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4600B1 -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4600B1
KR102024600B1 KR1020147031607A KR20147031607A KR102024600B1 KR 102024600 B1 KR102024600 B1 KR 102024600B1 KR 1020147031607 A KR1020147031607 A KR 1020147031607A KR 20147031607 A KR20147031607 A KR 20147031607A KR 102024600 B1 KR102024600 B1 KR 102024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rigger
identifier
event
t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527A (ko
Inventor
오세진
박병선
문경수
고머 토마스
안승주
이진원
김진필
김경호
지애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35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3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specifically related to the content, e.g. biography of the actors in a movie, detailed information about an article seen in a video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04N21/2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specifically adapted to content descriptors, e.g. coding, compressing or processing of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04N21/2407Monitoring of transmitted content, e.g. distribution time, number of downlo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83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associating distribution time parameters to content, e.g. to generate electronic program guid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4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e.g. of EPG data or interactive icon with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9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additional data with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73End-user applications, e.g. Web browser, g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7Content authoring involving timestamps for synchronizing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리거는 제1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미디더 시간 스탬프(media time stamp)와 콘텐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콘텐트의 재생 중 현재 지점을 지시하고,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현재 보여지는 콘텐트를 식별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신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건네지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콘텐트 식별자를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수신 처리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V는 19세기 말에 처음 등장한 이후, 화면 표시 방법이나 디자인 등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20세기 후반부터 가장 대중적인 정보 전달 기기로 확고히 자리잡았다. 다만, 방송국에서 전해주는 단방향의 정보를 시청자들이 일방적으로 수용한다는 근본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TV의 한계는 1990년대부터 PC(개인용컴퓨터) 및 인터넷이 대중화되면서 더욱 분명하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에 TV는 쌍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방향으로 진화를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컨텐츠 제공자와 시청자 사이에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실행할 시스템이 부재한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양방향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방영중인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특정 시점에 구동하고, 정보의 특정 처리를 통해, 시청자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포맷에 관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 콘텐트가 재생되는 기간 중 적절한 시기에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기재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리거는 제1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미디더 시간 스탬프(media time stamp)와 콘텐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콘텐트의 재생 중 현재 지점을 지시하고,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현재 보여지는 콘텐트를 식별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신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건네지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콘텐트 식별자를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하고, 상기 제2 부분은 도메인 이름을 식별할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는 최대 5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중 상기 현재 지점은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riggered Declarative Object), 비실시간 선언적 객체 또는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nbound Declarative Object).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 신호 내 DTV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채널에 상기 트리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수신하는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튜너, 상기 방송 신호를 파싱(parse)하고, 상기 트리거를 얻고, 상기 트리거를 파싱하고,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제1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얻고,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되,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건네지고, 상기 파라미터를 파싱하고, 미디어 시간 스탬프(media time stamp)와 콘텐트 식별자를 얻도록 구성되되,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콘텐트의 재생 중 현재 지점을 지시하고,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콘텐트를 식별하는, 트리거 모듈, 서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보여지고 있는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콘텐트 식별자를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전달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하고, 상기 제2 부분은 도메인 이름을 식별할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는 최대 5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중 상기 현재 지점은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riggered Declarative Object), 비실시간 선언적 객체 또는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nbound Declarative Object)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거는 상기 방송 신호 내 DTV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채널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콘텐트와 연관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야 하는 시점을 정확히 파악하여, 적시에 부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신호를 직접 수신하지 못하는 방송 수신기에서도,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부가 정보를 얻고, 적절한 시점에 대한 부가 정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송 스트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기 생성된 컨텐츠의 경우에, 트리거 타이밍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라이브 콘텐트의 경우에, 트리거 타이밍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트리거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TDO 파라미터 테이블 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Frequency of Use' 속성 값들의 의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destination' 속성 값들의 의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URL 리스트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TPT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빗 섹션(private section)들의 이진 포맷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XML 문서로 인코딩된 URL 목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addTriggerEventListener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removeTriggerEventListener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EventListener 타입의 정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TriggerEvent 타입의 정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TDO 모델 에서의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서, 수신기의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4는 방송을 셋탑 박스(SetTop Box)에서 HDMI 혹은 외부 입력으로 수신하는 경우의 수신기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TDO 모델 에서의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직접 실행 모델 에서의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직접 실행 모델 에서의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아닌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이 명세서에서 미디어 시간은 오디오/비디오 또는 오디오 콘텐트 아이템의 재생(playout) 중 어느 지점을 참조하는 파라미터를 말한다. ACR는 자동 콘텐트 인식(Automatic Content Recognition)을 나타낸다. AMT는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Activation Messages Table)을 나타낸다. API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나타낸다. DAE는 선언적 응용 환경(Declarative Application Environment)을 나타낸다. DO는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를 나타낸다. FLUTE는 단방향 전송을 통한 파일 전달(File Delivery over Unidirectional Transport)을 나타낸다. GPS는 위치확인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을 나타낸다. HTTP는 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나타낸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을 나타낸다.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nternet Protocol Television)을 나타낸다. iTV는 양방향 텔레비전(Interactive Television)을 나타낸다. MIME는 인터넷 미디어 타입(Internet Media Type)을 나타낸다. NDO는 NRT 선언적 객체(NRT Declarative Object)를 나타낸다. NRT는 비실시간(Non-Real Time)을 나타낸다. SMT는 서비스 맵 테이블(Service Map Table)을 나타낸다. SSC는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Service Signaling Channel)을 나타낸다. TDO는 트리거된 선언적 객채(Triggered Declarative Object)를 나타낸다. TPT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TDO Parameters Table)을 나타낸다. UDO는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nbound Declarative Object)를 나타낸다. UPnP는 유저 플러그 앤 플레이(User Plug and Play)를 나타낸다. URI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를 나타낸다. URL은 자원위치 표시자(Uniform Resource Locator)를 나타낸다. XML는 확장성 생성 언어(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이 명세서에서, 시간 베이스 메시지(시간 베이스 메시지)는 시간 베이스 트리거시간 베이스 트리거 및/또는 그 등가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따라서 시간 베이스 메시지 는 종종 시간 베이스 트리거와 혼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활성화 메시지는 활성화 트리거 및/또는 AMT 내의 활성화 엘리먼트 등, 활성화를 일으킬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정보전달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 명세서에서, DO, TDO, NDO, UDO는 다음과 같은 의미일 수 있다.
DO (Declarative Object)는 양방향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HTML, JavaScript, CSS, XML 및 멀티미디어 파일)을 구성하는 컬렉션(collection)일 수 있다.
트리거된 양방향 부가 데이터 서비스에 의해 개시된 선언적 객체 또는 트리거에 의해 개시된 DO에 의해 실행된 DO 등을 지정하기 위해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DO)"를 사용한다.
트리거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가 아닌 NRT 서비스의 일부로서 실행된 선언적 객체를 나타내기 위해 용어 "NRT 선언적 객체"(NDO)를 사용한다.
패키지형 앱과 같이 서비스에 바인드되지 않은 선언적 객체, 링크에 의해 실행된 DO, 또는 그와 같은 DO에 의해 실행된 DO 등을 나타내기 위해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DO)"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링크"는 현재의 TV 프로그램 또는 NRT 서비스와 관련된 온라인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는 웹사이트를 가리키는 방송국 제공 URL이다.
"패키지형 앱"은 방송국이 시청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며 시청자가 다운로드하여 설치할 수 있는 하나의 파일로 묶인 방송국 제공 선언적 객체(DO)이다.
일반적인 방송 스트림은 TV 프로그램들의 시퀀스로 구성되어 있다. 각 TV 프로그램은 기본이 되는 쇼(show)로 구성되며, 쇼는 일반적으로 광고 및/또는 다른 개재물(interstitial material)에 의해 분리된 블록들로 나뉘어진다.
도 1는 일반적인 방송 스트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에서 방송스트림에 쇼 A(Show A) 세그먼트, 광고1(Ad1), 광고2(Ad2), 쇼 B(Show B) 세그먼트 등이 차례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쇼를 이루는 세그먼트들을 쇼 재료, 광고들을 개재물이라고 부를 수 있다.
각 쇼 또는 개재물은 연관된 양방향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합 유닛으로서 방송국에 의해 다루어지는 양방향 부가 서비스의 일부를 지칭하기 위해 "양방향 서비스 세그먼트," 또는 단순히 "세그먼트"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양방향 서비스 세그먼트는 일반적으로 단일 쇼 또는 한 개의 개재물과 연관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이러한 양방향 부가 데이터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모델이 있을 수 있다. 직접 실행 모델 과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riggered Declarative Object, TDO) 모델이 그것이다.
직접 실행 모델에서는, 가상 채널이 선택되면 선언적 객체 (Declarative Object, DO)가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선언적 객체는 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서의 화면의 생성, 여론 조사 수행, 다른 특수 DO들의 개시 등과 같이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동기화되는 양방향 특징들의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사항들을 얻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백엔드(backend)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TDO 모델에서는, TDO의 개시, TOD의 종료, 또는 TDO에 의한 일부 작업의 유발과 같이 TDO 이벤트를 개시하기 위해 신호들을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벤트들은 특정 시간에 개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동기화된다. TDO가 개시되면, 프로그램된 양방향 특징들을 제고할 수 있다.
TDO 모델의 기본 개념은 TDO를 구성하는 파일들 및 어떤 동작을 취하기 위해 TDO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파일들은 모두 그 크기로 인해 수신기에 전달되는데 일정한 양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방향 엘리먼트들에 대한 사용자 경험은 콘텐트의 방송 전에 저작될 수 있지만, 어떤 거동들은 프로그램 내의 이벤트들, 예를 들어 상업 광고 세그먼트의 발생과 동시에 일어나도록 주의하여 시간이 맞추어져야 한다.
TDO 모델에서는 선언적 객체, 연관된 데이터, 스트립트, 텍스트 및 그래픽의 전달을 양방향 이벤트들의 재생에 대한 특정 타이밍의 시그널링과 구별한다.
양방향 이벤트들의 타이밍을 설정하는 엘리먼트는 트리거(Trigger)이다.
하나의 세그먼트 내에서 사용되는 TDO들과 트리거에 의해 개시되는 관련 TDO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TPT)라고 불리는 데이터 구조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명세서의 구조를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트리거, TPT에 대해 설명을 하고, 활성화 트리거가 대량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인 AMT에 대한 설명을 한다.
URL 리스트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URL 리스트는 수신기에 대하여 사용 잠재성이 있는 어떤 URL들을 포함한다. URL 리스트는 하나 이상의 미래 세그먼트들에 대한 TPT들을 위한 URL, NRT 시그널링 서버의 URL, 사용 보고 서버(Usage Reporting Server)의 U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후, TPT 와 함께 전달될 수 있는, 트리거, TPT, 및 AMT와 URL 리스트의 방송 스트림과 인터넷을 통한 전달 메커니즘들에 대해 설명하고, ATSC JavaScript API들에 대해 설명한다.
그 다음, 본 발명인, TDO 모델에 따른 송신방법 및 수신 장치를 알아본다.
직접 실행 모델에 대해 설명한 후, 역시 본 발명인, 직접 실행 모델에 따른 송신방법 및 수신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 트리거에 관하여 설명한다.
트리거는 시그널링을 식별하고 양방향 이벤트들의 재생 타이밍을 설정하는 기능을 하는 시그널링 엘리먼트이다.
트리거에는 양방향 서비스와 관련된 세그먼트에 대한 미디어 시간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시간 베이스 트리거와, 양방향 서비스와 관련한 어플리케이션 의 이벤트 발생 시간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활성화 트리거의 두 종류가 있을 수 있다.
트리거들은 양방향 서비스의 지원을 위해 타이밍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트리거들들은 그 기능에 따라 다기능적일 수 있으며, 특정 트리거 인스턴스(instance)는 다음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1. TPT(방출 스트림 내 FLUTE 세션, 인터넷 서버, 또는 이들 모두를 통해 접근가능한 TPT)의 위치를 시그널링한다.
2. 다음 프로그램 세그먼트에 대한 양방향 콘텐트가 프리로딩(pre-load)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3. 연관된 오디오/비디오 콘텐트 또는 오디오 콘텐트의 현재 미디어 시간을 지시한다.
4. TPT 내 특정 양방향 이벤트를 참조하고, 상기 이벤트가 지금 또는 특정한 미래 미디어 시간에 실행되어야 함을 알린다.
5. 수요가 최대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인터넷 서버에 대한 접속들이 특정한 시간구간 상에서 랜덤하게 분산됨을 지시한다.
이하 트리거의 동작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기 생성된 콘텐트의 경우에, 트리거 타이밍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2는 두 개의 프로그래밍 세그먼트들과 연관되어 전달되는 트리거들을 나타낸다. 이 예에서는 두 세그먼트 모두 "기 생성"되는데, 이는 콘텐트가 라이브 콘텐트가 아니며 양방향 엘리먼트들은 추후 생성(post-production)으로 추가되었음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그래밍 세그먼트 1의 발생 전 짧은 시간에 "프리로드(pre-load)" 트리거가 전달되어 수신기들과 연관된 TPT 및 양방향 콘텐트를 획득할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프리로드 트리거가 전송되지 않으면, 수신가들은 콘텐트를 획득하기 위해 해당 세그먼트 내에서 만나는 첫 번째 트리거를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리거들은 Segment 1을 통해 전송되어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현재 미디어 시간(도면에서 "m"으로 표기)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해당 채널을 만나는 트리거들이 양방향 콘텐트를 동기화하여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미디서 시간 트리거들의 주기적인 전달이 필요할 수 있다.
Segment 2의 시작 직전에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프리로드 트리거가 전송된다.
기 생성된 콘텐트(비라이브(non-live) 콘텐트)의 경우, 수신가가 첫 번째 트리거를 처리한 수 획득할 수 있는 TPT는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양방향 경험의 모든 엘리먼트들의 타이밍을 정의할 수 있다. 해당 수신기와 TDO가 양방향 엘리먼트들을 재생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미디어 타이밍에 대한 지식일 수 있다. 상기 TPT는 미디어 시간에 대하여 양방향 이벤트들을 기술할 수 있다.
도 3는 라이브 콘텐트의 경우에, 트리거 타이밍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라이브 콘텐트의 경우에도, TPT는 서로 다른 양방향 이벤트들과 관련된 데이터 및 정보를 포함하지만, 방송 중 프로그램 내 동작이 전개될 때까지는 그러한 이벤트들의 재생 타이밍은 알려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브의 경우, 트리거의 "이벤트-타이밍(event-timing)" 기능이 활용된다. 이 모드에서 트리거는 특정한 양방향 이벤트가 새로운 특정 미디어 시간 값으로 재설정(re-timed)됨을 알릴 수 있다. 또는, 트리거는 어떤 이벤트가 즉시 실행됨을 지시할 수 있다.
도 3 에서 Segment 3에 대한 각 트리거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번 트리거는 프리로드 트리거로서, 세그먼트 3에 관한 파일들을 얻을 수 있는 디렉토리를 참조한다.
2번 트리거는 미디어 시간 트리거로서, Segment 3 에 대한 재생 타이밍을 지시하는데 쓰인다.
3번 트리거는 이벤트 리타이밍(re-timing) 트리거로서, TPT에서 eventID = 2인 이벤트가 미디어 시간 240에 발생하도록 시간이 재설정됨을 지시한다. 빗금 친 영역은 3번 트리거가 수신기들에 전달될 수 있는 240 이전의 시간 구간을 지시한다.
4번 트리거는 미디어 시간 트리거다.
5번 트리거는 이벤트 리타이밍 트리거로서, TPT에서 eventID = 5인 이벤트가 미디어 시간 444에 발생하도록 시간이 재설정됨을 지시한다.
