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8846A -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8846A
KR20130068846A KR1020110136254A KR20110136254A KR20130068846A KR 20130068846 A KR20130068846 A KR 20130068846A KR 1020110136254 A KR1020110136254 A KR 1020110136254A KR 20110136254 A KR20110136254 A KR 20110136254A KR 20130068846 A KR20130068846 A KR 2013006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pulse
waveform
display panel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석
신상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6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8846A/ko
Publication of KR2013006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8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85Operation of cells; Circuit arrangements affecting the entire cel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 G09G3/34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ght modulating elements actuated by an electric field and being other than liquid crystal devices and electrochromic devices based on particles moving in a fluid or in a gas, e.g. electrophoretic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67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레쉬에 의한 화면 깜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전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리셋 기간에,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단계; 제2 리셋 기간에, 제2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키는 단계;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여 다음 화면을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ELECTROPHORESI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레쉬에 의한 화면 깜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란 착색된 대전입자가 외부로부터 가해진 전계에 의해 이동하는 전기영동(Electrophoresis) 현상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전기영동 현상이란, 대전입자를 용매 속에 분산시킨 상태에서 전계를 인가하는 경우에 상기 대전입자가 쿨롱력에 의하여 용매 내에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전기영동 현상을 이용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쌍안정성(Bistability)의 특징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어도 한 번 표시(display)된 이미지를 장시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속적으로 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일정 화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의 신속한 교환이 요구되지 않는 전자 책(e-book) 분야에 적합한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또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와는 달리 시야각(Viewing Angle)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부 광을 반사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종이와 유사한 정도로 눈에 편안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회로부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는 데이터 드라이버(data D-IC), 게이트 드라이버(Gate D-IC), 제어부(controller) 및 전원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TFT(Thin Film Transistor)와 픽셀 전극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하부 기판, 공통 전극이 형성된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개재된 전기영동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 사이에서 스윙하는 게이트 클럭(스캔 펄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여기서, 데이터 전압은 이미지 데이터의 계조에 따라 포지티브(+) 전압 또는 네거티브(-) 전압으로 생성된다. 데이터 라인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TFT를 경유하여 픽셀 전극에 인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리셋 기간에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되는 스캔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쌍안정성의 특성으로 인해 화면 전환이 빠르지 못하기 때문에 LCD와 같이 프레임 단위로 화면을 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영상 데이터의 시퀀스인 웨이브 폼(wave form)을 이용하여 데이터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이미지의 표시하고, 이전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 이미지를 전환 시킨다.
여기서, 대략 1 초간의 시간 동안의 이미지(데이터) 업데이트 과정을 통해 픽셀들에 새로운 영상 데이터를 기입한 후에 다음 데이터 업데이트까지 현재의 데이터를 유지시켜 한번 표시된 화상을 장시간 유지시킨다.
이미지 업데이트를 통해 화면을 전환할 때, 쌍안정상의 특성으로 인해 이전 화면의 잔상이 다음 화면에 남을 수 있음으로 리프레쉬(refresh)를 통해 대전입자를 초기화 시켜야 한다.
이전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의 전환을 위한 이미지 업데이트 기간은 이전 화면을 초기화 시키는 리셋 기간과 다음 화면의 표시를 이미지를 삽입하는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으로 구성된다.
