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387B1 -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387B1
KR101650387B1 KR1020150185115A KR20150185115A KR101650387B1 KR 101650387 B1 KR101650387 B1 KR 101650387B1 KR 1020150185115 A KR1020150185115 A KR 1020150185115A KR 20150185115 A KR20150185115 A KR 20150185115A KR 101650387 B1 KR101650387 B1 KR 10165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ssion
service
field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137A (ko
Inventor
이준휘
김진필
홍호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5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387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예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포함한 세션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로부터 세션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세션 제너럴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세션 제너럴 정보로부터 상기 세션을 구성하는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미디어 컴포넌트의 타입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가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파싱된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와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디코딩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디스크립션 정보를 파싱하며, 그리고 상기 파싱된 디스크립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를 디코딩하여 서비스에 접속하고 소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보다 빠르게 처리하여 서비스 제공까지의 시간을 줄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A method for processing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and an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세션 정보의 송수신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의 요구에 따라 제공되는 서비스는 점차 복잡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송신 측에서 다양한 방식에 따라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하여 전송되고, 수신 측에서 상기 각 방식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는 다양한 매체에 의해 송,수신된다. 다만, 최근에는 그러한 매체들 중 IP 매체가 각광받고 있다.
관련하여, 수신 측에서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요구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를 위한 여러 가지 시그널링 정보들이 필요하다. 다만, 수신 측에서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가 해당 서비스와는 별도로 전송되어 서비스를 시작함에 있어서 오버헤드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들을 정의함에 있어서, 상기 다양한 매체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바이너리 형식의 시그널링 정보를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XML 메타데이터 형식의 시그널링 정보를 정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와 그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정의되는 시그널링 정보를 기반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고자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 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포함한 세션(session)을 시그널링(signalling)하기 위한 디스크립션 정보(description information)를 포함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ession description descriptor; SDD)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로부터 세션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세션 제너럴 정보(session general information)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세션 제너럴 정보로부터 상기 세션을 구성하는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 타입(media type)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컴포넌트의 타입에 관한 정보로부터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media component)가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와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디코딩에 사용되는 파라미터들을 포함한 디스크립션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된 디스크립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를 디코딩하여 서비스에 접속하고 소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파싱된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코덱(codec)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는,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다수의 테이블 중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과 IP/MAC 노티피케이션 테이블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션 제너럴 정보는, 해당 세션(session)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 정보, 해당 세션의 버전 정보, 해당 세션의 어드레스 타입을 정의하는 정보, 세션 레벨(session level)의 커넥션(connection)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 상기 플래그 값에 따라 세션 전체의 컴포넌트(component)에 적용 가능한 커넥션(connection) 주소를 정의하는 정보 및 각 미디어 스트림(media stream)에 대한 상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래그 값에 따라 세션 전체의 컴포넌트(component)에 적용 가능한 커넥션(connection) 주소를 정의하는 정보는, 해당 세션을 통하여 전송되는 IP 스트림(IP stream)의 개수 정보와, 목적으로 하는 타겟 IP 어드레스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타입에는, 오디오와 비디오 중 적어도 하나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정보는, 상기 해당 컴포넌트가 전송되는 타겟 포트 넘버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와 RTP 페이로드의 타입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미디어 스트림은 엘레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세션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디스크립션 정보(description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딜리버리 세션 엘레멘트(delivery session general parameter element)를 추출하되, 상기 추출되는 딜리버리 세션 엘레멘트는 세션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 엘레멘트(session general parameter element), 세션 레벨 IP 주소를 지시하는 IP 어드레스 소스 엘레멘트(IP address source element) 및 세션을 구성하는 각 미디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미디어 엘레멘트(media element)를 포함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딜리버리 세션 엘레멘트로부터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 엘레멘트를 추출하여 파싱하는 단계; 상기 파싱된 딜리버리 세션 엘레멘트를 기반으로 IP 어드레스 소스 엘레멘트와 미디어 엘레멘트를 추출하여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파싱된 각 엘레멘트를 기반으로 해당 각 미디어 컴포넌트를 포함한 세션을 디코딩하여 서비스에 접속하고, 소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 엘레멘트는, 상기 세션을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도메인 정보를 제공하는 엘레멘트, 해당 세션의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엘레멘트, 해당 세션 디스크립션의 버전 정보를 정의하는 엘레멘트와, 콘텐트 아이템의 특정 포맷을 정의하는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텐트 아이템의 특정 포맷을 정의하는 엘레멘트는, 해당 콘텐트 아이템의 특정 포맷이 엘레멘터리 스트림임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미디어 엘레멘트는, 미디어 레벨 IP 주소를 정의하는 속성, 미디어 레벨 포트 넘버를 지시하는 속성, 상기 포트의 개수를 지시하는 속성과,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필요 대역폭을 정의하는 속성, 해당 미디어 타입에서 선호되는 기본 미디어 스트림을 정의하는 프리퍼드(preferred) 속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속성들, 상기 각 미디어 컴포넌트의 포맷을 정의하는 미디어 포맷 엘레멘트 및 해당 미디어 컴포넌트의 상세 속성을 정의하는 미디어 속성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디어 포맷 엘레멘트는, 해당 미디어 컴포넌트의 미디어 타입을 정의하는 미디어 타입 속성과 해당 세션이 전송되는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 속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속성들과, 상기 세션이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상세 미디어 포맷 디스크립션을 정의하는 미디어 포맷 디스크립션 엘레멘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일 예는, 채널을 튜닝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각 미디어 스트림을 포함한 세션과, 상기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커먼 메타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된 세션과 커먼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서부; 상기 파싱된 커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매니저를 제어하는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부; 상기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부의 제어에 따라 EPG 화면을 구성하는 EPG 매니저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UI 매니저부; 상기 EPG 매니저부와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부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접속을 제어하는 서비스 매니저부; 상기 서비스 매니저부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션을 프로세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세션 내 각 미디어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매니저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채널 맵을 저장하는 채널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파서부에서 파싱된 커먼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코더부에서 디코딩된 각 미디어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PTV 수신기의 일 예는, IP 신호를 인터페이스하여 수신하는 IP 인터페이스부; 상기 수신된 IP 신호로부터 각 미디어 스트림을 포함한 세션과, 상기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커먼 메타데이터를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부; 상기 역다중화된 세션과 커먼 메타데이터를 파싱하는 파서부; 상기 파싱된 커먼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 매니저를 제어하는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부; 상기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부의 제어에 따라 EPG 화면을 구성하는 EPG 매니저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전달하는 UI 매니저부; 상기 EPG 매니저부와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부의 제어를 받아 서비스 접속을 제어하는 서비스 매니저부; 상기 서비스 매니저부의 제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세션을 프로세싱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세션 내 각 미디어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전송되는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스트림의 구성 정보를 더욱 빠르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서비스 제공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의 빠른 수신 및 처리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2)에서 서비스를 수신에 필요한 레이어 1 시그널링(L1 Signalling)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서비스 정보(DVB-SI) 내 서비스 디스크립션 섹션(service description section)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의 비트스트림 신택스(bitstream syntax)를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media_info_bytes 필드의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AVC 비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AVC Video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을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MPEG-4 오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MPEG-4 Audio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하이어라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Hierarchy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SVC 익스텐션 디스크립션 바이트들(SVC Extension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Delivery Session General Parameter)에 대한 XML 형태의 스키마의 일 예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세션 타입(Delivery Session Type)에 대한 XML 형태의 스키마의 다른 예이고,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각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수신기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용어를 선정하였으며, 이 경우에는 해당되는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는 다양한 방식에 따라 송신측과 수신측 사이에 송수신된다. 상기 다양한 방식에는 예를 들어,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DVB-H, DVB-C/S/T, IPTV 방식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서,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데이터(service data)와 그에 관한 시그널링 정보(signalling information)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데이터는 미디어 스트림(media stream)을 예로 하여 설명하되, 상기 미디어 스트림은 이벤트(event)라고도 불리운다.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 데이터 즉, 미디어 스트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레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으로 송수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엘레멘터리 스트림(ES)은 세션(session)이라고도 불리운다. 또한, 상기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session description information)라고 명명하고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명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미리 밝혀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이다.
