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0579A -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0579A
KR20140010579A KR1020120076892A KR20120076892A KR20140010579A KR 20140010579 A KR20140010579 A KR 20140010579A KR 1020120076892 A KR1020120076892 A KR 1020120076892A KR 20120076892 A KR20120076892 A KR 20120076892A KR 20140010579 A KR20140010579 A KR 20140010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heat
calculating
heat loss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90146B1 (en
Inventor
장철용
정학근
안병립
한혜심
이나은
김정국
홍원화
이강국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6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146B1/en
Publication of KR20140010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057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1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4Smart metering supporting the carbon neutral operation of end-user applications in building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re disclosed. The apparatus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kin heat loss amount calculator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heat lost through the skin of a building; a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skin heat loss amount; an interi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or for calculating an amount of heat obtained by heating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heating degree day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interi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ing a heating degree day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a heating energy analyzing unit for calculating heating energy consumption using the heating degree day, and energy efficiency of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calculating a heating energy saving rate. [Reference numerals] (101)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2) Skin heat loss amount calculator; (103) Waste heat loss amount calculator; (104) Annual loss coefficient calculator; (105) Interi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or; (106)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or; (107) Heating degree day calculator; (108) Heating energy analyzing unit; (109) Additional energy saving rate calculator

Description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본 발명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외피 열 손실량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난방도일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분석함으로써,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이나 리모델링된 건물에 있어서도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손쉽게 계산 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energy storage system by calculating a heating degree by using an envelope heat loss amount and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of a building, and analyzing the heating energy using the calculated heating fi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energy performance that can be easily calculated and objectively compared to a building or a remodeled building.

선진국에서 국제 기후 변화 협약이 발효됨에 따라 에너지 절약을 통한 이산화탄소 저감이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적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는 인식하에 체계적인 에너지 절약 정책들이 수립되고 있으며, 유럽연합 국가들은 EU 차원의 통일된 건물 에너지 절약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2002년 건물 에너지 절약규범(EPBD)을 제정하고 2010년까지 최소 22%의 에너지를 절감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회원국들로 하여금 건물에서 요구되는 최소 에너지 소요량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를 포함한 개발 도상국에 기후 변화 협약 이해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력이 점차 가속화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건축물 부문의 에너지소비는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With the entry into force of international climate change agreements in developed countries, systematic energy saving policies are being established, recognizing that reduction of carbon dioxide through energy saving must be an option, not an option. To establish a policy, the Building Energy Conservation Code (EPBD) was enacted in 2002, with the goal of saving at least 22% of energy by 2010, and allowing Member States to set standards for the minimum energy requirements of buildings. have. The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on understanding climate change agreements is growing in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energy consumption in the Korean building sector continues to increase.

따라서 현재 아파트등 20채 이상 공동 주택은 에너지 사용량을 종전보다 10-15%이상 줄일 수 있는 친환경주택(그린홈)으로 지어야 한다. 국토해양부는 이런 내용의 '주택 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이 2009년 10월 13일 국무회의를 통과하였으며 대통령 재가를 거쳐 공포 후 곧바로 시행된다. 특히 사업승인 신청 주택 가운데 한 채라도 최소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사업승인을 받지 못한다. 이를 위해 평가에 대한 시스템이 필요하나 종전에는 수기로 일일이 작성하여 어렵게 평가를 하고 있으며 검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고 현재는 별다른 평가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Therefore, more than 20 apartments, including apartments, should be built as green homes that can reduce energy use by 10-15%.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passed the State Council on October 13, 2009, and the regulations on housing construction standards, etc., will be implemented immediately after promulgation after the president's approval. In particular, even if one of the houses applying for business approval does not meet the minimum standards, business approval will not be given. In order to do this, a system for evaluation is required, but in the past, it was written manually by hand, making it difficult to evaluat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verification, and there is currently no evaluation system.

국토해양부는 2008년 10월 국토해양부 공고 제2008-667호에서 건축물 에너지절약설계기준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 하였다. 그리고, "에너지절약형 건축물의 확대를 위하여 에너지 효율 등급 인증을 받은 건축물 등에 대해 용적율 완화 등 인센티브 제공방안을 마련하고, 현행 에너지 절약 계획서상의 성능 지표 검토서 배점기준의 실효성을 높이며 그밖에 설계 권장 항목을 추가하는 등 기준 운영상의 일부 미비점을 보완하려는 것"이라고 개정이유를 밝혔다.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nounced the legislative proposal for some revisions of building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in the October 2008 notification of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And, "In order to expand energy-saving buildings, we will provide incentives such as volume ratio reduction for buildings that have received energy efficiency rating certification,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formance indicators review points in the current energy-saving plan, and add other design recommendations. To compensate for some of the shortcomings in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 ”

한편, 녹색건축물의 기본계획 및 조성계획을 수립해 녹색건축물 조성을 촉진하는 한편 건축물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녹색건축물의 확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기 위하여, 2012년 2월 22일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이 제정되어 공포되었다. 종래에는 에너지 성능을 평가한 에너지 평가서가 신축 건물에 대해서만 요구되었으나,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에 따르면, 기존에 건축되어 있던 기축 건물이나 건축 후에 리모델링된 건물에 대해서도 에너지 평가서가 요구되게 되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omote the creation of green buildings by establishing the basic and construction plans for green buildings, an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expanding green buildings, the 'Green Building Creation Support Act' on February 22, 2012 Was enacted and promulgated. In the past, an energy evaluation sheet for evaluating energy performance was required only for new buildings, but according to the 'Green Building Construction Support Act', an energy evaluation report was also required for an existing building or a remodeled building after construction.

