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9481A -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481A
KR20140009481A KR1020137029858A KR20137029858A KR20140009481A KR 20140009481 A KR20140009481 A KR 20140009481A KR 1020137029858 A KR1020137029858 A KR 1020137029858A KR 20137029858 A KR20137029858 A KR 20137029858A KR 20140009481 A KR20140009481 A KR 20140009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or
area
information processing
display unit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176B1 (ko
Inventor
히로츠구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9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06F1/169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the I/O peripheral being a secondary touch screen used as control interface, e.g. virtual buttons or sli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3Split screen, i.e. subdividing the display area or the window area into separate sub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터치센서의 검출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내에서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바꿀 수 있도록 한다.
정보처리장치(1)는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터치패널(12)과,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18)와, 제어부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배면 터치센서(18)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내의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킨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처리장치에 대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방법으로서 다양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기기의 양면에 센서를 배치하고, 이들 쌍방의 센서로 조작 입력을 실시하도록 한 기기가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7088342호 명세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면(前面)에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가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정보처리장치를 왼손으로 들고, 오른손 손가락으로 전면측의 터치센서를 조작했을 때에,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의 우측 아래에 표시되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이 정보가 가려져서 사용자가 이 정보를 보기 힘들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사용자가 상술한 정보처리장치를 오른손으로 들고, 왼손 손가락으로 전면측의 터치센서를 조작했을 때에는,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의 좌측 아래에 표시되면, 사용자의 손에 의해 이 정보가 가려져서 사용자가 이 정보를 보기 힘들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내에서 사용자가 보기 힘든 영역은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드는 손에 따라 변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정보처리장치를 드는 손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내에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 변하게 되면 편리하다.
또 정보처리장치의 배면에 터치센서를 마련하면, 예를 들면 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를,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오른손으로 들고 있는지 왼손으로 들고 있는지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정보처리장치의 배면의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 내에서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의 제어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디스플레이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터치센서의 검출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내에서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금지영역 중 한쪽을,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하는 순서와,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특정된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정보기억 매체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금지영역 중 한쪽을,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하는 순서와,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특정된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억 매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에 의해 특정되는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므로, 디스플레이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터치센서의 검출위치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내에서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을 바꿀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鉛直)방향을 따른 방향인지,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와, 상기 2개의 영역 중에서 특정되는 상기 금지영역의 대응 관계가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우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이라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며,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이라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의 좌측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 내의 영역을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의 우측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 내의 영역을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양태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복수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가 순서지어져 있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순서지어진 영역 내에, 상기 순서지어진 복수의 정보를, 정보의 순서와 영역의 순서가 대응하도록 분할된 각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a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가로방향으로 왼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세로방향으로 왼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가로방향으로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d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세로방향으로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는 평균 좌표법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평균 좌표법의 설명도이다.
도 6c는 벡터 그레디언트법(vector gradient method)의 설명도이다.
도 6d는 벡터 외적법(vector cross product method)의 설명도이다.
도 6e는 벡터 외적법의 설명도이다.
도 7a는 금지영역 및 우선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금지영역 및 우선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a는 정보처리장치(1)를 전면측에서 본 모습을, 도 1b는 배면측에서 본 모습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는 예를 들면 휴대형 게임기 등의 가반형(可搬型) 디바이스인 것으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의 하우징(10)은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상의 형상을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하우징(10)의 가로방향(폭방향)을 X축방향, 세로방향(높이방향)을 Y축방향으로 하고, 두께방향(깊이방향)을 Z축방향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봤을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향하는 방향이 X축 양방향, 하우징(10)의 전면에서 봤을 때 아래에서 위로 향하는 방향이 Y축 양방향, 하우징(10)의 배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이 Z축 양방향으로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전면에는 터치패널(12)이 마련되어 있다. 터치패널(12)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고, 디스플레이(14)와 전면 터치센서(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4)는 액정표시 패널이나 유기EL표시 패널 등, 각종 화상표시 디바이스여도 된다.