6번, 7번 트리거는 미디어 시간 트리거이다.
8번 트리거는 이벤트 트리거로서, TPT에서 eventID = 12인 이벤트가 즉시 실행됨을 지시한다.
9번 트리거는 이벤트 리타이밍 트리거로서, TPT에서 eventID = 89인 이벤트가 미디어 시간 900에 발생하도록 시간이 재설정됨을 지시한다.
이하 트리거 신택스에 대해 설명한다.
활성화 메시지와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모두 어떤 전송 환경에서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트리거" 포맷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신택스 상의 정의는, 얼터너티브(alternative)들을 지정하기 위해 수직 바 심볼 "|"이 사용되는 경우 이외에는 ABNF (Augmented Backus-Naur Form) 문법을 사용하여 기술한다. 룰(rule)들은 등호 "="에 의해 정의들과 분리되며, 하나 이상의 줄에 걸쳐 룰 정의를 계속할 때는 들여쓰기를 이용하고, 리터럴(literal)들은 큰따옴표 ""로 인용하고, 엘리먼트들의 그룹화에는 괄호 "("와 ")"를 이용하고, 선택적인 엘리먼트들은 "["와 "]" 사이에 넣는다. 그리고 엘리먼트들 앞에 <n>*이 붙으면 그 뒤의 엘리먼트의 n번 이상의 반복을 지정할 수 있고, n은 기본값으로 0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엘리먼트들 앞에 <n>*<m>이 붙으면 그 다음에 오는 엘리먼트의 n번 이상 m번 이하의 반복을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 신택스는 <scheme>과 "://" 부분을 제외하고 부가적인 제한사항들과 함께 URI (Uniform Resource Identifier): 제너릭 신택스(Generic Syntax)를 바탕으로 한다.
도 4는 트리거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4에 대해 설명한다.
트리거는 locator_part와 terms로 이루어 질 수 있다. terms는 생략 가능한 구성이다. terms가 존재한다면 locator_part와 terms는 '?'로 연결될 수 있다.
locator_part는 hostname 부분과 path_segments 부분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그 사이는 '/' 로 연결될 수 있다.
hostname은 domainlabel 과 toplabel로 이루어 질 수 있고, domainlabel은 그 뒤에 '.' 과 함께 0번 이상 반복될 수 있다. 즉, hostname은 반복된 domainlabel가 toplabel과 연결된 형태, 또는 toplabel만으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domainlabel은 alphanum 하나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두 alphanum 사이에 alphanum 또는 '-' 가 0번이상 반복된 것이 끼여있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alphanum은 alpha 또는 digit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alpha는 lowalpha 또는 upalpha 중 하나 일 수 있다.
여기서 lowalpha 는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중 하나 일 수 있다.
여기서 upalpha는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중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digit은 0, 1, 2, 3, 4, 5, 6, 7, 8, 9 중 하나일 수 있다.
toplabel은 alpha 하나로 된 형태일 수 있다. 또는 alpha와 alkphanum 사이에 alphanum 또는 '-'가 0번 이상 반복된 것이 끼여있는 형태일 수 있다.
path_segments는 세그먼트 하나가 있고, 그 뒤로 세그먼트 가 0번 이상 반복된 것이 뒤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세그먼트 사이는 '/' 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는 alphanum이 1회 이상 반복된 형태일 수 있다.
terms 는 event_time 또는 media_time 중 하나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그 뒤로 spread 또는 others가 뒤따를 수 있다. spread와 others는 생략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spread와 others가 존재한다면 이는 '&' 를 앞에 두고 있는 형태로 event_time 또는 media_time의 뒤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spread는 's=' 뒤에 digit이 1회 이상 반복된 것이 뒤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event_time은 'e=' 뒤로 digit이 1회 이상 반복된 것이 뒤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그 뒤로 '&t=' 뒤에 hexdigit이 1회 이상 7회 이하 반복된 것이 뒤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t=' 과 그 뒷부분은 생략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hexdigit은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중 하나일 수 있다.
media_time은 'm=' 뒤로 hexdigit이 1회 이상 7회 미만 반복된 것이 뒤따르는 형태일 수 있다.
others는 other 하나로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다. 또는 그 뒤로 '&' 과 other가 뒤따르는 것이 추가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other는 resv_cmd와 alphanum 이 1회 이상 반복된 것이 '=' 에 의해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resv_cmd는'c', 'e', 'E', 'm', 'M', 's', 'S', 't', 'T' 를 제외한 alphanum일 수 있다.
트리거의 길이는 52 bytes를 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의 hostname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일 수 있다.
트리거는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domain name part> / <directory path> [ ? <parameters> ]
<domain name part>는 등록된 도메인 이름일 수 있고, <directory path>는 도메인 이름이 URI에서 등장하게 될 경로일 수 있다.
<domain name part>는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할 수 있다. <directory path>는 식별된 도메인 이름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서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하는 임의의 문자열일 수 있다.
TDO 모델에서,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의 조합은 연관된 콘텐트에 양방향성을 추가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TPT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의 조합은 현재 세그먼트에 대한 TPT를 얻을 수 있는 인터넷 위치의 URL일 수 있다.
즉, 트리거는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 를 이용해서 TPT를 식별해 낼 수 있고, 이를 통해 트리거가 적용될 TPT를 알 수 있다. 해당 trigger가 TPT에 적용되어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인지는 <parameters> 부분에 달려 있다.
이하 <parameters>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한다.
<parameters>는 "event_time", "media_time", 또는 "spread"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 4 에서 보았던 신택스 중 "event_time", "media_time", "spread" 에 관한 부분이다.
event_time = "e=" 1*digit [ "&t=" 1*7hexdigit ]
media_time = "m=" 1*7hexdigit
spread = "s=" 1*digit
"event_time" 항은 타겟이 된 이벤트("e=" 항)와 해당 이벤트가 활성화되어야 할 시간("t=" 항)을 식별하기 위해 활성화 트리거에서 사용될 수 있다. "t=" 항이 없으면, 이는 트리거가 도달하는 시간에 이벤트가 활성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즉,
양방향 이벤트 ID 항인 "e="는 해당 이벤트의 타겟인 TDO의 연관된 TPT 내의 appID, 해당 특정 이벤트의 eventide, 및 이 이벤트 활성화를 위해 사용될 데이터 엘리먼트의 dataID를 참조할 수 있다.
선택적인 타이밍 값 항인 "t=" 지정된 이벤트를 위한 새로운 미디어 타이밍을 지시할 수 있다. "t=" 부분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는 지정된 이벤트를 위한 타이밍이 트리거의 도달 시간임을 의미할 수 있다.
"media_time" 항("m=" 항)은 시간 베이스 트리거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시간 베이스에 대한 현재 시간을 식별하기 위해 시간 베이스 트리거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보여지는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콘텐트 식별자 정보("c=" 항)이 media_time에 더 포함될 수 있다. "c=" 항에 대해서는 직접 실행 모델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즉,
"m="은 그 뒤에 16진수를 나타내는 1 내지 8 문자 길이의 문자열이 이어지는 미디어 타임스탬프(timestamp) 항으로서, 현재의 미디어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spread" 항은 서버 상에서 작업부하가 분산되도록 시간 베이스 트리거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동작(서버로부터의 TPT의 검색과 같은 동작) 또는 활성화 트리거에 응답하여 이루어지는 동작(TDO가 서버에 접속하게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이 램덤한 시간 동안 지연되어야 함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 항은 모든 수신기들이 트리거에서 식별된 인터넷 서버에 접속을 시도해야 하는 초 단위의 시간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각각의 개별 수신기는 지정된 구간 내에서 램덤한 시간을 도출하여 해당 양만큼 접속 요청을 지연시킴으로써, 수신기에서 트리거가 처음 나타날 때 발생할 수 있는 수요의 최대치를 시간 상에서 분산시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media time>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트리거는 이벤트 시간들에 대한 시간 베이스를 설정하기 이해 사용되므로, 시간 베이스 트리거라고 칭할 수 있다.
<event time>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트리거는 이벤트에 대한 활성화 시간을 설정하므로 활성화 트리거라고 칭할 수 있다.
이하 TDO 의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과 상태, 상태 변화 이벤트에 대해 설명한다.
TDO는 해제(Released), 준비(Ready), 활동(Active), 및 중지(Suspended)의 서로 다른 네 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이한 많은 요소들(트리거, 유저 동작, 변경되는 채널들, 등)이 하나의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의 변동을 야기할 수 있다.
TDO는 다음 네가지 상태가 있을 수 있다.
1. 준비(Ready) : 다운로드되어 실행 준비가 되지만, 아직 실행되지 않음
2. 활동(Active) : 실행 중
3. 중지(Suspended) : 상태가 저장되고 일시적으로 실행으로부터 중지됨
4. 해제(Released) : 준비, 활동 또는 중지 상태가 아님
TDO에 대한 상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이벤트들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1. "prepare"를 트리거함 : 장치는 TDO가 실행(자원 할당, 주 메모리로의 로딩, 등)을 하도록 준비되기를 요청하는 트리거를 (현재 선택된 1차 가상 채널에서) 수신한다.
2. "execute"를 트리거함 : 장치는 TDO가 활성화되기를 요청하는 트리거를 (현재 선택된 1차 가상 채널에서) 수신한다.
3. "suspend"를 트리거함 : 장치는 TDO의 중지 지시하는 트리거를 (현재 선택된 1차 가상 채널에서) 수신한다.
4. "kill"를 트리거함 : 장치는 TDO의 종료를 지시하는 트리거를 (현재 선택된 1차 가상 채널에서) 수신한다.
이하 TPT에 관하여 설명한다.
TDO 파라미터 테이블(TPT)는 하나의 세그먼트의 TDO들 및 이들의 타겟인 이벤트들에 관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5와 도 6은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이하 테이블에 포함되는 각 필드들을 살펴본다. 각 필드의 크기와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는 필드의 종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 가능하다
TPT 구조 내 필드들의 구체적인 시맨틱(semantics)는 다음과 같다.
TDO 파라미터 테이블(TPT) 는 @majorProtocolVersion, @minorProtocolVersion, @id, @tptVersion, @expireDate, @updatingTime, @serviceID, @baseURL 속성, Capabilities, 라이브 트리거(LiveTrigger), 및/또는 TDO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TPT는 해당 TPT의 루트 엘리먼트이다. 하나의 TPT 엘리먼트는 하나의 프로그래밍 세그먼트의 (시간 상에서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기술한다.
4비트 속성일 수 있는 @MajorProtocolVersion는 테이블 정의의 주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주 버전 번호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지 않는 주 버전 값들을 지시하는 TP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인스턴스.
4비트 속성일 수 있는 @MinorProtocolVersion이 존재하는 경우, 테이블 정의의 부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 값은 0으로 디폴트될 수 있다. 부 버전 번호는 0으로 설정될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도록 구비되지 않은 부 버전 번호 값들을 지시하는 TP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경우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지 않는 개별 엘리먼트들 또는 속성들을 무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URI인 @id는 해당 TPT 엘리먼트에 관련된 양방향 프로그래밍 세그먼트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8비트 정수일 수 있는 @tptVersion은 id 속성에 의해 식별되는 tpt 엘리먼트의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tptVersion는 TPT가 변경될 때마다 증분될 수 있다.
TPT 엘리먼트의 @expireDate 속성은 존재할 경우, 해당 TPT 인스턴스에 포함된 정보의 만료 날짜 및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만일 수신기가 TPT를 캐시에 저장하면, 만료날짜까지 재사용될 수 있다.
16비트 엘리먼트일 수 있는 @updatingTime은 존재할 경우, TPT가 수정됨을 지시할 수 있고, TPT를 다시 다운로드하기 위한 초 단위의 추천 구간을 제공하고 새로이 다운로드 된 TPT가 새로운 버전인지 확인한다.
16비트 엘리먼트일 수 있는 @serviceID는 존재할 경우 이 TPT 인스턴스에서 기술된 양방향 서비스와 연관된 NRT service_id를 지시할 수 있다. 이것은 이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파일들이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될 때 수신기들이 서비스 맵 테이블로부터 FLUTE 파라미터들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
@baseURL 속성은 존재할 경우, 해당 TPT에서 등장하는 임의의 상대 URL들의 앞에 붙으면 베이스 URL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속성은 파일들의 절대 URL들을 제공할 수 있다.
Capabilities 엘리먼트는 존재할 경우, 해당 TPT와 연관된 양방향 서비스의 의미있는 표출을 위해 필수적인 능력들을 지시할 수 있다. 요구되는 능력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지 않은 수신기들은 서비스의 표출을 시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LiveTrigger는 인터넷을 통한 활성화 트리거들의 전달이 이용가능한 경우에만 존재한다. 존재할 경우, 활성화 트리거들을 얻기 위해 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iveTrigger 의 차일드(child) 엘리먼트와 속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PT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는 해당 TPT 인스턴스에 의해 기술된 세그먼트 동안 양방향 서비스의 일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TDO)를 나타낼 수 있다.
TDO 의 차일드 엘리먼트와 속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id 의 경우, 세그먼트의 식별자 역할을 한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TPT 를 파싱한 후에, @id 정보를 이용하여, 한 세그먼트와 관련된 트리거 또는 AMT 등을 그 세그먼트를 식별하는 @id를 가진 TPT와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와 AMT 가 적용될 세그먼트를 찾을 수 있게 된다. AMT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LiveTrigger 엘리먼트는 @URL와 @pollPeriod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LiveTrigger 엘리먼트는 인터넷을 통한 활성화 트리거들의 전달이 이용가능한 경우에만 존재한다. 존재할 경우, 활성화 트리거들을 얻기 위해 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iveTrigger 엘리먼트의 속성인 @URL은 인터넷을 통해 활성화 트리거들을 전달할 수 있는 서버의 URL을 지시할 수 있다. 활성화 트리거들은 양방향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에 따라 HTTP 숏 폴링(short polling), HTTP 롱 폴링(long polling), 또는 HTTP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LiveTrigger 엘리먼트의 속성인 @pollPeriod는 존재할 경우, 활성화 트리거들의 전달을 위해 숏 폴링이 사용 중임을 지시할 수 있고, pollPeriod 속성 값은 수신기가 폴링 주기로 사용하는 초 단위의 추천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LiveTrigger 엘리먼트가 존재할 경우, 리시버는 해당 TPT를 파싱하여, 활성화 트리거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전달하기 위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다. @URL 정보를 이용하여 활성화 트리거를 전달받을 수 있는 서버의 URL 을 얻을 수 있다. @pollPeriod 정보를 통해, 혹은 @pollPeriod 속성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정보를 통해 활성화 트리거가 인터텟을 통해 전달받는 방식과 폴링 주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pollPeriod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DO 엘리먼트는 @appID, @appType, @appName, @globalID, @appVersion, @cookieSpace, @frequencyOfUse, @expireDate, @testTDO, @availInternet, @availBroadcast 속성과, URL, Capabilities, Contentitem, 및/또는 Event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밝힌 바와 같이, TPT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는 해당 TPT 인스턴스에 의해 기술된 세그먼트 동안 양방향 서비스의 일부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TDO)를 나타낼 수 있다.
