신부의 충전전류의 설정치를 급변시키거나 상기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0mA 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주파수의 변화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때 상기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의 식별단계에서, 상기 인증주파수와 함께 상기 충전주파수의 변화폭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휴대기기의 디스플레이에 상기 수신부의 2차 코일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에 의하면, WPC 표준에 따라 여러 가지 다양한 형으로 제작되어 있는 충전기들에 대하여, 먼저 휴대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한 후에,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만 검출된 충전주파수에 근거한 충전효율을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여, 송신부의 1차 코일에 대한 수신부의 2차 코일의 위치를 최적의 위치 쪽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가능한 높은 충전효율로 무접점 충전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예시적인 무접점충전시스템의 개략도,
도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개략순서도,
도3은 본 발명에서의 예시적인 충전효율표시의 흐름도,
도4는 일반적인 유도전류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의 개략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접점충전시스템(1)은, 종래에 대표적인 휴대기기(3)인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된 전자기유도방식의 무접점충전시스템과 마찬가지로, 1차 코일(11)이 설치된 송신부(10)로서의 충전기(2: 예, 충전패드)와 2차 코일(21)이 설치된 수신부(20)로서의 휴대기기(3: 휴대전화기)를 포함한다.
또한, 송신부(10)와 수신부(20)에는 1차 코일(11)과 2차 코일(21) 이외에 충전에 필요한 각종 회로나 페라이트 등이 설치되지만, 이런 회로 등은 본 발명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고, 알려진 관련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하면 족하므로, 이에 관한 도시나 설명은 약술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접점충전시스템(1)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송신부(10)의 1차 코일(11) 위에 수신부(20)의 2차 코일(21)을 접근시키면(올려놓으면) 1차 코일(11)과 2차 코일(21) 사이에서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이로써 2차 코일(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터리(30)가 충전된다.
이후에 설명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수신부(20)인 휴대기기(3)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프로그램화 하여 실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휴대기기를 출시할 때 기본적으로 탑재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을 프로그램한 어플리케이션을 사후적으로 휴대기기에 설치함으로써 실현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휴대기기(3)의 수신부(20)를 충전기(2)의 송신부(10)에 근접시켜(올려서) 무접점충전을 개시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한다(S100).
충전이 개시되면, 바람직하게, 휴대기기(3)의 디스플레이(3a: 예, LCD)에는 수신부(20)의 2차 코일(21)의 위치가 표시된다(S110).
송신부인 충전기(2: 충전패드)의 표면에는 1차 코일(1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식(수신부를 접근시켜야 하는 위치의 표식)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휴대기기(3)의 수신부(20)의 2차 코일(21)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배터리커버에 인몰드 매립되어 있거나 배터리커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휴대기기(3)를 송신부(10)에 근접시켜 무접점충전을 할 때, 수신부의 2차 코일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없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전패드(충전기)와는 달리 휴대전화기는 그 케이스 등에 2차 코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표식을 하는 것은 휴대전화기의 디자인이 손상되어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기기(3)인 휴대전화기에는 그 본질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3a)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최근의 휴대전화기는 출력화면의 크기를 가능한 한 크게 하기 위해 휴대전화기의 거의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3a)를 장착하고 있는바,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휴대기기(3)의 디스플레이(3a)를 이용하여 2차 코일(21)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휴대전화기(3)의 디스플레이(3a)에 2차 코일(21)의 중심점이나 전체의 윤곽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전화기(3)를 충전기(2) 위에 올려 충전을 시도할 때, 디스플레이(3a)에 표시된 2차 코일(21)의 표시를 확인하고, 보다 정확한 위치로 휴대전화기(3)를 충전기(2) 위에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휴대전화기(3)의 디스플레이(3a)의 크기가 2차 코일(21)의 실제 위치를 표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 아니하거나, 디스플레이(3a)의 위치가 2차 코일(21)과 다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3a)에 2차 코일(21)의 실제 위치를 표시할 수 없으므로, 디스플레이(3a)에 해당 휴대전화기(3)의 전체 윤곽을 표시함과 아울러 그 표시된 휴대전화기(3)의 윤곽 내에 2차 코일(21)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전화기의 어느 위치에 2차 코일이 위치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근거로 휴대전화기를 충전기의 적절한 위치에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발명의 다음 단계는,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휴대기기(3)에 널리 설치되고 있는 자계센서(3b: 예, 지자계센서)에 의해 1차 코일(11)에 대한 2차 코일(21)의 정위치 세팅을 위한 자석이 송신부(10)에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S120).
