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89U - Plant cultiv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lant cultiv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89U
KR20140004989U KR2020130001722U KR20130001722U KR20140004989U KR 20140004989 U KR20140004989 U KR 20140004989U KR 2020130001722 U KR2020130001722 U KR 2020130001722U KR 20130001722 U KR20130001722 U KR 20130001722U KR 20140004989 U KR20140004989 U KR 2014000498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nting
plant cultivation
rotat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7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이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영 filed Critical 이재영
Priority to KR2020130001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989U/en
Publication of KR20140004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89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가 제공된다. 제공된 식물재배장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식재화분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회전축이 축연결되는 연결구가 중앙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를 중심으로 동심축으로 하여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구와 연결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이격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제2프레임의 연결대에 수평연결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연결구에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이 지지프레임의 타단이 고정되는 받침틀이 구비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재화분은 상기 거치대에 걸림고정되는 식재틀의 내부에 수용설치하되, 상기 식재틀은 배수와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대에 걸림되는 한 조의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은 전동모터가 적용되는 전동식 회전구동수단 또는 체인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스프로킷 휠 및 이 스프로킷 휠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패들체를 포함하는 수동식 회전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A plant cultivation device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is provided.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includes a rotatable fram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components installed in the rotatable frame. The rotatable frame has a connection port at the center of which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links arranged along an axis, and a plurality of supports radially installed on the link and the link, A support fram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support fram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fixed, And a fixing table for supporting the two frames,
The plan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and a pair of catches for catching with the cradle, wherein the planting frame is installed in the planting frame to be fastened to the cradle, Is connected to any one of an electric rotary drive means to which an electric motor is applied or a manual rotary drive means including a sprocket wheel that is power-connected by a chain and a paddle which is manually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 to generate rotational power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Description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PLANT CULTIVATING APPARATUS}{PLANT CULTIV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시의 다양한 실외공간에서 도시농업을 수행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configured to perform urban farming in various outdoor spaces of a city.

일반적으로, 도시생활에서는 실내에서 관상용으로 화초나 섭취용의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 화분이나 화단을 창가나 베란다 및 옥상 등에 설치하여 식물을 재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내식물재배는 여가생활이나 취미로 행해지고 있으며, 또 다르게는 어린아이들의 교육자료로도 활용되고 있다.Generally, in urban life, plants are planted by planting potted plants or flower beds on windows, verandas, and rooftops to cultivate plants for gardening or ingestion for indoor ornamental purposes. This kind of indoor plant cultivation is performed as a leisure activity or a hobby, and is also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for young children.

하지만, 화분이나 간단히 설치되는 화단은 재배를 위한 충분한 영양분을 포함하지 못해 물과 함께 별도의 영양액이나 비료를 주기적으로 공급해야되고, 특히 물은 하측으로 일부가 배출됨에 따라 배수 또는 저수시설이 동반되어 일정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가에 별도의 걸이 또는 지지장치를 설치하여 건물 외측에서 식물을 재배하고 있지만, 진동과 강풍 등에 의해 화분이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공급된 물이 별도의 저수시설이 없이 낙하됨However, pollen or a simple flowerbed does not contain sufficient nutrients for cultivation. Therefore, a separate nutrient or fertilizer must be supplied with the water periodically. Particularly, since water is partially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drainage or water storage is accompanied There is a problem that a certain space is us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separate hook or support device is installed at the window to grow plants outside the building. However, due to vibration and strong wind, the pollen falls downward or the supplied water falls without a separate water storage facility

