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20A -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20A
KR20140006120A KR1020140000432A KR20140000432A KR20140006120A KR 20140006120 A KR20140006120 A KR 20140006120A KR 1020140000432 A KR1020140000432 A KR 1020140000432A KR 20140000432 A KR20140000432 A KR 20140000432A KR 20140006120 A KR20140006120 A KR 20140006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knua
knua013
acid
microalga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성
홍지원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0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6120A/ko
Publication of KR20140006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Unicellular algae;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25Unicellular algae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5/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 C12P5/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or halogenated hydrocarbon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12P7/065Ethanol, i.e. non-beverage with microorganisms other than ye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64Fats; Fatty oils; Ester-type waxes; Higher fatty acids, i.e. having at least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bound to a carboxyl group; Oxidised oils or fats
    • C12P7/6436Fatty acid esters
    • C12P7/649Biodiesel, i.e. fatty acid alkyl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89Algae ; Processes using alga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ll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 및 이로부터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의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는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연료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는 헵타데칸(C17H36)을 독립영양적으로 생합성할 수 있으며, 지방 알코올(헥사데세놀(C20H40O)) 및 기타 일반적인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구성성분들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도 주요 성분들로서 생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는 바이오 디젤 생산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Novel Microalgae Chlamydomonas moewusii KNUA013 and method for producing alkane, fatty alcohol, and fatty aci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지구온난화와 에너지원 고갈이라는 이중고에 직면하고 있어 재생 가능한 지속적 에너지 자원에 대한 전 세계적인 요구는 매년 지수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적극 적으로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시작 단계이다. 바이오에너지는 화석에너지와는 달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지 않는 친환경적 에너지로서, 이산화탄소와 태양에너지를 포획하는 광합성 과정을 통하여 에너지가 축적된 유기 탄소 화합물이 생성되고 이렇게 해서 저장된 바이오매스로부터 에너지를 추출하는 것이다.
바이오에너지는 재생가능하며 유해성분이 거의 없는 비독성 에너지이고,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며 이산화탄소를 고정해서 생산되므로 온실효과를 감소시킨다. 현재 육상자원을 이용한 바이오에너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식량자원 및 식량 재배면적과의 경쟁 등 육상자원 이용의 한계점이 드러나면서 해양자원(미세조류 및 해조류)을 이용하고자 하는 정책과 연구들이 전 세계적으로 시작되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대표적으로 바이오에탄올/부탄올과 바이오디젤이 있는데, 거대조류(macroalgae)를 중심으로 바이오에탄올/부탄올의 생산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미세조류(microalgae)를 중심으로 바이오디젤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지방산(fatty acid)의 트랜스에스테르화 (transesterification) 과정에 의해 메틸 에스터 또는 에틸 에스터 형태로 생산되며 부산물로 글리세롤이 생성된다. 바이오디젤(biodiesel)은 페트로디젤(petrodiesel)과는 달리 연소될 때 배출되는 독성물질이 현저하게 낮은 친환경적 에너지이다.
미세조류의 태양에너지 이용 효율은 5%로, 육상식물의 0.2%에 비해 약 25배 정도 높으며, 이산화탄소 고정화 속도는 소나무의 15배로 매우 효율적이다. 현재 미세조류는 사료나 생물학적 비료로 이용될 뿐 아니라, 다양한 건강식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미세조류는 현미경적 크기로 육상식물과 비슷한 광합성 메커니즘을 가지지만, 물과 이산화탄소와 다른 여러 영양분의 접근이 효율적인 수중환경에서 서식하므로 태양에너지를 바이오매스로 전환함에 있어서 더욱 효과적이다.