이미지 업데이트 시, 하부 기판에 형성된 픽셀 전극에는 -15V(VNEG) 또는 +15V(VPOS)의 데이터 전압이 공급된다. 이때, 상부 기판에 형성된 공통 전극에는 -1.4V ~ +1.1V의 공통 전압(Vcom)이 공급되어,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계가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셋 기간에는 전체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 펄스를 공급하여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픽셀을 구동시켜 이전 화면의 초기화를 수행한다. 또한,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도 동일하게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으로 픽셀을 구동시켜 다음 화면의 데이터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리셋 기간은 화이트 리셋 기간과 블랙 리셋 기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화이트 리셋 기간과 블랙 리셋 기간에 15V, -15V의 전압을 픽셀에 공급하여 화이트(white)와 블랙(black) 상태로 대전입자를 초기화 시킨다. 이후, 픽셀에 다음 화면을 이미지 데이터를 업데이트하여 다음 화면의 그레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반응 속도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느리고, 전체 이미지 업데이트 기간 중에서 리셋 기간이 많은 시간을 차지하므로 전체 이미지 업데이트 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셋 기간에 전체 화면을 풀 화이트(max white) 및 풀 블랙(max black)으로 변화시켜 이전 화면을 리셋 함으로 인해 시청자가 화면의 깜박거림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미지 업데이트 시, 리프레쉬에 의한 화면 깜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은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전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리셋 기간에,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단계; 제2 리셋 기간에, 제2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키는 단계;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여 다음 화면을 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복수의 픽셀이 정의되고, 복수의 픽셀마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n개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m게의 데이터 라인에 상기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미지 업데이트에 필요한 웨이브 폼을 생생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제어부; 및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1 리셋 기간에,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이미지 업데이트 시, 리프레쉬에 의한 화면 깜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와 이의 구동방법은 이미지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효과들이 새롭게 파악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서 리셋 기간에 게이트 드라이버로부터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되는 스캔 펄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리셋 기간에 공급되는 데이트 펄스를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핵심 구성과 관련이 없는 경우 및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 display panel), 게이트 드라이버(200, gate driver); 데이터 드라이버(300, data driver); 제어부(400, controller) 및 전원부(500, power unit)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하부 기판, 상부 기판 및 전기영동 레이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기영동 레이어는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 마이크로 컵 타입 또는 전기영동 대전입자와 용매가 하부 기판에 내재화되는 내재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기영동 레이어의 타입에 제한 없이 모든 타입의 전기영동 레이어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부 기판에는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이 상호 교차하도록 형성된다. 데이터 라인들과 게이트 라인들의 교차에 의해 m×n 개의 픽셀들(Cells)이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다. 각 픽셀에는 스위칭 소자로써 TFT가 형성되고, 픽셀에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픽셀 전극이 형성된다.
TFT는 픽셀에 이미지 데이터(데이터 전압)가 공급되는 것을 스위칭 한다. TFT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과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라인과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픽셀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부 기판은 공통 전압(Vcom)을 공급하는 위한 공통 전극을 포함하며, 픽셀 전극과 공통 전극 사이에 전기영동 레이어가 형성된다.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타이밍 신호(TS)를 이용하여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제어를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 gate control signal)를 생성하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 data control signal)를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여기서, 타이밍 신호(TS)는 수직동기 신호(V-sync), 수평동기 신호(H-sync), 클럭 신호(CLK)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 또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정렬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는 시퀀스 형태의 데이터로 웨이브 폼으로 공급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체 이미지 업데이트 기간은 제1 리셋 기간, 제2 리셋 기간 및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리셋 기간은 이전 화면의 이미지를 임의의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키는 기간이다.
그리고, 제2 리셋 기간은 제1 그레이 레벨(10)에서, 제2 그레이 레벨(20)로 변화시키고, 제1 그레이 레벨(10)과 제2 그레이 레벨(20)의 변화를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이전 화면의 이미지를 완전히 리셋 시키는 기간이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은 제1 그레이 레벨(10) 또는 제2 그레이 레벨(20)을 베이스로, 다음 화면의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이미지 데이터를 업데이트 하는 기간이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400)에서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되는 웨이브 폼은 크게 3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리셋 기간에 공급되는 제1 리셋 웨이브 폼, 제2 리셋 기간에 공급되는 제2 리셋 웨이브 폼 및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공급되는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을 포함하여 제어부(400)에서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되는 웨이브 폼이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500)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이 턴-온되면 미리 설정된 파워 온 시퀀스(Power on sequence)에 따라 DC-DC 변환기를 통해 입력 전원(Vin)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 전압들(VCC, VSS, Vcom, VPOS, VNEG, VGH, VGL)을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구동 전압들(VCC, VSS, Vcom, VPOS, VNEG, VGH, VGL)을 게이트 드라이버(200),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제어부(400)에 공급한다. 이때, 파워 온 시퀀스는 제어부(400) 또는 외부의 호스트 시스템에 미리 설정되거나, EEPROM과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원부(500)의 구동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원부(500)는 입력 전원(Vin)이 입력되면, 제어부(400) 또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인에이블 신호들에 응답하여 구동 전압들(VCC, VSS, Vcom, VPOS, VNEG, VGH, VGL)을 발생시킨다.
이때, 전원부(500)는 제어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제어신호(PCS)에 기초하여 정극성 데이터 전압인 VPOS 전압과 부극성 데이터 전압인 VNEG을 생성한다. VPOS 전압은 +15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고, VNEG 전압은 -15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전원부(500)에서 생성된 VPOS 전압 및 VNEG 전압은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된다.
