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81U - 가구용 팝업 거울 - Google Patents

가구용 팝업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81U
KR20140003981U KR2020120012015U KR20120012015U KR20140003981U KR 20140003981 U KR20140003981 U KR 20140003981U KR 2020120012015 U KR2020120012015 U KR 2020120012015U KR 20120012015 U KR20120012015 U KR 20120012015U KR 20140003981 U KR20140003981 U KR 201400039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torage space
pop
furnitur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0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830Y1 (ko
Inventor
김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봉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봉적
Priority to KR2020120012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3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05Mirror cabinets; Dressing-tabl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대, 수납장 및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 설치되는 거울의 기능성, 편리성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인 가구용 팝업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가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팝업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거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구용 팝업 거울{POP UP MIRROR}
본 고안은 가구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대, 수납장 및 옷장 등과 같은 가구에 설치되는 거울의 기능성, 편리성 및 공간 활용도를 높인 가구용 팝업 거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은 벽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를 비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울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욕실의 수납장, 옷장 및 화장대 등과 같은 가구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품이 많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211927 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가구에 장착된 거울은 특히, 가구 등의 개폐문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자신의 모습을 거울에 비쳐 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화장대 등과 같은 가구에 장착된 거울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81112 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화장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화장을 하면서 자신의 얼굴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거울이 화장대에 슬라이드 식으로 장착되어 거울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수납장의 내부가 개구되어 수납장에 필요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의 가구가 개발되었다.
이와 같이 가구에 장착되는 거울은 일반적으로 가구 또는 수납장의 개폐문의 역할을 동시에 하게 되고, 거울은 여닫이(경첩) 또는 미닫이(슬라이드) 식으로 작동되어 가구 또는 수납장의 내부를 개폐하는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거울의 크기가 클 경우에 수납장을 개폐하기 위해선 가구가 배치되는 공간에 넓은 크기의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가구에 장착되는 거울은 거울을 여닫을 시 거울이 지속적으로 정면을 비추지 않거나 작동 거리가 길어 사용자를 지속적으로 비추지 못해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안출한 것으로, 거울부를 최소한의 공간에서 작동할 수 있게 하며,
거울부를 작동하는 과정에서도 사용자가 거울부를 사용하기 쉽게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가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팝업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거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울부를 상기 가구에 팝업되게 결합하는 팝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일단이 힌지되게 결합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부재와 거리를 갖고 상기 실린더부재에 비해 외측에 결합하는 연결브라켓,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브라켓,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연결바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타단과 힌지 결합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연결바와 나란하게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울부는 팝업 시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에 의해 변경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복수로 부착되어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각 팝업부를 상호 연결하여 팝업시 상기 거울부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 방지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은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거울부가 팝업방식으로 수납공간을 개폐하게 하여 거울부가 최소한의 공간에서 작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거울부가 작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전방을 비추고, 작동을 위한 이동거리가 짧아 사용자가 거울부를 작동하면서도 사용자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거울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면서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쉽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구를 내부가 투시되게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에서 거울부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b는 도 4a에서 제1 연결바와 브릿지부 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이 다른 거울과 연속되게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에 따른 거울부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가구를 내부가 투시되게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을 절단하여 "A" 방향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구용 팝업 거울은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110)이 형성되는 가구(100) 및 상기 수납공간(110)의 입구에 설치되어 팝업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110)을 개폐하는 거울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공간(110)은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110)을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받침판(111)을 포함하여 상기 수납공간(110)의 내부에 물품(예들 들어, 화장품, 세면도구, 옷 등)을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가구(1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다양한 용도의 가구 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옷장, 신발장, 욕실의 수납장 또는 화장대와 같이 사용자가 거울을 사용하여 자신을 비추어 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는 가구인 것이 좋다.
