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131A -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131A
KR20140004131A KR1020137018898A KR20137018898A KR20140004131A KR 20140004131 A KR20140004131 A KR 20140004131A KR 1020137018898 A KR1020137018898 A KR 1020137018898A KR 20137018898 A KR20137018898 A KR 20137018898A KR 20140004131 A KR20140004131 A KR 20140004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pplication
command
command tab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8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142B1 (ko
Inventor
박경모
황승오
송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Addressing
    • H04N21/6405Multi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방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송 서버가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SERVICE IN A BROADCAST SYSTEM}
본 발명은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 망 (Hybrid Network)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송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전송을 위해서 MPEG-2 TS (Moving Picture Experts Group-2 Transport Stream)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상기 MPEG-2 TS는 오류가 있는 전송 환경에서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 (부호화된 다수의 비디오 비트 열)이 다중화된 비트 열을 전송하기 위한 대표적인 전송 기술로 사용되고 있다. 일 예로 상기 MPEG-2 TS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디지털 TV 방송 등에서의 사용이 적합하였다.
도 1은 종래 MPEG-2 TS를 지원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MPEG-2 TS를 지원하기 위한 계층은 미디어 코딩 계층 (MEDIA CODING LAYER)(110), 동기 계층 (SYNC LAYER)(120), 배송 계층 (DELIVERY LAYER)(130),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140),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150) 및 물리 계층 (PHYSICAL LAYER)(1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미디어 코딩 계층 (MEDIA CODING LAYER)(110)와 상기 동기 계층 (SYNC LAYER)(120)은 미디어 데이터를 기록 또는 송신의 기본 단위로 사용하기에 용이한 포맷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배송 계층 (DELIVERY LAYER)(130), 상기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140), 상기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150) 및 물리 계층 (PHYSICAL LAYER)(160)은 상기 동기 계층 (SYNC LAYER)(120)에 의해 구성된 포맷의 데이터 블록 (일 예로 ‘AU’)을 별도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거나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프레임을 구성한다. 상기 구성된 멀티미디어 프레임은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가입자 단말 등으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상기 동기 계층 (SYNC LAYER)(120)은 분할 블록 (FRAGMENT BLOCK)(122)과 접근 유닛 (ACCESS UNIT)(124)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배송 계층 (DELIVERY LAYER)(130)은 MPEG-2 TS/MP4 (132), RTP/HTTP (134) 및 UDP/TCP (136)에 의해 구성된다.
하지만 상기 MPEG-2 TS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함에 있어 몇 가지의 한계점을 가진다. 즉 상기 MPEG-2 TS는 단 방향 통신, 고정된 프레임 크기로 인한 전송의 비효율성, 오디오/비디오에 특화되어 있는 전송 프로토콜 및 인터넷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을 사용하여 전송할 시에 불필요한 오버헤드 발생 등이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MPEG에서는 MPEG 기술을 기반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전송 기술 중 하나로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MT: MPEG MEDIA TRANSPOTR) 표준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특히 상기 MMT 표준은 MPEG-2TS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MPEG에 의해 제안되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MMT 표준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전송 네트워크에서의 기본 기술이 되고 있는 IP에 보다 친화적인 전송 기술을 정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MMT 표준은 이종 네트워크를 통해 복합 컨텐츠 (Hybrid Content)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복합 컨텐츠는 비디오/오디오/어플리케이션 등에 의한 멀티미디어 요소가 함께 존재하는 콘텐츠의 집합, 즉 복합 멀티미디어 (Hybrid Multimedia)를 의미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에서 특정 컨텐츠에 따른 화면이 제공되고 있는 상황에서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위젯 (Widget) 서비스 등의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종 네트워크는 방송 네트워크와 통신 네트워크 등이 혼재하는 네트워크이다. 복합 네트워크 (Hybrid Network)는 상기 이종 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합 네트워크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해 함께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네트워크와 적어도 하나의 IP 네트워크를 통칭한다.
상술한 바를 고려할 때, 방송 시스템에서 오디오/비디오로 구성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연동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연동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에 대한 정의와 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MMT 표준에 의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 및 이를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특정 정보 (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를 사용하여 메인 서비스에 부가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시스템에서 메인 서비스에 보조 서비스를 연동시키기 위한 명령어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서버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은,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 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서버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장치는,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구성 블록과, 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블록을 포함한다.