에 따라 2차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 is a problem that secondary safety accidents can be cau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한 실내에서의 식물재배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시농업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때의 도시농업이란 도시의 다양한 공간을 활용한 농사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시농업은 농업이 갖는 생물다양성 보전, 기후조절, 대기정화, 토양보전, 공동체문화, 정서함양, 여가지원, 교육, 복지 등의 다원적 가치를 도시에서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도시농업은 도시의 생태계 순환구조의 회복과 지역공동체형성, 로컬푸드, 개인의 식생활건강 뿐 아니라 농업에 대한 도시민들의 인식을 전환시키는 등의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앞으로도 지속적이고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도시민들이 접근할 수 있는 농사행위는 주말농장에 국한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고, 이러한 주말농장을 이용한 농사행위를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농기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도시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어서 상대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도시농업이 대안이 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urban agriculture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plant cultivation in the indoor environment. The urban agriculture at this time can be defined as a farming activity utilizing various spaces of the city. Such urban agriculture is known to be able to realize the pluralistic value of agriculture such as biodiversity conservation, climate control, air purification, soil conservation, community culture, emotional support, leisure support, education and welfare. Especially, urban agriculture has many advantages such as restoration of urban ecosystem circulation structure, regional community formation, local food, dietary health of the individual, as well as turning the perception of agriculture into agriculture. It is expected to be good. In particular, farming activities accessible to urban residents are limited to weekend farms. In order to perform agricultural activities using these weekend farms, various types of farm machinery are indispensable, so urban people can not easily access them, Urban agriculture is becoming an alternative.

하지만, 지금까지 제안된 식물재배장치는 실내에서 식물을 재배하기 적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서 도시농업, 즉 도시의 비교적 좁은 실외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proposed so far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suitable for use in urban agriculture, that is, in a relatively narrow outdoor space of a city, because it is constructed in a structure suitable for indoor plant cultivation.

기존 실내식물장치의 일례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 2012-79352호(2012년 07월 12일 공개)인 '창문용 식물재배유닛'을 들 수 있는데, 상기의 특허청 공개특허 2012-79352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과 강풍 등에 의해 화분이 하측으로 낙하하거나 공급된 물이 별도의 저수시설이 없이 낙하됨에 따라 2차적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한다.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ndoor plant apparatus is a "plant cultivation unit for windows" which is a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12-79352 (published on July 12, 2012).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2-7935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llen falls downward due to vibration and strong wind, or the supplied water drops without a separate water storage facility, thereby causing secondary safety accidents.

또 다른 일례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 2011-8052호(2011년 08월 17일 공개)로서 '회전식 채소 재배화분'이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 2011-8052호는 좁은 실내공간에서 충분한 일조량을 제공하면서 넓은 경작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회전판의 사이에 90도 등각으로 길이가 긴 화분(4개)을 회동가능하게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As another example, "Rotary Vegetable Cultivated Flowerpot" has been proposed as a practical utility model 2011-8052 (published on August 17, 2011). In order to provide a sufficient amount of sunshine in a narrow indoor space and to provide a large cultivated area, such a utility model new invention 2011-8052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KIPO) discloses that a long pot (four) As shown in Fig.

하지만,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 2011-8052호는 사용장소가 실내에만 국한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실외에서 수행되는 도시농업에 적합치 못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의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실용신안 2011-8052호는회전판을 수작업에 의해 회동시켜야함에 따라 작동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고,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공급을 수작업에 의해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However, the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Utility Model No. 2011-8052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 place is limited only to the interior, which is not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performed outside the house. In addition, the Korean Utility Model Patent Application No. 2011-8052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that the rotating plate must be manually rotated so that it is troublesome to operate, and it is troublesome to manually supply water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plants.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실내 식물재배장치들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함과 아울러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general problems of conventional indoor plant cultivation apparatuses and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시의 다양한 실외공간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which is suitable for various outdoor spaces of a city and can grow plants such as vegetables.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경작면적을 넓히기 위해 다수의 식재화분을 회전프레임에 배열하는 종래의 방식을 적용하되, 식재화분을 복수열로 배열하여 경작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onventional method of arranging a large number of planting pots in a rotating frame in order to enlarge the cultivation area, and it is suitable for urban farming in which the planting area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to maximize the cultivation area And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별도의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프레임을 회전시킴으로써 기존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which can solve the existing inconvenience by rotating a rotating frame by a separate rotation driving means.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 또는 약액을 식재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식물을 보다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도시공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the urban industry, in which the plant can be cultivated more conveniently by intermittently supplying water or chemical liquid necessary for plant vegetation to planted plants .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Specific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lude: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식재화분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A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ingredients provided in the rotating frame,