전면 터치센서(16)는 디스플레이(14)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고 디스플레이(14)의 표시면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의 대략 직사각형의 검출면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터치센서(16)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이 검출면상에서의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물체의 접촉을 순차 검출한다. 전면 터치센서(16)는 물체의 접촉을 검출했을 경우는 그 물체의 접촉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전면 터치센서(16)는 반드시 물체가 검출면에 접촉했을 경우에만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검출면상의 검출 가능범위 내까지 물체가 근접했을 경우에 해당 물체의 검출면에 대한 위치를 검출해도 된다. 또 전면 터치센서(16)는 예를 들면 정전용량식이나 감압식, 광학식 등,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가능한 디바이스라면 어떤 방식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 터치센서(16)는 여러 군데(예를 들면, 최대 8군데)에서의 물체의 접촉을 검지 가능한 다점(多点) 검지형 터치센서인 것으로 한다. 또 전면 터치센서(16)는 물체의 검출면에 닿아 있는 부분의 면적(접촉면적)이나, 물체가 검출면을 누르는 강도(압력)를 검출가능한 센서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배면측에 전면 터치센서(16)와 대향하도록 배면 터치센서(18)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터치센서(18)는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배면 터치센서(18)의 좌측 절반이 전면 터치센서(16)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고, 배면 터치센서(18)의 우측 절반이 전면 터치센서(16)의 우측 절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배면 터치센서(18)는 전면 터치센서(16)보다도 X축방향의 길이가 길고, 전면 터치센서(16)보다도 Y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대략 직사각형의 검출면을 구비하고 있으며, 전면 터치센서(16)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한다. 즉, 디스플레이(14)의 표시면, 전면 터치센서(16)의 검출면, 및 배면 터치센서(18)의 검출면은 각각 하우징(10)의 XY평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하우징(10)의 두께방향(Z축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터치센서(18)는 전면 터치센서(16)와 마찬가지로 여러 군데에서의 물체의 접촉을 검지 가능한 다점 검지형 터치센서인 것으로 한다. 배면 터치센서(18)는 전면 터치센서(16)와 마찬가지로 각종 방식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전면 터치센서(16)와 배면 터치센서(18)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 터치센서(18)가 전면 터치센서(16)보다도 X축방향의 길이가 길 필요도 없고, 배면 터치센서(18)가 전면 터치센서(16)보다도 Y축방향의 길이가 짧을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전면 터치센서(16)와 배면 터치센서(18)가 서로 대략 같은 형태, 대략 같은 사이즈여도 무방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의 전면 및 상측면에는 버튼(20)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보처리장치(1)의 전면에 대해서는 디스플레이(14)의 좌측에 각각이 상하좌우 중 어느 한 방향에 대응되는 4개의 버튼(20)(방향 버튼군)이 마련되어 있고, 디스플레이(14)의 우측에는 4개의 버튼(20)이 마련되어 있다. 또 정보처리장치(1)의 상측면에는 좌우에 2개의 버튼(20)이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 정보처리장치(1)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는 이미 설명한 디스플레이(14), 전면 터치센서(16), 배면 터치센서(18), 버튼(20) 이외에, 제어부(22), 기억부(24), 통신부(26), 광디스크 판독부(28), 스피커(30), 입력 인터페이스(32), 방향검출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4), 제어부(22), 기억부(24), 통신부(26), 광디스크 판독부(28), 스피커(30), 입력 인터페이스(32)가 내부 버스(36)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22)는 예를 들면 CPU 등으로서, 기억부(24)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각종 정보처리를 실행한다. 기억부(24)는 예를 들면 RAM이나 ROM 등의 메모리 소자나, 디스크 디바이스 등이며, 제어부(22)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 기억부(24)는 제어부(22)의 워크 메모리로서도 기능한다. 통신부(26)는 예를 들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무선 LAN 모듈)으로서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지시에 따라서 다른 정보처리장치(1)나 인터넷상의 서버(미도시) 등에 정보를 송신한다. 또 통신부(26)는 수신되는 정보를 제어부(22)에 출력한다. 광디스크 판독부(28)는 제어부(2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광디스크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판독한다. 또한 정보처리장치(1)는 광디스크 이외의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억 매체에 기억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독취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스피커(30)는 제어부(22)로부터 접수하는 지시에 따라서 음성을 외부에 출력한다. 방향검출부(34)는 하우징(10)의 방향을 검출하는 센서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방향검출부(34)는 예를 들면 중력가속도의 방향을 검출할 수 있는 3축 가속도 센서이며, 방향검출부(34)에 의해 하우징(10)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방향검출부(34)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하우징(10)이 연직방향에 대하여 어떤 방향으로 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입력 인터페이스(32)에는 전면 터치센서(16), 배면 터치센서(18), 방향검출부(34), 버튼(20)이 접속된다. 그리고 전면 터치센서(16), 배면 터치센서(18), 방향검출부(34) 또는 버튼(20)과, 제어부(22) 사이의 데이터의 수수(授受)는 입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 실현되는 기능의 일례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는 검출결과 접수부(40), 쥔 손 판정부(42), 좌우 플래그 유지부(44), 디스플레이방향 판정부(46), 영역특정부(48), 표시처리 실행부(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능한다. 좌우 플래그 유지부(44)는 기억부(24)를 주로 하여 실현된다. 검출결과 접수부(40)는 제어부(22), 전면 터치센서(16), 배면 터치센서(18), 방향검출부(34)를 주로 하여 실현된다. 그 밖의 요소는 제어부(22)를 주로 하여 실현된다. 이 요소들은 컴퓨터인 정보처리장치(1)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정보처리장치(1)의 제어부(22)에서 실행함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 DVD-ROM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정보전달 매체를 통해, 혹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처리장치(1)에 공급된다.