관련하여,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에서는, 모든 미디어 스트림을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 transport stream (TS)) 위에 IP 레이어(IP layer)를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여 엘레멘터리 스트림(ES)으로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시그널링 정보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는 SDP 파일에 포함되고, 상기 SDP 파일은 어퀴지션 프래그먼트들(Acquisition Fragments)에 의해 접근 가능하다. 상기 어퀴지션 프래그먼트는, 서비스 프래그먼트 자체 또는 상기 서비스 프래그먼트에 포함된 각 스케쥴된 이벤트 프래그먼트(Schedule Event 1 내지 4)와 연동되어 해당 SDP 파일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에서는 각 이벤트와 관련하여, 프렌치 오디오 스트림(French Audio stream), 잉글리쉬 오디오 스트림(English Audio stream) 및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이 도시하였다. 그리고 각 이벤트에 대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는, 별도의 스트림 SDP 스트림을 통해 전송된다.
또한,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에서는, 서비스 정보(service information) 및 어나운스먼트(announcement)를 위하여 TV 애니타임(TV anytime)에 기반한 전자 서비스 가이드(Electronic Service Guide; ESG)를 채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를 우선적으로 수신하여 처리하고, 사용자가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처리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가 상기 제공되는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를 통해 서비스 선택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첨부된 도 1과 같이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퀴지션 프래그먼들(acquisition fragments)을 통하여 해당 서비스의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가 포함된 SDP 파일을 받아서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수신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구조는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와는 별도의 스트림으로 전송한다. 따라서, 송신측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플루트 스트림(FLUTE stream) 전송단이 필요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상기 별도의 스트림으로 전송되는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특정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해당 특정 서비스를 수신에 필요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한 SDP 스트림을 수신하여 처리하여야 하는 등 서비스의 선택에서부터 제공에 이르기까지 오버헤드(overhead)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2)에서 서비스를 수신에 필요한 레이어 1 시그널링(L1 Signalling)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프레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T2 프레임(T2 frame)은 P1, P2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심볼들(data symbols)로 구성된다. 상기 P1은 전송 타입(transmission type)과 기본적인 전송 파라미터들(transmission parameters)을 나타내는 P1 시그널링(P1 signalling)을 포함하고, P2은 L1 포스트-시그널링(L1 post-signalling)의 수신 및 디코딩을 가능하게 하는 L1 프리-시그널링(L1 pre-signalling)과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physical layer pipes; PLP)을 접근할 수 있는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L1 포스트-시그널링(L1 post-signalling)을 포함한다. 상기 L1 포스트-시그널링은, 컨피규러블(Configurable), 다이내믹(Dynamic), 익스텐션(Extension), CRC(Cyclic Redundancy Check) 및 L1 페딩(L1 padding)을 포함한다. 따라서, 송신측에서는 상기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PLP)를 통해서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2 TS) 혹은 GSE(Generic Substation Events) 스트림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전한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을 위한 프레임의 구조는 P1, L1 시그널링(L1 signalling), 커먼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Common PLPs), 타입 1 형식의 데이터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data PLPs, type 1), 타입 2 형식의 데이터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data PLPs, type 2) 및 보조 스트림들(auxiliary streams)로 구성되고, 더미 셀들(Dummy cells)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상술한 시스템상에서 적용 가능한 세션 정보 송수신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명세서에서는 세션 디스크립션(session description) 정보를 송수신함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가지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첫 번째 방법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바이너리(binary) 형태로 송수신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송수신하는 방법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송수신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T2)의 경우, 상술한 도 3과 같은 프레임(frame) 구조를 갖는다. 여기에서, 실제 방송 콘텐츠에 해당되는 데이터들은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PLPs)을 통해 전송된다. 이때, 상기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들 중 커먼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Common PLP)는, 모든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PLP)에 공통되는 데이터가 포함되는 영역으로 시그널링 용도로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커먼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Common PLP)는 도 4와 같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서비스 정보 내 다수의 테이블 중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ervice Description Table; SDT)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서비스 루프는 디스크립터 루프(descriptor loop)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너리 형태의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는, 상기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가 포함되는 디스크립터는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ession description descriptor; SDD)라 명명하나, 상기 명칭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PLP)를 통해 전송되는 각 서비스를 구성하는 미디어 스트림의 구성 정보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는, 송수신측에서 커먼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Common PLP) 내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통해 빠른 전달과 처리가 가능하다. 즉,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는, 피지컬 레이어 파이프(PLP) 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혹은 GSE 스트림 상의 IP 패킷으로 전달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앞 단인 시그널링 단계에서 전달되므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빠르게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다. 수신기의 관점에서 볼 때 예를 들어, 후술할 수신기 구조에서 IP 레이어 단에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전단인 복조부(demodulating part)나 역다중화부(demultiplxing part) 단에서 처리함으로써, 서비스 접근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의 경우, 서비스는 상술한 도 1의 형태로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에서 SDP 파일(file)을 찾아가는 단계를 거쳐서 수신된다. 상기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서비스에 대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에 포함함으로써 시그널링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는, INT(IP/MAC Notification Table)의 디스크립터의 하나로 포함하여 시그널링에 이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에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포함함으로써 각 서비스별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에서 IP 레이어 상의 별도의 플루트 스트림(FLUTE stream)을 통해 전송되는 SDP 파일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이 필요없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포트 스트림 레이어(TS layer) 상의 서비스 정보 내 바이너리 형태로 세션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서비스 접근 시간을 줄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그에 따라 서비스 이용의 증가 효과도 가져올 수 있다.
여기에서, 만약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INT 상에 추가한다면, 각 IP 플랫폼(Platform) 별로 전달되는 모든 서비스에 대한 세션 정보를 전달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상에 지정된 세션 정보를 INT를 통해 전달된 세션 정보 상에서 찾아서 이용할 수 있다. 이 역시 종래 방식에 비해 서비스 접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예시들은, 수신기 구조에서 IP 레이어 단이 아닌 시그널링 디코더(signalling decoder) 단에서의 처리가 가능함을 예시하고, 이는 결국 빠른 서비스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로 설명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에 포함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INT에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는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별도로 도시하거나 설명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포함하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 섹션(SDT section)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구조도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 섹션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서비스 정보(DVB-SI)에 포함된다.
이하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 섹션을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필드의 명칭은 영문으로 그대로 사용한다.
table_id 필드는, 해당 테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지시한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는, “1”로 설정되어 있다(The section_syntax_indicator is a 1-bit field which shall be set to "1").
section_length 필드는, 첫 번째 두 비트는 “00”이고, 상기 “00”은 section_length 필드에서 즉시 시작하여 CRC_32 필드를 포함하여 상기 필드의 바이트의 수를 설명한다. 상기 section_length 필드는 전체 섹션의 최대 길이인 1024 바이트이므로 1021 바이트를 넘지 않을 것이다(This is a 12-bit field, the first two bits of which shall be "00". It specifies the number of bytes of the section, starting immediately following the section_length field and including the CRC. The section_length shall not exceed 1021 so that the entire section has a maximum length of 1 024 bytes).
transport_stream_id 필드는, 전송 시스템 내 어느 다른 다중화로부터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 정보에 대한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식별하기 위한 라벨(label)을 제공한다(This is a 16-bit field which serves as a label for identification of the TS, about which the SDT informs, from any other multiplex within the delivery system).
version_number 필드는, sub_table의 버전 넘버를 정의한다. 상기 버전 넘버는 전송되는 sub_table 내에 어떤 변화가 발생하면 1씩 증가한다. 상기 값이 “31”에 도달하면, “0”으로 랩 어라운드(wrap around) 한다. 상기 current_next_indicator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version_number 필드는 현재 sub_table에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상기 current_next_indicator가 “0”로 설정되어 있으면, version_number 필드는 다음 sub_table에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This 5-bit field is the version number of the sub_table. The version_number shall be incremented by 1 when a change in the information carried within the sub_table occurs. When it reaches value "31", it wraps around to "0". When the current_next_indicator is set to "1", then the version_number shall be that of the currently applicable sub_table. When the current_next_indicator is set to "0", then the version_number shall be that of the next applicable sub_table).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는, 지시자가 “1”을 지시하면, sub_table은 현재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지시자가 “0”을 지시하면, 전송된 sub_table은 아직 적용할 수 없으며, 다음 sub_table에 유효할 것이다(This 1-bit indicator, when set to "1" indicates that the sub_table is the currently applicable sub_table. When the bit is set to "0", it indicates that the sub_table sent is not yet applicable and shall be the next sub_table to be valid).