16비트 정수일 수 있는 @appID는 TPT 범위 내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활성화 트리거는 appID 참조하여 트리거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appID 의 경우, 어플리케이션 의 식별자이다. 하나의 TPT에는 여러 개의 어플리케이션 (TDO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TPT를 파싱한 후에 @appID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식별할 수 있다. 한 어플리케이션 에 적용될 트리거 또는 AMT 등을, 그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appID를 가진 어플리케이션 과 매칭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트리거와 AMT 가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게 된다. AMT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8비트 정수일 수 있는 @appType 어플리케이션 포맷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기본값은 1일 수 있으며, 이 값은 TDO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값들은 다른 포맷들을 나타낼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속성인 @appName는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해 시청자의 허가를 구할 때 시청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 인간이 판독가능한 이름일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속성인 @globalID은 어플리케이션의 전역적으로 고유한 식별자일 수 있다. 많은 경우에, 수신기는 너무 오래되기 전에 다시 사용하게 될 앱을 캐시에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것이 유용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해당 앱이 다음 번에 등장하면 앱을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해당 앱이 새로운 세그먼트에서 다시 등장하면 수신기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globalID가 필요하다.
@appVersion은 TDO 엘리먼트의 속성으로서, 어플리케이션의 버전 번호일 수 있다. appVersion 값은 해당 어플리케이션(globalID에 의해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이 변경될 때마다 증분될 수 있다. appVersion 속성은 globalID 속성이 존재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다.
8비트 정수일 수 있는 @cookieSpace는 각 호출(invocation) 사이에 지속성 데이터(persistent data)를 저장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얼마나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4비트 정수일 수 있는 @frequencyOfUse는 수신기들에게 그 어플리케이션 코드 캐시 공간의 관리에 관한 안내를 제공하기 위해 대략적으로 얼마나 자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방송에서 사용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frequencyOfUse'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expireDate는 TDO 엘리먼트의 속성으로서, 수신기가 해당 어플리케이션 및 관련된 리소스들을 안전하게 삭제할 수 있는 날짜 및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불린(Boolean) 속성인 @testTDO는 그 값이 "true"로 존재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테스트용이며 일반 수신기들에 의해 무시될 수 있음을 지시할 수 있다.
@availInternet 속성에 대한 "true" 값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가능함을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false"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true"일 수 있다.
@availBroadcast 속성에 대한 "true" 값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방송으로부터의 추출로 이용 가능함을 지시할 수 있다."false" 값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방송으로부터의 추출로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true"일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URL의 각 인스턴스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인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인스턴스URL 엘리먼트는 @entry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URL 엘리먼트의 속성인 @entry는 "true" 값을 가지면, 해당 URL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entry point), 즉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하기 위해 개시될 수 있는 파일임을 지시할 수 있다. "false" 값을 가지면, 해당 URL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엔트리 포인트가 아님을 지시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이 등장하지 않을 때 기본값은 "false"일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URL 엘리먼트는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이루는 파일을 식별한다. 수신단에서는 TPT를 파싱하여 이 URL 정보를 얻은 뒤, 이를 이용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URL 정보가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게된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Capabilities는 존재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의미있는 표출을 위해 필수적인 능력들을 지시할 수 있다. . 요구되는 능력들 중 하나 이상을 가지지 않은 수신기들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개시를 시도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ContentItem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필요로 하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로 구성된 콘텐트 아이템을 지시할 수 있다. ContentItem 엘리먼트는 이 엘리먼트가 속해있는 TDO 엘리먼트가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파일들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수신단에서는 파싱을 거친 후, ContentItem 엘리먼트가 존재할 경우, ContentItem 내의 URL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거나 할 수 있다. ContentItem의 차일드 엘리먼트와 속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Event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이벤트를 나타낼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는 이 엘리먼트가 속해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를 나타낸다. 어떠한 이벤트 들을 가지고 있는 지, 해당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는지, 해당 동작은 어떤 것이 있는 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수신단에서는 이를 파싱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이벤트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vent의 차일드 엘리먼트와 속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신단에서 TPT를 받아 파싱하면 TDO 및 위에서 설명한 TDO 의 차일드 엘리먼트와 속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 중 하나인, contentItem 엘리먼트는 @updateAvail, @pollPeriod, @size, @availInternet, @availBroadcast attribute 및/또는 URL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엘리먼트는 @entry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ContentItem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URL의 각 인스턴스는 콘텐트 아이템의 일부인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URL 엘리먼트는 @entry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URL 엘리먼트의 속성인 @entry는 "true" 값을 가지면, 해당 URL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의 엔트리 포인트, 즉 해당 콘텐트 아이템을 개시하기 위해 개시될 수 있는 파일임을 지시할 수 있다. "false" 값을 가지면, 해당 URL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의 엔트리 포인트가 아님을 지시할 수 있다. 해당 속성이 등장하지 않을 때 기본값은 "false"일 수 있다.
ContentItem 엘리먼트의 불린 속성인 @updatesAvail은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가끔씩 업데이트되는 지, 즉 콘텐트 아이템이 고정 파일(static file)들로 구성되는지, 아니면 해당 아이템이 실시간 데이터 피드(feed)인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true"이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은 가끔씩 업데이트되고, 그 값이 "false"이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은 업데이트되지 않는다. 이 속성이 등장하지 않은면 기본값은 "false"일 수 있다.
ContentItem 엘리먼트의 속성인 @pollPeriod는 updatesAvail 속성의 값이 "true"일 때만 존재할 수 있다. @pollPeriod가 존재할 경우, 활성화 트리거들을 전달하기 위해 숏 폴링이 이용되고 있음을 지시할 수 있고, @pollPeriod 속성의 값은 수신기가 폴링 주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초 단위의 추천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ContentItem 엘리먼트의 속성인 @Size는 해당 콘텐트 아이템의 크기를 지시할 수 있다.
@availInternet 속성은 그 값이 "true"이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가능함을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false"이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이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true"일 수 있다."
@availBroadcast 속성은 그 값이 "true"이면,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방송으로부터의 추출로 이용 가능함을 지시할 수 있다. "false" 값은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방송으로부터의 추출로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속성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기본값은 "true"일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파싱을 거친 후, ContentItem 내의 URL 정보 등을 이용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 파일들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위에서 설명한 기타 속성들에 의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 중 하나인, Event 엘리먼트는 @eventID, @action, @destination, @diffusion 속성 및/또는 Data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Data 엘리먼트는 @dataID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의 16비트 정수 속성인 @eventID는 이를 포함하는 TDO 엘리먼트의 범위 내에서 해당 이벤트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활성화 트리거(또는 AMT 내 활성화 엘리먼트)는 appID와 eventID의 조합에 의해 해당 트리거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과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벤트가 활성화되면, 수신기들은 해당 이벤트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전달할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의 속성인 @action은 해당 이벤트가 활성화될 때 적용되는 동작의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허용되는 값들은 "prep", "exec", "susp" 및 "kill"일 수 있다.
"prep"은 "Trig prep"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타겟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Released"이면, 이 동작은 "Ready"로의 상태 변경을 일으킬 수 있다.
"exec"은 "Trig exec"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 트리거를 수신하면, 타겟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Active"로 될 수 있다.
"susp"는 "Trig susp"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 트리거를 수신한면, 타겟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가 "Active"인 경우 "Suspended"로 변경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변경되지 않는다.
"kill"은 "Trig kill"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이 트리거를 수신하면, 타겟이 된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는 "Released"로 될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의 속성인 @destination는 해당 이벤트를 위한 타겟 장치를 지시할 수 있다. @destination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Event 엘리먼트의 8비트 정수 속성일 수 있는 @diffusion은 존재할 경우, 초 단위의 시간 주기 T를 나타낼 수 있다. 이 확산 파라미터의 목적은 서버 로딩의 최대치들을 고르게 만드는 것이다. 수신기는 0~T 범위에서 10 밀리세컨드 단위로 램덤 시간을 산출하고, TPT에서 URL들에 의해 참조된 콘텐트를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 서버에 접속하기 전에 이 시간량으로 지연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Data는 존재할 경우, 해당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Event의 서로 다른 활성화들은 이들과 연관된 서로 다른 Data 엘리먼트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Data 엘리먼트는 @dataID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16비트 정수 속성인 @dataID는 이를 포함하는 Event 엘리먼트의 범위 내에서 Data 엘리먼트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이벤트의 활성화가 이와 연관된 데이터를 가지는 경우, 활성화 트리거는 AppID, EventID 및 DataID의 조합에 의해 해당 Data 엘리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Event 엘리먼트는 속해있는 TDO 엘리먼트가 나타내는 어플리케이션 에 대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수신단에서는 Event 엘리먼트를 파싱하여 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ventID의 경우, 이벤트의 식별자 역할을 한다. @eventID 정보를 이용하여, 그 이벤트를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관련된 트리거 또는 AMT 등을 그 이벤트를 식별하는 @eventID를 가진 어플리케이션과 매칭시킬 수 있다. 즉, 활성화 트리거(또는 AMT 내 활성화 엘리먼트)는 appID와 eventID의 조합에 의해 해당 트리거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이벤트가 활성화되면, 수신기들은 그 이벤트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으로 넘겨줄 수 있다. AMT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action은 해당 이벤트가 활성화될 때 적용되는 동작의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Data 엘리먼트의 경우, 해당 이벤트에 쓰이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하나의 이벤트 엘리먼트는 여러 개의 데이터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데이터 엘리먼트의 @dataID 속성을 이용해 데이터의 식별을 한다. 수신단에서는 해당 데이터와 관련 있는 이벤트가 활성화된 경우, 활성화 트리거(또는 AMT 내 활성화 엘리먼트)는 AppID, EventID, 및 DataID의 조합에 의해 Data 엘리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AMT 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7는 'Frequency of Use' 속성 값들의 의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의미" 열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세그먼트들의 발생 빈도를 지시한다. (물론, 하나의 세그먼트 내에서 하나의 속성이 여러 번 등장할 수 있다.) frequencyOfUse 속성은 globalID이 존재하지 않으면 존재할 수 없다. 만일 앱이 캐시에 저장되어 나중에 다시 사용될 것이라면, 수신기는 해당 앱이 나중에 다시 등장하면 동일한 앱으로 인식해야 한다. 이를 위해 globalId 속성이 필요하다.
도 8는 'destination' 속성 값들의 의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목적지 속성의 값이 0일 경우 예약되고, 1일 경우 주 장치만을 의미하고, 2일 경우 하나 이상의 보조 장치만을 의미하며, 3일경우 주 장치 및/또는 하나 이상으 보조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 형태의 신택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이는 상기에서 언급했던 TPT 구조의 이진 포맷이다. 이 구조는 NRT로 TPT를 전송할 경우에 필요한 포맷으로 TPT의 XML 구조를 NRT로 전송하기에 적합하게 만들어 둔 것 이다. TPT의 XML 버전에 포함된 다음의 엘리먼트들 및/또는 속성들, 즉 @protocolVersion (major/minor), @serviceID 및 @tptVersion은 이진 테이블을 전달하기 위한 캡슐화 헤더(encapsulation header)에 의해 방송 스트림으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이진 버전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필드들의 시맨틱는 다음과 같다.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순서대로 이어지는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 포맷에서, 위에서 아래로 등장하는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expire_date_included는 expire_date field가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5비트 필드일 수 있는 segment_id_length는 segment_id의 바이트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segment_id는 세그먼트 아이디의 바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TPT XML 포맷의 "id"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base_URL_length는 base_URL 필드의 바이트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base_URL은 베이스 URL의 바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TPT XML 포맷의 baseURL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32비트 필드일 수 있는 expire_date는 해당 TPT 인스턴스에 포함된 정보의 만료 날짜 및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수신기가 TPT를 캐시에 저장한다면 만료날짜까지 재사용될 수 있다. 무부호 정수는 1980년 1월 6일 00:00:00 UTC 이후 GPS 초(second)의 수에서 GPS-UTC_offset을 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GPS UTC 오프셋은 GPS와 UTC 시간표준 현재의 전체 초 단위 오프셋을 정의하는 8비트 무부호 정수일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trigger_server_URL_length는 trigger_server_URL 필드의 바이트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이 필드의 값이 0이면, 개개의 활성화 트리거들의 인터넷 전달이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trigger_server_URL_length 필드가 0이 아니면, trigger_server_URL는 Trigger Server URL의 바이트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TPT XML 포맷의 LiveTrigger 엘리먼트의 URL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trigger_delivery_type는 인터넷을 통한 개별 활성화 트리거들의 전달 모드를 지시할 수 있다, '0' 값을 가지면 HTTP 숏 폴링이 사용 중임을 지시할 수 있고 '1' 값을 가지면 HTTP 롱 폴링 또는 HTTP 스트리밍이 사용 중임을 지시할 수 있다.
8비트 정수일 수 있는 poll_period는 HTTP 숏 폴링이 사용 중일 때, 폴 사이의 권장되는 초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_apps_in_table은 해당 TPT 인스턴스에서 기술된 어플리케이션들(TDO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16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id는 해당 어플리케이션(num_apps_in_table 루프(loop)의 반복에서 기술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해당 TPT 인스턴스 내에서 고유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type_included는 app_type 필드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name_included는 app_name 필드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global_id_included는 global_id 필드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version_included는 app_version 필드가 이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cookie_space_included는 cookie_space 필드가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frequency_of_use_included는 frequency_of_use 필드가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expire_date_included는 expire_date 필드가 이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포함되는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하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type은 존재할 경우, 이 어플리케이션의 포맷 유형을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0이면, 그 어플리케션이 TDO임을 지시할 수 있다. 만일 이 필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값은 0으로 디폴트된다. 다른 값들은 다른 포맷들을 나타낼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name_length는 존재할 경우,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app_name 필드의 비이트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이 필드의 값이 0이면 해당 어프리케이션을 위한 app_name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app_name는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appName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global_id_length는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global_id 필드의 바이트 길이를 지시할 있다. 이 필드 값이 0이면,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global_id 필드가 존재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global_id는 TPT XML 포맷의 TDO 엘리먼트의 globalId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app_version는 TPT XML 포맷의 TDO 엘리먼트의 appVersion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갖는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cookie_space는 TPT XML 포맷의 TDO 엘리먼트의 cookieSpace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frequency_of_use는 존재할 경우, TPT XML 포맷의 TDO 엘리먼트의 frequencyOfUse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expire_date는 TPT XML 포맷의 TDO 엘리먼트의 expireDate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있는 test_app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일반 수신기들에 의해 무시되도록 되어 있는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인 지의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테스트 어플리케이션이 아님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available_on_internet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인터넷을 통해 이용가능한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인터넷을 통해 이용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인터넷을 통해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있는 available_in_broadcast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방송을 통해 이용가능한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방송을 통해 이용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방송을 통해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4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ber_URLs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파일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URL_length는 그 뒤에 이어지는 URL 필드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URL은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URL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ber_content_items는 이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을 위해 다운로드 되어야 하는 콘텐트 아이템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updates_avail은 이 콘텐트 아이템이 가끔씩 업데이트되는 지, 즉 콘텐트 아이템이 고정 파일들의 집합인 지 아니면 실시간 데이터 피드인 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업데이트 됨을 지시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업데이트 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avail_internet는 이 콘텐트 아이템을 포함하는 파일(들)이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있는 avail_broadcast는 이 콘텐트 아이템을 포함하는 파일(들)이 방송을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방송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방송을 통한 다운로드로 이용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있는 content_size_included는 이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content_size 필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해당 필드가 포함됨을 의미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4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ber_URLs는 이 콘텐트 아이템을 포함하는 파일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URL_length는 그 뒤에 이어지는 URL 필드의 길이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URL은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ContentItem의 URL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24비트 필드일 수 있는 content_size는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ContentItem의 contentSize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_content_descriptors는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콘텐트 디스크립터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content_descriptor()는 MPEG-2 디스크립터 포맷(태그, 길이, 데이터)를 따르는 디스크립터일 수 있다. 이 필드는 해당 콘텐트 아이템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될 수 있는 디스크립터들 중에 이 콘텐트 아이템의 의미있는 표출을 위해 필요한 수신기 능력들을 지시하는 Capabilities 디스크립터가 있을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ber_events는 이 TDO에 대하여 정의된 이벤트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16비트 필드일 수 있는 event_id는 해당 이벤트(number_events 루프의 반복으로 기술된 이벤트)를 위한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필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범위 내에서 유일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는 app_id와 event_id의 조합에 의해 활성화 트리거들 내에서 참조될 수 있다.
