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89A -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89A
KR20140004889A KR1020120072190A KR20120072190A KR20140004889A KR 20140004889 A KR20140004889 A KR 20140004889A KR 1020120072190 A KR1020120072190 A KR 1020120072190A KR 20120072190 A KR20120072190 A KR 20120072190A KR 20140004889 A KR20140004889 A KR 20140004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data
voltage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889A/ko
Publication of KR2014000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57Reduction of after-image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1Temperature compens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의 잔상을 줄여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웨이브 폼에 포함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 데이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이후의 안정화 기간에 업데이트 된 이미지를 안장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 기간 이후에 배치된 이미지 보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ELECTROPHORESIS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의 잔상을 줄여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현상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쌍안정성(Bistability)의 특징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어도 한 번 표시(display)된 이미지를 장시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일정 화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의 신속한 교환이 요구되지 않는 전자 책(e-book) 분야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야각(viewing angle)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종이와 유사한 정도로 눈에 편안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전기영동 필름이 개재된 구조를 가지며, 전기영동 필름은 흑색 또는 백색의 컬러로 착색된 복수의 대전입자와 용매가 실장된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한다.
백색의 대전입자를 상부기판 쪽으로 이동시키면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반사시키고, 흑색 대전입자를 상부기판 쪽으로 이동시키면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흡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입사된 빛을 흡수 또는 반사시켜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쌍안정성의 특성으로 인해 화면 전환이 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영상 데이터의 시퀀스인 웨이브 폼(waveform)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고,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 화면을 전환시킨다.
화상의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화소들에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기입한 후, 다음 이미지의 업데이트까지 현재의 데이터를 유지시켜 한번 표시된 화상을 장시간 유지시킨다.
화상을 업데이트 하는 방식으로써 GC(Grayscale Clear) 방식과 DU(Direct Update) 방식이 있다.
먼저, GC 방식은 이전 화상을 리프레시(refresh) 한 후 다음 화상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것으로, 이전 화상을 리셋시키고 다음 화상을 업데이트 함으로 화상의 전환 시 잔상(afterimage)은 없지만 화면이 깜박거리는 단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화상 전환 시, 이전 화상의 잔상으로 인해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DU 방식은 MU(Monochrome Update) 방식이라고도 하며, 화상 바뀌는 화소에만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여 화상을 전환 시키는 것으로, 웨이브 폼에 리셋 기능의 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화상의 전화 시 깜박거림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화상에서 블랙(gray 0)을 표시한 화소가 다음 화상에서도 블랙을 표시하는 경우, 해당 화소에는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이전 화상이 블랙을 제외한 다른 그레이(gray 1~gray15)를 표시한 화소에는 블랙을 표시하기 위한 웨이브 폼이 공급되어 다음 화상의 데이터가 업데이트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화상에서 화이트(gray 15)를 표시한 화소가 다음 화상에서도 화이트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 화소에는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
이전 화상이 화이트 제외한 다른 그레이(gray 0~gray14)를 표시한 화소에는 화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웨이브 폼이 공급되어 다음 화상의 데이터가 업데이트 된다.
여기서,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 전환 시, 그레이가 변화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각 화소에 인가되는 데이터 신호의 개수가 많아지게 된다. 즉, 데이터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소 전극(20)과 공통 전극(30) 사이에 다수의 전기영동 캡슐(10)이 배치된 구조를 가진다.
DU 방식으로 화상의 전환되는 경우, 화상이 바뀌는 화소들에만 데이터를 업데이트함으로 화상의 전환 시 깜박거림이 발생되지 않는 장점은 있지만, 프린지 필드 효과(Fringe Field Effect)로 인해 화소들 간의 경계부에서 원치 않는 계조의 왜곡이 발생된다.