사용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의 전면 터치센서(16)나 배면 터치센서(18)의 검출면상에 자신의 손가락을 접촉시키거나, 이들의 검출면상에 손가락을 접촉시킨 상태로 손가락을 움직임으로써 정보처리장치(1)에 대한 조작 입력을 실시한다. 또 사용자는 버튼(20)을 누름으로써도 정보처리장치(1)에 대한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한손 또는 양손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를 쥐고 상술한 조작 입력을 실시하게 된다. 또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1)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 등에 따라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를 가로방향으로 쥐는(짧은 길이방향을 따른 가장가지를 쥐는) 경우도 있고, 세로방향으로 쥐는(긴 길이방향을 따른 가장가지를 쥐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또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1)를 한손으로 쥘 때에 왼손으로 쥐는 경우도 있고, 오른손으로 쥐는 경우도 있다고 생각된다.
도 4a에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가로방향으로 왼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b에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세로방향으로 왼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c에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가로방향으로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4d에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세로방향으로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도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는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정보처리장치(1)를 쥐고 있지 않은 손의 손가락으로 전면 터치센서(16)를 터치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서는,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정보처리장치(1)에 대한 조작 입력을 실시하고 있지만, 스타일러스 등으로 정보처리장치(1)에 대하여 조작 입력을 실시해도 물론 무방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전면 터치센서(16)를 터치하면, 그 터치된 위치에 따른 정보(예를 들면 터치된 위치에 표시되어 있는 아이콘으로부터 손가락을 뗌으로써 실행되는 처리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가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4)상의 위치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가 사용자의 왼손에 쥐어져 있을 경우에는 전면 터치센서(16)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4)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측 위쪽의 영역에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한편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가 사용자의 오른손에 쥐어져 있을 경우에는 전면 터치센서(16)의 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14)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우측 위쪽의 영역에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표시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배면 터치센서(18)의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함과 아울러, 배면 터치센서(18)에 의해 검출된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왼손으로 쥐고 있는지 오른손으로 쥐고 있는지를 추정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는 표시해야 할 정보가 존재할 때에 그 정보를 그 추정 결과에 따른 디스플레이(14) 내의 영역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실시되는, 사용자가 정보처리장치(1)를 쥐고 있는 손의 판정 처리 흐름의 일례를 도 5에 예시한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검출결과 접수부(40)가 방향검출부(34)로부터 연직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접수함과 아울러, 배면 터치센서(18)로부터 검출된 적어도 하나의 위치의 좌표값(X좌표값 및 Y좌표값)을 접수한다(S101). 그리고 쥔 손 판정부(42)가,y좌표값이 작은 것부터 순서대로 S101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접수한 위치의 좌표값을 나열한 리스트를 생성한다(S102). 그리고 쥔 손 판정부(42)는 S101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접수한 좌표값의 수를 확인한다(S103).
그리고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1 또는 5 이상일 경우는, 쥔 손 판정부(42)는 후술하는 평균 좌표법에 의해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되는 좌우 플래그의 값("우" 또는 "좌")을 결정한다(S104).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2일 경우는, 쥔 손 판정부(42)는 후술하는 벡터 그레디언트법에 의해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되는 좌우 플래그의 값을 결정한다(S105).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3 또는 4일 경우는, 쥔 손 판정부(42)는 후술하는 벡터 외적법에 의해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되는 좌우 플래그의 값을 결정한다(S106).
