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86U -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86U
KR20140004986U KR2020130001715U KR20130001715U KR20140004986U KR 20140004986 U KR20140004986 U KR 20140004986U KR 2020130001715 U KR2020130001715 U KR 2020130001715U KR 20130001715 U KR20130001715 U KR 20130001715U KR 20140004986 U KR20140004986 U KR 201400049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lug
connecting rod
support frame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7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4951Y1 (ko
Inventor
박지성
이동천
권태경
정연광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17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951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9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9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7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applying a load, e.g. for resistance or wea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14Type of force applied
    • G01N2203/0016Tensile or compressive
    • G01N2203/0017Tensi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42Pneumatic or hydraulic means
    • G01N2203/0048Hydraul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는, 일단부가 블록에 부착된 러그에 결합된 연결봉과, 내측에 러그를 수용하고 일 측이 블록을 지지하며, 타 측으로 연결봉이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지지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의 타 측에 결합되고, 연결봉이 중앙을 관통하여 상단부에 지지되는 중공형 실린더를 포함하며, 중공형 실린더는 상단부를 상승시켜 러그에 인장력을 가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lug load testing device}
본 고안은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레인이나 체인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러그의 하중을 테스트함으로써, 하중 테스트 시 발생하는 비용과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부와 같은 상부 구조물에는 펌프, 모터 및 밸브 등의 각종 장비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해 리프팅 러그(lifting lug)가 설치된다. 리프팅 러그는 사용 전 설계된 한계 지지하중에 대해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지 확인하는 하중 테스트를 거치게 된다. 선체의 블록을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크레인(crane)을 사용하여 하중 테스트를 수행하며, 블록이 조립된 후에는 체인블록(chain block)을 사용하여 하중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크레인을 사용하는 경우, 러그에 하중 측정장치를 연결한 후 크레인으로 하중 측정장치를 당겨 러그에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한다. 또한, 체인블록을 사용하는 경우, 러그에 체인블록과 하중 측정장치를 연결한 후 임시로 설치된 러그나 무게추를 이용하여 하중 측정장치를 당겨 하중을 측정한다.
그러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하중 테스트를 하는 경우, 충분한 공간과 작업시간 및 크레인 사용에 따른 기회비용이 소요되며, 작업자가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인블록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하는 경우, 임시 러그의 설치, 제거 및 도장작업 등의 추가적인 업무가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크레인이나 체인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러그의 하중을 테스트 함으로써, 하중 테스트 시 발생하는 비용과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는, 일단부가 블록에 부착된 러그에 결합된 연결봉과, 내측에 상기 러그를 수용하고 일 측이 상기 블록을 지지하며, 타 측으로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이 중앙을 관통하여 상단부에 지지되는 중공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실린더는 상기 상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러그에 인장력을 가한다.
상기 중공형 실린더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는 2중벽체 구조의 제1 실린더 및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2중벽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사이에 작동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어 상기 제2 실린더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중공형 실린더의 상단부는 상기 제2 실린더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중공형 실린더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부에 상기 러그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 실린더 형상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크레인이나 체인블록을 사용하지 않고 러그의 하중을 테스트함으로써, 하중 테스트 시 발생하는 비용과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과 중공형 실린더의 분리가 가능하여, 블록에 부착된 러그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지지프레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를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는 블록(100)에 부착되는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테스트하는 장치로서, 러그(110)의 외측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블록(100)은 러그(110)가 부착될 수 있는 부분을 통칭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천장부, 플레이트, 각종 장비의 상방에 위치하는 구조물 및 각종 장비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러그(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부재로, 일 측면이 블록(100)에 용접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러그(110)의 측면부에는 관통홀(111)이 형성되는데, 관통홀(111)에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를 연결하여 러그(110)의 하중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는 테스트 시 발생하는 비용과 작업시간을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과 중공형 실린더(30)의 분리가 가능하여 러그(11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지지프레임(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는 러그(110)에 결합되는 연결봉(10)과 러그(110)를 둘러싸는 지지프레임(20), 및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는 중공형 실린더(30)를 포함한다.
연결봉(10)은 블록(100)에 부착된 러그(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0)은 블록(10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 방향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봉(10)의 하단부에는 연결프레임(11)이 고정 결합된다.
연결프레임(11)은 연결봉(10)과 러그(1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만입되어 있어 러그(110)의 일 측면이 삽입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의 일 측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삽입홈(12)은 러그(110)의 일 측면이 삽입되는 홈으로, 연결프레임(11)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된다. 삽입홈(12)은 연결프레임(11)의 하단부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연결프레임(11)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연결프레임(11)의 측면부에는 결합홈(1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은 연결프레임(11)의 양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러그(110)에 형성된 관통홀(111)과 중첩되게 배치된다. 결합홈(13)의 내부에는 결합볼트(14)가 개재될 수 있다.