5비트 필드일 수 있는 action은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Event 차일드 엘리먼트의 action 속성과 동일한 시맨틱을 가질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destination_included는 해당 이벤트를 위해 destination 필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이 필드가 포함됨을 지시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diffusion_included는 해당 이벤트를 위해 diffusion 필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이 필드가 포함됨을 지시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1비트 필드일 수 있는 data_included는 해당 이벤트를 위해 data_size와 data_bytes 필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그 값이 '1'이면 이 필드들이 포함됨을 지시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포함되지 않음을 지시할 수 있다.
destination 필드의 시맨틱은 존재할 경우,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Event 차일드 엘리먼트의 destination 속성의 시맨틱과 동일할 수 있다.
diffusion 필드의 시맨틱은 존재할 경우, TPT XML 포맷인 TDO 엘리먼트의 Event 차일드 엘리먼트의 diffusion 속성의 시맨틱과 동일할 수 있다.
data_size 필드는 존재할 경우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data_bytes 필드의 크기를 지시할 수 있다.
data_bytes 필드는 존재할 경우, 해당 이벤트와 관련 있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이벤트과 활성화될 때마다 타겟 어플리케이션은 그 데이터를 판독하고 이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의 수행을 도울 수 있다. 이 필드는 원시(raw) 이진 값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 그 내용이 TPT XML 포맷인 해당 TDO 엘리먼트의 해당 Event 차일드 엘리먼트의 해당 Data 차일드 엘리먼트의 내용과 동일할 있으며, TPT XML 포맷인 이 Data 엘리먼트는 그 이진 값의 베이스64 인코딩을 포함할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num_app_descriptors는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디스크립터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app_descriptor()는 MPEG-2 디스크립터 포맷(태그, 길이, 데이터)를 따르는 디스크립터일 수 있다. 이 필드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TDO)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될 수 있는 디스크립터들 중에 이 어플리케이션의 의미있는 표출을 위해 필요한 수신기 능력들을 지시하는 Capabilities 디스크립터가 있을 수 있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그 뒤에 바로 이어지는 디스크립터 루프 내의 디스크립터들의 수를 지시할 수 있다.
가변 길이 필드인 TPT_descriptor()는 MPEG-2 디스크립터 포맷(태그, 길이, 데이터)를 따르는 디스크립터일 수 있다. 이 필드는 해당 TPT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될 수 있는 디스크립터들 중에 이 TPT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양방향 서비스의 의미있는 표출을 위해 필요한 수신기 능력들을 지시하는 Capabilities 디스크립터가 있을 수 있다.
도 14는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구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테이블에 포함되는 각 필드들을 살펴본다. 각 필드의 크기와 테이블에 포함될 수 있는 필드의 종류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추가 또는 변경 가능하다
이하 AMT에 관하여 설명한다.
AMT(Activation Messages Table)는 세그먼트를 위한 활성화 트리거들에 상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환경에서는 활성화 트리거들 대신에 이것이 수신기들에 전달될 수 있다. 트리거는 "live trigger" 서버에 의해 ACR 서버들에서 AMT를 통해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스트림에서 전달될 수 있다.
AMT 구조 내 필드들의 구체적인 시맨틱은 다음과 같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AMT)는 @majorProtocolVersion, @minorProtocolVersion, @segmentId, @beginMT 속성 및/또는 Activation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AMT 엘리먼트의 4비트 속성일 수 있는 @majorProtocolVersion AMT 정의의 주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주 번전 번호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도록 구비되지 않은 주 버전 값들을 지시하는 AM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인스턴스.
AMT 엘리먼트의 4비트 속성일 수 있는 @minorProtocolVersion은 존재할 경우, AMT 정의의 부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존재하지 않을 경우 그 값은 0으로 디폴트될 수 있다. 부 번전 번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도록 구비되지 않은 부 버전 값들을 지시하는 AM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지 않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인스턴스. 이 경우,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지 않는 개별 엘리먼트 또는 속성들을 무시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AMT의 식별자인 @segmentID는 AMT내 Activation들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 및 이벤트들을 포함하는 TPT의 식별자와 매칭된다.
AMT 엘리먼트의 속성인 @beginMT는 존재할 경우, AMT 인트턴스가 활성화 시간들을 제공하는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인스턴스.
AMT의 Activation 엘리먼트 각 인스턴스는 어떤 이벤트를 이 이벤트와 연관된 어떤 데이터와 함께 어떤 시간에 활성화하는 명령을 나타낼 수 있다인스턴스.
@segmentId는 AMT의 식별자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단에서 AMT를 수신한 후 이를 파싱하여 @segmentId 정보를 통해 AMT를 식별할 수 있다. @segmentId는 AMT 가 어느 세그먼트에 적용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그 세그먼트에 관련된 TPT 가 가진 @id와 매칭되어 AMT와 TPT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먼저 해당 segment 를 식별함으로써, AMT 내의 각각의 Activation 엘리먼트가 타겟으로 하는 TDO, 이벤트를 식별하게 되는데 있어 필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beginMT 는 속해있는 AMT가 적용될 세그먼트에 대해 미디어 시간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Activation 엘리먼트가 지시하는 활성화가 발생할 시간의 기준을 정할 수 있다. 따라서 @beginMT가 있을 경우, Activation 엘리먼트 내의 @startTime 속성은 @beginMT가 지시하는 미디어 시간의 시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는 AMT 내에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하나 하나의 Activation 엘리먼트는 활성화 트리거와 유사한 역할을 할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들은 모두 AMT 내의 @segmentId가 지시하는 세그먼트에 적용될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 내의 속성들에, 해당 활성화가 어떤 어플리케이션의, 어떤 이벤트에, 언제 일어나게 될지에 대한 정보 등등을 담을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 내부의 속성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Activation 엘리먼트는 @targetTDO, @targetEvent, @targetData, @startTime, @endTime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의 속성인 @targetTDO는 AMT와 연관된 TPT 내의 TDO 엘리먼트의 appID 속성과 매칭됨으로써, 활성화 명령에 대한 타겟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의 속성인 @targetEvent는 targetTDO 속성에 의해 식별되는 TDO 엘리먼트 포함된 Event 엘리먼트의 eventID 속성과 매칭됨으로써, 해당 활성화 명령에 대한 타겟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Activation 엘리먼트의 속성인 @targetData는 targetTDO와 targetEvent 속성들에 의해 식별되는 Event 엘리먼트에 포함된 Data 엘리먼트의 dataID와 매칭됨으로써, 활성화 명령이 적용될 때 타겟 이벤트와 연관되는 데ㅣㅇ터를 식별할 수 있다.
이벤트 엘리먼트의 속성인 @startTime은 미디어 시간에 대한 이벤트의 유효 기간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수신기들은 미디어 시간이 startTime 내 값에 도달할 때 또는 그 후 최대한 빨리 해당 명령을 실행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벤트 엘리먼트의 속성인 @endTime은 미디어 시간에 대한 해당 이벤트를 위한 유효 기간의 끝을 지시할 수 있다. 수신기는 미디어 시간이 endTime의 값을 경과하면 해당 명령을 실행하지 않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targetTDO는 AMT 내의 Activation 엘리먼트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될지에 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AMT를 수신한 후 파싱하여 @targetTDO를 얻고, 매칭되는 TPT 내의 TDO 엘리먼트 내의 @appID를 찾아 Activation 엘리먼트가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targetEvent는 AMT 내의 Activation 엘리먼트가 어느 어플리케이션의 어느 이벤트에 적용될지에 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AMT를 수신한 후 파싱하여 @targetEvent를 얻고, 매칭되는 TPT 내의 TDO 엘리먼트 내의 @eventID를 찾아 Activation 엘리먼트가 적용될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targetData는 활성화 명령이 적용될 때, 타겟이 된 이벤트와 관련된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AMT를 수신한 후 파싱하여 @targetData를 얻고, TPT 내의 해당 Event 엘리먼트 내의 @dataID를 찾을 수 있다.
@startTime은 해당 이벤트가 일어날 시작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이 시작 시간은 미디어 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수신단에서는 AMT를 파싱하여 @startTime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해 이벤트가 일어날 시간을 알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segmentId에 의해 식별된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을 기준으로 미디어 시간이 시작 시간(startTime) 에 이를 경우 이벤트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만일 이미 시작 시간을 지난 경우 최대한 빨리 이벤트를 활성화 시킬 수 있다.
@endTime 은 해당 이벤트가 끝나는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미디어 시간이 끝나는 시간에 이를 경우, 수신단에서는 이벤트를 실행시키지 않을 수 있다.
AMT 내 Activation 엘리먼트들은 startTime 값들의 오름 차순으로 등장할 수 있다.
수신기가 AMT 내 Activation들에 따라 이벤트들을 활서화시킬 때 수신기는 각 활성호를 해당 시작 시간에 적용하거나 또는 그 후 최대한 빨리 적용(예를 들어, 수신기가 서비스에 가입하여 시작 시간 이후와 끝 시간 전의 어떤 시간에 AMT를 수신하는 경우)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TPT 내 이벤트 엘리먼트의 "action" 속성이 "exec"이면, 수신기는 TriggerEvent를 타겟 어플리케이션로 넘기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TriggerEvent에 대해서는 API와 관련된 부분에서 후술한다.
이하 URL 리스트에 관하여 설명한다.
URL 리스트는 수신기에 대하여 사용 잠재성이 있는 어떤 URL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U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미래 세그먼트들에 대한 TPT들을 위한 URL. 수신기가 파일들을 미기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한다.
2. 방송 스트림 내 독립형 NRT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가 검색될 수 있는 NRT 시그널링 서버의 URL. 수신기에 방송 스트림 내 NRT 서비스 시그널링의 전달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어도 이들 서비스들에 접근할 수 있게 한다.
3. 가상 채널에 대한 사용 보고가 전송되는 사용 보고 서버의 URL. 수신기에 방송 스트림 내 이 URL의 전달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어도 이와 같은 보고드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4. 가상 채널에 대한 PDI-Q 테이블의 URL. 수신기에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된 PDI-Q 테이블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어도 시청 경험을 개인화할 수 있게 한다. (PDI-Q 테이블은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개인화(personalization) 관련 있는 테이블이다. PDI-Q 테이블을 통해 사용자에게 개인화를 위한 질문을 할 수 있다.)
그 중 UsrUrl 엘리먼트에 관하여, URL 리스트를 만들어 추가로 사용 보고를 위한 서버의 URL을 알려 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것은 현재 수신기가 시청하고 소모하고 있는 컨텐츠의 종류와 선호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즈니스에 활용하기 위함일 수 있다. URL 리스트에 있는 UsrUrl 엘리먼트는 다음과 같이 여러가지로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첫번째 사용 보고 서버인 경우에는 수신기는 이 사용 보고 서버의 URL을 가지고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예, 데이터 구조, XML 파일 등)에 의하여 수신기의 사용 보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두번째로는 수신기의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TDO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 보고 TDO의 위치를 알려 주며, 이 경우에는 TDO가 직접 수신기의 웹브라우저의 API(예, 파일 API, 사용 보고 API)를 이용하여 수신기에 저장된 혹은 현재 소모하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들을 수집하여 보고할 수 있다. TDO는 자체적으로 XMLHttpRequest라는 자바스크립트 API를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5는 URL 리스트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URLlist는 UrlList, TptUrl, UrsUrl, 및/또는 PdiU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엘리먼트들의 시맨틱은 다음과 같다.
UrlList 엘리먼트의 엘리먼트인 TptUrl 현재의 양방향 부가 서비스 내 미래 세그먼트에 대한 TPT의 URL울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TptUrl 엘리먼트들이 포함된 경우, 방송 내 세그먼트들의 등장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UrlList 엘리먼트의 엘리먼트인 NrtSignalingUrl은 수신기들이 현재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 모든 가상 채널들에 대한 NRT 시그널링 테이블을 얻을 수 있는 서버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UrlList 엘리먼트의 엘리먼트인 UrsUrl은 수신기들이 현재의 가상 채널에 대한 사용(시청률 조사) 보고를 전송할 수 있는 서버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UrlList 엘리먼트의 엘리먼트인 PdiUrl은 현재의 가상 채널에 대한 PDI-Q 테이블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달 메커니즘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 양방향 서비스 생성으로부터의 결과, 방송 스트림 내에서의 트리거의 전달, 인터넷을 통한 시간 베이스 트리거의 전달, 인터넷을 통한 활성화 트리거의 전달 (ACR 시나리오), 방송 스트림 내에서의 TPT의 전달, 인터넷을 통한 TPT의 전달, TDO 및 콘텐트 아이템의 이동, 다수의 세그먼트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합치기의 순서대로 설명한다.
이하 양방향 서비스 생성으로부터의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한 서비스 생성 과정은 모든 TDO 및 다른 콘텐트 아이템들을 포함하는 폴더, XML format의 TPT 파일, 및 XML format의 AMT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그 밖에 다른 결과물도 생성될 수 있다.
이하 방송 스트림 내에서의 트리거의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될 경우, 트리거들은 URLString 명령 내에서 서비스 #6에서 DTV 클로즈드 캡션 채널로 전달될 수 있다.
만일 트리거의 길이가 26개 문자 이하이면, 트리거는 세그먼트화되지 않고 전송될 수 있다. (Type=11) 만일 트리거의 길이가 27 내지 52개 문자이면 두 개의 세그먼트 (the first segment in a Type=00 세그먼트인 첫 번째 세그먼트와 Type=10 세그먼트인 두 번째 세그먼트)로 전송될 수 있다.
해당 명령의 주어진 임의의 인스턴스에서 전달된 URI의 유형은 인스턴스8비트 파라미터에 의해 주어질 수 있다.
TDO 모델을 사용하는 양방향 서비스들의 경우, URI 데이터 구조의 URI 유형은 0 (TDO 모델을 위한 양방향 Interactive TV 트리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전달 메커니즘은 시간 베이스 트리거와활성화 트리거를 모두 포함한다.
시간 베이스 트리거 가 (클로즈드 캡션 서비스 #6에서)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m=" 항이 부재하면 시간 베이스 트리거들은 단순히 시그널링 서버의 URL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m=" 항이 부재하면, "t=" 항은 활성화 트리거들에 부재해야 한다.
활성화 트리거가 (클로즈드 캡션 서비스 #6에서)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되는 경우에, 즉, "Trigger" 포맷이 "e=" 항을 가지고 있고, "t=" 항은 가지고 있거나 없는 경우에, "t=" 항이 존재하면, 활성화 시간은 시간 베이스에 대한 타임 스탬프일 수 있다. 그리고 "t=" 항이 부재하면, 활성화 시간은 메시지의 도달 시간이 될 수 있다.
시간 베이스 트리거 와 활성화 트리거가 CC 서비스 #6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방송국이 시간 베이스 트리거 와 활성화 트리거를 다루는 방식에는 세 가지가 있을 수 있다.