그리고 쥔 손 판정부(42)는 S104∼S106 중 어느 하나의 처리에서 결정된 값이 설정된 좌우 플래그를 위치 좌표의 검출 일시에 관련지어서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시킨다(S107).
또한 본 처리예에서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0일 경우는 좌우 플래그는 판정 불가라고 결정한다(S108). 이 경우는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좌우 플래그가 유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S107 또는 S108에 나타내는 처리가 종료되면, 쥔 손 판정부(42)는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되어 있는 좌우 플래그 중에서 관련되어 있는 판정 일시가 새로운 것부터 순서대로 소정 수(예를 들면 15개)를 추출하여 설정되어 있는 값이 "좌"인 좌우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 값이 "우"인 좌우 플래그보다 많을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가 쥐어져 있는 손을 왼쪽이라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사용자에 의해 정보처리장치(1)가 쥐어져 있는 손을 오른쪽이라고 판정한다(S109).
이런 식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정보처리장치(1)가 쥐어져 있는 손이 왼쪽인지 오른쪽인지의 추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술한 S104∼S106에 나타낸 좌우 플래그의 값의 판정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S104에 나타낸 평균 좌표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a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1일 경우의 평균 좌표법의 설명도이다. 도 6b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5 이상(도 6b의 예에서는 5)일 경우의 평균 좌표법의 설명도이다.
평균 좌표법에서는, 먼저 디스플레이방향 판정부(46)가 상술한 S101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방향검출부(34)로부터 접수한 데이터가 나타내는 연직방향을 XY평면의 사영(射影)한 방향과 X축방향이 이루는 예각의 각도를 특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방향 판정부(46)는 이 각도가 45도 이상일 경우에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의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된 것으로 한다.
도 4b 또는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 경우는 X축방향이 연직방향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 반대로 도 4a 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 경우는 Y축방향이 연직방향을 향할 가능성이 높다. 이것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평균 좌표법에서는 연직방향과 X축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기초하여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지가 판정되게 된다.
그리고 쥔 손 판정부(42)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1(도 6a의 예에서 좌표값은 (x0,y0))일 경우에는 그 좌표값 중 X좌표값 x0과,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좌표값은 (xc,yc))의 X좌표값 xc의 차분 (x0-xc)가 0 또는 양인지, 음인지를 판정한다.
또 쥔 손 판정부(42)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5 이상(도 6b의 예에서는 각각의 좌표값은 (x0,y0), (x1,y1), (x2,y2), (x3,y3), (x4,y4))일 경우에는 그들의 좌표값이 나타내는 위치군의 중심(좌표값은 (xa,ya). 또한 xa=(x0+x1+x2+x3+x4)/5,ya=(y0+y1+y2+y3+y4)/5))의 X좌표값 xa와,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의 X좌표값 xc의 차분 (xa-xc)가 0 또는 양인지, 음인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쥔 손 판정부(42)는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x0-xc)의 값이나 (xa-xc)의 값이 0 또는 양일 경우는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우"로 특정하고, 음일 경우는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좌"로 특정한다. 한편, 쥔 손 판정부(42)는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x0-xc)의 값이나 (xa-xc)의 값이 0 또는 양일 경우는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좌"로 특정하고, 음일 경우는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우"로 특정한다. 도 6a의 예에서는 (x0-xc)의 값은 음이므로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은 "좌"로 특정된다. 도 6b의 예에서는 (xa-xc)의 값은 양이므로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은 "우"로 특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평균 좌표법에 있어서 검출된 위치 또는 검출된 위치의 중심 위치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보다 왼쪽에 있는지 오른쪽에 있는지에 따라서 좌우 플래그의 값을 특정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평균 좌표법에서는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지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된 위치 또는 검출된 위치의 중심 위치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보다 왼쪽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0-xc)나 (xa-xc)가 음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한편, 오른손으로 쥐어지면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된 위치 또는 검출된 위치의 중심 위치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보다 오른쪽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0-xc)나 (xa-xc)가 0 또는 양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우"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는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지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된 위치 또는 검출된 위치의 중심 위치가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보다 오른쪽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0-xc)나 (xa-xc)가 0 또는 양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한편, 정보처리장치(1)가 오른손으로 쥐어지면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된 위치 또는 검출된 위치의 중심 위치가 배면 터치센서(18)의 중심보다 왼쪽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0-xc)나 (xa-xc)가 음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S105에 나타낸 벡터 그레디언트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c는 벡터 그레디언트법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는 상술한 S102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생성된 리스트를 구성하는 2개의 좌표값을 각각 (x0,y0), (x1,y1)로 한다(y0<y1). 