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372U -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 Google Patents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372U
KR20140005372U KR2020130002634U KR20130002634U KR20140005372U KR 20140005372 U KR20140005372 U KR 20140005372U KR 2020130002634 U KR2020130002634 U KR 2020130002634U KR 20130002634 U KR20130002634 U KR 20130002634U KR 20140005372 U KR20140005372 U KR 2014000537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lter
waste oil
compression chamber
compression
res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균
윤기훈
김해영
Original Assignee
정대균
윤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대균, 윤기훈 filed Critical 정대균
Priority to KR2020130002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372U/ko
Publication of KR20140005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7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9Fluid remo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57Fluid-drive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00/00Presses

Abstract

본 고안은 폐오일필터의 필터내 잔유를 회수하고 압축하여 소부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필터의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배출공(41,41')이 형성된 스크린(4)이 구비되어 폐오일필터(F)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실(42)이 형성된 압축실(2)과; 잔유회수작업시에는 압축실(2)에 결합하고 압축작업시에는 압축실(2)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실(2)에 탈착결합되어 폐오일필터(F)에서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기(5)와; 상기 압축실(2)에는 압축실린더(1)에 연동되어 스크린(4) 위에 올려진 폐오일필터(F)를 압축하는 압축판(11)으로 폐오일필터 압축기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폐오일필터의 압축기{A COMPRESSION DEVICE FOR USELESS OIL FILTER}
본 고안은 폐오일필터의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오일필터의 필터내 잔유를 회수하고 압축하여 소부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필터의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차량 등에 설치된 기계류는 윤활유 등의 오일을 정화하여 성능을 지속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오일필터를 사용하고 있으며 오일의 오염정도 등에 따라 교체한 폐오일필터는 폐오일(이하, 잔유라 함)를 회수하고 폐기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필터는 교체된 자동차 폐 오일필터 내 잔류된 잔유를 먼저 추출한 후 폐기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폐오일필터를 뒤집어 세워 놓고 내부 잔유가 자연적으로 흘러나오도록 하여 회수하고 폐오일필터는 압축처리하거나 소각처리하는 등으로 폐기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폐오일필터 처리는 내부에 잔류하는 잔유를 충분히 회수하지 못하여 수거효율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잔유로 인해 폐오일필터의 폐기시에 잔유가 침출되어 공해발생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경비정 등의 함정에 사용되는 오일필터는 함정 엔진에 연료유, 윤활유, 냉각수 등 각 계통에 설치되어 엔진 운전시 발생되는 각종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적의 성능 유지를 위해 주기적으로 교환하고 있어 다량 발생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폐오일필터는 함정 자체에서 취환시 충분히 잔유제거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대로 폐기물창고에 보관, 방치되어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유상으로 매각 처리하고 있는 잔유는 제대로 수거되지 않고 버려지고 있어 상당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고 있다. 기존에도 이러한 문제의 해결하기 위하여 폐오일필터의 처리에 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60724호에는 회전하는 한쌍의 커터에; 의하여 파쇄된 오일필터의 스크랩중 금속부분과 여과지 및 잔유로 분리 선별되어 각각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필터 파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3828호에는 자동차에서 폐기되는 폐오일필터의 절단하여 폐오일필터의 구성부품들을 분리함으로써 폐오일필터의 절단과 성부품의 분리에 사용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폐오일필터의 구성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폐오일필터의 절단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2030호에는 잔유 수거를 위한 파이프라인과 비트 및 압축을 위한 압축기가 내장된 폐오일필터의 압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폐오일필터의 처리에 있어서는 폐기물 관리법(폐기물관리법 시행령 제3조)에 잔유의 5%이상 함유한 것은 지정 폐기물로 간주되므로 잔유 오일량을 5% 이내로 만족시킬 수 있는 폐오일필터의 처리장치가 요구된다.