.
도 1은 종래 MPEG-2 TS를 지원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기 위한 MMT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에 의한 MMT 서비스를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보이고 있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해 수행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명령어 테이블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날 것인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컨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MMT 표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계층 구조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것이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를 사용자 단말이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명령어를 사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한편 후술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위젯 서비스로 한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예컨대 메인 서비스에 상응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연동하여 날씨 등의 위젯 서비스를 부가 서비스로 제공하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서비스가 위젯 서비스만으로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위젯 서비스 외에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구성하는 어플리케이션 중 메인 서비스에 상응한 컨텐츠와 연동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의 부가 서비스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예컨대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이 획득하도록 하기 위한 제어 정보의 구성과, 상기 명령어 테이블의 구성 및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할 것이다. 그 외에 방송 서버가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동작, 사용자 단말이 획득한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하여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제로 구동하는 동작 등은 본 발명의 요지와는 무관하다고 판단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임을 유념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적용하기 위한 MMT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방송 시스템 (이하 ‘MMT 시스템’이라 칭함)에 의한 MMT 서비스를 개념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MMT 서비스에 의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UHD, VOD, 라이브 스트리밍 (Live Streaming), 파일 (File), 위젯, 전자 책 (E-book), 메타데이터 (metadata) 등을 가정하고 있다. 하지만 그 외에 전기적 신호로 표현 가능한 모든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은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제어 정보 및 구동 정보도 함께 제공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컨텐츠와 어플리케이션 각각에 따른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MMT 캡슐화기 (MMT encapsulator)에 의해 소정의 포맷에 의해 캡슐화된 후 구동 및 제어 정보와 함께 멀티미디어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복합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된다.
상기 복합 네트워크를 통해 멀티미디어 프레임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구동 및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비디오/오디오/어플리케이션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대부분의 단말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표적인 예는 IP TV,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MMT 서비스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목적은 높은 품질의 컨텐츠 제공 (High Quality Content Delivery), 복합 컨텐츠 제공 (Hybrid Contents Support), 복합 네트워크 제공 (Hybrid Network Support)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계층 구조를 보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멀티미디어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7개의 계층 (Seven Layer)이 요구된다. 상기 7개의 계층은 미디어 코딩 계층 (MEDIA CODING LAYER)(310), 캡슐화 계층 (ENCAPSULATION LAYER, 이하 ‘Layer E’라 칭함)(320), 배송 계층 (DELIVERY LAYER, 이하 ‘Layer D’ 또는 ‘Layer T’라 칭함)(330, 390),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340),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350), 물리 계층 (PHYSICAL LAYER)(360) 및 제어 계층 (CONTROL LAYER, 이하 ‘Layer C’라 칭함)(370, 38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7개의 계층 중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 및 명령어 테이블을 구성하는 Layer C(370, 380)를 ‘정보 구성 블록’이라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ayer C(370, 380)에 의해 구성된 제어 정보 및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Layer D(330),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340), 데이터 링크 계층 (DATA LINK LAYER)(350), 물리 계층 (PHYSICAL LAYER)(360)을 ‘정보 전송 블록’이라 간주할 수 있다.
한편 상기 7개의 계층 중 세 개의 계층에 상응한 기술 영역은 MMT 표준을 위한 관련도가 매우 높다. 상기 세 개의 기술 영역은 Layer E(320), Layer D(330, 390), Layer C(370, 380) 각각에 상응한 기술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Layer E(320)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따른 컨텐츠 생성을 담당하고, 상기 Layer D(330, 390)는 복합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생성 컨텐츠의 효율적인 전송을 담당하며, 상기 Layer C(370, 380)는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의 소비 관리 및 전송 관리를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상기 Layer C(370, 380)는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상기 Layer D(330)로 전달한다. 상기 Layer D(330)는 상기 Layer C(370, 380)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Layer C(370, 380)는 앞서 구성된 제어 정보에 의해 획득 가능하도록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한 명령어 테이블을 상기 Layer D(330)로 전달한다. 상기 Layer D(330)는 상기 Layer C(370, 380)로부터 제공되는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그 후 상기 제공된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 단말에게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동작이 진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구동을 위해 수행되는 절차를 개략적으로 보이고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해 방송 서버와 사용자 단말 간에 이루어지는 신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방송 서버는 410단계에서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420단계에서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한다.