상기 회전프레임은 회전축이 축연결되는 연결구가 중앙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를 중심으로 동심축으로 하여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구와 연결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이격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제2프레임의 연결대에 수평연결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연결구에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이 지지프레임의 타단이 고정되는 받침틀이 구비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Wherein the rotary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fram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about the connecting rod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stalled radially to the connecting rods, A plurality of cradle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link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And a support table having a support frame and a support fram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fixed, the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상기 식재화분은 상기 거치대에 걸림고정되는 식재틀의 내부에 수용설치하되, 상기 식재틀은 배수와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대에 걸림되는 한 조의 걸림구가 구비되고,Wherein the plan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and a pair of catches which are hooked to the cradle,

상기 회전축은 전동모터가 적용되는 전동식 회전구동수단 또는 체인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스프로킷 휠 및 이 스프로킷 휠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패들체를 포함하는 수동식 회전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구비한다.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any one of an electric rotary drive means to which an electric motor is applied or a manual rotary drive means including a sprocket wheel that is power-connected by a chain and a paddle body that is manually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 And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고정대의 받침틀에는 상기 식재화분에 공급하기 위한 물 또는 약액이 충진됨과 아울러 충진된 물 또는 약액을 식재화분에 강제공급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설치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pport frame of the fixing table may be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for supplying water or a chemical solution for supplying the planting powder and for forcibly supplying the water or the chemical solution to the planting solution.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을 연장구성하여 복수개를 설치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ng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shafts extending therefrom.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태양광이 투과되는 투명필름으로 된 커버체를 설치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a cover body made of a transparent film through which sunlight is transmitted may be provided in the rotating frame.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상기 회전프레임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거치대는 복수열로써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배열설치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radle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f the rotary frame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 plurality of rows.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는 도시의 다양한 실외공간에 적합하게 설치하여 채소 등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한 것으로, 보다 많은 갯수의 식재화분을 회전프레임에 설치하여 경작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전동식/수동식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프레임을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 또는 약액을 식재화분에 식재된 재배식물에 간헐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재배식물을 보다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nt capable of cultivating plants such as vegetables by being installed in various outdoor spaces of the city, and a larger number of planting pots are installed on the rotary fram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cultivated area and to turn off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y rotating the rotary frame by the electric / manual rotary drive means, and to prevent the moisture or chemical liquid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the plant from intermittently The cultivated plant can be cultivated more convenient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 식재화분 및 식재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 식재틀에 식재화분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의 다른 동력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 회전프레임에 커버체가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 회전프레임에 지지대가 복수열로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에 있어, 식재틀 및 식재화분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planting pot and a planting frame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where planting pots are installed in a planting frame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state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power connection state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cover body is installed in a rotating frame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frame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in a rotating frame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a planting frame and a planting pot in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되,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는 도시농업용도, 즉 도시의 다양한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도시농업용도로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며, 재배할 수 있는 식물은 식용 채소는 물론이고 관상용 화초도 재배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urban agricultural use, that is, for urban agricultural roads installed in various outdoor spaces of a city, It is noted that plants that are suitable and that can be cultivated can grow not only edible vegetables but also ornamental plants.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1)는 회전프레임(2)과, 식재화분(3)과, 식재틀(4) 및 회전구동수단(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ating frame 2, a planting pot 3, a planting frame 4, and rotary driving means 5, 6.

상기 회전프레임(2)은 회전축(27)과, 제1프레임(21) 및 제2프레임(22)과, 거치대(25)와, 고정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rotating frame 2 includes a rotating shaft 27, a first frame 21 and a second frame 22, a cradle 25, and a fixing table 26.

이때, 상기 제1프레임(21) 및 제2프레임(22)은 상기 회전축(27)이 축연결되는 연결구(211,221), 예컨대 축결합구의 양단에 플랜지가 설치된 통상적인 구조의 연결구(원활한 회전을 위해 베어링이 설치됨(도면에는 미 도시됨.))가 중앙에 마련되고, 이 연결구(211,221)를 동심축으로 하여 배열되는 다수개의 연결대(23) 및 상기 연결구(211,221)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각 연결대(211,221)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1프레임(21) 및 제2프레임(22)을 구성하는 연결대(23)와 지지대(24)는 금속재 원형봉을 구성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are connected to the coupling holes 211 and 221 to which the rotary shaft 27 is connected by a shaft, for example, a connecting structure having a flange at both ends of the shaft coupling hole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3 are arranged at concentric centers of the connecting rods 211 and 221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3 and 24 are arranged around the connecting rods 211 and 221, 211,221). ≪ / RTI >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rods 23 and the supporting rods 24 constituting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are made of a metallic round bar.