즉, 충전의 개시가 인지되면, 휴대기기(3)의 자계센서(3b)를 기동시키고, 가우스값을 측정한다. 자계센서(3b)에 의해 측정된 가우스값이 기준값(예, 1G)에 이르면 충전기(2)에 자석이 설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다만 상기 가우스의 기준값(1G)은 휴대기기(3)에서의 자계센서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음으로, 해당 휴대기기(3)의 설계 특성에 맞게 기준값을 책정한다.
휴대기기(3)에 자계센싱 기능이 탑재되어 있지 않거나 휴대기기를 충전기에 정상적으로 올려놓은 상태에서 측정 가우스값이 예를 들어 0.1G미만일 경우에 본 자석검출단계는 실행하지 않는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3)에는 휴대전화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CPU(3c), 이동통신과 인터넷, 근거리무선통신 등 각종 통신을 실행하는 통신부(3d), 음향을 입출력하는 오디오부(3e),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f) 및 각종 데이터나 작동을 입력하는 입력부(3g) 등이 포함되어 있음은 공지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음 단계는, 일단 개시된 무접점충전을 다시 초기화하고 개시하면서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이다(S130).
상기 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WPC 표준에서는 충전기의 인증주파수가 일부 동일한 경우도 있지만 서로 달리하고 있는 바,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면 전체 충전기 모두를 식별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의 여부는 식별할 수 있다.
WPC 호환 무접점충전에서의 인증주파수는, 앞서의 무접점 충전 개시 단계에서 수신부가 설치된 휴대기기에서 출력 전압이 확인되면 즉시 인증되는 바, 인증이 완료된 후에는 동일 주파수를 재전송하지 않는다. 즉, 일단 충전이 개시되면 다시 인증주파수의 검출을 위해 휴대기기가 주파수검출의 대기 상태에 있을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휴대기기에서 무접점 충전을 위한 전압이 출력되면 무접점 충전이 실행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에 다시 초기화과정을 진행하여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미 무접점 충전이 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휴대기기(3)의 무접점 충전을 예를 들어 3~5초 이상 OFF(Disable) 시킨 후에 다시 ON(Enable) 시키는 초기화 및 재개시를 실행한다. 이때 휴대기기의 무접점 충전 OFF 시간이 지나치게 짧을 경우, 충전기가 초기화 과정을 진행하지 않고, 동일한 조건에서 재충전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OFF 시간이 지나치게 짧지 않도록 한다.
무접점충전이 다시 개시되면, 후술하는 주파수검출부(22)는 대기 상태에서 예를 들어 400ms 마다 충전주파수를 측정하며, 측정한 충전주파수 값이 예를 들어 50ms이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면, 이를 인증주파수로 판정한다.
표1을 보면, 인증주파수가 175kHz 또는 130kHz인 A1, A4, A5, A6, 및 A8의 충전기만이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고, 인증주파수가 140kHz 또는 115kHz 이하인 경우에는 가변주파수형 충전기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인증주파수의 측정만으로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에 해당하는지 그렇지 않은지의 판단이 가능하다.
본 인증주파수 단계(S130)에서 1회의 초기화 및 재개시로 인증주파수가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초기화와 재개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인증주파수를 검출한다.
인증주파수의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정상적으로 충전이 개시된 상태에서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한다. 이때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된 충전주파수는, 충전효율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에 비례적인 충전효율은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게 되며(S160),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상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것만으로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 알 수 있으나, 인증주파수의 측정에 존재할 수 있는 오차를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수신부의 충전전류의 설정치를 급변시키거나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0mA 되게 한 상태에서 충전주파수의 변화폭을 검출하는 단계(S140)를 더 추가함으로써,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의 충전주파수 변화폭을 보고 충전기 종류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한다.