section_number 필드(8 비트)는, 섹션의 넘버를 준다. 첫 번째 섹션의 section_number의 값은 “0x00”일 것이다. section_number는 동일한 table_id 필드, transport_stream_id 필드 및 original_network_id 필드의 값을 가지는 각 추가적인 섹션에 대해 1씩 증가할 것이다(This 8-bit field gives the number of the section. The section_number of the first section in the sub_table shall be "0x00". The section_number shall be incremented by 1 with each additional section with the same table_id, transport_stream_id, and original_network_id).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해당 섹션이 sub_table의 부분으로서 마지막 섹션의 넘버(즉, 마지막 섹션의 가장 큰 섹션 넘버를 가짐)를 설명한다(This 8-bit field specifies the number of the last section (that is, the section with the highest section_number) of the sub_table of which this section is part).
original_network_id 필드는, 본래 전송 시스템의 network_id를 식별하기 위한 라벨을 제공한다(This 16-bit field gives the label identifying the network_id of the originating delivery system).
service_id 필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내 어느 다른 서비스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한 라벨을 제공한다. service_id는 해당 program_map_section 내 program_number와 동일할 것이다(This is a 16-bit field which serves as a label to identify this service from any other service within the TS. The service_id is the same as the program_number in the corresponding program_map_section).
EIT_schedule_flag 필드는, 해당 필드 값이 “1”으로 설정되면 서비스를 위한 EIT 스케쥴 정보는 현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존재함을 지시한다. 해당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되면 서비스를 위한 EIT 스케쥴 정보는 현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한다(This is a 1-bit field which when set to "1" indicates that EIT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service is present in the current TS, see TR 101 211 [7] for information on maximum time interval between occurrences of an EIT schedule sub_table. If the flag is set to 0 then the EIT schedule information for the service should not be present in the TS).
EIT_present_following_flag 필드는, 해당 필드 값이 “1”으로 설정되면 서비스를 위한 EIT present/following 정보는 현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존재함을 지시한다. 해당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되면 서비스를 위한 EIT present/following 정보는 현재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한다(This is a 1-bit field which when set to "1" indicates that EIT_present_following information for the service is present in the current TS, see TR 101 211 [7] for information on maximum time interval between occurrences of an EIT present/following sub_table). If the flag is set to 0 then the EIT present/following information for the service should not be present in the TS).
running_status 필드는, 서비스의 상태를 지시한다. NVOD 레퍼런스 서비스를 위한 해당 필드 값은 “0”으로 설정될 것이다(This is a 3-bit field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service as defined in table 6. For an NVOD reference service the value of the running_status shall be set to "0").
free_CA_mode 필드는, 서비스의 모든 컴포넌트 스트림들의 스크램블 여부를 지시한다. 만약 해당 필드 값이 ‘0’로 설정되면, 서비스의 모든 컴포넌트 스트림들은 스크램블되어 있지 않음을 지시하고, 상기 해당 필드 값이 ‘1’이면 그 반대로 스크램블되어 있음을 지시한다(This 1-bit field, when set to "0" indicates that all the component streams of the service are not scrambled. When set to "1" it indicates that access to one or more streams may be controlled by a CA system).
descriptors_loop_length 필드는, 다음 디스크립터들의 바이트들의 전체 길이를 제공한다(This 12-bit field gives the total length in bytes of the following descriptors).
CRC_32 필드는, CRC 값을 포함한다. 상기 CRC 값은 전체 섹션을 프로세싱한 후에 디코더에서 레지스터들의 제로 출력을 주는 값이다(This is a 32-bit field that contains the CRC value that gives a zero output of the registers in the decoder defined in annex B after processing the entire sec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의 비트스트림 신택스(bitstream syntax)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MPEG-2 디스크립터 형태로 작성하였으나, 반드시 MPEG-2 디스크립터 형태로 작성될 필요는 없고 다른 형태로 작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비트스트림 신택스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는 각 서비스(service)에 대하여 세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들, 이에 속하는 미디어 스트림들(media streams)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 등의 디스크립션 정보와, 각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descriptor_length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Session_ID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descriptor)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세션 디스크립션과 관련하여 해당 세션(session)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자를 포함한다(unique identifier for the session).
Session_Version 필드는, 해당 세션 디스크립션의 버전 넘버를 포함한다(a version number for this session description).
Address_type 필드는, 어드레스 타입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에 포함된 지시자는 해당 IP 어드레스(IP Address)가 IPv4 어드레스인지 IPv6 어드레스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Session_level_connection_flag 필드는, 세션 레벨(session level)의 커넥션(connection)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가 예(Yes)인 경우에는, 세션 전체의 컴포넌트(component)에 적용 가능한 커넥션(connection) 주소가 Target_ip_address 필드와 Address_count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signalling)될 수 있다. 즉, Address_count 필드는, 해당 세션(session)을 통하여 전송되는 IP 스트림(IP stream)의 개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각각의 IP 스트림의 어드레스는 디스크립터에서 주어진 Target_IP_address 필드로부터 마지막 비트(bit)로부터 1씩 증가된 값을 가질 수 있다. Target_IP_address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에서 목적으로 하는 타겟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IP 어드레스는, 해당 서비스의 IP 어드레스 또는 해당 세션의 대표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Media_info_length 필드는, 각 미디어 스트림(media stream)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하는 Media_info_byte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Media_info_bytes 필드는, 각 미디어 스트림의 상세 정보를 포함한다.
하나의 콘텐트를 구성하는 세션은 다수 개의 미디어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수 개의 오디오/비디오 및 기타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스트림 간의 다양한 조합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하나의 Media_info_bytes 구조에 담겨서 전달될 수 있고,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의 media_info 루프(loop)에는 다수 개의 Media_info_bytes 구조가 미디어 스트림의 개수만큼 담겨서 전달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media_info_bytes 필드의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media_info_bytes 필드의 비트스트림 신택스 역시 MPEG-2 디스크립터 형태로 작성하였으나, 반드시 MPEG-2 디스크립터 형태로 작성될 필요는 없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media_info_bytes 필드의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각각의 서비스(service)에 대하여 각각의 스트림 컴포넌트들(stream components)에 대한 IP 접속 정보 및 디스크립션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media_info_bytes 필드의 비트스트림 신택스는 하나의 엘레멘터리 스트림(ES)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이하 상기 media_info_bytes 필드를 구성하는 각 필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Media_Type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component)의 미디어 타입(media type)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디어 타입에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등이 있을 수 있다.
Preferred 필드는, 해당 미디어 스트림이 동일한 미디어 타입인 미디어 스트림 간에 선호되는 스트림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드의 값이 ‘1’이면, 해당 스트림은 동일한 미디어 타입의 다수 개의 스트림 중 우선적으로 선택해야할 스트림임을 지시할 수 있다.
Address_type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의 어드레스 타입을 지시하는 지시자(indicator)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어드레스 타입은 해당 IP 어드레스가 IPv4 어드레스인지 IPv6 어드레스인지를 지시할 수 있다.
Target_Port_Num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가 전송되는 타겟 포트 넘버(target port number)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포트 넘버는 상기 해당 컴포넌트가 전송되는 IP 스트림의 UDP(User Datagram Protocol) 포트 넘버를 나타낼 수 있다.
Port_Count 필드는, 해당 세션을 통하여 전송되는 포트 넘버의 개수를 나타낸다. 각 IP 스트림의 UDP 포트 넘버는 디스크립터에서 주어진 Target_Port_Num 필드로부터 마지막 비트로부터 1씩 증가된 값을 가질 수 있다.
