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593A -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593A
KR20140007593A KR1020120074669A KR20120074669A KR20140007593A KR 20140007593 A KR20140007593 A KR 20140007593A KR 1020120074669 A KR1020120074669 A KR 1020120074669A KR 20120074669 A KR20120074669 A KR 20120074669A KR 20140007593 A KR20140007593 A KR 20140007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trol
learning
driver
value
learning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일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4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593A/ko
Publication of KR201400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5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저장중인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로부터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한 후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운전자 별 차량 제어를 실행하고,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 또는 변동된 학습 변동값을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함에 따라,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노후화 정도를 지연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운전자들이 다른 운전자의 차량 제어 설정을 자신에 맞게 재차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EING VEHICLE CONTROL LEARNING FOR EACH OF DRIVERS}
본 발명은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복수 운전자들 중 엔진 시동하는 임의의 운전자를 구분한 후 구분된 운전자와 관련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기초로 한 차량 제어 및 차량제어 학습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게 되면, 해당 차량에 대한 노후화 정도가 빨라진다.
예를 들어, 자동변속기의 클러치를 제어하는 듀티 학습값은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의해 변속 시간, Nt gradient의 변화량, inter lock 또는 Run-up Control의 상황에 따라 계산되는데, 이와 같은 듀티 학습값은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으며, 차량 시동이 온 될 때 로딩된다.
즉, 자동변속기의 클러치를 제어하는 듀티 학습값은 시동 후 변속 시 학습 과정을 거쳐 변경된 값으로 저장장치에 저장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되므로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의해 그 편차가 커지는 값이기도 하다.
이러한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가 함께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임의의 운전자가 먼저 차량 운행한 후 그 운전 성향을 반영하여 생성된 클러치 제어의 듀티 학습값이 저장장치에 저장되는데 이후 상기 복수 운전자 중 다른 운전자가 시동 후 변속을 개시하면 이미 상기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의해 생성된 클러치 제어의 듀티 학습값을 로딩한 후 로딩된 클러치 제어의 듀티 학습값을 기초로 해서 자동 변속을 수행하게 되어 변속감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결국, 상기 과정이 반복되면 운전자들간 변속 위화감을 느끼는 것에 그치지 아니하고 차량 노후화가 급속하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
한편,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가 함께 이용하는 경우 운전자마다 체격 조건이나 운행 습관이 다르므로, 운전석 시트, 각종 미러 조정 등에 대한 설정도 각각 이루어지고, 각 운전자는 운전석에 탑승할 때마다 자신에 맞게 관련된 차량 제어부분을 재-설정한 후 차량 운행을 개시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저장중인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로부터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한 후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운전자 별 차량 제어를 실행하고,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된 학습 변동값을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따라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차량의 노후화 및 차량 제어 재설정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차량제어모드의 기초 학습값을 도출한 후 상기 차량제어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시동 오프 시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된 학습 변동값을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응되는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은 1 이상이며,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은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 내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및 외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에 기초한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실행이 불가한 경우 상기 차량제어모드에 대응되어 기 정해진 기준 학습값을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기초 학습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차량제어모드에 대한 고장 발생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상기 시동키 입력정보가 복수 운전자에 대해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 운전자 중 시동 후 수신되는 각 운전자의 기 설정된 특정패턴에 대한 패턴입력정보 또는 운전자 선택을 위한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운전자선택 입력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운전자에 대해 각각 다른 시동키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관리 테이블값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저장중인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로부터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한 후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운전자 별 차량 제어를 실행하고,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 또는 변동된 학습 변동값을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함에 따라,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노후화 정도를 지연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운전자들이 다른 운전자의 차량 제어 설정을 자신에 맞게 재차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은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복수 운전자들 중 임의의 운전자를 차량 시동 시에 구분한 후 구분된 운전자에 대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기초로 한 차량 제어 및 차량제어 학습 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갖출 수 있다.
