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240U -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 Google Patents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240U
KR20140006240U KR2020130004508U KR20130004508U KR20140006240U KR 20140006240 U KR20140006240 U KR 20140006240U KR 2020130004508 U KR2020130004508 U KR 2020130004508U KR 20130004508 U KR20130004508 U KR 20130004508U KR 20140006240 U KR20140006240 U KR 201400062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olded
box
side plate
fro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주)참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참존박스 filed Critical (주)참존박스
Priority to KR2020130004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240U/ko
Publication of KR20140006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2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26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 B65D5/665Hinged lids formed by folding extensions of a side panel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cross-like" blank the lid being held in closed position by self-locking integral flaps or tabs
    • B65D5/6655Local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 B65D5/6658Local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lid edge opposite to the hinge combined with flaps or tabs provided at the side edges of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 B65D2585/366Pizz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자 등의 음식물을 담아 운반하기 위한 음식물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수납부와 덮개부가 후면판으로 연결되어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수납부와 덮개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각각 전면판과 측면판 및 전면 끼움판과 측면 끼움판을 형성하여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수납부의 전면판과 측면판이 접하는 모퉁이 부분에는 지지면을 형성하면서 그 지지면을 양분하도록 중앙에 접힘유도선을 형성하여 수납부를 접어서 조립할 때 지지면이 수납부의 내측으로 반으로 포개어 접힘되도록 함으로써 그 지지면에 의하여 수납부에 끼워지는 덮개부의 전면 끼움판과 측면 끼움판이 격리된 상태로 끼워지면서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져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하여 박스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최종 사용자가 박스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해체하여 평면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하고, 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재단 후 발생되는 폐지의 양을 최소화하여 원지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A packing box for pizza}
본 고안은 피자 등의 음식물을 담아 운반하기 위한 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 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원지 낭비를 최소화하면서도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신속하게 접어서 포장하거나 펼쳐서 박스를 해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 등과 같이 포장이나 배달을 요하는 음식의 경우, 보관과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전개된 상태로 제공되는 박스에 음식물을 담은 상태로 접어서 포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포장박스의 구조는 종래에는 펼쳐진 상태의 박스를 단순하게 접어서 입체형으로 조립하면서 그 조립부에는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접착한 것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음식물을 포장하는 현장, 즉 테이크아웃이나 배달 음식점 등에서는 박스를 접착하기가 실질적으로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대부분 어느 정도 조립된 상태로 박스가 제공되며, 따라서 보관부피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렇게 박스를 접착하여 붙이는 방식은 접착과정에서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며, 특히 상온보다 높은 열을 발산하는 갓 조리된 음식물을 포장하면 그 열에 의하여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표출될 수 있으므로 최근에는 박스가 전개된 상태로 제공되면서 단순 조립에 의하여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박스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박스의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사용이 불편하고 이 과정에서 폐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즉, 박스를 접착하지 않고 조립에 의하여 음식물을 포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박스의 전개도가 매우 복잡해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복잡한 전개도의 절단선을 따라 재단하거나 접힘선을 따라서 프레스로 눌러 제작하기 위해서는 그 재단을 위한 금형 또한 복잡해지게 되므로 제작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박스의 조립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신속하게 포장해야 하는 현장에서는 사용이 더욱 불편하고, 또한 재활용을 위해서는 최종 사용자가 조립의 역순으로 박스를 해체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워서 해체시 박스가 찢어지는 등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이러한 전개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원지를 박스로 재단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많이 발생하게 되므로 폐지가 많이 발생되면서 원지가 낭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박스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박스를 재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지의 양을 최소화하고, 또한 별도의 접착제가 필요없이 간단하게 조립하여 박스를 구성할 수 있으며, 최종 사용자가 박스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해체하여 평면 상태로 펼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불편함을 