즉, 인증주파수를 측정한 후에, 수신부의 충전전류의 설정치를 급변시키거나 배터리에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0mA가 되도록 인위적인 환경을 부여함으로써(마치 1차 코일에 대한 2차 코일의 위치가 변화된 것과 같은 환경을 인위적으로 가함으로써), 이때의 충전주파수가 어떻게 가변하는지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때 충전주파수의 변화의 정도가 크면, 즉 아래의 표2에 보는 바와 같이 충전주파수가 예를 들어 수십 kHz(예, 20~30 kHz) 정도 큰 폭으로 감소하면 해당 충전기는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 것이 더욱 명확하게 되는 것이고, 충전주파수의 변화 폭이 예를 들어 수 kHz(예, 10 kHz 이하)일 경우에는 해당 충전기는 가변주파수형 충전기가 아닌 것이 된다.
가우스값 인증 주파수
( kHz )
충전 주파수
범위(kHz)
충전주파수
변화폭(kHz)
충전기
식별
충전효율표시
1G
이상
175 110~205 20~30 이상 A1, A5 적용
115 105~115 5 이하 A9 비용
1G
미만
175 110~205 20~30 이상 A6 적용
140 105~140 1kHz 이하 A2 비적용
105~140 10kHz 이하 A3, A7 비적용
130 110~180 20~30 이상 A4, A8 적용
113 105~113 1kHz 이하 B1,B2,B3 비적용
본 발명의 다음 단계는, 검출된 상기 인증주파수에 기초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전주파수의 변화폭까지에 기초하여, 충전기(2)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S150)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증주파수(부가하여 충전주파수의 변화폭)를 알면, 표1에서의 12종류의 충전기에 대해 적어도 해당 충전기가 A1, A4, A5, A6, 및 A8의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에 해당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 결과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 경우 이후의 충전효율표시 단계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충전효율표시 단계는 진행하지 아니한다.
또한, 자석의 유무와 인증주파수의 조합으로 A9와 B(B1, B2, B3)의 식별이 가능하며, B(어레이코일형)에 비해 1차 코일의 반경이 좁은 A9 충전기에 대해 이를 경고 하는 등 충전효율을 높이는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식별결과의 표시는 예를 들어 휴대기기(3)를 통한 음향이나 디스플레이(3a)에의 출력 등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사용자는 식별결과의 표시를 보고, 해당 충전기가 자석형 충전기인지는 물론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알게 되며,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면 이후의 충전효율표시 단계에 따라 충전효율을 높이는 쪽으로 충전기에 대한 휴대기기의 장착 위치를 변경하여 충전효율일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마지막 단계는,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일 경우에, 배터리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S160)이며, 본 단계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1-0116100호의 '충전효율표시장치를 구비한 무접점충전시스템'을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접점충전시스템(1)은, 충전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한 전술한 주파수검출부(22)를 포함한다.
주파수검출부(22)는 1차 코일(11)에 2차 코일(21)을 근접시켜 충전을 실행할 때, 1차 코일(11)에 대한 2차 코일(21)의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전자기유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며,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산출되는 충전효율은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WPC 표준에 따른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에 의하면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정위치에 근접할수록 더 높은 충전주파수(예, 최대 205 kHz)를 사용하고 정위치로부터 벗어날수록 더 낮은 충전주파수(예, 최소 110 kHz)로 변경시키면서 사용하므로, 결과적으로 전자기유도에 사용되는 충전주파수는 충전효율과 비례의 상관관계를 가지게 되며, 본 발명의 방법은 충전효율과 비례적인 관계에 있는 전자기유도에 사용된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이를 충전효율로 산출하여 표시한다.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의 하나인 상기 A1 충전기에서 충전주파수와 충전효율 및 충전전류의 상관관계를 예시하면 아래 표3과 같다.
번호 검출 주파수 충전 효율 충전 전류 충전효율표시
1 190 kHz 이상 70 % 800mA 이상 5
2 180 kHz 67 % 700mA 이상 4
3 160 kHz 65 % 600mA 이상 3
4 140 kHz 63 % 500mA 이상 2
5 130 kHz 60 % 경고 1
6 120 kHz 미만 60 % 미만 충전 중지 경고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충전주파수와 충전효율은 비례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주파수검출부(22)는 송신부(10) 측의 충전기(2)에 설치할 수도 있고, 수신부(20) 측의 휴대기기(3)에 설치할 수도 있다.
