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7107A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07107A KR20140007107A KR1020120073626A KR20120073626A KR20140007107A KR 20140007107 A KR20140007107 A KR 20140007107A KR 1020120073626 A KR1020120073626 A KR 1020120073626A KR 20120073626 A KR20120073626 A KR 20120073626A KR 20140007107 A KR20140007107 A KR 201400071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lica
- titanium dioxide
- sensitized solar
- spherical particles
- dye
- Prior art date
Links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ium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02082 metal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2105 nanoparticl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798 spherical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2243 precurs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3638 chemical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2484 in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2894 organ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group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149 argon plasma sinter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FOIXSVOLVBLSDH-UHFFFAOYSA-N Silver ion Chemical compound [Ag+] FOIXSVOLVBLSD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1710134784 Agno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UVMSYUGOKEMPX-UHFFFAOYSA-N 2-methylpropan-1-olate;titanium(4+) Chemical compound [Ti+4].CC(C)C[O-].CC(C)C[O-].CC(C)C[O-].CC(C)C[O-] QUVMSYUGOKEMP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7 TEM im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gold or silver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XUYXOFXAQZZMF-UHFFFAOYSA-N titanium(IV) isopropoxide Chemical compound CC(C)O[Ti](OC(C)C)(OC(C)C)OC(C)C VXUYXOFXAQZZM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27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티타니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1991년에 스위스의 그라첼에 의해 디자인된 광전기화학 태양전지의 하나로써, 광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로 구성된다. 그 중 광전극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나노입자와 그 위에 흡착된 염료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광이 광전극에 의해 흡수되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며, 태양광이 흡수되는 정도를 늘릴수록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올라간다.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산란시켜 광흡수율을 올릴 수 있는 광산란물질을 포함하였다.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키키 위해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구조의 물질들이 광산란물질로써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광산란물질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광전극의 표면적이 줄어들어 염료가 흡착될 수 있는 곳을 제한하여, 오히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적은 양의 광산란물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사용하면서도, 태양광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우수한 광산란물질의 제조방법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도입함으로써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가들은 수많은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거듭한 끝에, 이제껏 알려진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 즉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도입함으로써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함으로써 광전변환 효율이 우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은 이제껏 보고된 바가 없는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써,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와 구조로 인해 빛의 산란 효과가 일어나며,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된 금속 나노입자로 인해 표면 플라스몬 효과가 동시에 일어난다.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에 포함시킴으로써, 일반적인 광산란물질을 포함한 광전극에 비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광전변환효율이 높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태양전지 특성 평가 결과 (광전변환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태양전지 특성 평가 결과 (광전변환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2 나노미터에서 3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50 나노미터에서 3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을 제조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만약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가 2 나노미터 미만이거나 30 나노미터를 초과하면 표면 플라스몬 효과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가 50 나노미터 미만이면 빛의 산란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3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면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염료가 흡착될 수 있는 장소를 제한하여 광전극을 제조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따른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경우, 일반적인 졸-겔 반응과 에칭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와 이산화티타늄이 혼합된 외부벽을 가지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초음파유도 부식-재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본 실험실 등록특허 10-1157329, 대한민국) 이 바람직하다.
단계 (B)에서 사용되는 환원제는 금속 전구체를 금속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SnCl2, SnCl2 수화물, NaBH4 가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C)에서 사용되는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는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는 HAuCl4, AgNO3 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D)에서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을 말하며,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는 티타늄(IV) 이소부톡사이드, 티타늄(IV) 이소프로폭사이드, TiCl4 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E)에서 건조 시, 건조의 온도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며,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다만 100℃ 이상에서 건조할 경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간에 뭉침현상이 심해질 수 있고, 이러한 구형입자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입사광 이용률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두 입자 간의 비율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100 무게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1에서 10 무게중량부가 바람직하나,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제조
50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3 g 을 증류수 50 ml 에 분산시킨 후, 여기에 SnCl2 0.3 g 을 혼합하였다. 그 후, AgNO3 0.02 g 을 혼합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를 원심분리로 분리해낸 후, 50 ℃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득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본 결과, 5 에서 20 나노미터 크기의 은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50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성공적으로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참조).
[실시예 2]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포함한 광산란 전극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7 나노미터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페이스트와 혼합한 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산란 막으로 코팅하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조립하였으며, 제조된 태양전지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포함한 광산란 전극의 제조
태양전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이용률 및 광전변화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조립하고 효율을 평가하였으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대신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광산란 전극의 제조
태양전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이용률 및 광전변화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조립하고 효율을 평가하였으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특성 평가
실시예 2, 3, 4 에서 제조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평가한 결과,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 약 7.2 %로 가장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는 약 6.4 %의 광전변환효율을 보였고, 광산란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는 약 5.9 %의 광전변환효율을 보였다 (도 2 참조).