결합볼트(14)는 연결프레임(11)을 러그(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블록(100)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결합볼트(14)는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회전하여 연결프레임(11)에 나사결합한다. 삽입홈(12)에 러그(110)가 삽입되면, 결합볼트(14)는 결합홈(13)과 관통홀(111)을 통과하여 결합너트(15)와 결합된다. 결합볼트(14)와 결합너트(15)가 결합하면, 결합볼트(14)의 단부에 결합핀(16)을 끼울 수 있다. 결합핀(16)을 끼움으로써, 결합너트(15)가 결합볼트(14)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합볼트(14)가 결합홈(13)과 관통홀(111)을 통과하여 나사결합을 함으로써, 연결프레임(11)은 러그(110)에 고정된다.
한편, 러그(110)의 외측에는 지지프레임(20)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를 지지하는 것으로, 내측에 러그(110)를 수용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일 측이 블록(100)을 지지하고, 타 측으로 연결봉(10)이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지지프레임(20)은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일단부에 러그(110)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프레임(20)이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프레임(20)은 다각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러그(110)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필요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이 섬유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지지프레임(20)을 다양한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태의 지지판(21)과 결합되어, 블록(100)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프레임(20)의 타 측에는 중공형 실린더(30)가 결합된다.
중공형 실린더(30)는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20)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중공형 실린더(30)는 상단부를 상승시켜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하며, 연결봉(10)은 중공형 실린더(30)의 중앙을 관통하여 중공형 실린더(30)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중공형 실린더(30)는 제1 실린더(31)와 제2 실린더(32)를 포함한다.
제1 실린더(31)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부재로, 2중 벽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린더(31)는 중앙이 관통되어 연결봉(10)이 통과할 수 있다. 제1 실린더(31)는 일 측이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고, 타 측은 제2 실린더(32)가 내접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실린더(31)의 일 측은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어 밀폐되고, 타 측은 제2 실린더(32)가 내접하여 제1 실린더(31)의 길이 방향으로 연통되거나 중첩되도록 개방되는 구조이다.
제2 실린더(32)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의 부재로, 제1 실린더(31)의 2중 벽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제2 실린더(32)는 제1 실린더(3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더라도 제1 실린더(31)를 이탈할 수는 없다. 또한, 제2 실린더(32)는 제1 실린더(31)에 완전히 중첩되더라도 제1 실린더(31)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실린더(32)는 중앙이 관통되어 연결봉(10)이 통과할 수 있으며, 제2 실린더(32)의 상단부에는 연결봉(10)이 지지될 수 있다.
제2 실린더(32)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봉(10)의 타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너트(17)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너트(17)는 연결봉(10)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하는 것으로, 중공형 실린더(30)의 상단부에 지지될 수 있다. 고정너트(17)는 복수 개로 형성되어 연결봉(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단부가 러그(1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2 실린더(32)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봉(10)에 고정너트(17)를 결합함으로써,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는 러그(110)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제2 실린더(32)의 상단부와 고정너트(17) 사이에는 와셔(18)가 개재될 수 있다. 와셔(18)를 개재함으로써, 연결봉(10)과 고정너트(17) 사이의 결합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너트(17)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실린더(31)의 일 측에는 유체공급부(33)가 형성된다. 유체공급부(33)는 제1 실린더(31)와 제2 실린더(32) 사이에 작동유체를 유입 또는 유출하는 것으로, 제1 실린더(31)와 제2 실린더(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체공급부(33)에 의해 작동유체가 유입됨으로써, 제2 실린더(32)는 슬라이딩 이동하여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유체공급부(33) 상에는 유압측정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유압측정수단은 유체공급부(33)로부터 제1 실린더(31)의 내부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유압을 이용하여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도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유압과 중공형 실린더(30)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도출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유압과 중공형 실린더(30)의 단면적을 이용하여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도출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한계 지지하중을 도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의 동작에 관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1)는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하여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20)과 중공형 실린더(30)의 분리가 가능하여 러그(1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지지프레임(2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블록(100)에 결합된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해야 한다.