주파수검출부(22)를 휴대기기(3: 예, 휴대전화기)에 설치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발진부에 의해 2차 코일로부터 발진되는 충전주파수를 충전주파수검출부가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는 증폭부에 의해 적정 레벨로 증폭한 후에, 변환부에 의해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신호는 연산부에서 검출된 충전주파수에 대응하는 충전효율로 환산하고, 환산된 충전효율은 휴대기기(3)의 본질적 기능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3a)에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한다.
충전효율의 표시에 휴대기기(3)의 디스플레이(3a)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충전기에 별도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나, 이는 충전기의 원가 상승을 유발함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디스플레이(3a)에 표시되는 충전효율은, 예를 들어 1단계 내지 5단계와 같은 단계나 퍼센트를 숫자로 표시할 수도 있고, 막대그래프나 색상 등으로 표시할 수 있는 등, 사용자가 충전효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사용자는 표시된 충전효율을 보고 송신부(10) 상에서의 수신부(20)의 위치를 이동시켜 충전효율이 더 높게 표시되는 위치로 수신부(20)를 위치시킴으로써 더 높은 충전효율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터리의 충전효율의 산출은, 송신부(10)와 수신부(20)에서의 전력이나 전류를 검출하여 산출하는 것이 아니라, 무접점충전에 사용되고 있는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산출하는 것이므로, 송신부(10)와 수신부(20) 중 어느 한쪽에서 독립적으로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바로 충전효율을 산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송신부와 수신부가 검출한 데이터를 상호 송수신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충전효율의 산출을 위해 검출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통신수단이 필요 없다.
휴대전화기과 같은 휴대기기에서 충전의 안전을 위해 충전전류나 충전전압을 변화시켜도, 본 발명은 충전주파수를 검출하는 것이므로, 변동성 없이 매우 정확하고 간편하게 충전효율을 산출할 수 있고 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적용된 충전효율표시의 과정을 도3의 흐름도를 통해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배터리의 충전은 그 잔량에 따라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인 바, 통상적으로 충전 과정은 유선이든 무선이든 Trickle Charge Mode(수 mA 이내), Pre-Charge Mode(수십 mA 이내), Fast Charge Mode(수백 mA) 및 End of Charge(충전종료)의 단계로 진행된다.
송신부(10: 충전기)에 수신부(20: 휴대전화기)를 올려서, Trickle Charge Mode로 무접점충전을 개시하면(S10), 앞서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해당 충전기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 판단하고(S11), 가변주파수형 충전기로 식별되면(YES), 해당 거치 위치에서의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충전효율을 산출 및 표시한다(S20). 만약 가변주파수형 충전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NO), 이후의 과정이 진행되지 아니하고, 충전주파수에 근거한 충전효율표시를 하지 않는 일반적인 충전을 실행하고(S90), 충전이 완료되면 충전을 종료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3a)에 표시된 충전효율을 보고 충전효율이 원하는 정도에 이르지 않는 경우 충전기에 대한 휴대기기의 거치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높은 충전효율을 나타내는 위치로 휴대기기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고, 이런 위치이동이 있으면 충전주파수가 변화되게 되는 바, 정해진 시간 내에 충전주파수의 변화가 있는지 판단하고(S21), 충전주파수의 변화가 있으면(YES, 즉 사용자가 휴대기기의 거치 위치를 이동시켰으면) 변화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산출된 충전효율을 다시 표시하는 과정(S20)을 반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런 반복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자발적으로 보다 높은 충전효율을 보이는 위치를 찾아 충전기에 휴대기기를 거치시킬 수 있다.
S20 및 S21 과정이 종료되거나 해당 과정이 진행되지 않을 경우(즉, 충전주파수의 변화 없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최종 산출된 충전효율이 정하여진 한계효율(예, 65%)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30).