건물의 에너지 성능은 건물의 벽, 문, 창문 등의 외피나 실내 발열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건물의 에너지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이용하여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이나 리모델링된 건물에 있어서도 건물 별로 에너지 성능을 손쉽게 계산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장치 또는 방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The energy performance of a building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enclosure of walls, doors, windows, etc.,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room.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device or method that can be easily calculated and objectively compared to new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and remodeled buildings by using the main factors affecting the energy performance of such buildings. .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외피 열 손실량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난방도일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분석함으로써,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이나 리모델링된 건물에 있어서도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손쉽게 계산 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lculate the heating degree using the heat loss of the building and the amount of indoor heat gain of the building and to analyze the heating energy using the heating file calculated as such, so that not only new buildings but also existing buildings or remodeled buildings It is to provide an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easily calculate energy performance and can be compared obj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열 손실 계수 산출부;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 상기 열 손실 계수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난방도일 산출부; 및 상기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난방에너지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 apparatus for evaluat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velope heat loss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envelope heat loss amount through a building envelope; A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heating degree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e a heating degree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a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that calculates a heating energy usage and calculates a heating energy saving rate by u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ing coil a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상기 건물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 손실 계수 산출부는, 상기 외피 열 손실량 및 상기 환기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due to the ventilation 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may calculate a heat loss coefficient by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상기 건물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난방도일 산출부는, 상기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amount of solar heat acquired by inflow of solar radiation energy through a window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heating day calculator may calculate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e a heating degree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상기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외피의 구성재, 열 성능값, 두께, 면적, 추가 단열재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외피의 열 관류율을 산출하고 상기 열 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skin heat loss calculating unit calculates a heat permeability of the skin of the building by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component, a thermal performance value, a thickness, an area, and an additional insulation of the skin of the building, and uses the heat permeation rate. The sheath heat loss can be calculated.

상기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 창문, 문, 지붕 및 바닥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열 손실량을 산출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jacket heat loss calculator may calculate the jacket heat loss by calculating a heat loss through at least one of an outer wall, a window, a door, a roof, and a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면적에 대응하는 인체의 발열량 및 실내 전자기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may calculate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by using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human body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상기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창문의 방향, 면적, 차폐계수 및 차양형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solar heat amount calculating unit may calculate the solar heat amount u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n area, a shielding coefficient, and a shade shape of a window of the building.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상기 건물의 주소, 지역, 방향, 준공년도, 층수, 층별 천장고 및 바닥면적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basic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address, area, direction, year of completion, number of floors, floor-by-floor ceiling, and floor area of the building. Can be.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상기 건물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 및 상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가산절감율을 설정하는 가산절감율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난방에너지 분석부는, 상기 가산절감율을 적용하여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 reduction rate setting unit that sets an addition reduc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corresponding item when there is an item to additionally reduc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may calculate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by applying the addition reduction r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열 손실 계수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 loss through the shell of the building; Calculating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Calculating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room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ng a heating degree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calculating a heating energy usage and calculating a heating energy saving rate u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ing coil a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건물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피 열 손실량 및 상기 환기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due to ventilation 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calculating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may include calculating a heat loss coefficient by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건물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an amount of solar heat obtained by inflow of solar radiation energy through a window of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calculating of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may include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by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외피의 구성재, 열 성능값, 두께, 면적, 추가 단열재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외피의 열 관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 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heat loss amount of the skin may include calculating heat permeability of the skin of the building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component, a thermal performance value, a thickness, an area, and an additional insulation of the skin of the building; And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using the heat permeability.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외벽, 창문, 문, 지붕 및 바닥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열 손실량을 산출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by calculating a heat loss amount through at least one of an outer wall, a window, a door, a roof, and a floor of the building.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면적에 대응하는 인체의 발열량 및 실내 전자기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by using the calorific value of the human body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calorific value of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창문의 방향, 면적, 차폐계수 및 차양형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of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may include calculating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 direction, an area, a shielding coefficient, and a shade shape of a window of the building.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건물의 주소, 지역, 방향, 준공년도, 층수, 층별 천장고 및 바닥면적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may further include inputting basic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n address, a region, a direction, a year of completion, a number of floors, a floor ceiling and a floor area of the building. .

상기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상기 건물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 및 상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가산절감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산절감율을 적용하여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setting a corresponding item and an addition reduc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when there is an item to additionally reduc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In this case, the calculating of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may include calculating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by applying the addition reduction ra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외피 열 손실량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고 이와 같이 산출된 난방도일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를 분석함으로써, 신축 건물뿐만 아니라 기축 건물이나 리모델링된 건물에 있어서도 건물의 에너지 성능을 손쉽게 계산 할 수 있고 객관적으로 비교가 가능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alculating the heating degree using the heat loss of the building and the amount of room heat gain of the building and by analyzing the heating energy using the heating file calculated in this way, not only the new building but also the main building or the remodeled building.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that can easily calculate the energy performance of the building and can be compared objective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에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생성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envelope heat loss i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A to 15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 generated by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a repeated description, a known function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및 태블릿(tablet)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ne or more forms of a personal computer, a smart phone,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a tablet comput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는 기본정보 입력부(101),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103), 열 손실 계수 산출부(104),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105),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106), 난방도일 산출부(107), 난방에너지 분석부(108) 및 가산절감율 산출부(10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른 것이고 도 1에 도시된 블록들은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는 건물(10)을 대상으로 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1, jacket heat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02,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calculation unit 103, heat loss A coefficient calculator 104, an indoor heat gain amount calculator 105, a solar heat gain amount calculator 106, a heating degree calculator 107, a heating energy analyzer 108, and an addition reduction factor calculator 109. Can be configured.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shown in FIG. 1 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the blocks shown in FIG. 1 are not all required components, and in other embodiments, some block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hav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rgets the building (10).

기본정보 입력부(101)는 건물(10)의 주소, 지역, 방향, 준공년도, 층수, 층별 천장고 및 바닥면적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의 기본정보를 입력한다. 기본정보 입력부(101)에서는 건물(10)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것 이외에도 실제 열량 계산에 필요한 기본적인 체적, 일사량 등을 결정한다. 지역은 강릉, 광주, 대구, 대전, 목포, 부산, 서울, 인천, 전주, 제주, 진주, 청주, 포항 등의 총 13지역으로 나뉠 수 있으며 준공년도는 외피의 사양을 모를 때 해당 준공년도의 건축법상의 외피 열 성능값을 적용하기 위해 입력하는 것이다. 층별 천장고와 바닥면적은 주택 전체 실내 체적 산출과 최종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의 산출을 위해 입력한다.The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1 inputs basic information of a building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an address, a region, a direction, a year of completion, number of floors, a ceiling and a floor area of the building 10. In addition to inputt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building 10, the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1 determines the basic volume, solar radiation amount, etc. necessary for the actual calorie calculation.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13 areas including Gangneung, Gwangju, Daegu, Daejeon, Mokpo, Busan, Seoul, Incheon, Jeonju, Jeju, Jinju, Cheongju, Pohang, etc. Enter to apply the envelope thermal performance value of the phase. Floor ceilings and floor areas are entered for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interior volume of the house and the energy consumption per final unit area.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는 건물(10)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한다.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는 건물(10)의 외벽, 창문, 문, 지붕 및 바닥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열 손실량을 산출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는 건물(10)의 외피의 구성재, 열 성능값, 두께, 면적, 추가 단열재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건물(10)의 외피의 열 관류율을 산출하고 상기 열 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outer shell heat loss calculating unit 102 calculates the outer shell heat loss amount through the outer shell of the building 10. The envelope heat loss calculating unit 102 may calculate the envelope heat loss by calculating a heat loss amount through at least one of an outer wall, a window, a door, a roof, and a floor of the building 10. And the skin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2 calculates the heat permeability of the skin of the building 10 by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f the skin of the building 10, thermal performance value, thickness, area, additional insulation. The sheath heat loss may be calculated using the heat permeability.

