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486A -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 Google Patents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486A
KR20140009486A KR1020137030097A KR20137030097A KR20140009486A KR 20140009486 A KR20140009486 A KR 20140009486A KR 1020137030097 A KR1020137030097 A KR 1020137030097A KR 20137030097 A KR20137030097 A KR 20137030097A KR 20140009486 A KR20140009486 A KR 20140009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ght emitting
platform
buttons
assig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0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543943B1 (en
Inventor
마사유키 이나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9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4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9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66B3/006Indicators for guiding passengers to their assigned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추가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할당 호기의 출입구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승강장 조작반의 조작 버튼으로 행선지층이 입력되어, 복수대의 호기 중으로부터 행선지층으로 운전하는 호기가 할당되면, 행선지층의 층명 및 할당 호기를 승강장 조작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의 상기 조작 버튼을 구성하며,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버튼과, 복수의 상기 버튼의 각각에 내장된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다. It provides an elevator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installation place, and that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can be visually understood to the user,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To this end, when a destination floor is input by an operation button of a platform operation panel, and an aircraft operating from the plurality of units is assigned to a destination floor, an elevator platform call registration for displaying the floor name and the assigned unit of the destination floor on the display unit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is performed. An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in a matrix, a light emitting source built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configured to control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is displayed on the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i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b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of elevator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of an elevator.

종래에서의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텐 키(ten key) 버튼 등의 조작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용자가 이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원하는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지층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해당 행선지층으로의 호출을 직접 등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승강장에서 엘리베이터 칸의 행선지층을 지정한 행선지층 호출이 등록되면, 복수대인 엘리베이터 칸 중에서 해당 등록된 행선지층 호출로 할당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를 결정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할당한 호기를 표시나 음성에 의해서 이용자에게 알린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시스템은, 승강장으로부터 등록된 행선지층 호출에 대한 할당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승강장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이용자에게 이 할당 호기를 알리기 때문에, 행선지 예보 시스템으로 불린다. Conventionally, the landing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is provided with operation buttons, such as a ten key button for inputting the destination floor of a car, and the destination floor of a car desired by a user operating this operation button. It is known that a call to the destination floor can be directly registered by inputting. In a conventional elevator having such a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when a destination floor call designating a destination floor of a car is registered at a platform, a number of cars assigned to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call is determined from a plurality of cars. do. The elevator notifies the user of the assigned breath by a display or a voice. Such an elevator system is called a destination forecasting system because the allocation car for the destination floor call registered from the platform informs the user in advance of the assigned flight before arriving at the platform.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행선지 예보 시스템에서는, 이용자를 할당 호기의 출입구로 알기 쉽게 유도하기 위해서, 승강장 조작반의 근방에, 해당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한 할당 호기의 출입구로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마련한 것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In such an elevator destination forecasting system, in order to guide the user to the entrance and exit door of the allocation unit clearly, an indicator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to indicate the direction of the exit door of the allocation unit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s an arrow. It is known conventionally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또, 승강장 조작반에 마련된 표시부에, 할당 호기의 식별 기호와 함께 해당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한 할당 호기의 출입구로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것도, 종래에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Moreover, it is also known in the past to display on the display part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the arrow to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door based on the said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with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an assigned breathing machin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2). ).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1-34817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48170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평 01-20318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01-203189

그렇지만,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진 종래 기술에서는, 할당 호기의 출입구로의 방향을 화살표로 표시하는 표시기를 승강장 조작반과는 별체(別體)로 마련하고 있으므로, 이 표시기를 별도로 마련하기 위한 설치 장소나 제작 비용이 필요하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in Patent Literature 1, since the indicator which displays the direction of the allocation door to the entrance and exit by an arrow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n installation place for separately providing this indicato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a production cost is required.

또, 특허 문헌 2에 나타내어진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장 조작반에 마련된 표시부라고 하는 한정된 넓이의 표시 영역에, 할당 호기의 식별 기호와 함께 할당 호기의 출입구로의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를 표시하기 때문에, 이들의 표시의 크기가 작게 되어버려, 시인(視認)하기 어렵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또, 승강장 조작반에 마련된 표시부의 크기를 크게 하면,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어진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표시부가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점유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Moreover, in the prior art shown by patent document 2, since the arrow which shows the direction to the entrance / exit of an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displayed in the display area of a limited area called the display part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an assigned breathing apparatus, these are show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becomes small and it is difficult to see. Moreover, when the size of the display part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s enlarged, there exists a subject that a display part occupies a space installation space similarly to the prior art shown by the patent document 1 mentioned abov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추가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할당 호기의 출입구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으며,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를 얻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installation place, and allows the user to visually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to the user visually an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elevator. It is to obtain a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조작반의 조작 버튼에의 조작에 의해 행선지층이 입력되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 중에서 해당 입력된 행선지층으로 운전하는 호기가 할당되면, 해당 행선지층의 층명 및 해당 할당된 할당 호기를 상기 승강장 조작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로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의 상기 조작 버튼을 구성하며,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버튼과, 복수의 상기 버튼의 각각에 내장된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한다.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a destination floor is input by operation to the operation button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f an elevator, and the exhalation unit which drives to the input destination floor among the exhalation of a plurality of cars is provided. An elevator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displaying a floor name of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assigned allocation unit on a display unit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wherein the plurality of buttons constitute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nd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light emitting source embed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and a light emitt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wherein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urn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The part which is based on the said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to a part of an operation button It is to be configured to display the direction of entrance and exit of this unit.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는, 추가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할당 호기의 출입구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In the elevator call registration device of 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dditional installation place is not required, and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can be visually shown to the user visually, and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Indicat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장 조작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행선지층 입력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top view of the boarding point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concerning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destination floor input of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exists an entrance and exit of an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on the basis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on the back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exists an entrance and exit of an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in the back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exists an entrance / exit of an assigned breathing machine in the back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exists an entrance and exit of an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in the front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at the time of the entrance and exit of an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in the front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1 of this invention.