상기 거울부(130)는 상기 가구(110)에서 상기 수납공간(110)의 개폐문 역할과 함께 외부에서 사용자가 자신을 비추어 볼 수 있도록 거울의 역할을 동시에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거울부(130)는 일 실시예로 상기 수납공간(110)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거울일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 상기 수납공간(110)을 폐쇄할 수 있는 크기의 판체와 상기 판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거울일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거울부(130)가 상기 가구(110)에 팝업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거울부(130)가 상기 가구(110)에 팝업되게 결합함에 따라 상기 거울부(130)를 작동하여 상기 수납공간(110)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상기 거울부(130)의 작동 반경이 종래의 미닫이(슬라이드) 및 여닫이(경첩) 방식에 비해 줄어들게 할 수 있어 상기 가구(110)의 배치에 있어서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거울부(130)를 사용하여 자신을 비추어 보기 쉽도록 상기 거울부(130)가 사용자측으로 팝업되기 때문에 마치 사용자가 손거울을 사용하여 자신의 모습을 근접하여 보는 거와 같은 기능(도 4a 참조)을 가지며, 상기 수납공간(110)의 개폐 과정에서도 상기 거울부(130)가 항상 정면을 비추게 하면서도 이동거리가 짧게 하는 장점이 있다.(도 6 참조)
도 4a는 도 3에서 거울부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제1 연결바와 브릿지부 만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울부(130)가 상기 가구(110)에 팝업되게 결합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팝업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팝업부(150)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거울부(130)의 내측면과 연결됨에 따라 상기 가구(110)와 상기 거울부(130)가 팝업되게 연결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팝업부(150)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내부에 일단이 힌지되게 결합하여 완충 역할을 하는 실린더부재(151), 상기 수납공간(110)의 내부에 결합하되 상기 실린더부재(151)와 거리를 갖고 상기 실린더부재(151)에 비해 상기 수납공간(110)의 외측에 결합하는 연결브라켓(153), 상기 거울부(130)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브라켓(155),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153)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155)에 힌지 결합하는 제1 연결바(157), 상기 제1 연결바(157)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부재(151)의 타단과 힌지 결합하는 브릿지부(15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바(157)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거울부(130)의 팝업 작동시 상기 거울부(130)가 상기 수납공간(110)의 입구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거리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바(157)와 나란하게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153)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155)에 힌지 결합하는 제2 연결바(158)를 포함하여 상기 거울부(130)의 결합 구조를 견고히 함과 동시에 상기 거울부(130)의 팝업 시 상기 거울부(130)의 형성 각도를 일정하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일정 각도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팝업부(150)를 복수로 형성하여 상기 거울부(130)의 결합 구조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팝업부(150)를 각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각 팝업부(150)는 뒤틀림 방지 바(152)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뒤틀림 방지 바(152)는 상기 각 팝업부(150)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거울부(130)가 팝업될 시 상기 거울부(130)의 상측과 하측이 상호 뒤틀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상기 뒤틀림 방지 바(152)는 상기 수납공간(110)의 상부에 형성된 팝업부(150)의 제2 연결바(158)에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수납공간(110)의 하부에 형성된 팝업부(150)의 제2 연결바(158)에 하단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복수의 팝업부(150)를 상호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이 다른 거울과 연속되게 설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본 고안에 따른 거울부가 작동된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구용 팝업 거울은 다른 거울(G)에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로 배열된 다른 거울(G)과 연속되게 배치되어 상기 거울부(130)가 팝업되게 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거울부(130)는 상기 수납공간(110)을 개구한 상태에서 배열된 다른 거울(G) 측으로 이동하게 하여 상기 다른 거울(G)의 상측으로 상기 거울부(130)의 일부가 겹치도록 함에 따라 정면에서 거울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거울을 연속되게 이용하면서 상기 수납공간(110)을 활용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거울부가 팝업방식으로 가구를 개폐하게 하여 거울부가 최소한의 공간에서 작동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거울부가 작동 중에도 지속적으로 전방을 비추고, 작동을 위한 이동거리가 짧아 사용자가 거울부를 작동하면서도 사용자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거울부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면서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쉽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구 110: 수납공간
111: 구획받침판 130: 거울부
150: 팝업부 151: 실린더부재
152: 뒤틀림 방지 바 153: 연결브라켓
155: 결합브라켓 157: 제1 연결바
158: 제2 연결바 159: 브릿지부