이에 참고문헌1에는 압축장치로서 폐오일필터를 압축하여 압축능력에 의해 폐오일필터내 잔유의 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폐오일필터의 압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문헌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1325호, 2000.05.15.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참고문헌1을 포함한 기존 폐오일필터 처리기는 폐오일필터를 절단하는 등으로 구조가 복잡하거나 큰 부피로 인해 폐오일필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곤란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폐오일필터를 소부피로 압축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오일필터의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압축과정에서 폐오일필터의 압축으로 잔유의 회수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잔유의 회수효율을 높이면서 간단한 구조의 압축기로 압축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오일필터의 압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배출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구비되어 폐오일필터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실이 형성된 압축실과; 잔유회수작업시에는 압축실에 결합하고 압축작업시에는 압축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실에 탈착 결합할 수 있게 되어 폐오일필터에서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기와; 상기 압축실에는 압축실린더에 연동되어 스크린 위에 올려진 폐오일필터를 압축하는 압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은 1차, 2차 압축실로 나란히 분할형성하고, 상기 1차압축실에는 잔유회수기를 탈착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잔유회수기는; 폐오일필터를 수납하는 포켓이 형성되고 하부에 망체가 결합된 진동틀과; 상기 진동틀이 탈착결합되는 진동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탈착프레임과; 상기 구동축의 탈착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탈착결합되는 진동틀의 걸이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폐오일필터로부터 잔유를 회수하고 소부피로 압축하여 처리할 수 있는 폐오일필터의 압축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폐오일필터의 잔유 회수율을 높이고 폐오일필터의 재활용으로 자원절약 등의 경제적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폐오일필터를 소부피로 압축하여 처리함으로써 폐오일필터로 인한 환경오염의 방지에 일조하고 폐오일필터의 처리에 경제성과 용이성을 제공하는 등의 이익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중 잔유회수기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중 잔유회수기의 구성을 보인 일요부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본 고안은 수거된 폐오일필터로부터 잔유를 회수하고 소부피로 압축하여 처리할 수 있게 하고 폐오일필터의 압축과정에서도 잔유가 수거되게 하여 폐오일필터 압축기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수거된 폐오일필터를 압축하는 압축실과 압축실에 구비되어 폐오일필터의 압축작업을 수행하는 압축기와, 압축실 하부에 형성되어 압축되는 폐오일필터로부터 잔유를 모아 수거하는 잔유회수실로 대분된다.
압축실은 폐오일필터를 1차 압축하는 1차압축실과 1차압축된 폐오일필터의 압축물을 더욱 소부피로 재압축하는 2차압축실로 이루어진다.
압축실에는 폐오일필터로부터 잔유를 회수하기 위한 잔유회수기가 탈착 장착되어 폐오일필터를 부터 잔유를 회수하고 압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에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긴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용상태 단면도이다.
압축실(2)은 전방에 개폐문(3)을 형성하여 내부에 폐오일필터(F)를 수납할 수 있게 하고, 하부에는 폐오일필터(F)의 잔유 회수를 위한 스크린(4)을 설치하고, 스크린(4)에는 폐오일필터(F)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유를 아래의 잔유회수실(42)로 배출시켜 회수할 수 있도록 배출공(41,4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스크린(4)이 형성되어 폐오일필터(F)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실(42)이 형성된 압축실(2)은 1, 2차압축실(21)(22)로 분할 형성하여 폐오일필터(F)를 1,2차에 걸쳐 압축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1차압축실(21)은 수거된 폐오일필터(F)를 오일구멍이 있는 바닥면이 스크린(4)을 향하도록 올려놓고 내부 잔유가 흘러나오도록 한다.
상기 1차압축실(21)에서는 잔유회수기(5)를 탈착, 설치하여 잔유를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잔유회수기(5)는; 진동틀(51)을 형성하여 진통틀(51) 내로 폐오일필터(F)를 넣고 진동틀(51)의 요동으로 흔들어 줌으로써 폐오일필터(F)내 잔유가 내부에 남아있지 않고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강제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잔유회수기(5)는 1차압축실(21)에 결합되어 1차압축작업 전에 잔유회수작업을 수행하고 잔유회수작업이 완료되면 분리하여 1차압축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잔유회수기(5)에 대해서는 후술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와 같이 잔유회수기(5)가 탈착 설치되는 1차압축실(21)에는 압축실린더(1)에 연동되는 압축판(11)을 설치한다. 상기 압축판(11)은 1차압축실(2)내 폐오일필터(F)를 압축할 수 있도록 규격(크기)과 잔유회수기(5)에 방해받지 않는 규격(크기)로 형성함은 당연하다.
상기한 1차압축실(21)의 스크린(4)은 폐오일필터(F)로 흘러나오는 잔유를 회 장착하여 잔유를 회수하며, 잔유회수기(5)에 의한 잔유회수 이후 1차압축과정에서 폐오일필터(F)가 압축되면서 내부의 잔유가 압을 받아 배출되어 스크린(4)의 배출공(41,41')을 통해 잔유회수실(42)로 배출, 회수된다. 상기 잔유회수과정을 후술에서 상세히 살펴본다.