Codec_Type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의 코덱 타입(codec type)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코덱 타입에는 H.264, HE-AA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Component_connection_flag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의 커넥션(connection)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 값이 예(yes)인 경우에는, 해당 컴포넌트가 전송되는 커넥션 주소가 이어지는 Target_ip_address 필드와 Address_count 필드를 통해 시그널링 될 수 있다.
Address_count 필드는, 해당 세션을 통하여 전송되는 IP 스트림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개수에 따른 각 IP 스트림의 어드레스는 디스크립터에서 주어진 Target_IP_address 필드로부터 마지막 비트로부터 1씩 증가된 값을 가질 수 있다.
Target_IP_address 필드는, 타겟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타겟 IP 어드레스는 해당 서비스의 IP 어드레스 또는 해당 세션의 대표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MPEG-4_ES_ID 필드는, 해당 컴포넌트의 MPEG-4 엘레멘터리 스트림(ES)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포함한다.
attribute_length 필드는, 각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속성 정보를 담고 있는 attribute_byte 필드의 길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attribute_bytes 필드는, 각 미디어 스트림의 속성 정보를 담고 있다.
상술한 각 미디어 스트림의 attribute_bytes 필드의 값은 미디어 스트림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디스크립션이 있을 수 있다. 도 7 내지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 6의 attribute_bytes 필드에 포함될 수 있는 속성 정보들에 대한 비트스트림 신택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10을 참조하면, 상기 attribute_bytes 필드에 포함될 수 있는 속성 정보로, AVC 비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AVC Video Description Bytes) 디스크립터, MPEG-4 오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MPEG-4 Audio Description Bytes) 디스크립터, 하이어라키 디스크립션 바이트(Hierarchy Description Bytes) 디스크립터와, SVC 익스텐션 디스크립션 바이트(SVC Extension Description Bytes) 디스크립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도 7 내지 10의 각 필드에 대한 명칭은 설명을 편의를 위해 영문 명칭을 그대로 사용한다.
각 데이터 모델(data model)은 오디오 컴포넌트, 비디오 컴포넌트 등을 디코딩할 때 사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들(parameters)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크립터의 디스크립션은 description_tag 필드에 의해서 구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션 바이트들의 description_tag 필드의 값은 각 도에서 예시하여 구분하였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미리 밝혀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AVC 비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AVC Video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이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dc, constraint_set0_flag, constraint_set1_flag, constrant_set2_flag, AVC_compatible_flags 및 level_idc 필드들은, AVC_compatible_flags 필드를 제외하고 나머지 필드들은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에서 정의된 해당 필드들의 시맨틱스에 따라 코딩될 것이다. AVC_compatible_flags 필드의 시맨틱스는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에 정의된 시퀀스 파라미터 셋 내 constraint_set2_flag와 level_idc 필드 사이에 5 비트로 정의된 시맨틱스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MH_component_type_data()과 관련된 전체 AVC 비디오 스트림은 해당 필드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프로필, 레벨과, 제약들에 따를 것이다(These fields, with the exception of AVC_compatible_flags shall be coded according to the semantics for these fields defined in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The semantics of AVC_compatible_flags are exactly equal to the semantics of the field(s) defined for the 5 bits between the constraint_set2_flag and the level_idc field in the Sequence Parameter Set, as defined in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The entire AVC video stream to which the MH_component_type_data() is associated shall conform to the profile, level and constraints signaled by these fields).
AVC_still_present 필드(1 비트)는, AVC 비디오 스트림에 AVC 스틸 픽쳐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만약 해당 필드 값이 ‘1’로 설정되면, AVC 비디오 스트림은 AVC 스틸 픽쳐들을 포함할 것이고, ‘0’으로 설정되면 그렇지 않을 것이다(This 1-bit field when set to '1' indicates that the AVC video stream may include AVC still pictures. When set to '0', then the associated AVC video stream shall not contain AVC still pictures).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MPEG-4 오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MPEG-4 Audio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이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MPEG-4_audio_profile_and_level 필드(8 비트)는, MPEG-4 프로파일 레벨 인디케이션의 데시멀 표현을 식별한다. 해당 파라미터는 MPEG-4 프로바일과 관련 MPEG-4 미디어 코덱과 레벨 결합을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An 8-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hall identify a decimal representation of the MPEG-4 Profile Level indication. This parameter shall be used to indicate the MPEG-4 Profile and Level combination of which the relevant MPEG-4 media codec is capable. The MPEG-4 Audio Profiles and Levels are listed in Table 1.12 of ISO/IEC 14496-3 and ISO/IEC 14496-3 with Corrigendum No. 2 [15]).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하이어라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Hierarchy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이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temporal_scalability_flag 필드는, 해당 스케일러블 미디어 스트림(scalable media stream)의 종류가 템퍼럴(temporal) 임을 지시하는 플래그이다. spatial_scalability_flag 필드는, 해당 스케일러블 미디어 스트림의 종류가 스페이셜(spatial) 임을 지시하는 플래그이다. quality_scalability_flag 필드는, 해당 스케일러블 미디어 스트림의 종류가 퀄러티(quality) 임을 지시하는 플래그이다. 상기 세 플래그 필드는 예를 들어,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스케일러블 종류에 따라 어느 하나의 플래그 필드만 유효할 수도 있다.
hierarchy_type 필드는, 관련 하이어라키 계층과 그 하이어라키 임베디드 계층 사이에 하이어라키 관계의 타입을 정의한다(The hierarchical relation between the associated hierarchy layer and its hierarchy embedded layer is defined by the following table 2-45 on page 62 below).
hierarchy_layer_index 필드는, 코딩 계층 하이어라키들의 테이블에서 관련 엘레멘터리 스트림(ES)의 유일한 인덱스(index)를 정의한다. 상기 인덱스들은, 싱글 프로그램 정의 내에서 유일한 인덱스일 수 있다(The hierarchy_layer_index is a 6 bit field that defines a unique index of the associated elementary stream in a table of coding layer hierarchies. Indices shall be unique within a single program definition).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필드는, 해당 hierarchy_descriptor와 관련된 엘레멘터리 스트림의 디코딩 전에 액세스되기 위해 필요한 엘레멘터리 스트림(ES)의 하이어라키 테이블 인덱스를 정의한다. 해당 필드는 상기 hierarchy_type의 값이 15 즉, 베이스 계층이면 정의되지 않을 것이다(The hierarchy_embedded_layer_index is a 6 bit field that defines the hierarchy table index of the elementary stream that needs to be accessed before decoding of the elementary stream associated with this hierarchy_descriptor. This field is undefined if the hierarchy_type value is 15 (base layer)).
hierarchy_channel 필드는, 전송 채널들의 순차 세트에서 프로그램 엘레멘트와 관련된 의도된 채널 넘버를 지시한다. 가장 로버스트한 전송 채널은 전체적인 전송 계급 정의에 대한 해당 필드의 가장 낮은 값에 의해 정의된다(The hierarchy_channel is a 6-bit field that indicates the intended channel number for the associated program element in an ordered set of transmission channels. The most robust transmission channel is defined by the lowest value of this field with respect to the overall transmission hierarchy defini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SVC 익스텐션 디스크립션 바이트들(SVC Extension Description Bytes)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비트스트림 신택스이다.
descriptor_tag 필드는, 해당 디스크립터를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profile_idc 필드는, 해당 필드는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에서 정의된 해당 필드들을 위한 시맨틱스들에 따라 모두 코딩될 것이다(This field shall all be coded according to the semantics for these fields defined in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SVC_compatible_flags 필드는,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에서 정의된 서브셋 시퀀스 파라미터 셋(Subset Sequence Parameter Set) 내 constraint_set32_flag와 level_idc 필드 사이에서 정의됨으로써 정확하게 코딩되어진다(These 45 bits shall be coded exactly as defined for the 45 bits between the constraint_set32_flag and the level_idc field in the Subset Sequence Parameter Set, as defined in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level_idc 필드는,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정의된 해당 필드를 위한 시맨틱스에 따라 코딩된다. MH_component_type_data()에 관련된 해당 전체 SVC 비디오 스트림은 해당 필드들에 의해 시그널링된 프로파일, 레벨과, 제약들에 따른다(This field shall be coded according to the semantics for this field defined in ITU-T Rec. H.264 | ISO/IEC 14496-10 [11]. The entire SVC video stream to which this MH_component_type_data() is associated shall conform to the profile, level and constraints signaled by these fields).