여기서, 차량제어 학습값이라 함은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 내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및 외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중 1 이상을 일컫는다.
즉, 차량제어 학습값은 운전자별로 상이해질 수 있는 운전 성향을 나타내는 값으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은 제1 운전자, 제2 운전자 및 제N 운전자를 포함하는 복수 운전자 중 어느 한 임의 운전자에 의해 차량 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임의의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저장장치(200)의 기 저장된 학습 관리 테이블로부터 차량제어 학습값을 도출하고, 도출된 임의 운전자 관련된 각 차량제어 모드의 기초 학습값으로 각 차량제어 모드를 실행하고, 이때 추가 또는 변경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임의 운전자에 대응되는 학습 관리 테이블에 갱신 및 저장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100), 및 상기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의 적용 대상인 학습대상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제어장치(100)는 복수 운전자 중 어느 한 임의 운전자(예: 제1 운전자)에 의해 차량 시동이 이루어지면, 해당 운전자(예: 제1 운전자)의 시동 키 입력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시동 키 입력정보로부터 해당 운전자(예: 제1 운전자)의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를 추출하고 저장 장치(200)의 기 설정된 학습 관리 테이블로부터 해당 운전자(예: 제1 운전자)의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와 관련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100)는 복수 운전자 중 어느 임의 운전자에 의해 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미리 고정된 호출대상 항목에 대한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대상 항목이 미리 고정되어 있다는 것은 복수 운전자 중 어느 운전자의 시동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운전자 별로 구분하지 않고 미리 고정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대상 항목(즉, 운전자의 운전 성향에 따라 변경되는 항목)을 지정하는 것을 나타낸다.
즉, 호출대상 항목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전자제어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는 학습대상장치(300)도 고정적으로 관리되는바, 전자제어장치(100)는 복수 운전자 중 어느 한 임의 운전자에 의해 시동이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고정된 학습대상장치(300)와 관련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 시동 시 고정적으로 호출하기 위한 호출대상 항목이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에 대한 항목과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에 대한 항목인 경우, 전자제어장치(100)는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에 대한 항목과 관련된 자동변속장치와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에 대한 항목과 관련된 운전석 시트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를 지정한 후 지정된 학습대상장치(300)와 대응되는 것으로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한다.
이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100)에서 호출하는 항목이 복수 운전자 모두에 대해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에 대한 항목과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에 대한 항목으로 고정된다고 하더라도, 각 운전자 별로 대응되어 호출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은 상이할 것이다. 또한 운전자와 관련된 호출 항목 및 호출 항목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은 운전자 또는 제조자의 요청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및 추가할 수 있다.