화소들 간의 경계부에서 발생된 계조 왜곡으로 인해 이전 화상의 테두리(edge) 부분이 다음 화상에 잔상으로 남는 엣지 고스팅(edge ghosting) 현상이 발생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전 화면의 잔상이 다음 화면에 남아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DU(direct update) 방식을 적용하여 화상을 업데이트 할 때, 프린지 필드 효과(fringe field effect)에 의한 화상의 테두리부분의 잔상(edge ghosting)을 개선할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웨이브 폼에 포함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 데이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이후의 안정화 기간에 업데이트 된 이미지를 안장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 기간 이후에 배치된 이미지 보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 시, 이전 화상의 잔상을 개선하여 표시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DU(direct update) 방식을 적용하여 화상을 업데이트 할 때, 프린지 필드 효과(fringe field effect)에 의한 화상의 테두리부분의 잔상(edge ghosting)을 개선하여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효과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화상 전환 시, 이전 화상의 잔상으로 인해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이전 화상의 잔상이 개선되어 표시품질이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과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PD)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display panel), 게이트 드라이버(200, gate driver); 데이터 드라이버(300, data driver); 제어부(400, controller), 전원부(500, power unit) 및 메모리(600, memory)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입력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전기영동 레이어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기영동 레이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전입자(12)와 용매(14)가 실장된 복수의 마이크로 캡슐(10)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전기영동 레이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영역을 둘러싸도록 격벽(50, partition walls)이 형성되어 있고, 격벽(50)에 의해 마련된 공간에 대전입자(42)와 용매(44)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솔벤트(40)가 충진 된 내재화 타입이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기판(1)에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n×m 개의 화소들(pixels)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각 화소에는 스위칭 소자로써 TFT가 형성되고, 화소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화소전극(20)이 형성된다.
TFT는 화소에 이미지 데이터 즉,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 한다. TFT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과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라인과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화소전극(20)과 접속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기판(2)에는 공통 전압(Vcom)을 공급하는 위한 공통전극(30)이 형성되어 있고, 화소전극(20)과 공통전극(30) 사이에 전기영동 필름 또는 내재화 타입의 전기영동 레이어가 형성된다.
대전입자의 이동 특성은 가해지는 전압의 세기 및 전압이 가해지는 시간(데이터 신호 개수)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전압의 세기와 가해지는 시간에 비례하여 대전입자를 이동시키는 힘이 커지게 된다.
대전입자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전압을 공급하지 않더라도 대전입자가 움직이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쌍안정(bistability) 특성이 좋다고 하며, 쌍안정 특성은 대전입자 및 용매를 구성하는 물질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원부(500)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턴-온되면 입력 전원(Vin)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파워 온 시퀀스(Power on sequence)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압들(VCC, VSS, Vcom, VPOS, VNEG, VGH, VGL)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구동 전압들(VCC, VSS, Vcom, VPOS, VNEG, VGH, VGL)을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제어부(400)에 공급한다. 이때, 파워 온 시퀀스는 제어부(400) 또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에의 미리 설정되거나, 별도의 메모리(EEPROM)에 저장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정극성(+) 전압인 VPOS 전압과 부극성(-)전압인 VNEG을 생성한다. VPOS 전압은 +15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고, VNEG 전압은 -15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생성된 VPOS 전압 및 VNEG 전압을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로직 전원전압(VCC)은 제어부(400),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구동에 필요한 로직 전압으로서 일반적으로 3.3V의 직류 전압으로 발생된다.
공통전극(30)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Vcom)은 -1.4V ~ +1.1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된다. 부극성 게이트 전압인 VGL은 -20V ~ -22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어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공급되고, 정극성 게이트 전압인 VGH는 +20V ~ +22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어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공급된다.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타이밍 신호(TS)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제어를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여기서, 타이밍 신호(TS)는 수직동기 신호(V-sync), 수평동기 신호(H-sync), 클럭 신호(CLK)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이미지 리셋 및 이미지 업데이트 시, 영상 데이터의 시퀀스인 웨이브 폼을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메모리(600)는 비 휘발성의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ROM, EEPROM 또는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매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메모리(600)에는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을 위한 웨이브 폼들이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웨이브 폼을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적용하면 DU(Direct Update) 방식을 이용하여 화상을 전환할 때 고스팅에 의해 이전 화상의 잔상이 다음 화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웨이브 폼은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data update time), 안정화 기간(stabilization time) 및 이미지 보호 기간(image protect time)을 포함한다.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는 화상의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data update signal)가 배치되고, 안정화 기간은 화상을 유지시키기 위한 블랜크 기간(blank time)으로 구성되고, 이미지 보호 기간에는 이전 화상의 고스팅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미지 보호 신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웨이브 폼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구동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제어부(400)에서 공급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 사이에서 스윙하는 스캔 펄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전압이 화소들에 공급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된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 및 이미지 안정화 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화소들에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 및 이미지 안정화 전압은, 포지티브(+) 전압 및 네거티브(-) 전압으로 생성된다. 데이터 라인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TFT를 경유하여 화소전극(20)에 인가된다.
