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97U -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97U
KR20140004897U KR2020140004952U KR20140004952U KR20140004897U KR 20140004897 U KR20140004897 U KR 20140004897U KR 2020140004952 U KR2020140004952 U KR 2020140004952U KR 20140004952 U KR20140004952 U KR 20140004952U KR 20140004897 U KR20140004897 U KR 20140004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die
tie
formwork
scr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우
Original Assignee
황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우 filed Critical 황현우
Priority to KR2020140004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897U/ko
Publication of KR20140004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7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fastened or tensioned by other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2017/064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made of a flat strip, e.g.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2개의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핀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Description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TIE ASSENBLY FOR CONSTRUCTION FORMWORK}
본 고안은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기설정된 형상으로 성형된 거푸집의 내부에 콘트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하여 거푸집이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타설 과정에서의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타이를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타이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상기 거푸집의 양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거푸집의 양면에 각각 고정된 핀에 상기 타이의 양단부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거푸집의 양단부가 지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거푸집용 타이의 경우에는, 길이의 조절이 분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거푸집의 제작 과정에서 상기 핀 사이의 거리와 설계된 거리 사이에 오차가 발생하면, 상기 타이를 상기 핀에 고정하는 작업이 불가능해지거나, 상기 핀에 의하여 상기 거푸집의 지지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장의 상황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거푸집에 적용 가능한 타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2개의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핀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부재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제1부재; 상기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공이 형성되는 너트 부재; 및 상기 결합공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부재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2개의 제2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핀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하기 위한 절개홈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제1부재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에 각각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1부재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 2개의 제2부재가 상대이동함으로써, 타이 어셈블리의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양한 규격의 거푸집에 적용 가능하거나, 작업 공차 등에 의하여 거푸집의 치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결합부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나사 결합 면적이 증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부재의 결합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제1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타이 어셈블리(1)가 1개의 제1부재(10) 및 2개의 제2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부재(20)는,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부재(10)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납작한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10)의 형상은 반드시 판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10)에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11)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리브(11)는 상기 제1부재(1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부재(10)의 일부가, 상기 제1부재(10)의 나머지에 대하여 절개되어 밴딩됨으로써, 상기 지지 리브(11)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 리브(11)는, 예를 들면, 별개로 성형되어 상기 제1부재(1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11)가 상기 제1부재(10)를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대칭되게 위치되는 6개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 리브(11)의 위치 및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10)(20)의 길이 등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리브(11)에는 각각 결합공(13)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3)은,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제1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공(13)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부재(20)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봉 형상 또는 철사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부재(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부재(10)의 나사산, 즉 상기 결합공(13)의 나사산과 형합되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20)의 나사산은 상기 결합공(13)의 나사산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결합공(13)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20)를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기 제1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20)의 일단부에는 걸림부(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1)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단부가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에 대하여 밴딩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21)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단부가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에 대하여 대략 180°로 밴딩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걸림부(21)는 거푸집(미도시)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고정되는 핀(미도시)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부재(20)에는, 절개홈(23)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23)은, 상기 걸림부(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부와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절개홈(23)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2부재(20)의 일측의 직경이 감소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23)은 상기 걸림부(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로부터 절개시키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핀 및 이에 걸어지는 상기 걸림부(21)가 상기 거푸집의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거푸집에 타설된 콘트리트의 양생 후 상기 핀 및 상기 걸림부(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거푸집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에 각각 위치된 핀에 타이 어셈블리(1)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핀에 형성된 걸이홈(미도시)에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일측, 즉 제2부재(20)의 걸림부(21)가 걸어짐으로써, 상기 핀에 고정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부재(20)가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제1부재(10)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20)를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제2부재(20)가 상기 제1부재(10)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길이가 조절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핀이 설치되는 상기 거푸집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규격의 상기 거푸집에 상기 타이 어셈블리(1)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거푸집의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면 사이의 길이가 작업 공차 등에 의하여 설계된 거리 이상 또는 이하로 가변된 경우에도, 상기 타이 어셈블리(1)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2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의 제2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타이 어셈블리(2)에서는, 제1부재(1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11)에 관통공(15)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5)에는 너트 부재(30)가 각각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너트 부재(30)는 실질적으로 제2부재(20)가 나사 결합되는 곳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너트 부재(30)에는 각각 결합공(31)이 형성된다. 상기 너트 부재(30)는, 적어도 상기 지지 리브(11)의 두께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너트 부재(30)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부재(10)(20)의 접촉 면적, 실질적으로 상기 제2부재(20)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제1부재(10)의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양자의 보다 견고한 결합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 리브(11)가 상기 제1부재(10)의 동일한 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기 제2부재(20) 중 어느 하나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지지 리브(11) 중 일부는 상기 제1부재(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2부재(20) 중 나머지 하나가 나사 결합되는 상기 지지 리브(11)의 나머지는 상기 제1부재(10)의 타면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10: 제1부재 11: 지지 리브
13: 결합공 15: 관통공
20: 제2부재 21: 걸림부
23: 절개홈 30: 너트 부재
31: 결합공

