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939U -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 Google Patents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939U
KR20140003939U KR2020120011946U KR20120011946U KR20140003939U KR 20140003939 U KR20140003939 U KR 20140003939U KR 2020120011946 U KR2020120011946 U KR 2020120011946U KR 20120011946 U KR20120011946 U KR 20120011946U KR 20140003939 U KR20140003939 U KR 201400039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uge
pressure
housing
connect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9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록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9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939U/ko
Publication of KR201400039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93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measuring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ent medium insofar as such details or accessories are not special to particular types of pressure gauges
    • G01L19/14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게이지 하우징에 복수의 컨넥터를 형성하되, 대상물에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른 압력게이지 선택의 용이성 확보와, 필요에 따른 압력게이지 설치 위치의 변경시 그 설치 방향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별도의 압력게이지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여줄 수 있게 하기 위한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Pressure gauge for install of multi direction}
본 고안은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이 작용하는 관로 등의 대상물에 압력게이지를 설치함에 있어, 그 설치 방향성의 확보가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력게이지는 용기나 관로 등의 압력이 작용하는 대상물에 설치되어 기체나 유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계기로서, 보통 다이아프램이나 브르동(Bourdon)튜브 또는 스파이어럴(Spiral)튜브 등과 같은 탄성의 튜브가 기체나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하는 것을 지시침과 같은 표시장치에 의하여 압력을 읽어서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게이지는 전기한 바와 같이 압력이 작용하는 모든 대상물에 설치되어 그 작용하는 압력을 체크 및 필요 이상의 압력이 발생시 이를 적절히 조치함으로 대상물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력게이지(10)는, 도 1의 도시와 같이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원주 중심에 축설되는 바늘(12)과 하우징(11)의 축 중심에서 원호 형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표시되는 눈금(13)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에는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나사부(14a)를 갖는 컨넥터(14)와, 그 컨넥터(14)를 관통하여 하우징(11) 내부로 삽입되고 압력을 전달하는 압력튜브(15)로 구성된 것으로,
압력게이지(1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대상물의 상부에서 하우징(11)의 하부에 형성된 컨넥터(14)를 이용하여 대상물에 수직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설치된 압력게이지(10)은, 상기 압력튜브(116)가 압력을 받으면 하우징(11)에 내설된 동작수단(미도시)이 압력 범위에 따라 동작하며 바늘(12)을 회전시켜 표시된 눈금(13)을 가리켜 현재 압력게이지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력게이지는, 그 압력게이지의 용도에 따라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컨넥터가 하우징의 하부 또는 후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인바, 반듯이 대상물의 설치 위치에 맞는 압력게이지를 선택하여야 하는 등 압력게이지 선택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압력게이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그 설치 위치에 맞는 또 다른 압력게이지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이 부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91545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압력게이지 하우징에 복수의 컨넥터를 형성하되, 대상물에 압력게이지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위치에 따라 적절히 변경 설치가 가능함으로써, 설치 위치에 따른 압력게이지 선택의 용이성 확보와, 필요에 따른 압력게이지 설치 위치의 변경시 그 설치 방향성의 확보가 가능하여 별도의 압력게이지 구매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줄여줄 수 있게 하기 위한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내부의 압력 반응에 의해 바늘의 유동 및 바늘이 가리키는 눈금이 형성된 하우징으로 된 압력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튜브가 형성된 제1 컨넥터를 하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의 배면에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튜브가 형성된 제2 컨넥터를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는, 압력게이지 하우징의 하부면 및 배면에 그 하우징의 내부로 압력튜브가 연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컨넥터가 마련되어 있어, 대상물에 압력게이지 설치시 그 설치 위치에 맞는 압력게이지 선택에 따른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특히, 사용중이던 압력게이지의 설치 방향 변경시 그 설치 방향에 따른 별도의 압력게이지를 구비하여야 하는 등의 경제적인 손실을 줄여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제1 실시예도.
도 5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제2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1)는, 통상적인 내부의 작동구조(도면중 미도시함)에 의해 압력이 작용시 바늘(110)의 유동 및 그 바늘(110)이 가리키는 눈금(120)이 형성된 하우징(100)으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외주면에 나사부(2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대상물로부터 전해지는 기체 또는 유체를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인입할 수 있도록 압력튜브(220)가 형성된 제1 컨넥터(200a) 및 제2 컨넥터(200b)가 각각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컨넥터(200a)는, 상기 하우징(10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과 동일 수직선상을 이루게 수직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컨넥터(200b)는,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00)과 직각 방향을 이루게 수평 돌출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컨넥터(200a) 및 제2 컨넥터(200b) 각각의 압력튜브(22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서로 연통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제1 컨넥터(200a) 또는 제2 컨넥터(200b)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더라도 그 하우징(100) 내부의 압력 작용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컨넥터(200a) 및 제2 컨넥터(200b)의 나사부(210)에 나사 결합되어 관통형 압력튜브(220)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캡(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으로, 이는, 제1 컨넥터(200a) 또는 제2 컨넥터(200b) 중 어느 하나의 컨넥터를 사용시 그 나머지 하나의 컨넥터를 통해 공기 등이 유입되어 압력 측정의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 압력게이지(1)는 그 설치 환경 및 대상물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그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이때 설치되는 대상물은 그 실시예로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는 관로(2)을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제1 실시예도로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압력게이지(1)는, 관로(2)의 외주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1 컨넥터(200a) 또는 제2 컨넥터(200b) 중 제1 컨넥터(200a)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제1 컨넥터(200a)를 설치시에는 통상의 압력게이지 설치방법과 같이 나사체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제1 컨넥터(200a)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0)를 이용하여 관로(2)의 상부에서 수직 나삽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이에, 관로(2)내에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제2 컨넥터(200b)의 압력튜브(220)는 그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이때, 마감캡(300)을 이용하여 제2 컨넥터(200b)의 나사부(210)에 체결 마감하면 되는 것으로, 그 제2 컨넥터(200b)의 압력튜브(220)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제2 실시예도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압력게이지(1)는, 관로(2)의 외주면 측면에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는,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1 컨넥터(200a) 또는 제2 컨넥터(200b) 중 제2 컨넥터(200b)를 선택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즉, 제2 컨넥터(200b)를 설치시에는 통상의 압력게이지 설치방법과 같이 나사체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제2 컨넥터(200b)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210)를 이용하여 관로(2)의 측면에서 수직 나삽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이며, 이에, 관로(2)내에 흐르는 기체 또는 유체의 압력 측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때, 제1 컨넥터(200a)의 압력튜브(220)는 그 개방된 상태를 이루는 것인바, 이때, 마감캡(300)을 이용하여 제1 컨넥터(200a)의 나사부(210)에 체결 마감하면 되는 것으로, 그 제1 컨넥터(200a)의 압력튜브(220)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는, 수직 및 수평방향에 각각 제1,2 컨넥터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현장의 설치환경 및 대상물의 특성에 맞게 다양한 방향에서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며, 이에 따라 압력게이지의 설치 방향의 변경에 따른 별도의 압력게이지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100 : 하우징 110 : 바늘
120 : 눈금
200a : 제1 컨넥터 200b : 제2 컨넥터
210 : 나사부 220 : 압력튜브
300 : 마감캡