본 발명을 첨부의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 부호는 동일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중복 설명은 적당히 간략화 또는 생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or equivalent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appropriately simplified or omitted.

실시 형태 1. Embodiment 1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의 평면도, 도 2는 승강장 조작반의 정면도, 도 3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행선지층 입력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서의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동일하게 좌측 방향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동일하게 배면측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동일하게 정면측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동일하게 배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동일하게 배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은 동일하게 정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동일하게 정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가 있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1 to 12 are related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lan view of a platform of an elevator, FIG. 2 is a front view of a platform operation panel, and FIG. 3 is a block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of the elevator.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entering the destination floor of the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ice of the elevator, and Fig. 5 is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n the right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landing control panel of the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ice of the elevator.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re is an allocation exhalation on the left side,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re is an allocation exhalation on the back side, and FIG. The figure explaining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is an allocation breath on the front side similarly, FIG.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re is an allocation breath in the back side left inclined direction, and FIG. 1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when there is an allocation breath in the front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operation | movement when there is an allocation breath in the front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similarly.

도 1에서, 1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이다. 이 엘리베이터는, 복수 대수(台數)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號機, 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승강장(1)에는, 이들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 각각의 출입구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는 8대 있다고 하고, 각각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를 식별하기 위해, 각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에는, A ~ H의 알파벳으로 이루어지는 식별 기호가 배정되어 있다. In FIG. 1, 1 is a boarding point of an elevator. This elevator has two or more exhalations of the cage | basket | car. And the boarding point 1 is provided with the entrance and exit of each exhalation 2 of these some cage | basket | cars. Here, it is assumed that there are eight exhalations 2 of the car, and in order to identify the exhalation 2 of each car, the exhalation 2 of each car has the identification symbol which consists of the letters A-H. Assigned.

A ~ D호기의 4대의 출입구는, 도 1의 도면을 향해 상측의 승강장(1)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 A ~ D호기의 출입구는, 도 1의 도면을 향해 좌측으로부터 A, B, C, D호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또, E ~ H호기의 4대의 출입구는, 도 1의 도면을 향해 하측의 승강장(1)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 E ~ H호기의 출입구는, 도 1의 도면을 향해 좌측으로부터 E, F, G, H호기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The four entrances and exits of A-D unit are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oarding point 1 of the upper side toward the drawing of FIG. The entrance and exit of these A-D units are arrange | positioned in order of A, B, C, D unit from the left toward the figure of FIG. Moreover, four entrances and exits of the E-H unit are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oarding point 1 of the lower side toward the drawing of FIG. The entrances and exits of these units E to H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units E, F, G, and H from the left toward the diagram of FIG. 1.

도면을 향해 상측의 승강장(1)의 벽면에는, 승강장 조작반(3)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은 B호기와 C호기와의 사이에 정면을 반(反)벽면측(벽면과 반대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고 한다. 이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승강장 조작반(3)에는, 조작 버튼(4) 및 표시기(5)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 버튼(4)은, 승강장(1)에 있는 엘리베이터의 이용자가, 원하는 행선지층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이 조작 버튼(4)은, 행선지층을 지정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버튼은 행렬(matrix)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세로 방향(행(行) 방향)으로 소정의 복수개의 버튼이 늘어놓아짐과 아울러, 가로 방향(열(列) 방향)으로도 세로 방향과 동일 또는 다른 소정의 복수개의 버튼이 늘어놓아져 있다. The boarding point operating panel 3 is provided in the wall surface of the boarding point 1 toward the figure. Here,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anti-wall surface side (opposite side to a wall surface) between unit B and unit C. The front view of this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in FIG. The operation button 4 and the indicator 5 are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The operation button 4 is for a user of an elevator in the landing 1 to input a desired destination floor. This operation button 4 is comprised by the set of several button for designating a destination layer. These button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That i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utton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ow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buttons which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vertical direction ar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lumn direction). have.