layer_id 필드는, SVC 인핸스먼트 계층의 계층 식별자를 설명한다. 해당 필드 값이 ‘1’로부터 시작하고, ‘0’은 베이스 계층을 지시하기 위해 보류한다. 더구나, 상기 SVC 인핸스먼트 계층을 위한 layer_id 필드의 값은 상기 SVC 인핸스먼트 계층에 의존하는 모든 계층들의 layer_id 필드 값들 보다 커질 것이다(An 8-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layer identifier of the SVC enhancement layer. The value shall start from '1', where '0' is reserved to indicate the base layer. Furthermore, the value of layer_id for an SVC enhancement layer shall be greater than the layer_id values of all the layers that the SVC enhancement layer depends on).
max_temporal_id 필드(3 비트)는, SVC 인핸스먼트 계층의 템퍼럴 계층을 설명한다. 해당 필드 값이 ‘1’보다 크면, 상기 SVC 계층은 베이스 계층에서 템퍼럴 인핸스먼트를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해당 필드는 SVC 인핸스먼트 계층 내 VCL NAL 유닛들의 temporal_id의 최대값을 설명한다. 상기 값이 ‘1’이상이면, 상기 SVC 계층은 베이스 계층에서 템퍼럴 인핸스먼트를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이 값은 디코딩을 위해 이용 가능한 의존적인 모든 계층들과 인핸스먼트 계층일 때 어취버블 비디오 프레임 레이블 레벨(achievable video frame rate level)을 지시한다(A 3-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temporal level of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1, the SVC layer includes a temporal (frame rate)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A 3-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maximum value of temporal_id(a field in the SVC NAL unit header extension) of all VCL NAL units in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the SVC layer includes a temporal (frame rate)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This value indicates the achievable video frame rate level when the enhancement layer and all the layers that it depends on are available for decoding).
max_dependency_id 필드는, SVC 인핸스먼트 계층의 인터-계층 코딩 디펜던시 레벨을 설명한다. 해당 값이 ‘1’보다 크면, 상기 SVC 계층은 베이스 레이어에서 스페이셜 인핸스먼트를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해당 필드 값은 SVC 인핸스먼트 계층 내 모든 VCL NAL 유닛들의 dependencyy_id의 최대값을 설명한다. 상기 값이 ‘1’이상이면, SVC 계층은 베이스 계층에서 스페이셜 또는 퀄리티 인핸스먼트 계층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 반대일 수 있다. 이 값은 그것에 의존적인 모든 계층들과 인핸스먼트 계층이 디코딩을 위해 이용 가능하면, 어취버블 비디오 레졸루션 레벨 또는 퀄리티 레벨을 지시한다(A 4-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inter-layer coding dependency level of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1, the SVC layer includes a spatial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A 3-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maximum value of dependency_id (a field in the SVC NAL unit header extension) of all VCL NAL units in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the SVC layer includes a spatial or quality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This value indicates the achievable video resolution level or quality level when the enhancement layer and all the layers it depends on are available for decoding).
max_quality_id 필드는, SVC 인핸스먼트 계층의 퀄리티 레벨을 설명한다. 그 값이 ‘1’보다 크면, 상기 SVC 계층은 베이스 계층에서 퀄리티 인핸스먼트 계층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해당 필드가 4비트이면, SVC 인핸스먼트 계층에 모든 VCL NAL 유닛들 사이에 dependency_id의 최대값과 관련된 모든 VCL NAL 유닛들의 quality_id의 최대값을 설명한다. 그 값이 ‘1’이상이면, 상기 SVC 계층은 베이스 계층에서 미디엄-그레인 스케이블 퀄리티 인핸스먼트 계층을 포함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이 값은 그것에 의존하는 모든 계층들과 인핸스먼트 계층이 디코딩에 이용 가능하면, 어취버블 비디오 퀄리티 레벨을 지시한다(A 3-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quality level of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1, the SVC layer includes a quality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A 4-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maximum value of quality_id (a field in the SVC NAL unit header extension) of all the VCL NAL units with the maximum value of dependency_id among all VCL NAL units in the SVC enhancement layer. When it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1', the SVC layer includes a medium-grain scalable quality enhancement to the base layer, and vice versa. This value indicates the achievable video quality level when the enhancement layer and all the layers that it depends on are available for decoding).
num_directly_dependent_layers 필드는, 현재 SVC 계층이 의존하는 다른 SVC 계층들의 수를 설명한다(A 6-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number of other SVC layers that the current SVC layer directly depends on).
directly_dependent_layer_id 필드는, 현재 SVC 인핸스먼트 계층을 직접 의존하는 SVC 계층의 계층 식별자를 설명한다(An 8-bit unsigned integer field that specifies the layer identifier of an SVC layer which the current SVC enhancement layer directly depends on).
SVC_still_present 필드는, SVC 비디오 스트림은 SVC 스틸 픽쳐들을 포함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상기 필드 값이 ‘0’으로 설정되면, 관련된 SVC 비디오 스트림은 SVC 스틸 픽쳐들을 포함하지 않는다(This 1-bit field when set to '1' indicates that the SVC video stream may include SVC still pictures. When set to '0', the associated SVC video stream shall not contain SVC still pictures).
상술한 바와 같이, SDP에 해당하는 값들을 디스크립터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의 특정 테이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맵 테이블(Program Map Table; PMT), 가상 채널 테이블(Virtual Channel Table; VCT), 또는 서비스 디스크립션 테이블(SDT), INT 등의 테이블에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IP 상의 스트림을 시그널링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시그널링 되는 IP 상의 스트림은 해당 트랜스포트 스트림(TS) 내, 혹은 다른 트랜스포트 스트림(TS) 상의 IP 인캡슐레이션(IP encapsulation)을 통해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형태로 전달되거나 또는 양방향 네트워크 IP 망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IP 스트림을 통하여 상기 디스크립터를 전달하여 IP 상의 스트림을 시그널링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에서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경우에는 SDP 파일이 플루트(FLUTE)를 통해 전송되나, 본 발명에 따라 상기 SDP 파일을 디스크립터 형태로 전달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XML 형태로 송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방법으로, XML 형태의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사용하여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상에 추가함으로써 별도의 메커니즘을 거쳐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찾는 것이 아니라 바로 전자 서비스 가이드(ESG) 상의 정보를 이용하게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제1 실시예는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바이너리 형태로 구성한 것이었으나, 제2 실시예는 상기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XML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경우에는 IPTV와 같이 바이너리 형태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가 아닌 경우가 아니면 공통으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이하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XML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IPTV까지 포함한 모든 방식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특히,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의 경우 SD&S(Service Discovery & Selection)를 통해 서비스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상기 과정에서 서비스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하나의 URL(Uniform/universal Resource Locator)로 트랜스포트 스트림(TS) 기반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엘레멘터리 스트림(ES) 기반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엘레멘터리 스트림(ES) 기반으로 전송하는 경우에는 각 미디어 스트림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URL로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모두 포함한 세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만, IPTV의 경우에는 바이너리 형태의 테이블이 아닌 XML 형태로 필요한 정보들을 전송하는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정보를 XML 형태로 구성하고 이를 SD&S 상에 추가함으로써 손쉽게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IPTV의 경우에는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Delivery Session General Parameter)에 대한 XML 형태의 스키마의 일예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 엘레멘트(element)는 세션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 파라미터들을 포함한다. 이하 상기 딜리버리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 엘레멘트를 구성하는 각 서브-엘레멘트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ervice-Provider-Domain 엘레멘트는, 세션을 만드는 서비스 파라미터의 도메인을 지시한다(is a domain of service provider who creates the session).
Delivery-Session-ID 엘레멘트는, 세션을 구분하기 위한 유일한 식별자를 지시한다(unique identifier for the session).