최근 해외에서도 미세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2007년 12월에는 세계적 정유회사인 Shell사와 HR Biopetroleum이 공동으로 바이오디젤 생산을 목적으로 미세조류 배양 시설을 하와이에 설치하였으며, 2008년 1월에는 미국의 Solazyme사가 Soladiesel이라고 하는 시제품을 Mercedes-Benz의 디젤자동차에 제공하여 성능을 시험하기로 하였다고 발표하였고, Chevron사는 Solazyme사와 협약을 맺고 공동 기술 개발을 하기로 하였다. 최근 프랑스에서는 3년간 280만 유로의 예산을 Shamash 프로그램에 배정하여 해조류 활용에 대한 활발한 연구를 추진 중이며, Shamash 프로그램은 국립연구청이 실현 가능한 생산모델의 개발을 위해서 프랑스 대학의 7개 연구팀을 구성하여 미세조류에서 나온 지방산의 생산과 함께 이를 바이오에너지로 변형하는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국내에서도 중소업체를 중심으로 바이오디젤 생산 공정 기술 개발, 바이오디젤 에너지의 발굴 등의 연구를 하고 있으며, 현재 해조류를 이용한 바이오디젤 생산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극복되어야만 할 다수의 기술적 장벽들이 여전히 많이 존재하고 있다.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생산에서 가장 큰 과제들 중 하나는 전체 생산 에너지 소비의 90%에 달하는 지질 추출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Lardon 등 2009). 조류 바이오디젤은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 존재 하에서 알코올을 이용한 조류 오일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Meher 등 2006; Demirbas 2007; Johnson & Wen 2009). 메탄올은, 그 낮은 비용으로 인해, 이 공정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알코올인데(Demirbas 2005), 저렴한 메탄올조차도 바이오디젤 생산에서의 총 에너지 소비의 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de Souza 등 2010). 페트로디젤은 8개에서 약 20개의 탄소 원자들을 갖는 알칸들의 혼합으로 구성되므로,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에서 합성된 알칸들은 트리글리세리드들을 액상 탄화수소로 전환하지 않고 바이오디젤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석유 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에너지원 후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013 균주를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실내 미세조류 배양장(35° 53'N, 128° 36'N)에서 채집하여 무균적으로 분리하였으며, 이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013은 최적 성장 조건 하에서 헵타데칸 뿐 아니라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구성성분들을 독립영양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보여주어 바이오디젤 원료(biodiesel feedstock)로서 바이오에너지 생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신규한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KNUA013은 에스테르교환반응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연료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는 헵타데칸(C17H36)과 같은 알칸을 독립영양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지방 알코올(헥사데세놀(C20H40O)) 및 기타 일반적인 미세조류 바이오디젤 구성성분들(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도 주요 지방산으로서 KNUA013 균주에 의해 생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로부터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의 생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에서 생산된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트랜스 에스테르화시켜 지방산 에스테르를 생성하는 바이오디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인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를 배양하고, 그 배양액으로부터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의 생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에서 생산된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트랜스 에스테르화시켜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디젤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존의 미세조류 바이오디젤은 산성 또는 염기성 촉매 존재 하에서 알코올을 이용한 미세조류 오일(algal oil)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이러한 방법에 의할 경우 지질 추출 비용이 매우 크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신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를 이용하여 기존의 방식으로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헵타데칸 같은 알칸계 탄화수소를 천연적으로 생산하여 액상 탄화 수소로 전환하는 과정 없이 직접 바이오디젤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의 현미경 관찰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의 온도 조건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의 pH 조건에
따른 성장의 차이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의 GC/MS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에 의해 생산된 헵타데칸의 electron impact (EI) mass spectrum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인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 (KCTC12065BP)를 제공한다.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는 2010년 11월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실내 미세조류 배양장(35° 53'N, 128° 36'N)에서 채집한 후, 한천 상에 획선분획(streaking)하여 형성된 단일 콜로니를 선발하여 18S rRNA와 28S rR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KCTC)에 2011년 11월 9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KCTC 12065BP).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는 알칸계 탄화수소, 바람직하게는 헵타데칸(C17H36)을 생산한다. 또한,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는 주요 지방산으로서 탄소수가 16이며 이중결합수가 0 또는 4인 지방산 (16:0, 16:4 지방산) 및 탄소수가 18이며 이중 결합수가 1인 지방산 (18:1 지방산)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는 C20의 지방 알콜,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세놀을 생산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얻은 배양액으로부터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 C18의 지방산의 생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의 성장 조건으로, 배양 온도는 15℃에서 30℃, 배양 pH는 4.0에서 12까지 배양된다. 균주 배양 배지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배지를 이용할 수 있다.