산출된 충전효율이 한계효율을 초과하지 않으면(NO), 예를 들어 음향이나 영상으로 휴대기기를 통해 경고하고(S41), 사용자로 하여금 송신부(10)에 대한 수신부(20)의 거치 위치를 이동(S42)하도록 유도하며, 경고 후 정해진 시간 경과 후에 다시 충전주파수를 스캐닝(검출)하여 다시 검출한 충전주파수가 직전의 충전주파수와 차이가 있는지(변화되었는지) 판단한다(S43).
정해진 시간 후에 충전주파수가 변화되었으면(YES), 변화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 및 표시하며(S44), 이때 디스플레이(3a)를 통해 충전효율이 높은 위치를 안내할 수도 있다(S44). 충전주파수 교정 기능이 탑재되어 있고 무접점충전을 개시한 후에 사용자가 교정 모드를 선택한 경우(도시 생략)의 위치 안내는 최소값 및 최대값의 충전주파수를 나타내는 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하여 충전주파수를 교정한다.
이후, 단계 S44에서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산출된 충전효율이 한계효율을 초과하는지를 다시 판단하고(S30), 한계효율에 이르지 못한 경우(NO)에는 다시 단계 S41 내지 S44를 반복 실행한다.
충전효율이 정해진 값에 이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충전기에서 휴대기기의 거치 위치를 변경하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높은 충전효율을 나타내는 위치로 휴대기기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알려 주는 것(경고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단계 S41 내지 단계 S44는 경고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높은 충전효율을 보이는 위치를 찾아 충전기에 휴대기기를 거치시키도록 유도하는 과정이다.
단계 S30에서 한계효율을 초과한 경우(YES)에는,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S50), 완료 되었으면 충전을 종료한다(S60). 이때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NO), 충전전류를 Pre-Charge Mode(수십 mA 이내) 또는 Fast Charge Mode(수백 mA)로 변경하고(S71), 다시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충전효율을 산출 및 표시한다(S72). 그리고 다시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산출된 충전효율이 한계효율을 초과하는지 판단하고(S30),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S41 내지 S44 및 S71 및 S72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 S43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충전주파수의 변화가 없으면(NO), 충전전류를 제한된 전류(예, 300mA; 충전효율 50%)로 설정하여 충전을 진행하고(S80), 단계 S50으로 돌아가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도3에는, 단계 S20과 단계 S21에 따른 사용자에 의한 자발적 위치이동과, 단계 S41 내지 단계 S44에 따른 경고를 통한 위치이동이 모두 적용되어 있지만, 양자 중에 어느 한 과정만을 적용하여도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추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한 무접점충전시스템의 보다 정교한 충전효율 관리를 위해서, 호환되는 불특정 충전패드를 사용하여 휴대전화기를 충전할 때, 충전기(2)의 1차 코일(11)과 휴대기기(3)의 2차 코일(21) 간의 상호 인덕턴스 결합으로 인하여, 충전기(2)의 1차 코일(11)에서 가변 가능한 충전주파수의 범위가 일부 제한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므로, 충전기마다 편차가 있는 충전주파수의 차이를 계측하여 이를 교정함으로써 불특정 충전기에 의한 휴대기기의 충전효율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표3에 예시된 충전주파수와 충전효율의 상관관계에 대한 오프셋 값을 적용하여 교정함으로써 최적의 충전효율로 무접점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충전주파수를 검출할 때, 송신부(10)에 대한 수신부(20)의 다양한 위치를 스캔하여 다수 위치에서의 충전주파수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들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을 획득하여 오프셋 값을 조정함으로써 전자기유도에 사용하는 충전주파수를 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주파수의 교정에서는, 기본적으로 충전기에 휴대기기를 접근하여 충전을 시작할 때, 디스플레이(3a)에 교정 여부를 묻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고, 교정을 선택하면 휴대기기를 충전기에서 수평으로 상하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충전주파수가 검출되도록 한 후에, 가장 낮은 충전주파수와 가장 높은 충전주파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충전주파수부터 표3에 예시된 충전주파수와 충전효율의 상관관계의 오프셋 값을 재조정함으로써 충전기의 변경에 따른 충전주파수 변경을 교정하여 보다 높은 충전효율을 달성하도록 한다.