벡터 그레디언트법에서는 쥔 손 판정부(42)는 x1-x0의 값이 양 또는 0일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우"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좌"로 특정한다. 도 6c의 예에서는 x1-x0의 값은 음이 되므로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은 "좌"로 특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벡터 그레디언트법에서는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지면 검출된 2개의 위치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 위에서 우측 아래를 향해 나열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집게손가락이 상측면의 버튼(20)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그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1-x0의 값이 음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정보처리장치(1)가 오른손으로 쥐어지면 검출된 2개의 위치가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 위에서 좌측 아래를 향해 나열될 가능성이 높다(특히 집게손가락이 상측면의 버튼(20)에 닿아 있는 경우에는 그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x1-x0의 값이 0 또는 양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우"라고 판정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S105에 나타낸 벡터 외적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d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3일 경우의 벡터 외적법의 설명도이다. 도 6e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4일 경우의 벡터 외적법의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벡터 외적법에서는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3일 경우(여기에서는 상술한 S102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생성된 리스트를 구성하는 3개의 좌표값을 각각 (x0,y0), (x1,y1), (x2,y2)로 함 (y0<y1<y2)) 쥔 손 판정부(42)는 벡터(x1-x0,y1-y0)과 벡터(x2-x0,y2-y0)의 외적의 값이 양 또는 0일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좌"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우"로 특정한다. 도 6d의 예에서는 벡터(x1-x0,y1-y0)과 벡터(x2-x0,y2-y0)의 외적의 값이 양이므로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은 "좌"로 특정된다.
S103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확인된 좌표값의 수가 4일 경우(여기에서는 상술한 S102에 나타내는 처리에서 생성된 리스트를 구성하는 4개의 좌표값을 각각 (x0,y0), (x1,y1), (x2,y2), (x3,y3)으로 함(y0<y1<y2<y3)) 쥔 손 판정부(42)는 벡터((x1+x2)/2-x0,(y1+y2)/2-y0)과 벡터(x3-x0,y3-y0)의 외적의 값이 양 또는 0일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좌"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을 "우"로 특정한다. 도 6e의 예에서는 벡터((x1+x2)/2-x0,(y1+y2)/2-y0)과 벡터(x3-x0,y3-y0)의 외적의 값이 음이므로 상술한 좌우 플래그의 값은 "우"로 특정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벡터 외적법에서는 검출된 위치가 3개일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지면, 이 3개의 위치들을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연결시키면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으로 볼록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벡터(x1-x0,y1-y0)과 벡터(x2-x0,y2-y0)의 외적의 값이 양 또는 0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정보처리장치(1)가 오른손으로 쥐어지면, 상술한 3개의 위치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연결시키면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으로 볼록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벡터(x1-x0,y1-y0)과 벡터(x2-x0,y2-y0)의 외적의 값이 음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우"라고 판정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벡터 외적법에서는 검출된 위치가 4개일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지면, 가장 위의 위치, 위에서 2번째 위치와 3번째 위치의 중점의 위치, 가장 아래의 위치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연결시키면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오른쪽으로 볼록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벡터((x1+x2)/2-x0,(y1+y2)/2-y0)과 벡터(x3-x0,y3-y0)의 외적의 값이 양 또는 0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좌"라고 판정된다. 반대로 정보처리장치(1)가 오른손으로 쥐어지면, 가장 위의 위치, 위에서 2번째 위치와 3번째 위치의 중점의 위치, 가장 아래의 위치를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연결시키면 하우징(10)의 정면에서 봤을 때 왼쪽으로 볼록해질 가능성이 높다는 생각에 기초하여 벡터((x1+x2)/2-x0,(y1+y2)/2-y0)과 벡터(x3-x0,y3-y0)의 외적의 값이 음일 경우에 좌우 플래그의 값이 "우"라고 판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널(12)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을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로 터치하면 전면 터치센서(16)에 의해 그 위치가 검출되어 그 화상에 따른 정보(예를 들면 그 화상이 나타내는 내용을 표시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14)에 표시된다. 이때, 정보가 표시되는 위치는 전면 터치센서(16)에 의한 검출위치, 및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내는 처리에서의 최근 판정결과에 따라서 변화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정보처리장치(1)에서 실시되는 전면 터치센서(16)가 터치되었을 때의 정보의 표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영역특정부(48)가 전면 터치센서(16)로부터 검출된 위치의 좌표값(X좌표값 및 Y좌표값)을 접수한다. 그리고 영역특정부(48)는 그 검출위치에 겹치는 디스플레이(14)상의 위치의 좌표값(예를 들면, 그 검출위치와 동일한 X좌표값 및 Y좌표값)을 특정한다. 여기에서는 특정된 위치의 좌표값을 (xq,yq)로 한다. 또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졌을 경우의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아래 모퉁이의 좌표값을 (x0,y0), 디스플레이(14)의 우측 아래 모퉁이의 좌표값을 (x1,y1),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위 모퉁이의 좌표값을 (x2,y2), 디스플레이(14)의 우측 위 모퉁이의 좌표값을 (x3,y3)으로 한다.