여기에서는, 조작 버튼(4)은 텐 키(ten key)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조작 버튼(4)을 구성하는 복수의 버튼에는, 적어도 0 ~ 9의 10개의 숫자 버튼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로부터 1행째(최상행(最上行))에 도면을 향해 왼쪽으로부터「7」,「8」,「9」의 순서로 3개의 버튼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아래의 2행째에는 동일하게 왼쪽으로부터「4」,「5」,「6」의 순서로 3개의 버튼이, 3행째에는 동일하게 왼쪽으로부터「1」,「2」,「3」의 키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Here, the operation button 4 is constituted by a ten key button. That is, the plurality of buttons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 4 includes at least ten numeric buttons of 0 to 9. As shown in Fig. 2, three button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7", "8", and "9" from the left toward the drawing in the first row (top row) from the top. In the second row below, three buttons in the order of "4", "5", and "6" from the left are the same, and in the third row, the three buttons are the same as "1", "2", and "3" from the left. The keys are arranged respectively.

또, 조작 버튼(4)의 4행째(최하행(最下行))에는, 동일하게 왼쪽으로부터「-」,「0」,「M」의 버튼이 배치되며, 조작 버튼(4)은, 세로에 4개, 가로에 3개인 합 12개의 버튼이 행렬 모양으로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의 이용자는, 조작 버튼(4)을 구성하는 텐 키 버튼의 하나 또는 복수의 버튼을 조합시켜 조작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행선지층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은 지하층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며,「M」는, 예를 들면,「2M 층(중간 2층)」등의 주요한 층의 중간에 마련된 층을 지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In the fourth row (lowest row) of the operation button 4, buttons "-", "0" and "M" are similarly arranged from the left side, and the operation button 4 is arranged vertically. A total of 12 buttons, 4 in total and 3 in width, are arranged in a matrix. The user of the elevator can input a desired destination floor by operating by combining one or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ten key buttons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 4. In addition, "-" is a button for designating an underground floor, and "M" is a button for designating the floor provided in the middle of main floors, such as a "2M floor (intermediate 2 floor)".

표시기(5)는, 조작 버튼(4)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행선지층, 및, 해당 행선지층에 대해서 할당된 엘리베이터의 호기(2)의 식별 기호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표시기(5)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발광 다이오드(LED) 등의 기존의 기술을 적당히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indicator 5 shows the destination symbol input by operation of the operation button 4, and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exhalation 2 of the elevator assigned with respect to the destination floor. This indicator 5 can be comprised, for example using existing techniques,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 light emitting diode (LED) suitably.

도 3에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장(1)에 설치된 승강장 조작반(3)에는, 조작 버튼(4) 및 표시기(5)가 구비되어 있다. 조작 버튼(4)을 구성하는 각 버튼의 각각에는, 발광 다이오드(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버튼등(4a)이 내장되어 있다. 조작 버튼(4)은, 이 내장된 버튼등(4a)이 발하는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점등한 버튼등(4a)이 발하는 광을, 버튼의 외부로부터 이용자가 시인(視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조작 버튼(4)을 구성하는 각 버튼에 내장된 이들의 버튼등(4a)의 각각의 점등/소등은, 승강장 조작반(3)이 구비하는 버튼등 제어부(6)에 의해 제어된다. The whole structure of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an elevator i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provided in the boarding point 1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button 4 and an indicator 5. Each of the buttons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 4 is provided with a button light 4a made of a light emitting diode (LED) or the like. The operation button 4 is comprised from the material which permeate | transmits the light which this built-in button light 4a emits.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t button lamp 4a from the outside of the button. The lighting / off of each of thes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button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 4 is controlled by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provided in the landing operating panel 3.

이용자가 승강장 조작반(3)의 조작 버튼(4)을 조작하여 입력된 행선지층의 정보(행선지층 정보(8))는,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으로 송신된다. 이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은, 각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의 운행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의 운전 동작 전반의 관리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은, 승강장 조작반(3)으로부터 송신된 행선지층 정보(8)에 기초하여, 이 행선지층 정보(8)가 나타내는 행선지층으로의 호출을 등록한다. The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8) input by the user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4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transmitted to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This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is in charge of management control of the overall driving operation of an elevator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exhalation 2 of each car.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registers the call to the destination floor indicated by this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8 based on the destination floor information 8 transmitted from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은, 등록한 행선지층 호출에 할당되는(즉, 행선지층으로 운전하는) 호기를, A ~ H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 중에서 결정한다. 이 할당 호기의 결정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의 전부를 총합한 운전 효율 등을 고려하여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에서 결정된 할당 호기가 복수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 중 어느 호기인가 하는 정보(할당 호기 정보(9))는,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승강장 조작반(3)으로 반송(返送)된다. 승강장 조작반(3)은,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으로부터 송신된 할당 호기 정보(9)가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의 식별 기호를 표시기(5)에 표시한다.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determines the exhalation assigned to the registered destination floor call (namely, driving to a destination floor) from the exhalation 2 of the car of AH. The determination of this assigned expiration date is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for example, the operating efficiency obtained by totaling all the exhalations 2 of the car. The information (assigned breath information 9) which the assigned breath determined by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is from the breath 2 of the some car, is conveyed from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d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displays on the display 5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the allocation exhalation information 9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shows.

