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514U -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514U
KR20140005514U KR2020130002942U KR20130002942U KR20140005514U KR 20140005514 U KR20140005514 U KR 20140005514U KR 2020130002942 U KR2020130002942 U KR 2020130002942U KR 20130002942 U KR20130002942 U KR 20130002942U KR 20140005514 U KR20140005514 U KR 201400055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rs
screw
ba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829Y1 (ko
Inventor
윤홍규
Original Assignee
윤홍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홍규 filed Critical 윤홍규
Priority to KR20130002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2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는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에는 양단부가 외부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대 및 회전대의 일단에 부착된 제1기어가 구비된 본체부, 일단은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본체부 내부에서 제1기어와 맞물린 제2기어가 구비된 조절부, 고정대 양단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본체부의 외부로 서로 대칭되어 돌출된 한 쌍의 스크류바, 길이방향으로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한 쌍의 스크류바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바 및 일측에 가이드홈이 밀착되어 한 쌍의 이동바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되, 조절부의 회전으로 인해, 제2기어가 제1기어를 통해 한 쌍의 스크류바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경우, 한 쌍의 스크류바와 결합된 한 쌍의 이동바가 스크류바에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 또는 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supportting the leg tearing}
본 고안은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타인의 도움없이 혼자서 간편하게 다리 찢는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의 유연성을 기르기 위한 스트레칭 훈련은 특별한 훈련기구를 이용하는 것은 아니고, 운동선수 서로간이나 선수 자신이 다리를 벌리거나 앉은 자세에서 힘을 가함으로써 근육은 이완시키는 훈련을 하고 있다. 운동장이나 실내체육관 등에서 개인이 다리찢기 운동을 하여 다리 근육에 반복적인 자극을 가하여 다리의 유연성을 기르는 훈련을 하게 된다.
이러한, 다리찢기 운동은 각자의 능력에 따라 실시되므로 평소에 운동부족이 되기 쉬운 주부 또는 노인에게도 알맞은 체조로서, 운동이 부족한 바쁜 현대인의 건강유지에 매우 유익한 운동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다리찢기 운동은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유연성을 얻도록 훈련하는 것이 곤란할 뿐 아니라,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에 타인의 수고가 필요하고, 이때 본인에게 맞는 힘의 조절이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운동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육체적 피로감에 의해 운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쁜 현대인이 간편한 스트레칭이 가능하여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혼자 간단하게 스트레칭 운동할 수 있는 보조 운동기구가 필요로 하나, 그 중에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에 대한 제품은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KR 10-2010-000965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를 가까운 거리에 위치시켜, 사용자 스스로가 손쉽게 다리 찢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하체의 유연성 향상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외부는 외부프레임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에는 양단부가 외부프레임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대 및 회전대의 일단에 부착된 제1기어가 구비된 본체부, 일단은 본체부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본체부 내부에서 제1기어와 맞물린 제2기어가 구비된 조절부, 회전대 양단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본체부의 외부로 서로 대칭되어 돌출된 한 쌍의 스크류바, 길이방향으로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스크류바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바 및 일측에 가이드홈이 밀착되어 한 쌍의 이동바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를 포함하되, 조절부의 회전으로 인해, 제2기어가 제1기어를 통해 한 쌍의 스크류바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경우, 한 쌍의 스크류바와 결합된 한 쌍의 이동바가 한 쌍의 스크류바에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 또는 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외부프레임은 육면체 형상이고, 플라스틱, 목재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절부는 일단에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일측에 결합된 그립부를 더 포함하되, 그립부는 봉 형상이고, 일단이 손잡이에 고정된 고정대 및 고정대 외부를 감싸는 그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에는 스크류가 돌출되고, 타단에 사용자의 다리의 일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고정바를 더 포함하되, 돌출된 한 쌍의 스크류는 한 쌍의 이동바의 스크류공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스크류바 및 가이드바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프레임을 더 포함하되, 커버프레임은 원형, 타원형,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일단에는 회전가능한 손잡이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양단에 힌지부가 형성된 지지대가 설치된 스크류바, 일단이 힌지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며, 타단에 다리의 일부가 고정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다리고정바, 중앙에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스크류바의 일부에 관통결합되고, 양단이 한 쌍의 다리고정바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 및 일단이 이동플레이트와 연결되고, 타단이 한 쌍의 다리고정바의 레일홈 일부에 연결되어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바를 포함하되, 스크류바의 회전으로 인해, 스크류바와 결합된 한 쌍의 이동바가 손잡이와 가까운 방향 또는 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전방에 위치한 손잡이를 회전하여 간편하게 다리찢기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신체의 유연성을 강화하는데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조절한 거리만큼 다리지지부가 양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유지되어 보조인의 도움없이 다리찢기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는 크기가 작고, 분리 및 결합이 간편하여 장소에 큰 영향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면,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작동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작동후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다리찢기 운동은 빠른 시간 내에 충분히 유연성을 얻도록 훈련하는 것이 곤란할 뿐 아니라, 충분한 운동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제3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되므로 이에 타인의 수고가 필요하고, 이때 본인에게 맞는 힘의 조절이 불가능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과도하게 다리가 벌려지면 부상의 위험이 있어 운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를 가까운 거리에 위치시켜, 사용자 스스로가 손쉽게 다리 찢는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하체의 유연성 향상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제1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 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는 본체부(100), 조절부(200), 스크류바(300), 이동바(400), 가이드바(500) 및 다리고정바(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는 외부가 육면체 형상이고, 외부프레임(130)으로 둘러싸여 있다. 다만, 본체부(100)의 하부면이 바닥에 밀착할 수 있는 평면이면 그 밖의 다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부(100)는 후술되는 조절부(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대(110)와 제1기어(120)로 구성된다.