또한, 상기 거치대(2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조로 된 제1프레임(21)과 제2프레임(22)의 연결대(23)에 다수개가 수평연결된다. 이와 같은 거치대(25)는 상기 제1프레임(21)과 제2프레임(22)을 소정간격을 두고 연결하여 상기 제1프레임(21)과 제2프레임(22)의 사이에 상기한 식재틀(4)의 설치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거치대(25)는 적어도 식재틀(4)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조적인 안정을 위해 상기 제1,제2프레임(21,22)을 구성하는 다수의 연결대(23)에 있어서 내측에 위치한 연결대, 즉 상기 연결구(211,221)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연결대(23)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the cradles 25 are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frame 23 between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 25 connects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connects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to the planting frame 4).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dle 25 is at least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planting frame 4, and in order to stabilize the structure,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21, 22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 23, that is, a connecting rod 23 located near the connecting ports 211,

한편, 상기 고정대(26)는 상기 제1프레임(21) 및 제2프레임(22)의 연결구(211,221)에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61) 및 이 지지프레임(261)의 타단이 고정되는 받침틀(2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받침틀(262)은 상부가 개방되는 사각틀형태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받침틀(262)에는 상기 식재화분(3)에 공급하기 위한 물 또는 약액(263 : 식물의 식생에 이로운 비료 또는 거름을 물에 희석하여 생성됨.)이 충진되거나, 또 다르게 충진된 물 또는 약액(263)을 식재화분(3)에 강제공급하기 위한 분사노즐(264), 예컨대 별도의 펌프(도면에 미 도시됨.)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틀(262)에 충진되어 있는 물 또는 약액(263)을 간헐적으로 식재화분(3)에 공급하는 분사노즐(264)이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받침틀(262)은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투명창을 추가로 설치하여 작은 연못용도 또는 어항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fixing frame 26 includes a support frame 26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s 211 and 221 of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and a support frame 261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261, (262). At this time, the support frame 26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frame in which an upper part is opened. In the support frame 262, water or a chemical solution for supplying the planting powder 3 (263: (Not shown) for feeding the water or the chemical solution 263, which is filled or otherwise packed, to the planting material 3 in a separate pump (not shown) And an injection nozzle 264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262 for intermittently supplying water or chemical liquid 263 filled in the support frame 262 to the planting material 3 is provided. In addition, although the support frame 262 is not shown in the drawing, a transparent window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small pond or a fishing port.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회전프레임(2)은 상기 제1,제2프레임(21,22)이 상기 거치대(25)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대(26)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지니며, 각 프레임(21,22)의 연결구(211,221)에 축연결된 회전축(27)에 의해 회전작동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tating frame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 and 22 are supported by the fixing table 26 while being connected by the mounting table 25 And is rotationally operated by a rotary shaft 27 connected to the connectors 211 and 221 of the frames 21 and 22, respectively.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식재화분(3)은 사각틀형태로 구성되며 측면 및 저면(도면에 미도시됨.)에 배수공(31)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식재화분(3)에 채워져 재배식물(33)이 식재되는 식생토(32)는 하수오니(슬러지) 또는 음식물퇴비를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A and 2B, the planting material 3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drainage holes 31 are provided in side and bottom surfaces (not shown).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sewage sludge or food compost in the vegetated soil 32 filled with the planting material 3 and cultivated by the cultivation plant 33.