1.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없는 세그먼트 모드
2.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있는 세그먼트 모드
3.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있는 서비스 모드
이들은 방송 내에서 세그먼트 단위로 혼합될 수 있다.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없는 세그먼트 모드에서는, 활성화 메시지들이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지 않아, 각 메시지의 활성화 시간은 그 메시지의 전달 시간이 될 수 있고, 또한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이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지 않아, 그 유일한 목적은 TPT 파일들을 전달할 수 있는 시그널링 서버의 URL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모드에서는 시그널링 서버의 URL을 제공하기 위한 활성화 메시지 내의 URL에 따라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이 완전히 생략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수신기들ㄹ은 첫 번째 활성화 메시지들이 등장할 때까지 TPT를 검색하거나 TDO의 다운로드를 시작할 수 없게 되고, 활성화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상당히 지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CC 서비스 #6에 등장할 수 있는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Trigger" 포맷의 "locator_part"를 포함할 수 있고, "spread" 항도 포함할 수도 있지만, "media_time" 항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CC 서비스 #6에서 등장할 수 있는 활성화 메시지들은 "Trigger" 포맷의 "locator_part"와 "event_time" 항을 포함할 수 있고, "spread" 항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벤트_time" 항에느 "t=" 부분이 없을 수 있다. 시간 베이스 및 활성화 메시지들의 "locator_part"는 현재의 segmentId일 수 있다. 이 URL은 인터넷을 통해 세그먼트를 위한 TPT를 검색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있는 서비스 모드에서,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시간 베이스를 정의하기 위해 이 타임 스탬프를 포함한다. 활성화 메시지들은 시간 베이스에 대한 활성화 시간을 정의하기 위해 시간 스탬프를 포함한다. 또는 이 메시지들은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활성화 시간은 메시지의 도달 시간이다.
이 경우, CC 서비스 #6에서 등장할 수 있는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Trigger" 포맷의 "locator_part"와 "media_time" 항을 포함할 수 있고, "spread" 항도 포함할 수 있고, and CC 서비스 #6에서 등장할 수 있는 활성화 메시지들은 "Trigger" 포맷의 "locator_part"와 "event_time" 항을 포함할 수 있고, "spread" 항도 포함할 수 있지고, 이 때 "event_time" 항 내 "t=" 부분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시간 베이스 및 활성화 메시지들의 "locator_part"는 현재의 segmentId일 수 있고, 해당 시간 베이스는 해당 세그먼트에 대해 특정하다. 이 URL은 인터넷을 통해 세그먼트를 위한 TPT를 검색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명시적인 시간 베이스가 있는 서비스 모드에서,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시간 베이스를 정의하기 위해 이 타임 스탬프를 포함하고, 활성화 메시지들은 시간 스탬프를 포함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시간 베이스는 다수의 하나의 세그먼트에 특정되기 보다는 다수의 세그먼트에 걸쳐 연장할 있다.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의 "locator_part"는 시간 베이스의 식별자일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위한 TPT들을 검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URL일 수도 있다.
어떤 경우이든지 CC 서비스 #6에 트리거들을 삽입하는 트리거 삽입 서버는 AMT로부터 작업을 하여 활성화 메시지들을 AMT 내의 XMS 포맷으로부터 CC 서비스 #6에서의 전달에 특정된 트리거 포맷으로 옮겨야 한다. endTime 속성이 없는 Activation 엘리먼트의 경우에는, 활성화 시간이 startTime 속성과 동일하고, 단일 트리거가 삽입될 수 있다. startTime과 endTime 엘리먼트들을 모두 가진 Activation 엘리먼트의 경우에는 동일한 타겟을 가지고 트리거 시퀀스가 삽입될 수 있다. 시퀀스 내 첫 번째 트리거는 startTime 속성과 동일한 활성화 시간을 가질 수 있고, 해당 시퀀스 내 마지막 트리거는 endTime 속성과 동일한 활성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시퀀스 내 트리거들의 활성화 시간들 사이에는 고정된 시간 구간이 존재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시퀀스 내 마지막 트리거와 그 바로 앞의 트리거 사이의 구간은 더 짧을 수 있다.) 이 고정된 시간 구간의 길이는 설정가능할 수 있다.
시간 베이스 및 활성화 메시지들이 세그먼트 모드일 때, 시간 베이스는 세그먼트에 대하여 특정될 수 있다. 이 베이스는 해당 세그먼트의 시작 때 "beginMT" 값으로 시작하여 세그먼트를 통하여 이어질 수 있다. 개개의 활성화들의 "startTime"과 "endTime" 값들은 "beginMT" 값에 대하여 상대적일 수 있다. 시간 베이스 및 활성화 메시지들이 서비스 모드에 있을 때, 시간 베이스는 세그먼트들에 걸쳐 이어질 수 있고, 각 세그먼트에 대한 "beginMT" 값은 서비스 시간 베이스와 방송 스케줄을 고려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하 인터넷을 통한 시간 베이스 트리거의에 대해 설명한다.
시간 베이스 트리거 인터넷 전달은 소위 자동콘텐츠인식(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ACR) 상황에서 유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황들에서 시간 베이스 트리거의 수신측은 클로즈드 캡션 서비스 #6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다. 이러한 상황에서 수신기는 비디오 프레이들을 인식하고 시간 베이스들을 이 프레임들과 동기화시키기 위해 ACR을 사용해야 한다. ACR 상황에서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워터마크 또는 ACR 서버들로부터 얻을 수 있다. ACR 서버로부터 받는 경우, 시간 베이스 메시지들은 ACR 서버로부터 응답으로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인터넷을 통한 활성화 트리거의 전달 (ACR 시나리오)에 대해 설명한다.
활성화 메시지들은 숏 폴링, 롱 폴링 또는 스트리밍을 통해 전달될 수 있지만, 이들 메시지들은 모두 수신기와 서버에 상당한 오버로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들은 AMT의 형태로 전달될 수도 있지만, 세그먼트들의 길이에 대한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하여, 광고사이트 차단기(ad killer)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방법들도 있을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가 활성화 트리거의 형태로 전달되는 경우, 즉 "Trigger" format에서 "e=" 항은 있고, "t=" 항은 있거나 없는 경우에, 이는 HTTP 숏 폴링, 롱 폴링 또는 스트리밍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는 경우, 활성화 메시지들은 다음 메커니즘들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둘 모두를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1. 활성화 트리거 개별 전달
2. 활성화 트리거 일괄 전달
이하 개별적 활성화 트리거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개별 활성화 트리거들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될 때, HTTP 숏 폴링, 롱 폴링 또는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활성화 트리거의 포맷은 DTVCC 서비스 #6을 통해 전달될 때와 동일할 있다.
숏 폴링의 경우에는 그 폴링 주기를 지정해 주어야 한다. 이 주기는 다음의 설명과 같이, TPT에 있는 pollPeriod를 이용하여 숏 폴링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 트리거들의 인터넷 전달이 이용가능할 경우, TPT 내 LiveTrigger 엘리먼트의 URL 속성은 활성화 트리거를 전달할 수 있는 활성화 트리거 서버를 지시할 수 있다. LiveTrigger 엘리먼트의 pollPeriod 속성이 TPT에 존재할 경우, 이느 HTTP 숏 폴링이 사용 중임을 지시할 수 있고, 이 속성은 수신기가 사용해야 할 폴링 주기를 지시할 수 있다. LiveTrigger 엘리먼트의 pollPeriod 속성이 TPT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는 HTTP 롱 폴링과 HTTP 스트리밍 중 어느 하나가 사용 중임을 지시할 수 있다.
어떤 프로토콜이 사용되는지에 관계없어, 수신기는 질의 형식으로 활성화 트리거 서버에 HTTP 요청을 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mt=<media_time>
여기에서 <media_time>은 시청되고 있는 콘텐트의 현재 미디어 시간일 수 있다.
숏 폴링이 사용 중인 경우, 활성화 트리거 서버로부터의 응답은 <media_time>에서 끝나는 pollPeriod 길이의 시간 구간 내에서 발생된 모든 트리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활성화 트리거가 리턴되는 경우, 이들은 하나 이상의 공백(white space) 문자들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만일 리턴되는 활성화 트리거가 없으면, 해당 응답은 비어 있을 수 있다.
HTTP 롱 폴링 또는 HTTP 스트리밍이 사용 중인 경우에는, 활성화 트리거 서버는 활성화 트리거가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될 미디어 시간까지 응답의 리턴을 대기할 수 있다. 이 때, 활성화 트리거를 리턴할 수 있다.
HTTP 롱 폴링이 사용 중인 경우, 활성화 트리거 서버는 활성화 트리거를 리턴 후 세션을 닫을 수 있다. 수신기는 업데이트된 미디어 시간을 이용하여 즉시 또 다른 요청을 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HTTP 스트리밍이 사용 중인 경우, 활성화 트리거 서버는 각 활성화 트리거를 리턴한 후 해당 세션을 열린 상태로 유지하고, 추가적인 활성화 트리거들을 전달할 시간이 도달하면 해당 세션에서 이 트리거들을 전달할 수 있다.
어느 경우이든지 HTTP 응답은 전달 모드를 알리기 위해 다음 형태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된 HTTP Response Header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ATSC-Delivery-Mode: ShortPolling [<poll-period>]
ATSC-Delivery-Mode: LongPolling
ATSC-Delivery-Mode: Streaming
<poll-period> 파라미터는 연속되는 폴들에 대하여 폴 사이의 권장 간격을 지시할 수 있다. <poll-period>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활성화 트리거 일괄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활성화 트리거들이 인터넷을 통해 일괄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 하나의 세그먼트에 대한 활성화 트리거들은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TPT를 메시지의 첫 번째 부분하고 AMT를 메시지의 두 번째 부분으로 하는 다중 부분 MIME 메시지의 형태로 HTTP를 통해 해당 세그먼트에 대한 TPT와 함께 전달될 수 있다.
도 16는 TPT들을 포함하는 프라이빗 섹션(private section)들의 이진 포맷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 설명하는 NRT-스타일 프라이빗 섹션은 도 16와 같을 수 있다.
이하 방송 스트림에서의 TPT 전달에 대해 설명한다.
방송 스트림으로 전달 시, TPT들은s can be translated from 이들의 XML 포맷에서 상응하는 이진 NRT-스타일 시그널링 포맷으로 변환되어 테이블 인스턴스 당 TPT 하나씩 NRT-스타일프라이빗 섹션들에 캡슐화될 수 있다. 현재 세그먼트에 대한 TPT는 항상 존재한다. 하나 이상의 미래 세그먼트들에 에 대한 TPT들도 존재할 있다. 인스턴스TPT 인스턴스는 그 segment_id 필드의 값에 의해 정의된다. 참고로, TDO 파라미터 테이블의 이진 포맷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정리하면, TPT의 이진 구조를 NRT로 전송하기 위해서, NRT 전송에 맞도록 섹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과정에 대해 이하 자세히 설명한다.
각 TPT는 블록들로 분할하여 이 블록들을 table_id, protocol_version TPT_data_version과 sequence_number 필드의 공통 값을 가지는 섹션들의 tpt_bytes() 필드들에 삽입함으로써 각 TPT는 NRT-스타일 프라이빗 섹션들 내에 캡슐화될 수 있다. 블록들은 section_number 필드 값들의 오름차순으로 섹션들에 삽입될 수 있다. 프라이빗 섹션들은 TPT에 관련된 가상 채널의 IP 서브넷의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Service Signaling Channel; SSC)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Service Signaling Channel"은 ATSC-NRT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특정 IP 주소와 포트 넘버를 가지는 채널을 의미한다. 섹션들 내의 sequence_number 필드들은 동일한 SSC로 전송되는 상이한 TPT 인스턴스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프라이빗 섹션( tpt_section() )은 table_id, protocol_version, sequence_number, TPT_data_version, current_next_indicator, section_number, last_section_number, 및/또는 service_id, tpt_byte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6 의 필드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8비트 필드일 수 있는 table_id는 해당 테이블 섹션이 TDO 파라미터 테이블 인스턴스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protocol_version은 두개의 부분으로 나눠볼 수 있다. 8비트 무부호 정수 필드 중 상위 4비트는 해당 테이블의 정의의 주 버전 번호와 여기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TPT 인스턴스를 지시할 수 있고, 하위 4비트는 부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주 버전 번호는 1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도록 구비되지 않은 주 버전 값들을 지시하는 AM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 부 버전 번호는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수신기들은 이들이 지원하도록 구비되지 않은 부 버전 값들을 지시하는 AMT의 인스턴스들을 버리지 않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기들은 이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디스크립터들과 이들이 지원하지 않는 필드들을 무시하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sequence_number는 8비트 필드일 수 있다. sequence_number는 해당 TPT 인스턴스의 다른 모든 섹션들의 sequence_number와 동일하고, 해당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내 다른 TPT 인스턴스의 모든 섹셔들의 sequence_number와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TPT 인스턴스와 구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equence_number 필드는 이 섹션이 나타나는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과 연관된 IP 서브넷을 가리킬 수 있다. 서로 다른 TPT 인스턴스들의 sequence_number 필드 값들은 방송 스트림에서 세그먼트들이 등장하는 순서를 반영할 수 있다.
TPT_data_version는 5비트 필드일 수 있으며, 해당 TPT 인스턴스의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는데, 여기서 TPT 인스턴스는 그 segment_id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TPT 버전을 미리 알아야 수신된 TPT 섹션 데이터가 최신 버전의 TPT인지 알 수 있기 때문에 섹션 테이블에 TPT_data_version 필드가 있을 수 있다. 번전 번호는 TPT 인스턴스 내 임의의 필드에 변경이 있을 경우 1 modulo 32 만큼씩 증분될 수 있다.
current_next_indicator는 1비트 지시자일 수 있으며, TPT 섹션들에 대해 항상'1'로 설정되어 전송되는 TPT가 segment_id에 의해 식별되는 세그먼트에 대해 항상 현재 TPT임을 지시할 수 있다.
section_number는 8비트 필드일 수 있으며, 해당 TPT 인스턴스 섹션의 섹션 번호를 제공할 수 있는데, TPT 인스턴스는 segment_id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 TPT 인스턴스 내 첫 번째 섹션의 section_number는 0x00일 있다. section_number는 TPT 인스턴스 내의 각 추가 섹션과 함께 1씩 증분될 수 있다.
last_section_number는 8비트 필드일 수 있으며, 마지막 섹션(즉, section_number가 가장 높은 섹션)이 그 일부인 TPT 인스턴스의 마지막 섹션 번호를 제공할 수 있다.
service_id는 해당 테이블 인스턴스에 기술된 콘텐트 아이템들을 제공하는 양방향 서비스와 연관된 service_id를 특정할 수 있다.
tpt_bytes()는 가변 길이 필드로서, 해당 섹션에 의해 부분적으로 전송되는 TPT 인스턴스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해당 테이블 인스턴스의 모든 섹션의 tpt_bytes() 필드들이 section_number 필드들의 순서대로 연결되면, 그 결과 하나의 온전한 TPT 인스턴스가 만들어질 수 있다.
즉, TPT의 이진 포맷을 이용하거나, XML 포맷을 이진 포맷으로 바꾼 후, NRT 전송에 맞도록 이를 나누어 프라이빗 섹션 중 tpt_bytes() 필드에 넣어 NRT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하나의 TPT가 여러 프라이빗 섹션으로 나눠질 경우, 각각의 프라이빗 섹션은 동일한 table_id, protocol_version TPT_data_version, sequence_number 값을 가질 수 있다. 나눠진 TPT 블록들은 section_number 필드 값에 따른 순서대로 삽입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수신한 프라이빗 섹션들에 대하여 파싱할 수 있다. 하나의 TPT로 다시 합치기 위하여, 동일한 table_id, protocol_version TPT_data_version, sequence_number 값을 가지는 프라이빗 섹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때, section_number와 last_section_number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순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동일한 table_id, protocol_version TPT_data_version, sequence_number 값을 가지는 모든 프라이빗 섹션들의 tpt_bytes()가 section_number의 순서대로 연결되면 하나의 온전한 TPT가 만들어 질 수 있다.