외벽의 경우, 방향별 외벽의 열 성능값, 면적, 두께 등을 입력하여 각 외벽을 통한 손실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외벽의 열 성능값은 건물(10)의 구성재의 조합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구성재의 확인이 불가할 경우 공인성적서 또는 기본정보 입력부(101)에서 입력된 준공년도에 대응하는 건축법상의 열 관류율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존건물을 리모델링할 경우, 추가된 단열재의 종류와 두께만 입력함으로써 시공 후 벽체의 열성능을 간편하게 수정이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outer wall,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heat loss through each outer wall by inputting the thermal performance value, area, thickness, etc. of the outer wall for each direction. The thermal performance value of the exterior wall can be calcul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onstituents of the building 10. If the constituents cannot be confirmed, the heat permeation rate of the building law corresponding to the completion year entered by the official certificate or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1 is input. can do. In addition, when remodeling an existing buil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wall after construction by entering onl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added insulation.

창문의 경우, 방향별 창문의 구성, 열 성능값, 면적, 두께 등을 입력하여 각 창문을 통한 손실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창문의 열 성능값은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에 의거한 각 구성재 조합별 열 성능값을 참고하여 입력할 수 있다. 창문은 외벽과 함께 건물(10)의 열 손실이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부위이며 면적과 열 관류율에 따라 주택의 연간 난방에너지 사용량에 큰 변화를 가져온다.In the case of windows,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each window can be calculated by inputting the composition, thermal performance value, area, and thickness of each window. The thermal performance of windows can be entered by referring to the thermal performance of each component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 The window is the most important part where heat loss of the building 10 is shown along with the outer wall, and it causes a great change in the annual heating energy consumption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heat permeation rate.

문의 경우, 외벽에 위치한 문의 면적과 열 성능값을 입력하여 문을 통한 열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창문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의 도표를 이용할 수 있다.For doors, the heat loss through the door can be calculated by entering the area of the door located on the outer wall and the thermal performance values. As with windows, a diagram of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is available.

지붕, 바닥의 경우, 외벽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지붕의 경우, 지붕을 통한 외기로 열 손실을 산출한다. 바닥의 경우, 땅과 면해 있을 시 열 손실을 산출한다. 외벽과 마찬가지로 각 구성재의 조합을 통한 열 성능값을 산출하고 각 구성재에 대한 자료가 없을 시 입력부(101)에서 입력된 준공년도에 대응하는 건축법상의 열관류율 값을 이용한다.In the case of a roof or a floor, it can input in the same way as an exterior wall. In the case of a roof, the heat loss is calculated by outside air through the roof. In the case of floors, the heat is lost when facing the ground. As with the outer wall, the thermal performance value is calcul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each component, and when there is no data for each component, the heat transfer rate value of the build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year input from the input unit 101 is used.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103)는 건물(10)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한다.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103)는 환기 횟수에 근거하여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 때, 환기 횟수는 현재 건축법 기준인 0.7회/h 로 설정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3 calculates the ventilation heat loss due to the ventilation in the building 10. The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ng unit 103 may calculate the ventilation heat loss based on the number of ventilations, and at this time, the number of ventilations may be set to 0.7 times / h, which is the current building method.

열 손실 계수 산출부(104)는 상기와 같이 산출된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가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103)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열 손실 계수 산출부(104)는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에서 산출된 외피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가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 및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103)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열 손실 계수 산출부(104)는 외피 열 손실량 및 환기 열 손실량 모두를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or 104 calculates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heat loss amount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In one embodiment, when th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does not include the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or 103, 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or 104 calculates the skin heat loss calculated by the jacket heat loss calculator 102.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heat loss coefficient using.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includes both the sheath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2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3, 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04 may measure the sheath heat loss amount and All of the ventilation heat losses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heat loss coefficients.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105)는 건물(10)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105)는 건물(10)의 면적에 대응하는 인체의 발열량 및 실내 전자기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할 수 있다.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5 calculates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10. In one embodiment,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5 may calculate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using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human body and the heat generation amount of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uilding 10.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106)는 건물(10)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한다. 일 실시예에서,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106)는 건물(10)의 창문의 방향, 면적, 차폐계수 및 차양형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할 수 있다. 태양열 취득량은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102)에서 입력된 창문의 면적과 창문의 유리 종류에 따른 차폐계수, 차양형태 등에 따라 총 13개 지역의 기후데이터에서 수평일사량, 수직일사량, 직달일사계수 등을 추출하여 산출할 수 있다.The solar heat amount calculating unit 106 calculates the solar heat amount obtained by the inflow of solar radiation energy through the window of the building 10. In one embodiment, the solar heat gain calculation unit 106 may calculate the solar heat gain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direction, area, shielding coefficient, and sunshade of the window of the building 10. The amount of solar heat is obtained from the climate data of 13 regions according to the window area and the window type, the shield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glass type of the window, the shading type, and the like. Can be extracted and calculated.

일 실시예에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가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106)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난방도일 산출부(107)는 상기 열 손실 계수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100)가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105) 및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106)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난방도일 산출부(107)는 상기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does not include the solar heat gain amount calculation unit 106, the heating degree calculation unit 107 uses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room heat gain amount to calculate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The heating degre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100 includes both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5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6, the heating day calculation unit 107 may include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heating degree may be calculated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난방도일은 일평균기온이 기준점 온도보다 낮은 날들의 일평균기온과 기준점 온도와의 차를 구하여 매일 매일 누적 합산한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실내에서 사람이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기온인 기준점 온도를 정하는 것인데, 이는 인종, 민족, 연령, 개인차, 목적, 시설의 용도, 사회 경제적 여건 등에 따라 다르다. 난방도일 산출부(107)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태양열 취득량 등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정하는 것이다.The heating degree is the cumulative sum of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and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for the days where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The important thing here is to set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which is the temperature at which people can be comfortable in the room, which depends on race, ethnicity, age, individual differences, purpose, facility use,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day calculation unit 107 determines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room heat acquisition amount,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like.