그리고 상기 1차압축실(21) 옆에는 2차압축실(22)을 형성하여 1차압축실(21)에서 압축된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2차압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2차압축실(22)은 1차압축실(21) 바로 옆에 이웃하여 연통되게 구성하여 1차압축실(21)에서 압축한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2차압축실(22)로 들어 옮길 수 있게 하여 용이하게 이동작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2차압축실(22)은 1차압축실(21)과 함께 스크린(4) 상부에 형성하여 2차압축과정에서 압착되어 배출되는 잔유를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1차,2차압축실(21)(22)의 스크린(4) 하부에 형성된 잔유회수실(42)은 1차,2차압축과정에서 잔유를 회수하여 이송펌프(61)로서 저장탱크(6)로 이송,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즉, 도시한 예와 같이 상기 2차압축실(22)은 1차압축실(21)과 함께 스크린(4)위에 형성하여 배출공(41,41')을 통해 잔유회수기(5)에 의한 잔유회수와 1차,2차 압축과정에서 잔유를 잔유회수실(42)로 회수하고 회수된 잔유는 이송펌프(61)를 이용해 저장탱크(6)로 보낼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에 스크린(4)이 형성된 2차압축실(22)에는 1차압축실(21)과 마찬가지로 압축실린더(1')에 연동되는 압축판(11')을 설치하여 2차압축실(22)내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압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2차압축실(22)은 1차압축실(21)에서 압축된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쌓아올려 여러 개의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한번에 압축작업하여 폐오일필터(F)를 두차례에 걸쳐 압축함으로써 폐오일필터(F)를 더욱 소부피로 압축하여 압축효율을 높이고 또 1차압축과정에서 회수되지 못한 잔유는 2차압축과정에서 회수하여 잔유의 회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이하에는 잔유회수기(5)의 구성 등에 대해 살펴본다.
상기 잔유회수기(5)는 진동틀(51) 내에 폐오일필터(F)를 개별로 수납할 수 있는 포켓(52,52')을 형성하고 일측에 걸이구(53,53')을 형성하여 걸이구(53,53')를 진동모터(54)의 구동축(55)에 형성된 탈착프레임(56)의 결합공(57,57')에 결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잔유회수기(5)는 진동틀(51) 바닥에 망체(51a)를 형성하고 스크린(4)에 가깝게 설치하고 폐오일필터(F)에서 흘러나오는 잔유가 잔유회수실(42)로 신속히 회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진동모터(54)의 구동축(55)에 형성된 탈착프레임(56)의 결합공(57,57')은 상하 장공으로 형성하고 상부를 개구 형성하여 진동틀(51)의 걸이구(53,53')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진동모터(54)의 진동으로 진동틀(51)의 걸이구(53,53')가 탈착프레임(56)의 결합공(57,5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 진동으로 폐오일필터(F)를 흔들어 내부 잔유를 털어내어 회수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진동모터(54)는 1차압축실(21) 일측(측면이나 후방측)에 진동모터(54)를 설치하고 진동모터(54)의 구동축(55)을 1차압축실(21)내로 돌출시켜 탈착프레임(56)을 형성하고 여기에 진동틀(51)의 걸이구(53,53')을 탈착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잔유회수기(5)는 진동틀(51)의 포켓(52,52') 내로 수개의 폐오일필터(F)를 내입한다. 이때 폐오일필터(F)는 오일구멍이 아래를 향하도록 뒤집어놓고 폐오일필터(F)의 잔유가 진동틀(51) 바닥의 망체(51a)를 통해 흘러내리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진동틀(51)내로 폐오일필터(F)가 내입되면 진동모터(54)를 구동하여 진동을 가하고 진동틀(51)의 진동으로 폐오일필터(F)가 흔들리면서 내부 잔유에 강제로 유동성을 부여되어 잔유가 신속하게 흘러나오게 된다.
상기 진동모터(54)에는 타이머를 연결하여 폐오일필터(F)의 수량과 잔유의 잔량에 따른 시간조절을 통해 폐오일필터(F) 내 잔유량을 5% 이내로 회수할 수 있게 한다.(잔유량이 5%이상 함유한 것은 지정 폐기물로 간주된다.)