Delivery-Session-Version 엘레멘트는, 해당 세션 디스크립션의 버전 넘버를 정의한다(is a version number for this session description).
Content-Item-Format 엘레멘트는, 다음 값들을 가지고, 콘텐트 아이템의 특정 포맷을 정의한다(specific format of content item. It can have the following values). 본 엘레멘트는 예를 들어, 아래와 표 1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값(Vlaue) 의미(Meaning)
0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MPEG-2 Transport stream)
1 BCG 메타데이터과 관련된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MPEG-2 Transport steam with associated BCG metadata).
2 디지털 비디오 방송 파일 포맷에서 인캡슐된 엠펙-2 트랜스포트 스트림 포맷(MPEG-2 Transport steam encapsulated in DVB File Format).
3 콘텐트 아이템 디스크립션에서 파일들의 리스트 내 첫 번째 파일의 콘텐트-타입에 의해 정의되는 포맷(Defined by Content-type of first file in the list of files in the content item descripton).
4 엘레멘터리 스트림 포맷(Elementary stream).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Content-Item-Format 필드의 값으로 4를 설정함으로써, 엘레멘터리 스트림(ES) 전송임을 시그널링 하고자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딜리버리 세션 타입(Delivery Session Type)에 대한 XML 형태의 스키마의 다른 예이다. 여기에서, 도 13은 상기 도 12의 딜리버리 세션 제너럴 파라미터를 확장한 딜리버리 세션(Delivery Session)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딜리버리 세션 타입은 크게 상술한 도 12의 엘레멘트들, 세션 레벨 IP 주소를 지시하는 IP-Address-Source 엘레멘트와 세션을 구성하는 각 미디어 컴포넌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Media Information 엘레멘트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Media Information 엘레멘트는, 다수 개의 속성들, Media-Format 엘레멘트와 Media-Attribute 엘레멘트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각 세션은 하나 이상의 스트림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Prefered 엘레멘트의 속성을 통하여 선호되는 기본 미디어 조합을 구성하여 전달할 수 있다. 각 미디어 타입별로 하나의 미디어만이 Preferred 엘레멘트의 속성을 참(True)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속성들 중 IP-Address 속성은, 해당 미디어 레벨 IP 주소를 지시한다. IP-Port-Number 속성은, 미디어 레벨 포트 넘버(Media level Port number)를 지시한다. Number-of-Ports 속성은, 포트 개수를 지시한다. Max-Bandwidth-Requirement 속성은,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최대 필요 대역폭을 지시한다. Preferred 속성은, 참(true)일 경우 해당 미디어 타입(Media type)에서 선호되는 기본 미디어 스트림을 뜻한다. 다만, 상기 Preferred 속성의 기본 값은 거짓(False)일 수 있다.
다음으로, Media-Format 엘레멘트는, Media-Type 속성 및 Transport-Protocol 속성과, Media-Format-description 엘레멘트를 포함한다.
Media-Type 속성은, 해당 컴포넌트(Component)의 미디어 타입(Media Type)을 지시한다. 이때, 상기 미디어 타입에는, 예를 들어,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등이 있을 수 있다.
Transport-Protocol 속성은, 전송 프로토콜을 지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전송 프로토콜에는 예를 들어, UDP, RTP/AVP, RTP/SAVP 등이 있을 수 있다.
Media-Format-description 엘레멘트는, 전송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상세 미디어 포맷 디스크립션을 정의한다.
Media Attribute 엘레멘트는, 미디어에 대한 상세 속성을 정의한다.
-방송 수신기-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라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각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도이다. 여기에서, 도 13은 IPTV 수신기, 도 14는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 도 15는 위성/지상파 디지털 비디오 방송 수신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도 13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 내지 15에 도시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전체적으로 IPTV 프론트엔드단(IPTV Frontend), 브로드캐스트 프론트엔드단(Broadcast Frontend), 플루트 프로세싱단(FLUTE Processing), 서비스 매니징단(service managing), 메타데이터 프로세싱단(Metadata Processing), I/O 프로세싱단(Input/Output Processing), 미들웨어 프로세싱단(Middleware Processing), A/V 프로세싱단(Audio/Video Processing) 및 PVR 프로세싱단(Personal Video Recorder Processing)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프론트엔드단은, 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도 13)되거나 포함(도 14 내지 15)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3 내지 15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한꺼번에 설명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구성하는 각 단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로드캐스트 프론트엔드단(Broadcast Frontend)]
브로드캐스트 프론트엔드단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전송 방식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디코딩하여 IP 패킷(paket)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브로드캐스트 프론트엔드단은, 튜너/역다중화기(Tuner/Demodulator)(1401,1501), GSE 버퍼/파서(Generic Substation Events (GSE) Buffer/Parser)(1502/1505), TS 버퍼(TS Buffer)(1403,1503), MPE 버퍼/파서(MPE Buffer/Parser)(1402/1405) 및 PSI/SI 버퍼/디먹스+파서(PSI/SI Buffer/Demux+Parser)(1404,1504/1406,150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튜너/역다중화기(1401,1501)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스트림(stream) 형태로 출력한다. DVB-S2/T2/C2의 경우 GSE/TS로, DVB-H의 경우 TS 형태로 출력된다.
GSE 버퍼/파서(1502/1505)는, GSE 스트림(Generic Substation Events stream)을 버퍼링하고 디코딩하여 IP 패킷으로 출력한다.
TS 버퍼(1403,1503)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을 버퍼링한다.
MPE 버퍼/파서(1402/1405)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MPE 프라이빗 섹션(Moving Picture Encoding (MPE) private section)을 추출하여 IP 패킷으로 출력한다.
PSI/SI 버퍼/디먹스+파서(1404,1504/1406,1506)는 트랜스포트 스트림(TS)에서 PSI/SI 신호를 버퍼링(buffering)하고 이를 디코딩하여 MPE 전송 등에 관한 정보를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에 전달한다.
[IPTV 프론트엔드단(IPTV Frontend)]
IPTV 프론트엔드단은, IP 기반인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의 요청에 따라 적절한 처리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상기 IPTV 프론트엔드단은, IP 인터페이스(IP interface)(1306)와 IP/포트 필터+파서(IP/Port Filter+Parser)(1307,1407,1507)를 포함할 수 있다.
IP 인터페이스(1306)는, 이더넷(Ethernet), DSL(Digital Subscriber Loop),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단을 포함한다.
IP/Port 필터+파서(1307,1407,1507)는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의 서비스 접속 정보 요청에 따라 특정 IP/Port에 해당하는 패킷을 필터링(filtering)하여 다음 단에 전달한다. 이때,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의 제어에 따라 주소별로 디코딩된 IP 패킷이 후술하는 FLUTE 프로세싱단, A/V 프로세싱단 및 시큐리티 매니저(1321,1421,1521)로 전달한다.
[서비스 매니징단(Service managing)]
서비스 매니징단은,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서비스 전반에 관한 시스템 컨트롤(system control)을 담당한다. 여기에서, 상기 서비스 매니징단은, 서비스 매니저(service manager)(1312,1412,1512)와 채널 데이터베이스(channel DB)(1313,1413,151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메타데이터(metadata)로 전달되는 서비스 목록과 접속 정보에 따라 전체 서비스를 관장하는 역할을 한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모바일 환경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DVB-H)의 경우에는 PSI/SI에서 전달되는 IP 목록 정보를 처리한다. 지상파나 케이블 디지털 비디오 방송의 경우(DVB-T2/C2)에는 PSI/SI에서 전달되는 PLP 등의 튜너 제어(Tuner control) 정보를 처리한다.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SDP 파서(1309,1409,1509)에서 전달되는 서비스 접속 정보를 처리한다.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상기 처리된 서비스 접속 정보에 따라 IP/Port 필터(1307,1407,1507)의 필터링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필터링에 따라 출력되는 IP 패킷이 어느 프로세싱단으로 전달되어야 하는지도 제어한다(FLUTE, security or A/V).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시스템별 메타데이터를 커먼 메타데이터(common metadata) 방식으로 전환할 때, 어떤 XSLT 로직(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XSLT) logic)에 의해 프로세싱되어야 하는 지를 시그널링한다. 또한,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Common metadata handler)(1336,1436,1536)에 필요한 서비스의 각종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여 처리하고, 이를 채널 데이터베이스(channel DB)(1313,1413,1513)에 필요한 정보만 선택하여 저장한다.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는 EPG 동작시 서비스 관련 필요한 작업(채널 전환 등)을 담당한다.