균주 배양액으로부터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을 추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펜탄, 핵산,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크로로포름, 메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 균주로부터 생산된 지방산을 트랜스에스테르화시켜 지방산 에스테르 및 글리세롤을 생성하여 바이오디젤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또는 지방산 에틸 에스테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바이오디젤은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지방산의 트랜스에스테르화 과정에 의해 메틸 에스테르 또는 에틸 에스테르 형태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과정은 바이오매스에 포함된 지방의 크고 가지를 낸 분자 구조를 정규 디젤 엔진이 요구하는 작고 직선 사슬의 분자로 변형시키는 방법을 말한다.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과정의 유화제로서 Triton X-100 또는 Tween 60 등을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화제는 바이오오일의 계면 안정을 도모하고 잘 혼합되도록 하여 반응 수율을 높여서 바이오디젤의 회수 비용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에스테르화 과정의 반응 촉매제로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 채집 및 미세조류 분리
미세조류 시료를 2010년 11월 경북대학교 생물학과 실내 미세조류 배양장(35° 53'N, 128° 36'E)에서 채집하였다. 그 후, 채집한 시료를 실험실로 가져와서 시료 중 1 ml를, 100 ug/ml 농도의 메로페넴(meropenem, Yuhan Pharmaceuticals, Ochang-eup, Chungcheongbuk-do, Korea)을 함유하고 있는 100 ml BG-11(+) 배지(질소함유) (Rippka 등 1979)에 접종하였다. 플라스크들을 25°C에서 160 rpm으로 진탕배양하면서, 확연한 바이오매스가 관찰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잘 배양된 배양액(1.5 ml)을 3,000 g에서 15분(Centrifuge 5424, Eppendorf, Hamburg, Germany)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된 펠렛들을 메로페넴(20ug/ml)을 함유하는 BG-11(+) 한천 상에 획선분획하고, 그 후 플레이트들을 25℃에서 배양하고 성장을 관찰하였다. 미세조류 단일 콜로니가 한천 상에 자라났을 때, 이를 새로운 BG-11(+) 한천배지로 무균적으로 접종시켜 무균상태의 단일 미세조류 배양물을 분리하였고 이를 KNUA013으로 명명하였다.
2. 형태학 및 분자 확인
상기 KNUA013의 형태적 분석을 위하여 20일동안 BG-11(+)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살아있는 세포들을 수확하여 멸균된 증류수에 현탁시키고, 차등간섭대비(DIC) 광학렌즈가 설치된 Zeiss Axioskop 2 광 현미경 (Carl Zeiss, Standort Gottingen, Vertrieb, Germany) 상에서 400배 배율로 관찰하였다.
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균주 KNUA013은 Chlamydomonas. 속의 일반적인 특징들을 가졌다. 상기 미생물은, 타원형으로 이뤄진 단세포로 구성된 운동성을 가진 미세조류로서 약 12-14 μm 길이를 가진다. 꼭대기 부분에 2개의 편모(鞭毛, flagella)를 갖고 있으며 수축성의 액포들(contractile vacuoles)은 세포의 전면부에 위치해 있다. 피레노이드(pyrenoid)는 그릇 모양의 엽록체 내에 존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으로, 균주 KNUA013의 형태학적 특징들은 Chlamydomonas 속에 속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분자적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18S rRNA와 28S rRNA 유전자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KNUA013 균주의 DNA는 DNeasy Plant Mini kit (Qiagen, Hilden, Germany)를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18S rRNA 유전자 단편들의 증폭에, White 등 (1990)에 의해 설명된 프라이머 세트인 NS1 (5'-GTA GTC ATA TGC TTG TCT C-'3)과 NS8 (5'-TCC GCA GGT TCA CCT ACG GA-'3)를 사용하였다. Large subunit의 D1-D2 영역 (LSU, 28S rRNA)은 NL1 (5'-GCA TAT CAA TAA GCG GAG GAA AAG-'3)과 NL4 (5'-GGT CCG TGT TTC AAG ACG G-'3)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O'Donnell 등 1993).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라이머들의 합성 및 DNA 서열분석은 Macrogen 사(社)(Macrogen, Seoul, 대한민국)에서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DNA 염기서열들을 NCBI 데이터베이스에 제출하고 이들의 기탁 번호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KNUA013의 18S rRNA와 28S rRNA 블라스트 검색(BLAST search) 결과
마커
유전자
접근
번호
Cloest match
(진뱅크 접근 번호)
상동성
(%)
시퀀스 유사성(%)