상기 진동틀(51)의 걸이구(53,23')는 진동모터(53)의 탈착프레임(56)에 탈착 하여 폐오일필터(F)의 잔유회수작업시에만 구동시킴으로써 잔유를 회수하고 잔유회수작업이 완료되면 분리하여 1차압축실(21)로부터 폐오일필터(F)의 압축작업에 방해되지 않게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의 잔유회수와 압축작업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1차압축실(21)에 설치된 탈착프레임(56)의 결합공(57,57')에 진동틀(51)의 걸이구(53,53')를 결합하여 잔유회수기(5)를 준비한 상태에서 폐오일필터(F)가 수거되는 대로 진동틀(51)의 포켓(52,52')에 개별로 넣어 자연적으로 잔유가 흘러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폐오일필터(F)가 진동틀(51)에 모두 채워지면 진동모터(54)를 구동하여 진동틀(51)을 강제로 상하로 흔들어 폐오일필터(F)로부터 잔유를 강제로 회수한다. 잔유회수시간은 잔유 량이나 폐오일필터(F)의 수량 등에 따라 타이머 등으로 적절히 조정한다.
상기한 잔유회수작업이 완료되면 진동틀(51)을 탈착프레임(56)으로부터 분리하고 1차압축실(21)의 스크린(4) 위로 잔유회수작업을 완료한 폐오일필터(F)를 올려놓고 1차압축작업을 수행하며 1차압축작업이 완료되면 옆 2차압축실(22)로 바로 옮겨서 1차압축된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2차 압축한다.
즉, 잔유회수작업을 마친 1차압축실(21)은 진동틀(51)을 분리해 내고 잔유회수가 이루어진 폐오일필터(F)를 스크린(4) 위에 올려놓고 압축실린더(1)로서 1차압축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2차압축실(22)은 1차압축실(21) 바로 이웃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1차압축실(21)에서 압축시킨 폐오일필터압축물(F1)은 바로 2차압축실(22)로 이동시켜 2차 압축작업한다.
상기 1차압축실(21)에서는 압축과정전에 잔유회수기(5)에 의해 잔유회수가 이루어지고 또 1차압축과정에서 외압을 받은 페오일필터(F)가 압축되면서 잔유가 압착되어 추가로 잔유회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1차압축된 폐오일필터압축물(F1)은 2차압축실(22)에서 2차압축과정에서 더욱 소부피로 압축되면서 역시 내부 잔유가 압착되어 또 다시 추가로 잔유가 회수된다.
상기 잔유회수과정과 1차,2차에 걸친 압축과정에서 스크린(4)을 통해 잔유회수실(42)에 모인 잔유는 이송펌프(61)로 저장탱크(6)로 이송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폐오일필터(F)내의 잔유는 잔유회수기(5)에 의한 폐오일필터(F)의 요동으로 잔유의 흘러내림이 강제로 촉진, 유도되고 보다 신속하게 그리고 잔량이 최소화된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잔유가 어느 정도 회수된 상태(잔유를 5%이상 함유한 것은 지정 폐기물로 간주되므로 잔류오일량을 5% 이내로 회수한 상태)에서 다시 1차,2차압축과정을 통해 나머지 잔유 역시 추가 회수됨으로써 잔유의 회수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하나의 압축실(7)만을 구성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압축실(7)은 전술한 예와 동일하게 하부의 스크린(4a)을 통해 잔유회수실(42a)로 잔유를 회수할 수 있게 하여 저장탱크(6)로 잔유를 회수,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축실(7)에도 역시 전술한 잔유회수기(5)를 설치하여 잔유를 회수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잔유회수기(5)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설명은 반복되므로 압축실(7)의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키로 한다.