채널 데이터베이스(1313,1413,1513)는,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가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서비스 관련 정보 중 서비스 관리/전환/접속 등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수시로 입출력한다.
[FLUTE 프로세싱단(FLUTE processing)]
FLUTE 프로세싱단은, FLUTE 프로토콜에 의해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하여 각각의 콘텐트 타입(content type)에 따라 해당 처리부에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FLUTE 프로세싱단은, FLUTE 파서+Gzip/BiM 디코더(FLUTE parser+Gzip/BiM decoder)(1308,1408,1508), SDP 파서(SDP parser)(1309,1409,1509), 메타데이터 버퍼(Metadata Buffer)(1310,1410,1510) 및 파일 버퍼(File Buffer)(1311,1411,151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FLUTE 파서+Gzip/BiM 디코더(1308,1408,1508)는 FLUTE 프로토콜 기반으로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하고, 이때 압축된 방식에 따라 압축 풀기를 진행하여 파일을 출력한다. FLUTE 프로토콜의 FDT 내용에 따라 출력된 파일의 콘텐트 타입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파일을 SDP 파서(1309,1409,1509), 메타데이터 버퍼(1310,1410,1510), 파일 버퍼(1311,1411,1511)로 전달한다.
SDP 파서(1309,1409,1509)는 접속 정보를 나타내는 파일인 SDP 파일을 디코딩하여, 결과를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에 전달한다.
메타데이터 버퍼(1310,1410,1510)는 서비스 및 콘텐츠 관련 전반적인 정보를 나타내는 XML 파일인 메타데이터를 버퍼링하여 XSLT 파서부(1314,1414,1514)에 전달하여 커먼 메타데이터 방식으로 전환시킨다.
파일 버퍼(1311,1411,1511)는 미들웨어(Middleware)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파일들을 버퍼링하여 파일 데이터베이스(File Database)(1324)에 저장한다. 이 파일은 미들웨어 엔진부(M/W engine)(1323,1423,1523)에 의해 사용된다.
상기에서, 메타데이터 및 SDP 전송을 위해서, 예를 들어, 유니캐스트(Unicast)의 경우에는 HTTP를 사용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Multicast)의 경우에는 DVB-STP를 사용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프로세싱단(Metadata processing)]
메타데이터 프로세싱단은, FLUTE 프로세싱단에서 전달된 메타데이터를 공용 포맷인 커먼 메타데이터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각 파트의 요청에 따라 관련 내용을 검색하여 결과를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타데이터 프로세싱단은, XSLT 파서(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XSLT) parser)(1313,1413,1513),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Metadata Database)(1315,1415,1515) 및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common metadata handler)(1336,1436,153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XSLT 파서(1314,1414,1514)는, 전송 방식에 따라 다른 메타데이터를 각 전송방식에 따른 XSLT를 이용하여 커먼 메타데이터로 전환한다.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1315,1415,1515)는, 커먼 메타데이터를 저장하고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1336,1436,1536)의 요청에 따라 검색하여 결과를 전달한다.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1336,1436,1536)는, 서비스, 이벤트, 접속 정보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 요청에 따라 메타데이터를 검색하여 서비스 매니저(1312,1412,1512), EPG 매니저(1316,1416,1516), 시큐리티 매니저(1321,1421,1521) 등에 전달한다. PVR 매니저(1329,1429,1529)의 요청에 따라 메타데이터를 PVR 데이터와 연동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미들웨어 프로세싱단(Middleware processing)]
미들웨어 프로세싱단은, FLUTE 프로세싱단에서 전달된 메타데이터를 공용 포맷인 커먼 메타데이터 형태로 전환하여 저장하고, 각 파트의 요청에 따라 관련 내용을 검색하여 결과를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미들웨어 프로세싱단은, 파일 데이터베이스(File Database)(1322,1422,1522)와 미들웨어 엔진(M/W engine)(1323,1423,15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파일 데이터베이스(1322,1422,1522)는, 미들웨어 엔진(1323,1423,1523)에서 사용할 각종 파일을 저장하고 요청에 따라 필요한 파일을 전달한다.
미들웨어 엔진(1323,1423,1523)는, ACAP(Advenced Common Application Platform), OCAP(OpenCable Application Platform), MHP(Multimedia Home Platform), MHEG(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doding Experts Group) 등의 미들웨어를 구동하고 필요한 파일을 파일 데이터베이스(1322,1422,1522)에서 받아 구동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비디오 포스트 프로세서(1319,1419,1519)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A/V 프로세싱단(A/V processing)]
A/V 프로세싱단은,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로 전달되는 A/V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스크램블을 처리하며, 싱크(sync)를 맞추어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A/V 프로세싱단은, UDP/RTP 파서+CAS(UDP/RTP parser+CAS)(1324,1424,1524),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325,1425,1525), 시큐리티 매니저(1321,1421,1521), 오디오 디코더(Audio decoder)(1326,1426,1526), 비디오 디코더(Video decoder)(1327,1427,1527) 및 STC(system time clock(STC))(1328,1428,1528)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UDP/RTP 파서+CAS(1324,1424,1524)는, UDP(User Datatgram Protocol) 및 RTP 프로토콜에 따라 들어오는 스트림을 파싱하여 페이로드 타입(payload type)에 따라 오디오 스트림과 비디오 스트림으로 구분한다.
디스크램블러(1325,1425,1525)는, 시큐리티 매니저(1321,1421,1521)에서 전송되는 스크램블 키값 및 필요한 파라미터를 바탕으로 스크램블된 스트림을 디스크램블한다.
시큐리티 매니저(1321,1421,1521)는, RTP 및 메타데이터로 전송되는 시큐리티 정보 및 키값을 통해 디스크램블러(1325,1425,1525)에 디스크램블 정보를 전달한다.
오디오 디코더(1326,1426,1526)는 오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하고, 비디오 디코더(1327,1427,1527)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코딩한다.
STC(1328,1428,1528)는, A/V 스트림 디코딩시 타임스탬프(timestamp)에 따라 싱크(sync)를 맞추는 기준이 되며, 또한 재생 속도를 송신되는 스트림과 맞추는 기준이 된다. RTP로부터 클록 복구(clock recovery) 정보를 받아 서버의 클록과 동기화한다. PVR 재생시에는 업로드 제어부(Upload controller)로부터 클록을 공급받는다.
[PVR 프로세싱단(PVR processing)]
PVR 프로세싱단은, PVR(DVR)과 관련된 기능, 곧 스트림 저장 및 재생과 관련된 파트이다. 여기에서, 상기 PVR 프로세싱단은, PVR 매니저(PVR manager)(1329,1429,1529), 다운로드 제어부(Download controller)(1334,1434,1534), 스크램블러(Scrambler)(1335,1435,1535), 하드디스크(Hard Disk (HDD))(1333,1433,1533),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332,1432,1532) 및 업로드 제어부(Upload controller)(1331,1431,153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PVR 매니저(1329,1429,1529)는, PVR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한다. 곧, 저장, 재생, 예약 녹화 등으로 PVR 프로세싱 블록(PVR processing block) 내의 다운로드/업로드 제어부(1331,1431,1531)를 제어하며, 데이터 방송 녹화를 위해 미들웨어 엔진(1323,1423,1523)과의 통신, PVR 유저 인터페이스(PVR User Interface(UI))를 위해 UI 매니저(1317,1417,1517)와 통신, 저장된 콘텐츠와 연동된 메타데이터 저장을 위해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1336,1436,1536)와 연동하게 된다.
다운로드 제어부(1334,1434,1534)는, 스트림 녹화시 A/V 스트림에 타임스탬프 및 랜덤 액세스 포인트(random access point) 등의 정보를 첨부해서 저장한다.