그리고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왼쪽일 경우에는, 영역특정부(48)는 좌표값(x1,y1)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금지영역(52)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2,y2)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1 우선영역(54-1)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0,y0)으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2 우선영역(54-2)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3,y3)으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3 우선영역(54-3)으로 특정한다. 도 7a에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오른쪽일 경우의 금지영역(52) 및 우선영역(54)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a에서는 금지영역(52)이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오른쪽일 경우에는 영역특정부(48)는 좌표값(x0,y0)으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금지영역(52)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3,y3)으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1 우선영역(54-1)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1,y1)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2 우선영역(54-2)으로 특정하고, 좌표값(x2,y2)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을 제3 우선영역(54-3)으로 특정한다. 도 7b에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왼쪽일 경우의 금지영역(52) 및 우선영역(54)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b에서는 금지영역(52)이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 식으로 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면 터치센서(18)에 의한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좌표값(x1,y1)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 및 좌표값(x0,y0)으로 표시되는 위치와 좌표값(xq,yq)로 표시되는 위치를 대각선상의 서로 마주 보는 정점으로 하는 직사각형 영역 중 한쪽이 금지영역(52)으로 특정되게 된다.
그리고 표시처리 실행부(50)가 표시해야 할 정보를 디스플레이(14)의 제1 우선영역(54-1) 내에 표시 출력시킨다. 또한 여기에서, 표시처리 실행부(50)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제1 우선영역(54-1)에 정보를 표시시킬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해도 된다. 표시처리 실행부(50)는 예를 들면 제1 우선영역(54-1) 내에 이미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제1 우선영역(54-1) 내에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표시해야 할 정보를 제2 우선영역(54-2) 내에 표시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표시처리 실행부(50)는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제2 우선영역(54-2) 내에도 이미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다고 결정하고, 표시해야 할 정보를 제3 우선영역(54-3) 내에 표시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표시처리 실행부(50)는 표시해야 할 정보가 복수 존재할 경우에 이 정보들을 각각 제1 우선영역(54-1) 내, 및 제2 우선영역(54-2) 내에 표시 출력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배면 터치센서(18)에 의한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정보처리장치(1)가 왼손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전면 터치센서(16)를 조작하는 오른손에 의해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디스플레이(14)의 우측 아래의 영역이 금지영역(52)으로 설정되고, 정보처리장치(1)가 오른손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전면 터치센서(16)를 조작하는 왼손에 의해 가려질 가능성이 높은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아래의 영역이 금지영역(52)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14) 내의 금지영역(52) 이외의 영역에 표시 대상의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보기 힘든 위치에 표시 대상의 정보가 표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배면 터치센서(18)에서 검출된 좌표값의 수와, 좌우 플래그의 값의 판정방법의 대응 관계는 상술한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쥔 손 판정부(42)는 2개 이상의 판정방법에 의한 판정결과의 조합에 기초하여 좌우 플래그의 값을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배면 터치센서(18)에서 검출된 좌표값의 수가 2일 경우에 쥔 손 판정부(42)는 상술한 벡터 그레디언트법에 의해 특정되는 좌우 플래그의 값과, 이들 2개의 좌표값의 중점이 디스플레이(14)의 중심보다 왼쪽에 있는지 오른쪽에 있는지에 기초하는 상술한 평균 좌표법에 의해 특정되는 좌우 플래그의 값이 일치할 경우에, 그 값을 좌우 플래그의 값으로서 결정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판정 불가라고 결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금지영역(52)의 설정 방법은 상술한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4) 내의 소정의 2개의 영역이 금지영역(52)의 후보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4)의 좌측 아래 