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016Y1 - 하체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016Y1
KR200366016Y1 KR20-2004-0013617U KR20040013617U KR200366016Y1 KR 200366016 Y1 KR200366016 Y1 KR 200366016Y1 KR 20040013617 U KR20040013617 U KR 20040013617U KR 200366016 Y1 KR200366016 Y1 KR 200366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body
expansion member
wheel
leg
air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인
Original Assignee
강재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재인 filed Critical 강재인
Priority to KR20-2004-0013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using pneumatic force-resis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는 팽창부재(122)가 내부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1 바퀴(124)가 설치된 본체부(120);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일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2 바퀴(142)가 설치된 제1 발고정부(144)가 형성된 제1 다리부(140) 및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타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3 바퀴(162)가 설치된 제2 발고정부(164)가 형성된 제2 다리부(160)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부피도 작고, 휴대가 가능하게 하여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고, 하체를 스트레칭한 상태에서 허리운동도 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하체 스트레칭 기구 { LEGS STRETCHING APPARATUS }
본 고안은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부피가 작고 조작이 용이하여,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고, 사용이 매우 편리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유연성은 대부분의 스포츠에 기본적으로 요구되는데, 특히 태권도, 체조, 무용 등의 운동에 있어서는 하체의 유연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이다. 이러한 하체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양쪽 다리를 벌려 앉은 자세에서 상체를 앞으로 굽히거나, 한쪽 발을 수평바아에 올려놓고 상체를 굽히는 동작을 반복하여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근래에는 혼자서도 하체 스트레칭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칭 기구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사이즈가 크고 무거운 금속 기구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헬스장 등 특수한 운동시설이 설치되는 곳에서만 사용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부피도 작고, 휴대가 가능하게 하여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고, 하체를 스트레칭한 상태에서 허리운동도 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
도 2는 본 고안에 실시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의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는 팽창부재(122)가 내부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1 바퀴(124)가 설치된 본체부(120);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일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2 바퀴(142)가 설치된 제1 발고정부(144)가 형성된 제1 다리부(140) 및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타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3 바퀴(162)가 설치된 제2 발고정부(164)가 형성된 제2 다리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20)안에, 상기 팽창부재(122)의 양단에 각각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 및 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본체부(120), 제1 다리부(140) 및 제2 다리부(160)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체부(120) 내부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는 팽창부재(122)가 설치되고, 본체부(120) 하단에는 제1 바퀴(1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20) 내부에는, 상기 팽창부재(122)의 양단에 각각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은 각각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팽창부재(122)는,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1222)가 에어펌프삽입공(1224)에 삽입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에어펌프(1222)가 상기 에어펌프삽입공(1224)과 분리되면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에어펌프(1222)는 사용자의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압박하여 공기를 주입시키는 펌프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스위치를 조작하여 기계적으로 공기를 주입시키는 펌프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다리부(140)는,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일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2 바퀴(142)가 설치된 제1 발고정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다리부(160)도,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타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3 바퀴(162)가 설치된 제2 발고정부(1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다리부(140) 및 상기 제2 다리부(160)는 카메라 지지 삼각대와 같은 길이 조정이 가능한 다리를 응용하여 길이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 다리부(140) 및 제2 다리부(160)는 3중으로 연장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를 사용하려는 사용자는 자신의 다리 길이에 맞도록 제1 다리부(140) 및 제2 다리부(160)의 길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에어펌프(1222)를 에어펌프삽입공(1224)에 삽입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자신의 양 발을 각각 제1 발고정부(142) 및 제2 발고정부(162)에 끼워넣고, 에어펌프(1222)를 조작하여 팽창부재(122)를 길이방향으로 팽창하게 한다. 그러면, 제1 다리부(140) 및 제2 다리부(160)가 바깥방향으로 점점 나오게 되고,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까지 나오게 되면, 사용자는 팽창부재(122)의 팽창을 중지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하체 스트레칭이 일어나는데, 제1 바퀴(124), 제2 바퀴(142) 및 제3 바퀴(16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바닥에 엉덩이를 댄 채 허리를 비트는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스트레칭이 끝내려면, 에어펌프(1222)를 에어펌프삽입공(1224)와 분리시킨다. 그러면, 팽창부재(122) 내에 있던 공기가 빠져버리고,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의 탄성력으로 인해 제1 다리부(140) 및 제2 다리부(160)이 본체부(120) 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리가 오므라지게 되어 스트레칭이 끝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스트레칭 기구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부피도 작고, 휴대가 가능하게 하여 언제 어디서나 운동할 수 있고, 하체를 스트레칭한 상태에서 허리운동도 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5)

  1. 삭제
  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팽창하는 팽창부재(122)가 내부에 설치되고, 하단에는 제1 바퀴(124)가 설치된 본체부(120);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일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2 바퀴(142)가 설치된 제1 발고정부(144)가 형성된 제1 다리부(140) 및
    일단이 상기 팽창부재(122)의 타단에 접하고, 타단에는 제3 바퀴(162)가 설치된 제2 발고정부(164)가 형성된 제2 다리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20)안에, 상기 팽창부재(122)의 양단에 각각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재(122)는,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펌프(1222)가 에어펌프삽입공(1224)에 삽입되어 공기가 주입되면 팽창되고, 상기 에어펌프(1222)가 상기 에어펌프삽입공(1224)과 분리되면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126) 및 제2 탄성부재(128)는 각각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다리부(140) 및 상기 제2 다리부(160)는 각각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20-2004-0013617U 2004-05-17 2004-05-17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200366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17U KR200366016Y1 (ko) 2004-05-17 2004-05-17 하체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617U KR200366016Y1 (ko) 2004-05-17 2004-05-17 하체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016Y1 true KR200366016Y1 (ko) 2004-11-03

Family

ID=4943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617U KR200366016Y1 (ko) 2004-05-17 2004-05-17 하체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29Y1 (ko) 2013-04-16 2015-04-07 윤홍규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101541215B1 (ko) 2013-05-09 2015-08-06 박찬기 다리 스트레칭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29Y1 (ko) 2013-04-16 2015-04-07 윤홍규 다리찢기를 지원하는 운동기구
KR101541215B1 (ko) 2013-05-09 2015-08-06 박찬기 다리 스트레칭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0874B1 (ko)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US20050059536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3524643A (en) Apparatus for foot and ankle exercise
US20120040811A1 (en) Enhanced Push-Up Bars
US4522392A (en) Spring type leg exercising device
US6152865A (en) Muscle exercise and strengthening device
KR200366016Y1 (ko) 하체 스트레칭 기구
KR20210042232A (ko) 스쿼트운동기구
CN111790097B (zh) 桌子及沙发用腿部运动器材
KR101438054B1 (ko) 직립형 재활 운동장치
JP2001000485A (ja) 足の鍛練装置
CN215689646U (zh) 一种下肢按摩装置
KR200384409Y1 (ko) 복근 운동기구
US20050239618A1 (en) Waist training exerciser
KR200487636Y1 (ko) 플랭크 겸용 푸쉬업 운동기구
KR101974454B1 (ko) 다용도 운동기구
KR20100000660U (ko) 다목적 슬라이드 운동기구
GB0108643D0 (en) Leg exerciser
KR20200002105U (ko) 복근운동기구
KR20160088657A (ko) 하체 운동기구
JPH11319145A (ja) 脚部および腹部の美容運動具
TWM461453U (zh) 蹬腿用之腿部運動器具
KR102482764B1 (ko) 다목적 운동기구
KR200490282Y1 (ko) 장애아동용 하체 단련기구
KR101585347B1 (ko) 다리운동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