로직 전원전압(VCC)은 제어부(400)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데이터 드라이버(300)의 소스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구동에 필요한 로직 전압으로서 일반적으로 3.3V의 직류 전압으로 발생된다.
공통 전극에 공급되는 공통 전압(Vcom)은 -1.4V ~ +1.1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된다.
부극성 게이트 전압인 VGL은 -20V ~ -22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고, 정극성 게이트 전압인 VGH는 +20V ~ +22V의 직류 전압으로 생성되어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공급된다.
전원부(500)는 전원 제어신호(PCS)에 기초하여 제1 리셋 기간, 제2 리셋 기간 및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데이터 전압 즉,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생성에 필요한 VPOS 및 VNEG을 생성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 IC(200)는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스캔 펄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스캔 펄스를 게이트 라인에 순차적으로 공급하여 픽셀들은 온(on) 시킨다.
구체적으로,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제어부(400)에서 공급되는 게이트 제어신호 및 전원부(500)에서 공급된 게이트 구동전압(V2)에 기초하여 스캔 펄스를 생성 한다.
게이트 드라이버(200)에는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부극성(-)의 게이트 로우전압(VGL)이 공급되고, 게이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 로우전압(VGL)을 이용하여 스캔 펄스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스캔 펄스를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첫번째 게이트 라인으로부터 마지막 게이트 라인까지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제어부(40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펄스(데이터 전압)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공급한다.
이때, 게이트 라인들에 스캔 펄스가 공급되는 시기에 맞춰 1 수평 라인 분의 데이터 펄스를 m개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때,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전원부(500)에서 공급되는 3 상 전압(VPOS, VNEG, VSS)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 펄스의 전압으로 선택하여 데이터 라인들로 출력한다. 데이터 펄스는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또는 기저전압(VSS)으로 생성될 수 있다.
데이터 펄스가 기저전압으로 출력되면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사이에 실질적으로 데이터 펄스가 인가되지 않는 블랜크(blank) 기간이 형성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는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전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전환한다.
먼저, 제1 리셋 기간에, 제어부(400)에서 공급되는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기초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서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킨다.
여기서, 데이터 펄스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픽셀 전극에 공급되고, 데이터 펄스와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에 의해 픽셀에 전계가 형성되어 전기영동 레이어에 포함된 대전입자의 전기영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초기 데이터 펄스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 및 블랜크 기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 및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교변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시간은 100msec 이하이고,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가 반복되는 횟수를 조절하여 화면의 그레이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제1 리셋 기간에 공급되는 초기 데이터 펄스는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Y)과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X)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이전 화면을 상기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블랜크 기간의 폭(Z)을 추가로 조절하여 이전 화면을 상기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반복 횟수를 조절하여 이전 화면을 상기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 및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이전 화면을 상기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제2 리셋 기간에, 제어부(400)에서 공급되는 제2 리셋 웨이브 폼에 기초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서 리셋 데이터 펄스를 생성한다.
이때, 리셋 데이터 펄스는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로 구성되고,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킨다.
여기서, 제2 리셋 기간에 공급되는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X),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Y) 및 블랜크 기간의 폭(Z)을 조절함으로써, 제1 그레이 레벨(10)을 제2 그레이 레벨(20)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그레이 레벨(20)을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또한,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와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가 반복되는 횟수를 조절하여 제1 그레이 레벨(10)을 제2 그레이 레벨(20)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그레이 레벨(20)을 제1 그레이 레벨(10)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제2 리셋 기간에,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 및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과,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제1 그레이 레벨(10)에서 제2 그레이 레벨(20)로의 변화 및 제2 그레이 레벨(20)에서 제1 그레이 레벨(10)로의 변화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리셋 기간 및 제2 리셋 기간에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공급되는 데이터 펄스를 이용하여 이전 화면의 메모리를 소거 즉,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체 화면을 16단계의 그레이로 표시하는 경우, 상기 제1 그레이 레벨(10)과 제2 그레이 레벨(20)은 1단계 차이의 그레이 레벨일 수 있다.