전자제어장치(100)는 호출 받은 차량제어 학습값을 대응되는 학습대상장치(300)의 초기 실행값(즉, 초기 학습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한 것인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전자제어장치(100)가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을 어느 한 특정값으로 호출 받은 경우,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를 나타내는 센서의 고장으로 인해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판정이 불가한 경우 호출된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을 현 운전석 시트의 위치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해지므로 전체적인 차량 제어를 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를 감안하여 상기 언급된 검증 과정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상기 검증 후 전자제어장치(100)는 호출받은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해당 차량제어 모드의 초기 실행값(즉, 초기 학습값)으로 설정한 후 각 차량제어 모드의 수행과정에서 변동되는 차량제어 변동값을 학습하고, 해당 운전자에 의해 시동 키 오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학습된 차량제어 변동값을 기초로 하여 상기에서 호출하였던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갱신한 후 갱신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운전자별 학습 관리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제어장치(100)는 상기 검증 시에 호출받은 차량제어 학습값을 해당 학습대상장치(300)에 반영하는 것이 불가한 것으로 판정되면 해당 학습대상장치(300)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진 기준 학습값으로 대체 설정하거나, 해당 학습대상장치(300) 또는 해당 학습대상장치(300)와 관련된 주변장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여 고장 발생 안내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제어장치(100)는 차량제어 변동값을 학습한 후 학습된 차량제어 변동값이 미리 정해진 차량제어 모드별 안전 기준을 통과하는지 여부를 판정한 후 판정 결과가 통과이면 상기 학습된 차량제어 변동값을 기초로 시동 시에 호출하였던 차량제어 학습값에 대한 갱신을 개시하도록 하는 갱신명령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복수 운전자 각각이 다른 시동 키를 소지하고 있어서 어느 한 임의 운전자가 차량에 탑승하여 시동하게 되면, 전자제어장치(100)는 해당 시동 키로부터 제공되는 시동 키 입력정보를 수신한 후 수신된 시동 키 입력정보로부터 운전자 구별이 가능한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하지만, 복수 운전자 모두가 동일한 시동 키 또는 단일 시동 키를 가지고 차량을 함께 이용하는 경우, 복수 운전자 중 각 운전자 별로 미리 설정된 시동 후 특정 패턴에 대한 입력정보(예: 엑셀을 두 번 길게 밟으면 제1 운전자를 나타내고, 엑셀을 세 번 짧게 연속적으로 밟으면 제2 운전자를 나타냄) 또는 운전자 선택을 위한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입력정보를 통해 해당 운전자의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를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제어 학습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일실시 예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복수 운전자 중 임의 운전자인 제1 운전자가 시동을 하게 되면, 전자제어장치(100)는 시동 키 입력으로 인한 제1 운전자의 시동 키 입력정보를 수신한다(S100).
이후, 전자제어장치(100)는 S100 단계에서 수신된 시동 키 입력정보로부터 제1 운전자에 대한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제1 운전자의 시동 키 아이디(ID) 정보와 관련된 저장장치(200)의 학습 관리 테이블로부터 차량제어 학습값을 도출한다(S102 및 S104).
전자제어장치(100)는 호출받은 차량제어 학습값과 각각 대응되는 학습대상장치(300)의 기초 학습값으로 설정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판정을 실행한다(S106).
S106 단계의 판정 결과, 설정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면 각 학습대상장치(300)의 동작 실행을 위한 기초 학습값으로 상기 호출받은 차량제어 학습값을 설정한 후 각각 대응되는 차량제어 모드를 수행한다(S108 및 S110).
이후, 전자제어장치(100)는 각 차량제어 모드의 수행 과정에서 변동되는 차량제어 변동값을 학습하며(S112 및 S114), 시동 오프 상황이 발생하면 S114 단계에서 학습된 차량제어 변동값을 통해 시동 시 호출한 차량제어 학습값을 갱신 처리하여 저장장치(200)에 저장하거나 상기 학습된 차량제어 변동값이 미리 정해진 레벨 이하로 미비하게 변동되었거나 변동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시동 시 호출한 차량제어 학습값을 지속하여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S116 및 S118).
S106 단계에서, 호출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관련된 학습대상장치(300)의 기초 학습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불가한 것으로 판정된 경우, 전자제어장치(100)는 상기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학습대상장치(300)의 기초 학습값으로 설정하는 대신 미리 정해진 기준 학습값으로 대체 설정하거나, 관련된 학습대상장치(300) 또는 학습대상장치(300)의 주변 장치에 대해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안내할 수 있다(S120).