조작 버튼(4)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었을 때에, 표시기(5)에 할당 호기의 식별 기호를 표시할 때까지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의 동작을 도 4에 나타낸다. 우선, 어느 것도 조작되어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버튼등(4a)은 모두 소등되어 있고, 표시기(5)에는 어느 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다. 조작 버튼(4)이 이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버튼등 제어부(6)는, 해당 조작된 조작 버튼(4)(여기에서는,「7」버튼으로 함)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점등시킨다. 이 버튼등(4a)은 소정 시간 후에 소등된다. 또, 표시기(5)에는, 해당 조작된 조작 버튼(4)을 나타내는「7」의 문자가 표시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으로부터 송신된 할당 호기 정보(9)를 수신하면, 표시기(5)에는, 행선지층의 층명(여기에서는「7」)과 해당 행선지층에 대한 할당 호기(여기에서는「F」)가 아울러 표시된다. When the operation button 4 was operated by the user,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apparatus until displaying the identification symbol of the allocation breathing machine on the display unit 5 is shown in FIG. First, in the initial state in which none has been operated, all of the button lamps 4a are turned off, and none of the indicators 5 are displayed. When the operation button 4 is operated by the user,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operated operation button 4 (herein, the "7" button). . This button light 4a goes out after a predetermined time. Moreover, the character of "7" which shows the said operation button 4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5. And when receiving the allocation breath information 9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the display 5 shows the floor name of a destination floor ("7" here), and the allocation breath to the destination floor (here " F ″) is also displayed.

다시 도 3으로 되돌아와, 또, 승강장 조작반(3)이 구비하는 위치 맵 기억부(10)에는, 승강장(1)에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의 출입구의 각각에 대해서의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한 위치 정보인 위치 맵이, 미리 기억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7)으로부터 송신된 할당 호기 정보(9)는, 표시기(5) 뿐만 아니라, 위치 맵 기억부(10)에도 입력된다. 할당 호기 정보(9)의 입력을 받은 위치 맵 기억부(10)는, 위치 맵을 참조하여,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는 할당 호기 정보(9)가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위치 정보(호기 위치 정보(11))를 버튼등 제어부(6)로 출력한다. Returning to FIG. 3 again, in the position map storage unit 10 provided in the landing operating panel 3, the landing operating panel 3 for each of the entrances and exits of the exhalation 2 of the car in the landing 1 is provided. The position map which is positional information based on the reference) is stored in advance. The assigned breath information 9 transmitted from the elevator management system 7 is input not only to the display 5 but also to the position map storage unit 10. The position map storage unit 10 which has received the input of the assigned breath information 9, refers to the position map and assigns the breath 2 of the car indicated by the assigned breath information 9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e positional information (exhalation position information 11) which has the entrance / exit of the exhalation) is output to the control part 6, such as a button.

호기 위치 정보(11)의 입력을 받은 버튼등 제어부(6)는, 이 입력된 호기 위치 정보(11)에 기초하여,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는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버튼등(4a)을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작 버튼(4) 부분에 표시한다. 도 5 내지 도 12에, 이 버튼등(4a)을 점등시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는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이들의 도 5 내지 도 12에 나타낸 표시 동작은, 도 4에 나타낸 할당 호기의 표시 뒤에 이어서, 또는, 도 4에 나타낸 할당 호기의 표시와 동시에 개시된다. The control unit 6 which has received the input of the exhalation position information 11 controls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exhalation based on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based on the inputted exhalation position information 11. It lights on the operation button 4 part by lighting up the light 4a. 5-12, operation | movement which lights up this button light 4a, and displays the direction which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n the operation button 4 part is displayed. These display operations shown in Figs. 5 to 12 are started after the display of the assigned breath shown in Fig. 4 or simultaneously with the display of the assigned breath shown in Fig. 4.

우선, 도 5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오른손 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C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First, in Fig. 5, wh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unit i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at is, when there is an exit of the assigned unit on the right hand side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Indicates. Here, the case where the C unit becomes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n entrance and exit to the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1」,「5」,「7」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볼록부를 우측을 향한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도 5의 상태 5(a)). In this case,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5", and "7" of the operation buttons 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 A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light-emitting portion at the portion 4) becomes a substantially V-shape toward the right side (state 5 (a) in FIG. 5).