그 후 상기 방송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호 공유하고 있는 명령어 테이블을 사용하여 현재 서비스 중인 컨텐츠에 연동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위젯 기능 등의 부가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MT 시스템에서 명령어 테이블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보이고 있다. 즉 도 5에서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서버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 네트워크는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제어 흐름에 따른 동작은 도 3에 도시한 계층들 중 제어 계층인 MMT C1(370)과 MMT C2(380)에 의해 수행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도 5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주체를 ‘제어 계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계층은 510단계에서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한다.
하기 <표 1>은 제어 정보의 일 예로써, 위젯 서비스를 구동하기 위한 위젯 명령어 테이블 (WCT, Widget Command Table)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의 일 예이다.
Figure pct00001
상기 <표 1>에서 사용된 요소들은 아래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TABLE ID’는 명령어 테이블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 정보에 관한 테이블임을 나타내는 식별 정보의 일 예이다. 즉 상기 ‘TABLE ID’는 WCT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 정보에 관한 테이블임을 식별하는 테이블 식별 정보이다.
‘WIDGET ID’는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이다. 즉 상기 ‘WIDGET ID’는 구동할 위젯을 지정하는 위젯 식별 정보이다.
‘CONTENT ID’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될 컨텐츠를 나타내는 식별 정보의 일 예이다. 즉 상기 ‘CONTENT ID’는 WIDGET ID에 의해 지정된 위젯을 연동시킬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이다.
그 외에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와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주요 정보에 해당하는 ‘PRIMARY INFO’는 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의 일 예이다. 즉 상기 ‘PRIMARY INFO’는 WIDGET ID에 의해 지정된 위젯을 구동할 WCT를 획득하기 위한 주요 정보로써, 상기 WCT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LOCATION) 및 시간 정보 (TIME)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 정보에 해당하는 ‘SECONDARY INFO’는 복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의 일 예이다. 즉 상기 ‘SECONDARY INFO’는 WIDGET ID에 의해 지정된 위젯을 구동할 WCT를 획득하기 위한 보조 정보로써, 상기 WCT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 (LOCATION)를 포함한다.
상기 ‘PRIMARY INFO’가 시간 정보 (TIME)를 포함하는데 비해 ‘SECONDARY INFO’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은, 이용하는 네트워크의 차이 때문이다. 즉 ‘SECONDARY INFO’의 경우에는 IP 네트워크를 통해 WCT를 획득하는 것임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시간에 무관하게 ‘SECONDARY INFO’에 정의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서버에게 WCT의 제공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하여 방송 네트워크의 경우에는 지정된 시간에만 WCT를 제공함에 따라,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WCT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WCT가 제공되는 시간에 대한 정보를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PRIMARY INFO’는 ‘SECONDARY INFO’와 달리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PRIMARY INFO’와 상기 ‘SECONDARY INFO’를 구성하는 위치 정보 (LOCATION)로 명령어 테이블, 예컨대 WCT를 획득하기 위한 유일 자원 지시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 계층은 구성한 제어 정보, 예컨대 상기 <표 1>에 도시한 WCT의 획득을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상기 51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사전에 약속된 포맷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해당하는 프로그램 특정 정보 (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로 정의한 테이블의 포맷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사전에 약속된 포맷은 프로그램 연계 테이블 (PAT, Program Association Table) 또는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 (PMT, Program Mapping Table) 또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NIT, Network Information Table) 중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 1>에 의해 정의된 포맷을 가지는 테이블에서의 ‘TABLE ID’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어 계층은 512단계에서 앞서 사용자 단말에게 전송한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획득할 명령어 테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된다. 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들을 정의하고, 상기 명령어들 각각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부가 정보를 정의한다.