없음.
Claims (9)
-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가 50 나노미터에서 3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표면에 도입되는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가 2 나노미터에서 30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가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건조의 온도는 100℃ 이하를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7항에 있어서,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혼합 비율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100 무게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1에서 10 무게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제 1항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 2012-07-06 | 2012-07-06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 2012-07-06 | 2012-07-06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7107A true KR20140007107A (ko) | 2014-01-17 |
KR101363709B1 KR101363709B1 (ko) | 2014-02-19 |
Family
ID=5014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 2012-07-06 | 2012-07-06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6370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0888A1 (ko) * | 2014-06-13 | 2015-1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
KR20170111339A (ko) * | 2016-03-28 | 2017-10-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금 나노입자가 박힌 이산화티타늄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전극 페이스트 제조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33405B1 (ko) | 2015-08-26 | 2017-05-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 유기 구조체 기반의 정렬된 메조기공 이산화티타늄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451074B2 (ja) * | 2005-12-06 | 2014-03-26 |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 コアシェル型の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
US8062738B2 (en) * | 2007-09-07 | 2011-11-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eat transfer medium and heat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
JP5589239B2 (ja) | 2009-11-27 | 2014-09-17 | 住友化学株式会社 | 担持酸化ルテニウムの製造方法および塩素の製造方法 |
KR101092685B1 (ko) | 2010-02-25 | 2011-12-09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유변유체의 제조방법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3626A patent/KR101363709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0888A1 (ko) * | 2014-06-13 | 2015-12-1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
KR20170111339A (ko) * | 2016-03-28 | 2017-10-12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금 나노입자가 박힌 이산화티타늄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전극 페이스트 제조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363709B1 (ko) | 2014-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Li et al. | One-pot synthesis of mesoporous TiO2 micropheres and its application for high-efficiency dye-sensitized solar cells | |
Zhou et al. | Mesoporous TiO 2 beads for high efficiency CdS/CdSe quantum dot co-sensitized solar cells | |
Park et al. | Size-tunable mesoporous spherical TiO2 as a scattering overlayer in high-performance dye-sensitized solar cells | |
Cho et al. | Hierarchically Porous TiO2 Electrodes Fabricated by Dual Templating Method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Chen et al. | A gold surface plasmon enhanced mesoporous titanium dioxide photoelectrode for the plastic-based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 |
Dong et al. | Ag-encapsulated Au plasmonic nanorods for enhanced dye-sensitized solar cell performance | |
Guo et al. | Improved properti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multifunctional scattering layer of yolk-shell-like TiO2 microspheres | |
Shang et al. | Enhancement of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modifying tin oxide nanorods with titanium oxide layer | |
Song et al. | Synthesis of TiO 2 hollow spheres by selective etching of Au@ TiO 2 core–shell nanoparticl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 |
Rui et al. | Size-tunable TiO 2 nanorod microspheres synthesised via a one-pot solvothermal method and used as the scattering lay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Liu et al. |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surficial TiO2 modification | |
Zhao et al. | TiO2 hollow spheres as light scattering centers in TiO2 photoan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 effect of sphere diameter | |
Rui et al. | Template-free synthesis of hierarchical TiO2 hollow microspheres as scattering lay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Chang et al. | Broadband light confinement using a hierarchically structured TiO 2 multi-lay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Sun et al. | Mixed P25 nanoparticles and large rutile particles as a top scattering layer to enhance performance of nanocrystalline TiO2 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s | |
Shen et al. | Clean and time-effective synthesis of anatase TiO2 nanocrystalline by microwave-assisted solvothermal method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
Huang et al. | Performance Enhancement of CdS/CdSe Quantum Dot-Sensitized Solar Cells with (001)-Oriented Anatase TiO 2 Nanosheets Photoanode | |
KR101363709B1 (ko)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
Mao et al. | Nanowire-based zinc-doped tin oxide microtubes for enhanced solar energy utilization efficiency | |
Nath et al. | Optimization of hierarchical light-scattering layers in TiO2 photoelectrod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 |
Kiran et al. | Preparation and thickness optimization of TiO2/Nb2O5 photoanod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 |
Sabet et al. | Deposition of cadmium selenide semiconductor nanostructures on TiO2 surface via different chemical methods and investigation of their effects on dye sensitized solar cell efficiency | |
Mao et al. | Commercial Upconversion Phosphors with High Light Harvesting: A Superior Candidate for High‐Performance Dye‐Sensitized Solar Cells | |
Choi et al. | Light scattering TiO2 particles surface-modified by Al2O3 coating in a dye-sensitized solar cell | |
Chandrasekhar et al. | Effect of graphene and Au@ SiO 2 core–shell nano-composite on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N-doped titania nanotub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