조절부(200)는 손잡이(210) 및 제1기어(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220) 및 손잡이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직접적으로 회전시키는 그립부(23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스크류바(300), 이동바(400), 가이드바(500) 및 다리고정바(600)는 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일측만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스크류바(300)는 좌우 한쌍으로 되어 상술된 회전대(1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본체부(100)의 외부로 돌출된다.
한쌍의 스크류바(300)는 대향되고, 나사산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어, 상호 대칭되게 스크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크류바(300)가 조절부(2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 한 쌍의 이동바(400)가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게 된다.
이동바(400)는 길이방향으로 스크류공(41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류바(300)가 스크류공(410)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20)이 형성된다. 상기 설명된 본체부(100), 조절부(200) 및 이동바(40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바(500)는 일측이 이동바(400)의 가이드홈(420)에 밀착되어 이동바(400)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안내한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500)는 가느다란 봉 형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은 이동바(4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면서,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다리고정바(600)는 일단에는 스크류가 돌출되어, 이동바(400)의 타단에서 스크류공(410)에 결합된다. 이때, 스크류공(410)에 일단에는 스크류바(300)가 결합하되, 이동바(400)의 길이가 스크류바(300) 보다 더 길게 되어 있어, 스크류바(300)가 완전히 결합되어도, 타단에는 다리고정바(600)의 스크류가 이동바(400)에 결합이 가능하다.
그리고 다리고정바(600)의 타단에 사용자의 다리의 일부를 고정하여 지지한다. 여기서, 다리고정바(600)의 타단에는 끈이나 밴드 그 밖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사용자의 다리의 일부가 다리고정바(6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부(100)의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110)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회전대(110)는 후술되는 조절부(200)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회전대(110)는 원기둥 형상이고, 수평으로 외부프레임(130)의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대(110)의 양단부는 베어링(미도시)이 부착되어 외부프레임(130)의 내부 양측홈(미도시)에 결합된다. 여기서 양측홈(미도시)에는 홈의 너비보다 좁은 관통공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스크류바(300)가 결합된다.
제1기어(120)는 회전대(110)의 일단 외주연에 부착되어, 회전대(110)와 함께 회전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조절부(200)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대(110)와 함께 회전하여 양측에 연결된 스크류바(300)에 전달하는 중간 가교 역할을 한다.
외부프레임(130)은 육면체 형상이고,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면이 분리하기 쉽도록 나사결합되어 있어 내부에 제1,2기어(120,220) 및 회전대(110)에 문제가 생기거나 이물질이 끼어 제1,2기어(120,130)의 원할한 회전에 방해가 될 경우에 쉽게 분리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관통공이 있어, 조절부(200)와 스크류바(300)가 이 관통공을 통해 외부프레임(130)에 결합된다.
한편,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절부(200)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손잡이(210) 및 제1기어(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2기어(220)로 및 손잡이(210) 일측에 결합된 그립부(2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절부(200)는 일단에 손잡이(210)가 구비되고, 본체부(100) 외부에 돌출되며, 타단은 본체부(100) 내부에서 제1기어(120)와 직각으로 맞물린 제2기어(2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손잡이(210)는 정역회전 가능한 운전핸들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일측에는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손잡이(210)의 방향에 따라 회전시킬 수 있는 그립부(230)가 결합되어 있다.
그립부(230)는 손잡이(210)를 기준으로 본체부(100)와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내부에 긴 나사가 손잡이(210) 일측에 고정결합되고, 고정대(미도시) 외주연에 느슨하게 플라스틱 그립(미도시)으로 감싸여 있어, 사용자가 회전시킬 경우, 고정대에 느슨하게 감싸여진 플라스틱 그립은 돌지않고, 내부의 고정대는 손잡이(21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동바(400)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400)는 길이방향으로 스크류공(410)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바(300)가 상기 스크류공(410)이 일단에 결합된다. 이때, 스크류바(300)보다 이동바(400)가 더 길게 형성되어, 스크류공(410) 일부가 남게 된다.
