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3709B1 -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3709B1
KR101363709B1 KR1020120073626A KR20120073626A KR101363709B1 KR 101363709 B1 KR101363709 B1 KR 101363709B1 KR 1020120073626 A KR1020120073626 A KR 1020120073626A KR 20120073626 A KR20120073626 A KR 20120073626A KR 101363709 B1 KR101363709 B1 KR 10136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
titanium dioxide
sensitized solar
spherical particles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7107A (ko
Inventor
장정식
김찬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37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27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 H01G9/2031Light-sensitive devices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electrode comprising titanium oxide, e.g. TiO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Hybrid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Fabrication of photoanoded of dye sensitized solar cells containing metal nanoparticles decorated silica-titania hollow nanoparticles}
본 발명은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티타니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1991년에 스위스의 그라첼에 의해 디자인된 광전기화학 태양전지의 하나로써, 광전극, 상대전극 및 전해질로 구성된다. 그 중 광전극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나노입자와 그 위에 흡착된 염료로 이루어져 있다. 태양광이 광전극에 의해 흡수되어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며, 태양광이 흡수되는 정도를 늘릴수록 태양전지의 광전효율이 증가할 가능성이 올라간다.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입사되는 태양광을 산란시켜 광흡수율을 올릴 수 있는 광산란물질을 포함하였다.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키키 위해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구조의 물질들이 광산란물질로써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광산란물질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광전극의 표면적이 줄어들어 염료가 흡착될 수 있는 곳을 제한하여, 오히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적은 양의 광산란물질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사용하면서도, 태양광 이용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우수한 광산란물질의 제조방법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고자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도입함으로써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가들은 수많은 실험과 심도있는 연구를 거듭한 끝에, 이제껏 알려진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 즉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에 도입함으로써 빛의 산란과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동시에 이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태양광 이용률과 광전 변환 효율이 향상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함으로써 광전변환 효율이 우수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은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은 이제껏 보고된 바가 없는 전혀 새로운 방법으로써,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와 구조로 인해 빛의 산란 효과가 일어나며,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된 금속 나노입자로 인해 표면 플라스몬 효과가 동시에 일어난다.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에 포함시킴으로써, 일반적인 광산란물질을 포함한 광전극에 비해 입사되는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광전변환효율이 높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이고,
도 2는 태양전지 특성 평가 결과 (광전변환효율)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2 나노미터에서 30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50 나노미터에서 3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고, 이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을 제조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만약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가 2 나노미터 미만이거나 30 나노미터를 초과하면 표면 플라스몬 효과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가 50 나노미터 미만이면 빛의 산란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3 마이크로미터를 초과하면 입자의 크기가 너무 크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의 염료가 흡착될 수 있는 장소를 제한하여 광전극을 제조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따른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단계 (A)에서 사용되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경우, 일반적인 졸-겔 반응과 에칭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와 이산화티타늄이 혼합된 외부벽을 가지는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이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초음파유도 부식-재증착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본 실험실 등록특허 10-1157329, 대한민국) 이 바람직하다.
단계 (B)에서 사용되는 환원제는 금속 전구체를 금속으로 환원시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하며, SnCl2, SnCl2 수화물, NaBH4 가 바람직하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C)에서 사용되는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는 표면 플라스몬 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을 말한다.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는 HAuCl4, AgNO3 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D)에서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을 말하며,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는 티타늄(IV) 이소부톡사이드, 티타늄(IV) 이소프로폭사이드, TiCl4 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E)에서 건조 시, 건조의 온도는 100℃ 이하가 바람직하며,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다만 100℃ 이상에서 건조할 경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간에 뭉침현상이 심해질 수 있고, 이러한 구형입자를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입사광 이용률은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로 이루어져 있다. 두 입자 간의 비율은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100 무게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1에서 10 무게중량부가 바람직하나, 이들 범위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범위보다 많거나 적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제조
50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3 g 을 증류수 50 ml 에 분산시킨 후, 여기에 SnCl2 0.3 g 을 혼합하였다. 그 후, AgNO3 0.02 g 을 혼합하고 3 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를 원심분리로 분리해낸 후, 50 ℃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득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본 결과, 5 에서 20 나노미터 크기의 은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50 나노미터 크기의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성공적으로 제조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참조).
[실시예 2]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포함한 광산란 전극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7 나노미터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페이스트와 혼합한 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산란 막으로 코팅하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조립하였으며, 제조된 태양전지의 효율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3]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포함한 광산란 전극의 제조
태양전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이용률 및 광전변화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조립하고 효율을 평가하였으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대신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4] 광산란 전극의 제조
태양전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이용률 및 광전변화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예 2와 같은 방법으로 태양전지를 조립하고 효율을 평가하였으나,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사용하지 않았다.
[실시예 5]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특성 평가
실시예 2, 3, 4 에서 제조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을 평가한 결과, 표면에 은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 약 7.2 %로 가장 높은 광전변환효율을 보여주었으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는 약 6.4 %의 광전변환효율을 보였고, 광산란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광전극이 사용되었을 때는 약 5.9 %의 광전변환효율을 보였다 (도 2 참조).
없음.