이때, 상기 식재화분(3)은 상기 거치대(25)에 걸림고정되는 식재틀(4)의 내부에 수용설치되는데, 이때의 식재틀(4)은 배수와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41)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대(25)에 걸림되는 한 조의 걸림구(42), 예컨대 끝단에 걸고리(421)가 마련되어 상기 지지대(24)에 걸림고정되는 한조의 걸림구(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식재화분(3)은 상기 식재틀(4)에 원활하게 수용하거나 식재틀(4)에서 원활히 빼내기 위한 손잡이(3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식재틀(4)의 전면에는 식재화분(3)에 식재된 식물의 정보를 표시한 교육용 식물표시판(4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식재화분(3)이 수용된 식재틀(4)은 도 1에서와 같이 8개가 설치되는 상기 거치대(25)에 설치됨에 따라서 그만큼 많은 경작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nting material 3 is accommodated and installed in the planting frame 4 which is fixed to the platform 25. The planting frame 4 at this time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And a pair of hooks 42 that are hooked to the support base 24 by hooking the hooks 421 at the ends of the hooks 42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handle 34 for smoothly receiving the planting material 3 in the planting frame 4 or for smoothly taking it out from the planting frame 4.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ant display panel 43 displaying information on plants planted in the planting pot 3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lanting frame 4.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lanting frame 4 in which the planting material 3 is accommodated is installed in the cage 25 on which the eight planting frames 25 are installed, as shown in Fig.

도 1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구동수단(5,6)은 전동식과 수동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전동식 회전동력수단(5)은 전동모터, 예컨대 저속회전을 위한 감속기를 포함하는 전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동식 회전동력수단(6)은 체인(61)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스프로킷 휠(62), 즉 상기 회전축(27)상에 결합되는 스프로킷 휠 및 이 스프로킷 휠에 체인연결되는 또 다른 스프로킷 휠과, 상기 회전축(27)에 결합된 스프로킷 휠에 체인연결된 스프로킷 휠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패들체(63)를 포함하는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수동식 회전구동수단(6)은 자전거의 회전동력구조를 적용한 것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안장 및 손잡이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or FIG. 3, the rotation driving means 5 and 6 can be classified into an electric type and a manual type. The electric rotary power unit 5 may be an electric motor, for example, an electric motor including a speed reducer for low-speed rotation. The manual rotary power unit 6 also includes a sprocket wheel 62 that is power-connected by a chain 61, that is, a sprocket wheel that is coupled to the rotary shaft 27 and another sprocket wheel that is chain-connected to the sprocket wheel, And a paddle body 63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 chained to the sprocket wheel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27 to manually generate rotational force. In other words, the manual rotation driving means 6 may include a saddle and a handle for easily generating a rotational power by applying the rotational power structure of the bicycle.