Claims (8)

  1. 내부에 일측이 개구된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가구; 및
    상기 수납공간의 입구에 설치되어 팝업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거울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를 상기 가구에 팝업되게 결합하는 팝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일단이 힌지되게 결합하는 실린더부재,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에 상기 실린더부재와 거리를 갖고 상기 실린더부재에 비해 외측에 결합하는 연결브라켓,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결합브라켓,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는 제1 연결바,
    상기 제1 연결바의 일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실린더부재의 타단과 힌지 결합하는 브릿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바와 나란하게 일단은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결합브라켓에 힌지 결합하는 제2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거울부는 팝업 시 상기 제1 연결바와 상기 제2 연결바에 의해 변경 각도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팝업부는 상기 수납공간의 내측면에 복수로 부착되어 상기 거울부의 내측면과 연결되되,
    상기 각 팝업부를 상호 연결하여 팝업시 상기 거울부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 방지 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은 내부에 상기 수납공간을 복수로 구획하는 복수의 구획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용 팝업 거울.

KR2020120012015U 2012-12-20 2012-12-20 가구용 팝업 거울 KR200473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15U KR200473830Y1 (ko) 2012-12-20 2012-12-20 가구용 팝업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015U KR200473830Y1 (ko) 2012-12-20 2012-12-20 가구용 팝업 거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81U true KR20140003981U (ko) 2014-06-30
KR200473830Y1 KR200473830Y1 (ko) 2014-07-31

Family

ID=5198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015U KR200473830Y1 (ko) 2012-12-20 2012-12-20 가구용 팝업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377A (zh) * 2019-08-28 2019-11-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7065A1 (en) * 2019-11-12 2021-05-20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storage system
KR20230052145A (ko) 2021-10-12 2023-04-19 방영식 가구용 경량 안전 거울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398A (ja) * 1995-01-28 1996-08-06 Shoichi Sano 引き出し鏡
JP2005133330A (ja) 2003-10-28 2005-05-26 Arai Tekko:Kk 扉体開閉装置
KR200441822Y1 (ko) 2008-02-27 2008-09-09 방정혁 목재 판재의 휨과 뒤틀림 방지용 철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7377A (zh) * 2019-08-28 2019-11-01 杭州老板电器股份有限公司 烹饪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830Y1 (ko) 2014-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948S (en) Media stand
EA201170778A1 (ru) Выдвижной контейнер с шарнирным клапаном
KR200473830Y1 (ko) 가구용 팝업 거울
WO2008070719A3 (en) Tri-fold mirror organizer
WO2008076789A3 (en) Tri-fold mirror swivel organizer
USD541146S1 (en) Double-hinged box
US712449A (en) Door.
JP2003189950A (ja) 扉体付きミラーキャビネット
US20110031854A1 (en) Medicine/cosmetic cabinet with pivoting mirror assembly
US2836477A (en) Liquor bar cabinet structure
TWM520315U (zh) 可收納化妝鏡之櫥櫃結構
JP3237829U (ja) 洗面化粧台
KR100461528B1 (ko) 수납장 문의 슬라이딩 로울러 구조
KR101584861B1 (ko) 여닫이문으로 개폐되는 수납공간이 내장된 방문
JP2003189989A (ja) 三面鏡付き収納キャビネット
USD530115S1 (en) Storage for table leaves
KR101624919B1 (ko) 양면 거울을 갖는 욕실장의 도어
KR200468659Y1 (ko) 곡면형 이중 도어가 구비된 욕실수납장
KR200252498Y1 (ko) 다목적 수납장
KR200281786Y1 (ko) 거울이 부착된 욕실용수납장
JP2001112552A (ja) ミラーキャビネット
KR200327552Y1 (ko) 주방가구의 여닫이 겸용 미닫이 도어
KR101449312B1 (ko) 가구 손잡이
KR200258517Y1 (ko) 수납함을 구비한 책상
CN104473584A (zh) 镜面橱柜化卫浴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