예컨대 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명령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필요에 의해 해당 명령어 테이블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버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유효 기간에 따른 유효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 및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갱신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어에 관한 정보는 명령어 별로 명령어 종류, 사용할 자원 및 실행 시간을 포함한다.
하기 <표 2>는 명령어 테이블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상기 <표 2>에서 ‘ID’는 WCT의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고, ‘VERSION’은 WCT의 버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VALIDITY’는 WCT의 유효 기간에 관한 정보이고, ‘WIDGET ID’는 WCT가 적용될 위젯을 지정하는 식별 정보이며, ‘CONTENT (SERVICE) ID’는 WIDGET ID가 가리키는 위젯이 WCT의 내용에 따라 연동될 컨텐츠 혹은 서비스의 가리키는 식별 정보이다.
‘WIDGET COMMAND’는 WIDGET ID가 가리키는 위젯을 구동하기 위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들 각각에 대해 정의한다. 또한 위젯을 구동하는 명령어들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전송될 수 있으며, 각 명령어들은 실행 시간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 2>는 ‘WIDGET COMMAND’에서 여섯 개의 명령어들에 대해 정의하고 있으며, 각 명령어 별로 ‘TYPE’, RESOURCE’, EXECUTION TIME’의 정보가 정의된다.
상기 ‘TYPE’은 해당 명령어(command)의 동작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상기 ‘TYPE’은 ‘START’, ‘DO’, ‘PRESENT’, ‘REPLACE’, ‘STOP’을 포함한다. 상기 ‘START’는 위젯의 시작을 의미하고, 상기 ‘DO’는 위젯에게 특정 동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며, 상기 ‘PRESENT’는 위젯에게 특정 컨텐츠를 표시하라고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 ‘REPLACE’는 위젯에게 특정 날짜를 다른 날짜로 대신하라는 것이며, 상기 ‘STOP’은 위젯 동작의 정지를 의미한다. 이 외에 각 위젯의 특성에 따라 명령어 타입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 ‘RESOURCE’는 각 명령어에 사용될 자원에 관한 정보로써, 내부 자원에 관한 정보 (INTERNAL RESOURCE)와 외부 자원에 관한 정보 (EXTERNAL RESOURCE)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자원에 관한 정보 (INTERNAL RESOURCE)는 위젯 내에 존재하는 자원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외부 자원에 관한 정보 (EXTERNAL RESOURCE)는 위젯을 위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자원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외부 자원에 관한 정보 (EXTERNAL RESOURCE)는 식별 정보 (ID)와 주소 (ADDRESS)로 구성된다.
상기 ‘EXECUTION TIME’은 해당 명령어(command)가 실행될 시간 및 유효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정의되며, 시간은 절대적인 시간 혹은 상대적인 시간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표 2>를 기준으로 할 때, 특정 명령어의 TYPE이 START일 시에, 해당 위젯을 구동시킨다. 이때 해당 위젯은 EXECUTION TIME에 정의된 시각에서 연동할 컨텐츠 또는 서비스에 최초로 적용된다.
한편 상기 WCT가 제공되는 위젯 서비스로는 실시간 음악 순위 방송에서 특정 곡에 대한 부가 정보, 특정 가수에 대한 부가 정보, 사용자 참여 투표(voting) 기능, 사용자 간의 대화 기능 등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위젯의 특수성에 따라 WCT의 구성이 변경될 수 있다. 하지만 PSI를 통해서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유지되어야 한다.
상기 <표 2>의 ‘WCT UPDATE INFO’는 다음 WCT가 전송되는 시점과 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게 미리 알려주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다음 WCT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위젯에 대한 명령어가 갱신되어 새로운 WCT가 보내질 경우, 새로운 WCT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이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어 계층은 514단계에서 앞서 제공한 명령어 테이블을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사용자 단말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기 <표 3>은 상기 <표 2>에서의 여섯 개 명령어 각각에 대한 동작 예를 정의하고 있다. 즉 각 명령어에 대응한 TYPE이 설정된 예를 보이고 있다.