러그(110)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해, 유체공급부(33)를 개방한다. 유체공급부(33)가 개방되면, 제1 실린더(31)와 제2 실린더(32) 사이에는 작동유체가 유입된다. 작동유체의 유입에 의해 제2 실린더(32)는 제1 실린더(3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제2 실린더(32)가 슬라이딩 이동하면, 고정너트(17)에 의해 제2 실린더(32)에 지지된 연결봉(10)은 길이 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연결봉(10)과 고정결합된 연결프레임(11)은 러그(1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연결봉(10)이 당겨지면서 러그(110)에는 인장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 제1 실린더(31)와 제2 실린더(32) 사이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압을 측정하여 러그(110)의 한계 지지하중을 도출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러그(110)의 크기와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10: 연결봉 11: 연결프레임
12: 삽입홈 13: 결합홈
14: 결합볼트 15: 결합너트
16: 결합핀 17: 고정너트
18: 와셔 20: 지지프레임
21: 지지판 30: 중공형 실린더
31: 제1 실린더 32: 제2 실린더
33: 유체 공급부 100: 블록
110: 러그 111: 관통홀

Claims (4)

  1. 일단부가 블록에 부착된 러그에 결합된 연결봉;
    내측에 상기 러그를 수용하고 일 측이 상기 블록을 지지하며, 타 측으로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된 지지프레임;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타 측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봉이 중앙을 관통하여 상단부에 지지되는 중공형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중공형 실린더는 상기 상단부를 상승시켜 상기 러그에 인장력을 가하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린더는,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는 2중벽체 구조의 제1 실린더; 및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연결봉이 통과하며 상기 제1 실린더의 2중벽체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린더와 상기 제2 실린더 사이에 작동유체가 유입 또는 유출되어 상기 제2 실린더가 슬라이딩 이동하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실린더의 상단부는 상기 제2 실린더에 형성되며, 상기 연결봉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의 타단부에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너트가 결합되어,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중공형 실린더의 상단부에 지지되는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일단부에 상기 러그가 노출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원통형 실린더 형상인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KR2020130001715U 2013-03-07 2013-03-07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KR200474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715U KR200474951Y1 (ko) 2013-03-07 2013-03-07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715U KR200474951Y1 (ko) 2013-03-07 2013-03-07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86U true KR20140004986U (ko) 2014-09-17
KR200474951Y1 KR200474951Y1 (ko) 2014-10-27

Family

ID=5214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715U KR200474951Y1 (ko) 2013-03-07 2013-03-07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9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298A1 (en) * 2019-03-15 2020-09-24 Green Monster Offshore Pty Ltd Connection tes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5627B1 (ko) * 2019-10-17 2021-05-25 주식회사 비엔아이 하중 테스트 장치
KR102479263B1 (ko) 2021-09-15 2022-12-20 김주호 하중 테스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25Y1 (ko) * 2009-09-22 2013-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리프팅 러그 로드 테스트 장치
KR20120129102A (ko) * 2011-05-19 2012-11-2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블록 러그의 로드 테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6298A1 (en) * 2019-03-15 2020-09-24 Green Monster Offshore Pty Ltd Connection tes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951Y1 (ko) 201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18798C (en) Extendable support column
US72844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weld integrity
KR200474951Y1 (ko) 러그의 하중 테스트 장치
US8402837B1 (en) System for field testing helical piles
KR101308693B1 (ko) 로드셀 비교검사 및 교정용 하중부가장치
CN105736527A (zh) 一种交通指示牌紧固装置
KR200481040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인장력 시험 및 부여장치
KR20160063961A (ko) 멀티 로드 테스트 장치
KR101359506B1 (ko) 배관의 플랜지홀 정렬 장치
CN204731097U (zh) 一种紧固件断裂强度测试夹具
KR101123741B1 (ko) 내수성 시험 장치용 안착장치
CA2887827C (en) Roofing pull-test frame assembly
KR102210400B1 (ko) 케이블 수밀성 시험장치
CN108442857B (zh) 一种密封视窗
KR20130105318A (ko) 러그 시험 장치
CN203965239U (zh) 一种铆钉纯剪切动态力学性能试验支持装置
KR20150001391U (ko) 케이블 드럼용 조립형 릴 스탠드
CN210366893U (zh) 安装装置、伸缩臂架和高空作业设备
CN207233394U (zh) 一种非直线管长度调试装置
KR101893852B1 (ko) 사용후 핵연료 골격체의 안내관 분리장치
KR100971613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0970082B1 (ko) 강선로프용 긴장장치
KR101747606B1 (ko) 수력발전 수차의 커플링 허브 인출장치
DE202014004947U1 (de) Einrichtung zum Spreizen von statischen Kabeln aus Einzelseilen oder Seilbündel zum Zweck der Wartung und Inspektion des Oberflächenzustandes im Innern des Kabels oder Seilbündels
KR20150111703A (ko) 하중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