모퉁이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반경의 사분의 일원(一圓), 및 디스플레이(14)의 우측 아래 모퉁이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 반경의 사분의 일원이 금지영역(52)의 후보로서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영역특정부(48)는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왼쪽일 경우는 우측의 금지영역(52)의 후보를 금지영역(52)으로 특정하고, 상술한 S101∼S109에 나타낸 처리의 최신 판정결과가 오른쪽일 경우는 좌측의 금지영역(52)의 후보를 금지영역(52)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예를 들면 쥔 손 판정부(42)는 배면 터치센서(18)에서 검출된 좌표값의 수가 6 이상일 경우는, 정보처리장치(1)는 양손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는 영역특정부(48)가 디스플레이(14) 내에 금지영역(52)을 설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14)를 상중하의 3개 영역으로 분할한 각 영역을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 우선영역(54-1), 제2 우선영역(54-2), 제3 우선영역(54-3)으로 특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쥔 손 판정부(42)는 좌우 플래그의 값을 배면 터치센서(18)에서 검출된 좌표값(또는 배면 터치센서(18)에서 검출된 복수 위치의 중심의 좌표값)에 관련지어서 좌우 플래그 유지부(44)에 유지시키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1)가 상술한 평균 좌표법에 의해 좌우 플래그의 값을 판정할 때에 값이 "좌"인 좌우 플래그에 관련되어 있는 X좌표값의 평균치가, 값이 "우"인 좌우 플래그에 관련되어 있는 X좌표값의 평균치보다도 작을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가 가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정보처리장치(1)가 세로방향으로 쥐어져 있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쥔 손 판정부(42)는 상술한 S104∼S107에서의 과거의 판정결과의 이력에 기초하여 정보처리장치(1)를 쥐고 있는 손을 판정할 필요는 없고, 배면 터치센서(18)의 최신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정보처리장치(1)를 쥐고 있는 손을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Claims (11)

  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鉛直)방향을 따른 방향인지,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에 따라서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와, 상기 2개의 영역 중에서 특정되는 상기 금지영역의 대응 관계가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우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하는지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검출하는 방향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향검출부에 의한 검출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인지를 판정하여,
    상기 표시부의 짧은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이라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며,
    상기 표시부의 긴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을 따른 방향이라고 판정될 때에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1의 검출위치가 상기 전면 터치센서의 좌측 절반에 대향하는 상기 배면 터치센서 내의 영역 내에 존재할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을 상기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2개의 영역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의 좌측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 내의 영역을 상기 2개의 영역 중 좌측 영역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의한 검출위치의 우측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표시부 내의 영역을 상기 2개의 영역 중 우측 영역으로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가 복수 존재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가 순서지어져 있는 경우에,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을 분할한 복수의 순서지어진 영역 내에, 상기 순서지어진 복수의 정보를, 정보의 순서와 영역의 순서가 대응하도록 분할된 각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영역 중 한쪽을 금지영역으로서 특정하고,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금지영역 중 한쪽을,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하는 순서와,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특정된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11.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에 겹쳐서 배치되어 있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전면 터치센서와, 상기 전면 터치센서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검출면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를 검출하는 배면 터치센서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에,
    각각 상기 표시부의 일부를 차지하는 좌우에 배치된 2개의 금지영역 중 한쪽을, 상기 배면 터치센서에 의한 적어도 하나의 검출위치에 기초하여 특정하는 순서와,
    표시 대상이 되는 정보를 상기 표시부 내의 특정된 금지영역 이외의 영역에 표시시키는 순서를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억 매체.