그리고 이동바(400)의 타단에서 다리고정바(600)의 돌출된 스크류가 상기 일부 스크류공(410)에 결합된다.
또한, 이동바(40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20)이 형성되고, 상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420)이 가이드바(500)의 일부에 밀착됨으로써, 이동바(40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작동전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작동후의 평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이동바(400)의 일단이 본체부(100)의 일측에 밀착되고, 가이드바(500) 일측라인 전부가 이동바(400)의 가이드홈(420)에 밀착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다리고정바(600)의 돌출부를 이동바(400) 타단에 스크류 결합시키고, 다리고정바(600) 반대편에 다리를 고정시킨다.
여기서, 그립부(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210)를 통해 제1기어(120)에 회전력이 전달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직각으로 맞물린 제2기어(220)와 회전대(110)가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회전대(110)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스크류바(300)가 회전하게 되고, 한 쌍의 스크류바(300)와 스크류 결합된 이동바(400)가 회전력으로 인해, 스크류 결합이 풀리면서 본체부(100)와 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여기서 가이드홈(420)이 가이드바(500)에 걸려있어 이동바(400)가 회전하지 않고 수평이동을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한편, 사용자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술된 과정과 반대과정을 거쳐 한 쌍의 이동바(400)가 본체부(100)와 가까운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한다.
< 제2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된다. 다만, 제1실시예와 달리, 본체부(100)의 양측에 스크류바(300) 및 가이드바(50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커버프레임(8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커버프레임(800)은 본체부(100)의 측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길이는 가이드바(500) 및 스크류바(300)와 동일한 길이로 본체부(100)의 양측에서 설치된다.
비록 제2실시예에서의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는 직육면체로 설명하였으나, 원형, 타원형 및 정육면체의 형상인 커버프레임(800)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 제3실시예 >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9에서 제3실시예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를 설명하기 위해 기타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도 2의 변형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이외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축소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는 스크류바(300'), 지지대(310), 이동플레이트(430'), 이동바(400'), 다리고정바(600'), 받침대(90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바(300')를 주축으로 일단에는 회전가능한 손잡이(21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지지대(3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지지대(310)의 양단에는 힌지부(311)가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다리고정바(600)의 일단이 힌지부(311)에 연결된다.
이동바(400')는 일단이 이동플레이트(430)와 연결되고, 타단이 다리고정바(600')의 레일홈(610) 일부에 연결되어 레일홈(610)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이동바(400')의 타단은 작은 바퀴가 구비되어 있어, 레일홈(610)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다.
이동플레이트(430)는 중앙에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스크류바(300')의 일부에 관통결합되고, 양단이 다리고정바(600')의 일단에 결합된다.
다리고정바(600')의 타단은 다리의 일부가 고정하여 지지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610)이 형성되어, 이동바(400')가 레일홈(610)에 요철방식으로 결합된다.
받침대(900)는 스크류바(300') 하부 일측에서 구비되어 지지대(310)와 함께 스크류바(300')를 고정시킨다.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다리고정바(600')의 일단에 다리를 고정시키고, 그립부(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립부(230')를 회전시키면 손잡이(210)가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스크류바(30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크류바(300')에 스크류 결합된 이동플레이트(430)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손잡이(210')에 가까운 스크류바(300')의 일단에서 손잡이(210')와 먼 스크류의 타단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이동바(400')의 일단이 다리고정바(600')의 레일홈(610)을 따라 동력을 주게 된다.
그 다음으로, 다리고정바(600')는 일단에 형성된 바퀴를 통해 레일홈(610)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힌지부(311)의 회동으로 다리고정바(600')가 펴지게 된다.