난방에너지 분석부(108)는 상기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한다. 난방에너지 분석부(108)에서는 상기 난방도일에 따라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에 의한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이 고려될 수 있다. 열원장비의 유형은 콘덴싱 보일러, 기름 보일러, 가스 보일러 등이 있으며, 효율은 주로 80~90%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나서, 난방에너지 분석부(108)는 최종적으로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게 된다. 난방에너지 절감율은 표준주택에 대비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이 얼마나 절감되었는가 하는 것을 나타내는 수치이다.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108 calculates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by u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ing file a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calculates a heating energy saving rate.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108 may calculate the amount of heating energy used by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ccording to the heating degree. At this time,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 source equipment can be considered. Types of heat source equipment include condensing boilers, oil boilers and gas boilers, and the efficiency is mainly 80 to 90%. Then,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108 finally calculates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is a figure that indicates how much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is reduced compared to the standard house.

가산절감율 산출부(109)는 건물(10)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 및 상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가산절감율을 설정한다. 건물(10)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란, 현관에 방풍실이 설치되었는지 여부, 폐열회수형 환기장치인지 여부, 각 실별 또는 존별 실내온도자동조절장치 설치 여부, 거실의 주 콘센트가 사용이 편리한 위치에서 전원 차단 가능한지 여부, 각 부하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설치 유무 및 고효율램프 및 LED 조명의 사용 여부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가산절감율은 그 절감 기여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가산절감율 산출부(109)에서 가산절감율이 설정될 경우, 난방에너지 분석부(108)는 상기 가산절감율을 적용하여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할 수 있다.
The addition reduction rate calculation unit 109 sets an addition reduc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corresponding item when there is an item to additionally reduc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10. Items that can additionally reduc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10) include whether a windproof room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whether it is a waste heat recovery type ventilator, whether the room temperature automatic control device is installed in each room or zone, and the main outlet of the living room is used. Whether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power at this convenient location, whether or not to install renewable energy for each load, and whether or not to use high-efficiency lamps and LED lighting, and the addition reduction rate can be set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reduction contribution. When the addition reduction rate is set in the addition reduction rate calculation unit 109,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108 may calculate the heating energy reduction rate by applying the addition reduction rat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이 시작되면,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한다(S201). 그리고 건물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한다(S202). 그리고 나서, 외피 열 손실량 또는 환기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한다(S203).Referring to FIG. 2, first, when a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an amount of heat loss through the shell of a building is calculated (S201). And calculates the heat loss of the ventilation due to the ventilation in the building (S202). Then, the heat loss coefficient is calculated us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or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S203).

열 손실 계수가 산출되고 나면(S203), 건물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한다(S204). 그리고 건물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한다(S205). 그리고 나서,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한다(S206). 기준점 온도가 산출되면,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한다(S207).After the heat loss coefficient is calculated (S203),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is calculated (S204).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by the solar radiation energy inflow through the window of the building is calculated (S205). Then,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is calculated using one or more of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S206). When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is calculated, the heating degree is calculated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S207).

그리고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한다(S208). And the heating energy and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to calculate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and calculate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S20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와 유사하게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과정이 진행되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 1에의 설명이 그대로 적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에서도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2에 도시된 순서도의 각 단계들은 모든 단계가 필수 단계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단계가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S202) 또는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S205)를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다.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ilar to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above is applied as i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FIG. 2, as in FIG. 1, each step of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is not a necessary step in all steps, and some steps may be added, changed or deleted in another embodiment.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may be configured with the exception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ventilation heat loss (S202) or calculating the amount of solar heat obtained (S205).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에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calculating the envelope heat loss i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과정은 도 2에서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S201)에 대응되며, 도 3은 도 2의 단계(S201)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The process shown in FIG. 3 corresponds to the step (S201) of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through the skin of the building in FIG. 2, and FIG. 3 is for explain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step S201 of FIG. 2.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에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과정이 시작되면, 먼저 벽체 구성재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1). 여기서 벽체란 외벽, 지붕, 바닥을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단계(S301)에서 벽체 구성재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외벽, 지붕, 바닥 구성재 입력 후 열 관류율 산출한다(S302). 그러나 단계(S301)에서 벽체 구성재 정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건물의 준공년도를 확인하고(S303), 해당 준공년도 건축법의 열 관류율을 입력받는다(S304). 그리고 나서 외벽, 지붕, 바닥의 면적을 입력받는다(S305).Referring to Figure 3, whe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envelope heat loss i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check whether there is wall component information (S301). Here, the wall is a concept encompassing all exterior walls, roofs and floors. If it is confirmed in step S301 that the wall component information is present, the thermal permeability is calculated after input of the exterior wall, roof, and floor component (S302). However, if it is confirmed in step (S301) that there is no wall component information, confirm the completion year of the building (S303), and receives the heat transmission rate of the building method of the completion year (S304). Then it receives the area of the outer wall, roof, floor (S305).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외벽, 지붕, 바닥의 열 관류율, 면적이 결정되면, 창문, 문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6). 단계(S306)에서 창문, 문 정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창문의 창틀, 유리를 확인한 후 열 관류율 산출한다(S307). 그러나 단계(S306)에서 창문, 문 정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직접 열 관류율을 입력받는다(S308). 이 때, 열 관류율은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을 참고하여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창문, 문의 면적을 입력받는다(S309).After the above process, if the thermal permeability, area of the outer wall, roof, floor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window, door information is present (S306).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6 that the window and the door information, the window frame, the glass of the window after checking the heat permeability is calculated (S307). However,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306 that there is no window or door information, the heat transmission rate is directly input (S308). At this time, the thermal permeability can be entered by referring to the 'energy saving design criteria'. Then, the area of the window and the door is input (S309).

이와 같은 과정들을 거친 후에, 외벽, 지붕, 바닥, 창문, 문의 열 관류율 및 면적을 이용하여 외피의 열 손실량을 산출하게 된다(S310).
After such a process, the heat loss amount of the shell is calculated using the heat permeability and the area of the outer wall, roof, floor, window, and door (S310).