다음으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5(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5」,「7」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2」,「6」,「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5 (a)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볼록부를 우측을 향한 대략 V자 모양)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우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다(슬라이드된다)(상태 5(b)). Next,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5", and "7" that were lit in the state 5 (a), and the operation button ( 4)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6", and "8" are turned on. In this way, in the state 5 (a), the display position is moved in parallel in the right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approximately V-shaped shape of the convex portion facing to the righ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portion (slide). (State 5 (b)).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5(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6」,「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5(c)). 이상의 상태 5(a)로부터 상태 5(c)의 표시 동작을, 1회만 행해도 괜찮고, 소정의 회수 또는 소정의 시간의 사이, 반복하도록 해도 괜찮다. Then,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6", and "8" that are lit in the state 5 (b), and then turns off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tate 5 (c)). The display operation of state 5 (c) may be performed only once from the above state 5 (a), or may be repeat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for a predetermined time.

다음으로, 도 6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왼손 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B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Next, in Fig. 6, wh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in the left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at is, the entrance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is located on the left hand side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e case is shown. Here, the case where the unit B has become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n entrance and exit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ng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3」,「5」,「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볼록부를 좌측을 향한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도 6의 상태 6(a)).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3", "5", and "9" of the operation buttons 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operation button ( A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light-emitting portion at the portion 4) becomes a substantially V-shape toward the left side (state 6 (a) in FIG. 6).

다음으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6(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3」,「5」,「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2」,「4」,「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6(a)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좌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다(상태 6(b)). Next,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3", "5", and "9" that were lit in the state 6 (a), and the operation button ( 4)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the buttons "2", "4", and "8" respectively light up. In this way, the display position is moved to the left side in parallel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ortion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in the state 6 (a) (state 6 (b)).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6(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4」,「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6(c)). Then,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4", and "8" that were lit in the state 6 (b), and then turns off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tate 6 (c)).

도 7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전방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A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Fig. 7 shows a case where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located on the back side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at i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on the front side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 Here, the case where unit A has become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ith a doorway on the back side based on the boarding point operating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2」,「-」,「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볼록부를 상측을 향한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도 7의 상태 7(a)).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 and "M" of the operation buttons 4, respectively, to operate the operation buttons ( A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light-emitting portion at the portion 4) becomes a substantially V-shape upwardly (state 7 (a) in FIG. 7).

다음으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7(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1」,「3」,「5」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7(a)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상부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다(상태 7(b)). Next,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of " 2 ", "-", " M " 4)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3", and "5" is turned on. In this way, the display position is moved in parallel to the upper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ortion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in the state 7 (a) (state 7 (b)).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7(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3」,「5」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4」,「6」,「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7(b)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상측 방향으로 더 평행 이동된다(상태 7(c)). Subsequently,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3", and "5" that were lit in the state 7 (b), and the operation button 4 ),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4", "6", and "8" is lit. In this way, the display position is further moved in parallel in the upward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ight poin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in the state 7 (b) (state 7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7(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4」,「6」,「8」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7(d)). Then,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4", "6", and "8" that are lit in the state 7 (c), and then turns off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tate 7 (d)).

도 8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후방측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G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FIG. 8 shows the case where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located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at i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on the rear side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 Here, the case where the G unit turns into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unit 2 of the cage | basket | car with a doorway on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ng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5」,「7」,「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볼록부를 하측을 향한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도 8의 상태 8(a)).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5", "7", and "9" of the operation buttons 4, respectively, and the operation button ( A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light-emitting portion at the portion 4) becomes a substantially V-shape toward the lower side (state 8 (a) in FIG. 8).

다음으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8(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5」,「7」,「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2」,「4」,「6」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8(a)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하측 방향으로 평행 이동된다(상태 8(b)). Next,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5", "7", and "9" that were lit in the state 8 (a), and the operation button ( 4)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4", and "6" are turned on. In this way, the display position is parallelly moved downward (state 8 (b)),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ight poin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in the state 8 (a).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8(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4」,「6」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등시키고, 조작 버튼(4) 중「0」,「1」,「3」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상태 8(b)에서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의 형상을 유지한 채로, 그 표시 위치가 하측 방향으로 더 평행 이동된다(상태 8(c)). Subsequently,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4", and "6" that were lit in the state 8 (b), and the operation button 4 ),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0", "1", and "3" is turned on. In this way, the display position is further mov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light poin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in the state 8 (b) (state 8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8(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0」,「1」,「3」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8(d)). Then,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turns off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0", "1", and "3" that were lit in the state 8 (c), and then turns off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State 8 (d)).

위에서 기술한 도 7의 표시 동작은,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승강장 조작반(3)의 배면측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의 수가 많아져 버리는 경우가 생각되어진다. 예를 들면,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예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의 배면측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는 A ~ D호기의 4대이다. 이에, 다음의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것은,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의 좌우 어느 쪽에 있는지도, 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Although the display operation of FIG. 7 described above indicates that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located on the rear side with respect to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e exhalation unit 2 of the car with the entrance on the rear side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It is thought that the number of) increases. For example, in the example demonstrated here,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n entrance and exit on the back side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four units A-D. Therefore, what is shown in following FIG.9 and FIG.10 is to display so that it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whether the entrance / exit of an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located in the left and right of the back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as a reference.