또한 WPC 표준에 새로운 신규 규격의 충전기가 추가될 경우에, 해당 신규 충전기의 특성(자석유무, 인증주파수 등)을 휴대기기에 등록할 수 있다. 이런 신규 충전기의 등록은 예를 들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업그레이드 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1: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접점충전시스템
2: 충전기(충전패드)
3: 휴대기기(휴대전화기)
3a. 디스플레이장치
10: 송신부
11: 1차 코일
20: 수신부
21: 2차 코일
22: 주파수검출부

Claims (4)

1차 코일(11)을 구비하는 충전기(2)의 송신부(10)와 2차 코일(21)을 구비하는 휴대기기(3)의 수신부(20)를 포함하고, 상기 1차 코일(11)과 상기 2차 코일(21) 사이에서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의해 상기 2차 코일(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휴대기기(3)의 배터리(30)를 충전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에서,
상기 휴대기기(3)의 상기 수신부(20)를 상기 충전기(2)의 상기 송신부(10)에 근접시켜 무접점충전을 개시하는 단계;
무접점충전을 초기화 및 재개시하여 무접점충전에 사용되는 인증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증주파수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2)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하고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충전기(2)가 상기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이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효율에 비례적으로 가변되는 상기 충전주파수를 검출하여 검출된 충전주파수로부터 충전효율을 산출하여 이를 사용자가 알 수 있는 방법으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접점충전 개시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기기(3)의 자계센서(3b)에 의해 상기 송신부(20)에 자석 유무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주파수의 검출 단계 이후에, 일시적으로 상기 수신부(20)의 충전전류의 설정치를 급변시키거나 상기 배터리(30)에 공급되는 충전전류가 0mA 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충전주파수의 변화폭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의 식별단계에서, 상기 인증주파수와 함께 상기 충전주파수의 변화폭에 기초하여 상기 충전기(2)가 가변주파수형 충전기인지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3)의 디스플레이(3a)에 상기 수신부(20)의 2차 코일(21)의 위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KR1020120077729A 2012-07-17 2012-07-17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KR201400107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29A KR20140010793A (ko) 2012-07-17 2012-07-17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729A KR20140010793A (ko) 2012-07-17 2012-07-17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793A true KR20140010793A (ko) 2014-01-27

Family

ID=5014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729A KR20140010793A (ko) 2012-07-17 2012-07-17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107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58U (ko) * 2014-09-29 2017-04-11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유도 충전
CN115333260A (zh) * 2022-10-17 2022-11-11 北京紫光芯能科技有限公司 用于调整磁链的方法及装置、无线充电接收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258U (ko) * 2014-09-29 2017-04-11 애플 인크. 전자 디바이스 사이의 유도 충전
US10886769B2 (en) 2014-09-29 2021-01-05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US10886771B2 (en) 2014-09-29 2021-01-05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CN115333260A (zh) * 2022-10-17 2022-11-11 北京紫光芯能科技有限公司 用于调整磁链的方法及装置、无线充电接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552B1 (ko) 무접점충전시스템용 수신부의 2차 코일
CN105515216B (zh) 无线传输电力的设备和方法
US9666359B2 (en) Vehicle, power receiving device, power transmitting device, and contactless power supply system
KR101481925B1 (ko) 비접촉 충전 장치
EP27681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US11618327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vehicle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CN103891098B (zh) 无接点充电系统以及无接点充电方法
US20120212178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nductive charging
CN108695985B (zh) 无线充电系统及其线圈偏移检测方法和装置
US10439451B2 (en) Electric vehicle
JP2011189895A (ja) 移動体給電装置
US20190027970A1 (en) Wireless power transfer device
US20230268775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a method for detecting a receiver device
US20150372529A1 (en) Power loss detection for wireless charging
US10050333B2 (en) Recep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40008273A (ko)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034740B1 (ko)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228105B1 (ko)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40010793A (ko) 무접점충전시스템의 충전기 식별 및 충전효율표시방법
US2023023883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ower wirelessly
KR101220296B1 (ko) 무접점충전시스템의 발열제어방법
WO2013168518A1 (ja) 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異物検出方法、送電装置及び受電装置
US11190050B2 (en) Inductive power transmitter
KR2018003601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196540B1 (ko) 충전효율표시장치를 구비한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충전효율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