Claims (3)

  1. 내부의 압력 반응에 의해 바늘(110)의 유동 및 바늘(110)이 가리키는 눈금(120)이 형성된 하우징(100)으로 된 압력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외주면에 나사부(2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튜브(220)가 형성된 제1 컨넥터(200a)를 하방으로 수직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0)의 배면에는 외주면에 나사부(2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압력튜브(220)가 형성된 제2 컨넥터(200b)를 후방으로 수평 돌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컨넥터(200a)(200b)의 나사부(210)에 나사 결합되어 압력튜브(220)를 마감하는 마감캡(30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3. 제 1항에 있어서,
    압력게이지는,
    압력이 작용하는 대상물의 상부에서 수직 설치되거나, 전방에서 수평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KR2020120011946U 2012-12-18 2012-12-18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KR2014000393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6U KR20140003939U (ko) 2012-12-18 2012-12-18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946U KR20140003939U (ko) 2012-12-18 2012-12-18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939U true KR20140003939U (ko) 2014-06-26

Family

ID=52445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946U KR20140003939U (ko) 2012-12-18 2012-12-18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93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9531A (zh) * 2019-10-18 2020-02-28 成都凯天电子股份有限公司 定向锁紧管路系统观察压力表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49531A (zh) * 2019-10-18 2020-02-28 成都凯天电子股份有限公司 定向锁紧管路系统观察压力表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1509B2 (en) Diaphragm pressure gauge
KR20150031734A (ko) 유체 압력 및 온도 복합 센서
CN104990572A (zh) 一种油井专用一体化温、压变送器
KR20140003939U (ko) 다방향 설치형 압력게이지
CN204963754U (zh) 叶身两端有直型线装配面的弯扭静叶片型线测具
CN203116906U (zh) 一种压力缓冲装置
JP2013174507A (ja) 圧力センサ
CN207556740U (zh) 一种附面层探针
CN202735026U (zh) 测压式管接头
CN202994468U (zh) 滑油试验装置
CN106225187B (zh) 一种空调室内机感温包安装结构及空调室内机
CN209197961U (zh) 一种带缓冲杯的压力表
CN203443617U (zh) 插入式一体型温压补偿涡街流量计
CN205483334U (zh) 一种超声波热量表基表
CN203132607U (zh) 具有磁性指针的流量计
JP3133073U (ja) 温圧計
CN207763735U (zh) 一种变送器集中安装支架
CN109459114B (zh) 水箱浮子高低位检测工装
CN207113846U (zh) 内径测量装置
JP2006037985A (ja) 弁開度表示機能付逆止弁
CN203337162U (zh) 用于在管子内安装工作部件的安装座和现场仪表
KR20140001243U (ko) 절곡 기능을 갖는 게이지
CN105571536A (zh) 一种测量容积变形量的设备
JP2019105522A (ja) 荷重検出装置、及び荷重計測設備
KR20140063197A (ko) 경고유닛을 구비한 게이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