이전 화상의 리셋 및 다음 화상의 데이터 업데이트 시, 하부기판(1)에 형성된 화소전극(20)에는 -15V 또는 +15V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된다. 이때, 상부기판(2)에 형성된 공통전극(30)에는 -2.5V ~ +1.0V의 공통 전압(Vcom)이 공급되어, 화소전극(20)과 공통전극(3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화소를 구동시키고, 이미지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수 프레임 내지 수십 프레임 동안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극성의 데이터 전압을 화소전극(20)에 공급하여 다음 화상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이후, 이미지 안정화 전압을 전체 화소들에 공급하여 이전 화상의 고스팅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이전 화상의 잔상이 다음 화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화소들을 구동시켜 화상의 표시 및 다음 화면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다음 화상으로 화면이 전환되는 시점에 메모리(600)에 저장된 복수의 웨이브 폼들 중에서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에 적합한 웨이브 폼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택된 웨이브 폼을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하여 다음 화상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브 폼은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data update time), 안정화 기간(stabilization time) 및 이미지 보호 기간(image protect tim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웨이브 폼에서, t0는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data update signal)가 시작되는 시점이다.
이어서, t0~t1 기간은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공급되어 화상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으로, 제1 계조(G0~G15)의 이전 화상에서 제2 계조(G0~G15)의 다음 화상의 전환을 위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업데이트 기간은 1프레임~200프레임(예로서, 1프레임은 16.7ms)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를 통해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을 위한 데이터 전압이 화소들에 공급되게 된다.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을 위한 포지티브 신호들 및 네거티브 신호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그레이(G0~G15)의 이전 화상에서 블랙(G0)의 다음 화상으로 전환 시, 포지티브 신호들 공급되어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전 화상의 제1 계조와 다음 화상의 제2 계조가 동일한 경우, 화상의 변화가 없음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이전 화상과 다음 화상이 블랙으로 동일한 경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공급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그레이(G0~G15)의 이전 화상에서 화이트(G15)의 다음 화상으로 전환 시, 네거티브 신호들 공급되어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전 화상의 제1 계조와 다음 화상의 제2 계조가 동일한 경우, 화상의 변화가 없음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공급되지 않는다. 즉, 이전 화상과 다음 화상이 화이트로 동일한 경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공급되지 않는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레이(G7)의 이전 화상에서 제2 그레이(G0~G15)의 다음 화상으로 전환 시, 네거티브 신호들 및 포지티브 신호들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구성된다.
다음 화상이 제1 그레이(G7)보다 낮은 계조(G0~G6)로 변화되는 화소들에는 포지티브 신호들이 공급되어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다음 화상이 제1 그레이(G7)보다 높은 계조(G8~G15)로 변화되는 화소들에는 네거티브 신호들이 공급되어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이전 화상의 계조(G7)와 다음 화상의 계조(G7)가 동일한 경우, 화상의 변화가 없음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공급되지 않는다.
이어서, t1~t2 기간은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공급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에 의해 대전입자들의 이동이 이루어진 후, 대전입자들의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안정화 기간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오프(off)되고 일정 시간 동안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다.
안정화 기간은 1프레임~10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신호가 공급되지 않도록 블랜크 기간이다. 이러한, 블랜크 기간을 통해 각 화소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에 의해 대전입자들의 이동이 이루어진 후, 대전입자들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켜 장시간 동안 화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어서, t2~t3 기간은 업데이트된 화상의 표시품질을 높이기 위해 이전 화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이미지 보호 기간이다. 이미지 보호 기간은 이전 화상의 잔상이 다음 화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미지 보호 신호가 배치된다.
이미지 보호 신호는 육안으로 화상의 깜박임이 느껴지는 짧은 기간(예로서, 2프레임~10프레임)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체 화소들에 공급된다. 예로서, 이미지 보호 신호는 포지티브 극성(+) 및 네거티브 극성(-)의 데이터 전압 쌍(data voltage pair)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신호로 구성된다. 포지티브 신호와 네거티브 신호 쌍이 1~5개 모여 이미지 보호 신호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 보호 신호는 웨이브 폼의 끝부분에 배치된다.
이미지 보호 신호는 화상의 전환 시, 화이트에서 블랙으로 변화되는 화소들 및 블랙에서 화이트로 변화되는 화소들 뿐만 아니라, 이전 화상의 그레이를 다음 화상에서도 그대로 유지하는 화소들에도 모두 공급된다.