해소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수납부와 덮개부가 후면판으로 연결되어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수납부와 덮개부의 테두리를 따라서 각각 전면판과 측면판 및 전면 끼움판과 측면 끼움판을 형성하여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수납부의 전면판과 측면판이 접하는 모퉁이 부분에는 지지면을 형성하면서 그 지지면을 양분하도록 중앙에 접힘유도선을 형성하여 수납부를 접어서 조립할 때 지지면이 수납부의 내측으로 반으로 포개어 접힘되도록 함으로써 그 지지면에 의하여 수납부에 끼워지는 덮개부의 전면 끼움판과 측면 끼움판이 격리된 상태로 끼워지면서 임의로 개방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납부와 덮개부에 접힘선을 형성함에 있어서 수납부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여러 개의 타공홀이 길이방향을 따라서 타공된 미싱선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덮개부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프레스로 눌러 가압함으로써 형성하여 덮개부의 접힘선이 수납부의 접힘선보다 상대적으로 외측으로 펼쳐짐 되는 반발력이 높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박스를 접은 상태에서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포장박스의 전개도 구조가 직사각형에 가깝게 형성되면서도 절단후 폐기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원지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힘 구조만으로 박스를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므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박스의 조립 및 해체가 간단하므로 음식물을 신속하게 포장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후에는 간편하게 펼쳐서 폐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지의 양을 최소화하여 원지가 낭비되지 않으므로 폐기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매우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포장박스의 조립 구조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고안의 덮개부가 닫힘되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수납부와 덮개부의 끼움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접힘선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포장박스의 전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박스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재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와 덮개부(2)가 후면판(30)으로 연결되어 접어서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는 포장박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박스의 전개도가 직사각형에서 절단되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원지낭비를 줄이면서도 그 조립구조가 육면체의 형태로 간단하게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접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부(1)는 접어서 내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음식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판(10)의 테두리에 전면판(11)과 측면판(12)을 형성하여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덮개부(2) 또한 상판(20)의 테두리에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을 형성하여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수납부(1)에는 전면판(11)과 측면판(12)이 접하는 모퉁이에 지지면(13)을 형성하고, 그지지면(13)을 양분하도록 중앙에 접힘유도선(13a)을 형성하면 전면판(11)과 측면판(12)을 접으면서 동시에 지지면(13)을 수납부(1)의 내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덮개부(2)의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격리되게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즉, 수납부(1)의 전면판(11)과 측면판(12)을 수직으로 세워서 접으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지지면(13)이 수납부(1)의 내측으로 반으로 포개어 접힘 되는 것이고, 그 상태에서 덮개부(2)를 닫으면 전면 끼움판(21)은 전면판(11)과 밀착되게, 그리고 측면 끼움판(22)은 측면판(22)과 밀착되게 끼워지게 되는 것이고, 이때 전면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분리되어 이루어짐으로써 접혀진 상태의 지지면(13)의 양측으로 격리되게 삽입되어 박스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납부(1)와 덮개부(2)는 바닥판(10)과 상판(20)의 테두리를 따라서 각각 전면 접힘선(11a,21a)과 측면 접힘선(12a,22a)과 후면 접힘선(30a)을 형성하여 그에 대응하는 전면판(11)과 전면 끼움판(21), 측면판(12)과 측면 끼움판(22), 후면판(30)이 접힘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수납부(1)는 전면 접힘선(11a)과 측면 접힘선(12a)이 교차하게 형성되어 지지면(13)을 구획하도록 함으로써 수납부(1)의 전면판(11)과 측면판(12)을 수직으로 세워 접을 경우에 수납부(1)의 내측으로 지지면(13)이 접힘되면서 덮개부(2)의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을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박스의 원지(原紙)는 골판지 원단을 프레스 가공(톰슨 가공)하는 공정을 통해서 재단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때 수납부(1)와 덮개부(2)에 형성되는 각각의 면의 경계를 이루는 접힘선은 박스를 재단하는 과정에서 프레스 가압하여 눌려지게 접힘선을 형성하거나, 또는 접힙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속된 타공홀에 의하여 형성되는 미싱선으로 가공하여 접힘선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접힘선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타공홀에 의해 미싱선으로 가공할 경우 쉽게 접을 수 있으면서도 외부측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반발력이 적기 때문에 접힌 상태에서 어느 정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반면에 프레스 가공에 의하여 접힘선을 눌러서 가공할 경우에는 미싱선보다는 상대적으로 외부측으로 펼쳐지게 벌어지려는 반발력이 커지게 되는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타공홀에 의해 형성된 미싱선으로 가공하여 수납부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측으로 펼쳐짐 되는 반발력을 줄이면서 접힌 상태의 형태를 유지토록 되어 음식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덮개부(2)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눌림 되게 가공하면 덮개부(2)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부(1)보다 상대적으로 외부측으로 펼쳐짐 되는 반발력이 높아지게 되어 덮개부(2)의 전면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수납부(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판(11)과 