도 4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의 일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to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1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이 일 구현예로서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형태로 씨디롬(CD-ROM), 램(RAM), 롬(ROM),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자기 디스크와 같은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으로 지칭한다.4 to 14,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 program as an embodiment. As such, the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and in a computer readable form, such as a CD-ROM, a RAM, a ROM, and a floppy disk. Can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such as a hard disk, a magneto-optical disk. A program on which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s referred to as an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도 4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기본정보 입력 화면(400)을 도시한다. 기본정보 입력 화면(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기본정보 입력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 기본정보 입력 화면(400)에서는 건물명(401), 주소(402), 지역(403), 방향(404), 준공년도(405), 실내온도(406), 건물구조(407), 층 정보(40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지역은 강릉, 광주, 대구, 대전, 목포, 부산, 서울, 인천, 전주, 제주, 진주, 청주, 포항 등의 총 13지역으로 나뉠 수 있으며 준공년도는 외피의 사양을 모를 때 해당 준공년도의 건축법상의 외피 열 성능값을 적용하기 위해 입력하는 것이다.4 illustrates a basic information input screen 400 i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e basic information input screen 400 is a screen related to controlling the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sic information input screen 400, building name 401, address 402, area 403, direction 404, year of completion 405, room temperature 406, building structure 407, floor information 408 ), Etc. can be entered. The area can be divided into 13 areas including Gangneung, Gwangju, Daegu, Daejeon, Mokpo, Busan, Seoul, Incheon, Jeonju, Jeju, Jinju, Cheongju, Pohang, etc. Enter to apply the envelope thermal performance value of the phase.

층 정보(408)를 입력하는 부분에서는 층별 체적 계산부(409)에서 층수(410), 평균천장고(411), 바닥면적(412), 장단면 길이(413) 등을 입력하여 등록 버튼(414)을 누르면 하단의 리스트(416)에 등록이 되고, 삭제 버튼(415)을 누르면 리스트(416)에서 삭제된다. 층별 천장고와 바닥면적은 주택 전체 실내 체적 산정과 최종 단위면적당 에너지사용량의 산출을 위해 입력한다.In the part of inputting the floor information 408, the floor volume calculation unit 409 inputs the number of floors 410, the average ceiling 411, the floor area 412, the long section length 413, and the like, and the registration button 414 is inputted. Press to register at the bottom list 416, and press the delete button 415 is deleted from the list 416. Floor heights and floor spaces are input for estimating the total interior volume of the house and for calculating the energy consumption per final unit area.

도 5 내지 도 8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외피 열 손실량을 계산하기 위한 화면들로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5 to 8 are screens for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i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and are screens related to controlling the sheath heat loss calculat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도 5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의 외벽 열 손실량 산출 화면(500)을 도시한다. 외벽 열 손실량 산출 화면(500)에서는 벽제 선택부(501)에서 방향(502), 벽체 정의(503), 면적(504), 단열재 추가 여부(505), 열 관류율(506), 벽체 구조 그림(507)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벽제 선택부(501)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508)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511)에 등록이 되고, 수정 버튼(509)을 눌러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510)을 누르면 리스트(511)에서 삭제된다.5 shows an exterior wall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500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In the outer wall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500, the wall selection unit 501 shows the direction 502, the wall definition 503, the area 504, whether the insulation is added 505, the heat permeability 506, the wall structure diagram 507 ), Etc. can be entered. Entering the above items into the wall selection unit 501 and pressing the registration button 508 is registered in the list 511 on the left, can be modified by pressing the modify button 509, press the delete button 510 It is deleted from the list 511.

외벽의 열 성능값은 벽체의 구성재의 조합으로 산정할 수 있으며, 구성재의 확인이 불가할 경우 공인성적서 또는 준공년도에 대응하는 건축법상의 열 관류율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존건물을 리모델링할 경우, 단열재 추가 여부(505)를 체크하고 추가된 단열재의 종류와 두께만 입력함으로써 시공 후 벽체의 열성능을 간편하게 수정이 가능하다.The thermal performance value of the exterior wall can be calcul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of the wall. If the component is not available, the heat permeability of the building code corresponding to the official certificate or the completion year can be entered. In addition, when remodeling an existing building, it is possible to easily modify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wall after construction by checking whether the insulation is added (505) and input only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added insulation.

도 6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의 창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600)을 도시한다. 창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600)에서는 창문 선택부(601)에서 방향(602), 유리종류(603), 유리두께(604), 프레임종류(605), 면적(606), 열 관류율(607), 유리 구조 그림(60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창문 선택부(601)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609)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612)에 등록이 되고, 수정 버튼(610)을 눌러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611)을 누르면 리스트(612)에서 삭제된다.6 shows the window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600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In the window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600, the window selection unit 601 uses the direction 602, the glass type 603, the glass thickness 604, the frame type 605, the area 606, the heat transmission rate 607, A glass structure plot 608 or the like can be entered. Enter the above items into the window selection unit 601 and press the registration button 609 is registered in the list 612 on the left, can be modified by pressing the edit button 610, press the delete button 611 It is deleted from the list 612.

창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600)에서는 방향별 창문의 구성, 열 관류율, 면적을 입력하여 각 창문을 통한 손실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창문의 열 관류율은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에 의거한 각 구성재 조합별 열 성능값을 참고하여 입력할 수 있다.In the window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600, the heat dissipation through each window may be calculated by inputting the composition, heat permeability, and area of each window. The thermal permeability of windows can be entered by referring to thermal performance values for each component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

도 7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의 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700)을 도시한다. 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700)에서는 문 선택부(701)에서 방향(702), 문의 종류(703), 열교차단재(704), 공기층 두께(705), 면적(706), 열 관류율(707), 문 구조 그림(70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문 선택부(701)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709)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712)에 등록이 되고, 수정 버튼(710)을 눌러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711)을 누르면 리스트(712)에서 삭제된다.7 shows the d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700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In the d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700, the door selection unit 701 uses the direction 702, the door type 703, the heat cross-linking material 704, the air layer thickness 705, the area 706, the heat permeability 707, A door structure diagram 708 can be entered. Enter the above items into the door selection unit 701 and press the registration button 709 is registered in the list 712 on the left, can be modified by pressing the modify button 710, press the delete button 711 It is deleted from the list 712.

문 열 손실량 산출 화면(700)에서 외벽에 위치한 문의 면적과 열 성능값을 입력하여 문을 통한 열 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창문과 마찬가지로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의 도표를 이용할 수 있다.In the d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700, the heat loss through the door may be calculated by inputting an area and a thermal performance value of the door located on the outer wall. As with windows, a diagram of the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s is available.

