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205A -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7205A
KR20140007205A KR1020120074645A KR20120074645A KR20140007205A KR 20140007205 A KR20140007205 A KR 20140007205A KR 1020120074645 A KR1020120074645 A KR 1020120074645A KR 20120074645 A KR20120074645 A KR 20120074645A KR 20140007205 A KR20140007205 A KR 20140007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tenta
combustion
combustion chamb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일
Original Assignee
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일 filed Critical 서일
Priority to KR102012007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7205A/ko
Publication of KR2014000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2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23G7/06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10Waste heat recuperation reintroducing the heat in the same process, e.g. for pre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00001Exhaust gas recirc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흐르는 텐타 배기가스를 상기 보일러 연소실측으로 궤환하기 위한 가스 궤환관과; 상기 가스 궤환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기를 상기 가스 궤환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재연소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가 가스 궤환관을 따라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재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에서 완전 연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가 가스 궤환관을 따라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 내의 미연소 잔유물의 발생량을 최대한 억제하여 대기오염과 텐타 배기가스 배출로 인한 인근의 민원사항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막방식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원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환경보호에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Combustion apparatus for tenta exhaust gas}
본 발명은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을 통한 원단의 가공시 발생되는 텐트 배기 가스내의 미연소 잔유물의 발생량을 최대한 억제하여 대기오염과 인근의 민원사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텐타 배기가스를 화목 보일러를 통해 재연소하도록 하는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타라 함은 원단을 가공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계를 사용하여 원단에 염색 또는 풀을 매기거나 강한 스팀이나 열로 원단의 표면을 가공하는 등의 작업을 의미한다.
이때 텐타가공시 필시 발생되는 것은 강한 스팀이나 열과 원단과의 접촉에서 발생되는 가스와 스팀 및 열을 위한 열매체에서 발생되는 가스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스들은 통상적으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텐타 배기가스의 배기로상에 물을 순환시키는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물을 통해 텐타 배기가스내의 오염물질을 정화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정화시스템은 텐타 배기가스내의 오염물질을 어느정도 정화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어느정도의 오염물질은 그대로 방출되어 주변 민가에 피해를 끼침으로써 민원 대상의 원인이 되었으며, 특히 텐타 배기가스를 정화한 물은 그대로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이 또한 환경오염의 하나로 문제점을 그대로 내재하고 있다.
이러한 예중 하나로 첨부한 도 1은 기존의 화목보일러의 구성과 그 기능들을 살펴보기 위한 예시도로서, 심야축열보일러(30)및 온수탱크(40)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화목 보일러(10)는 본체(10a)를 구비하며, 상부에는 수평 직육면체형상인 상부수조부(11)와, 상기 상부수조부(11)의 양측에 형성된 직육면체형상의 한쌍의 측면수조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수조부(11)의 상면에는 상부수조부(11)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수조부(11)및 한 쌍의 측면수조부(11a)의 전면부에는 수직 직육면체형상의 전면수조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수조부(11)및 한 쌍의 측면수조부(11a)의 후면부에는 마찬가지로 수직 직육면체형상이며 전면수조부(12)와 이격되어 설치된 후면수조부(13)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수조부(12)의 중간에는 연소용 목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12a)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난방수 유입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2a)는 회동가능한 덮개(21)에 의해 개방, 폐쇄될 수 있다. 후면수조부(13)의 상단에는 난방수 유출부(13a)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수조부(12)와 후면수조부(13)의 상부 및 하부에는 복수의 열전달파이프(14a, 14b)가 연결되어 있다. 상부 열교환파이프(14a)는 복수의 열로서 이루어지며 각 열은 서로 지그재그로 배열된다. 하부 열교환 파이프(14b)는 단열로 구성된다.
상부 열교환파이프(14a)및 하부 열교환파이프(14b)에 의해 양 파이프(14a, 14b)사이의 공간이 연소공간(15)으로 구획된다. 연소공간(15)의 상면에 형성된 배출구(11b)를 통해 목재 연소시 발생한 배출가스가 유출된다.