우선, 도 9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전방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D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First, in Fig. 9, wh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in the rear right side inclined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that is, assigned to the front side right inclined direction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side of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3. It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unit. Here, the case where the unit D has become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n entrance and exit in the back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1」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점등시킨다(도 9의 상태 9(a)). 다음으로, 조작 버튼(4) 중 상태 9(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버튼의 상부 우측 경사에 인접하는「5」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더 점등시킨다. (상태 9(b)).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1"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4 (state 9 (a) in FIG. 9). Next,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5" button adjacent to the upper right inclination of the "1" button lit in the state 9 (a) among the operation buttons 4 is further lighted. (State 9 (b)).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9(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5」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에 더하여, 조작 버튼(4) 중「3」,「6」,「7」,「8」,「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더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상부 우측 경사 방향을 가리키는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상태 9(c)). Subsequently, in addition to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and "5" that were lit in the state 9 (b),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has a "3" in the operation button 4.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the buttons "6", "7", "8", and "9" are further lit. In this way, a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point of ligh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portion becomes a substantially arrow shape indicating the upper right oblique direction (state 9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9(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3」,「5」,「6」,「7」,「8」,「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9(d)). Then, the button and the like 6 control the buttons "1", "3", "5", "6", "7", "8", and "9" which are lit in the state 9 (c).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the lamp flas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goes out (state 9 (d)).

다음으로, 도 10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전방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배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A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Next, in FIG. 10, when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in the back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e, in the front left sid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FIG. It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unit. Here, the case where unit A has become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 doorway in the back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3」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점등시킨다(도 10의 상태 10(a)). 다음으로, 조작 버튼(4) 중 상태 10(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3」버튼의 상부 좌측 경사에 인접하는「5」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더 점등시킨다. (상태 10(b)).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3"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4 (state 10 (a) in FIG. 10). Next,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5" button adjacent to the upper left inclination of the "3" button lit in the state 10 (a) of the operation button 4 is further turned on. (State 10 (b)).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0(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3」,「5」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에 더하여, 조작 버튼(4) 중「1」,「4」,「7」,「8」,「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더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상부 좌측 경사 방향을 가리키는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상태 10(c)). Subsequently, in addition to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3" and "5" that are lit in the state 10 (b),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has " 1 "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4", "7", "8", and "9" is further lit. In such a manner, the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poin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portion becomes an approximately arrow shape indicating the upper left inclined direction (state 10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0(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1」,「3」,「4」,「5」,「7」,「8」,「9」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10(d)). Then, the button lamp control unit 6 has buttons "1", "3", "4", "5", "7", "8", and "9" which are lit in the state 10 (c).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the lamp flas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goes out (state 10 (d)).

도 9 및 도 10과 마찬가지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는 것은,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의 좌우 어느 쪽에 있는지도, 이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9 and FIG. 10, what is shown in FIG. 11 and FIG. 12 is displayed so that it may be transmitted to a user whether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located on either side of the front side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as a reference.

우선, 도 11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후방측 우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우측 경사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H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First, in Fig. 11, wh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in the front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landing control panel 3, that is, it is assigned to the rear right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landing control panel 3. It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ntrance and exit of the unit. Here, the case where the unit H is assigned as the exhaling unit 2 of the cage | basket | car with the doorway in the front side righ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for example.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4」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점등시킨다(도 11의 상태 11(a)). 다음으로, 조작 버튼(4) 중 상태 11(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4」버튼의 하부 우측 경사에 인접하는「2」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더 점등시킨다(상태 11(b)).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4"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4 (state 11 (a) in FIG. 11). Next,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2" button adjacent to the lower right inclination of the "4" button lit in the state 11 (a) of the operation button 4 is further lit (state 11). (b)).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1(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4」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에 더하여, 조작 버튼(4) 중「0」,「3」,「6」,「-」,「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더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하부 우측 경사 방향을 가리키는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상태 11(c)). Subsequently, in addition to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and "4" that were lit in the state 11 (b),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has a value of "0" in the operation button 4.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3", "6", "-", and "M" is further lit. In such a manner, the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poin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portion becomes an approximately arrow shape indicating the lower right inclined direction (state 11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1(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0」,「2」,「3」,「4」,「6」,「-」,「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11(d)). The control unit 6 such as the button and the like controls each of the buttons "0", "2", "3", "4", "6", "-", and "M" that are lit in the state 11 (c).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the lamp flas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goes out (state 11 (d)).

다음으로, 도 12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있는 경우, 즉, 승강장 조작반(3)의 정면에 마주 향한 이용자의 후방측 좌측 경사 방향에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승강장 조작반(3)을 기준으로 하여 정면측 좌측 경사 방향에 출입구가 있는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2)로서 예를 들면 E호기가 할당 호기가 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Next, in Fig. 12, when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is in the front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landing control panel 3, that is, in the rear left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user facing the front of the landing control panel 3; It shows the case where there is an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unit. Here, the case where the unit E has become an allocation unit for example as the exhalation 2 of the cage | basket | car which has an entrance and exit in the front side left inclinatio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3 is shown.