또한, 임의의 운전자를 차량 시동 시에 구분한 후 구분된 운전자에 대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저장장치(500)로부터 호출한 후 호출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과 관련된 각 차량제어 모드의 기초 학습값을 상기 호출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이용하여 설정한 후 각 차량제어 모드의 실행 과정을 추가 학습하고 추가 학습된 결과를 통해 상기 호출된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을 갱신 및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장치(100)는 단계 114에서 각 차량제어 모드의 수행 과정에서 변동되는 차량제어 변동값을 학습하며, 이때 제1 운전자와 대응되는 것으로 학습대상장치(300)를 추가하거나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운전자와 대응되는 학습대상장치(300)를 추가 또는 삭제 지정하는 방식으로 설정한 후 변동된 학습대상장치에 대한 차량제어 학습값을 학습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저장중인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로부터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한 후 호출된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운전자 별 차량 제어를 실행하고,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 또는 변동된 학습 변동값을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운전자 별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함에 따라, 단일 차량에 대해 복수 운전자들이 함께 사용하는 경우 해당 차량에 대한 노후화 정도를 지연할 수 있도록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운전자들이 다른 운전자의 차량 제어 설정을 자신에 맞게 재차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엔진 정밀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차량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 전자제어장치 200 : 저장장치
300 : 학습대상장치

Claims (5)

  1. 전자제어장치에서 차량 시동 시에 입력되는 시동키 입력정보를 통해 기 설정된 운전자에 대응되는 차량제어 학습값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을 토대로 차량제어모드의 기초 학습값을 도출한 후 상기 차량제어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시동 오프 시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실행 시에 추가된 학습 변동값을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으로 갱신하여 상기 운전자에 대응되는 학습관리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3. 제1 항 또는 상기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은 1 이상이며, 1 이상의 차량제어 학습값은 클러치 제어에 대한 듀티 학습값, 운전석 시트에 대한 위치 학습값, 내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및 외측 미러에 대한 위치 학습값 중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상기 차량제어 학습값에 기초한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실행이 불가한 경우 상기 차량제어모드에 대응되어 기 정해진 기준 학습값을 상기 차량제어모드의 기초 학습값으로 설정하거나, 상기 차량제어모드에 대한 고장 발생을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은
    상기 시동키 입력정보가 복수 운전자에 대해 동일한 경우 상기 복수 운전자 중 시동 후 수신되는 각 운전자의 기 설정된 특정패턴에 대한 패턴입력정보 또는 운전자 선택을 위한 별도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된 운전자선택 입력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운전자에 대해 각각 다른 시동키 입력 정보를 생성하여 학습 관리 테이블값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운전자별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KR1020120074669A 2012-07-09 2012-07-09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KR201400075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69A KR20140007593A (ko) 2012-07-09 2012-07-09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69A KR20140007593A (ko) 2012-07-09 2012-07-09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593A true KR20140007593A (ko) 2014-01-20

Family

ID=50141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69A KR20140007593A (ko) 2012-07-09 2012-07-09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5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539A (ko) * 2016-05-17 2017-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설정을 고려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9539A (ko) * 2016-05-17 2017-1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설정을 고려한 자율 주행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7610B1 (en) Method of addressing and correcting mismatches between e-shift position and actual transmission gear
US1108449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mode of vehicle
CN110244959B (zh) 车辆控制系统及软件兼容性检查方法
CN107560071B (zh) 遥控器的控制方法、遥控器及存储介质
CN112392945B (zh) 换挡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EP3299239B1 (en) Vehicle traveling control apparatus
CN111008704B (zh) 电动汽车联邦学习的处理方法、装置、设备与存储介质
JP2009102003A (ja) ソフトウェア更新装置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CN110594406B (zh) 换档电机堵转的调整方法及装置
US10906482B2 (en) Real-time performance tuning
WO2011102207A1 (ja) 組込み制御装置
US20180362019A1 (en) Control apparatus
KR20140007593A (ko) 차량제어 학습 관리 방법
JP2019159400A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US10137898B2 (en) Vehicle operator notification system
US9046885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functional parameters for a control unit
KR20180130220A (ko) 차량 운전모드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3631463A (zh) 用于运行机动车辆的方法、机动车辆和电脑程序产品
JP2013100787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101904391B1 (ko) 인히비터 스위치의 코드정보 관리 방법
US20230150524A1 (en) Replacement confirmation system and replacement confirmation method
GB2571981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systems
CN113882962B (zh) 赛车换挡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10052561A (ja) 車速制限制御装置
US20230406333A1 (en) Method for operating a control device for a mot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