18S rRNA JQ063037 Chlamydomonas moewusii CCAP 11/5D (FR865598) 100 99
28S rRNA JQ063038 Chlamydomonas moewusii SAG 11-11 (AF183461) 100 99
3. 균주 KNUA 013의 생리학적 특성
균주 KNUA 013의 생리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온도 및 pH 조건을 달리하면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약 20일 된 균주 KNUA013의 종균 배양액(seed culture, 1 ml)을, 3회 반복으로, BG-11(+) 배지(100ml)에 접종시키고, 27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물의 최적 온도를 알기 위하여, 균주 KNUA013의 생존 및 성장을 10, 15, 20, 25 및 30℃에서 관찰하였다. 산성 내성 시험은 25℃에서 수행하였고 그 pH 범위는 3.0부터 13.0까지였다. 배양물의 광학 밀도를 Optimizer 2120UV 분광기(Mecasys Co. Ltd., Daejeon, 대한민국)에서 680 nm에서 측정하여 균주 KNUA013 밀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2와 도 3,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균주 KNUA 013의 생리학적 특징
생리학적 특성 생장
온도
pH
15 ℃ - 30℃
pH 4 - pH 12
도 2와 3 및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반 미세조류 배양배지 BG-11(+) 조건에서의 균주 KNUA003의 최적 성장 온도는 15℃에서 30℃까지로 넓은 온도범위 대에서 비슷한 성장을 보였다. 그러나, 이 미생물은 10℃에서는 현저히 지연된 성장이 관찰되었다. 성장 pH는 pH 4.0부터 12.0까지의 범위였으며, 최적 pH는 pH 6.0에서 11.0까지로 역시 넓은 범위 대를 보였다.
4. GC/MS 분석 결과 확인
저비용 대량생산을 위하여 1:500으로 희석한 상업용 액비 BioNex (5.1% N, 10% P2O5 및 5% K2O, Biosangsa, Busan, Korea) 배지를 사용하여 균주를 배양하였다. 3회 반복으로 18 L 크기의 광생물반응기(photobioreactor)에 접종하여 25℃에서 약 14일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들을 3,220 g (Centrifuge 5810R, Eppendorf, Hamburg, Germany)에서 원심분리하여 수확하고, 일부 수정된 블라이-다이어(Bligh-Dyer)법(1959)을 이용하여 미세조류 지질을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클로로포름:메탄올(2:1) 용매 혼합물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된 미세조류 바이오매스로부터 지질성분을 추출하였다. 지질과 메탄올간의 에스테르교환반응에 의하여 바이오디젤을 수득하였으며, 수산화칼륨 (KOH)이 기본 촉매로서 사용되었다. 배양물의 지방산 조성을, 한국 기초과학연구센터(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BSI)) 대구센터에서, GC/MS (Agilent 6890N GC가 장착된 Jeol JMS700 질량 분광기)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도 4, 도 5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KNUA013의 알칸, 지방산, 지방 알코올 조성 성분
피크번호 화합물 이름 분자구조 분자량 Content (%)
2 1-Heptadecene C17H34 238 5.6
7 Hexadecatetraenoic acid methyl ester(C16:4) C17H26O2 262 12.8
8 Hex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C16:3) C17H28O2 264 3.2
9 n-Hexadecenoic acid methyl ester (C16:1) C17H32O2 268 15.2
11 n-Hexadecanoic acid methyl ester (C16:0) C17H34O2 270 5.6
12 Octadecatetraenoic acid methyl ester (C18:4) C19H30O2 290 41.2
13 Octadecadienoic acid methyl ester (C18:2) C19H34O2 294 16.4
14 Oc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C18:3) C19H32O2 292 5.6
15 n-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C18:1) C19H36O2 296 12.8
16 Tetramethylhexadecenol C20H40O1 296 3.2
도 4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GC/MS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시험된 KNUA013은 헥사데세놀(C20H40O)과 함께 헵타데칸(C17H36),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과 같은 지방산들을 생합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electron impact (EI) mass spectrum을 이용하여 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 013에 의해 생산된 헵타데칸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065BP 20111109

Claims (2)

  1. 헵타데칸, 헥사데세놀 및 C16 내지C18의 지방산을 생산하는 미세조류인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16 내지C18의 지방산은 팔미트산(C16:0), 헥사데카테트라에노익산(C16:4), 및 올레인산(C18:1)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Chlamydomonas moewusii) KNUA 013 균주 (KCTC12065BP).