도 8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의 지붕, 바닥 열 손실량 산출 화면(800)을 도시한다. 지붕, 바닥 열 손실량 산출 화면(800)에서는 외피 선택부(801)에서 외피 종류(802), 지붕 정의(803), 면적(804), 열 관류율(805), 지붕 구조 그림(806)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외피 선택부(801)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807)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810)에 등록이 되고, 수정 버튼(808)을 눌러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809)을 누르면 리스트(810)에서 삭제된다.8 shows the roof, fl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800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On the roof and fl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800, the skin selection unit 801 inputs the skin type 802, the roof definition 803, the area 804, the heat transmission rate 805, the roof structure drawing 806, and the like. can do. Entering the above items into the skin selection unit 801 and pressing the registration button 807 is registered in the list 810 on the left, can be modified by pressing the modify button 808, press the delete button 809 It is deleted from the list 810.

지붕, 바닥 열 손실량 산출 화면(800)에서, 외벽 열 손실량 산출 화면(500)과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할 수 있다. 지붕의 경우, 지붕을 통한 외기로 열 손실을 산출한다. 바닥의 경우, 땅과 면해 있을 시 열 손실을 산출한다. 외벽과 마찬가지로 각 구성재의 조합을 통한 열 성능값을 산출하고 각 구성재에 대한 자료가 없을 시 준공년도에 대응하는 건축법상의 열관류율 값을 이용한다.The roof and floor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800 may be input in the same manner as the outer wall heat loss calculation screen 500. In the case of a roof, the heat loss is calculated by outside air through the roof. In the case of floors, the heat is lost when facing the ground. As with the exterior wall, the thermal performance value is calcul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each component, and when the data for each component are not available, the heat transfer rate value of the building method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year is used.

도 9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환기 열 손실량 및 총 열 손실량 산출 화면(900)을 도시한다. 환기 열 손실량 및 총 열 손실량 산출 화면(9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 및 열 손실 계수 산출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 환기 열 손실량 및 총 열 손실량 산출 화면(900)에서 환기 열손실량을 산출하는 부분(901)에서는 환기횟수(902), 실면적(903), 실체적(904) 등을 입력하여 환기 열 손실량(905)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총 열손실량을 산출하는 부분(902)에서는 앞서 계산된 외피 열 손실량(907) 및 환기 열 손실량(905)을 이용하여 총 열손실 버튼(908)을 누름으로써, 총 열손실량(909)을 산출하고, 총 열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910)를 산출한다. 열 손실 계수(910) 산출이 모두 끝나고 나면, 완료 버튼(911)을 눌러 환기 열 손실량 및 총 열 손실량 산출 화면(900)을 종료시킬 수 있다.9 illustrates a screen 900 for calculating a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and a total heat loss amount i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and the total heat loss amount calculation screen 900 are screens related to controlling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calculator and 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or of the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and the total heat loss amount calculation screen 900,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is calculated by inputting the number of ventilation times 902, the actual area 903, the actual volume 904, and the like. Can be calculated. In the part 902 for calculating the total heat loss amount, the total heat loss amount 909 is calculated by pressing the total heat loss button 908 by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907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905 calculated above. The heat loss coefficient 910 is calculated using the total heat loss amount.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heat loss coefficients 910 is completed, the completion button 911 may be pressed to terminate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and the total heat loss amount calculation screen 900.

도 10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태양열 취득량 산출 화면(1000)을 도시한다. 태양열 취득량 산출 화면(10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 태양열 취득량 산출 화면(1000)에서는 일사량 계산부(1001)에서 방향(1002), 일사량(1003), 면적(1004)을 입력할 수 있고, 차폐, 차양계수 입력부(1005)에서 차폐계수(1006), 차양형태(1007), 돌출길이(1008)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일사량 계산부(1001) 및 차양계수 입력부(1005)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등록 버튼(1010)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1009)에 등록이 되고, 수정 버튼(1011)을 눌러 수정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1012)을 누르면 리스트(1009)에서 삭제된다. 그리고 완료 버튼(1013)을 눌러 태양열 취득량 산출 화면(1000)을 종료시킬 수 있다.10 shows a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000 i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e solar heat amount calculation screen 1000 is a screen related to controlling the solar heat amount calculation uni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000, the direction 1002, the solar radiation amount 1003, and the area 1004 can be input from the solar radia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01, and the shielding coefficient 1006 is shielded from the shielding and awning coefficient input unit 1005. , Sunshade 1007, protruding length 1008 and the like can be entered. Entering the above items into the solar radiation calculation unit 1001 and the sunshade coefficient input unit 1005 and pressing the registration button 1010 is registered in the list 1009 on the left, and can be modified by pressing the correction button 1011. Pressing delete button 1012 removes it from list 1009. Then, the completion button 1013 may be pressed to e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000.

도 11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실내 열 취득량 산출 화면(1100)을 도시한다. 실내 열 취득량 산출 화면(11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 실내 열 취득량 산출 화면(1100)에서는 내부 발열체 입력부(1101)에서 발열체(1102), 바닥면적(1103)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내부 발열체 입력부(1101)에 상기와 같은 사항을 입력하고 수정 버튼(1105)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1104)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완료 버튼(1106)을 눌러 실내 열 취득량 산출 화면(1100)을 종료시킬 수 있다.11 illustrates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100 i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100 is a screen related to controll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ng uni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100, the heating element 1102, the floor area 1103, and the like may be input by the internal heating element input unit 1101. By inputting the above items into the internal heating element input unit 1101 and pressing the correction button 1105, the list 1104 on the left side can be modified. In addition, the completion button 1106 may be pressed to end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screen 1100.

도 12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열원장비 설치 화면(1200)을 도시한다. 열원장비 설치 화면(1200)은 건물 내에 설치된 열원장비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열원장비 설치 화면(1200)에서는 장비명(1201), 유형(1202) 및 효율(1203)을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입력하고 등록 버튼(1206)을 누르면 좌측의 리스트(1204) 상에 장비가 등록이 되고, 평균효율값(1205)이 계산되어 하단에 표시된다. 수정 버튼(1207)을 누르면 수정을 할 수 있으며, 삭제 버튼(1208)을 누르면 삭제가 가능하다. 그리고 완료 버튼(1209)을 눌러 열원장비 설치 화면(1200)을 종료시킬 수 있다.12 illustrates a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ation screen 1200 i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ation screen 1200 is a screen for inputting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ation screen 1200 may input the equipment name 1201, the type 1202, and the efficiency 1203. When this is entered and the registration button 1206 is pressed, the equipment is registered on the list 1204 on the left side, and the average efficiency value 1205 is calculated and displayed at the bottom. Press the modify button 1207 to modify, and press the delete button 1208 to delete. Then, the completion button 1209 may be pressed to e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ation screen 1200.