화목보일러(10)의 하측에서 하부파이프(14b)의 아래에는 재받이(22)가 위치한다. 목재의 연소로 발생한 재가 하부 열교환파이프(14b)사이의 틈새로 낙하되어 재받이(22)에 누적된다. 심야축열보일러(30)는 공지된 구성의 전기보일러로서 화목보일러(1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이 일반적인 화목보일러의 전체적인 구성 시스템을 나타낸 것인데, 도시되어진 구성은 소형의 화목보일러의 경우이며 보다 큰 규모(예를 들어, 공장)의 화목보일러인 경우 각각의 구성이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지는 큰 규모를 갖는다.
이때 그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목제나 폐타이어 등을 직접 태워야 하기 때문에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에너지원인 목제나 폐타이어의 재(災)와 같은 불완전 연소물들과 인체에 유해한 물질들이 상당부분 포함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전술하였던 배기가스의 문제점은 소형 화목보일러보다 공장용 혹은 산업용 화목보일러에서 극명하게 나타나는데, 배기가스의 유출을 억제하는 기존의 방식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굴뚝과 연결되는 배기가스 배출관로의 일부 영역에 집진부를 구성하고 집진부 내에 스프링클러를 구비하여 해당 집진부를 경유하여 굴뚝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진 미연소 잔유물 및 재를 스프링클러를 통해 분무되는 수막을 통해 필터링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수막처리 방식은 수막을 형성하는 집진부내에 잔존하게 되는 잔유물이 친전부에 슬러지형태로 남게 되어, 유지보수의 문제로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화목보일러의 가동을 중지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더욱이 수막형성에 사용된 물이 수질오염물질로 변형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수막을 형성하여 배기가스의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그 제거율이 완전하지 않아 실제 굴뚝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색깔이나 농도가 짙고, 수막 형성 집진부내의 슬러지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오염물질의 농도가 점차 높아져 악취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악취가 배기가스에 실려 배출됨에 따라 민원의 대상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실질적으로 이러한 형태의 화목 보일러의 경우에는 상술한 원단의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와는 전혀 무관하지만 물을 통한 배기가스의 오염을 정화시키는 것을 인지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것이다.
등록특허번호 10-0793110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의 가공시에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를 물을 통해 정화시키지 않고 화목 보일러를 통해 완전 연소하여 정화시키는 것을 통해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텐타 배기가스 내 미연소 잔유물의 발생량을 최대한 억제하여 대기오염과 인근의 민원사항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의 특징은, 연소용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바탕으로 단열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 및 그 화실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을 가지는 보일러 연소실과; 상기 보일러 연소실을 경유하도록 구현되어지는 열교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실를 구비하는 화목보일러를 마련하고,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흐르는 텐타 배기가스를 상기 보일러 연소실측으로 궤환하기 위한 가스 궤환관과; 상기 가스 궤환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기를 상기 가스 궤환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재연소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가 가스 궤환관을 따라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재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에서 완전 연소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연소가스 궤환관이 형성되어진 상기 배출관의 임의 위치와 굴뚝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보일러 연소실의 화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달라지는 배기밸브가 더 구비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가 가스 궤환관을 따라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 내의 미연소 잔유물의 발생량을 최대한 억제하여 대기오염과 텐타 배기가스 배출로 인한 인근의 민원사항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수막방식에서 발생되는 수질오염원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환경보호에 이바지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심야축열보일러와 연계된 화목 보일러를 포함하는 전체시스템에 대한 예시도
도 2는 종래 화목보일러의 배기가스 배출과정에 대한 계통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의 배기가스 배출과정에 대한 계통 예시도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의 가장 큰 주요 요인중 하나는 화목 보일러로써 연소용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바탕으로 단열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 및 그 화실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을 가지는 보일러 연소실과; 상기 보일러 연소실을 경유하도록 구현되어지는 열교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실를 구비하는 화목보일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연소장치는, 화목 보일러 및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흐르는 텐타 배기가스를 상기 보일러 연소실측으로 궤환하기 위한 (연소)가스 궤환관과; 상기 가스 궤환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기를 상기 연소가스 궤환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재연소용 송풍기를 포함한다.
즉, 기존의 배기용 송풍기를 재연소용 송풍기로 사용하되 그 위치의 변화를 준 것으로, 연소가스 궤환관만이 새로이 구비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는 굴뚝으로 배출되지 않고 연소가스 궤환관을 따라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어지며, 이를 통해 연소가스내에 잔존하는 미연소물질들이 재연소되어진다.