상기 압축실(7)에는 압축실린더(1a)에 연동하는 압축판(11a)을 설치하여 내부의 폐오일필터(F)를 압축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압축실(7)에는 폐오일필터(F)를 수거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폐오일필터압축물을 인출한 후 다음 폐오일필터(F)의 압축작업을 수행하여 압축작업한 여러개의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압축실(7)에 넣고 2차압축하여 압축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폐오일필터(F)를 2차례에 걸쳐 압축하여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고 잔유회수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압축실(7)은 하나의 압축실(7)로 폐오일필터(F)의 압축작업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수거하고 다음의 폐오일필터(F) 압축작업 이후 폐오일필터압축물(F1)을 모아서 한번에 다시 압축실(7)에서 압축작업해야 하는 다소의 번거로움은 있으나 여러 차례의 압축과정을 통해 압축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1':압축실린더 11,11':압축판
2:압축실 21:1차압축실
22:2차압축실 3:개폐문
4:스크린 41,41':배출공
42:잔유회수실 5:잔유회수기
51:진동틀 52,52':포켓
53,53':걸이구 54:진동모터
55:구동축 56:탈착프레임
57,57':결합공 6:저장탱크

Claims (3)

  1. 배출공이 형성된 스크린이 구비되어 폐오일필터로부터 흘러나오는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실이 형성된 압축실과;
    잔유회수작업시에는 압축실에 결합하고 압축작업시에는 압축실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실에 탈착 결합할 수 있게 되어 폐오일필터에서 잔유를 회수하는 잔유회수기와;
    상기 압축실에는 압축실린더에 연동되어 스크린 위에 올려진 폐오일필터를 압축하는 압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필터 압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실은 1차, 2차 압축실로 나란히 분할형성하고, 상기 1차압축실에는 잔유회수기를 탈착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필터 압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잔유회수기는;
    폐오일필터를 수납하는 포켓이 형성되고 하부에 망체가 결합된 진동틀과;
    상기 진동틀이 탈착결합되는 진동모터의 구동축에 형성된 탈착프레임과;
    상기 구동축의 탈착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탈착결합되는 진동틀의 걸이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오일필터 압축기.
KR2020130002634U 2013-04-09 2013-04-09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KR2014000537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34U KR20140005372U (ko) 2013-04-09 2013-04-09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634U KR20140005372U (ko) 2013-04-09 2013-04-09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72U true KR20140005372U (ko) 2014-10-17

Family

ID=52451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634U KR20140005372U (ko) 2013-04-09 2013-04-09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372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21Y1 (ko) 2017-12-13 2018-04-18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쓰레기압축기의 도어 안전장치
CN110330142A (zh) * 2019-07-11 2019-10-15 哈尔滨学院 一种自动化环保垃圾处理设备
CN110383322A (zh) * 2017-03-10 2019-10-25 洋马株式会社 产量信息显示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83322A (zh) * 2017-03-10 2019-10-25 洋马株式会社 产量信息显示系统
CN110383322B (zh) * 2017-03-10 2023-08-22 洋马动力科技有限公司 产量信息显示系统
KR200486221Y1 (ko) 2017-12-13 2018-04-18 주식회사 제이텍 선박용 쓰레기압축기의 도어 안전장치
CN110330142A (zh) * 2019-07-11 2019-10-15 哈尔滨学院 一种自动化环保垃圾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6596B (zh) 一种用于家庭垃圾的高效污水处理装置
CN214390497U (zh) 一种餐厨垃圾分离机
CN111450933A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KR20140005372U (ko) 폐오일필터의 압축기
CN210993414U (zh) 一种工业固体废弃物回收处理装置
CN109304332B (zh) 一种废料收集装置
CN211486713U (zh) 一种垃圾处理用固液分离装置
CN218188412U (zh) 一种含废油拆解部件用收集装置
CN114849836A (zh) 一种电池带电破碎工艺及装置
CN211611868U (zh) 一种抛光液过滤循环处理装置
CN209716028U (zh) 一种方便回收再利用的垃圾处理装置
CN211635549U (zh) 一种混凝土生产废料回收装置
CN111804412A (zh) 一种环保用废旧电池回收处理装置
CN217702601U (zh) 一种机械加工用废料处理装置
CN215963993U (zh) 一种总承包项目管理用废弃文件粉碎装置
CN217698302U (zh) 一种垃圾渗滤液处理装置
CN211988818U (zh) 一种建筑工地废料收集处理用新型装置
CN212246268U (zh) 含研磨屑污水处理装置
CN215665207U (zh) 一种应用于乡村振兴的可拆卸式垃圾处理设备
CN213349076U (zh) 一种用于铸件废料回收装置
CN220613203U (zh) 一种数控机床的废屑回收机构
CN219883025U (zh) 一种控制器模块废料处理装置
CN214972203U (zh) 化工废料高效处理装置
CN217663694U (zh) 一种节能环保的废旧电池回收处理装置
CN217435088U (zh) 一种生活垃圾的压缩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