이하 인터넷을 통한 TPT의 전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인터넷으로 전달될 경우, TPT들은 HTTP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시간 베이스 메시지에서 현재 세그먼트에 대한 TPT의 URL은 "<domain name part>/<directory path>"일 수 있다. TPT에 대한 요청에 대한 응답은 단순히 TPT로 구성되거나, 요청된 TPT는 제1 부분에 있고 URL 리스트는 제2 부분에 있어 XML 문서로서 인코딩되는 2-부분 MIME 메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요청에 대한 응답은 항상 현재 세그먼트에 대한 TPT를 포함하게 된다. 하나 이상의 미래 세그먼트들에 대한 TPT들도 포함할 있다.)
도 17는 XML 문서로 인코딩된 URL 목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위에서 설명한 응답의 제2 부분으로서의 URL들은 도 17와 같은 형태일 수 있다.
도 17 의 엘리먼트의 시맨틱에 대해 설명한다.
"UrlList"는 수신기에 유용할 수 있는 URL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TptUrl"은 미래 세그먼트에 대한 TPT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TptUrl 엘리먼트들이 포함될 경우, 이들은 방송에서 세그먼트들의 등장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NrtSignalingUrl"은 수신기가 현재의 방송 스트림으로 모든 가상 채널들에 대한 NRT 시그널링 테이블들을 얻을 수 있는 서버의 URL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TDO 및 콘텐트 아이템의 이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트워크와 기지국들은 TDO 및 이 TDO들에 의해 사용되는 콘텐트 아이템들(파일들)의 전달을 위해 자체 HTTP 서버들을 자주 제공해야 한다. 제공이 이루어지면, TPT 내의 baseURL은 서버의 위치를 반영하여 조정될 수 있다.
이하 다수의 세그먼트를 하나의 세그먼트로 합치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세그먼트들 사이의 경계를 철저하게 모호하게 만들기 위해, 다수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TPT들과 AMT들은 하나의 TPT 및 AMT로 합쳐질 수 있다. 그 단계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1. 합쳐질 세그먼트들의 집합을 식별한다.
2. 새로운 segmentId를 가진 새로운 TPT를 생성한다.
3. 합쳐지는 세그먼트들 중 라이브 활성화들을 가지는 것이 있으면, 이들 활성화 모두에 대해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릴레이 서버를 제공하고, 이 서버에 대한 파라미터들을 "LiveTrigger" 엘리먼트에 넣는다.
4. 필요에 따라 각 세그먼트에 대하여 baseURL을 적용하여 전체 TDO와 ContentItem URL들을 얻는다. (합쳐지는 모든 세그먼트들에 공통적인 더 짧은 baseURL을 식별하고 이를 합쳐진 세그먼트에 대한 baseURL로 유지한다.)
5. 필요에 따라 값들을 수정하여 충돌을 제거한다.
6. 합쳐지는 모든 세그먼트들에 대한 모든 수정된 TDO 엘리먼트들을 새로운 TPT에 삽입한다.
7. 합쳐진 TPT의 새로운 segmentId에 상응하는 segmentId를 가지는 새로운 AMT를 생성한다.
8. 새로운 AMT에 대해 적절한 새로운 "beginMT" 값을 선택한다.
9. appId 값들에서의 변경을 반영하여 합쳐지는 세그먼트들에 대한 AMT 파일들 내의 모든 Activation element의 targetId 값들을 조정한다.
10. 새로운 "beginMT" 값과 합쳐지는 세그먼트들에 대한 방송 스케줄을 반영하여, 합쳐지는 세그먼트들에 대한 AMT 파일들 내의 모든 Activation 엘리먼트의 startTime과 endTime 값을 조정한다.
11. 수정된 모든 Activation 엘리먼트들을 새로운 AMT에 삽입한다.
이하 DO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위한, ATSC JavaScript API들에 대해 설명한다.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선언적 객체 동작들의 동기화를 지원하기 위해, 비디오/방송 객체에 대해 추가적인 방법들이 지원될 수 있다.
DTVCC 혹은 인터넷으로 TPT가 수신이 되면 TPT내에는 TDO를 실행하기 위한 여러개의 이벤트들이 있을 수 있으며 이 이벤트들은 활성화 트리거에 의하여 활성화 될 수 있다.
이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리스너(Listener)라는 함수를 eventID별로 등록해 둘 수 있다. 이에 따라, 위에서 설명한 '추가적인 방안들' 로서, 리스너 함수를 등록할 수 있는 다음의 두개의 함수가 있을 수 있다.
1. addTriggerEventListener
: eventId 별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콜백(callback) 함수(리스너 함수) 등록
2. removeTriggerEventListener: eventId별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콜백 함수(리스너 함수) 등록 취소
도 18는 addTriggerEventListener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18에서, addTriggerEventListener에 대한 설명과 포맷, 아규먼트(argument) 등이 도시되어 있다.
addTriggerEventListener 함수는 넘버 타입의 eventId와, EventListener 타입의 listener를 아규먼트로 받을 수 있다. EventListener 타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addTriggerEventListener 함수는 리턴 값이 없을 수 있다. (보이드(void))
여기서 eventId 아규먼트는 TPT의 이벤트 엘리먼트 안의 eventId일 수 있다. 여기서 listener 아규먼트는 해당 이벤트를 위한 리스너일 수 있다.
수신기의 트리거 처리 모듈에서는 활성화 메시지를 수신하자마자 "addTriggerEventListener" 함수를 이용하여 eventId 마다 리스너 함수를 등록할 수 있다. 추후 해당 이벤트에 홀성화가 일어나면 등록된 리스너 함수가 호출될 수 있다. 이 때, TriggerEvent 타입의 객체는 리스너 함수로 전달될 수 있다. TriggerEvent 타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9는 removeTriggerEventListener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19 에서, removeTriggerEventListener에 대한 설명과 포맷, 아규먼트 등이 도시되어 있다.
removeTriggerEventListener 함수는 Number 타입의 eventId와, EventListener 타입의 listener를 아규먼트로 받을 수 있다. EventListener 타입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removeTriggerEventListener 함수는 리턴 값이 없을 수 있다. (void)
여기서 eventId 아규먼트는 TPT의 이벤트 엘리먼트 안의 eventID일 수 있다. 여기서 listener 아규먼트는 해당 이벤트를 위한 리스너일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에서는, 더 이상 해당 eventId별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더 이상 수신하지 않기를 원하거나 "DestroyWindow"와 같은 프로그램 종료시에는 "removeTriggerEventListener"를 이용하여 등록된 리스너 함수를 취소할 수 있다.
도 20는 EventListener 타입의 정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EventListener 타입은 TriggerEvent 타입을 가지는 이벤트를 아규먼트로 할 수 있다. EventListener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도 21는 TriggerEvent 타입의 정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TriggerEvent 타입은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을 수 있다.
TriggerEvent 타입은 eventId, data, status를 속성으로 가질 수 있다. 여기서 eventId는 TPT의 이벤트 엘리먼트 안의 eventId일 수 있다. 여기서 data는 이벤트의 활성화를 위한 일 수 있다. 여기서 data는 16진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status는 이벤트의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status 값이 "trigger"일 경우는 이벤트가 활성화 트리거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status 값이 "error" 일 경우는 에러가 발생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2는 TDO 모델 에서의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다중부분 메시지 생성(su030), 다중부분 메시지 전송(su04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는 송신측에서 전송할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에 관련된 양방향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제2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범위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테이블로, 위에서 설명한 TDO 파라미터 테이블 (TPT)를 그 예로 들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에 대한 버전정보, 어플리케이션 에 대한 버전정보,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될 세그먼트의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이벤트에 대한 식별자 등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제1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에 관련된 양방향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TPT 내부의 @id 속성일 수 있다.
제2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범위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TPT 내부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 엘리먼트의 @appID 속성일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TPT를 수신하여, 이를 파싱할 수 있다. 파싱하여 상기의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제1 식별자를 이용하여 제1 식별자가 속하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관련되고, 그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들과 그 이벤트들이 적용될 세그먼트를 찾을 수 있다. The 제2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후, 활성화 메시지가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을 찾을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상기의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활성화 메시지들과 활성화되야 할 이벤트들을 매칭시킬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제5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식별자 어플리케이션에 타겟이 된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제5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TPT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 엘리먼트 내의 이벤트 엘리먼트의 속성인 @eventID에 해당할 수 있다. 제5 식별자는 AMF의 제6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제6 식별자의 동작과, 제6 식별자가 제5 식별자와 매칭되게 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후술한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전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의 정의의 버전 번호를 지시할 수 있다. 버전 정보는 앞서 설명한 TPT내의 속성인 @tptVersion에 해당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TPT 내지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파싱하여, 이 버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제7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7 식별자는 제5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이벤트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5 식별자는 위에서 설명한 제5 식별자와 같다. 제7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TPT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 엘리먼트 내의 Event 엘리먼트 내부의 Data 엘리먼트의 속성인 @dataID 에 해당할 수 있다. 제7 식별자는 AMF의 제8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제8 식별자의 동작과, 제8 식별자가 제7 식별자와 매칭되게 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후술한다.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생성(su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이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 (TDO)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TDO 파라미터 테이블일 수 있다. TDO와 TPT는 위에서 설명한 TDO, TPT와 같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은 송신측에서 전송할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어플리케이션들의 활성화 시간들의 적어도 하나를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시간은 활성화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제3 식별자 와 활성화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 내 활성화 메시지들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의 제1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메시지는 제4 식별자와 시작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이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내 어플리케이션의 제2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시작 시간 정보는 해당 세그먼트의 시간에 상대적인 어플리케이션에 타겟이 된 이벤트에 대한 기간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앞서 설명한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AMT)일 수 있다. 다수개의 활성화 메시지들을 포함할 수 있어, 특정 세그먼트에 관련있는 다수개의 활성화 메시지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버전 정보, 관련있는 세그먼트의 식별자, 각 활성화 메시지에 대한 정보들을 담을 수 있다.
활성화 시간은 통상적인 활성화가 일어나게 될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3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AMT에서, @segmentId에 해당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파일의 식별자로서 관련있는 세그먼트를 식별함으로써, 활성화 메시지 파일과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매칭시킬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는 앞서 설명한 AMT에서 차일드 엘리먼트인 활성화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메시지는 타겟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식별자, 타겟으로 한 이벤트에 대한 식별자, 활성화의 시작시간 등의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제4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AMT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활성화의 @targetTDO 속성일 수 있다. 따라서 활성화 명령이 타겟으로 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시작시간 정보는 앞서 설명한 AMT의 차일드 엘리먼트 인 활성화의 @startTime 속성일 수 있다. 따라서 이벤트의 실행 시작시간에 대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수신한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파싱하여 활성화 메시지, 제3 식별자, 제4 식별자, 시작시간 정보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파싱된 제3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내의 파싱된 제1 식별자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제1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 내의 활성화 메시지들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3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가 적용될 세그먼트에 대한 식별자로서, 제1 식별자와 매칭되어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AMF를 연결시킬 수 있다.
파싱된 제4 식별자는 TPT 내의 파싱된 제2 식별자 정보와 매칭될 수 있다. 제2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이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내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제4 식별자는 활성화 명령이 적용될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로서, 제2 식별자와 매칭되어 AMF 내의 활성화 메시지가 적용될 TPT 내의 어플리케이션과 연결시킬 수 있다.
파싱된 시작시간 정보는 속해있는 AMF 내의 활성화 메시지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이벤트의 활성화 시작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이는 세그먼트의 시간에 상대적인 시간정보 일 수 있다. 파싱된 @segmentId 와 @targetTDO 정보로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하여 활성화 메시지가 적용될 이벤트의 활성화 시작 시간을 지시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가 제6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6 식별자는 활성화 명령이 적용될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다. 제6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AMT 내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Activation 내의 @targetEvent에 해당할 수 있다. 제6 식별자는 제4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의 제5 식별자와 매칭될 있다. 여기서 제4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제4 식별자와 같다. 수신단에서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파싱하여 제6 식별자를 얻게 되면,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파싱하여 얻은 제5 식별자와 매칭할 수 있다. 이 매칭을 통하여 해당 활성화 메시지가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이벤트를 어플리케이션 내의 대응되는 이벤트 정보와 연결하고, 그 이벤트가 활성화될 수 있게 하여, 활성화 메시지가 동작하게 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이 시작시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시각보다 늦게 수신된 경우 활성화가 즉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가 제8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식별자는 타겟이 된 이벤트와 관련 있는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다. 제8 식별자는 위에서 설명한 AMT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Activation의 속성인 @targetData에 해당할 수 있다. 제8 식별자는 제4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의 제7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식별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4 식별자와 같다. 수신단에서는 파싱된 AMT의 제8 식별자를 파싱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의 제7 식별자 정보와 매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 메시지에 의해 타겟이 된 이벤트와 관련있는 데이터를 식별하여,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내의 데이터 정보와 연관 지을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가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종료 시간 정보는 세그먼트 시간에 상대적인 이벤트 기간의 끝을 지시할 수 있다. 종료 시간 정보가 가리키는 시각이 지난 후에는 이벤트의 실행이 멈출 수 있다. 즉, 시작시간 정보에 의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보 에 의한 종료 시간 사이에 이벤트가 활성화 될 수 있다.
활성화 메시지 테이블 생성(su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그먼트의 시간이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 일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은 콘텐트 아이템의 재생 지점을 참조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다중부분 메시지 생성(su030)은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다중부분 메시지의 제1 부분으로 하고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다중부분 메시지의 제2 부분으로 하는 다중부분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상기 설명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과 같다.
활성화 트리거 일괄 전달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활성화 트리거가 대량으로 인터넷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다중부분 MIME 메시지 형태로 전달될 수 있다. 다중부분 메시지 생성(su030) 단계에서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의 전송에 앞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각각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하는 다중부분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이 다중부분 메시지를 전달받아 파싱하여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수신단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중부분 메시지 전송(su040)은 HTTP를 통해 다중부분 메시지 수신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
활성화 트리거 일괄 전달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활성화 트리거가 대량으로 인터넷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세그먼트에 대한 활성화 트리거들이 HTTP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이 다중부분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단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는 본 발명에서, 수신기의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 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안테나(23010), 튜너(23020), VSB 또는 DVB 복조기(23030),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 캡션 모듈(23050), 트리거 모듈(23060), 웹 브라우저(23070),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2308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 UI 모듈(23100), 오디오 디코더(23110), 비디오 디코더(23120), 스피커(23130), 디스플레이 모듈(23140), 그래픽 프로세서(23150), 리모콘 수신기(23160) 및/또는및/또는 리모콘(23170)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23010)는 방송 스트림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안테나(23010) 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안테나일 수 있다.
튜너(23020)는 수신기에서 선국이나 동조 조작을 할 수 있다. 고주파 증폭, 국부 발진, 주파수 변환 및 입력 회로, 선국 기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튜너(23020)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튜너 일 수 있다.
VSB or DVB 복조기(23030)는 VSB 신호 또는 DVB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 VSB 또는 DVB 복조기(23030)는 변조된 VSB 또는 DVB (예를 들면, OFDM 변조된 신호) 를 원래 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여기서 VSB 또는 DVB 복조기(23030)의 복조과정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복조과정일 수 있다.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는 복조된 신호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Transport Stream; TS)를 디코딩한다.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캡션 스트림을 얻어 캡션 모듈(23050)로 전달할 수 있다.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는 디코딩 된 오디오, 비디오 신호를 오디오, 비디오 디코더(23120)로 보낼 수 있다.