Figure pct00006
상기 <표 3>에서 ‘COMMAND 2’와 ‘COMMAND 3’의 경우, 가수에 대한 정보 또는 특정 음악에 대한 정보가 위젯에 내장되어 있을 경우에는 INTERNAL RESOURCE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를 보여주며, 외부에 있을 경우에는 EXTERNAL RESOURCE에 의해 지시되는 정보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COMMAND 2’와 ‘COMMAND 3’의 EXECUTION TIME은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할 경우에는 즉시 동작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사업자가 지정한 시간에 동작하도록 한다.
상기 <표 3>에서 ‘COMMAND 4’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내부 자원 (INTERNAL RESOURCE) 및 외부 자원(EXTERNAL RESOURCE)이 모두 다 사용된다. 이때 상기 내부 자원 (INTERNAL RESOURCE)은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투표 문구 혹은 투표 통지(notification)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자원 (EXTERNAL RESOURCE)은 사용자가 투표를 했을 경우, 상기 투표 결과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보낼 수 있는 외부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COMMAND 4’의 EXECUTION TIME은 사용자가 투표 참여 관심을 보이는 시점 혹은 서비스 제공자가 사전에 정해놓은 시간이 될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 ‘COMMAND 5’의 실행에 있어 외부 자원 (EXTERNAL RESOURCE)에 채팅 프로그램을 연동시켜서 사용자를 참여시키거나, 내부 자원 (INTERNAL RESOURCE)에 의해 위젯 내에 내장된 채팅 프로그램을 사용할 것을 명령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0)

  1.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서버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과정과,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는,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 및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을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와 상기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유일 자원 지시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제공할 테이블을 식별하는 테이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획득 가능하도록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상기 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과정과,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지원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명령어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버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유효 기간에 따른 유효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 및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갱신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에 관한 정보는 명령어 별로 명령어 종류, 사용할 자원 및 실행 시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전에 약속된 포맷은 프로그램 연계 테이블 (Program Association Table) 또는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 (Program Mapping Table) 또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11. 방송 네트워크와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적어도 포함하는 복합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에게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송 서버에서 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상기 복합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구성하는 정보 구성 블록과,상기 구성한 제어 정보를 사전에 약속된 포맷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블록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는,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할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 및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을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는 상기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는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위치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주요 정보 (Primary Information)와 상기 보조 정보 (Secondary Information)에 포함된 위치 정보는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한 유일 자원 지시자 (URL, Uniform Resource Locator)임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획득하기 위해 사용할 제어 정보를 제공할 테이블을 식별하는 테이블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전송 블록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획득 가능하도록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상기 복합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명령어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구동할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 가능한 명령어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 테이블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버전 정보와,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유효 기간에 따른 유효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식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연동할 컨텐츠를 지정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 및 해당 명령어 테이블의 갱신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명령어에 관한 정보는 명령어 별로 명령어 종류, 사용할 자원 및 실행 시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20.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사전에 약속된 포맷은 프로그램 연계 테이블 (Program Association Table) 또는 프로그램 매핑 테이블 (Program Mapping Table) 또는 네트워크 정보 테이블 (Network Information Table)에 의해 정의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 장치.