이 경우에는, 버튼등 제어부(6)는, 우선, 조작 버튼(4) 중「6」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점등시킨다(도 12의 상태 12(a)). 다음으로, 조작 버튼(4) 중 상태 12(a)에서 점등시켜져 있던「6」버튼의 하부 좌측 경사에 인접하는「2」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더 점등시킨다. (상태 12(b)). In this case,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irst turns on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6" button among the operation buttons 4 (state 12 (a) in FIG. 12). Next, the button light 4a incorporated in the "2" button adjacent to the lower left inclination of the "6" button lit in the state 12 (a) of the operation button 4 is further turned on. (State 12 (b)).

이어서,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2(b)에서 점등시켜져 있던「2」,「6」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에 더하여, 조작 버튼(4) 중「0」,「1」,「4」,「-」,「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각각 더 점등시킨다. 이렇게 하여, 조작 버튼(4) 부분에서 발광한 개소가, 하부 좌측 경사 방향을 가리키는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복수의 버튼등(4a)을 조합시켜 표시한다(상태 12(c)). Subsequently, in addition to the button lights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2" and "6" that were lit in the state 12 (b), the button light control unit 6 has a value of "0" in the operation button 4.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each of the buttons "1", "4", "-", and "M" is further lit. In such a manner, the plurality of button lamps 4a are displayed in combination so that the poin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operation button 4 becomes a substantially arrow shape indicating the lower left inclined direction (state 12 (c)).

그리고, 버튼등 제어부(6)는, 상태 12(c)에서 점등시켜져 있던「0」,「1」,「2」,「4」,「6」,「-」,「M」의 각 버튼에 내장된 버튼등(4a)을 소정 횟수 점멸시킨 후, 소등시킨다(상태 12(d)). The control unit 6 such as the button and the like controls each of the buttons "0", "1", "2", "4", "6", "-", and "M" that are lit in the state 12 (c). The button lamp 4a incorporated in the lamp flas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en goes out (state 12 (d)).

또한, 이상에서는, 조작 버튼(4)을 텐 키 버튼으로 구성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조작 버튼(4)을 행선지층으로서 선택 가능한 각 층에 대응해서 마련된 행선지층 버튼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case where the operation button 4 was comprised with the ten key button was demonstrated above,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the operation button 4 with the destination floor button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floor which can be selected as a destination layer.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는, 승강장 조작반의 조작 버튼을,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버튼으로 구성하고, 이들 복수의 버튼의 각각에 내장된 발광원(버튼등(4a))과, 이들의 발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버튼등 제어부(6))를 구비한 것이다. 그리고, 이 발광 제어부는,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승강장 조작반에서의 조작 버튼의 부분에,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한다. The boarding point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an elev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mprises a light emitting source (button light 4a) built in a plurality of buttons arranged in a matrix form of operation buttons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button light control unit 6)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se light emitting sources. Then, the light emission control unit displ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is displayed on the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b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이 때문에, 추가의 설치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할당 호기의 출입구의 위치를 이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나타낼 수 있어,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this reason, the additional installation place is not required, and the position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machine can be visually shown to the user visually, and the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또, 발광 제어부는, 조작 버튼의 부분에서의 발광 개소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발광원을 점등시키도록 함으로써, 이용자의 시각에 작용하는 효과가 늘어나, 편리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
Moreover, the light emission control part makes the light emission source light so that a light emission point in a part of an operation button may move to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the effect which acts on the user's time will increase, and it can further improve convenience.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은, 승강장 조작반의 조작 버튼에의 조작에 의해 행선지층이 입력되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 중에서 행선지층으로 운전하는 호기가 할당되면, 행선지층의 층명 및 할당 호기를 승강장 조작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estination floor is input by operation to operation buttons of a platform operation panel, and an exhalation driving to a destination floor is assigned among a plurality of cars, the floor name of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assigned breathing unit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It can use for the platform call registration apparatus of the elevator to display.

1 : 승강장 2 :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
3 : 승강장 조작반 4 : 조작 버튼
4a : 버튼등 5 : 표시기
6 : 버튼등 제어부 7 : 엘리베이터 관리 시스템
8 : 행선지층 정보 9 : 할당 호기 정보
10 : 위치 맵 기억부 11 : 호기 위치 정보
1: platform 2: the car's exhalation
3: platform operation panel 4: operation button
4a: button light 5: indicator
6: button light control unit 7: elevator management system
8: destination layer information 9: allocation unit information
10: location map storage unit 11: exhalation position information

Claims (6)