즉, 동일 시점에, 전체 화소들에 포지티브 극성 및 네거티브 극성의 데이터 전압 쌍을 공급하여 프린지 필드 효과로 인해 화소의 테두리(가장자리) 부분에서 계조(gray)의 변화가 생기는 에지 고스팅(edge ghosting)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화상이 블랙을 표시하고, 다음 화상에서도 블랙을 그대로 표시하는 화소에는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공급되지 않지만, 안정화 기간 이후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전압이 전체 화소들에 공급된다.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화상이 화이트를 표시하고, 다음 화상에서도 화이트를 그대로 표시하는 화소에는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공급되지 않지만, 안정화 기간 이후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전압이 전체 화소들에 공급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그레이(G7)의 이전 화상에서 제2 그레이(G0~G15)의 다음 화상으로 전환 시, 제2그레이(G7)을 표시하는 화소들에는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공급되지 않지만, 안정화 기간 이후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전압이 전체 화소들에 공급된다.
t3 시점은 웨이브 폼이 종료되는 시점으로, 모든 신호의 공급이 종료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의 전환 시, 계조의 변화가 없는 화소들에도 짧은 시간 동안(1프레임~10프레임) 이미지 보호 신호를 공급 즉, 포지티브 신호 및 네거티브 신호 쌍에 따른 전압을 전체 화소들에 동시에 공급하여 이전 화상의 잔상 특히, 테두리 부분의 잔상(edge Ghosting)을 제거하여 다음 화상의 표시품질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웨이브 폼의 끝단에 배치된 이미지 보호 신호에 의해 업데이트 된 이미지의 계조가 미약하게 변화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이미지 보호 신호에 의한 계조 변화가 보상되도록 형성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를 포함하여 웨이브 폼들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00)에 저장된 웨이브 폼들은 전기영동 레이어를 구성하는 물질들의 특성 및 제조회사의 고유한 제조공정의 특성을 반영하여 다양한 버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 전기영동 레이어를 구성하는 물질 또는 제조회사가 상이한 경우, 복수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의 메모리(600)에 서로 다른 복수의 웨이브 폼들이 저장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메모리(600)가 독립적인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메모리(600)는 제어부(400) 내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하부기판 2: 상부기판
10: 전기영동 캡슐 12, 42: 대전입자
14, 44: 용매 20: 화소전극
30: 공통전극 40: 디스플레이 솔벤트
50: 격벽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제어부 500: 전원부
600: 메모리

Claims (9)

  1.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화면을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웨이브 폼에 포함된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에서 다음 화상으로 데이터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이후의 안정화 기간에 업데이트 된 이미지를 안장화 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안정화 기간 이후에 배치된 이미지 보호 신호를 이용하여 이전 화상의 잔상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전압을 전체 화소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는 포지티브 극성 및 네거티브 극성의 신호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동일 시점에, 전체 화소들에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 및 네거티브 전압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는 1~5개의 포지티브 신호와 네거티브 신호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이전 화상의 그레이를 다음 화상에서 그대로 유지하는 화소들에도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에 따른 포지티브 전압 및 네거티브 전압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는 제1 그레이의 이전 화상을 제2 그레이의 다음 화상으로 업데이트를 위한 복수의 포지티브 신호 또는 복수의 네거티브 신호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고,
    전체 화소들 중에서 그레이의 변화가 있는 화소에만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여 화상을 업데이트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보호 신호에 의한 계조 변화를 반영하여 상기 데이터 업데이트 신호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기간은 1프레임~10프레임의 블랜크 기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KR1020120072190A 2012-07-03 2012-07-03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40004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90A KR20140004889A (ko) 2012-07-03 2012-07-03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190A KR20140004889A (ko) 2012-07-03 2012-07-03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89A true KR20140004889A (ko) 2014-01-14

Family

ID=5014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190A KR20140004889A (ko) 2012-07-03 2012-07-03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8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6822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366924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전자 기기
US11081040B2 (en) Pixel circuit,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CN106297689B (zh) 驱动显示面板的方法、执行该方法的显示设备及驱动设备
US2012011308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JP433005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JP200701136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481945B (zh) 電泳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2007041548A (ja) データ供給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02543000A (zh) 电泳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以及测量其图像稳定性的方法
US20100277509A1 (en) Method of updating the display of electrophoretic display mechanism and the device thereof
JP2007163987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60149368A (ko) 표시장치
CN103680426A (zh) 一种改进电泳显示器激活模式的驱动方法
KR1003890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7178785A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232527B1 (ko) 데이터 변조장치,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구동방법
US1023595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964078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30065328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91744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N114550662B (zh) 电子纸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9271268A (ja) 電気光学装置
KR20130068846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87252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