한편,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1)는 상기 회전축(27)을 연장구성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회전프레임(2)을 회전축에 설치할 수 있고, 도 4에서와 같이 두개의 식물재배장치(1)의 회전축(27)을 상기와 같은 체인-스프로킷 휠 연결구조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고안에서는 식재화분(3)을 포함한 식재틀(4)이 설치되는 회전프레임(2)을 회전축(27)에 복수개 설치하거나, 2개 이상의 식물재배장치(1)를 동력연결하여 운용할 수 있어서, 도시의 좁은 공간에서도 최대한의 경작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rotation axis 27 to provide a plurality of rotation frames 2 on the rotation axis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4, The rotating shaft 27 of the sprocket wheel 1 may be connected to the chain sprocket wheel connect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otary frames 2 on which a planting frame 4 including the planting pot 3 is installed can be provided on the rotary shaft 27, or two or more plant cultivation devices 1 can be provided with power It is possible to connect and operate, so that the maximum cultivation area can be secured even in a narrow space of the city.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의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1)는 도시의 자투리 실외공간, 개인주택의 마당 및 옥상과 같은 자투리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도시농업에 적합하게 사용되는데, 회전프레임(2)의 거치대(25)에 식재화분(3)을 수용한 식재틀(4)을 걸림고정방식으로 설치한 상태로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다. 이때, 전동식 또는 수동식 회전동력수단(5,6)을 통해 저속으로 회전하는 회전축(27)에 의해 회전프레임(2)이 회전하면, 회전프레임(2)의 거치대(25)에 설치된 식재틀(4)은 거치대에(25) 메달린 형태로써 회전프레임(2)과 함께 회전하는데, 회전프레임(2)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식재틀(4)은 고정대(26)의 받침틀(262)에 충진된 물 또는 약액(263)에 식재틀(4)이 일부 담가지게 되므로 재배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된다. 또 다르게, 회전프레임(2)의 최하부에 위치하는 식재틀(4)에는 분사노즐(264)에 의해 물 또는 약액(263)을 분사방식으로 공급하여 재배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 및 영양분을 공급할 수 도 있는데, 이러한 작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분사노즐(264)의 분사시점을 결정하는 센서들(도면에 미 도시됨.)을 회전프레임(2) 또는 회전축(27)에 배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agai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oarse outdoor space such as an urban outdoors space, a private house yard, and a rooftop, and is suitably used in urban agriculture. (4) containing the planting pots (3) is installed in the holding platform (25) of the plant (2) in a fixing manner. At this time, when the rotary frame 2 is rotated by the rotary shaft 27 rotating at a low speed through the electric or manual rotary power means 5, 6, the planting frame 4 The planting frame 4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rotating frame 2 rotate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2 in a state where the water is filled in the receiving tray 262 of the fixing table 26, Or the chemical solution 263 is partially immersed in the planting mold 4, the moisture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the cultivated plant are supplied. Alternatively, water or a chemical liquid 263 may be supplied to the planting frame 4 located at the lowermost part of the rotary frame 2 by the injection nozzle 264 in a spraying manner to supply water and nutrients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the cultivated plant Sensors (not shown) for determining the injection timing of a separate injection nozzle 264 may be disposed on the rotary frame 2 or the rotary shaft 27 in order to realize this operation.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는 거치대(25)의 갯수만큼 많은 갯수의 식재화분(3)을 설치할 수 있어서, 식물의 경작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고, 전동식 또는 수동식 회전구동수단(5,6)에 의해 회전프레임(2)을 편리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재배식물의 식생에 필요한 수분 또는 약액(263)을 식재화분(3)에 식재된 재배식물에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서 재배식물을 보다 편리하게 재배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large number of the planting pots 3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cradle 25, thereby maximizing the cultivation area of the plants, 5,6 can conveniently rotate the rotary frame 2 and intermittently supply the water or chemical liquid 263 necessary for the vegetation of the cultivated plant to the cultivated plant in the planting 3, Can be cultivated more conveniently.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서는 회전프레임(2)에 태양광이 투과되는 투명필름, 예컨대 비닐하우스용 투명필름으로 된 커버체(7)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버체(7)는 회전프레임(2)의 외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온실효과 또는 비바람으로 부터 재배식물을 보호하는 효과를 얻고자 한 것인데, 제1프레임(21)과 제2프레임(22)의 사이공간에는 도 5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식 커버(71), 예컨대 투명필름이 설치되고 일단이 각 프레임의 연결대에 힌지결합됨과 아울러 고정고리가 마련된 여닫이식 커버(71)를 다수개 설치할 수 있고,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21,22)의 측면은 일부 공간을 배제한 상태로 커버체(7)를 설치함으로써 통기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1프레임(21)과 제2프레임(22)의 측면에 설치된 커버체(7)에는 전술한 분사노즐(264)에 의해 물 또는 약액(263)을 공급하기 위한 분사공(72)을 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5,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ver 7 made of a transparent film, for example, a transparent film for a vinyl house, through which sun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rotating frame 2 is provided. The cover body 7 is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frame 2 so as to obtain the effect of protecting the cultivated plant from the greenhouse effect or wind and rain.