Claims (4)

  1.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결합공(13)이 형성되는 제1부재(10); 및
    상기 결합공(13)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13)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2개의 제2부재(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0)에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핀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21); 및
    상기 걸림부(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하기 위한 절개홈(23)이 형성되는 타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3)은, 상기 제1부재(1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11)에 각각 형성되는 타이 어셈블리.
  3.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에 있어서: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고, 다수개의 관통공(15)이 형성되는 제1부재(10);
    상기 관통공(15)에 각각 결합되고, 결합공(31)이 형성되는 너트 부재(30); 및
    상기 결합공(31)에 각각 나사 결합되고, 상기 결합공(31)에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부재(10)에 대하여 상대이동하는 2개의 제2부재(2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0)에는,
    상기 거푸집에 구비되는 핀에 고정되기 위한 걸림부(21); 및
    상기 걸림부(21)를 포함하는 상기 제2부재(20)의 일부를 상기 제2부재(20)의 나머지로부터 절개하기 위한 절개홈(23)이 형성되는 타이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5)은, 상기 제1부재(1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지지 리브(11)에 각각 형성되는 타이 어셈블리.
KR2020140004952U 2014-07-01 2014-07-01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KR201400048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52U KR20140004897U (ko) 2014-07-01 2014-07-01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52U KR20140004897U (ko) 2014-07-01 2014-07-01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868 Division 2014-06-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97U true KR20140004897U (ko) 2014-09-03

Family

ID=5245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52U KR20140004897U (ko) 2014-07-01 2014-07-01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89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90891A1 (en) Chaplet, cast molding system, and method
KR200416367Y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EP3385469B1 (en) Anchor assembly for a vertical formwork and vertical formwork
KR101895661B1 (ko) 철근 원터치 커플러
KR101886838B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140004897U (ko)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KR101426389B1 (ko) 거푸집용 타이 어셈블리
JP2016204911A (ja) 鉄筋交差部締結金具
KR101755111B1 (ko) 결합용 홈볼트
KR200482085Y1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KR20160045470A (ko) 파이프 행거 지지용 슬래브 인서트 앵커너트 및 그 제작방법
KR200478169Y1 (ko) 유니버셜 프로파일 너트
KR101585667B1 (ko) 콘크리트 거푸집 고정용 밴드
TWM555421U (zh) 防轉華司及防轉螺栓組
CA3032844C (en) Interlocking form assembly
JP6132391B2 (ja) 型枠固定具、型枠締結構造、型枠組み立て及び脱型方法
JP5129947B2 (ja) 足場固定装置におけるキャッチクランプ
KR20190054203A (ko) 거푸집 간격 유지장치
KR101708475B1 (ko) 철근정착장치
KR20190000657U (ko) 스프링 볼트
KR20150004657U (ko) 거푸집 고정구
CN219987954U (zh) 一种防位移结构
KR102534509B1 (ko) 거푸집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거푸집용 밴드
KR20200008888A (ko) 위치 조절형 거푸집 고정장치
KR20140076989A (ko) 체결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