Claims (9)

  1. (A)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를 수용액에 도입하는 단계;
    (B)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를 환원시킬 수 있는 환원제를 도입하는 단계; 및,
    (C) 상기 환원제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수용액에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 수용액을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를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표면에 도입하는 단계; 및,
    (D) 상기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가 포함된 수용액에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를 도입하여 금속 나노입자의 표면을 이산화티타늄으로 코팅하는 단계; 및,
    (E) 상기 수용액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크기가 50 나노미터에서 3 마이크로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표면에 도입되는 금속 나노입자의 크기가 2 나노미터에서 30 나노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금속 나노입자의 전구체가 금 또는 은이 포함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이산화티타늄 전구체는 티타늄을 함유한 무기 또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건조의 온도는 100℃ 이하를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전극은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30 나노미터 이하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와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의 혼합 비율이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 100 무게중량부에 대하여 금속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0.1에서 10 무게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9. 제 1항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20073626A 2012-07-06 2012-07-06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KR10136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2012-07-06 2012-07-06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2012-07-06 2012-07-06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07A KR20140007107A (ko) 2014-01-17
KR101363709B1 true KR101363709B1 (ko) 2014-02-19

Family

ID=5014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626A KR101363709B1 (ko) 2012-07-06 2012-07-06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3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63A (ko) 2015-08-26 2017-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유기 구조체 기반의 정렬된 메조기공 이산화티타늄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0888A1 (ko) * 2014-06-13 2015-1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공 금속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금속 나노입자
KR101953434B1 (ko) * 2016-03-28 2019-02-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금 나노입자가 박힌 이산화티타늄 마이크로스피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산화전극 페이스트 제조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975A (ko)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형태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6103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달 매체 및 이를 이용한 열 전달 방법
JP2011110509A (ja) 2009-11-27 2011-06-09 Sumitomo Chemical Co Ltd 担持酸化ルテニウムの製造方法および塩素の製造方法
KR101092685B1 (ko) 2010-02-25 2011-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유변유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9975A (ko) * 2005-12-06 2007-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어-쉘 형태의 나노입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6103A (ko) * 2007-09-07 2009-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열전달 매체 및 이를 이용한 열 전달 방법
JP2011110509A (ja) 2009-11-27 2011-06-09 Sumitomo Chemical Co Ltd 担持酸化ルテニウムの製造方法および塩素の製造方法
KR101092685B1 (ko) 2010-02-25 2011-12-09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전기유변유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663A (ko) 2015-08-26 2017-03-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유기 구조체 기반의 정렬된 메조기공 이산화티타늄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7107A (ko) 2014-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Mesoporous TiO 2 beads for high efficiency CdS/CdSe quantum dot co-sensitized solar cells
Li et al. One-pot synthesis of mesoporous TiO2 micropheres and its application for high-efficiency dye-sensitized solar cells
Smith et al. Quasi-core-shell TiO 2/WO 3 and WO 3/TiO 2 nanorod arrays fabricated by glancing angle deposition for solar water splitting
Chen et al. A gold surface plasmon enhanced mesoporous titanium dioxide photoelectrode for the plastic-based flexible dye-sensitized solar cells
Dong et al. Ag-encapsulated Au plasmonic nanorods for enhanced dye-sensitized solar cell performance
Guo et al. Improved properti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multifunctional scattering layer of yolk-shell-like TiO2 microspheres
Shang et al. Enhancement of photovoltaic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y modifying tin oxide nanorods with titanium oxide layer
Song et al. Synthesis of TiO 2 hollow spheres by selective etching of Au@ TiO 2 core–shell nanoparticl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s
Zhao et al. TiO2 hollow spheres as light scattering centers in TiO2 photoanod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the effect of sphere diameter
Chen et al. Recent advances in hierarchical macroporous composite structures for photoelectric conversion
Rui et al. Template-free synthesis of hierarchical TiO2 hollow microspheres as scattering layer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CN105957966A (zh) 稀土氧化物下转换材料钙钛矿太阳电池及制备方法
CN104377036B (zh) 一种In2S3为缓冲层的AgInS2量子点敏化TiO2光电极的制备方法
Shen et al. Clean and time-effective synthesis of anatase TiO2 nanocrystalline by microwave-assisted solvothermal method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KR101363709B1 (ko) 표면에 금속 나노입자가 도입된 실리카-이산화티타늄 중공구조 구형입자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광전극의 제조방법
Huang et al. Performance Enhancement of CdS/CdSe Quantum Dot-Sensitized Solar Cells with (001)-Oriented Anatase TiO 2 Nanosheets Photoanode
Hwang et al. Light-penetration and light-scattering effects in dye-sensitised solar cells
Nath et al. Optimization of hierarchical light-scattering layers in TiO2 photoelectrodes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Kiran et al. Preparation and thickness optimization of TiO2/Nb2O5 photoanode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Sabet et al. Deposition of cadmium selenide semiconductor nanostructures on TiO2 surface via different chemical methods and investigation of their effects on dye sensitized solar cell efficiency
Choi et al. Light scattering TiO2 particles surface-modified by Al2O3 coating in a dye-sensitized solar cell
Chandrasekhar et al. Effect of graphene and Au@ SiO 2 core–shell nano-composite on photo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dye-sensitized solar cells based on N-doped titania nanotubes
Mao et al. Commercial Upconversion Phosphors with High Light Harvesting: A Superior Candidate for High‐Performance Dye‐Sensitized Solar Cells
CN105957720A (zh) 一种可调谐宽光谱响应的复合量子点敏化光电极的制备方法
Lei et al. Hierarchically porous N–F codoped TiO 2 hollow spheres prepared via an in situ bubbling method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