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5, a hinged cover 71, for example, a transparent film is provided in the space between the frames 22, and a hinged cover 71 having one end hinged to a linkage of each frame, And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 and 22 are provided with the cover body 7 in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 and 22 is excluded. A spray hole 72 for supplying the water or the chemical liquid 263 by the spray nozzle 264 is provided in the cover body 7 provid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rame 21 and the second frame 22 It is preferable to drill.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식물재배장치(1)는 회전프레임(2)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21,22)을 연결하는 거치대(25,25')를 복수열로써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21,22)에 배열설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고안에서는 거치대(25,25')를 회전프레임(2)에 수평설치함에 있어, 복수열로써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21,22)에 배열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복수열로 배치되는 거치대(25,25')는 지그재그형태, 예컨대 걸림되는 식재틀(4)이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그재그형태로 배열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복수열로 거치대(25,25')를 배치하기 위해 제1,제2프레임(21,22)에는 연결대(23')가 더 설치된다.6,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ows 25, 25 'for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21, 22 of the rotary frame 2, Can be arranged in the frame and the second frame (21, 22). 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radles 25 and 25 'are horizontally installed on the rotary frame 2, the cradles 25 and 25' can be arrang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s 21 and 22 in a plurality of row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radles 25 and 25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for example, in a zigzag form so as to minimize mutual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rrange the cradles 25 and 25 'in a plurality of rows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ng frame 23' is further provided on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1 and 22.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거치대(25,25')를 복수열로 설치한 식물재배장치(1)는 식재틀(4)을 2배의 갯수로 설치할 수 있어서 그만큼 단위면적당 경작면적을 확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in which the cage bases 25 and 25 'ar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rows as described above can be provided with the number of planting bases 4 twice, thereby increasing the cultivation area per unit area You can do it.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식물재배장치(1)는 식재틀(4')을 구성함에 있어서, 원형 용기형태의 식재화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형용기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에는 복수개의 식재틀(4')을 거치대(25)에 설치하여 보다 많은 경작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7, th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ircular container so as to accommodate the planting pots in the form of a circular container when constructing the planting frame 4 '. At this time, A plurality of planting frames 4 'may be installed in the cradle 25 to ensure a larger area of cultivation.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를 든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함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only illustrative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scope of the right of this invention is determined in principle by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1 : 식물재배장치 2 : 회전프레임
3 : 식재화분 4,4' : 식재틀
5 : 회전구동수단(전동식) 6 : 수동식 회전구동수단
7 : 커버체 21 : 제1프레임
22 : 제2프레임 23,23' : 연결대
24 : 지지대 25,25' : 거치대
26 : 고정대 27 : 회전축
31 : 배수공 32 : 식생토
33 : 재배식물 34 : 손잡이
41 : 관통공 42 : 걸림구
43 : 식물표시판 61 : 체인
62 : 스프로킷 휠 63 : 패들체
71 : 여닫이식 커버 72 : 분사공
211,221 : 연결구 261 : 지지프레임
262 : 받침틀 263 : 물 또는 약액
264 : 분사노즐 421 : 걸고리
1: plant cultivation device 2: rotating frame
3: Planting pot 4,4 ': Planting frame
5: rotation drive means (electric type) 6: manual rotation drive means
7: cover body 21: first frame
22: second frame 23, 23 ': connecting frame
24: Supports 25, 25 ': Cradle
26: fixed base 27: rotating shaft
31: drainage hole 32: vegetated soil
33: cultivated plant 34: handle
41: through hole 42:
43: vegetable sign 61: chain
62: sprocket wheel 63: paddle wheel
71: Opening cover 72:
211,221: Connector 261: Support frame
262: Receiver frame 263: Water or chemical liquid
264: injection nozzle 421:

Claims (5)

회전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의 식재화분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회전축이 축연결되는 연결구가 중앙에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구를 중심으로 동심축으로 하여 배열되는 다수의 연결대 및 상기 연결구와 연결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이격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제2프레임의 연결대에 수평연결되는 다수의 거치대와,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의 연결구에 일단이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및 이 지지프레임의 타단이 고정되는 받침틀이 구비되어 상기 제1,제2프레임을 지지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재화분은 상기 거치대에 걸림고정되는 식재틀의 내부에 수용설치하되, 상기 식재틀은 배수와 통풍을 위한 다수의 관통공이 마련됨과 아울러 상기 거치대에 걸림되는 한 조의 걸림구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은 전동모터가 적용되는 전동식 회전구동수단 또는 체인에 의해 동력연결되는 스프로킷 휠 및 이 스프로킷 휠에 결합되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패들체를 포함하는 수동식 회전구동수단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A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mprising a rotating frame and a plurality of planting ingredients provided in the rotating frame,
Wherein the rotary frame includes a first frame includ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frame,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being arranged concentrically about the connecting rods,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rods installed radially to the connecting rods, A plurality of cradles horizontally connected to the link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to connect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spaced relation to each other; And a support table having a support frame and a support frame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frame is fixed, the support frame support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Wherein the plan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 drainage and ventilation and a pair of catches which are hooked to the cradle,
The rotary shaft is connected to any one of an electric rotary drive means to which an electric motor is applied or a manual rotary drive means including a sprocket wheel that is power-connected by a chain and a paddle body that is manually coupled to the sprocket wheel, A plant cultivation apparatus suitable for urban agriculture characterized by receiving pow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의 받침틀에는 상기 식재화분에 공급하기 위한 물 또는 약액이 충진됨과 아울러 충진된 물 또는 약액을 식재화분에 강제공급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of the fixing table is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for supplying water or a chemical solution for supplying the planting powder and for forcibly supplying the water or the chemical solution to the planting pow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회전축을 연장구성하여 복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tating fram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axes extending therefrom.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태양광이 투과되는 투명필름으로 된 커버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a cover body made of a transparent film through which sunlight is transmitted is installed in the rotating frame.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의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연결하는 거치대는 복수열로써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배열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시농업에 적합한 식물재배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cradle connect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of the rotating frame is arranged in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in a plurality of rows.
KR2020130001722U 2013-03-07 2013-03-07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14000498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722U KR20140004989U (en) 2013-03-07 2013-03-07 Plant cultiv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722U KR20140004989U (en) 2013-03-07 2013-03-07 Plant cultiv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89U true KR20140004989U (en) 2014-09-17

Family

ID=5245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722U KR20140004989U (en) 2013-03-07 2013-03-07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989U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600B1 (en)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Rotating Plant Cultivation Device
CN107258362A (en) * 2017-06-09 2017-10-20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Plant growing machine
CN107278701A (en) * 2017-06-09 2017-10-24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It is standby that plant supports implanting
CN110122115A (en) * 2019-06-26 2019-08-16 浙江大学城市学院 Balcony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system
KR20210121967A (en)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rotating crop cultivation chamb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600B1 (en) * 2016-04-15 2016-09-02 신호특장공업(주) Rotating Plant Cultivation Device
CN107258362A (en) * 2017-06-09 2017-10-20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Plant growing machine
CN107278701A (en) * 2017-06-09 2017-10-24 合肥市川丘生态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It is standby that plant supports implanting
CN110122115A (en) * 2019-06-26 2019-08-16 浙江大学城市学院 Balcony fish and vegetable symbiotic system
KR20210121967A (en) *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디이엔티 Tray rotating crop cultivation chamb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20947Y2 (en)
US9532517B2 (en) Hydroponic plant kit
US9572306B2 (en) Planting box device
US11672215B2 (en)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JP2019524145A (en) Modular farm with carousel system
US20160143234A1 (en) Tubular greening unit
US10729080B2 (en) Vertical aeroponic growing apparatus
KR20120000634U (en) Closed vegetable plant production system for home use
US20190104697A1 (en) Modular electronic vase with automated, digital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ed for aeroponic growth of plants in inner and outer environments
JP2012110285A (en) Plant cultivation device
KR20140004989U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CN205671055U (en) A kind of cultivation rack for plant
CN105875251A (en) Plant cultivation frame
KR20150080116A (en) The Cultivation system using Foggy spray
KR200338621Y1 (en) Apparatus of plant husbandry possible rotary automatic water
CN108770533A (en) Potting automatic breeding system
JPH05184215A (en) Multi-purpose plant cultivation and automatic liquid feeder of naturally dropping type
CN202819215U (en) Domestic vegetables-planting machine
KR1013256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hydroponics of vegetables
BR102016007035B1 (en) MODULAR ELECTRO-ELECTRONIC VASE WITH AUTOMATED CONTROL AND DIGITAL MONITORING SYSTEM USED FOR AERO PLANTS IN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RU126892U1 (en) MODULAR ELEMENTS OF HYDROPONIC INSTALLATION OF MIXED TYPE FOR CREATION OF VERTICAL GARDENS AND VERTICAL GARDENS
JP2014045669A (en) Hydroponic device
CN204518762U (en) Ring type water fog cultivating device assembly
JP3180253U (en) Hydroponic cultivation equipment using styrofoam plates with through holes that can be closed
JP2012095636A (en) Plant grow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