도 13 및 도 14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서 난방에너지 분석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화면들로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의 난방에너지 분석부를 제어하는데 관련된 화면이다.13 and 14 are screens for displaying a heating energy analysis result i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and are screens related to controlling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of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도 13에서는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서, 연간 총 실내 열 취득량(1301), 실내 열 취득에 의한 온도 상승 값(302), 난방도일(303), 난방에너지 사용량(1303, 1304) 및 단위면적당 난방에너지 사용량(1305, 1306) 등을 표시한 것을 나타내고, 도 14에서는 분석 결과를 시간별 또는 월별 부하 그래프로 표시한 것을 나타낸다. 도 14에 표시된 화면에서 시간별 그래프 버튼(1401) 또는 월별 그래프(1402)을 눌러 좌측의 시간 범위를 입력하면, 시간별 또는 월별 부하 그래프가 표시된다.
In FIG. 1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described above, the annual total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1301, the temperature rise value 302 by indoor heat acquisition, the heating degree 303, the heating energy use amounts 1303 and 1304, and the unit It shows that the heating energy consumption (1305, 1306) and the like per area are displayed, and Fig. 14 shows that the analysis results are displayed by the hourly or monthly load graph. When the hourly graph button 1401 or the monthly graph 1402 is input by inputting the time range on the left side, the hourly or monthly load graph is displayed.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에서 생성된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보고서를 도시한 도면이다.15A to 15E are diagrams illustrating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 generated by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또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프로그램에 따르면,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결과를 보고서의 형태로 작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보고서는 도 15a 내지 도 15e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식일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c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신청 주택에 대한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15d 및 도 15e는 신청 주택과 비교 대상이 되는 표준 주택에 대한 보고서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According to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or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report, and such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report is shown in FIGS. 15A to 15E. It may be in the format shown. 15A and 15C illustrate an example of a report on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lied house, and FIGS. 15D and 15E illustrate an example of a report on a standard house to be compared with the applied house.

이와 같이 생성된 보고서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 엠에스 오피스(MS Office)의 엑셀(excel) 포맷, 엠에스 워드(MS word) 포맷 또는 어도비 사의 아크로밧 리더(acrobat reader)의 PDF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The generated report may be generated in an Excel format of Microsoft Office, an MS word format, or a PDF format of Adobe's Acrobat reader.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첨부된 도면과 상기한 설명내용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이 가능함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며, 이러한 형태의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as limitation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1: 기본 정보 입력부 102: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
103: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 104: 열 손실 계수 산출부
105: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 106: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
107: 난방도일 산출부 108: 난방에너지 분석부
109: 가산절감율 산출부
101: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102: jacket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3: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on unit 104: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105: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6: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107: heating diagram calculation unit 108: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109: addition reduction rate calculation unit

Claims (18)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열 손실 계수 산출부;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
상기 열 손실 계수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난방도일 산출부; 및
상기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난방에너지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An envelope heat loss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envelope heat loss amount through a building envelope;
A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A heating degree calculation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e a heating degree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omprising a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ing energy u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ing source a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and calculating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환기 열 손실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손실 계수 산출부는,
상기 외피 열 손실량 및 상기 환기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entilation heat loss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ventilation heat loss due to the ventilation in the build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calculation unit,
And a heat loss coefficient is calculated us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난방도일 산출부는,
상기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by the solar radiation energy inflow through the window of the building,
The heating degree calculation unit,
And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is calculated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a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a heating degree is calculated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외피의 구성재, 열 성능값, 두께, 면적, 추가 단열재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외피의 열 관류율을 산출하고 상기 열 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heat loss calculation unit,
Calculating heat permeability of the skin of the building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at least one of constituent material, thermal performance value, thickness, area, and additional insulation of the skin of the building and calculating the heat loss of the skin using the heat permeability. A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device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 열 손실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외벽, 창문, 문, 지붕 및 바닥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열 손실량을 산출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heat loss calculation uni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heat loss through at least one of the outer wall, window, door, roof and floor of the building to calculate the heat lo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 취득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면적에 대응하는 인체의 발열량 및 실내 전자기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using the heat generation of the human body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uilding and the heat generation of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취득량 산출부는,
상기 건물의 창문의 방향, 면적, 차폐계수 및 차양형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on uni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solar heat obtained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one or more of the direction, area, shielding coefficient and shade of the window of the buil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주소, 지역, 방향, 준공년도, 층수, 층별 천장고 및 바닥면적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기본정보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further comprising a basic informatio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address, area, direction, year of completion, number of floors, floor-by-floor ceiling and floor area of the build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 및 상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가산절감율을 설정하는 가산절감율 설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난방에너지 분석부는,
상기 가산절감율을 적용하여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f there is an item that can further reduce th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further includes an addition reduction rate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addition reduc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The heating energy analysis unit,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heating energy savings rate by applying the addition reduction rate.
건물의 외피를 통한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건물의 실내에서의 발열에 의한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열 손실 계수 및 실내 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기준점 온도를 이용하여 난방도일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난방도일 및 상기 건물에 설치된 열원장비의 에너지 효율을 이용하여 난방에너지 사용량을 산출하고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Calculating a sheath heat loss through the sheath of the building;
Calculating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envelope heat loss amount;
Calculating an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due to heat generation in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the room heat acquisition amount;
Calculating a heating degree us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And calculating a heating energy consumption and calculating a heating energy saving rate us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heating coil and the heat source equipment installed in the build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서의 환기로 인한 환기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외피 열 손실량 및 상기 환기 열 손실량을 이용하여 열 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Calculating a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due to the ventilation in the building,
Comput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And calculating a heat loss coefficient us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and the ventilation heat loss amou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창문을 통한 태양복사에너지 유입에 의한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열 손실 계수, 실내 열 취득량 및 태양열 취득량을 이용하여 기준점 온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Computing the amount of solar heat obtained by the solar radiation energy inflow through the window of the building,
Computing the reference point temperature,
And calculating a reference point temperature using the heat loss coefficient,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외피의 구성재, 열 성능값, 두께, 면적, 추가 단열재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의 외피의 열 관류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열 관류율을 이용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Calculating heat permeability of the building envelope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one or more of components, thermal performance values, thickness, area, and additional insulation of the building envelope; And
And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using the heat permeation ra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외벽, 창문, 문, 지붕 및 바닥 중 하나 이상을 통한 열 손실량을 산출하여 상기 외피 열 손실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calculating the sheath heat loss amount,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heat loss through at least one of an outer wall, a window, a door, a roof, and a floor of the building, to calculate the amount of heat loss of the envelop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면적에 대응하는 인체의 발열량 및 실내 전자기기의 발열량을 이용하여 상기 실내 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Comput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ing the indoor heat acquisition amount by using the calorific value of the human body and the calorific value of the indoor electronic device corresponding to the area of the building.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건물의 창문의 방향, 면적, 차폐계수 및 차양형태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태양열 취득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Calculating the solar heat acquisition amount,
And calculating the amount of solar heat gained using information relating to one or more of the direction, area, shielding coefficient, and shade shape of the window of the build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주소, 지역, 방향, 준공년도, 층수, 층별 천장고 및 바닥면적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의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And inputting basic information of the building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at least one of the address, area, direction, year of completion, number of floors, floor-by-floor ceiling, and floor area of the build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물에 난방에너지를 추가적으로 절감할 만한 항목이 있을 경우 해당 항목 및 상기 해당 항목에 상응하는 가산절감율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가산절감율을 적용하여 상기 난방에너지 절감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에너지 성능 평가 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If there is an item to further reduce the heating energy in the building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etting the corresponding item and the addition reduction rat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item,
Calculating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And calculating the heating energy saving rate by applying the addition reduction rate.
KR1020120076892A 2012-07-13 2012-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KR1013901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892A KR101390146B1 (en) 2012-07-13 2012-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892A KR101390146B1 (en) 2012-07-13 2012-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0579A true KR20140010579A (en) 2014-01-27
KR101390146B1 KR101390146B1 (en) 2014-04-29