캡션 모듈(23050)은 캡션 스트림을 전달받을 수 있다. 캡션 모듈(23050)은 서비스 #6 혹은 그 밖에 다른 서비스들을 감시하다가 서비스 #6 혹은 트리거가 전송되는 서비스들을 선별하여 트리거 모듈(23060)로 보낼지 혹은 켑션 텍스트를 처리하여 화면에 표시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트리거 데이터의 경우 트리거 모듈(230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캡션 서비스 등의 경우에는 캡션 텍스트 처리하여 그래픽 프로세서(23150)로 전달할 수 있다.
트리거 모듈(23060)은 트리거, TPT, 및/또는 AMT 정보 등을 파싱하여, 파싱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트리거 모듈(23060)은 트리거 내의 URI 정보 값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23080)을 통해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다. 여기서 URI 정보 값은 HTTP 서버의 주소일 수 있다. 트리거 모듈(23060) 은 TPT 파일 내용을 분석하여 TDO URL을 얻을 수 있다. 또한, AMT 를 파싱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 밖의 정보들도 파싱하여 얻을 수 있다. AMT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는 정해진 시간과 동작에 따라서 웹 브라우저에 해당되는 TDO URL을 전달하거나 혹은 정해진 시간에 현재 동작하는 TDO를 중단시키거나 할 수 있다. 이것은 TDO 동작에 해당되는 동작으로 트리거 모듈(23060)이 웹 브라우저에 명령을 내려서 동작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트리거 모듈(23060) 의 동작에 관해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웹 브라우저(23070)는 트리거 모듈(23060)이 내린 명령, UI 모듈(23100)에서 전달받은 브라우저 키코드, 리모콘 수신기(23160) 가 전달한 브라우저 키코드 등을 전달받아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2308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23080)은 트리거 모듈(23060)과 웹브라우저와 통신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를 통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는 다른 여러 장치의 공통 접속이나 망 컴퓨터와 외부 망의 접속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에 접속하여 TDO, TPT, AMT 등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의 동작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의 동작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3090) 의 동작에 관해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UI 모듈(23100)은 리모콘(23170)를 이용해 시청자가 입력한 정보를 리모콘 수신기(2316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전달받은 정보가 network 를 이용한 서비스 등에 관련된 것일 경우 브라우저 키 코드를 웹브라우저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받은 정보가 현재 display 되는 단순 video 에 관한 것이면 그래픽 프로세서(23150)를 거쳐 디스플레이 모듈(23140)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디코더(23110)는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 후 스피커로 디코딩한 오디오 신호를 보내 시청자에게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디코더(23110) 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디코더일 수 있다.
비디오 디코더(23120)는 MPEG-2TS 시스템 디코더(23040)로부터 전달받은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 모듈(23140)로 디코딩한 비디오 신호를 보내 시청자에게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비디오 디코더(23120)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비디오 디코더일 수 있다.
스피커(23130)는 오디오 신호를 시청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피커는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스피커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3140)은 비디오 신호를 시청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모듈(23140)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모듈(23140)의 동작에 관해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그래픽 프로세서(23150)는 캡션 모듈(23050)로부터 전달받은 caption text 와, UI 모듈(23100) 로부터 받은 시청자의 입력정보를 그래픽화 하는 처리과정을 거칠 수 있다. 처리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모듈(2314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그래픽 프로세서(23150)은 통상의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그래픽 프로세서일 수 있다.
리모콘 수신기(23160) 는 리모콘(23170)가 보내오는 정보를 받을 수 있다. 이 때 키 코드는 UI 모듈(23100)로 전달하고, 브라우저 키 코드는 웹 브라우저 로 전달할 수 있다.
리모콘(23170) 는 시청자가 입력한 신호를 리모콘 수신기(23160)로 전달한다. 리모콘(23170) 는 시청자가 가상 채널 을 바꾸려는 입력 등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에 대해 시청자가 선택한 정보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리모콘(23170)는 리모콘 수신기(23160)로 입력받은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적외선(IR)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를 일정거리 밖에서 원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4는 방송을 셋탑 박스에서 HDMI 혹은 외부 입력으로 수신하는 경우의 수신기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안테나(24010), 튜너(24020), 셋탑 박스(24030), VSB or DVB 복조기(24040), HDMI(24050), MPEG-2 TS 시스템 디코더(24060), 캡션 모듈(24070), 트리거 모듈(24080), 웹브라우저(24090),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241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110), UI 모듈(24120), ACR module(24130), 오디오 디코더(24140), 비디오 디코더(24150), 스피커(24160), 디스플레이 모듈(24170), 그래픽 프로세서(24180), 리모콘 수신기(24190), 리모콘(24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일단 방송 스트림이 비디오와 오디오가 원시 데이터(Raw Data)이므로 캡션 스트림에 포함되어 있는 트리거를 수신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여기서 셋탑 박스(24030), HDMI(24050), ACR 모듈(24130)를 제외한 나머지 모듈들은, 도 23에서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모듈들과 그 역할이 유사하다.
셋탑 박스(24030), HDMI(24050), ACR 모듈(24130)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셋탑 박스(24030)는 디지털망을 통해 비디오 서버로부터 전송된 압축신호를 원래의 영상 및 음성신호로 복원할 수 있다. TV를 인터넷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줄 수 있다.
HDMI(24050)는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의 하나인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HDMI(24050)는 셋탑 박스(24030)와 AV기기, 즉 오디오 디코더(24140), 비디오 디코더(24150)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R 모듈(24130)은 오디오 디코더(24140)와 비디오 디코더(24150)로부터 자동으로 방영중인 컨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인식된 현재의 컨텐츠를 바탕으로 트리거 모듈(24080)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4110)를 통해 ACR 서버로 질의(Query)를 보내어 트리거를 위한 TPT/AMT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5는 TDO 모델에서의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도 25 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신기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010), 트리거 모듈(v020), 디스플레이 모듈(v030)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010)은 위에서 설명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v010)은 다중부분 메시지를 HTTP를 통해 받을 수 있다. 여기서, 다중부분 메시지는 다중부분 메시지의 제1 부분인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다중부분 메시지의 제2 부분인 활성화 메시지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중부분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트리거 모듈(v020)은 위에서 설명한 트리거 모듈와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트리거 모듈(v020)은 다중부분 메시지를 파싱하여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과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얻을 수 있다. 트리거 모듈(v020)은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파싱하여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및 URL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모듈(v020)은 어플리케이션들의 활성화 시간들 중 적어도 하나를 지시하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을 파싱하여 제3 식별와 활성화 메시지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모듈(v020)은 활성화 메시지를 파싱하여 제4 식별자와 시작 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에 관련된 양방향 프로그램 세그먼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범위 내의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전달할 수 있는 서버의 URL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URL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인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 시간은 활성화의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 내 활성화 메시지들이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얻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의 제1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식별자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이 관련된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내 어플리케이션 제2 식별자와 매칭될 수 있다. 여기서, 시작시간 정보는 세그먼트 시간에 상대적인 어플리케이션에 타겟이 된 이벤트의 기간의 시작을 지시할 수 있다.
URL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을 전달할 수 있는 서버의 URL을 지시할 수 있다. URL 정보는 도 5에서 TPT의 차일드 엘리먼트인 TDO 엘리먼트 내에 있는 URL 엘리먼트에 해당할 수 있다. URL 정보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인 파일을 식별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URL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다중부분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 활성화 메시지 파일, 제1 식별자, 제2 식별자, 제3 식별자, 활성화 메시시, 제4 식별자, 시작시간 정보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앞서 송신단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제5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메시지가 제6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5 식별자와 제6 식별자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송신단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 파일이 시작 시간 정보에 의해 지정된 시각보다 늦게 수신된 경우 활성화가 즉시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버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전 정보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송신단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제7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활성화 메시지가 제8 식별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식별자와 제8 식별자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송신단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활성화 메시지가 종료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종료 시간 정보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송신단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이 타겟이 된 선언적 객체(TDO)일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이 TDO 파라미터 테이블일 수 있다. TDO와 TPT는 위에서 설명한 TDO, TPT 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세그먼트의 시간이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일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은 콘텐트 아이템 재생의 어느 지점을 참조하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v030)은 위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 모듈과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v030)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 직접 실행 모델에 대해 설명한다.
직접 실행 모델에서, 가상 채널이 선택되면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 DO)가 자동으로 개시될. 선언적 객체는 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서의 화면의 생성, 여론 조사 수행, 다른 특수 DO들의 개시 등과 같이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동기화되는 양방향 특징들의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사항들을 얻기 위해 인터넷을 통해 백엔드(backend)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하 직접 실행 모델 에서의 트리거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트리거의 역할, 기능, 신택스는 직접 실행 모델이라고 하여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트리거의 성능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트리거 신택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트리거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domain name part> / <directory path> [ ? <parameters> ]
직접 실행 모델에서,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의 조합으로 개시될 DO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parameters>는 "event_time", "media_time", 또는 "spread"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접 실행 모델에서, 가상 채널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Synchronized Content Protocol"을 통하여 인터넷으로 백엔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서버는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모두 동기화된 양방향 특징의 제공을 위한 지시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다.
직접 실행 모델의 경우, 그 즉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때문에, 시간 베이스 트리거가 전달되는 대로 현재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모델에서, 어플리케이션은 서버에, 앞서 말한 동기화를 위하여, 현재 방영중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계속해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이 필요를 위하여 시간 베이스 트리거 에는 TDO 모델과는 다른 특별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특별한 정보는 현재 방영중인 컨텐츠에 대한 식별자일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는 트리거의 파라미터 부분에 파라미터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유사하게는 상기 컨텐츠 식별자는 트리거의 media_time에 하나의 항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콘텐트 식별자 항은 "c =" 와 그 뒤의 문자열에 의해 지정될 수 있는 content_id로 불릴 수 있으며, 현재 시청되고 있는 콘텐트에 대한 식별자를 나타낼 수 있다.
content_id 항은 양방향 서비스 실행의 직접 실행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대로, 이 모델에서, content_id 항을 가진 시간 베이스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의 개시 후 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고, 이 어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을 위한 컨텍스트(context)의 식별을 위해 content_id를 백엔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직접 실행 모델에서의 트리거의 전달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것과 같다.
단, 방송 스트림으로의 트리거의 전달의 경우에 있어, 트리거들은 URLString 명령 내에서 서비스 #6에서 DTV 클로즈드 캡션 채널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직접 실행 모델을 이용하는 양방향 서비스들은, , URI_type 필드가 2 (직접 실행 모델을 위한 양방향 TV트리거)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직접 실행 모델 의 전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양방향 서비스를 실행하는 하나의 모델로서, 직접 실행 모델에서는, 가상 채널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개시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Synchronized Content Protocol"을 통하여 인터넷으로 백엔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이 서버는 스크린 상의 특정 위치에서의 화면의 생성, 여론 조사 수행, 다른 특수 DO들의 개시 등과 같이 오디오-비디오 프로그램과 동기화되는 양방향 특징들의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은 유사하게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우선,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될 수 있다. 그 후 시간 베이스 트리거를 수신한다. 시간 베이스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후에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된다. 시간 베이스 트리거의 content_id 항에는 현재 보여지는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식별 정보가 들어있다. 어플리케이션은 상호작용을 위한 컨텍스트를 식별하고 현재 시청 중인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하여 content_id를 백엔드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6는 직접 실행 모델에서의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실행 모델에서의 송신방법의 일 실시예는, 트리거 생성(sw010), 방송 신호 생성(sw020), 방송 신호 전달(sw030)을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는 전송할 트리거를 만드는 단계이다. 여기서, 트리거는 제1 식별자와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개시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파라미터는 미디어 시간 스탬프와 콘텐트 식벼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콘텐트의 재생에서 현재 지점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 식별자는 현재 보여지고 있는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시청 중인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콘텐트 식별자를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앞서 설명한 트리거 신택스에서 locator_part에 해당할 수 있다. locator_part는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 부분으로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의 조합으로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앞서 설명한 트리거 신택스에서 <parameter>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parameters>는 "event_time", "media_time", 또는 "spread"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parameters> 중, 앞서 설명한 "media_time"에 해당할 수 있다.
콘텐트 식별자는 <parameters> 중, 앞서 설명한 "media_time" 내의 content_id 항에 해당할 수 있다.
서버는 앞서 설명한 백엔드 서버일 수 있다.
수신단에서는 해당 트리거를 받은 후 파싱할 수 있다. 파싱하여 제1 식별자, 파라미터, 미디어 시간 스탬프, 콘텐트 식별자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1 식별자 정보를 이용하여 실행될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수신된 트리거는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파라미터 내의 미디어 시간 스탬프 내의 콘텐트 식별자 정보를 서버로 전달하여, 서버가 현재 보여지고 있는 콘텐트에 대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 후, 서버는 양방향 특징들의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지시사항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은 앞서 설명한 <domain name part>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은 앞서 설명한 <directory path> 일 수 있다. <domain name part> 와 <directory path>에 대해 앞서 설명했듯이,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할 수 있고, 제2 부분은 식별된 도메인 이름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서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는 최대 5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지 않았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수신단에서는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he current point in the playout of the content" 는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트리거 생성(sw01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이 선언적 객체,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 비실시간 선언적 객채,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 중 하나일 수 있다.
방송 신호 생성(sw020)는 앞서 생성한 트리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만드는 단계일 수 있다.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일 수 있다.
방송 신호 생성(sw020) 단계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송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트리거를 방송 신호의 DTV 클로즈드 캡션 채널에 삽입할 수 있다.
방송 신호 전송(sw030)는 생성된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직접 실행 모델의 경우에도 도 23, 도 24 에서 설명한 수신기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7는 직접 실행 모델에서의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실행 모델에서의 수신장치의 일 실시예는, 튜너(x010), 트리거트리거 모듈(x0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x030), 디스플레이 모듈(x040)을 포함할 수 있다.
튜너(x010)는 도 23 에서 설명한 튜너 와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튜너(x010) 은 content_id 정보를 담고 있는 트리거를 포함한 방송 신호를 받을 수 있다. 여기서, content_id 는 상기 설명한 현재 방영중인 컨텐츠의 식별자일 수 있다.
트리거트리거 모듈(x020)는 도 23에서 설명한 트리거 모듈과 유사한 동작을 할 수 있다. 트리거 모듈(x020)은 방송 신호를 파싱하여 트리거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모듈(x020)은 트리거를 파싱하여 제1 식별자와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다. 트리거 모듈(x020)은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리거 모듈(x020)는 파라미터를 파싱하여 미디어 시간 스탬프와 콘텐트 식별자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식별자는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콘텐트의 재생에서 현재 지점을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콘텐트 식별자는 현재 보여지고 있는 콘텐트를 식별할 수 있다.
트리거, 제1 식별자, 파라미터, 미디어 시간 스탬프, 콘텐트 식별자의 의미와 서로간의 동작은 앞서 직접 실행 모델 에서의 방송 신호의 송신과정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은 앞서 설명한 <domain name part> 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은 앞서 설명한 <directory path> 일 수 있다. <domain name part>와 <directory path>에 대해 앞서 설명했듯이,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할 수 있고, 제2 부분은 식별된 도메인 이름에 대한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의 제어 및 관리 하에서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트리거는 최대 52바이트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the current point in the playout of the content"는 세그먼트의 미디어 시간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플리케이션이 선언적 객체,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 비실시간 선언적 객채,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리거가 방송 신호 내의 DTV 클로즈드 캡션 채널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x030)은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현재 보여지고 있는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콘텐트 식별자를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지 않았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된 경우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며, 어플리케이션은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된다. 수신단에서는 제1 식별자 에 의해 식별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x030)을 통해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x040)은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로 상술되었다.