한편, 그립부(230')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술된 과정과 반대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는 사용자가 손잡이(210)를 통해 조절한 거리만큼 다리지지부(600)가 양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유지되어 부상의 위험도 줄일 수 있고, 보조인의 도움없이도 다리찢기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이 설명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10)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100. 본체부
110. 회전대 120. 제1기어
130. 외부프레임 200. 조절부
210. 손잡이 220. 제2기어
230. 그립부 231. 고정대
232. 그립 300. 스크류바
310. 지지대 311. 힌지부
400. 이동바 410. 스크류공
420. 가이드홈 430. 이동플레이트
500. 가이드바 600. 다리고정바
610. 레일홈 700. 체결나사
800. 커버프레임 900. 받침대

Claims (7)

  1. 외부는 외부프레임(130)으로 둘러싸여 있고, 내부에는 양단부가 상기 외부프레임(130)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대(110) 및 상기 회전대(110)의 일단에 부착된 제1기어(120)가 구비된 본체부(100);
    일단은 상기 본체부(100) 외부로 돌출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서 상기 제1기어(120)와 맞물린 제2기어(220)가 구비된 조절부(200);
    상기 회전대(110) 양단과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로 서로 대칭되어 돌출된 한 쌍의 스크류바(300);
    상기 길이방향으로 스크류공(410)이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300)에 결합되고, 일측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420)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바(400); 및
    일측에 상기 가이드홈(420)이 밀착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바(400)가 수평이동을 하도록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바(500);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부(200)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제2기어(220)가 상기 제1기어(120)를 통해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300)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는 경우,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300)와 결합된 한 쌍의 이동바(400)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300)에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부(100)와 가까운 방향 또는 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의 외부프레임(130)은 육면체 형상이고, 플라스틱, 목재 및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200)는 일단에 손잡이(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10) 일측에 결합된 그립부(2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230)는 봉 형상이고, 일단이 상기 손잡이(210)에 고정된 고정대; 및 상기 고정대 외부를 감싸는 그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일단에는 스크류가 돌출되고, 타단에 사용자의 다리의 일부를 고정하여 지지하는 한 쌍의 다리고정바(6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돌출된 스크류는 상기 한 쌍의 이동바(400)의 스크류공(4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스크류바(300) 및 가이드바(50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커버프레임(8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커버프레임(800)은 원형, 타원형, 정육면체 또는 직육면체 중 적어도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7. 일단에는 회전가능한 손잡이(210)가 연결되고, 타단에는 양단에 힌지부(311)가 형성된 지지대(310)가 설치된 스크류바(300);
    일단이 상기 힌지부(311)의 양단에 결합되고,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레일홈(610)이 형성되며, 타단에 다리의 일부가 고정하여 지지되는 한 쌍의 다리고정바(600);
    중앙에 스크류공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바(300)의 일부에 관통결합되고, 양단이 한 쌍의 다리고정바(6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플레이트(430); 및
    일단이 상기 이동플레이트(43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다리고정바(600)의 레일홈(610) 일부에 연결되어 상기 레일홈(610)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바(400);를 포함하되,
    상기 스크류바(300)의 회전으로 인해, 스크류바(300)와 결합된 한 쌍의 이동바(400)가 상기 손잡이(210)와 가까운 방향 또는 먼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20130002942U 2013-04-16 2013-04-16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200476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942U KR200476829Y1 (ko) 2013-04-16 2013-04-16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02942U KR200476829Y1 (ko) 2013-04-16 2013-04-16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14U true KR20140005514U (ko) 2014-10-27
KR200476829Y1 KR200476829Y1 (ko) 2015-04-07

Family

ID=5245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02942U KR200476829Y1 (ko) 2013-04-16 2013-04-16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73B1 (ko) * 2021-11-11 2022-07-11 인스엔지니어링(주)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886U (ko) * 2016-02-22 2016-03-14 류현광 다리찢기 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7266A (en) * 1991-03-11 1992-09-15 Ricard Roger W Leg stretching machine
US6733426B2 (en) 2002-03-12 2004-05-11 Ernie L. Bussell Leg stretching device
KR200366016Y1 (ko) 2004-05-17 2004-11-03 강재인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101391790B1 (ko) * 2011-04-08 2014-05-07 김기백 다리스트레칭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273B1 (ko) * 2021-11-11 2022-07-11 인스엔지니어링(주) 위치 가변형 파지그립이 구비된 바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29Y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85511A (en) Treatment and exercise apparatus applying tension to the backbone of a user and body massage
US6964614B1 (en) Riding device
US10470961B2 (en)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passive physical rehabilitation
US20150297943A1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for fitness machine
CN107376222A (zh) 一种坐位体前屈训练装置
JP2010274117A (ja) 多目的運動器具
KR200476829Y1 (ko)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101730089B1 (ko) 괄약근 및 골반저근 운동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103933706A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KR20070111252A (ko) 척추이완용 기구
JP3120613U (ja) 腰部および脚部の運動器具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CN107433017B (zh) 一种锻炼身体柔韧性的装置
KR20170074669A (ko) 종합 유연성 트레이닝 및 측정기
KR101611385B1 (ko) 거꾸리 운동기구
US6461280B1 (en) Training apparatus
US20130045839A1 (en) Sitting type stepper
TWI417086B (zh) With a massage function of the inverted machine
KR20110005221U (ko) 허리 운동 기구
KR102252959B1 (ko) 다기능 운동기구
KR101868334B1 (ko) 전신운동기구
JP4292520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20160075250A (ko) 괄약근 운동기구
US20130267388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