이어서,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제어부(400)로부터 공급되는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에 기초하여 데이터 드라이버(300)에서 데이터 업데이트 펄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데이터 업데이트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여 이미지를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제2 리셋 기간에서 설정된 제1 그레이 레벨(10) 또는 제2 그레이 레벨(20)을 베이스로 다음 화면의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은 최종 목표로 하는 다음 화면의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공급될 수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의 데이터 업데이트 펄스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여 각 픽셀의 픽셀 전극에 데이터 전압이 공급되도록 한다.
픽셀 전극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극에 공급된 공통 전압(Vcom)에 의해 픽셀에 전계가 형성되어 전기영동 레이어에 포함된 대전입자의 전기영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구동방법을 통해 이전 화면에서 다음 화면으로의 이미지 데이터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은 이전 화면을 리셋할 때, 풀 화이트 및 풀 블랙 화면으로 전기영동 대전입자를 구동시키기 않고, 임의의 중간 그레이 레벨로 초기화 시킨다. 이후, 그레이 레벨 변화가 크지 않은 제1 그레이 레벨(10)과 제2 그레이 레벨(20) 상태를 교번적으로 형성하여 이전 화면의 리셋 즉, 이전 이미지의 메모리를 소거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이전 화면의 잔상을 완벽하게 제거하여 리프레쉬에 따른 화면 깜박거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 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200: 게이트 드라이버
300: 데이터 드라이버 400: 제어부
500: 전원부

Claims (10)

  1. 웨이브 폼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된 이전 화면을 다음 화면으로 전환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제1 리셋 기간에,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단계;
    제2 리셋 기간에, 제2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키는 단계;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여 다음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셋 기간 및 상기 제2 리셋 기간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 및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교변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시간은 100msec 이하이고,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가 반복되는 횟수를 조절하여 화면의 그레이 레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사이에 전압이 공급되지 않는 블랜크 구간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데이터 펄스는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과,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이전 화면을 상기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의 폭과, 상기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 반복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이전 화면의 메모리를 소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레이 레벨에서 제2 그레이 레벨로 화면을 제1 변화시키고,
    상기 제2 그레이 레벨에서 상기 제1 그레이 레벨로 화면을 제2 변화시키고,
    상기 제1 변화와 제2 변화를 반복 수행하여 이전 화면을 리셋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방법.
  9. n개의 게이트 라인과 m개의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복수의 픽셀이 정의되고, 복수의 픽셀마다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n개의 게이트 라인에 스캔 펄스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
    상기 m게의 데이터 라인에 상기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미지 업데이트에 필요한 웨이브 폼을 생생하여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하는 제어부; 및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1 리셋 기간에, 제1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초기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여 이전 화면을 제1 그레이 레벨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는,
    제2 리셋 기간에, 제2 리셋 웨이브 폼에 따른 포지티브 데이터 펄스와 네거티브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교번적으로 공급하고,
    데이터 업데이트 기간에, 데이터 업데이트 웨이브 폼에 따른 데이터 펄스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공급하여 다음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36254A 2011-12-16 2011-12-16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300688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54A KR20130068846A (ko) 2011-12-16 2011-12-16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6254A KR20130068846A (ko) 2011-12-16 2011-12-16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846A true KR20130068846A (ko) 2013-06-26

Family

ID=48864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254A KR20130068846A (ko) 2011-12-16 2011-12-16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88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8314A (zh) * 2022-11-30 2023-04-07 江西兴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三色电子纸显示效果的驱动波形调试方法及系统
CN116805478A (zh) * 2023-08-21 2023-09-26 惠科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装置的驱动方法和电子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38314A (zh) * 2022-11-30 2023-04-07 江西兴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三色电子纸显示效果的驱动波形调试方法及系统
CN116805478A (zh) * 2023-08-21 2023-09-26 惠科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装置的驱动方法和电子设备
CN116805478B (zh) * 2023-08-21 2023-11-14 惠科股份有限公司 电子纸显示装置的驱动方法和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6924B1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전자 기기
JP6256822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397734B (zh) 液晶顯示器及其驅動方法
KR10123442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481945B (zh) 電泳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2007041548A (ja) データ供給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7011363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863636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
KR20090025511A (ko)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38902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964078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30068846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30065328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91744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785339B1 (ko) 공통전압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5445310B2 (ja) 電気泳動表示装置、制御回路、電子機器および駆動方法
KR20130065333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48286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87252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997621B1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20130143361A (ko)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KR10126470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117758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055282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와 그 이미지 업데이트 방법
KR102485967B1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