본 발명은 방송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일련의 산업분야에서 이용 가능하다.

Claims (14)

  1. 양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콘텐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방송 콘텐트를 수신기에게 전송하는 단계;
    상기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트리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트리거를 상기 방송 콘텐트를 재생하는 수신기에게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트리거는 제1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수신기에서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미디어 시간 스탬프(media time stamp)와 콘텐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세그먼트와 연관된, 상기 수신기에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방송 콘텐트의 현재 미디어 시간을 지시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상기 수신기에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방송 콘텐트와 동기화된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 베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상기 현재 보여지는 방송 콘텐트를 식별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고(passed),
    상기 현재 보여지는 방송 콘텐트를 식별하고, 상기 현재 보여지고 있는 방송 콘텐트와 동기화된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얻기 위하여 백엔드 (back-end) 서버와의 통신을 위하여,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상기 백엔드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시간 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백엔드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 1 후속 트리거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후속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식별하는 로케이터 파트(locato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상기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대상으로 하는 양방향 이벤트들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후속 트리거의 상기 로케이터 파트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이벤트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타겟하는 양방향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타겟하는 양방향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하고, 상기 제2 부분은 도메인 이름을 식별할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하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최대 5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riggered Declarative Object), 비실시간 선언적 객체 또는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nbound Declarative Object)인,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처리하는 방법은,
    DTV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채널에 상기 트리거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방향 서비스 처리 방법.
  8. 양방향 서비스(interactive service)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방송 콘텐트를 수신하는 튜너;
    상기 수신한 방송 콘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방송 콘텐트와 관련된 양방향 서비스를 위한 트리거를 수신하는 트리거 모듈로서, 상기 트리거는 제1 식별자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식별자는 개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미디어 시간 스탬프(media time stamp)와 콘텐트 식별자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세그먼트와 연관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상기 방송 콘텐트의 현재 미디어 시간을 지시하고, 상기 콘텐트 식별자는 상기 현재 보여지는 방송 콘텐트를 식별하고, 상기 미디어 시간 스탬프는 상기 현재 보여지고 있는 방송 콘텐트와 동기화된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간 베이스를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트리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개시된 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전달되고(passed);
    상기 현재 보여지는 방송 콘텐트를 식별하기 위하여 상기 콘텐트 식별자를 상기 어플리케이션를 이용하여 상기 백엔드(backend)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백엔드 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보여지고 있는 방송 콘텐트와 동기화된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을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및
    상기 생성된 시간 베이스를 기반으로 상기 백엔드 서버의 지시에 따라 상기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세서로서,
    상기 트리거 모듈은 제 1 후속 트리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후속 트리거는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식별하는 로케이터 파트(locator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상기 세그먼트의 어플리케이션들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들을 대상으로 하는 양방향 이벤트들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모듈은 상기 제 1 후속 트리거의 상기 로케이터 파트에 의해 식별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을 더 수신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파라미터 테이블은 제 2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 및 이벤트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타겟하는 양방향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엘리먼트는 상기 제 2 어플리케이션을 타겟하는 양방향 이벤트를 식별하는 이벤트 식별자를 포함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제1 부분 및 제2 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부분은 등록된 인터넷 도메인 이름을 참조하고, 상기 제2 부분은 도메인 이름을 식별할 권한을 가지는 엔티티(entity)의 제어 및 관리 하에 디렉토리 경로를 식별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최대 52 바이트의 길이를 가지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이미 캐시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다운로드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장치.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선언적 객체(Declarative Object), 트리거된 선언적 객체(Triggered Declarative Object), 비실시간 선언적 객체 또는 언바운드 선언적 객체(Unbound Declarative Object)인,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는 DTV 클로즈드 캡션(closed caption) 채널에 삽입되는, 장치.

KR1020147031607A 2012-06-25 2013-06-24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246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64150P 2012-06-25 2012-06-25
US61/664,150 2012-06-25
US201261668442P 2012-07-05 2012-07-05
US61/668,442 2012-07-05
US201261680279P 2012-08-07 2012-08-07
US61/680,279 2012-08-07
US201261684120P 2012-08-16 2012-08-16
US61/684,120 2012-08-16
US201361767260P 2013-02-21 2013-02-21
US61/767,260 2013-02-21
PCT/KR2013/005561 WO2014003394A1 (en) 2012-06-25 2013-06-24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nteractive ser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527A KR20150035527A (ko) 2015-04-06
KR102024600B1 true KR102024600B1 (ko) 2019-09-24

Family

ID=497755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07A KR102024600B1 (ko) 2012-06-25 2013-06-24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147031606A KR102024599B1 (ko) 2012-06-25 2013-06-25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606A KR102024599B1 (ko) 2012-06-25 2013-06-25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7) US9038097B2 (ko)
EP (2) EP2865188B1 (ko)
JP (2) JP6174691B2 (ko)
KR (2) KR102024600B1 (ko)
CN (2) CN104412603B (ko)
BR (1) BR112014032554A2 (ko)
CA (2) CA2875465C (ko)
MX (2) MX346306B (ko)
WO (2) WO2014003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11123B2 (en) * 2001-04-13 2010-05-04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egmenting audio signals into auditory events
US8413205B2 (en) 2001-09-19 2013-04-02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content
US11388451B2 (en) 2001-11-27 2022-07-1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ata-rich interactive television using broadcast database
US8365230B2 (en) 2001-09-19 2013-01-29 Tvworks, Llc Interactive user interface for television applications
US8042132B2 (en) 2002-03-15 2011-10-18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content
US7703116B1 (en) 2003-07-11 2010-04-2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on, delivery and display of iTV applications that blend programming information of on-demand and broadcast service offerings
US11070890B2 (en) 2002-08-06 2021-07-2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User customization of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ve television
US8220018B2 (en) 2002-09-19 2012-07-10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eferred placement programming of iTV content
US11381875B2 (en) 2003-03-14 2022-07-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Management, Llc Causing display of user-selectable content types
US10664138B2 (en) 2003-03-14 2020-05-26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Provid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 second screen experience
US8578411B1 (en) 2003-03-14 2013-11-05 Tvworks,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V application behaviors through the use of application profile filters
US8819734B2 (en) 2003-09-16 2014-08-26 Tvworks, Llc Contextual navigational control for digital television
US7818667B2 (en) 2005-05-03 2010-10-19 Tv Works Llc Verification of semantic constraints in multimedia data and in its announcement, signaling and interchange
US11832024B2 (en) 2008-11-20 2023-11-2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video and video-related content at sub-asset level
KR20120084233A (ko) * 2011-01-19 2012-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엠엠티 제어 계층을 이용한 위젯/어플리케이션 명령어 전송 방법
JP5857636B2 (ja) * 2011-11-02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00366B1 (en) * 2011-12-27 2019-03-27 Saturn Licensing LLC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supply device and 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supply method
BR112014032554A2 (pt) 2012-06-25 2017-06-27 Lg Electronics Inc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um serviço interativo
US9456245B2 (en) * 2012-07-05 2016-09-27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s
US9432744B2 (en) * 2012-07-31 2016-08-30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11115722B2 (en) 2012-11-08 2021-09-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rowdsourcing supplemental content
CN103093142B (zh) * 2012-12-26 2015-07-22 飞天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Java卡对象访问的控制方法
US9553927B2 (en) * 2013-03-13 2017-01-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nchronizing multiple transmissions of content
US10880609B2 (en) 2013-03-14 2020-12-29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ent event messaging
US20140289366A1 (en) * 2013-03-20 2014-09-25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ystem for instance hosting
US20160352793A1 (en) * 2014-02-17 2016-12-0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a hybrid broadcast ser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hybrid broadcast service
KR20150104711A (ko) * 2014-03-06 2015-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ES2545974B1 (es) * 2014-03-17 2016-04-27 Bankinter, S.A. Sistema de protección automático y personalizado para aplicaciones móviles
CA2955486C (en) 2014-09-05 2023-03-21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11783382B2 (en) 2014-10-22 2023-10-10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urating content metadata
US10477283B2 (en) * 2015-05-22 2019-11-12 Dish Technologies Llc Carrier-based active text enhancement
MX2018009625A (es) * 2016-02-15 2018-09-11 Sony Corp Aparato de recepcion, aparato de transmision y metodo de procesamiento de datos.
US11032220B2 (en) 2016-06-24 2021-06-08 Airwatch Llc Architecture for performing actions in a third-party service by an email client
US10582005B2 (en) 2016-06-24 2020-03-03 Airwatch Llc Architecture for performing actions in a third-party service by an email client
US10484324B2 (en) 2016-10-02 2019-11-19 Vmware, Inc. Hero cards that display contextual information and actions for backend systems
US11340961B2 (en) 2017-03-23 2022-05-24 Airwatch Llc Dynamically integrating a client application with third-party services
CN107040615B (zh) * 2017-06-22 2021-07-0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媒体分片的下载方法、终端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389040B1 (ko) * 2018-02-23 2022-04-22 에빅사 가부시키가이샤 콘텐츠 재생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방법 및 콘텐츠 재생 시스템
CN109727438B (zh) * 2018-12-26 2021-06-22 浙江西盈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遥控器与主机之间序列号交互的方法
CN110162347B (zh) * 2019-05-15 2023-05-16 苏州达家迎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启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272250B1 (en) * 2020-11-23 2022-03-08 The Boston Consulting Group,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xecuting and monitoring content in a decentralized runtime environ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2947A1 (en) 2010-01-13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delivery of interactivity event asset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KR101352692B1 (ko) 2009-09-25 2014-01-16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북마킹
KR101701853B1 (ko) 2008-05-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2155B1 (en) 1999-06-15 2007-05-22 Wink Communications, Inc. Synchronous updating of dynamic interactive applications
US6415438B1 (en) * 1999-10-05 2002-07-02 Webtv Networks, Inc. Trigger having a time attribute
US7174562B1 (en) * 1999-12-20 2007-02-06 Microsoft Corporation Interactive television triggers having connected content/disconnected content attribute
US7275256B1 (en) * 2001-08-28 2007-09-25 Music Cho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isual complement to an audio program
WO2002062009A1 (en) * 2001-01-30 2002-08-08 Digimarc Corporation Efficient interactive tv
US7584491B2 (en) * 2001-04-25 2009-09-01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teractive programming and advertisements i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s
EP1446948A4 (en) 2001-10-31 2009-07-15 Goldpocket Interactive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ON OF INTERACTIVE DATA VIA PROGRAMMING AND COORDINATING SYSTEM FOR EMISSIONS
FR2832580B1 (fr) * 2001-11-16 2004-01-30 Thales Sa Signal de programme de diffusion avec commande, systemes d'inscription et de lecture de commande, chaine de production et de diffusion associes
JP4206357B2 (ja) 2003-05-26 2009-01-07 株式会社ミツトヨ サーボ型振動検出器及びサーボ型振動検出器の零点補正方法
GB0313720D0 (en) * 2003-06-13 2003-07-16 Electra Guide Ltd England An improved television system
JP2005020090A (ja) * 2003-06-23 2005-01-20 Ntt Docomo Inc 視聴システム及び視聴端末
CN1722822A (zh) * 2004-07-15 2006-01-18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激活交互式应用的方法和装置
KR100777409B1 (ko) * 2006-06-05 2007-11-19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디지털 양방향 방송에서의 네트워크 서비스 프로바이더애플리케이션 프로비저닝 방법
KR101314291B1 (ko) * 2007-02-15 2013-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의 미들웨어 표준이 다른 장치에서 상호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US9094721B2 (en) * 2008-10-22 2015-07-28 Rakute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network link between broadcast content and content located on a computer network
US8099752B2 (en) * 2008-12-03 2012-01-17 Sony Corporation Non-real time services
JP5433239B2 (ja) * 2009-01-15 2014-03-05 日本放送協会 放送型アプリケーションの起動システム
US8813164B2 (en) * 2009-11-30 2014-08-19 Sony Corporation Data tunneling via closed captioning
US20110177774A1 (en) * 2010-01-13 2011-07-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generation, delivery, and execution of interactive applications over a mobile broadcast network
US9723360B2 (en) * 2010-04-01 2017-08-01 Saturn Licensing Llc Interests and demographics profile for advanced broadcast services
US8863171B2 (en) * 2010-06-14 2014-10-14 Sony Corporation Announcement of program synchronized triggered declarative objects
JP5765558B2 (ja) * 2010-08-27 2015-08-19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送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放送システム
US8595783B2 (en) * 2010-08-30 2013-11-26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10511887B2 (en) * 2010-08-30 2019-12-17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8918801B2 (en) * 2010-08-30 2014-12-23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20120050619A1 (en) * 2010-08-30 2012-03-01 Sony Corporation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US9986270B2 (en) * 2010-09-21 2018-05-29 Saturn Licensing Llc Reception and transmission of trigger information for application program control
US9398328B2 (en) * 2010-11-24 2016-07-19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20159541A1 (en) * 2010-12-20 2012-06-21 Carton Owen A Platform shifted advertising and information fulfillment
US9554175B2 (en) * 2011-07-20 2017-01-24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reception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trigger compaction
US9113230B2 (en) * 2011-12-21 2015-08-18 Sony Corporation Method, computer program, and reception apparatus for delivery of supplemental content
US9351037B2 (en) * 2012-02-07 2016-05-24 Turner Broadcasting System,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advertisement replacement utilizing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BR112014032554A2 (pt) 2012-06-25 2017-06-27 Lg Electronics Inc aparelho e método para processamento de um serviço interativo
US9432744B2 (en) 2012-07-31 2016-08-30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853B1 (ko) 2008-05-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1352692B1 (ko) 2009-09-25 2014-01-16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비디오 북마킹
US20110202947A1 (en) 2010-01-13 2011-08-18 Qualcomm Incorporated Optimized delivery of interactivity event assets in a mobile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01779A1 (en) 2014-07-17
JP2015525535A (ja) 2015-09-03
MX2014014421A (es) 2015-02-04
US20170085965A1 (en) 2017-03-23
CA2875465A1 (en) 2014-01-03
US20150222962A1 (en) 2015-08-06
JP5997839B2 (ja) 2016-09-28
WO2014003394A1 (en) 2014-01-03
EP2865188B1 (en) 2018-09-19
CN104412603B (zh) 2018-06-05
EP2865188A1 (en) 2015-04-29
KR20150035527A (ko) 2015-04-06
EP2865132A4 (en) 2016-03-30
WO2014003408A1 (en) 2014-01-03
US20150172784A1 (en) 2015-06-18
KR20150035526A (ko) 2015-04-06
US9554197B2 (en) 2017-01-24
CA2873374C (en) 2018-05-29
BR112014032554A2 (pt) 2017-06-27
MX346305B (es) 2017-03-15
US9525921B2 (en) 2016-12-20
US8938752B2 (en) 2015-01-20
US20130347030A1 (en) 2013-12-26
CN104396186A (zh) 2015-03-04
MX346306B (es) 2017-03-15
JP2015529988A (ja) 2015-10-08
US9038097B2 (en) 2015-05-19
US9602887B2 (en) 2017-03-21
CA2873374A1 (en) 2014-01-03
US9794645B2 (en) 2017-10-17
KR102024599B1 (ko) 2019-09-24
EP2865188A4 (en) 2016-02-17
US20140020009A1 (en) 2014-01-16
CN104396186B (zh) 2018-10-09
CA2875465C (en) 2017-03-14
US8719856B2 (en) 2014-05-06
MX2014014422A (es) 2015-02-04
EP2865132A1 (en) 2015-04-29
CN104412603A (zh) 2015-03-11
US20140325544A1 (en) 2014-10-30
JP6174691B2 (ja)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4600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8567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40623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39296B1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50073987A (ko)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