측면판(12)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게 지지되어 덮개부(2)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박스 조립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측면판(12)은 후면판(30)과 인접하는 부분측으로 보강판(14)을 형성하면 박스를 접을 경우 보강판(14)이 후면판(30)의 내면에 밀착되어 후면판을 보강할 수 있게 되어 박스의 내구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또한 박스를 제작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 후 발생되는 폐지의 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1)와 덮개부(2)는 전면판(11)과 전면 끼움판(21)에 각각 타공홀(15,25)을 맞물리게 형성하면 박스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그 타공홀에 손가락을 넣고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끼움판(21)에 형성되는 타공홀(25)은 개방날개(26)를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면 박스를 개방할 때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박스 제작시에 발생하게 되는 폐지를 더욱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수납부
2: 덮개부
10: 바닥판
11: 전면판 11a: 전면 접힘선
12: 측면판 12a: 측면 접힘선
13: 지지면 13a: 접힘유도선
14: 보강판
15: 타공홀
20: 상판
21: 전면 끼움판 21a: 전면 접힘선
22: 측면 끼움판 22a: 측면 접힘선
25: 타공홀
26: 개방날개

Claims (4)

  1. 바닥판(10)의 테두리에 전면판(11)과 측면판(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1)와 상판(20)의 테두리에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덮개부(2)가 후면판(30)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수납부(1)는 전면판(11)과 측면판(12)이 접하는 모퉁이에 지지면(13)이 형성되며, 그 지지면(13)을 양분하도록 중앙에 접힘유도선(13a)이 형성되어 지지면(13)이 수납부(1)의 내측으로 반으로 포개어 접힘 되면서 덮개부(2)의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접힘된 지지면(13)의 양측으로 격리되게 삽입되어 박스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음식물 포장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와 덮개부(2)는 바닥판(10)과 상판(20)의 테두리를 따라서 각각 전면 접힘선(11a,21a)과 측면 접힘선(12a,22a)과 후면 접힘선(30a)이 형성되어 그에 대응하는 전면판(11)과 전면 끼움판(21), 측면판(12)과 측면 끼움판(22), 후면판(30)이 접힘되고, 상기 수납부(1)는 전면 접힘선(11a)과 측면 접힘선(12a)이 교차하게 형성되어 지지면(13)을 구획하도록 되어 수납부(1)의 전면판(11)과 측면판(12)이 수직으로 직립되면서 수납부(1)의 내측으로 지지면(13)이 접힘되어 덮개부(2)의 전면 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을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되는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음식물 포장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된 타공홀에 의해 형성된 미싱선으로 가공되어 수납부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측으로 펼쳐짐 되는 반발력을 줄이면서 접힌 상태의 형태를 유지토록 되어 음식물 수납이 용이하도록 되고, 상기 덮개부(2)에 형성되는 접힘선은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눌림되게 가공되어 덮개부(2)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부(1)보다 상대적으로 외부측으로 펼쳐짐 되는 반발력이 높아지게 되어 덮개부(2)의 전면끼움판(21)과 측면 끼움판(22)이 수납부(1)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면판(11)과 측면판(12)의 내면에 각각 밀착되게 지지되어 덮개부(2)가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음식물 포장박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와 덮개부(2)는 전면판(11)과 전면 끼움판(21)에 각각 타공홀(15,25)이 맞물리게 형성되어 박스의 개방이 용이하도록 되는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음식물 포장박스.
KR2020130004508U 2013-06-04 2013-06-04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KR201400062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08U KR20140006240U (ko) 2013-06-04 2013-06-04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508U KR20140006240U (ko) 2013-06-04 2013-06-04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240U true KR20140006240U (ko) 2014-12-12

Family

ID=5246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508U KR20140006240U (ko) 2013-06-04 2013-06-04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2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84A1 (ru) * 2015-08-04 2017-02-09 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ЦВЕТКОВ Самосборная коробка обёрточного типа
KR20200032301A (ko) * 2018-09-17 2020-03-26 씨제이제일제당 (주) 피자 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184A1 (ru) * 2015-08-04 2017-02-09 Сергей Петрович ЦВЕТКОВ Самосборная коробка обёрточного типа
KR20200032301A (ko) * 2018-09-17 2020-03-26 씨제이제일제당 (주) 피자 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3883B2 (ja) 包装箱
USD878912S1 (en) Foldable snap box
JP2009508765A (ja) 容器及びその製造のための素材
KR100934457B1 (ko) 부피가 절반으로 축소되는 케익 포장 상자
KR20140006240U (ko) 원지 낭비를 줄이고 조립이 용이한 접이식 피자박스
USD996103S1 (en) Folding table
KR200478294Y1 (ko) 과일 포장 박스
JP2009120213A (ja) 紙製容器
USD848833S1 (en) Food container
CN105947349B (zh) 一种快餐便携式包装盒
KR200477061Y1 (ko) 원지가 낭비되지 않는 피자박스
KR200476581Y1 (ko) 포장 상자용 덮개
KR101315122B1 (ko) 서로 다른 2 종류의 스틱타입 상품을 담는 포장박스
KR200476323Y1 (ko) 피자 박스
KR200417986Y1 (ko) 포장용 상자
KR200461201Y1 (ko) 피자 포장용 상자
KR20200109587A (ko) 상품 포장용 종이백
JP2005178806A (ja) 食品容器用シート材及び食品容器
JP3199167U (ja) 箱用シート
JP2014094763A (ja) 食品容器
TWM473375U (zh) 多杯容器放置提卡結構
KR101150307B1 (ko) 케이크 포장용 상자
JP2006117317A (ja) まな板機能を有する容器
USD951086S1 (en) Embroidery packaging
USD951087S1 (en) Embroidery pack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