엘리베이터의 승강장에 설치된 승강장 조작반의 조작 버튼에의 조작에 의해 행선지층이 입력되어,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칸의 호기(號機) 중에서 해당 입력된 행선지층으로 운전하는 호기가 할당(割當)되면, 해당 행선지층의 층명 및 해당 할당된 할당 호기를 상기 승강장 조작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의 상기 조작 버튼을 구성하며, 행렬 모양으로 배치된 복수의 버튼과,
복수의 상기 버튼의 각각에 내장된 발광원과,
상기 발광원의 점등 및 소등을 제어하는 발광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에서의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When a destination floor is input by operation to the operation button of the boarding point operation panel installed in the boarding point of an elevator, and when the exhalation which drives to the input destination floor among the exhalation of a plurality of cage | basket | cars is allocated, it is applicable. In the elevator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displaying the floor name of the destination floor and the assigned allocation unit on the display unit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 plurality of buttons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s of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nd arranged in a matrix;
A light emitting source built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ttons,
It is provided with a light emiss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and turning off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displays the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is displayed on the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in the platform operating panel by turning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Call registration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발광원을 조합시켜 점등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displays a direction in which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is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so as to be lit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서의 발광 개소의 형상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으로 볼록부를 향한 대략 V자 모양이 되도록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so that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oint at the por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approximately V-shaped toward the convex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 exit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A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for an elev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서의 발광 개소의 형상이, 상기 승강장 조작반을 기준으로 하는 상기 할당 호기의 출입구가 있는 방향을 가리키는 대략 화살표 형상이 되도록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so that the shape of the light emitting point at the portion of the operation button is approximately an arrow shape indicating a direction in which the doorway of the assigned breathing unit is based on the platform operation panel. Platform call registration device of the elevator.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발광 제어부는, 상기 조작 버튼의 부분에서의 발광 개소가,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발광원을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the light emitting control unit turns on the light emitting source so that the light emitting point at the part of the operation button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버튼을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버튼은, 0에서 9까지의 10개의 숫자 버튼을 적어도 포함하는 텐 키(ten key) 버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said plurality of buttons constituting the operation button is a ten key button including at least ten numeric buttons from 0 to 9.
KR1020137030097A 2011-06-22 2011-06-22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KR1015439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4240 WO2012176290A1 (en) 2011-06-22 2011-06-22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486A true KR20140009486A (en) 2014-01-22
KR101543943B1 KR101543943B1 (en) 2015-08-11

Family

ID=47422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0097A KR101543943B1 (en) 2011-06-22 2011-06-22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574048B2 (en)
KR (1) KR101543943B1 (en)
CN (1) CN103502130B (en)
WO (1) WO201217629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014A (en) *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오아앤테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9583B2 (en) * 2014-12-18 2018-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WO2019082375A1 (en) * 2017-10-27 2019-05-0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operation button
WO2019180860A1 (en) * 2018-03-22 2019-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landing guidan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81780A (en) * 1987-09-22 1989-03-28 Toshiba Corp Display unit for elevator
CN1084289C (en) * 1996-10-29 2002-05-08 三菱电机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elevators
JP2002321880A (en) * 2001-04-25 2002-11-08 Mitsubishi Electric Corp Landing hall display device for elevator
JP2007119140A (en) * 2005-10-26 2007-05-17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2008105769A (en) * 2006-10-23 2008-05-08 Toshiba Elevator Co Ltd Car operation panel and operation button of elevator, and operation state notifying method
CN101573281B (en) * 2007-03-29 2012-04-04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014A (en) * 2018-04-04 2019-10-14 주식회사 오아앤테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elevetor, storage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02130B (en) 2014-12-17
JPWO2012176290A1 (en) 2015-02-23
WO2012176290A1 (en) 2012-12-27
CN103502130A (en) 2014-01-08
JP5574048B2 (en) 2014-08-20
KR101543943B1 (en) 2015-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59482B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JP5720804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device
KR20140009486A (en) Elevator landing call registration deveice
JP6880196B2 (en) Building simulator and building simulation method
US20170355557A1 (en) Elevator notice system
JP5749427B2 (en) Elevator group management system
KR20190028631A (en) Elevator simulator
KR20130064323A (en) Destination selecting system of elevator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6151118B2 (en) Departure guidance system and departure guidance light emitting device
JP6112875B2 (en) Elevator operation display device
CN112449630B (en) Multi-car elevator system
JP2014213987A (en) Hall lantern device
JP6657299B2 (en) Elevator hall lantern and lighting method thereof
JP6218797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801838B2 (en) Ride guide display device
JP7174364B1 (en) Display device
JP2020019617A (en) Multi-car elevator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car elevator device
CN110775746B (en) Multi-car elev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997819B2 (en) Elevator system
KR20110111422A (en) Display unit for elevator
JP6875863B2 (en) Mechanical parking lot
JP2019206416A (en) Landing display device for elevator
KR200464778Y1 (en) Lighting guide apparatus of escalator floor plate
JPH0346977A (en) Display-guide device for elevator
JPH04191272A (en) Digital display for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