Family

ID=50143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892A KR101390146B1 (en) 2012-07-13 2012-07-13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146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6205A (en) * 2014-03-25 2014-06-25 程玉明 Metering method capable of fairly determining basic heat charge
KR20160063470A (en) * 2014-11-26 2016-06-07 현대건설주식회사 System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101633233B1 (en) * 2015-11-16 2016-06-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n open BIM-based assessment of energy performance index
KR20160127297A (en) 2015-04-24 2016-11-03 (주)우리젠 Self-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WO2018139905A1 (en) * 2017-01-26 2018-08-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rol data processing method for bems-based centr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26476B1 (en) * 2018-06-29 2019-09-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Numerical Conversion Method of storing Window in Database
KR20200039165A (en)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building energy model of target building
KR20210046365A (en) * 2019-10-18 2021-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Building energy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45054B (en) * 2016-10-13 2021-08-24 天津大学 Comprehensive thermal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residential building
KR101881794B1 (en) 2017-05-22 2018-07-25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ed Assessment System of Energy Performance Indicator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Data and Its Method
KR102571543B1 (en) * 2018-10-10 2023-08-29 한국전력공사 Application to Evaluate the Time Dependent Thermal Transmittance of Exterior Wall considering Thermal Lo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3038B2 (en) * 2001-03-12 2011-03-02 株式会社ミサワホーム総合研究所 Energy consumption evalu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 energy consumption evaluation program
JP2003271784A (en) * 2002-03-19 2003-09-26 Taisei Corp Method for calculating yearly thermal load coefficient of building
KR20090000136A (en) * 2007-01-11 2009-01-07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Method for evaluating insulatingcapability of a building
KR20100128876A (en) * 2009-05-29 2010-12-08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Green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ho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6205A (en) * 2014-03-25 2014-06-25 程玉明 Metering method capable of fairly determining basic heat charge
KR20160063470A (en) * 2014-11-26 2016-06-07 현대건설주식회사 System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 and method of the same
KR20160127297A (en) 2015-04-24 2016-11-03 (주)우리젠 Self-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KR101633233B1 (en) * 2015-11-16 2016-06-2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an open BIM-based assessment of energy performance index
WO2018139905A1 (en) * 2017-01-26 2018-08-0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Control data processing method for bems-based centralized air conditioning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KR102026476B1 (en) * 2018-06-29 2019-09-2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Numerical Conversion Method of storing Window in Database
KR20200039165A (en) * 2018-10-05 2020-04-16 주식회사 케이티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building energy model of target building
KR20210046365A (en) * 2019-10-18 2021-04-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Building energy performance measuring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146B1 (en) 201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1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building energy performance
Shabunko et al. EnergyPlus models for the benchmarking of residential buildings in Brunei Darussalam
Natephra et al. Optimizing the evaluation of building envelope design for thermal performance using a BIM-based overall thermal transfer value calculation
Ozarisoy Energy effectiveness of passive cooling design strategies to reduce the impact of long-term heatwaves on occupants’ thermal comfort in Europe: Climate change and mitigation
Asadi et al. On the development of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to assess energy consumption in the early stages of building design
Theodoridou et al. A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Greek residential building stock
Nicolae et al. Life cycle analysis in refurbishment of the buildings as intervention practices in energy saving
Logue et al. Energy impacts of envelope tightening and mechanical ventilation for the US residential sector
Park et al. Estimating thermal performance and energy saving potential of residential buildings using utility bills
Korjenic et al. Validation and evaluation of total energy use in office buildings: A case study
Melo et al. Development and analysis of a metamodel to represent the thermal behavior of naturally ventilated and artificially air-conditioned residential buildings
Tokarik et al. Life cycle cost optimization of passive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s in a Toronto house
Almushaikah et al. Evaluating the potential energy savings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utilizing solar energy in the middle region of Saudi Arabia–Case study
Audenaert et al. Economic analysis of the profitability of energy-saving architectural measures for the achievement of the EPB-standard
Ide et al. Balancing trade-offs between deep energy retrofits and heritage conservation: a methodology and case study
Foda et al. Computational analysis of energy and cost efficient retrofitting measures for the French house
Kamaluddin et al. Development of energy benchmarking of Malaysian government hospitals and analysis of energy savings opportunities
Zmeureanu et al. Estimation of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the heating energy use of existing houses
Barkokebas et al. Achieving housing energy-efficiency requirements: Methodologies and impacts on housing construction cost and energy performance
Hester et al. Dynamic modeling of potentially conflicting energy reduction strategies for residential structures in semi-arid climates
Zhao et al. Identification of the key design parameters of Zero/low energy buildings and the impacts of climate and building morphology
Yılmaz et al. Life cycle cost optimization of building façade: a social housing case
KR2014001058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energy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
He et al. Sustainable building retrofit model for high-rise, high-density city: a case in Hong Kong
Yang et al. Optimal design of residential balcony based on environmental benefit: A case study in hot summer and cold winter area of Ch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