KR1020137029858A 2011-05-19 2012-04-06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 KR1015241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12157 2011-05-19
JP2011112157A JP5594847B2 (ja) 2011-05-19 2011-05-19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PCT/JP2012/059518 WO2012157367A1 (ja) 2011-05-19 2012-04-06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481A true KR20140009481A (ko) 2014-01-22
KR101524176B1 KR101524176B1 (ko) 2015-05-29

Family

ID=4717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9858A KR101524176B1 (ko) 2011-05-19 2012-04-06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092048A1 (ko)
EP (1) EP2711813B1 (ko)
JP (1) JP5594847B2 (ko)
KR (1) KR101524176B1 (ko)
CN (1) CN103518177B (ko)
BR (1) BR112013029660A2 (ko)
RU (1) RU2606048C2 (ko)
WO (1) WO20121573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09914B2 (ja) 2011-08-05 2016-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ー、光スキャナー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4126949A (ja) * 2012-12-25 2014-07-07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画面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71828B2 (en) 2014-09-19 2017-06-0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dual touch sensors located on different sides of terminal bod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60114413A (ko) * 2015-03-24 2016-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EP3506061A4 (en) * 2016-08-24 2019-12-1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WI602099B (zh) * 2016-10-21 2017-10-11 鹽光股份有限公司 電容式感測裝置及在導電異物中觸碰事件的偵測方法
JP6389581B1 (ja) * 2018-05-16 2018-09-12 株式会社Cygames プログラム、電子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0592B2 (en) * 2005-03-04 2010-09-21 Apple Inc. Hand held electronic device with multiple touch sensing devices
JP3852368B2 (ja) 2002-05-16 2006-11-29 ソニー株式会社 入力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20060084482A1 (en) * 2004-10-15 2006-04-20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hand-held device with a back cover keypad and a related method
JP4569411B2 (ja) * 2005-08-03 2010-10-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
EP1971117A1 (en) * 2006-03-31 2008-09-17 T & 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phone with sensor for detection of user's handling
US8988359B2 (en) * 2007-06-19 2015-03-24 Nokia Corporation Moving buttons
US8116831B2 (en) * 2007-11-29 2012-02-14 Motorola Mobility, Inc.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auxiliary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9513765B2 (en) * 2007-12-07 2016-12-06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liding objec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499546B1 (ko) * 2008-01-1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 방법, 장치, 및기록매체
JP5066055B2 (ja) * 2008-10-28 2012-11-0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0113503A (ja) * 2008-11-06 2010-05-20 Sharp Corp 携帯端末装置
JP2010140329A (ja) * 2008-12-12 2010-06-24 Sharp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WO2010071188A1 (ja) * 2008-12-16 2010-06-2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キー配置制御方法
JP2010154090A (ja) * 2008-12-24 2010-07-08 Toshiba Corp 携帯端末
JP4714279B2 (ja) * 2009-02-25 2011-06-2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型情報処理装置、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303785B2 (ja) * 2009-05-12 2013-10-02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1028560A (ja) * 2009-07-27 2011-02-10 Sony Corp 情報処理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11813B1 (en) 2020-08-05
KR101524176B1 (ko) 2015-05-29
JP2012243066A (ja) 2012-12-10
CN103518177B (zh) 2016-10-12
CN103518177A (zh) 2014-01-15
EP2711813A1 (en) 2014-03-26
RU2013156454A (ru) 2015-06-27
WO2012157367A1 (ja) 2012-11-22
BR112013029660A2 (pt) 2020-08-04
RU2606048C2 (ru) 2017-01-10
EP2711813A4 (en) 2015-02-25
JP5594847B2 (ja) 2014-09-24
US20140092048A1 (en) 2014-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9481A (ko)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장치의 제어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 매체
JP5205157B2 (ja) 携帯型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5529700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0007813A1 (ja) 携帯型画像表示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20086055A (ko) 터치 압력을 검출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JP2019087261A (ja) 情報処理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4134938A (ja) 入力表示装置
US20130100063A1 (en) Touch panel device
JP582769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KR20140106285A (ko) 휴대용 표시 장치
KR101598807B1 (ko) 펜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법 및 그 디지타이저
KR20150093780A (ko) 전자 기기 및 정보 처리 방법
JP5088192B2 (ja) 描画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692796B2 (ja) 情報端末、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4459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憶媒体
JP2013037481A (ja) 入力装置、情報処理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32123A (ja) 操作入力装置
US201500702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3d input
CN104007849B (zh) 虚拟导航装置及其导航方法
JP5982677B2 (ja) 端末装置
KR101234521B1 (ko) 작업대상물의 6자유도 위치/자세 인식방법
JP20141157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135612A (ja) 電子装置、入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