KR1020140000432A 2014-01-02 2014-01-02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KR201400061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32A KR20140006120A (ko) 2014-01-02 2014-01-02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0432A KR20140006120A (ko) 2014-01-02 2014-01-02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07A Division KR101406060B1 (ko) 2012-02-20 2012-02-20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20A true KR20140006120A (ko) 2014-01-15

Family

ID=5014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432A KR20140006120A (ko) 2014-01-02 2014-01-02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61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3A1 (ko) * 2014-11-05 2016-05-12 재단법인 탄소순환형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전환 기술연구단 콜세미드 처리한 이배체의 클라미도모나스 속 미세조류를 이용한 지질의 생산방법,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및 지질을 생산하는 이배체의 미세조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563A1 (ko) * 2014-11-05 2016-05-12 재단법인 탄소순환형 차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전환 기술연구단 콜세미드 처리한 이배체의 클라미도모나스 속 미세조류를 이용한 지질의 생산방법, 바이오디젤의 생산방법 및 지질을 생산하는 이배체의 미세조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281B1 (ko) 북극 해양에서 분리한 지질 고생산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세포주 및 이의 용도
Hong et al. Isolation and description of a Korean microalga, Asterarcys quadricellulare KNUA020, and analysis of its biotechnological potential
Sangapillai et al. Isolation and selection of growth medium for freshwater microalgae Asterarcys quadricellulare for maximum biomass production
KR101575208B1 (ko) 북극 해양에서 분리한 전분 및 지질 고생산 미세조류 클로렐라 세포주 및 이의 용도
US8647849B2 (en) Biodiesel production method
KR102020144B1 (ko) 옥세노클로렐라 프로토테코이드 mm0011 균주 및 그 용도
KR101496783B1 (ko)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르티 knua021 균주 및 이로부터의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Kim et al. Growth and lipid content at low temperature of Arctic alga Chlamydomonas sp. KNM0029C
JP5940540B2 (ja) ヤトロファ(jatropha)メチルエステル(jme)作製の副生成物を利用した、脂質抽出のための、油を含有するクロレラ・バリアビリス(chlorellavariabilis)の作製のための統合プロセス
Pandian et al. Lipid extraction and CO2 mitigation by microalgae and its conversion into biodiesel
Puangbut et al. Integrated cultivation technique for microbial lipid production by photosynthetic microalgae and locally oleaginous yeast
KR20140006120A (ko)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KR101406064B1 (ko)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르티 knua021 균주 및 이로부터의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KR101406060B1 (ko) 신규한 미세조류 클라미도모나스 모에우시 knua01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Hariram et al. Scenedesmus obliquus and Chlorella vulgaris–A Prospective Algal Fuel Source
KR101313173B1 (ko) 신규한 미세조류 림노트릭스 knua012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Hong et al. Characterization of alkane-producing Nostoc sp. isolated from a summer bloom for biofuel potential
Najeeb et al. Distribution, screening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indigenous microalgae for bio-mass and bio-energy production potential from three districts of Pakistan
KR101406039B1 (ko) 신규한 미세조류 노스톡 knua00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JP6999128B2 (ja) 微細藻類を用いた炭化水素の製造方法
KR101548207B1 (ko) 신규한 아스터라르시스 쿼드리셀룰랄리 knua020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지방산 및 지방알코올의 생산방법
KR102455445B1 (ko) 신규한 미세조류 에프레니움 보라튬 mabiklp88 및 그 용도
KR20140013106A (ko) 신규한 미세조류 노스톡 knua003 균주 및 이로부터의 알칸, 지방 알코올 및 지방산 생산 방법
Wahi et al. Molecular approach for Identification of algal isolate using 18S rRNA Phylogenetic analsis and determining its oil content
Tripti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of algal Chlorophyll and Hydrocarbon content in algae found in National Capital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410100791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2

Effective date: 20160725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1222

Effective date: 2016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