스크램블러(1335,1435,1535)는, 콘텐츠 보호를 위해 스트림 녹화시 스크램블을 건다.
하드디스크(1333,1433,1533)는, A/V 스트림을 저장한다.
디스크램블러(1332,1432,1532)는, 콘텐츠 보호를 위해 걸었던 스크램블을 재생을 위해 디스크램블한다.
업로드 제어부(1331,1431,1531)는, 스트림 재생시 A/V 스트림에 붙였던 타임스탬프 및 랜덤 액세스 포인트 등의 정보를 STC(1328,1428,1528) 및 PVR 매니저(1329,1429,1529)에 전달하고, 스트림을 오디오 디코더(1326,1426,1526)와 비디오 디코더(1327,1427,1527)에 전달한다.
[I/O 프로세싱단(I/O processing)]
I/O 프로세싱단은, 사용자의 입력(User Input) 및 A/V 출력(A/V output)과 관련된 파트이다. 여기에서, 상기 I/O 프로세싱단은, EPG 매니저(EPG manager)(1316,1416,1516), UI 매니저(UI manager)(1317,1417,1517),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318,1418,1518), 비디오 포스트 프로세서(Video Post Processor)(1319,1419,1519) 및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서(Audio Post Processor)(1320,1420,15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EPG 매니저(1316,1416,1516)는, EPG를 표시하기 위해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커먼 메타데이터 핸들러(1336,1436,1536)에서 공급받아 적절한 형태로 가공하여 UI 매니저(1317,1417,1517)를 통해 비디오 스트림 또는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과 블렌딩(blending)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UI 매니저(1317,1417,1517)는, 사용자의 입력을 해석하여 서비스 매니저/EPG 매니저/PVR 매니저(1312,1412,1512/1316,1416,1516/1329,1429,1529) 등과 연동하여, 필요한 동작을 요청한다.
유저 인터페이스(1318,1418,1518)는, 사용자의 입력을 UI 매니저부(1317,1417,1517)를 통해 시스템에 전달한다.
비디오 포스트 프로세서(1319,1419,1519)는, 비디오 스트림,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EPG, 각종 UI 위젯(UI widget) 등을 블렌딩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오디오 포스트 프로세서(1320,1420,1520)는, 오디오 스트림을 볼륨 제어(volume control), 뮤트(mute) 등의 기능과 연동하여 소리로 출력한다.
상술한 도 13 내지 15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블록도를 통해 방송 또는 IP를 통해 수신된 A/V, 파일, 메타데이터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상술한 도 13 내지 15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포함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나 커먼 메타데이터를 처리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에 접속하여 처리할 수 있고, 서비스 접속 시간을 줄여 빠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세션 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여 수신기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여기에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기가 서비스에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신기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에 포함된 세션 디스크립션 정보가 포함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프로세싱하여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프로세싱을 통해 서비스에 접속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수신기는 수신되는 디지털 방송 신호로부터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추출하고, 추출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를 프로세싱한다. 상기 프로세싱된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로부터 세션 제너럴 정보(Session General Information)를 추출하여 파싱한다(S1601). 여기에서, 상기 세션 제너럴 정보는 예를 들어, 도 5의 세션 디스크립션 디스크립터(SDD) 내 각 필드의 정보를 말한다.
파싱된 세션 제너럴 정보로부터 미디어 스트림이 더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1602).
상기 S1602 단계에서 판단 결과 만약 더 이상의 미디어 스트림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콘텐츠를 소비한다. 즉, 서비스에 접속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S1602 단계에서 판단 결과 만약 미디어 스트림이 더 존재하면, 파싱된 세션 제너럴 정보 내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를 파싱한다(S1603). 여기에서, 상기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의 Media_Type 필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1603 단계에서,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를 파싱한 후 상기 파싱된 결과로부터 UDP/RTP 정보를 파싱한다(S1604). 여기에서, 상기 UDP/RTP 정보는 예를 들어, 도 6의 Target_Port_Number 필드와 RTP_Payload_Type 필드를 파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S1604 단계까지 수행한 후, 상기 S1603 단계에서 파싱한 미디어 타입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미디어 타입이 오디오인지 비디오인지 판단한다(S1605).
상기 S1605 단계 판단 결과 만약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타입이 비디오이면, 해당 비디오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를 파싱(S1606)하고, 비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을 파싱(S1607)한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를 소비한다(S1610). 여기에서, 상기 파싱되는 비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은 상술한 AVC_Video_Description_Bytes, Hieararchy_Description_Bytes 및 SVC_Extension_Description_Bytes 필드들이 포함될 수 있다.
관련하여, 상기 S1605 단계 판단 결과 만약 해당 미디어 스트림의 타입이 오디오이면, 해당 오디오 코덱 타입에 관한 정보를 파싱(S1608)하고, 오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을 파싱(S1609)한다. 그리고 해당 콘텐츠를 소비한다(S1610). 여기에서, 상기 파싱되는 오디오 디스크립션 바이트들은 상술한 MPEG-4 Audio_Description_Bytes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그리고, 상기에서 언급한 수치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이거나, 단순한 예시인 바, 상기 수치들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6)

  1. 제 2 시그널링 정보의 복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스트림 (broadcast stream)에 포함되는 방송 데이터의 복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시그널링 정보, 상기 제 2 시그널링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세션(session) 들을 시그널링 (signaling) 하기 위한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는, 상기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 정보 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세션들을 위한 타겟 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식별하는 타겟 IP 주소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frame rate)를 식별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방법.
  4. 제 2 시그널링 정보의 복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고, 방송 서비스를 위한 방송 스트림 (broadcast stream)에 포함되는 방송 데이터의 복호를 위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시그널링 정보를 생성하는 시그널링 인코더;
    상기 제 1 시그널링 정보, 상기 제 2 시그널링 정보 및 상기 방송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인코더; 및
    상기 방송 프레임을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방송 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서비스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디어 컴포넌트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세션(session) 들을 시그널링 (signaling) 하기 위한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는, 상기 세션을 식별하는 세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시그널링 엘레먼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세션들을 위한 타겟 IP (Internet Protocol) 주소를 식별하는 타겟 IP 주소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상기 방송 서비스의 비디오의 프레임 레이트 (frame rate)를 식별하는 프레임 레이트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송신 처리하는 장치.
KR1020150185115A 2015-12-23 2015-12-2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5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15A KR101650387B1 (ko) 2015-12-23 2015-12-2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5115A KR101650387B1 (ko) 2015-12-23 2015-12-2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1076A Division KR101581818B1 (ko) 2009-01-07 2009-01-07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37A KR20160006137A (ko) 2016-01-18
KR101650387B1 true KR101650387B1 (ko) 2016-08-23

Family

ID=5530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115A KR101650387B1 (ko) 2015-12-23 2015-12-23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38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57370C1 (ru) * 2005-04-02 2009-05-27 Самсунг Электроникс Ко., Лтд.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доставки потока в системе мобильного широковещания
KR20070102224A (ko) * 2006-04-14 2007-10-1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통합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및 멀티미디어 신호 통합처리방법
KR101328929B1 (ko) * 2006-11-22 201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37A (ko) 201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1818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78436B2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US113171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ervice signaling for broadcasting service
US11019186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0075772B2 (en)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JP6301497B2 (ja) 放送信号伝送装置、及び放送信号伝送方法
US8898328B2 (en)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JP6556890B6 (ja) 放送信号送信装置、放送信号受信装置、放送信号送信方法、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KR20110086645A (ko) 방송 송신 방법 및 장치와 방송 수신 방법 및 장치
CN101232613B (zh) 发送/接收数字内容的方法和接收数字内容的装置
KR20170138994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EP3790286A1 (en)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device, broadcast signal transmission method, broadcast signal reception method, and broadcast signal reception device
US10412422B2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ing signal
KR101792519B1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05812961A (zh) 自适应流媒体处理方法及装置
KR20180040571A (ko)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KR10165038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500677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xtended tv data
KR20090130609A (ko)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수신기 및 채널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