더욱이 기존에 연소가스내에 포함되어 굴뚝으로 배출되었던 재는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재유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보일러 연소실의 화실에 위치하는 화목에 흡착되어, 별도의 침전부 혹은 재받이를 구비하지 않고서도 보일러 연소실에 원래 구비되어 있는 재받이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진다.
또한, 상술한 연소가스 궤환관과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연소되어진 연소가스는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의 기압변동에 따라 소량씩 굴뚝을 통해 배출되게되며,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진 바와같이 배기밸브를 구비하는 경우는 상기 보일러 연소실의 화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도시하지 않는 콘트롤 박스에서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달라지고 이에 굴뚝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기밸브는 필수구성요소는 아니며, 기능적으로 부가되는 예임을 미리 밝혀둔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목 보일러 22: 재받이
30: 심야축열보일러 40: 온수탱크
50: 배기관 51: 송풍기
52: 송풍관

Claims (2)

  1. 연소용 송풍기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를 바탕으로 단열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화목이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가스를 발생하는 화실 및 그 화실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연소가스가 우회하는 연실을 가지는 보일러 연소실과; 상기 보일러 연소실을 경유하도록 구현되어지는 열교환 파이프로 이루어진 열교환실를 구비하는 화목보일러를 마련하고,
    원단 가공시 발생되는 텐타 배기가스를 굴뚝으로 배출하는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관을 통해 흐르는 텐타 배기가스를 상기 보일러 연소실측으로 궤환하기 위한 가스 궤환관과; 상기 가스 궤환관의 일측에 구비되며 외기를 상기 가스 궤환관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재연소용 송풍기를 포함하여; 상기 재연소용 송풍기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기압에 의해 상기 배출관을 통해 굴뚝으로 배출되는 텐타 배기가스가 가스 궤환관을 따라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로 재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일러 연소실 내부에서 완전 연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궤환관이 형성되어진 상기 배출관의 임의 위치와 굴뚝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상기 보일러 연소실의 화실의 동작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정도가 달라지는 배기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KR1020120074645A 2012-07-09 2012-07-09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KR20140007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5A KR20140007205A (ko) 2012-07-09 2012-07-09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4645A KR20140007205A (ko) 2012-07-09 2012-07-09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205A true KR20140007205A (ko) 2014-01-17

Family

ID=5014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4645A KR20140007205A (ko) 2012-07-09 2012-07-09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72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79B1 (ko) * 2014-12-11 2015-02-13 권용범 텐타 배출가스 처리시스템
WO2021235722A1 (ko) * 2020-05-22 2021-11-25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텐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379B1 (ko) * 2014-12-11 2015-02-13 권용범 텐타 배출가스 처리시스템
WO2021235722A1 (ko) * 2020-05-22 2021-11-25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텐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91588B (zh) 生活垃圾焚烧炉
KR101211035B1 (ko) 폐기물 고형연료용 보일러
JP2017020764A (ja) 無煙焼却炉及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
CN107461746A (zh) 一种小型生活垃圾热解气化炉及净化系统
KR101160055B1 (ko) 수평형연소기
CN107339700B (zh) 一种垃圾焚烧设备
KR20140007205A (ko) 텐타 배기가스 연소장치
RU240067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ермической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RU2476768C1 (ru) Двухкамерная топка для сжигания дробленых древесных отходов (варианты)
KR101613968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CN105157222A (zh) 一种节能除尘的燃煤锅炉
CN205640918U (zh) 一种能够清洁且充分燃烧的悬浮式垃圾焚烧炉
CN203464323U (zh) 一种新型炉内消烟消尘净化燃烧环保锅炉
CN211232888U (zh) 一种垃圾焚烧烟气综合处理箱
CN204901741U (zh) 一种运用全反烧鳍片式水管炉排的两级调风炉膛
CN210624541U (zh) 一种高效蓄热型燃气炉
KR102141300B1 (ko) 고체연료 열병합 발전 시스템
CN112577052A (zh) 一种垃圾焚烧系统
CN104879788A (zh) 一种节能高效环保型回风炉
RU2635947C2 (ru) Котел и способ его работы
CN204943457U (zh) 蔗渣锅炉循环燃烧和排烟干式除尘装置
RU2515568C1 (ru) Котел
CN203469740U (zh) 一种用于烟道防火的烟气净化装置
CN204880691U (zh) 一种六回程火道锅炉
CN214249561U (zh) 一种全自动卧式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