KR1020137018898A 2011-01-19 2012-01-19 방송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874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645 2011-01-19
KR1020110005645A KR20120084233A (ko) 2011-01-19 2011-01-19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PCT/KR2012/000512 WO2012099428A2 (ko) 2011-01-19 2012-01-19 방송 시스템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31A true KR20140004131A (ko) 2014-01-10
KR101874142B1 KR101874142B1 (ko) 2018-07-04

Family

ID=465162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645A KR20120084233A (ko) 2011-01-19 2011-01-19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KR1020137018898A KR101874142B1 (ko) 2011-01-19 2012-01-19 방송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645A KR20120084233A (ko) 2011-01-19 2011-01-19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07946B2 (ko)
KR (2) KR20120084233A (ko)
WO (1) WO201209942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561A (ko) * 2014-01-14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0312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US9948416B2 (en) 2014-02-03 2018-04-1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29180A1 (en) * 2011-01-19 2021-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control message in a broadcast system
KR20120084233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RU2640640C2 (ru) * 2012-08-21 2018-01-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программа и устройство-сервер
KR102145745B1 (ko) * 2013-06-12 2020-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WO2015024252A1 (zh) 2013-08-23 2015-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遥控器、信息处理方法及系统
KR102121918B1 (ko) 2013-12-20 202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WO2016060410A1 (ko) * 2014-10-14 2016-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07211185B (zh) * 2015-02-03 2021-02-05 麦克赛尔株式会社 广播接收装置、广播接收方法和内容输出方法
EP3267691A4 (en) 2015-03-01 2018-06-20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device, broadcast signal receiving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iving method
US10306297B2 (en) * 2015-06-23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CN110198493B (zh) * 2018-02-26 2022-03-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媒体数据下载方法、装置、计算机设备、存储介质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64640A (fi) * 1996-11-21 1998-07-28 Nokia Multimedia Network Terminals Oy Menetelmä osoitetietojen välittämiseksi
EP0989743A1 (en) * 1998-09-25 2000-03-29 CANAL+ Société Anonyme Application data table for a multiservice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7028327B1 (en) * 2000-02-02 2006-04-11 Wink Communication Using the electronic program guide to synchronize interactivity with broadcast programs
JP4024015B2 (ja) * 2001-05-21 2007-12-19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放送連動制御方法及び連動制御方法
ATE415049T1 (de) * 2002-04-12 2008-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Herunterladen von programmen in rundfunkempfaenger
JP4047124B2 (ja) * 2002-10-08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JP2005347787A (ja) * 2004-05-31 2005-12-15 Toshiba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KR101154964B1 (ko) 2005-06-02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정보 송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서버,방송 정보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78238A (ko) 2006-01-26 2007-07-3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 망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시스템
JP4366392B2 (ja) * 2006-10-24 2009-1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番組表生成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90121435A (ko) 2008-05-22 2009-11-26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방법 및 단말기
US8966543B2 (en) * 2008-09-29 2015-02-2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to enable adaptation between physical bearers and OMA-BCAST
WO2010068043A2 (en) * 2008-12-09 2010-06-1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targeting descriptor in non-real-time receiver
TW201120732A (en) * 2009-12-08 2011-06-16 Inst Information Industry Content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10112199A (ko) * 2010-03-26 2011-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실시간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실시간 콘텐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20084233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WO2013176513A1 (ko) * 2012-05-25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한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4003394A1 (en) * 2012-06-25 2014-01-03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561A (ko) * 2014-01-14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로 연결된 방송 수신 디바이스와 다른 디바이스 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54745B2 (en) 2014-01-14 2020-02-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nection between broadcasting reception device and another device which are connected through network
US9948416B2 (en) 2014-02-03 2018-04-17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70000312A (ko) * 2015-06-23 201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20165693A (ko) * 2015-06-23 2022-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9428A3 (ko) 2012-11-22
US20130305305A1 (en) 2013-11-14
KR20120084233A (ko) 2012-07-27
US9407946B2 (en) 2016-08-02
WO2012099428A2 (ko) 2012-07-26
KR101874142B1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142B1 (ko) 방송 시스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956825B1 (ko) 프리뷰 컨텐츠 수신방법 및 iptv 수신기
CN101159830B (zh) 用于接收自适应广播信号的设备及其方法
JP7070630B2 (ja) 受信方法、及び、送信方法
US8397256B2 (en) IPTV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channel map information
KR102506963B1 (ko) 수신 장치, 송신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US8893205B2 (en) IPTV receiver and method of providing channel map management information
US8869219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hannel and an IPTV receiver
CN101232613B (zh) 发送/接收数字内容的方法和接收数字内容的装置
US11374670B2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US8484689B2 (en) IPTV receiver and method of discovering an IPTV service
WO2018079295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CN112738645B (zh) 用于在多媒体系统中发送和接收信号的方法和装置
KR102494266B1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00081714A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03062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multimedia system
US20170034066A1 (en) Transmission device,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device, and reception method
CN105812961A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KR20110070643A (ko) 광고를 동적으로 생성하여 멀티 단말기로 전송하는 장치
KR101243476B1 (ko) 프리뷰 컨텐츠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과, 그의 수신장치 및방법
KR20170134180A (ko)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5038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30142747A (ko) 미디어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미디어 데이터 처리 장치
KR20150145662A (ko) 방송 시스템에서 서비스 가이드 제공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